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670A -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670A
KR20100051670A KR1020107003865A KR20107003865A KR20100051670A KR 20100051670 A KR20100051670 A KR 20100051670A KR 1020107003865 A KR1020107003865 A KR 1020107003865A KR 20107003865 A KR20107003865 A KR 20107003865A KR 20100051670 A KR20100051670 A KR 20100051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wall
wall portion
cooling fan
air flow
flow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437B1 (ko
Inventor
미츠오 야베
히로키 시노다
마사히로 이케다
토모야 와타나베
아츠시 카와노
세이이치 후치타
야스히로 쿠스야마
테루유키 마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51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6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 F04D29/161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164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of an axial flow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Abstract

냉각 장치는 냉각팬(21)과, 냉각팬(21)의 외주측에 설치된 슈라우드와, 슈라우드에 설치되어 냉각팬(21)의 외주부에 상기 냉각팬을 둘러싸도록 근접해서 배치된 내주벽부(52)와, 내주벽부(52)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이 내주벽부(52)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외주벽부(53)를 구비하고, 냉각팬(21)은 내주벽부(52)의 지름 방향 내측의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벽부(53)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은 냉각팬(21)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상류측에 있다.

Description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COOLING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OR WORK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 특히 냉각팬과 그것을 둘러싸는 슈라우드를 갖는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설 기계에 탑재되는 엔진의 냉각 시스템은 주로 라디에이터 및 냉각팬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디에이터는 엔진과의 사이에서 냉각 매체를 순환시켜서 냉각 매체를 외기에 의해 냉각한다. 냉각팬은 라디에이터 둘레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해서 라디에이터의 열교환을 보조한다. 또한, 라디에이터와 냉각팬 사이에는 양자를 둘러싸고 라디에이터로부터 냉각팬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슈라우드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최근에는 엔진의 총 열량의 증대에 따라 라디에이터의 수온이 상승하는 것이 큰 문제가 되어 있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높게 함으로써 냉각팬에 의한 공기의 유량(즉, 라디에이터의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많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높이면 소음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엔진의 냉각 시스템의 냉각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하여도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높이는 일없이, 냉각팬에 의한 공기의 유량을 많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슈라우드의 형상이나 위치가 여러 가지로 고안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냉각팬으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역류(엔진측의 공기가 회전 팬을 통해서 라디에이터측으로 되돌아오는 것)를 방지하기 위해서, 슈라우드의 선단에 2개의 통형상부를 형성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
일본 특허공개 평9-118141호 공보[평성9(1997)년 5월 6일 공개] 일본 특허공개 2006-132380호 공보[평성18(2006)년 5월 25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엔진의 냉각 시스템의 구성에서는 냉각팬이 슈라우드 내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충분히 많아지지 않는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엔진의 냉각 시스템의 구성에서는 냉각팬 전체가 슈라우드 외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슈라우드의 원통부가 냉각팬에 의한 공기의 유량에 영향을 주는 일이 적다. 따라서, 냉각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충분히 많아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높이는 일없이, 냉각팬으로부터의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많게 할 수 있는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의 외주측에 설치된 슈라우드와, 상기 슈라우드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팬의 외주부에 상기 냉각팬을 둘러싸도록 근접해서 배치된 내주벽부와, 상기 내주벽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이 상기 내주벽부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외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내주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주벽부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은 상기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상류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는 냉각팬의 회전축 둘레에 복수의 부재를 배치해서 형성해도 좋지만,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냉각팬의 회전축 둘레에 연속하는 링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냉각 장치에서는 냉각팬이 회전해서 공기가 흐르면 링부의 내주벽부와 외주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부압이 발생해서 공기가 흡입되거나,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거나 함으로써 냉각팬으로부터의 공기의 유량이 증대한다. 따라서, 냉각팬의 회전속도가 종래와 같아도 냉각 능력이 향상되고, 또는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낮춰도 종래와 같은 냉각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슈라우드 및 상기 외주벽부에 의해 덮인 부분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와, 상기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 최대 길이의 비를 외측 피복률이라고 하면, 상기 외측 피복률이 55%∼9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80%이다.
