KR20100055114A -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114A
KR20100055114A KR1020080114040A KR20080114040A KR20100055114A KR 20100055114 A KR20100055114 A KR 20100055114A KR 1020080114040 A KR1020080114040 A KR 1020080114040A KR 20080114040 A KR20080114040 A KR 20080114040A KR 20100055114 A KR20100055114 A KR 2010005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polyester
weight
scre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087B1 (ko
Inventor
이종호
이민수
강지만
Original Assignee
이종호
이민수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이민수, 한국섬유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08011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0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5/00Forcing liquids, gases or vapours through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1/00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및 홈텍스타일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프린팅시 그래픽의 선명도를 높이면서도 마찰 및 세탁, 일광 견뢰도가 우수하며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부클레사, 포토프린팅, 기모, 견뢰도

Description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Process Of Producing Photo Printing Fabrics Having Good Colorfastness And Touch}
본 발명은 인테리어 및 홈텍스타일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환경의 미적 감각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개성이 돋보이는 제품들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생활속에서 사용되어지는 섬유제품에도 용도와 기능의 다양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소재가 보다 더 부드럽고 색다른 감성을 전달하는 섬유소재로 대체되어지는 경향들이 많이 보인다.
특히 홈텍스타일 부분은 가구, 실내장시품, 바닥재 등의 생산에 사용되는 섬유로서 중량을 기준으로 전체 섬유의 35% 정도의 막대한 양이 사용되고 있고 우수한 감성소재들의 침구, 침장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 다른 섬유소재들의 가구자재로 사용되는 것을 대체해 나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테리어용도 및 생활 섬유제품들은 섬유자체의 염색 및 조직들의 변화로 그 포인트를 주는 제품들이 다반사였으며, 프린팅이 된 직물이 경우는 직물의 면이 평활하고 뻣뻣한 느낌을 줄뿐만 아니라 프린팅 의 상태 또한 해상도가 낮아 선명한 색감의 표현이 어려웠고 그에 따라 견뢰도의 문제도 뒤따르게 되었다.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되는 프린팅 직물은 장식, 액자, 벽지, 커버, 쇼파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며, 이에 사용되는 직물은 프린팅의 해상도 및 견뢰도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므로 고해상도의 프린팅이 가능한 직물이면서도 소프트한 느낌을 동시에 가지는 사가공 기술과 제직 기술 및 후가공 공정의 기술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기존의 쇼파직물 또는 장식용 직물의 경우 셔닐사 또는 스웨이드 직물을 사용하여 홈텍스타일 용도로서 많이 사용을 하여 왔으나, 이는 외관적인 면에서는 우수함을 보였으나, 마찰에 대한 저항력이 적고 필링 현상이 생기는 등 내구성에 대한 약점을 보임으로서 미세한 섬유의 린터들이 발생하여 먼지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또한 이러한 직물에 디자인을 가미하기 위한 방법이 자카드를 이용한 문양직물을 만드는 것으로서 한정된 패턴들의 문양 표현이었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지 못하였고 컬러 표현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 PET계 원사를 사용한 인테리어용 직물들은 직물직조상의 특성상 볼륨감이 적은 박지의 형태가 많고, 볼륨감이 있는 후직이라도 투박한 느낌을 주며 프린팅 직물은 프린팅의 선명한 컬러나 해상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 왔다.
