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426A -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426A
KR20100051426A KR1020080110593A KR20080110593A KR20100051426A KR 20100051426 A KR20100051426 A KR 20100051426A KR 1020080110593 A KR1020080110593 A KR 1020080110593A KR 20080110593 A KR20080110593 A KR 20080110593A KR 20100051426 A KR20100051426 A KR 20100051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ous process
strap
needle
spinou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094B1 (ko
Inventor
신재혁
Original Assignee
신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혁 filed Critical 신재혁
Priority to KR102008011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094B1/ko
Priority to PCT/KR2009/006481 priority patent/WO2010053300A2/ko
Priority to US13/127,202 priority patent/US20110208244A1/en
Priority to CN2009801433962A priority patent/CN102202590A/zh
Publication of KR2010005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3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with parts attached to bones or to each other by flexible wires, straps, sutures or c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협착증 기타 요추 병변으로 인해 척추수술이 불가피한 경우에 사용되는 극돌기간 지지체(100) 및 그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100)는 나비의 양 날개 형상의 지지부(111)와 상기 양 날개 사이에 형성된 안착부(112)로 이루어지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2개의 고리(120); 및 상기 본체(110)의 타측면에 부착된 반월형의 바늘(140)이 부착된 2개의 스트랩(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Device for supporting spinous process and method for fixation the same}
본 발명은 척추 협착증 기타 요추 병변으로 인해 척추수술이 불가피한 경우에 사용되는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한 척추 상에 각각 존재하는 극돌기(spinous process)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 배치되어 극돌기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척추의 분절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체의 척추(10)에는 기둥 노릇을 하는 견고한 척추체(verterbral body)(11)가 있고 척추체(11)와 척추체(11) 사이에는 디스크(Intervetebral disc)(14)가 있으며, 또각 척추체의 등쪽으로는 극돌기(13)가 존재하고, 척추체(11)와 극돌기(13) 사이에는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spinal canal)(12)이 있다.
척추 병변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인체가 노화되어 감에 따라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척추관의 면적이 좁아져서 그 속을 지나가는 신경이 압박을 받는 것과 척추 분절이 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안정성을 잃고 불안정성을 더해 가는 것이다.
척추관이 좁아지는 원인으로는 척추관 내에 있는 황색인대(ligamentum flavum)가 퇴행의 결과로 두꺼워지는 것, 추간판이 돌출하여 척추관을 좁게 만드는 것, 추간판이 탄력을 잃고 퇴행변화로 인해 상하 척추의 높이가 작아지는 것, 그리고 척추 자체의 골성 퇴행으로 인해 골의 모양이 퇴행을 이루며 척추관내 면적을 잠식하는 것 등이 있다.
불안정성의 원인은 두 척추의 인접하는 관절인 추간판의 퇴행 그리고 양측 후관절의 퇴행으로 인해 연결이 느슨하여지고 뒤이어 각종 근육인대 등의 약화동반 등이다.
따라서 척추병변 치료의 큰 축은 압박당한 신경을 감압시키고 이에 맞는 적절한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그 중 고전적인 방법은 척추를 감압한 후에 골을 유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움직이는 척추를 고정한다는 개념에 대응하여 치료 후에도 해당 척추 분절을 움직이는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역동적 고정술'이라는 치료방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역동적 고정술 중 하나인 극돌기간 기기 삽입술은 척추의 극돌기(13)와 극돌기(13) 사이에 지지체를 삽입하는 것으로 지나치게 요추 전만이 이루어짐으로써 발생하는 요통(腰痛)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 유합술에서는 수술 후 해당 척추 분절의 가동성이 소실되고, 척추 전반의 운동범위의 제한이 초래되고, 인접 척추 분절의 퇴행의 가능성이 높게 뒤따른 다. 그러나 역동적 고정술은 수술한 해당 부위의 분절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체 기능이 원활하고 인접 분절의 퇴행성을 초래할 가능성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
역동적 고정술에는 그라프 고정술, 다이네시스 고정술, 메모리 루프시술, 바이오-플랙스 고정술이 있다.