이 냉각 장치에서는 외측 피복률이 55%∼9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팬에 의한 공기의 유량이 충분히 많다. 따라서, 냉각팬의 회전속도가 종래와 같아도 냉각 능력이 향상되고, 또는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낮춰도 종래와 같은 냉각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소음 저감의 관점으로부터는 외측 피복률을 70%∼95%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풍량 증가에 의한 냉각 능력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70%∼8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슈라우드 및 상기 내주벽부에 의해 덮인 부분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와, 상기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 최대 길이의 비를 내측 피복률이라고 하면 상기 내측 피복률이 45%∼8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냉각 장치에서는 내측 피복률이 45%∼8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팬에 의한 공기의 유량이 충분히 많다. 따라서, 냉각팬의 회전속도가 종래와 같아도 냉각 능력이 향상되고, 또는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낮춰도 종래와 같은 냉각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슈라우드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여기에서, 슈라우드와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일체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슈라우드 및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지제로 하고, 사출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이 냉각 장치에서는 슈라우드 및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체 형성됨으로써 냉각 장치의 부품수의 경감을 꾀할 수 있어, 냉각 장치 조립 작업의 경감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슈라우드와는 다른 부재로 형성해도 좋다.
이 냉각 장치에서는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슈라우드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슈라우드나 냉각팬의 구조에 맞춰서 적절한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 내주벽부와 외주벽부를 연결하는 환상 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냉각 장치에서는 내주벽부와 외주벽부와 저부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공기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냉각 장치에서는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는 확경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냉각 장치에서는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확경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냉각팬에 의한 공기의 유량은 충분히 많아진다.
본 발명의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는 상술한 본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냉각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에서는 상술한 냉각 효율이 향상된 냉각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냉각팬에 의한 소음을 저감한 정숙성이 높은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각 장치에 의하면,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높이는 일없이 냉각팬으로부터의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많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냉각팬의 슈라우드 구조를 탑재한 유압 셔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후방에 탑재된 엔진 룸 및 카운터웨이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엔진 룸의 상면에 부착된 엔진 후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엔진 후드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냉각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엔진과 냉각 유닛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링부와 냉각팬 외주 가장자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링부에 의한 풍량 증대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내측 피복률과 풍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와, 풍량 및 소음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외측 피복률과 풍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외측 피복률과 소음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a는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 및 외주벽부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의 위치 관계와, 부압 발생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b는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 및 외주벽부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의 위치 관계와, 부압 발생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냉각팬의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링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링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링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링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링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링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분출형의 냉각 유닛에 본 발명을 채용했을 경우의 엔진과 냉각 유닛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로 되는 냉각 유닛(20)을 탑재한 유압 셔블(건설 기계)(1)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제 1 실시형태]
[유압 셔블(1) 전체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와, 선회대(3)과, 작업기(4)와, 카운터웨이트(5)와, 엔진 룸(6)과, 기기실(9)과, 캡(10)과, 냉각 유닛(20)(도 3 등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2)는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 부분에 감아걸린 크롤러(P)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압 셔블(1)을 전진, 후진시킴과 아울러 상면측에 선회대(3)를 선회 가능한 상태로 탑재하고 있다.
선회대(3)는 하부 주행체(2) 상에 있어서 임의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고, 상면에 작업기(4)와, 카운터웨이트(5)와, 엔진 룸(6)과, 캡(10)을 탑재하고 있다.
작업기(4)는 붐(11)과, 붐(11)의 선단에 부착된 암(12)과, 암(12)의 선단에 부착된 버킷(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기(4)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회로에 포함되는 각 유압 실린더(11a,12a,13a) 등에 의해 붐(11)이나 암(12), 버킷(13) 등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토사나 모래와 자갈 등의 굴착을 행하는 토목 공사의 현장에 있어서 작업을 행한다.
카운터웨이트(5)는, 예를 들면 강판을 조립해서 형성한 상자 안에 설철(屑鐵)이나 콘크리트 등을 넣어서 굳힌 것이고, 채굴시 등에 있어서 차체의 균형을 잡기 위해서 선회대(3) 상에 있어서의 엔진 룸(6)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엔진 룸(6)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5)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손잡이(14a)를 지니고서 개폐 가능한 엔진 후드(14)에 의해 덮인 점검용의 상부 개구를 갖고 있다. 그리고, 엔진 룸(6)은 하부 주행체(2)나 작업기(4)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인 엔진(6a) 및 쿨링 코어(30) 등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20)(도 3 참조)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기기실(9)은 작업기(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 및 조작 밸브 등을 수용한다.
캡(10)은 유압 셔블(1)의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운전실이고, 작업기(4)의 선단부를 조망할 수 있도록 선회대(3) 상에 있어서의 작업기(4)의 측방이 되는 좌측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유닛(2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6) 내에 있어서의 엔진(6a)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엔진(6a)에 흐르는 냉각수나 작동유 등을 냉각한다. 또한, 이 냉각 유닛(2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상술한다.
[냉각 유닛(20)]
냉각 유닛(2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팬(21)과, 쿨링 코어(30)를 갖고 있다. 또한, 냉각 유닛(20)은 후술하는 슈라우드(40)(도 6 등 참조)를 갖고 있고, 소음을 저감하면서 쿨링 코어(30)에 대하여 대량의 공기를 보내면서 효율적으로 냉각을 행한다.