또한, 프린팅 직물로는 Nylon/PET 분할형 복합사를 사용하여 직조한 직물로 프린팅 직물을 많이 생산하여 왔으나, 하드한 촉감과 원사 내에 존재하는 nylon 성분으로 인해 견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들과, 소프트한 느낌을 주기 위한 벌키성을 높인 버클 가공사를 프린트면에 사용하였기 때문에 돌출부위가 많이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프린트를 위해 사용되는 전사지(photo print film)가 직물의 표면에 밀착되어 인쇄되지 못하여 선명한 그래픽을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의 전사 프린팅 직물은 감성적으로 하드한 느낌과 프린트의 난해성으로 인해 위에서 언급된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린트를 발생 시키지 않으면서도 촉감이 우수하며 그래픽의 선명도를 높이면서도 마찰 및 세탁, 일광 견뢰도가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로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사용하고, 위사로 2이상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합사하여 만든 부클레사를 사용하여 제직전 챔버온도 115~120℃, 실린더 온도 80~90℃에서 사이징하여 사이징픽업율이 9~10%가 되도록 하는 사이징공정,
상기 사이징 후 상기 경사 및 위사로 제직하는 제직공정,
상기 제직후 직물을 정련액에서 95~100℃에서 20~30m/분의 조건으로 처리하는 정련공정,
상기 정련공정 후 호발제 5~10g/ℓ를 함유한 처리액에서 85~105℃에서 처리하는 래피드축소공정,
오버피드율 15~20%조건에서 200~210℃에서 30~40 m/분의 조건으로 행하는 프리셋공정,
NaOH 1~3중량%, 유연제 1~4중량% 및 잔부로서 물을 함유하는 감량액에 100~115℃에서 처리하여 감량율 6~8%가 되도록 행하는 감량공정,
감량공정이 완료된 직물을 염색하는 염색공정,
상기 염색된 직물을 무장력상태에서 130~150℃에서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
상기 건조공정 후 최종셋팅욕에 165~175℃에서 오버피드율 0%로 행하는 최종셋팅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 및 홈텍스타일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토프린트용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등을 사용하여 사이징한 후, 직물을 제직하여 정련한 후 래피드축소공정, 프리셋공정, 감량공정,염색공정, 건조 공정 및 최종셋팅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우선, 직물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사(絲)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경사로는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사용하는데, 폴리에스테르 부분연 신사(POY)를 사용하여 벨트형 고속 복합사 가공기를 통해 연신 및 가연가공을 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경사인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는 강도 4.3~4.9 g/d, 신도 23.0~33.0%, 수축율 15.3~22.5% 인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사용하는 것이 직물 제직시에 충분한 인장성과 인열에 높은 강도를 부여하면서도 벌키성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위사는 2이상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합사하여 만든 부클레사를 사용하는데, 부클레는 버클(Buckle)이나 링을 뜻하는 프랑스어로서, 부클레사는 권축이나 루프가 있는 장식 실을 일컫는다. 부클레사는 부드럽고 꼬임 수가 적으며, 장식 효과(novelty effect)가 크다. 부클레사는 가느다란 중심결과 약연(弱撚)이 부여된 굵은 실을 연사(撚絲)하는데, 중심실(심사)은 장력을 걸어 천천히 피딩시키고, 굵은 실은 장력을 거의 걸지 않고 빨리 피딩시켜 연사하면, 여분으로 공급된 만큼 굵은 실이 연속적으로 루프(loop)를 형성하게 되고, 제 3의 실(부사)을 다시 연사하여 상기 루프를 고정시켜 준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클레사는 2~5가닥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심사로 사용하고, 상기 심사보다 굵은 2~5가닥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압사로 사용하여 상기 심사의 공급속도보다 압사의 공급속도를 빠르게 하여 압사가 심사의 주위로 연속적으로 루프를 형성하게 하고, 별도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부사로 공급하여 함께 연사함으로써 상기 압사가 심사주위로 형성한 루프를 고정시켜 이루어진 부클레(buckle)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클레사의 심사 및 압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는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사용하여도 좋으며, 상 기 경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위사의 심사로 공급되는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는 섬도가 50~150den이고, 상기 압사로 공급되는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는 섬도가 200~300den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압사의 루프(loop)길이와 개수 조정이 용이하여 후의 감량가공을 통한 기모화가 유리하도록 한다. 상기 부클레사는 강도 700~950gf, 신도 25.0~29.6%, 섬도 600~1200 den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제직용 경사 및 위사를 준비한 후 이들을 사이징하는데, 챔버온도 115~120℃, 실린더 온도 80~90℃에서 사이징하여 사이징픽업율이 9~10%가 되도록 사이징한다.
상기 사이징 후 상기 위사 및 경사로 제직하여 직물을 만든다.
일반적인 직물은 직물제직후 염색을 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경우에는 염색전에 정련, 축소공정, 프리셋공정 및 감량공정을 행하게 된다. 정련공정은 직물의 제조단계에서 부착된 유제, 호제, 왁스등 기타 오염된 물질들을 제거하고 직물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직된 직물을 정련액에서 95~100℃에서 20~30m/분의 조건으로 처리한다.
