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275A -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275A
KR20100050275A KR1020080109491A KR20080109491A KR20100050275A KR 20100050275 A KR20100050275 A KR 20100050275A KR 1020080109491 A KR1020080109491 A KR 1020080109491A KR 20080109491 A KR20080109491 A KR 20080109491A KR 20100050275 A KR20100050275 A KR 2010005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wagon
platform
fixed
transpor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282B1 (ko
Inventor
이권순
한근조
이영진
한동섭
이진우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주)범창종합기술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범창종합기술,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범창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8010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28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20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forwarding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화차와 트럭간 간단하고 신속하며 안정적으로 트레일러를 이, 적재시킬 수 있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DMT) 수송시스템을 제공한다. 그 수송시스템은, 양측의 플랫폼(2) 사이에 설치된 선로를 따라 이동되는 화차(1)에는 버킷(3)이 피봇핀(P)에 의해 회전 및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버킷(3)에는 트레일러(T)가 이, 적재 가능하게 탑재되며, 화차(1)의 전, 후에는 개구부(4)가 형성되고; 버킷(3)이 플랫폼(2)영역에서 회전할 때 버킷(3)의 하부를 구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플랫폼(2)에 설치되는 복수의 랙(10)과, 화차(1)에 설치된 버킷(3)을 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화차(1)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위치시키고, 버킷(3)을 회전시키기 위해 플랫폼(2)에 설치되는 위치조정/회전장치(20)와, 화차(1)가 정위치에 위치하면 버킷(3)을 상기 개구부(4)를 통해 상승시켜 회전대기상태를 이루도록, 선로상에 설치되는 리프트장치(30)를 포함한다.
DMT(Dual Mode Trailer) 수송시스템, 트레일러, 철도수송, 공로수송, 철도공로연계

Description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Bucket Rotation Type Dual Mode Trailer(DMT) Transportation System}
본 발명은 버킷을 회전시켜 트레일러를 철도와 도로에서 상호 호환적으로 하역할 수 있는 2중 모드 트레일러(Dual Mode Trailer(DMT)) 수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버킷의 위치를 정확히 조정하고 그 버킷을 신속하게 리프트시켜 회전시킬 수 있어 트레일러를 화차와 트럭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 적재할 수 있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가 간의 교역 또는 지역 간의 화물의 운송으로 인해 해상물동량의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운송 또는 교역에 의해 컨테이너를 활용한 물류수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방식은 육상수송과 해상수송으로 대별되며, 육상수송은 공로를 통한 수송과 철도를 통한 수송으로 분류된다. 현재, 공로는 포화상태에 있으며, 트레일러의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사고발생 및 매연으로 인한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철도를 통한 수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철도를 통한 수송을 증가시켜야 하는 이유로서, 비용이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송이 가능하기 때문이지만, 철도를 통한 수송에는 공로와의 연결지역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철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수송하기 위해서는 하역장 또는 장치장에 컨테이너를 보관해야 하므로 직배송(DTD(Door To Door)) 및 실시간 배송(JIT(Just In Time))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재 철송장에서는 대부분 크레인을 사용하여 트레일러와 화차 간 컨테이너를 이적재하고 있으나, 기관차의 전차화로 인해 작업장에 전선이 공중가설로 인해 크레인의 사용이 제한되거나 불가하게 되므로 새로운 형태의 컨테이너 이송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콘테이너를 철도차량에서 화물차량으로 또는 그 역으로 이, 적재 또는 하역시키기 위한 방식 즉,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또는 그 방식에 대한 연구 및 실시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예들 중 현재 가장 활발히 실시되고 있는 시스템으로서 한국특허 제774015호 및 제797200호가 있다.