그러나 근자에는 디암(DIAM, Device for Intervertebral Assisted Motion)이 이 중 하나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디암은 양측에 고리를 구비한 나비 모양의 실리콘 기기(도 2에 도시)와 바늘이 달린 실리콘 스트랩이 있어서 이를 상하 극돌기에 감은 후 본체와 고정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수술에서는 피부를 3㎝ 정도 절개한 뒤 수술용 확대 안경(loupe) 혹은 수술 현미경 같은 첨단 장비를 경우에 따라 이용하면서, 척추 뒤쪽 뼈(극돌기) 사이의 공간에 디암을 삽입한 후 레이스로 극돌기 양측의 뼈에 감아 고정한다.
따라서 나사못을 고정하던 기존의 척추 유합술과는 달리 수술 후 척추 운동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박리 부위를 최소화해 근육과 주변 조직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 척추 유합술에 비해 출혈이 적은 점, 수술한 뒤 흉터와 통증이 덜한 점. 환자가 수술한 다음 날 바로 걸어 다닐 수 있을 정도로 조기 재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수술에 사용하는 척추간 삽입체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20114, 0620115, 0701575,0701573 및 0701574호가 있다.
이들 발명의 척추용 삽입체는, 두 척추의 극돌기를 수용하는 두 개의 대향 노치를 갖는 스페이서와, 두 척추 및 상기 스페이서를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을 포함하는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트랩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대향 노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은 관통홀을 통과하여 스페이서와 두 극돌기를 8자 형태로 묶음으로써 두 척추 및 스페이서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들 발명의 척추용 삽입체를 두 척추의 극돌기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랩을 관통홀에 통과시킨 후 스페이서와 두 극돌기를 8자 형태로 묶는 복잡한 시술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를 위하여 반드시 극돌기(13)위의 좌우 양측 근육을 박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극돌기(13)위의 단측 근육만을 박리하고 디암을 시술할 수 있으면 수술부위도 좁아지고 환자의 신체적 부담과 줄어들게 되며, 수술도 훨씬 간편하므로 여러 모로 편리하고 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극돌기(13)위 근육의 양측을 박리하지 아니하고 단측만을 박리하고도 시술할 수 있도록 기존의 디암의 구조를 변경한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척추용 삽입체와 달리 요추부 근육의 단측만을 박리하고도 시술할 수 있으므로 환자에게 주는 신체적 부담이 경감될 뿐만 아니라 수술이 손쉬우므로 빨리 끝낼 수 있고 따라서 치유기간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스트랩 고정용 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내지 도 9까지는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의 고정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100)는 나비 형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일측면에 형성된 2개의 고리(120,121) 및 본체(110)의 타측면에 부착된 2개의 반월형의 바늘(141,142)이 부착된 스트랩(131,132)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10)는 날개 형상의 지지부(111)와 양 날개 사이의 안착부(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는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인체에 해가 없는 폴리에스터 천으로 씌워져 있다.
본체(110)를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한 이유는 지지하고 있는 2개의 극돌기(13)를 통해 척추부를 신축성이 있게 지지하는 범퍼 역할을 함과 아울러 극돌기(13)의 분절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스트랩(130)에 부착된 바늘(140)은 반월형으로서 휨 각도는 원형 기준으로 180ㅀ가 넘게 설계한다. 이와 같이 바늘(140)의 휨 각도가 원형 기준으로 180ㅀ가 넘게 설계하여야 원활하게 수술을 할 수 있는 바, 그 이유는 후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는,
나비의 양 날개 형상의 지지부(111)와 상기 양 날개 사이에 형성된 안착부(112)로 이루어지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2개의 고리(121,122); 및
상기 본체(110)의 타측면에 부착된 반월형의 바늘(141,142)이 부착된 2개의 스트랩(131,1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인체에 해가 없는 폴리에스터 천으로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늘(141,142)은 휨 각도가 원형 기준으로 180ㅀ가 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100)를 극돌기(13) 사이에 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100)와 스트랩 고정용 핀(200)을 준비한다. 스트랩 고정용 핀(20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플랜지(210)와 몸체(2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의료기 상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한다.