냉각팬(21)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6a)에 직결되어 있고, 엔진(6a)에 의해 직접적으로 블레이드 부재(21a)(도 6 등 참조)가 회전 구동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팬(21)을 구동하면 도 4, 도 7 및 도 8의 화살표(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팬(21)에 대하여 흡인하는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즉, 냉각팬(21)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 중에 있어서는 쿨링 코어(30)의 하류측에 냉각팬(21)이 배치된다. 또한, 냉각팬(21)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더 상술한다. 또한, 이하 도 4, 도 7 및 도 8의 화살표(F) 방향을 공기 흐름방향으로 하고, 도면 좌측을 상류측으로 하며, 도면 우측을 하류측으로 한다.
쿨링 코어(30)는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 매체를 냉각하는 유닛이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31), 오일쿨러(32), 애프터쿨러(33)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라디에이터(31)는 엔진(6a)에 흐르는 냉각수와, 냉각팬(21)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사이에 있어서 열교환을 행하게 함으로써 냉각수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오일쿨러(32)는 작동유 탱크로부터 유압회로로 공급되어서 온도가 상승한 오일과, 냉각팬(21)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사이에 있어서 열교환을 행하게 함으로써 각 유압 실린더(11a,12a,13a) 등으로 보내지는 오일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애프터쿨러(33)는 엔진(6a)의 터보차저(도시 생략)가 에어 클리너(35)로부터 흡입해서 배출한 공기와, 냉각팬(21)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사이에 있어서 열교환을 행하게 하고, 온도가 상승한 공기를 냉각한 후에 엔진(6a)의 흡기 매니폴드(도시 생략)로 보낸다.
(냉각팬(21))
냉각팬(21)은 엔진(6a)을 구동원으로 하는 회전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21a)를 갖는 축류팬이다. 블레이드 부재(21a)의 매수는 냉각팬(21)의 송풍량,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6매∼11매 정도로 되어 있다.
블레이드 부재(21a)는 엔진(6a)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21a)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회전축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확산되는 공기의 흐름이 생성된다.
슈라우드(40)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팬(21)의 블레이드 부재(21a)의 외주 부분을 덮도록 부착되어 있고, 케이스부(41)를 갖고 있다. 케이스부(41)는 블레이드 부재(21a)의 외주 부분을 따라 형성된 원형의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상의 부재이다.
케이스부(41)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링부(51)가 고정되어 있다. 링부(51)는 냉각팬(21)에 의한 공기의 유량을 많게 하기 위한 부재이고, 판금 또는 수지제이다.
링부(5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벽부(52)와, 외주벽부(53)와 저부(54)를 갖고 있다.
내주벽부(52)는 케이스부(41)의 개구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고, 냉각팬(21)[의 블레이드 부재(21a)]의 외주 가장자리에 근접하고 있다. 내주벽부(52)의 지름은 냉각팬(21)의 외경보다 크고, 양자 사이의 간극(G)은 예를 들면 15㎜이다.
외주벽부(53)는 내주벽부(52)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내주벽부(5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양자 사이에는 환상의 공간(55)이 확보되어 있다. 내주벽부(52)와 외주벽부(53)는 동심으로 배치된 원통상 부재이고, 각각이 공기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주벽부(52) 및 외주벽부(53)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내주벽부(52)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h1)는 외주벽부(53)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h2)보다 작다. 환언하면, 외주벽부(53)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은 내주벽부(52)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저부(54)는 환상의 평탄한 부재이고, 외주벽부(53)와 내주벽부(52)를 연결하고 있다.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이, 링부(51)는 단독의 부재이고, 케이스부(41)에 장착할 수 있다. 링부(51)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고정부는 원주 방향 복수 개소에 있어서 저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기이어도 된다. 링부(51)를 케이스부(41)에 고정하는 수단은 용접이나 접착 기타 고정 부재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주벽부(52)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h1)는 20㎜, 외주벽부(53)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h2)는 30㎜, 저부(54)의 폭(W)은 30㎜이다. 단, 본 발명은 이들의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냉각팬(21)과 링부(51)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팬(21)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링부(51)의 내주벽부(52)보다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한정하면, 냉각팬(21)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은 내주벽부(52)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냉각팬(21)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를 h3이라고 하고, 냉각팬(21)에 있어서 내주벽부(52)의 선단으로부터 공기 흐름방향 상류측 부분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를 h4라고 한다.
그리고, (h4/h3)의 백분율을 「내측 피복률(%)」이라고 정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내측 피복률은 62.5%이다.