상기 특허들 중 제774015호는 화물의 레일/도로 조합 수송 및 하역용 레일카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차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분리 가능한 연결부에 의하여 단부 플랫폼에 연결되어 강성 조립체를 형성하고, 운송을 위한 결합상태에서는 견인, 운송 및 하역에 의해 일어나는 모든 정적 또는 동적 힘을 전달하며, 하역을 위해 분리되는 경우에는 단부 플랫폼의 단부가 완전히 해제될 수 있고, 단부 플랫폼 사이에는 하역 작업 중 단부 플랫폼의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유지수단이 제 공되며, 유지수단은 견인, 운송 및 하역 작업과 관련된 정적 또는 동적 힘을 전달하지 않고, 레일 캐리어 구조체에는 상승력 및 회동력을 받는 위치에 배치되고 레일카에는 길이방향 중심선 중에 회동지점을 갖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또한 특허 제797200호는 특허 제774015호를 이용하여 콘테이너를 하역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캐리어 구조체를 상승시킨 후 회동시켜 콘테이너를 화차에서 트레일러로 또는 트레일러에서 화차로 이, 적재시키는 방법적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특허에서는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각각의 화차를 정위치 시키기 위한 방식이 복잡할 뿐 아니라 그와 같은 화차의 정위치와 동시에 화차를 회전시킬 수 없어 버킷의 회전에 과도하게 시간이 소요되어 이적재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차의 정위치를 위한 장치, 회전을 위한 장치 및 고정 장치 등과 같이 구성요소의 증가로 인해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하고 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차와 트럭간 간단하고 신속하며 안정적으로 트레일러를 이, 적재시킬 수 있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DMT)) 수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화차의 위치를 재설정함과 동시에 버킷을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버킷을 리프트시킬 수 있어 신속하게 콘테이너를 이, 적재 시킬 수 있는 버킷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은, 양측의 플랫폼 사이에 설치된 선로를 따라 이동되는 화차에는 트레일러가 탑재되며 양측에 고정편이 설치된 버킷이 피봇핀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고 일정범위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아이들링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화차의 전, 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철도/레일 조합 수송용 철도 스테이션에서 버킷을 회전시켜 트레일러를 이, 적재 시키기 위한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있어서, 버킷이 플랫폼영역에서 회전할 때 그 버킷의 하부를 구름운돈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플랫폼에 설치되는 복수의 랙; 화차에 설치된 버킷을 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화차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위치시키고, 버킷을 회전시키기 위해 플랫폼에 설치되는 위치조정/회전장치; 및 화차가 정위치에 위치하면 버킷을 개구부를 통해 상승시켜 회전대기상태를 이루도록, 선로상에 설치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또한, 양측의 플랫폼 사이에 설치된 선로를 따라 이동되는 화차에는 트레일러가 탑재되며 양측에 고정편이 설치된 버킷이 피봇핀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고 일정범위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아이들링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화차의 전, 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철도/레일 조합 수송용 철도 스테이션에서 버킷을 회전시켜 트레일러를 이, 적재시키기 위한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 러 수송시스템에 있어서, 버킷이 플랫폼영역에서 회전할 때 그 버킷의 하부를 구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버킷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롤러들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복수의 랙; 화차에 설치된 버킷을 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화차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위치시키고 버킷을 회전시키기 위해, 단부에는 버킷을 향해 회전 또는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플랫폼에 고정되는 고정봉에 아이들링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회전 운동을 위해 플랫폼에서 구름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실린더와, 그 실린더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는 버킷의 측부에 구비된 고정편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편이 구비되는 구동로드로 구성되는 위치조정/회전장치; 및 화차가 정위치에 위치하면 버킷을 개구부를 통해 상승시켜 회전대기상태를 이루도록, 선로의 지반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수축 및 전개 가능하게 설치되며 쌍을 이루는 복수의 링크와, 각각의 링크를 동시적으로 관절 작동시켜 상하로 전개 및 수축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와, 각각의 링크의 상단에 고정되며 버킷의 하부를 구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롤러를 구비한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의하면, 위치조정/회전장치에 의해 화차를 정위치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버킷을 회전시킬 수 있어 화물 또는 콘테이너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리프트장치가 버킷을 상승시킴은 물론 버킷을 안정적으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화물을 