상기 정련공정 후 호발제 5~10g/ℓ를 함유한 처리액에서 85~105℃에서 처리하는 래피드축소공정을 하는데, 냉각구김 및 로프구김의 발생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후 오버피드율 15~20%조건에서 200~210℃에서 30~40m/분의 조건으로 행하는 프리셋공정을 통해 상기 정련공정 및 축소공정에 의해 응력완화된 직물의 주름을 제거하고 위사폭을 열고정시킨다.
이후 NaOH 1~3중량%, 유연제 1~4중량% 및 잔부로서 물을 함유하는 감량액에 100~115℃에서 처리하여 감량율 6~8%가 되도록 감량공정을 행하여 직물표면을 기모시켜 피치화(PEACH 化)함으로써 승화 전사시 잉크 흡수의 표면적을 넓게 하여 컬러의 발현이 우수하게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감량공정이 완료된 후에 염색을 하며, 염색된 직물은 습윤된 상태이기 때문에 건조를 목적으로 무장력상태에서 130~150℃에서 건조시켰으며, 이때 정전기 발생에 의한 작업 트러블을 방지할 목적으로 대전방지제 1~3%(O.W.S.)를 도포할 수도 있다.
상기 건조공정 후 직물을 최종셋팅욕에 165~175℃하에서 오버피드율 0%로 최종셋팅하여 염색공정 및 건조공정을 통과할 때 직물에 발생된 구김 또는 변형을 제거한다. 또한 직물이 감량공정 및 염색공정에서 이완되어 직물폭이 다소 늘어나기 때문에 그것을 감안하여 직물의 오버피드율은 0%로 한다. 상기 최종셋팅욕은 양이온유연제 20~35중량%, 실리콘유연제 15~30중량%, 대전방지제 10~40중량% 및 잔부로서 물을 함유하는 처리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포토프린트용 직물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및 견뢰도 높은 날염직물 및 프린팅 직물을 제공할 수 있는데, 디지털 인쇄방식으로 제판과정 없이 전사잉크로 프린트한 용지를 직물에 전사시켜 열셋팅함으로써 직물에 염료를 고착시켜 다양한 무늬 및 사진 등의 고해상도 날염직물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직물 제직시에 충분한 인장성과 높은 인열강도를 부여하면서도 벌키성을 줄 수 있는 실을 위사 및 경사로 채택함과 동시에 루프(loop)길이와 개수를 조정하여 후의 감량가공을 통한 기모화가 유리하도록 함으로써 승화 전사시 잉크 흡수의 표면적을 넓게 하여 컬러의 발현이 우수하고 고해상도의 무늬를 획득하게 될 수 있어 소프트한 감촉과 볼륨감 있는 포토프린트용 직물을 제공하여 장식 액자용 프린팅 직물, 쇼파 및 쿠션 커버용 인테리어 프린팅 직물, 포인트 프린팅 패브릭 벽지, 패션 타월등에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다음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1. 사용원사
경사로는 폴리에스테르 POY 250Den를 사용하여 Belt형 고속 복합사 가공기 Murata 33H(日本 Muratec) 기계로 연신비 : 1.65, 1차히터온도 : 175℃, 사속은 500M/MIN. VR은 1.8의 조건으로 제조한 경사는 강도 4.6 g/d, 신도 27.0%, 수축율 17.8% 인 폴리에스테르 DTY 150Den를 준비하였다.
위사로는 심사는 폴리에스테르 DTY 75Den와 압사로 폴리에스테르 DTY 200Den를 사용하여 900T/M(Z)으로 합연한 후 부사로 폴리에스테르 50/144(High Multi)를 5합(900T/M(S))하여 부클레(Boucle)가공을 하여 준비하였다.
2. 사이징공정
사이징은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보편화된 THUTAKOMA(日) KS-J TYPE 기계에서 챔버 온도 115℃, 실린더 온도 90℃, 사이징속도 110yd/min로 작업하였으며, 이때 부여된 장력은 크릴장력 0.03g/d, 챔버내장력 0.16g/d, 권취장력 0.15g/d의 조건으로 하였다. 작업완료 후 S.P.U(Sizing pick up)은 10%로 하였다.
3. 제직공정
제직은 Dobby가 장착된 래피어직기(Rapier Loom)에서 R.P.M 300으로 제직하였다.