[냉각 동작]
냉각팬(21)이 엔진(6a)에 의해 구동되면 쿨링 코어(30)측의 공기가 냉각팬(21)에 흡입되어 간다.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쿨링 코어(30)의 라디에이터(31) 등이 냉각된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55) 내의 위치(P1)(도 9에 있어서의 관측점)를 냉각팬(21)의 블레이드 부재(21a)가 통과할 때에는 블레이드 부재(21a)로부터의 공기 흐름이 P1에 있는 공기를 배출시켜, P1에 부압을 발생시킨다. 다음에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55) 내의 일정 위치(P1)(도 9의 관측점)가 냉각팬(21)의 블레이드 부재(21a)들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P1)에서 발생하고 있는 부압에 의해 소용돌이의 발생을 억제함과 아울러 공기를 흡입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냉각팬(21)에 의한 공기의 유량은 종래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많아진다.
이 결과, 쿨링 코어(30)에 대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늘려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공간(55)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카르만 소용돌이의 발생이나 성장이 억제되기 때문에, 소음의 레벨도 종래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감소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팬(21)의 회전속도를 종래보다 높여도 소음은 허용되는 범위가 충분히 넓다고 생각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팬(21)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이 링부(51)의 내주벽부(52)보다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현상에 있어서의 공기의 유량 증대에 공헌한다. 이것은 상술한 구조에 의해 블레이드 부재(21a)의 통과시에 공간(55)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효과가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피복률과 풍량의 관계]
우선, 동일 회전수의 냉각팬(21)에 있어서, 내주벽부(52)의 내측 피복률을 변화시켜서 냉각팬(21)에 의한 공기 유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내측 피복률 100%에서는 풍량이 적었다. 내측 피복률을 낮춰 가면, 풍량은 서서히 많아져 갔다. 내측 피복률이 60%∼70% 정도에서 피크가 되고, 또한 내측 피복률을 낮춰 가면 풍량은 적어져 가 45% 미만, 85%를 초과하는 내측 피복률에서는 내측 피복률 100%인 경우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게 되었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그래프의 세로축 눈금의 레인지는 10㎥/min이다.
이상으로부터 내측 피복률이 45%∼85%의 범위에서 충분한 풍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내주벽부(52)와 외주벽부(53)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h1,h2)를 0㎜ 차, 5㎜ 차, 10㎜ 차, 15㎜ 차로 변화시키고, 풍량과 소음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내주벽부(52)와 외주벽부(53)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h1,h2)의 차가 없을 때보다 차를 형성한 쪽이 소음이 적어지고 풍량이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h1, h2의 차가 5㎜, 10㎜인 경우에 동일 풍량에서 소음을 가장 저감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그래프의 세로축 눈금의 레인지는 1dBA이고, 가로축 눈금의 레인지는 10㎥/min이다.
외주벽부(53)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가 내주벽부(52)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보다 10㎜ 큰 상태를 유지하면서, 냉각팬(21)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에 대한 외주벽부(53)의 피복률(이하 외측 피복률)을 변화시켜 외측 피복률과 풍량, 소음의 관계를 측정했다.
「외측 피복률」은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외주벽부(53)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으로부터 밀려나온 냉각팬(21)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를 h7이라고 했을 때에, 냉각팬(21)의 공기 흐름방향 최대 길이(h3)로부터 이 공기 흐름방향 길이(h7)를 뺀 치수(h6)를 이용하여, (h6/h3)의 백분율(%)로 정의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피복률과 풍량의 관계에서는 외측 피복률이 55%∼95%의 범위에서 풍량이 가장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그래프의 세로축 눈금의 레인지는 10㎥/min이다.
풍량 증가의 관점으로부터는 외측 피복률이 55%∼95%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70%∼8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소음 저감의 관점으로부터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피복률이 70%∼95%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그래프의 세로축 눈금의 레인지는 0.5dBA이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벽부(53)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이 냉각팬(21)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하류측에 있으면, 냉각팬(21)으로부터 나오는 팬 지름 방향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내주벽부(52)와 외주벽부(5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55)을 가로지르는 공기의 흐름 속도가 저하된다. 또한, 팬 지름 방향의 공기의 흐름이 외주벽부(53)와 충돌하여 공간(55)에 유입되는 공기의 성분이 발생한다. 이들에 의해, 외측 피복률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간(55) 내에 부압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에 대하여 도 14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적어도 외주벽부(53)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이 냉각팬(21)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상류측에 있으면, 공간(55)을 가로지르는 공기의 흐름이 어느 정도의 속도를 가지고서 생기고, 이것에 의해 공간(55) 내에 부압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내주벽부(52)의 내측 피복률, 및 외주벽부(53)의 외측 피복률과, 풍량, 소음의 관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을 수 있었다.
