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123A - 말뚝 겹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오목형 말뚝을 이용한 수밀형 주열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말뚝 겹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오목형 말뚝을 이용한 수밀형 주열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2123A KR20100052123A KR1020080111013A KR20080111013A KR20100052123A KR 20100052123 A KR20100052123 A KR 20100052123A KR 1020080111013 A KR1020080111013 A KR 1020080111013A KR 20080111013 A KR20080111013 A KR 20080111013A KR 20100052123 A KR20100052123 A KR 201000521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hole
- concave
- wall
- side conca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뚝을 이웃하게 배치하여 시공하여 주열식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이웃한 말뚝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말뚝 사이로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말뚝 상호간 전단저항을 통해 배면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열식 벽체가 굴착 공사중에 설치하는 가시설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주열식 벽체 자체가 본 벽체로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본 벽체를 설치하지 않거나 또는 최소화함으로써, 경제적인 벽체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말뚝 겹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오목형 말뚝을 이용한 수밀형 주열식 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반에 말뚝공(11)을 천공하되, 말뚝공(11) 사이에 중간공이 천공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중간공(21)의 테두리가 말뚝공(11)의 테두리와 서로 겹치게 하는 간격을 가지도록 말뚝공(11)을 천공하는 단계; 양 측면에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잘록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상기 오목부(12)가 이웃하는 말뚝을 향하는 위치로 상기 천공된 말뚝공(11) 각각에 설치하는 단계; 중간공(21)의 구멍 테두리가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에 위치하게 되도록 상기 말뚝공(11) 사이에 중간공(21)을 천공하는 단계; 및 중간말뚝(20) 측면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에 위치하여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한 측면과 그 측면이 일체화도록 상기 중간공(21)에 중간말뚝(2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말 뚝(20)의 측면과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측면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말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벽체의 시공방법과, 이러한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주열식 벽체가 제공된다.
말뚝, 주열식, 벽체, 엄지말뚝, 수밀, 굴착
Description
본 발명은 말뚝 겹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오목형 말뚝을 이용한 수밀형 주열식 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말뚝을 이웃하게 배치하여 시공하여 주열식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이웃한 말뚝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말뚝 사이로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말뚝 상호간 전단저항을 통해 배면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열식 벽체가 굴착 공사중에 설치하는 가시설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주열식 벽체 자체가 본 벽체로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본 벽체를 설치하지 않거나 또는 최소화함으로써, 경제적인 벽체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말뚝 겹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오목형 말뚝을 이용한 수밀형 주열식 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8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주열식 벽체(103)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주열식 벽체(103)는, 구조물의 지하 벽체 시공 위치 측면에서 지반에 구멍을 이웃하게 천공한 후, 천공된 구멍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말뚝(102)을 이웃하게 배치하거나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말뚝(102)을 상기 이웃한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주열식 벽체(103)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부재번호 101은 상기 말뚝(102) 내에 사용된 엄지말뚝(101)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주열식 벽체(103)는 배면 토사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일종의 보조 구조물로서, 주열식 벽체(103)를 시공한 후에는 배면 토사의 반대쪽 측면에 영구히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본 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주열식 벽체(103)에서는 말뚝(102)이 그 외주면을 서로 접하는 상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그 접하고 있는 외주면으로 누수 등이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의 주열식 벽체(103)의 경우, 말뚝(102) 사이의 누수 문제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는 완전한 흙막이 벽체가 되지 못하고, 추가적인 본 벽체의 시공이 필수적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이 주열식 벽체(103)와 본 벽체를 시공하는 것은 결국 시공비의 증가와 공기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어 경제적인 시공을 어렵게 만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것처럼 종래의 주열식 벽체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주열식 벽체의 말뚝 사이를 수밀한 구조로 만들므로써, 주열식 벽체 자체로서도 본 벽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별도의 본 벽체를 시공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고 단기간 내에 공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말뚝공과 중간공이, 각각의 테두리가 서로 중첩되도록 번갈아가면 연속적으로 천공되어 있고; 상기 말뚝공에는, 양 측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잘록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측면 