4. 정련 공정
원사 및 직물의 제조단계에서 부착된 유제, 호제, 왁스등 기타 오염된 물질들을 제거하고 직물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련가공을 실시하였는데 95℃에서 20m/min.의 공정조건으로 처리하였다.
5. 래피드축소공정
래피드 축소 공정은 호발제SH 5g/ℓ를 함유한 처리액을 사용하여 90℃에서 냉각구김 및 로프구김 발생에 주의하며 시행하였다.
6. 프리셋공정
상기 공정들에서 발생된 직물의 주름을 제거하고 위사폭을 열고정시킬 목적으로 프리셋(pre-set)가공을 실시하였는데 205℃× 35 m/min.의 수준으로, 폭 59", 밀도 53T, 중량 460g/yd로 오버피드 20%조건에서 실시하였다.
7. 감량 공정
직물의 감량율은 6%수준이 얻어지도록 하고 감량공정설비는 래피드 감량기를 이용하였으며, NaOH 1중량%, 욕중 유연제 1중량% 및 잔부로서 물을 함유하는 감량액을 사용하였다.
8. 염색 공정
염색조건은 전사 날염 프린팅을 위해 용도에 부합하는 배색으로 염색을 실시하였다. 공정설비는 래피드염색기(日本 On-omori 제작)를 이용하였다.
9. 건조 공정
염색된 시료는 습윤된 상태이기 때문에 건조를 목적으로 무장력상태에서 150℃×40 m/min.의 조건으로 건조시켰으며 공정설비는 2챔버의 비접촉형 Net-dryer(日本, Onomori 제작)를 이용하였다.
10. 최종셋팅공정
염색공정 및 건조공정을 통과할 때 발생된 구김등의 변형을 제거하기 위하여 175℃×25 m/min.의 조건으로 직물의 오버피드율은 0%로 하여 포토프린트용 직물을 제조하였다. 최종셋팅욕은 양이온유연제 25중량%, 실리콘유연제 15중량%, 대전방지제 20중량% 및 잔부로서 물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11. Digital 프린터를 활용한 승화전사 날염
제판과정 없이 전사 잉크로 프린트 한 용지를 상기 포토프린트용 직물에 전사시켜 열셋팅으로 염료를 고착시켜 다양한 무늬를 가진 고해상도 날염직물을 제조하였다.(도 5참조)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포토프린트용 직물을 승화전사날염이 아닌 직접 프린팅을 하고 열셋팅을 하였다.(도 6참조)
상기 실시예 1의 전사프린팅 직물과 실시예 2의 직접프린팅 직물의 견뢰도, 인장강도 및 외관특성을 비교하였다.
※ 직물 물성 실험
1. 염색견뢰도 분석
가. 세탁견뢰도 (Colorfastness to Washing)
세탁 견뢰도 시험은 KSK 0430의 A-2법에 의해 측정한 것으로, 온도 50±2℃, 비누 5g/ℓ, 액량 100㎖, 스테인레스 강철구슬 10개, 시험병 용량 약 450㎖, 30분간 세탁한 후 수세, 건조한 다음, 시험편의 변퇴색과 첨부 백포의 오염 정도를 각각 변퇴색용 표준 회색 색표 또는 오염용 표준 회색 색표와 비교하여 견뢰도를 측정하였다.
나. 일광견뢰도 (Colorfastness to Light) : 표준퇴색시간
일광견뢰도는 KSK 0700에 의해 시험 하였다. 시험편의 크기를 6.4×7.6cm의 크기로 하여, 일광견뢰도 시험기 Fade-Ometer(미국, Atlas Co. LTD)를 이용하여 온도 74℃, 기내습도 50% R.H를 초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표준청색염료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다. 마찰 견뢰도 (Colorfastness to Rubbing) : 크로크미터법
마찰 견뢰도 시험은 KSK 0650에 따라 시험을 하였으며, 시험편의 크기를 20× 10cm의 사각형으로 한 후 경사방향을 길게 하여, 900g의 하중을 가하여 직물 표면을 10cm, 10초간 10회 왕복한 후 판정한다. 건조시험과 습윤 시험을 모두 시행하였다. 이는 전사 프린팅의 견뢰도와 직물 표면에 직접 프린팅한 견뢰도의 염착정도와 포토그래픽의 해상도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구분 세탁견뢰도 일광견뢰도 마찰견뢰도 비 고
실시예 1 4-5급 4급이상 4급 전사 프린팅
실시예 2 4-5급 4급이상 3-4급 직접 프린팅
세탁견뢰도는 변퇴색 4-5급, 오염 4-5급을, 일광견뢰도는 4급이상을, 마찰견뢰도는 홈텍스타일 특성상 인체에 닫는 제품의 경우 마찰에 대한 저항성이 필히 고려되어져야 하는데 건조와 습윤 모두 4급을 나타내었다.