·동일 풍량에서 소음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내주벽부(52)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h1)와 외주벽부(53)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h2)의 차를 5㎜∼10㎜로 하는 것이 좋다.
·외주벽부(53)의 외측 피복률을 55%∼95%로 하는 것이 풍량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소음 저감의 관점으로부터는 외측 피복률을 70%∼95%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풍량 향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외측 피복률을 70%∼8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주벽부(52)의 내측 피복률을 45%∼85%로 하는 것이 풍량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냉각 유닛(20)의 특징]
(1)
건설 기계용 냉각 유닛(20)은 유압 셔블(1)에 사용되는 냉각 장치로서, 냉각팬(21)과, 냉각팬(21)의 외주측을 덮는 슈라우드(40)와, 슈라우드(40)에 설치되어 냉각팬(21)의 외주부에 근접해서 배치된 내주벽부(52)를 갖는 공간(55)을 구비하고 있다. 공간(55)은 냉각팬(2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부압이 발생함으로써 냉각팬(21)에 의한 공기의 유량을 증대시킨다. 냉각팬(21)의 외주 가장자리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은 내주벽부(52)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더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냉각 유닛(20)에서는 냉각팬(21)이 회전해서 공기가 흐르면, 공간(55)이 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냉각팬(21)에 의한 공기의 유량이 증대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간(55) 내의 어느 점이 블레이드 부재(21a) 사이에 위치하면 거기에서 발생한 부압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고, 이어서 그 공기가 블레이드 부재(21a)에 의해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에서, 냉각팬(21)의 외주 가장자리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이 내주벽부(52)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더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공기가 공간(55)측에 공급되고, 그 공기와 공간(55)에서의 부압의 상승 효과에 의해 냉각팬(21)에 의한 공기의 유량이 증대한다. 그 결과, 쿨링 코어(30)의 주위에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많아져서 쿨링 코어(30)의 라디에이터(31) 등의 엔진 냉각 성능이 향상된다.
(2)
냉각팬(21)의 외주 가장자리에 있어서 슈라우드(40) 및 내주벽부(52)에 의해 덮인 부분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와 냉각팬(21) 전체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의 비(백분율)를 내측 피복률이라고 하면, 내측 피복률이 45∼85%의 범위에 있다. 내측 피복률이 적절한 범위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팬(21)에 의한 공기의 유량이 충분히 많아진다. 따라서, 냉각팬(21)의 회전속도가 종래와 같아도 냉각 능력이 향상되고, 또는 냉각팬(21)의 회전속도를 낮춰도 종래와 같은 냉각 능력을 얻을 수 있다.
(3)
공간(55)은 구체적으로는 링부(5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링부(51)는 냉각팬(21)의 외주부에 근접해서 배치된 내주벽부(52)와, 내주벽부(52)보다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외주벽부(53)를 갖는다. 냉각팬(21)의 외주 가장자리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은 내주벽부(52)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더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냉각팬(21)이 회전해서 공기가 흐르면 링부(51)의 내주벽부(52)와 외주벽부(53) 사이의 공간(55)에 부압이 발생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팬(21)으로부터의 공기의 유량이 증대한다.
(4)
링부(51)는 슈라우드(40)와는 다른 부재로 이루어진다. 링부(51)는 슈라우드(40)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슈라우드(40)나 냉각팬(21)의 구조에 맞춰서 적절한 링부(51)를 선택할 수 있다.
(5)
링부(51)는 내주벽부(52)와 외주벽부(53)를 연결하는 환상의 저부(54)를 갖는다. 링부(51)가 내주벽부(52)와 외주벽부(53)와 저부(54)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부재이기 때문에, 링부(51)의 제조·관리가 용이하다.
(6)
내주벽부(52) 및 외주벽부(53)는 공기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형상 부분이다. 그 때문에 링부(51)의 제작이 용이하다.
(7)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탑재되어 있는 엔진(6a)에 의해 냉각팬(21)을 회전 구동한다. 이렇게 엔진(6a)의 회전을 냉각팬(21)의 회전 구동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를 냉각팬(21)을 둘러싸는 환상의 링부(51)로서 구성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냉각 장치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속하는 링부(51) 대신에 복수의 벽부 구성 부재(112)를 설치했다. 구체적으로는, 벽부 구성 부재(112)를 냉각팬(21)의 회전축 둘레에 상기 냉각팬(21)을 둘러싸도록 조합하고 있는 점이 상위하다.