오목형 말뚝이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말뚝 측면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의 오목부에 위치하도록 중간말뚝이 상기 중간공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과 중간말뚝은 그 측면이 서로 일체화되어 연속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주열식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지반에 말뚝공을 천공하되, 말뚝공 사이에 중간공이 천공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중간공의 테두리가 말뚝공의 테두리와 서로 겹치게 하는 간격을 가지도록 말뚝공을 천공하는 단계; 양 측면에 오목부가 형 성되어 있어 잘록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측면 오목형 말뚝을, 상기 오목부가 이웃하는 말뚝을 향하는 위치로 상기 천공된 말뚝공 각각에 설치하는 단계; 중간공의 구멍 테두리가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의 오목부에 위치하게 되도록 상기 말뚝공 사이에 중간공을 천공하는 단계; 및 중간말뚝 측면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의 오목부에 위치하여 측면 오목형 말뚝의 오목한 측면과 그 측면이 일체화도록 상기 중간공에 중간말뚝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말뚝의 측면과 측면 오목형 말뚝의 측면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말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열식 벽체의 시공방법에서, 상기 중간말뚝을 설치하는 단계는, 중간공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열식 벽체의 시공방법에서, 상기 중간말뚝을 설치하는 단계는 중간공에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중간말뚝을 삽입 설치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말뚝을 삽입 설치하기 전에 상기 중간공에 채움재를 주입해두어, 중간말뚝을 중간공에 삽입 설치하였을 때 상기 중간말뚝의 측면과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의 오목부 표면 사이의 틈에 채움재가 채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열식 벽체의 시공방법에서, 상기 말뚝공에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을 설치하기 전에, 상기 말뚝공에 채움재를 주입해두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말뚝공에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을 삽입 설치하였을 때 상기 말뚝공과 그에 삽입되어 있는 측면 오목형 말뚝 사이의 틈에 채움재가 채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측면 오목형 말뚝에 의하면, 말뚝의 측면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주열식 벽체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본 발명의 주열식 벽체에 의하면 말뚝의 측면이 서로 맞물려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말뚝 사이가 수밀한 구조를 이룸과 동시에 말뚝이 변형되는 것을 상호 구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열식 벽체 자체만으로도 배면토사로부터 스며드는 물을 완전하게 차수할 수 있어 주열식 벽체가 우수한 수밀성 또는 차수성을 가지게 된다.
이웃한 말뚝끼리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말뚝 상호간 전단저항을 통해 배면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강성도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주열식 벽체가 굴착 공사중에 설치하는 가시설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본 벽체로서도 기능을 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주열식 벽체를 임시적인 가시설 벽체로 사용하였고, 따라서 종래의 기술의 경우 가시설 벽체의 한계로 인해 벽체의 강성을 키우는 데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주열식 벽체의 크기를 필요한 만큼 크게 만들게 되면 별도의 본 벽체를 시공할 필요 없이, 주열식 벽체만으로도 완전한 흙막이 벽체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벽체의 시공이 필요 없게 되므로, 그 만큼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시공비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주열식 벽체를 본 벽체로 사용하게 되므로 주열식 벽체의 단면을 키우거나 H형강 등의 강재로 삽입하여 벽체의 강성을 키울 경우, 굴착 단계에서 버팀대의 수직 간격을 늘릴 수 있어 가시설 공사비의 절감과 공기 단축의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열식 벽체의 시공방법과 그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서 주열식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지반에 말뚝 시공을 위한 구멍 즉, 말뚝공(11)이 간격을 두고 천공되어 있는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상기 말뚝공(11)에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각각 삽입,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우선 지반에 말뚝공(11)을 천공하되 말뚝공(11) 사이에 추가 말뚝공(중간공)이 천공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천공된다. 이 때, 말뚝공(11) 사이는 후술하는 것처럼, 말뚝공(11)의 테두리와 중간공(21)의 테두리가 서로 겹치게 하는 간격을 가진다. 물론 후술하는 중간공(21)을 상기 말뚝공(11)의 천공시에 연속적으로 천공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것처럼 오목형 말뚝(10)을 사용하므로, 위와 같이 중간공(21)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남겨두고 말뚝공(11)을 천공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간격을 두고 천공된 말뚝공(11)에는 각각 말뚝을 삽입시키게 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에 오목부(12)가 형성된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설치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측면 오목형 말뚝(10)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며, 양측면에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잘록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오목부(12)가 이웃하는 말뚝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말뚝공(11)에 삽입, 설치된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단계에 후속하여 말뚝공(11) 사이에 중간공(21)을 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말뚝공(11)에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삽입한 후에는 말뚝공(11) 사이를 천공하여 중간공(21)을 형성한다. 이 때, 말뚝공(11)에 삽입된 말뚝은 측면에 오목부(12)가 형성된 측면 오목형 말뚝(10)이므로, 상기 말뚝공(11) 사이에 천공되는 중간공(21)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말뚝공(11)과 중첩되는 형태로 천공될 수 있다. 즉, 중간공(21)의 측면 테두리가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에 위치하게 되도록 중간공(21)이 천공되는 것이다.