2. 인열강도
최종 제품의 요구물성에서 인열강도는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인테리어 직물에서 쇼파지와 같은 용도로 사용될 경우 마찰 및 인체에 의한 직물의 변형에 강하기 위해서는 인열강도가 우수해야 한다.
본 측정에서는 직물의 인열강도 측정법 (KS K 0535) 팬듈럼법에 의거 실험을 진행하여 인열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열강도(N) 실시예 1 실시예 2
경사 39.6 56.9
위사 52.9 67.5
인열강도 측정결과 후직물의 특성을 충분히 살리면서도 경위사 방향으로 적정 이상의 인열강도를 보였다.
3. 직물의 역학적 물성 분석
직물의 16종 역학적 특성을 정도 높게 평가할 수 있는 Kawabata등에 의해서 개발된 KES-FB 1∼4 System(Kawabata Evaluation System of Fabric)을 이용하여 16가지 직물의 역학적 특성치를 평가하였다.
KES-FB System으로 계측된 16가지의 역학적 특성치를 KN-202-LDY식에 적용시켜 KOSHI(Stiffness), SHARI(Crispness), HARI(Anti-drape), FUKU-RAMI(Fullness and softness), KISHIMI(Scrooping feeling), SHINAYAKASA(Flexibility with soft)의 6가지 기본 촉감값을 계산하였다. 이 때 사용된 회귀식은 다음과 같으며 Table 12 (a)는 16가지 역학적 특성치에 대한
Figure 112008079132408-PAT00001
, σi의 값을, (b)는 16가지 역학적 특성치에 대한 Ci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8079132408-PAT00002
( 여기서, Xi :i번째 특성치의 계측값,
Figure 112008079132408-PAT00003
i :i번째 특성치의 평균값, σi:i번째 특성치의 표준편차, Co, Ci : 회귀계수.)
Figure 112008079132408-PAT00004
상기 표 3에서 나타나듯이 실시예1 및 실시예 2는 홈텍스타일 직물의 특성에 비추어 후직물이면서도 부드러운 터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표면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표면확대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위사로 사용된 부클레사의 외관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위사로 사용된 부클레사의 단면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승화전사날염된 직물의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직접 프린팅된 직물의 사진이다.

Claims (8)

  1. 경사로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사용하고, 위사로 2이상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합사하여 만든 부클레사를 사용하여 제직전 챔버온도 115~120℃, 실린더 온도 80~90℃에서 사이징하여 사이징픽업율이 9~10%가 되도록 하는 사이징공정,
    상기 사이징 후 상기 경사 및 위사로 제직하는 제직공정,
    상기 제직후 직물을 정련액에서 95~100℃에서 20~30m/분의 조건으로 처리하는 정련공정,
    상기 정련공정 후 호발제 5~10g/ℓ를 함유한 처리액에서 85~105℃에서 처리하는 래피드축소공정,
    오버피드율 15~20%조건에서 200~210℃에서 30~40 m/분의 조건으로 행하는 프리셋공정,
    NaOH 1~3중량%, 유연제 1~4중량% 및 잔부로서 물을 함유하는 감량액에 100~115℃에서 처리하여 감량율 6~8%가 되도록 행하는 감량공정,
    감량공정이 완료된 직물을 염색하는 염색공정,
    상기 염색된 직물을 무장력상태에서 130~150℃에서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
    상기 건조공정 후 최종셋팅욕에 165~175℃하에서 오버피드율 0%로 행하는 최종셋팅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강도 4.3~4.9 g/d, 신도 23.0~33.0%, 수축율 15.3~22.5% 인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2~5가닥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심사로 사용하고, 상기 심사보다 굵은 2~5가닥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압사로 사용하여 상기 심사의 공급속도보다 압사의 공급속도를 빠르게 하여 압사가 심사의 주위로 연속적으로 루프를 형성하게 하고, 별도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부사로 공급하여 함께 연사함으로써 상기 압사가 심사주위로 형성한 루프를 고정시켜 이루어진 부클레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의 심사로 공급되는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는 섬도가 50~150den이고, 상기 압사로 공급되는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는 섬도가 200~300d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클레사는 강도 700~950 gf, 신도 25.0~29.6%, 섬도 600~1200 d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시 직물에 대전방지제 1~3%(O.W.S.)를 추가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셋팅욕은 양이온유연제 20~35중량%, 실리콘유연제 15~30중량%, 대전방지제 10~40중량% 및 잔부로서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
