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457B1 -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 Google Patents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457B1
KR101647457B1 KR1020140164952A KR20140164952A KR101647457B1 KR 101647457 B1 KR101647457 B1 KR 101647457B1 KR 1020140164952 A KR1020140164952 A KR 1020140164952A KR 20140164952 A KR20140164952 A KR 20140164952A KR 101647457 B1 KR101647457 B1 KR 101647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unit
needle
needle uni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371A (ko
Inventor
김현성
윤홍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드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to KR102014016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457B1/ko
Priority to CN201580058455.1A priority patent/CN107072798B/zh
Priority to JP2017525353A priority patent/JP6360632B2/ja
Priority to PCT/KR2015/012638 priority patent/WO2016085228A1/ko
Priority to US15/523,599 priority patent/US10231760B2/en
Publication of KR2016006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0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apophyseal or facet joints, i.e. between adjacent spinous or transverse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7Devices bearing against one or more spinous processes and also attached to another part of the spine;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17/06109Big needles, either gripped by hand or connectable to a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3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with parts attached to bones or to each other by flexible wires, straps, sutur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8Devices comprising separate rigid parts, assembled in situ, to bear on each side of spinous processes; Tool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6/00Surgery
    • Y10S606/907Composed of particular material or coated
    • Y10S606/911Memory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배부(背部)에 절개된 삽입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척추뼈로부터 돌출된 극돌기(spinous process)와 이웃한 극돌기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배부에 절개된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 가능한 니들 유닛(needle unit); 상기 니들 유닛의 단부에 탈착 결합되고, 일정 정도의 텐션을 가지며,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의 사이와, 상기 극돌기의 외곽과, 상기 이웃한 극돌기의 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를 상호 고정하는 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으로써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최적의 시술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다양한 환자의 체형에 맞게 대응이 가능하며, 시술후 견고한 고정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면서도 미세한 동작을 허용함으로써 원래의 척추뼈와 같은 상태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BAND COUPLING DEVICE FOR SPINOUS PROCESS}
본 발명은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관 협착증이나 퇴행성 디스크 질환 등과 같은 척추질환의 치료용 수술시 인접한 극돌기를 상호 고정시키되 미세한 동작은 허용하도록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척추관은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이며, 각각의 척추뼈 후방에 있는 구멍들이 상하로 연결되어 터널을 형성하고, 그 터널을 통해 신경이 뇌에서부터 팔, 다리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면 신경을 압박하여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하는 척추관 협착증 등과 같은 질환에 노출되는 것이다.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척추 질환은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가 노화 과정을 거치며 앞쪽에서는 퇴행성 변화를 일으킨 디스크(추간판)가 튀어나와 신경을 누르고, 뒤쪽에서는 신경을 싸고 있는 황색인대가 두꺼워지고 딱딱해져서 신경을 누르며, 척추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관절이 비대해지고 척추뼈의 마찰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자라나온 뼈(골극)에 의해 척추 신경이 눌리게 되어 발생한다.