도 5에는 도 4의 상태에 후속하여 상기 중간공(21)에 중간말뚝(20)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말뚝공(11)과 중첩되도록 중간공(21)을 천공한 후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중간공(21)에 중간말뚝(20)을 설치하게 된다. 도 5에는 상기 중간말뚝(20)이 현장 타설 말뚝으로 시공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중간공(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한 측면으로 상기 중간말뚝(20)이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 부(12)와 일체화되어 시공된다. 즉, 이웃하는 중간말뚝(20) 측면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오목부(12)에 위치하게 되어 말뚝이 서로 겹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간말뚝(20)의 측면과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측면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말뚝이 형성됨으로써 수밀성이 우수한 주열식 벽체(1)가 형성된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중간말뚝(20)을 시공할 때, 상기 말뚝공(11)과 그에 삽입되어 있는 측면 오목형 말뚝(10) 사이의 틈에도 무수축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13)를 주입할 수도 있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상기 말뚝공(11)과 측면 오목형 말뚝(10) 사이의 틈에 채움재(13)가 채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이와 같이 측면 오목형 말뚝(10) 사이에 원이 겹치게 되도록 중간말뚝(20)을 시공하여 말뚝이 연속 형성된 주열식 벽체(1)가 형성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주열식 벽체(1)에 의하면 말뚝(10, 20)의 측면이 서로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말뚝 사이가 수밀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주열식 벽체(1) 자체만으로도 배면토사로부터의 스며드는 물을 완전하게 차수할 수 있게 되며, 주열식 벽체(1)의 크기를 필요한 만큼 크게 만들게 되면 별도의 본벽체를 시공할 필요 없이, 주열식 벽체(1)만으로도 완전한 흙막이 벽체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벽체의 시공이 필요 없게 되므로, 그 만큼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시공비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한 경우 주열식 벽체(1)의 사용 측면 즉, 굴착측면으로는 주열식 벽체(1)의 전방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마무리면(2)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무리면(2)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생략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주열식 벽체(1)를 시공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상태 즉, 말뚝공(11)에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삽입한 상태에서, 후속하여 중간공(21)을 천공하기에 앞서, 상기 말뚝공(11)과 그에 삽입되어 있는 측면 오목형 말뚝(10) 사이의 작은 틈에 무수축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13)를 채워둘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4 및 도 5에 대응되는 평면도인데, 도 8은 말뚝공(11)에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삽입하고 그 틈에 채움재(13)를 채워둔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9는 후속하여 중간공(21)을 천공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말뚝공(11)을 천공하고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말뚝공(11)에 삽입, 설치한 후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말뚝공(11)과 측면 오목형 말뚝(10) 사이의 틈에 미리 무수축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13)를 채워둔다. 채움재(13)를 채우는 방법으로는 말뚝공(11)에 미리 채움재(13)를 적당량 채워놓은 상태에서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말뚝공(11)에 삽입함으로써 측면 오목형 말뚝(10)에 의해 채움재(13)가 밀려서 말뚝공(11) 사이의 틈에 채워지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말뚝공(11)에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설치한 후에,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틈으로 채움재(13)를 주입함으로써 채울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틈에 채움재(13)가 채워진 상태로 말뚝공(11)에 측면 오목형 말뚝(10)이 설치된 상태에 후속하여,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공(21)을 천공한 후에는 앞서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중간공(21)에 중간말뚝(20)을 측면 오목형 말뚝(10)과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주열식 벽체(1)를 시공하게 된다. 기타 내용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제작되는 현장 말뚝에 의해 중간말뚝(20)이 제작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중간말뚝(20)은 프리캐스트 말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5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중간공(21) 천공 단계에 후속하여 중간공(21)에 프리캐스트 말뚝으로 이루어진 중간말뚝(20)을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말뚝공(11)을 천공하고(도 1), 상기 말뚝공(11)에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삽입 설치하고(도 2), 말뚝공(11) 사이에 중간공(21)을 천공한 후에(도 4),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중간공(21)에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중간말뚝(20)을 삽입 설치하는 것이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중간말뚝과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된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중간말뚝(20) 