각 벽부 구성 부재(112)는 제 1 실시형태의 도 8과 마찬가지로 내주벽부(52) 및 외주벽부(53)가 형성되어 있고, 냉각팬(21)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은 내주벽부(52)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내측 피복률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45%∼85%로 되어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70%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벽부 구성 부재(112)를 슈라우드의 케이스부(41)의 외면에 있어서, 냉각팬(21)의 회전축 둘레에 볼트나 접착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인접하는 벽부 구성 부재(112)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지만, 각 벽부 구성 부재(112)의 내주벽부(52) 및 외주벽부(53)가 냉각팬(21)의 외주부 대략 전체부를 둘러싸게 되기 때문에, 냉각 효율의 향상이라고 하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효과가 손상되는 일은 거의 없다. 또한, 보다 확실하게 효과를 향수하려고 하는 것이라면 벽부 구성 부재(112)의 케이스부(41)의 고정 후, 인접하는 벽부 구성 부재(112)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조인트 부재나 퍼티, 용접 등으로 메워버리면 좋다.
또한, 벽부 구성 부재의 수도 도 11의 경우에는 4개이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2개 내지 6개 정도이어도 좋다.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대형 건설 기계 등에서 사용되는 대형 냉각팬(21)을 구비한 냉각 장치라도, 냉각팬(21)의 주위에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서 내주벽부(52) 및 외주벽부(53)를 형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링부(51)는 환상의 단독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내주벽부와 외주벽부가 환상으로 연속하는 링부를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벽부(52)와 외주벽부(53)를 갖는 2개의 반환상 부재(113)의 단부끼리를 조합함으로써 연속하는 링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주벽부와 외주벽부는 공기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으로 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링부(61)는 내주벽부(62)와 외주벽부(63)와 저부(64)를 갖고 있다. 내주벽부(62)는 케이스부(41)의 개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외주벽부(63)는 내주벽부(62)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양자 사이에는 환상의 공간(65)이 확보되어 있다. 내주벽부(62)와 외주벽부(63)는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이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지름이 커지는 나팔 형상(아래쪽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의 한쪽만이 나팔 형상이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난류 억제에 의한 소음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C)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링부(71)는 내주벽부(72)와 외주벽부(73)와 저부(74)를 갖고 있다. 내주벽부(72)는 케이스부(41)의 개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외주벽부(73)는 내주벽부(72)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양자 사이에는 환상의 공간(75)이 확보되어 있다. 내주벽부(72)와 외주벽부(73)는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이 공기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주벽부(72)의 선단에는 테이퍼부(72a)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부(73)의 선단에는 테이퍼부(73a)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72a,73a)는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지름이 커져 간다. 또한, 내주벽부 및 외주벽부의 한쪽만이 테이퍼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난류 억제에 의한 소음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주측 벽부와 외주벽부는 일체의 부재로 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링부(81)는 내주벽부(82)와 외주벽부(83)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내주벽부(82)와 외주벽부(83) 사이에는 환상의 공간(85)이 확보되어 있다. 내주벽부(82)는 통형상부(82a)와 고정부(82b)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82b)는 볼트나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케이스부(41)에 고정되어 있다. 외주벽부(83)는 통형상부(83a)와 고정부(83b)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83b)는 볼트나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슈라우드(40)의 케이스부(4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주벽부와 외주벽부는 슈라우드와는 다른 부재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내는 링부(91)는 케이스부(41)의 내주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형성한 내주벽부(92)와, 외주벽부(93)로 구성되어 있다. 내주벽부(92)와 외주벽부(93) 사이에는 환상의 공간(95)이 확보되어 있다. 외주벽부(93)는 통형상부(93a)와 고정부(93b)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93b)는 볼트나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슈라우드(40)의 케이스부(4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F)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링부를 슈라우드에 일체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부(101)는 슈라우드의 케이스부(41)에 일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부(41)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내주벽부(102)가 형성되고, 케이스부(41)의 외면에는 외주벽부(103)가 형성되며, 내주벽부(102) 및 외주벽부(103) 사이에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공간(105)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슈라우드의 케이스부(41) 및 링부(101)를 수지제로 하고, 사출성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슈라우드는 어느 정도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되는 소형의 건설 기계에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부품수의 저감에 따른 조립 작업의 부하 경감, 건설 기계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G)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6a) 직결에 의해 냉각팬(21)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성을 예로서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 등의 쿨링 코어의 근방에 배치된 유압 구동 모터에 의해 냉각팬이 회전 구동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엔진 직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냉각팬과 비교하여 엔진의 진동에 의한 영향을 거의 무시해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팬(21)과 슈라우드(40)에 설치된 링부(51)의 내주벽부(52) 사이의 간극(G)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슈라우드(40) 부근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해져서 소음의 저감, 쿨링 코어의 냉각 효율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에 의해 냉각팬이 회전 구동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H)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쿨링 코어(30)의 하류측에 냉각팬(21)을 배치한, 소위 흡기형의 냉각 유닛(20)을 예로서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등의 쿨링 코어(30)에 대하여 냉각팬(21)으로 엔진(6a)측으로부터 공기를 보내는, 소위 분출형의 냉각 유닛(20)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분출형의 냉각 유닛(20)이라도 슈라우드(40)의 내부에 링부(51)를 형성 함으로써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에 의해 풍량이 증가하여, 쿨링 코어(30)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I)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팬(21)으로서 축류팬을 사용한 예를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시로코팬, 경사 축류팬 등의 타종류의 송풍팬을 이용하여 냉각 유닛을 구성해도 좋다.