최근 이러한 척추관 협착증을 치료하기 위해 인접한 극돌기(棘突起, spinous processes) 사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implant)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척추 임플란트는 퇴행성 디스크 질환이나, 척추 전방 전위증, 외상 및 종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극돌기(棘突起, spinous processes)의 유합(fusion)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척추 임플란트는 상부 및 하부의 극돌기가 유합되지 못하여 같이 움직이지 않고 따로 움직임으로 인해 척추의 오랜기간 움직임에 따라 극돌기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극돌기 사이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척추 임플란트를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기 위해 등 뒤에서 인대를 절단하고 삽입해야 하므로 수술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술이 끝난 후 환자가 회복하는데도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극돌기 사이에 삽입 후 상부 및 하부의 극돌기와 결합하는 날개 부분은 극돌기의 두께에 맞게 조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지 못하여 척추 임플란트가 상부 및 하부의 극돌기와 완전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척추 임플란트는 환자의 체형에 따라 극돌기와 이웃한 극돌기가 이루는 각도나 폭이 다양하여 시술하는 것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척추 임플란트들은 금형 설계에 따른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구조가 복잡하므로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척추 임플란트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시술시 많은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004937호 등록특허 제10-0138068호 등록특허 제10-13336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으로써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최적의 시술 결과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양한 환자의 체형에 맞게 대응이 가능하며, 시술후 견고한 고정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면서도 미세한 동작을 허용함으로써 원래의 척추뼈와 같은 상태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배부(背部)에 절개된 삽입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척추뼈로부터 돌출된 극돌기(spinous process)와 이웃한 극돌기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배부에 절개된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 가능한 니들 유닛(needle unit); 상기 니들 유닛의 단부에 탈착 결합되고, 일정 정도의 텐션을 가지며,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의 사이와, 상기 극돌기의 외곽과, 상기 이웃한 극돌기의 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를 상호 고정하는 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여기서, 상기 밴드 유닛은 상기 극돌기가 돌출된 척추뼈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가 돌출된 척추뼈 상호간의 일정 정도의 동작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와 상기 배출부는 상기 니들 유닛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니들 유닛은, 원호 형상으로 휘어져 일정 직경을 가진 니들 본체와,
상기 니들 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첨두부와, 상기 니들 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밴드 유닛이 탈착되는 결합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첨두부가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배출부는 상기 니들 본체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 어셈블리는, 상기 니들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단차지게 절개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편과, 상기 돌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니들 본체의 일단부측으로 절곡된 후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 유닛은, 제1 길이를 가지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메인 밴드와,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가지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고, 상기 메인 밴드의 일정한 지점에서 일단부가 결합되는 보조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밴드의 일단부와 상기 보조 밴드의 타단부는 상기 니들 유닛의 단부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 유닛은, 상기 메인 밴드의 일단부에 관통된 제1 걸이홀과, 상기 제1 걸이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니들 유닛의 단부가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 걸림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 유닛은, 상기 보조 밴드의 타단부에 관통된 제2 걸이홀과, 상기 제2 걸이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니들 유닛의 단부가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 걸림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 유닛은, 상기 보조 밴드의 일단부와 상기 메인 밴드가 결합된 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클램프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밴드의 타단부는 상기 극돌기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밴드의 일단부는 상기 이웃한 극돌기의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밴드의 타단부는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 사이의 공간을 지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는, 상기 메인 밴드에 결합되어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 밴드의 타단부 및 상기 메인 밴드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는, 상기 밴드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밴드 유닛을 고정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밴드 유닛이 극돌기와 이웃한 극돌기 사이와, 극돌기의 외곽 및 이웃한 극돌기의 외곽을 감싸듯이 고정하며 일정 정도의 텐션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환자의 체형에 맞게 대응이 가능하며, 시술후 견고한 고정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면서도 미세한 동작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정 직경을 가진 가느다란 니들 유닛의 직경에 대응하는 정도의 삽입부와 배출부를 환자의 배부(背部)에 절개 형성하면 시술이 가능하게 되므로, 최소 침습 수술법(Minimal Invasive Surgery, MIS)으로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를 사용하여 최소 침습 수술법을 실시하면 수술 절개 부위의 폭을 최소한으로 형성할 수 있어 수술후 회복에 걸리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고통을 대폭 경감시켜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니들 유닛과 밴드 유닛으로 구성된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으로써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최적의 시술 결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래의 척추뼈와 같은 상태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니들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시술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니들 유닛이 최초에 환자의 배부(背部)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니들 유닛이 환자의 배부를 관통함에 따라 밴드 유닛이 뒤이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의 메인 밴드의 일단부와 보조 밴드의 타단부가 환자의 배부를 관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의 메인 밴드와 보조 밴드를 상호 고정하는 클램프편 주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의 보조 밴드 타단부에 다시 연결된 니들 유닛이 환자의 배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니들 유닛이 환자의 배부로부터 배출됨과 동시에 보조 밴드의 타단부도 함께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의 메인 밴드 일단부에 다시 연결된 니들 유닛이 환자의 배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의 메인 밴드 일단부가 환자의 배부로부터 배출되어 전체적으로 밴드 유닛의 세 말단이 환자의 배부로부터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의 세 말단을 극돌기와 이웃한 극돌기를 기준으로 더욱 타이트하게 죄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 중 메인 밴드에 스페이서를 결합시켜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니들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시술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유닛(100, needle unit)과 밴드 유닛(2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니들 유닛(100)은 환자의 배부(400, 背部)에 절개된 삽입부(401)를 통하여 삽입되고, 척추뼈(501)로부터 돌출된 극돌기(501p, spinous process)와 이웃한 극돌기(502p) 사이를 관통하여 배부(400)에 절개된 배출부(402)를 통하여 배출 가능한 것으로, 시술이 완료되면 환자의 신체로부터 분리 제거되는 것이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척추뼈(501)로부터 돌출된 극돌기는 도면 부호 501p를 사용하며, 이러한 극돌기는 편의상 제1 극돌기(501p)라 명명한다.