역시 상기 중간말뚝(20)의 측면이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에 위치하도록 즉, 원이 서로 겹치는 형태가 되도록 중간공(21)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중간말뚝(20)의 측면이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 내에서 면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시공시 틈이 생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말뚝공(11)과 그에 삽입되어 있는 측면 오목형 말뚝(10) 사이의 틈 에 무수축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가 채워지도록 할 때, 중간말뚝(20)의 측면과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 면 사이의 틈, 그리고 더 나아가 중간말뚝(20)과 중간공(21) 사이의 틈에도 채움재(13)가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중간말뚝(20)의 측면과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 면 사이의 틈, 그리고 중간말뚝(20)과 중간공(21) 사이의 틈에 채움재(13)가 채워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말뚝을 중간말뚝(20)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도 8 및 9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중간공(21)을 천공하기에 앞서 상기 말뚝공(11)과 그에 삽입되어 있는 측면 오목형 말뚝(10) 사이의 틈에 미리 무수축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13)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도 12에는, 도 8에 도시된 상태 즉, 말뚝공(11)과 그에 삽입되어 있는 측면 오목형 말뚝(10) 사이의 틈에도 무수축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13)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 후속하여,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공(21)을 천공하고, 후속하여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중간말뚝(20)을 상기 중간공(21)에 삽입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후속하여 중간말뚝(20)과 중간공(21) 사이의 틈, 그리고 중간말뚝(20)과 이웃하는 측면 오목형 말뚝(10) 사이의 틈에 채움재(13)가 채워져 있는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말뚝(20) 주위의 틈에 채움재(13)가 채워지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틈에 채움재(13)를 주입하는 방법도 있지만,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중간말뚝(20)을 삽입하기 전에 미리 중간공(21)에 적당량의 채움재(13)를 미리 채워놓은 상태에서 중간말뚝(20)을 삽입하여 채움재(13)가 틈에 채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말뚝공(11)을 천공하고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말뚝공(11)에 삽입 설치하고(도 1 및 도 2), 상기 말뚝공(11)과 측면 오목형 말뚝(10) 사이의 틈에 미리 무수축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13)를 채워둔 다음(도 8), 후속하여 중간공(21)을 천공하여(도 9), 프리캐스트 중간말뚝(20)을 상기 중간공(21)에 삽입 설치한다(도 12). 후속하여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말뚝(20)의 측면과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 면 사이의 틈, 그리고 중간말뚝(20)과 중간공(21) 사이의 틈에 채움재(13)를 주입하여 채움으로써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주열식 벽체(1)를 시공하게 된다. 기타 내용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설명하면서 오목부(12)가 곡선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오목부(12)는 곡선 이외에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는 각각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4a에 도시된 것처럼, 오목부(12)가 각을 가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14b에 도시된 것처럼 함몰 키(121)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5에는 도 10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14b와 같이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에 함몰 키(121)가 형성된 경우,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중간말뚝(20)에도 함몰 키(22)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 럼, 오목부(12) 및/또는 중간말뚝(20)에 함몰 키(22)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함몰 키(22)에도 채움재(13)가 채워져서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열식 벽체는 지하 구조물의 시공과정에서 배면토사를 지지하게 되는데, 이 때, 주열식 벽체의 전면 즉, 지반 굴착부분으로 노출되는 주열식 벽체의 전면에는 띠장, 버팀보 등의 수평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띠장이나 버팀보 등의 수평지지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이나 중간말뚝(20)에는 철물 연결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6에는 철물 연결부재의 일예로서 너트(23)와 강재연결판(24)이 측면 오목형 말뚝(10)에 각각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노출되는 전면에 너트(23) 또는 강재연결판(24) 등의 철물 연결부재를 미리 설치해두면, 나중에 주열식 벽체의 전면을 노출시켰을 때, 상기 너트에 띠장이나 버팀보 등을 나사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판에 띠장이나 버팀보 등의 수평지지부재를 용접 연결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이러한 너트(23) 또는 강재연결판(24)의 철물 연결부재는 측면 오목형 말뚝(10) 뿐만 아니라 중간말뚝(20)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측면 오목형 말뚝(10) 및 중간말뚝(20)을 제작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말뚝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할 