(J)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쿨링 코어(30)를 구성하는 열교환기로서, 라디에이터(31), 오일쿨러(32) 및 애프터쿨러(33)를 사용한 예를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냉각팬에 대향 배치되는 쿨링 코어로서는 라디에이터만이어도 되고, 다른 열교환기나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K)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팬(21)의 슈라우드(40)가 적용되는 건설 기계로서 유압 셔블(1)을 예로서 들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압 셔블 이외에도 휠로더 등의 다른 건설 기계나, 포크리프트 등의 작업 기계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은 가능하다.
(L)
상술한 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채용해도 되고, 조합해서 채용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한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는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높이는 일없이, 냉각팬으로부터의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많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 점으로부터 냉각팬을 탑재한 각종 작업 기계에 대하여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 유압 셔블 2 : 하부 주행체
3 : 선회대 4 : 작업기
5 : 카운터웨이트 6 : 엔진 룸
6a : 엔진 9 : 기기실
10 : 캡 11 : 붐
11a, 12a, 13a : 유압 실린더 12 : 암
13 : 버킷 14 : 엔진 후드
14a : 손잡이 20 : 냉각 유닛
21 : 냉각팬 21a : 블레이드 부재
30 : 쿨링 코어 31 : 라디에이터
32 : 오일쿨러 33 : 애프터쿨러
35 : 에어 클리너 40 : 슈라우드
41 : 케이스부 51 : 링부
52 : 내주벽부 53 : 외주벽부
54 : 저부 55 : 공간
61 : 링부 62 : 내주벽부
63 : 외주벽부 64 : 저부
65 : 공간 71 : 링부
72a, 73a : 테이퍼부 72 : 내주벽부
73 : 외주벽부 74 : 저부
75 : 공간 81 : 링부
82 : 내주벽부 82a : 통형상부
82b : 고정부 83 : 외주벽부
83a : 통형상부 83b : 고정부
85 : 공간 91 : 링부
92 : 내주벽부 93 : 외주벽부
93a : 통형상부 93b : 고정부
95 : 공간 101 : 링부
102 : 내주벽부 103 : 외주벽부
105 : 공간 P : 크롤러
112 : 벽부 구성 부재 113 : 반환상 부재

Claims (12)

  1. 냉각팬,
    상기 냉각팬의 외주측에 설치된 슈라우드,
    상기 슈라우드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팬의 외주부에 상기 냉각팬을 둘러싸도록 근접해서 배치된 내주벽부, 및
    상기 내주벽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이 상기 내주벽부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외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내주벽부의 지름 방향 내측의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주벽부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은 상기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단보다 상류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부 및 상기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냉각팬의 회전축 둘레에 연속하는 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슈라우드 및 상기 외주벽부에 의해 덮인 부분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와, 상기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 최대 길이의 비를 외측 피복률이라고 하면, 상기 외측 피복률은 55%∼9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피복률은 70%∼9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피복률은 70%∼8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슈라우드 및 상기 내주벽부에 의해 덮인 부분의 공기 흐름방향 길이와, 상기 냉각팬의 공기 흐름방향 최대 길이의 비를 내측 피복률이라고 하면, 상기 내측 피복률은 45%∼8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부 및 상기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슈라우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부 및 상기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슈라우드와는 다른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부와 상기 외주벽부를 연결하는 환상의 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부 및 상기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공기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통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부 및 상기 외주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공기 흐름방향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는 확경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냉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
KR1020107003865A 2007-08-31 2008-08-29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 KR101287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26246 2007-08-31
JP2007226246 2007-08-31
JPJP-P-2008-121698 2008-05-07
JP2008121698A JP5132415B2 (ja) 2007-08-31 2008-05-07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又は作業機械
PCT/JP2008/065539 WO2009028666A1 (ja) 2007-08-31 2008-08-29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又は作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670A true KR20100051670A (ko) 2010-05-17
KR101287437B1 KR101287437B1 (ko) 2013-07-18

Family

ID=4038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865A KR101287437B1 (ko) 2007-08-31 2008-08-29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28318B2 (ko)
EP (1) EP2184195B1 (ko)
JP (1) JP5132415B2 (ko)
KR (1) KR101287437B1 (ko)