그리고, 제1 극돌기(501p)와 이웃한 극돌기는 도면 부호 502p를 사용하며, 이러한 극돌기는 제1 극돌기(501p)와 구분짓기 위하여 편의상 제2 극돌기(502p)라 명명한다.
아울러, 제1 극돌기(501p)가 돌출된 척추뼈는 도면 부호 501을 사용하며, 이러한 척추뼈는 편의상 제1 척추뼈(501)라 명명한다.
또한, 제2 극돌기(502p)가 돌출된 척추뼈는 도면 부호 502를 사용하며, 이러한 척추뼈는 제1 척추뼈(501)와 구분짓기 위하여 편의상 제2 척추뼈(502)라 명명한다.
한편, 밴드 유닛(200)은 니들 유닛(100)의 단부에 탈착 결합되고, 일정 정도의 텐션을 가지며, 제1 극돌기(501p)와 제2 극돌기(502p)의 사이와, 제1 극돌기(501p)의 외곽과, 제2 극돌기(502p)의 외곽에 배치되어, 제1 극돌기(501p)와 제2 극돌기(502p)를 상호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니들 유닛(100)과 밴드 유닛(200)으로 구성된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으로써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최적의 시술 결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밴드 유닛(200)이 극돌기와 이웃한 극돌기 사이와, 극돌기의 외곽 및 이웃한 극돌기의 외곽을 감싸듯이 고정하며 일정 정도의 텐션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환자의 체형에 맞게 대응이 가능하며, 시술후 견고한 고정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면서도 미세한 동작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래의 척추뼈와 같은 상태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삽입부(401)와 배출부(402)는 가느다란 니들 유닛(100)의 직경(D, 이하 도 2 참조)에 대응하는 폭 정도로만 절개되도록 함으로써, 밴드 유닛(200)을 최소 침습 수술법(Minimal Invasive Surgery, MIS)으로 시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밴드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정도의 텐션을 지닌 것으로, 제1 극돌기(501p)가 돌출된 제1 척추뼈(501)와 제2 극돌기(502p)가 돌출된 제2 척추뼈(502) 상호간의 일정 정도의 동작을 허용하도록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밴드 유닛(200)은 인체에 무해하며 거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의료용 폴리머와 같은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니들 유닛(100)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니들 본체(110)의 양단부에 첨두부(120)와 결합 어셈블리(130)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니들 본체(110)는 원호 형상으로 휘어져 일정 직경을 가진 것이며,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것은 니들 유닛(100)이 전체적으로 삽입과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밴드 유닛(200)을 원활하게 이동 안내하기 위함이다.
첨두부(120)는 니들 본체(1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니들 본체(110)가 삽입부(401)를 통하여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결합 어셈블리(130)는 니들 본체(11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밴드 유닛(200)이 탈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첨두부(120)가 삽입부(401)로 삽입되어 배출부(402)로 배출되며, 후술할 시술 과정에 따라 첨두부(120)는 배출부(402)를 통해 삽입되어 삽입부(401)로 배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삽입부(401)와 배출부(402)는 최소 침습 수술법이 가능하도록, 니들 본체(110)의 직경(D)에 대응하는 폭으로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를 사용하여 최소 침습 수술법을 실시하면 수술 절개 부위의 폭을 최소한으로 형성할 수 있어 수술후 회복에 걸리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켜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결합 어셈블리(130)는 도 2의 확대부를 참조하면, 단턱부(131)에 돌편(132) 및 후크편(133)이 형성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단턱부(131)는 니들 본체(110)의 타단으로부터 단차지게 절개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한 직경(D)을 가진 니들 본체(110)의 타단 일부가 절개된 것이다.