수도 있지만, 말뚝의 강성을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말뚝의 내부에 엄지말뚝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은 도 6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중간말뚝(20)의 내부에 H형강으로 이루어진 엄지말뚝이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엄지말뚝은 H형강 이외에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같은 강재 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주열식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지반에 말뚝 시공을 위한 말뚝공이 간격을 두고 천공되어 있는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말뚝공에 측면 오목형 말뚝을 각각 삽입,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오목형 말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계에 후속하여 말뚝공 사이에 중간공을 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에 후속하여 중간공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중간말뚝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상기 말뚝공과 측면 오목형 말뚝 사이의 틈에 채움재가 채워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말뚝이 연속 형성되고 마무리면이 전면에 형성된 주열식 벽체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3에 대응되는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말뚝공에 측면 오목형 말뚝을 삽입하고 그 틈에 채움재가 채워진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후속하여 중간공을 천공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중간공 천공 단계에 후속하여 중간공에 프리캐스트 말뚝으로 이루어진 중간말뚝을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 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중간말뚝의 측면과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의 오목부 면 사이의 틈, 그리고 중간말뚝과 중간공 사이의 틈에 채움재가 채워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상태에 후속하여 중간공을 천공하고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중간말뚝을 상기 중간공에 삽입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중간말뚝과 중간공 사이의 틈, 그리고 중간말뚝과 이웃하는 측면 오목형 말뚝 사이의 틈에 채움재를가 채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측면 오목형 말뚝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측면 오목형 말뚝의 오목부에 함몰 키가 형성된 경우,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중간말뚝에도 함몰 키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중간말뚝에 철물 연결부재로서 너트와 강재연결판이 각각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6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중간말뚝의 내부에 H형강으로 이루어진 엄지말뚝이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일반적인 주열식 벽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열식 벽체
10 : 측면 오목형 말뚝
11 : 말뚝공
12 : 오목부
20 : 중간말뚝
21 : 중간공
Claims (5)
- 말뚝공(11)과 중간공(21)이, 각각의 테두리가 서로 중첩되도록 번갈아가면 연속적으로 천공되어 있고;상기 말뚝공(11)에는, 양 측면에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잘록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측면 오목형 말뚝(10)이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중간말뚝(20) 측면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에 위치하도록 중간말뚝(20)이 상기 중간공(21)에 설치되어 있어;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과 중간말뚝(20)은 그 측면이 서로 일체화되어 연속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벽체.
- 지반에 말뚝공(11)을 천공하되, 말뚝공(11) 사이에 중간공이 천공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중간공(21)의 테두리가 말뚝공(11)의 테두리와 서로 겹치게 하는 간격을 가지도록 말뚝공(11)을 천공하는 단계;양 측면에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잘록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상기 오목부(12)가 이웃하는 말뚝을 향하는 위치로 상기 천공된 말뚝공(11) 각각에 설치하는 단계;중간공(21)의 구멍 테두리가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에 위 치하게 되도록 상기 말뚝공(11) 사이에 중간공(21)을 천공하는 단계; 및중간말뚝(20) 측면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에 위치하여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한 측면과 그 측면이 일체화도록 상기 중간공(21)에 중간말뚝(2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말뚝(20)의 측면과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측면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말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벽체의 시공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중간말뚝(20)을 설치하는 단계는, 중간공(21)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시공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벽체의 시공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중간말뚝(20)을 설치하는 단계는 중간공(21)에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중간말뚝(20)을 삽입 설치함으로 이루어지는데,중간말뚝(20)을 삽입 설치하기 전에 상기 중간공(21)에 채움재(13)를 주입해두어, 중간말뚝(20)을 중간공(21)에 삽입 설치하였을 때 상기 중간말뚝(20)의 측면과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의 오목부(12) 면 사이의 틈에 채움재(13)가 채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벽체의 시공방법.