이,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모든 작동원을 플랫폼 또는 화차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을 이용할 수 있어 시스템 전체의 제어가 정확하고 안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적용되는 플랫폼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적용되는 화차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치 재설정/회전 장치를 보여주는 설계도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치조정/회전장치에 의한 위치 설정 및 조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서 리프팅장치를 보여주는 설계도들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서의 버킷의 승하강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서 버킷이 화차에서 플랫폼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서 버킷이 플랫폼에서 화차로 복귀하는 과정을 하나의 도면으로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8에 있어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차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은 화차(1)와 플랫폼(2)에 연동적으로 설치된다. 그 화차(1)에는 콘테이너 또는 트레일러가 탑재되는 버킷(3)이 피봇핀(P)에 의해 회전가능하고 또한 일정범위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아이들링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화차(1)의 전, 후에는 버킷(3)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장치의 상하운동을 위한 개구부(4)가 형성되는 기본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버킷(3)의 전후 양측에는 후술되는 위치조정/회전장치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편(5)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화차(1)의 이동시 버킷(3)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고정수단은 본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랫폼(2)에는 화차(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3)이 회전될 때 그 하부를 지지함은 물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철로를 중심으로 양측에 또한 버킷(3)의 회전반경 내에 복수의 랙(10)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랙(10)은 철로에 대해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랙(10)에는 복수의 지지롤러(supporting roller : 12)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각각의 지지롤러(12)들은, 버킷(3)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플랫폼(2)의 표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플랫폼(2)의 측면부, 즉 화차(1)를 향하는 면에는 그 화차(1)에 설치된 버킷(3)을 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화차(1)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위치시 킴은 물론 버킷(3)을 회전시키기 위한 위치조정/회전장치(20)가 설치된다.
그 위치조정/회전장치(20)는 일단부가 플랫폼(2)에 상하 및 좌우로 회전 또는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원통형 실린더(2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실린더(22)의 회전 또는 왕복운동을 위해 그 단부에는 고정부재(222)가 구비된다. 그 고정부재(222)는 플랫폼(2)에 고정되는 고정봉(224)에 회전가능하며 또한 일정범위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아이들링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실린더(22)에는 후술되는 구동로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공급되거나 출입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포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기술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실린더(22)의 선단부 근체에는 그 실린더(22)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회전 또는 회동 운동을 위해 지지부재(226)가 구비될 수 있다. 그 지지부재(226)는 롤러와 같이 구름운동 가능한 구동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위치조정/회전장치(20)의 실린더(22)에는 구동로드(24)가 왕복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물론, 그 구동로드(24)는 실린더(22)로 출입되거나 공급 또는 출입되는 유압에 따라 돌출되거나 복귀되는 방식으로 왕복 구동된다. 그 구동로드(24)의 선단에는 버킷(3)의 측부 또는 화차(1)의 측부에 구비된 고정편(5)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체결편(24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차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은 화차(1)가 정위치에 위치하면 버킷(3)을 상승시켜 회전대기상태를 이루도록 리프트장 치(30)를 구비한다. 그 리프트장치(30)는 화차(1)가 정위치에 위치할 때 그 화차(1)의 전, 후에 구비된 개구부(4)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선로의 적정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리프트장치(30)는 레일이 배치된 선로의 지반에 고정되는 베이스(32)를 구비한다. 그 베이스(32)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베이스(32)의 양 측의 적정 위치에는 후술되는 링크를 설치하기 위해 예컨대 4개의 고정편(322)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그 베이스(32)에는 수축 및 전개 가능한 링크(34)가 설치된다. 