돌편(132)은 단턱부(131)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것이며, 후크편(133)은 이러한 돌편(13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니들 본체(110)의 일단부측으로 절곡된 것이다.
따라서, 결합 어셈블리(130)의 후크편(133)은 도 1과 같이 밴드 유닛(200)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단턱부(131)로부터 돌편(132) 및 후크편(133)이 돌출된 높이(h, 이하 도 2 참조)는 니들 본체(110)의 외주면과 같거나, 외주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높이(h)는 밴드 유닛(200)을 결합시켜 시술하는 과정에서 니들 본체(110)가 환자의 배부(400)를 통하여 삽입되고 관통 배출됨에 따라 니들 본체(110)와 함께 원활하게 밴드 유닛(200)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밴드 유닛(200)은 도 3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제1 길이를 가지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메인 밴드(210)와,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가지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고, 메인 밴드(210)의 일정한 지점에서 일단부가 결합되는 보조 밴드(2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와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는 니들 유닛(100)의 단부, 즉 결합 어셈블리(130)의 후크편(133)에 걸려 탈착 결합되고, 제1 극돌기(501p)와 제2 극돌기(502p)를 고정(도 10의 상태 참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밴드 유닛(200)은 도 5a를 참조하면,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에 관통된 제1 걸이홀(211)과, 제1 걸이홀(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니들 유닛(100)의 단부가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 걸림링(211r)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밴드 유닛(200)은 도 5a를 참조하면,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에 관통된 제2 걸이홀(221)과, 제2 걸이홀(221)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니들 유닛(100)의 단부가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 걸림링(221r)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 2 걸림링(211r, 221r)은 후크편(133)에 함께 걸림 고정된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와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가 환자의 배부(400)를 몇차례 반복하여 삽입 관통되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원래 형상과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니들 유닛(100)의 안내에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이다.
또한, 밴드 유닛(200)은 도 5c와 같이 보조 밴드(220)의 일단부와 메인 밴드(210)가 결합된 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클램프편(23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편(230)은 수술시에,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가 제1 극돌기(501p)의 외곽에 배치되고,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가 제2 극돌기(502p)의 외곽에 배치되며, 메인 밴드(210)의 타단부가 제1 극돌기(501p)와 제2 극돌기(502p) 사이의 공간을 지나 배치되도록 고정되는 과정에서, 매듭의 역할 또한 수행하여 밴드 유닛(200)의 간결한 고정 및 정리 상태 유지를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밴드 유닛(200)의 메인 밴드(210)에 결합되어 제1 극돌기(501p)와 제2 극돌기(502p)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밴드 유닛(200) 중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 및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스페이서(300, 이하 도 10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00)는 제1, 2 극돌기(501p, 502p) 상호간의 일정 거리 이격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밴드 유닛(200)의 깔끔하고 견고한 묶음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도 구비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배부(400)를 통하여 시술하는 과정을 도 3a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순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니들 유닛(100)이 최초에 환자의 배부(40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최초에 시술자는 최소 침습 수술법으로 수술을 시행하기 위하여 환자의 배부(410)에 니들 유닛(100)의 니들 본체(110)가 지닌 직경(D)과 대응하는 정도의 폭으로 제1, 2 척추뼈(501, 502)를 기준하여 좌, 우 양측에 각각 삽입부(401)와 배출부(402)를 절개 형성해 둔다.
이후, 시술자는 결합 어셈블리(130)의 후크편(133)에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와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를 걸림 고정한 다음, 니들 본체(110)를 파지하고 삽입부(401)를 통하여 첨두부(120)부터 찔러 넣는다.