이어 시술할 위치의 극돌기(13)를 기준으로 하여 극돌기(13) 위의 등 근육의 단측만을 박리한 후 비후(肥厚)된 황색인대 제거 및 돌출한 추간판 제거 등 척추관내 면적을 잠식한 요인을 수술하여 제거하여 신경감압을 이룰 수 있다.
이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극돌기간 지지체(100)에 부착된 상부 스트랩(131)의 바늘(141)을 상기 등 근육의 단측 박리된 부분으로부터 상하 2개의 극돌기(13) 사이로 삽입하여 상부 극돌기(13)를 돌아 나오게 한 후 상기 바늘(141)끝을 겸자로 잡아당겨 놓고, 이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스트랩(132)의 바늘(142)을 다시 상하 2개의 극돌기(13) 사이로 삽입하여 하부 극돌기(13)를 돌아 나오게 한 후 상기 바늘(142)끝을 겸자로 잡아당겨 놓게 된다.
이때 바늘(141)이 상하 2개의 극돌기(13) 사이로 진입하여 상부 극돌기(13)를 돌아 나와야 하는데 만일 바늘(141,142)의 휨 각도가 원형 기준으로 180ㅀ가 넘지 못하면 척추부 근육의 단측 박리시 직선인 극돌기(13)의 단측으로 진입한 바늘(141,142)이 그 극돌기(13)를 돌아 나올 수 없게 된다.
왜냐하면 바늘이 극돌기를 전부 돌아도 바늘 기저부를 편측 진입부에서 술자가 잡고 있다고 전제할 때, 바늘 선두는 극돌기의 좌우를 기준으로 여전히 반대측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바늘이 극돌기(13)를 돌아 나오게 하기 위해서는 바늘의 출구에서 박리측으로부터 박리되지 않은 반대측까지 겸자나 핀셋을 삽입하여 근육 및 연부조직 사이를 휘저으면서 바늘 선두의 위치를 찾을 수밖에 없으며, 그 결과 추가로 연부조직을 손상하게 된다.
그러나 바늘(140)의 휨 각도를 원형 기준으로 180ㅀ이상으로 하면 박리측에 서 삽입한 바늘 선두는 박리되지 아니한 근육을 통과하여 극돌기(13)를 돌아 나오게 된다.
그런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극돌기간 지지체(100)를 전용 삽입기를 이용하여 상하 2개의 극돌기(13) 사이로 삽입시킨 다음 바늘(141)을 상부고리(121)에 삽입시켜 잡아당김으로써 상부스트랩(131)이 상부고리(121)를 통과시키게 되고, 또한, 하부스트랩(132)도 마찬가지로 방법으로 하부고리(122)를 통과시킨다.
이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스트랩(131)을 단단히 당긴 다음 스트랩 고정용 핀(200)을 바늘(141)쪽으로부터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스트랩 고정용 핀(200)의 플랜지(210) 부분이 상부고리(121)쪽으로 향하도록 한 후 집게로 몸체(220)를 누르게 되면, 상부스트랩(131)이 스트랩 고정용 핀(200)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고, 이때 플랜지(210)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하부스트랩(132)로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스트랩 고정용 핀(200)에 의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스트랩 고정용 핀(200)의 몸체(220)의 하부로 노출된 스트랩(131,132)을 잘라내게 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극돌기(13)의 사이에서 극돌기간 지지체(100) 스트랩(131,132)에 의하여 죄어져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와 스트랩 고정용 핀을 준비하는 단계;
시술할 위치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극돌기 위의 등 근육의 단측만을 박리한 후 척추관내 면적을 잠식한 요인을 수술하여 제거하는 단계;
극돌기간 지지체에 부착된 상부 스트랩의 바늘을 상기 등 근육의 단측만 박리된 부분으로부터 상하 2개의 극돌기 사이로 삽입하여 상부 극돌기를 돌아 나오게 한 후 상기 바늘 끝을 겸자로 잡아당기는 단계;
극돌기간 지지체에 부착된 하부 스트랩의 바늘을 상기 등 근육의 단측만 박리된 부분으로부터 상하 2개의 극돌기 사이로 삽입하여 하부 극돌기를 돌아 나오게 한 후 상기 바늘 끝을 겸자로 잡아당기는 단계;
이어 극돌기간 지지체를 상하 2개의 극돌기 사이로 삽입하여 극돌기간 사이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부 및 하부 스트랩을 상부 및 하부고리에 각각 통과시킨 후 스트랩 고정용 핀을 삽입하여 상부 및 하부 스트랩을 각각 극돌기간 지지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스트랩 고정용 핀 밖으로 노출된 스트랩을 잘라내는 단계;
이어 박리된 부위를 봉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지지체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 극돌기간 지지체 고정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상부 및 하부 스트랩(131,132)의 단부에 구비된 바늘이 제거되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트랩 인출기(300)를 이용하여 스트랩(131,132)이 극돌기(13)를 돌아나오게 한다.