그 링크(34)는 안정적인 지지 및 리프팅 작용을 위해 4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링크(34)는 하단부가 베이스(32)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편(322)에 핀(34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링크부재(344)와, 그 제1링크부재(344)의 상단에 장핀(34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관절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348)로 구성된다. 특히, 장핀(346)은 좌우로 쌍을 이루는 각각의 링크(34)를 동시에 관절운동시킬 수 있도록, 그 양단이 제1링크부재(344)와 제2링크부재(348)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 쌍을 이루는 링크(34)를 연결하는 장핀(346)에는 각각의 링크(34), 즉 2쌍의 링크(34)를 동시적으로 관절 작동시킬 수 있도록 액튜에이터(36)가 작동적으로 설치된다. 그 액튜에이터(36)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즉, 그 액튜에이터(36)는 하나의 링크(34)쌍을 연결하는 일측의 장핀(346)에 단부가 연결되는 실린더(362)와, 그 실린더(362)에 왕복 가능하게 내설되며 단부가 다른 하나의 링크(34)쌍을 연결하는 타측의 장핀(346)에 연결되는 로드(364)로 구 성된다. 물론, 실린더(362)에는 플랫폼 또는 화차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유압이 공급되거나 출입될 수 있도록 도록 포트(미도시)가 설치되는 바, 이와 같은 기술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널리 공지된 사항이므로 발명의 명확성을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각각의 링크(34)의 상단에는 실제적으로 버킷(3)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8)가 구비된다. 그 지지부재(38)는 각각의 링크(34)의 제2링크부재(348)의 상단에 핀(382)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편(384)을 구비한다. 각각의 고정편(384)에는 지지판(386)이 지지된다. 그 지지판(386)은 베이스(32)와 유사하게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자체적인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성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판(386)에는 복수의 홈(387)이 형성되며, 이들 각각의 홈(387)은 버킷(3)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들 각각의 홈(387)에는 버킷(3)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롤러(388)가 설치된다. 각각의 롤러(388)는 버킷(3)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아이들 롤러 또는 회전 롤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차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을 이용한 화물의 이, 적재 방법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화물 또는 콘테이너(C)를 적재한 트레일러(T)를 버킷(3)에 적재한 화차(1)가 선로를 따라 역사의 플랫폼(2)으로 진입하여 완전 정지하면, 일측 또는 타측의 플랫폼(2)에 설치된 위치조정/회전장치(20)를 화차(1)에 설치된 버킷(3)을 향해 회전시켜 그것의 구동로드(24)의 단부에 구비된 체결편(242)을 버킷(3)의 측부에 구비된 고정편(5)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실린더(22)를 유압으로 작동시켜 구동로드(24)를 밀어내어 그 길이를 조절한 후 체결편(242)을 고정편(5)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위치조정/회전장치(20)의 체결편(242)이 버킷(3)의 고정편(5)에 체결된 상태에서, 실린더(22)를 유압으로 작동시켜 구동로드(24)를 당겨 버킷(3)을 당기면 그 버킷(3)과 일체적으로로 연결된 화차(1)가 당겨져 정위치에 배치된다. 예컨대, 도 에서와 같이 화차(1)가 정위치보다 뒤에 정차한 경우에는 일측의 플랫폼(2)에 설치된 위치조정/회전장치(20)의 구동로드(24)를 당겨 화차(1)를 진행방향으로 이동시켜 정위치에 배치시킨다. 반대의 경우, 즉 화차(1)가 정위치를 지나 정차한 경우에는 타측의 플랫폼(1)에 설치된 위치조정/회전장치(20)의 구동로드(24)를 당겨 화차(1)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정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양측 모두의 플랫폼(2)에 설치된 모든 위치조정/회전장치(20)의 구동로드(24)를 버킷(3)에 연결하여 구동로드(24)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화차(1)를 정위치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화차(1)가 정위치에 배치되면, 즉 각각의 화차(1)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부(5)가 리프트장치(30)상부에 정위치하게 되면, 리프트장치(30)를 작동시켜 버킷(3)을 상승시킨다. 즉, 리프트장치(30)의 액튜에이터(36)의 실린더(362)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작동시켜 로드(364)를 당기면, 각각의 링크(34)쌍을 연결하는 일측의 장핀(346) 및 타측의 장핀(346)이 서로를 향해 당겨짐과 동시에 각각의 링크(34)의 제1링크부재(344) 및 제2링크부재(348)가 상방으로 전게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링크부재(344;348)가 상방으로 전개됨과 동시에, 제2링크부재(348)에 고정된 지지판(386)이 상방으로 상승되며, 그 지지판(386)에 구비된 각각의 롤러(388)가 버킷(3)의 하부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버킷(3)이 상승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롤러(388)가 버킷(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버킷(3)이 리프트장치(30)에 의해 상승되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위치조정/회전장치(20)를 작동시켜 버킷(3)을 피봇핀(P)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즉, 양측의 플랫폼(2)에 설치된 위치조정/회전장치(20)의 실린더(22)를 유압으로 작동시켜 구동로드(24)를 밀어내어 버킷(3)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후, 버킷(3)이 위치조정/회전장치(20)에 의해 화차(1)의 범위를 벗어나 계속적으로 회전하여 그 버킷(3)이 양측의 플랫폼(2)에 이르게 되면, 그 버킷(3)의 하부는 각각의 플랫폼(2)에 설치된 각각의 랙(10)에 의해 계속하여 설정된 범위까지 회전하게 된다. 