이때, 첨부부(120)는 제1 극돌기(501p)와 제2 극돌기(502p) 사이의 공간을 지나야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니들 유닛(100)이 환자의 배부(400)를 관통함에 따라 밴드 유닛(200)이 뒤이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계속하여, 시술자는 니들 본체(110)를 찔러넣어 첨두부(120)가 배출부(40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면,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와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극돌기(501p)와 제2 극돌기(502p) 사이의 공간을 지나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200)의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와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가 환자의 배부(400)를 관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200)의 메인 밴드(210)와 보조 밴드(220)를 상호 고정하는 클램프편(230) 주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시술자가 클램프편(230)이 배출부(402)를 통하여 배출될 때까지 밴드 유닛(200)을 뽑아내면,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 및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와, 니들 유닛(100)의 후크편(13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200)의 보조 밴드(220) 타단부에 다시 연결된 니들 유닛(100)이 환자의 배부(400)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계속하여, 시술자는 보조 밴드(220) 타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유닛(100)의 후크편(133)을 걸어서 첨두부(120)를 배출부(402)로부터 삽입한다.
이때, 첨두부(120)는 제1 극돌기(501p)의 외곽을 지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니들 유닛(100)이 환자의 배부(400)로부터 배출됨과 동시에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도 함께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니들 본체(110)를 삽입부(401)를 통해 배출시켜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를 가능한한 환자의 배부(400)로부터 뽑아낸다.
이후, 시술자는 후크편(133)과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와의 결합을 해제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200)의 메인 밴드(210) 일단부에 다시 연결된 니들 유닛(100)이 환자의 배부(400)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계속하여, 시술자는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에 니들 유닛(100)의 후크편(133)을 걸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첨두부(120)를 배출부(402)로부터 삽입한다.
이때, 첨두부(120)는 제2 극돌기(502p)의 외곽을 지나도록 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200)의 메인 밴드(210) 일단부가 환자의 배부(400)로부터 배출되어 전체적으로 밴드 유닛(200)의 세 말단(①, ②, ③)이 환자의 배부(400)로부터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니들 본체(110)를 삽입부(401)를 통해 배출시켜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를 가능한한 환자의 배부(400)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이 뽑아낸 후, 후크편(133)과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 사이의 결합을 해제한다.
따라서, 밴드 유닛(200)의 세 말단(①, ②, ③)이 환자의 배부(400)로부터 노출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400)의 세 말단(①, ②, ③, 이하 도 8b 참조)을 제1 극돌기(501p)와 제2 극돌기(502p)를 기준으로 더욱 타이트하게 죄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후, 시술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말단(①, ②, ③)을 잡아당겨 타이트하게 죄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텐션을 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의 주요부인 밴드 유닛(200) 중 메인 밴드(210)에 스페이서(300)를 결합시켜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계속하여, 시술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말단(①, ②, ③) 중 ②의 말단, 즉 메인 밴드(210)의 타단부로부터 스페이서(300)를 결합하여 이동시켜 삽입부(401)를 통하여 삽입시키고, 스페이서(300)를 제1 극돌기(501p)와 제2 극돌기(502p) 사이에 배치한다.
이때, 세 말단(①, ②, ③) 중 나머지 ①, ③의 말단, 즉 보조 밴드(220)의 타단부와 메인 밴드(210)의 일단부 또한 스페이서(300)를 관통시켜 고정한다.