이를 위하여 스트랩 인출기(300)는 바 형태의 회전 손잡이(310)와 상기 회전 손잡이(320)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반월형의 회전바늘(320)이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바늘(320)의 끝쪽에는 스트랩(131,132)을 걸기위한 스트랩 걸이공(3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트랩 걸이공(330)은 구멍 형태 또는 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트랩 인출기(300)의 회전바늘(320)을 상기 등 근육의 단측만 박리된 부분에 위치시킨 다음 회전손잡이(310)를 돌리게 되면, 회전바늘(320)이 상하 2개의 극돌기(13) 사이로 삽입되어 회전바늘(320)의 단부가 상부 극돌기(13)를 돌아 나오게 된다.
이후 회전바늘(320)에 형성된 스트랩 걸이공(330)에 상부 스트랩(131)을 건 다음 회전손잡이(310)를 반대로 돌리게 되면 회전바늘(320)이 상부 스트랩(131)을 끄는 형태로 원래의 삽입된 위치로 빠지게 되어 상부 스트랩(131)이 극돌기(13)를 감아돌아 반대편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하부 스트랩(132)을 하부에 위치한 극돌기(13)에 감는 방법도 이와 동일하며, 이후의 과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은 인체 척추의 사시도
도 2는 기존 척추간 삽입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의 사시도
도 4는 스트랩 고정용 핀의 사시도
도 5내지 도9까지는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0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를 고정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척추 11 - 척추체
12 - 척추관 13 - 극돌기
14 - 디스크
100 - 극돌기간 지지체 110 - 본체
120 - 고리 130 - 스트랩
140 - 바늘
200 - 스트랩 고정용 핀
210 - 플랜지 220 - 몸체

Claims (5)

  1. 척추의 극돌기간 사이에 삽입되는 크기를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하방향 측면이 돌출되어 극돌기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안착시키는 안착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2개의 걸이구; 및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부착된 2개의 스트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단부에는 반원형의 바늘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지지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휨 각도가 원형 기준으로 180ㅀ가 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지지체
  4.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와 스트랩 고정용 핀을 준비하는 단계;
    시술할 위치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극돌기 위의 등 근육의 단측만을 박리한 후 척추관내 면적을 잠식한 요인을 수술하여 제거하는 단계;
    극돌기간 지지체에 부착된 상부 스트랩의 바늘을 상기 등 근육의 단측 박리된 부분으로부터 상하 2개의 극돌기 사이로 삽입하여 상부 극돌기를 돌아 나오게 한 후 상기 바늘 끝을 겸자로 잡아당기는 단계;
    극돌기간 지지체에 부착된 하부 스트랩의 바늘을 상기 등 근육의 단측 박리된 부분으로부터 상하 2개의 극돌기 사이로 삽입하여 하부 극돌기를 돌아 나오게 한 후 상기 바늘 끝을 겸자로 잡아당기는 단계;
    이어 극돌기간 지지체를 상하 2개의 극돌기 사이로 삽입하여 극돌기간 사이에 안착시는 단계;
    상부 및 하부 스트랩을 상부 및 하부고리에 각각 통과시킨 후 스트랩 고정용 핀을 삽입하여 상부 및 하부 스트랩을 각각 극돌기간 지지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스트랩 고정용 핀 밖으로 노출된 스트랩을 잘라내는 단계;
    이어 박리된 부위를 봉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지지체 고정방법.