즉, 버킷(3)의 전, 후 하부는 각각의 랙(10)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롤러(supporting roller : 12)에 의해 구름운동되어 최종위치까지 원활하게 회전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후에는 플랫폼(2)에 대기하고 있는 트럭에, 버킷(3)에 적재된 화물 또는 콘테이너가 적재된 트레일러(T)를 연결하여 목적지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역으로, 트럭에서 버킷(3)으로 화물 또는 콘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T)를 버킷(3)에 적재하거나 그 버킷(3)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경우에는 전술된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버킷(3)에 트레일러(T)를 적재한 상태에서, 각각의 위치조정/회전장치(20)의 실린더(22)에 유압을 공급하여 구동로드(24)를 당기면 버킷(3)이 피봇핀(P)을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플랫폼(2)으로부터 화차(1)를 향해 원위치로 복귀를 시작한다. 이때, 버킷(3)은 양측의 플랫폼(2)에 설치된 랙(10)의 각각의 지지롤러(12)에 의해 원활하게 구름회전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버킷(3)이 계속 회전운동하여 화차(1)에 도달하면 리프트장치(30)의 지지판(386)에 구비된 각각의 롤러(388)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화차(1)의 정위치에 정렬되며, 이때 위치조정/회정장치(20)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후, 리프트장치(30)의 액튜에이터(36)의 실린더(362)에 유압을 공급하여 역으로 작동시키면 로드(364)가 실린더(362)로부터 연장되어 각각의 장핀(344)을 양측으로 밀어내면 각각의 링크(34)쌍의 제1링크부재(344) 및 제2링크부재(348)가 접혀지면서 하강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버킷(3)이 화차(1)에 완전하게 안착된다.
이와 같이, 버킷(3)이 화차(1)에 완전하게 안착되면, 각각의 위치조정/회전장치(20)의 구동로드(24)의 체결편(242)을 버킷(3)의 측부에 구비된 고정편(5)으로부터 해제시킨 후 실린더(22)를 작동시켜 구동로드(24)를 원위치로 복귀시킨후, 그 위치조정/회전장치(20)를 각각의 플랫폼(2)을 향해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후에는 물론, 버킷(3)을 화차(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후 화차를 선로를 따라 목적지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크레인 또는 다른 대형 리프트 수단 없이 화물 또는 콘테이너가 적재된 트레일러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 적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발명에 따른 화차회전형 2중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의하면, 위치조정/회전장치에 의해 화차를 정위치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버킷을 회전시킬 수 있어 화물 또는 콘테이너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 적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리프트장치가 버킷을 상승시킴은 물론 버킷을 안정적으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화물을 이, 적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모든 작동원을 플랫폼 또는 화차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을 이용할 수 있어 시스템 전체의 제어가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적용되는 플랫폼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적용되는 화차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치 재설정/회전 장치를 보여주는 설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치조정/회전장치에 의한 위치 설정 및 조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서 리프트장치를 보여주는 설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서의 버킷의 승하강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서 버킷이 화차에서 플랫폼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서 버킷이 플랫폼에서 화차로 복귀하는 과정을 하나의 도면으로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화차 2: 플랫폼
3: 버킷 4: 개구부
5: 고정편 10: 랙
20: 위치조정/회전장치 30: 리프트장치

Claims (8)

  1. 양측의 플랫폼(2) 사이에 설치된 선로를 따라 이동되는 화차(1)에는 버킷(3)이 피봇핀(P)에 의해 회전 및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킷(3)에는 트레일러가 이, 적재 가능하게 탑재되며, 상기 화차(1)의 전, 후에는 개구부(4)가 형성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버킷(3)이 상기 플랫폼(2)영역에서 회전할 때 상기 버킷(3)의 하부를 구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플랫폼(2)에 설치되는 복수의 랙(10);
    상기 화차(1)에 설치된 버킷(3)을 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화차(1)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위치시키고, 상기 버킷(3)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플랫폼(2)에 설치되는 위치조정/회전장치(20); 및