이후, 시술자는 스페이서(300)에 고정된 세 말단(①, ②, ③)을 스페이서(300)에 밀착되게 절단한 다음, 삽입부(401)와 배출부(402)를 봉합함으로써 시술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으로써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최적의 시술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다양한 환자의 체형에 맞게 대응이 가능하며, 시술후 견고한 고정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면서도 미세한 동작을 허용함으로써 원래의 척추뼈와 같은 상태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니들 유닛
110...니들 본체
120...첨두부
130...결합 어셈블리
131...단턱부
132...돌편
133...후크편
200...밴드 유닛
210...메인 밴드
211...제1 걸이홀
211r...제1 걸림링
220...보조 밴드
221...제2 걸이홀
221r...제2 걸림링
230...클램프편
300...스페이서
400...배부
401...삽입부
402...배출부
501...제1 척추뼈
502...제2 척추뼈(제2 극돌기(502p)가 돌출된 척추뼈)
501p...제1 극돌기(극돌기)
502p...제2 극돌기(극돌기와 이웃한 극돌기)

Claims (13)

  1. 환자의 배부(背部)에 절개된 삽입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척추뼈로부터 돌출된 극돌기(spinous process)와 이웃한 극돌기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배부에 절개된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 가능한 니들 유닛(needle unit);
    상기 니들 유닛의 단부에 탈착 결합되고 텐션을 가지며,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의 사이와, 상기 극돌기의 외곽과, 상기 이웃한 극돌기의 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를 상호 고정하는 밴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니들 유닛은,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니들 본체와, 상기 니들 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첨두부와, 상기 니들 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밴드 유닛이 탈착되는 결합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첨두부가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고,
    상기 결합 어셈블리는,
    상기 니들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단차지게 절개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로부터 돌출된 돌편과, 상기 돌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니들 본체의 일단부측으로 절곡된 후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 유닛은 상기 극돌기가 돌출된 척추뼈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가 돌출된 척추뼈 상호간의 동작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배출부는 상기 니들 유닛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배출부는 상기 니들 본체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6. 삭제
  7. 환자의 배부(背部)에 절개된 삽입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척추뼈로부터 돌출된 극돌기(spinous process)와 이웃한 극돌기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배부에 절개된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 가능한 니들 유닛(needle unit);
    상기 니들 유닛의 단부에 탈착 결합되고 텐션을 가지며,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의 사이와, 상기 극돌기의 외곽과, 상기 이웃한 극돌기의 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를 상호 고정하는 밴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밴드 유닛은,
    제1 길이를 가지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메인 밴드와,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가지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고, 상기 메인 밴드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보조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밴드의 일단부와 상기 보조 밴드의 타단부는 상기 니들 유닛의 단부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밴드 유닛은,
    상기 메인 밴드의 일단부에 관통된 제1 걸이홀과,
    상기 제1 걸이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니들 유닛의 단부가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 걸림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밴드 유닛은,
    상기 보조 밴드의 타단부에 관통된 제2 걸이홀과,
    상기 제2 걸이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니들 유닛의 단부가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 걸림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밴드 유닛은,
    상기 보조 밴드의 일단부와 상기 메인 밴드가 결합된 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클램프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밴드의 타단부는 상기 극돌기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밴드의 일단부는 상기 이웃한 극돌기의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밴드의 타단부는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 사이의 공간을 지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는,
    상기 메인 밴드에 결합되어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 밴드의 타단부 및 상기 메인 밴드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는,
    상기 밴드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극돌기와 상기 이웃한 극돌기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밴드 유닛을 고정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KR1020140164952A 2014-11-25 2014-11-25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KR101647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952A KR101647457B1 (ko) 2014-11-25 2014-11-25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CN201580058455.1A CN107072798B (zh) 2014-11-25 2015-11-24 棘突间带结合用器具