  5. 본 발명의 극돌기간 지지체와 스트랩 고정용 핀을 준비하는 단계;
    시술할 위치의 극돌기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극돌기 위의 등 근육의 단측만을 박리한 후 척추관내 면적을 잠식한 요인을 수술하여 제거하는 단계;
    바 형태의 회전 손잡이와, 회전 손잡이의 하단에 형성된 반월형의 회전바늘로 구성된 스트랩 인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등 근육의 단측 박리된 부분으로부터 상하 2개의 극돌기 사이로 회전바늘을 삽입한 후 회전 손잡이를 돌림으로써 회전바늘의 단부가 상부 극돌기를 돌아 나오게 하는 단계;
    상부 극돌기를 돌아 나온 회전바늘에 형성된 스트랩 걸이공에 상부 스트랩을 건 다음 회전 손잡이를 역회전시켜 회전바늘이 삽입위치로 복귀하면서 상부 스트랩이 상부 극돌기를 돌아나오게 하는 단계;
    상기의 스트랩 인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등 근육의 단측 박리된 부분으로부터 상하 2개의 극돌기 사이로 회전바늘을 삽입한 후 회전 손잡이를 돌림으로써 회전바늘의 단부가 하부 극돌기를 돌아 나오게 하는 단계;
    하부 극돌기를 돌아 나온 회전바늘에 형성된 스트랩 걸이공에 하부 스트랩을 건 다음 회전 손잡이를 역회전시켜 회전바늘이 삽입위치로 복귀하면서 하부 스트랩이 하부 극돌기를 돌아나오게 하는 단계;
    이어 극돌기간 지지체를 상하 2개의 극돌기 사이로 삽입하여 극돌기간 사이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부 및 하부 스트랩을 상부 및 하부고리에 각각 통과시킨 후 스트랩 고정용 핀을 삽입하여 상부 및 하부 스트랩을 각각 극돌기간 지지체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스트랩 고정용 핀 밖으로 노출된 스트랩을 잘라내는 단계;
    이어 박리된 부위를 봉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지지체 고정방법.
KR1020080110593A 2008-11-07 2008-11-07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KR10101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593A KR101013094B1 (ko) 2008-11-07 2008-11-07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PCT/KR2009/006481 WO2010053300A2 (ko) 2008-11-07 2009-11-05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US13/127,202 US20110208244A1 (en) 2008-11-07 2009-11-05 Interspinous support and method for fixing same
CN2009801433962A CN102202590A (zh) 2008-11-07 2009-11-05 棘突间支撑体及其固定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593A KR101013094B1 (ko) 2008-11-07 2008-11-07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426A true KR20100051426A (ko) 2010-05-17
KR101013094B1 KR101013094B1 (ko) 2011-02-14

Family

ID=4215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593A KR101013094B1 (ko) 2008-11-07 2008-11-07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08244A1 (ko)
KR (1) KR101013094B1 (ko)
CN (1) CN102202590A (ko)
WO (1) WO2010053300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657B1 (ko) * 2011-03-03 2013-11-27 정순명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WO2016089058A1 (ko) * 2014-12-03 2016-06-09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극돌기간 밴드 고정용 스페이서 장치
KR20160096899A (ko) * 2015-02-06 2016-08-17 이상호 척추간 삽입체
KR20200048338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극돌기 간 스페이서 장치
KR102234843B1 (ko) * 2020-03-23 2021-03-31 이상호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9306B2 (en) 2011-06-21 2015-10-06 Seaspine, Inc. Spinous process device
AU2013308332B2 (en) 2012-08-31 2017-01-19 Newsouth Innovations Pty Limited Bone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EP2892453B1 (en) 2013-08-30 2019-05-08 NewSouth Innovations Pty Limited Spine stabilization device
KR101647457B1 (ko) 2014-11-25 2016-08-10 주식회사 메드릭스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CN113350004B (zh) * 2021-06-01 2022-08-26 黑龙江中医药大学 一种维持脊柱生理曲度支具及脊髓损伤大鼠用脊柱矫正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3364B1 (fr) * 1992-07-07 1995-06-30 Erpios Snc Prothese intervertebrale permettant une stabilisation des contraintes rotatoires et de flexion-extension.