KR1020080114040A 2008-11-17 2008-11-17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KR10107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40A KR101076087B1 (ko) 2008-11-17 2008-11-17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40A KR101076087B1 (ko) 2008-11-17 2008-11-17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114A true KR20100055114A (ko) 2010-05-26
KR101076087B1 KR101076087B1 (ko) 2011-10-21

Family

ID=4227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040A KR101076087B1 (ko) 2008-11-17 2008-11-17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0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5995A (zh) * 2013-06-25 2013-09-18 苏州锦凯纺织有限公司 涤纶低弹丝面料
KR101327184B1 (ko) * 2012-05-29 2013-11-06 정규형 폴리 우레탄 코팅 의장사
KR20160066786A (ko) * 2014-12-03 2016-06-13 충남직물공업협동조합 디지털프린팅 날염 친환경 자카드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098B1 (ko) 2013-06-28 2014-06-26 삼성염직(주)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직물의 염색방법 및 이에 의해 염색된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연신사 직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060B1 (ko) 2005-06-14 2006-08-08 강연호 폴리에스테르 고신축 가연염색사의 제조방법
KR200406489Y1 (ko) 2005-11-02 2006-01-23 박근식 금분이 함유된 염색섬유사를 경사로 포함하는 직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184B1 (ko) * 2012-05-29 2013-11-06 정규형 폴리 우레탄 코팅 의장사
CN103305995A (zh) * 2013-06-25 2013-09-18 苏州锦凯纺织有限公司 涤纶低弹丝面料
KR20160066786A (ko) * 2014-12-03 2016-06-13 충남직물공업협동조합 디지털프린팅 날염 친환경 자카드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087B1 (ko)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3436B2 (ja) 多重の弾性糸を有するストレッチ糸および布地
KR101154602B1 (ko) 실크 혼방사
CN112878060B (zh) 一种可降解天丝商标带的制备方法及其制备装置
KR101076087B1 (ko)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CN108411455A (zh) 一种空气羊绒花呢及其加工方法
Park et al. Manufa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denim fabrics using Hanji paper yarn as weft yarn
JP2018035494A (ja) 織物製造方法
CN107287908A (zh) 全棉色织多层大提花毯面料的纬纱煮练染色方法
KR20110029373A (ko) 고심색성 가방직물지용 에어텍스쳐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Matthews Encyclopaedic Dictionary of Textile Terms: Volume 2
KR100919467B1 (ko) 데님조 합성섬유 직물
WO2015152998A1 (en) A bicomponent georgette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100005531A (ko) 고스트레치성 소모조 직물의 제조방법
JP5290840B2 (ja) ストレッチ短繊維織物および婦人用パンツ
JP5069706B2 (ja) 畝を有する織物、及び該織物からなる中東民族衣装
JPH01148830A (ja) 二重織物
JP4110475B2 (ja) 低通気度寝装資材
JP2007190323A (ja) タオルハンカ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72066B1 (ko) 수피마 면 원사와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조합한 이중지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7424336B2 (ja) ポリエステル織物
CN107217471A (zh) 鑫纶t3000/涤纶低弹丝交织梭织布连续染整工艺
US11293120B2 (en) Total fit cotton fabric
WO2013071034A1 (en) A stretchable, light weight, wove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based fabric
JP2005105455A (ja) 織物
KR20050036339A (ko) 데님조 합성섬유 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