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말뚝공(11)에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설치하기 전에, 상기 말뚝공(11)에 채움재(13)를 주입해두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말뚝공(11)에 상기 측면 오목형 말뚝(10)을 삽입 설치하였을 때 상기 말뚝공(11)과 그에 삽입되어 있는 측면 오목형 말뚝(10) 사이의 틈에 채움재(13)가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주열식 벽체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1013A KR20100052123A (ko) | 2008-11-10 | 2008-11-10 | 말뚝 겹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오목형 말뚝을 이용한 수밀형 주열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1013A KR20100052123A (ko) | 2008-11-10 | 2008-11-10 | 말뚝 겹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오목형 말뚝을 이용한 수밀형 주열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2123A true KR20100052123A (ko) | 2010-05-19 |
Family
ID=4227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1013A KR20100052123A (ko) | 2008-11-10 | 2008-11-10 | 말뚝 겹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오목형 말뚝을 이용한 수밀형 주열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52123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6357A (ko) * | 2015-03-02 | 2016-09-12 | 이상현 | 벽체형성을 위한 강재띠 phc 말뚝,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2192445B1 (ko) | 2019-08-29 | 2020-12-28 | 박이근 | 건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차수 주열식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CN112323726A (zh) * | 2020-10-29 | 2021-02-05 | 兰州理工大学 | 湿陷性黄土高填方区的人工湖围护结构及施工方法 |
KR102283588B1 (ko) | 2020-12-18 | 2021-07-30 | 김기남 | 절곡연결부를 구비한 차수파일 및 그 시공방법 |
KR102317138B1 (ko) | 2020-08-28 | 2021-10-25 | 주식회사 와이앤피기술 | 지중벽용 겹침형 주열식 콘크리트 말뚝의 시공방법 |
KR20220110946A (ko) | 2021-02-01 | 2022-08-09 | (주)현진기초개발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
-
2008
- 2008-11-10 KR KR1020080111013A patent/KR2010005212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6357A (ko) * | 2015-03-02 | 2016-09-12 | 이상현 | 벽체형성을 위한 강재띠 phc 말뚝,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2192445B1 (ko) | 2019-08-29 | 2020-12-28 | 박이근 | 건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차수 주열식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KR102317138B1 (ko) | 2020-08-28 | 2021-10-25 | 주식회사 와이앤피기술 | 지중벽용 겹침형 주열식 콘크리트 말뚝의 시공방법 |
CN112323726A (zh) * | 2020-10-29 | 2021-02-05 | 兰州理工大学 | 湿陷性黄土高填方区的人工湖围护结构及施工方法 |
KR102283588B1 (ko) | 2020-12-18 | 2021-07-30 | 김기남 | 절곡연결부를 구비한 차수파일 및 그 시공방법 |
KR20220110946A (ko) | 2021-02-01 | 2022-08-09 | (주)현진기초개발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52123A (ko) | 말뚝 겹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오목형 말뚝을 이용한 수밀형 주열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
JP6186267B2 (ja) | 地下トンネルの構築方法 | |
KR20100107937A (ko) |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 |
KR101065017B1 (ko) | 아치형 강판파일과 h-파일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 |
JP2009235809A (ja) | 基礎杭を有する地下構造物の解体撤去工法 | |
JP4881555B2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KR101296857B1 (ko) |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4486136B2 (ja) | ケーソンの接続方法 | |
JP3829319B2 (ja) | 地下中空構造物の施工方法とその地下中空構造物 | |
JP6225458B2 (ja) | 山留め壁及びその構築方法 | |
KR20120126573A (ko) | 소일 시멘트벽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20080025219A (ko) |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 |
KR20080076015A (ko) | 엄지말뚝을 구비한 확대단면 말뚝유닛을 이용한 주열식흙막이 벽체 | |
KR100592102B1 (ko) | 건축물 기초흙막이 토류벽 보강구조 | |
KR200369479Y1 (ko) | 흙막이용 패널 | |
JP4243069B2 (ja) | 土留め壁の構築方法 | |
KR101025399B1 (ko) | 선 되메우기를 이용한 무지보 지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2086207B1 (ko) | Phc 파일 및 키블럭을 이용한 자립식 영구옹벽 시공방법 | |
JP4274898B2 (ja) | 地下水流動保全工法 | |
JP4146250B2 (ja) | オープンケーソンの底盤築造方法 | |
KR101327172B1 (ko) | 차수와 흙막이장치를 이용한 차수와 흙막이공법 | |
JP3227020U (ja) | 堤防補強装置 | |
KR102312126B1 (ko) | 합벽식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93329B1 (ko) | 차수와 흙막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수와 흙막이공법 | |
JP3045907B2 (ja) | 連続壁支持杭の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