FR2775183B1 (fr) 1998-02-20 2000-08-04 Jean Taylor Prothese inter-epineuse
FR2799640B1 (fr) * 1999-10-15 2002-01-25 Spine Next Sa Implant intervetebral
FR2828398B1 (fr) * 2001-08-08 2003-09-19 Jean Taylor Ensemble de stabilisation de vertebres
KR100701573B1 (ko) 2004-05-17 2007-03-30 (주)우리들척추건강 척추간 삽입체
KR100545060B1 (ko) * 2004-05-17 2006-01-24 (주)우리들척추건강 골해영상 클러스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0620114B1 (ko) 2004-10-08 2006-09-19 (주)우리들척추건강 척추간 삽입체
KR100850323B1 (ko) 2005-12-27 2008-08-18 주식회사 엔에이치에스 척추간 삽입체
FR2897771B1 (fr) * 2006-02-28 2008-06-06 Abbott Spine Sa Implant intervertebra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657B1 (ko) * 2011-03-03 2013-11-27 정순명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WO2016089058A1 (ko) * 2014-12-03 2016-06-09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극돌기간 밴드 고정용 스페이서 장치
KR20160067325A (ko) * 2014-12-03 2016-06-14 김현성 극돌기간 밴드 고정용 스페이서 장치
KR20160096899A (ko) * 2015-02-06 2016-08-17 이상호 척추간 삽입체
KR20200048338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극돌기 간 스페이서 장치
KR102234843B1 (ko) * 2020-03-23 2021-03-31 이상호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2590A (zh) 2011-09-28
WO2010053300A3 (ko) 2010-07-29
US20110208244A1 (en) 2011-08-25
KR101013094B1 (ko) 2011-02-14
WO2010053300A2 (ko) 201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094B1 (ko)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US10568665B2 (en) Laminoplasty fixation devices
JP6908594B2 (ja) 外科的開創のための装置及びシステム
EP2967678B1 (en) Spinal correction system
JP4274702B2 (ja) 脊柱ステープル
US20200030119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vertebral orthopedic device placement
US8992579B1 (en) Lateral fixation constructs and related methods
US836674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pinal implant and fusion
JP6461365B2 (ja) 手術器具及び手術方法
MX2010003102A (es) Sistema de implante dinamico, deslizable, flexible para estabilizacion selectiva y correccion de deformidades e inestabilidades en la columna vertebral.
JPH07178116A (ja) 脊椎を経皮的に固定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されるキット並びに椎根ねじ
KR101469567B1 (ko) 극간 임플란트 및 이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
JP2007533377A (ja) 骨のための支持体
JPH08502680A (ja) 体内固定具
JP2009525766A (ja) 脊柱固定具の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2516714A (ja) 薄型骨スクリュー拡張器および最も侵襲性が低い脊髄外科手術におけるその応用
JP2013543394A (ja) クランプ棘間スペーサ装置及び使用方法
AU2015301959B2 (en) Articulating rod inserter
US10231760B2 (en) Instrument for band coupling between spinous processes
US10905484B2 (en) Surgical fixation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US9398926B2 (en) Interspinous stabilization device
JP2009523045A (ja) プレートおよび椎弓根スクリューを備える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適用
KR200360581Y1 (ko) 외과용 수술기구를 신체에 삽입하기 위한 견인장치
KR101373287B1 (ko) 척추체 극돌기간 스페이서 이식 시술용 의료기구
RU2726047C1 (ru) Способ интраоперационной коррекции сколиотических деформац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