    상기 화차(1)가 정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버킷(3)을 상기 개구부(4)를 통해 상승시켜 회전대기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선로상에 설치되는 리프트장치(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랙(10)에는 상기 버킷(3)의 하부를 구름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supporting roller : 12)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롤러(12)들은 상기 버킷(3)외 회전궤적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위치조정/회전장치(20)는 일단부가 상기 플랫폼(2)에 상하 및 좌우로 회전 또는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압 실린더(22)와, 상기 실린더(22)에 왕복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버킷(3)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로드(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회전장치(20)의 실린더(22)의 단부에는 상기 버킷(3)을 향해 회전 또는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222)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222)는 상기 플랫폼(2)에 고정되는 고정봉(224)에 회전가능하고 일정범위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아이들링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구동로드(24)의 선단에는 상기 버킷(3)의 측부에 구비된 고정편(5)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편(24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2)의 하부에는, 상기 실린더(22)의 회전 운동을 위해 상기 플랫폼(2)에서 구름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부재(22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30)는 선로의 지반에 고정되는 베이스(32)와, 상기 베이스(32)에 수축 및 전개 가능하게 설치되며 쌍을 이루는 복수의 링 크(34)와, 상기 각각의 링크(34)를 동시적으로 관절 작동시켜 상하로 전개 및 수축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36)와, 상기 각각의 링크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버킷(3)의 하부를 구름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30)의 베이스(32)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32)에는 상기 각각의 링크(34)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편(322)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링크(34)는 하단부가 베이스(32)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편(322)에 핀(34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링크부재(344)와, 상기 제1링크부재(344)의 상단에 장핀(34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관절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348)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장핀(346)은 좌우로 쌍을 이루는 각각의 링크(34)를 동시에 관절운동시킬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344)와 제2링크부재(348)에 연결되고; 상기 액튜에이터(36)는 하나의 링크(34)쌍을 연결하는 일측의 장핀(346)에 단부가 연결되는 실린더(362)와, 상기 실린더(362)에 왕복 가능하게 내설되며 단부가 다른 하나의 링크(34)쌍을 연결하는 타측의 장핀(346)에 연결되는 로드(364)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8)는 상기 각각의 링크(34)의 제2링크부재(348)의 상단에 핀(382)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편(384)과, 상기 각각의 고정편(384)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지지판(386)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386)에는 복수의 홈(387)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홈(387)에는 상기 버킷(3)의 하부를 구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버킷(3)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롤러(38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8. 철도/레일 조합 수송용 철도 스테이션의 양측의 플랫폼(2) 사이에 설치된 선로를 따라 이동되는 화차(1)에는 버킷(3)이 피봇핀(P)에 의해 회전 및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킷(3)에는 트레일러(T)가 이, 적재 가능하게 탑재되며, 상기 화차(1)의 전, 후에는 개구부(4)가 형성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버킷(3)이 상기 플랫폼(2)영역에서 회전할 때 상기 버킷(3)의 하부를 구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버킷(3)외 회전궤적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롤러(supporting roller : 12)들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복수의 랙(10);
    상기 화차(1)에 설치된 버킷(3)을 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화차(1)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위치시키고 상기 버킷(3)을 회전시키기 위해, 단부에는 상기 버킷(3)을 향해 회전 또는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랫폼(2)에 고정되는 고정봉(224)에 아이들링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222)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회전 운동을 위해 상기 플랫폼(2)에서 구름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부재(226)를 구비하는 실린더(22)와, 상기 실린더(22)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는 상기 버킷(3)의 측부에 구비된 고정편(5)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편(242)이 구비되는 구동로드(24)를 로 구성되는 위치조정/회전장치(20); 및