JP2017525353A JP6360632B2 (ja) 2014-11-25 2015-11-24 棘突起間バンド結合用機構
PCT/KR2015/012638 WO2016085228A1 (ko) 2014-11-25 2015-11-24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US15/523,599 US10231760B2 (en) 2014-11-25 2015-11-24 Instrument for band coupling between spinous proce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952A KR101647457B1 (ko) 2014-11-25 2014-11-25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371A KR20160062371A (ko) 2016-06-02
KR101647457B1 true KR101647457B1 (ko) 2016-08-10

Family

ID=5607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952A KR101647457B1 (ko) 2014-11-25 2014-11-25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31760B2 (ko)
JP (1) JP6360632B2 (ko)
KR (1) KR101647457B1 (ko)
CN (1) CN107072798B (ko)
WO (1) WO2016085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53B1 (ko) * 2014-12-03 2016-08-10 주식회사 메드릭스 극돌기간 밴드 고정용 스페이서 장치
CN107669329A (zh) * 2017-10-24 2018-02-09 苏州爱宝利恩精密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穿刺头可拆换的医用骨科植入捆扎带
FR3111788B1 (fr) * 2020-06-29 2022-08-05 Michel Lochard Kit pour la réalisation d’une prothèse de liaison entre au moins deux processus épineux d’une colonne vertébral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068B1 (ko) 1991-08-26 1998-04-30 제임스 씨. 데세사레 미확인(Mystery) 돼지 질병 관련 바이러스제
FR2775183B1 (fr) * 1998-02-20 2000-08-04 Jean Taylor Prothese inter-epineuse
US6273852B1 (en) 1999-06-09 2001-08-14 Ethicon, In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treating female urinary incontinence
US7121997B2 (en) * 1999-06-09 2006-10-17 Ethicon, In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treating female urinary incontinence
US7048736B2 (en) 2002-05-17 2006-05-23 Sdgi Holdings, Inc. Device for fixation of spinous processes
KR100545060B1 (ko) * 2004-05-17 2006-01-24 (주)우리들척추건강 골해영상 클러스터링 방법 및 시스템
EP1746947A4 (en) * 2004-05-17 2010-05-05 Wooridul Spine Health Inst Co SPINE OF USE
KR100620115B1 (ko) 2004-10-08 2006-09-19 (주)우리들척추건강 척추간 삽입체
KR100620114B1 (ko) * 2004-10-08 2006-09-19 (주)우리들척추건강 척추간 삽입체
US8092459B2 (en) * 2005-02-17 2012-01-10 Kyphon Sarl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ES2350530T3 (es) * 2005-06-20 2011-01-24 Synthes Gmbh Aparato para el tratamiento de huesos.
KR100850323B1 (ko) * 2005-12-27 2008-08-18 주식회사 엔에이치에스 척추간 삽입체
KR101013094B1 (ko) 2008-11-07 2011-02-14 신재혁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WO2010118021A1 (en) * 2009-04-09 2010-10-14 Synthes Usa, Llc Minimally invasive spine augmentation and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CN201591612U (zh) * 2009-09-22 2010-09-29 株式会社我立得脊柱健康研究所 椎间植入物
KR101333657B1 (ko) 2011-03-03 2013-11-27 정순명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2798B (zh) 2019-01-08
JP2017533771A (ja) 2017-11-16
KR20160062371A (ko) 2016-06-02
CN107072798A (zh) 2017-08-18
US10231760B2 (en) 2019-03-19
US20170311992A1 (en) 2017-11-02
JP6360632B2 (ja) 2018-07-18
WO2016085228A1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9729B (zh) 骨固定构件系统和使用方法
US8992579B1 (en) Lateral fixation constructs and related methods
JP5793185B2 (ja) 多軸関節の治療用デバイス、器具および方法
EP1933740B1 (en) Cable and crimp for bone surgery
US8277451B2 (en) Two members cerclage tool
TWI589264B (zh) 骨植入物
US11690658B2 (en) Patella bone plate and methods of fixation
CN106859706A (zh) 具有用于脊柱手术操作的应用的手术工具及其使用方法
JP2005528132A (ja) 脊椎椎間板を処置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469567B1 (ko) 극간 임플란트 및 이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
KR101030462B1 (ko)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CN104918568A (zh) 用于骨固定装置的锁定构件
KR20100130591A (ko) 골반 케이블 솔루션
KR101647457B1 (ko)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JP2017531507A (ja) アンカー/インプラント配備装置およびそれに関係する組織修復方法
US8663101B2 (en) Surgical instrument for operations on the spinal column
KR101647453B1 (ko) 극돌기간 밴드 고정용 스페이서 장치
KR100908892B1 (ko) 뼈골절치료용시술기구
CN103222889B (zh) 植骨器
RU2547784C1 (ru) Способ фиксации васкуляризированного надкостнично-кортикального трансплантата
US11471294B2 (en) Transcortal bone joint fusion system
US20070162040A1 (en) Spinal distraction and endplate preparation device and method
KR101636977B1 (ko) 척추고정나사 시술용 클램퍼
RU2290886C2 (ru) Способ наложения сухожильного шва
KR101736054B1 (ko) 봉합사 고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