CN (1) CN101790467B (ko)
WO (1) WO2009028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4068B2 (ja) * 2007-08-31 2013-12-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又は作業機械
JP5349835B2 (ja) * 2007-08-31 2013-11-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又は作業機械
JP5349834B2 (ja) * 2007-08-31 2013-11-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又は作業機械
JP5290345B2 (ja) 2011-03-31 2013-09-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発電電動機および作業機械
JP2017002509A (ja) *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建設機械の冷却構造
RU2657162C1 (ru) * 2016-10-20 2018-06-08 Хёндэ Мотор Компани Воздухоза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825A (en) 1973-05-29 1974-08-06 Hudson Products Corp Axial flow fan assembly
US4018297A (en) 1975-11-03 1977-04-19 Allis-Chalmers Corporation Four-piece fan shroud
SU994444A1 (ru) 1980-10-15 1983-02-07 Управление Водопроводно-Канализационного Хозяйства "Водоканал" Исполнительного Комитета Ленинградского Городского Совета Народных Депутатов Способ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 осадков сточных вод
US5272886A (en) 1990-01-19 1993-12-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isture disposing device for use in a self-contained air conditioner
JPH0544469A (ja) * 1991-08-09 1993-02-23 Aisin Seiki Co Ltd フアンシユラウド装置
JPH0861065A (ja) * 1994-08-25 1996-03-05 Nippondenso Co Ltd ファンシュラウド
JPH0914198A (ja) 1995-06-29 1997-01-14 Aisin Seiki Co Ltd ファン装置
JP3304246B2 (ja) 1995-10-18 2002-07-22 日立建機株式会社 エンジン冷却装置
JPH09118141A (ja) 1995-10-26 1997-05-06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3775848B2 (ja) 1996-01-26 2006-05-17 松下冷機株式会社 軸流送風機
JPH09264138A (ja) 1996-03-29 1997-10-07 Nissan Diesel Motor Co Ltd ファンシュラウド装置
JPH10205497A (ja) 1996-11-21 1998-08-04 Zexel Corp 冷却空気導入排出装置
JP3106179B2 (ja) 1997-04-03 2000-11-06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 冷却空気導入排出装置
JPH112127A (ja) * 1997-06-11 1999-01-06 Aisin Chem Co Ltd 冷却ファンシュラウド装置
JP2000336694A (ja) 1999-05-31 2000-12-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冷却装置及び建設機械
JP2002038952A (ja) 2000-07-24 2002-02-06 Nissan Motor Co Ltd 車載熱交換器用ファンシュラウド
US6599088B2 (en) * 2001-09-27 2003-07-29 Borgwarner, Inc. Dynamically sealing ring fan shroud assembly
JP3919496B2 (ja) 2001-10-15 2007-05-23 ヤンマー株式会社 ラジエータファ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ンジン冷却装置
JP2004270568A (ja) 2003-03-10 2004-09-30 Hino Motors Ltd ラジエータファンシュラウド
CN1938502B (zh) 2004-04-05 2011-06-15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冷却装置
JP2006132381A (ja) * 2004-11-04 2006-05-25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ラジエータ・シュラウド構造
US20080193286A1 (en) 2004-11-04 2008-08-14 Naoya Kakishita Radiator-Shroud Structure
JP2006132380A (ja) 2004-11-04 2006-05-25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ラジエータ・シュラウド構造
JP5349834B2 (ja) 2007-08-31 2013-11-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又は作業機械
JP5349835B2 (ja) 2007-08-31 2013-11-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又は作業機械
JP5374068B2 (ja) 2007-08-31 2013-12-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又は作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4195A1 (en) 2010-05-12
US9228318B2 (en) 2016-01-05
JP2009073469A (ja) 2009-04-09
CN101790467B (zh) 2012-10-10
KR101287437B1 (ko) 2013-07-18
CN101790467A (zh) 2010-07-28
EP2184195A4 (en) 2011-06-01
EP2184195B1 (en) 2012-08-01
JP5132415B2 (ja) 2013-01-30
US20100206525A1 (en) 2010-08-19
WO2009028666A1 (ja)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97B1 (ko)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
KR101287437B1 (ko)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
KR101425100B1 (ko)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
JP4160454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フード,建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及び建設機械のエンジン冷却装置
KR20100051671A (ko) 냉각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건설 기계 또는 작업 기계
JP5883278B2 (ja) 建設機械
JP2009057934A (ja) 冷却ファンのシュラウド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の冷却ユニット
JP2013139818A (ja)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又は作業機械
JP5242447B2 (ja) 冷却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H11241366A (ja) 建設機械の排気装置
JP2008126845A (ja) エンジンルームのダクト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