    상기 화차(1)가 정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버킷(3)을 상기 개구부(4)를 통해 상승시켜 회전대기상태를 이루도록, 선로의 지반에 고정되는 베이스(32)와, 상기 베이스(32)에 수축 및 전개 가능하게 설치되며 쌍을 이루는 복수의 링크(34)와, 상기 각각의 링크(34)를 동시적으로 관절 작동시켜 상하로 전개 및 수축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36)와, 상기 각각의 링크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버킷(3)의 하부를 구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롤러(388)를 구비한 지지부재(38)로 구성되는 리프트장치(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KR1020080109491A 2008-11-05 2008-11-05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KR100993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491A KR100993282B1 (ko) 2008-11-05 2008-11-05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491A KR100993282B1 (ko) 2008-11-05 2008-11-05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275A true KR20100050275A (ko) 2010-05-13
KR100993282B1 KR100993282B1 (ko) 2010-11-09

Family

ID=4227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491A KR100993282B1 (ko) 2008-11-05 2008-11-05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2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71558A1 (en) * 2017-06-21 2018-12-27 Atko Planning Inc. Manufacturing method of breathable hybrid-leat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946B1 (ko) 2012-03-16 2014-02-13 김묘남 중량물 견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8730A1 (de) 1986-03-18 1987-09-30 Fedde Walda Vollautomatische Lösch- und Ladeterminals für Sattelanhänger und Container
FR2774054B1 (fr) 1998-01-28 2000-09-15 Garrec Roger Le Wagon a plate-forme pivotante permettant d'effectuer rapidement l'embarquement, la fixation, le debarquement d'un camion
JP2000085574A (ja) 1998-09-11 2000-03-28 Toku Kinoshita 車両運搬用貨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71558A1 (en) * 2017-06-21 2018-12-27 Atko Planning Inc. Manufacturing method of breathable hybrid-leather
US10822667B2 (en) * 2017-06-21 2020-11-03 Atko Planning Inc. Manufacturing method of breathable hybrid-leat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282B1 (ko)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893B1 (ko) 철도 왜건 및 그 선적 방법
US7438515B2 (en) Container dump truck and oblique transfer system
US20130011230A1 (en) Cargo container transfer pallet and system
KR100797200B1 (ko) 레일/도로 조합 수송용 철도 스테이션에서 레일카의 수송 및 비스듬한 하역을 위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하역 방법
BG62262B1 (bg) Товарен вагон за релси
SU878188A3 (ru) Грузовой автомобиль дл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 на поддонах
US6695561B2 (en) Container drive-by-transfer and system
CZ292926B6 (cs) Železniční nákladní vůz
US7014410B2 (en) Container drive-by transfer and system
US20050244256A1 (en) Container dump truck and oblique transfer system
KR100993282B1 (ko)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US3075479A (en) Railway car for freight trucks and the like
KR100993279B1 (ko)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용 컨테이너 수평이송장치
KR101202461B1 (ko) 시설물 구동형 컨테이너 수평 이송 시스템
CZ284212B6 (cs) Nákladní vůz pro vytváření kolejového nákladního vlaku pro kombinovanou nákladní dopravu na kolejnicích a na silnici
RU2282548C2 (ru) Поворачивающее опорное основание для поворотной несу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вагона-платформы для комбинированных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и шоссейных транспортировок
KR100993281B1 (ko) 콘테이너 수평이송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KR100779271B1 (ko) 레일/도로 조합 수송용 레일카의 레일 캐리어 구조체의 상승 및 회동 기구
EP3441277B1 (en) Mechanism for lifting of car-carrying wagon boarding plates
US4397601A (en) Convertible rail-highway vehicle
SU1735085A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а платформа дл перевоз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грузов
CS13291A2 (en) Transport wagon, especially hauling wagon and mode of its loading and unloading
JP2588455Y2 (ja) 車両運搬用トレーラ
TWI675762B (zh) 具有導引裝置的拖吊車
CN211617691U (zh) 一种驮背车用纵向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