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951A -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951A
KR20100049951A KR1020080109008A KR20080109008A KR20100049951A KR 20100049951 A KR20100049951 A KR 20100049951A KR 1020080109008 A KR1020080109008 A KR 1020080109008A KR 20080109008 A KR20080109008 A KR 20080109008A KR 20100049951 A KR20100049951 A KR 20100049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fiber
pet
ptt
fibe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377B1 (ko
Inventor
김연수
윤병섭
김현직
마진숙
최미남
민기훈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37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2Side-by-side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co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4Selection or control of the temperature during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8Stretching in two or more steps, with or without intermediate ste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성 복합섬유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종(異種)의 폴리에스테르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PTT의 고유점도(Ⅳ)가 0.90 내지 1.10dl/g이고, PET의 고유점도(Ⅳ)가 0.50 내지 0.65dl/g으로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방사속도가 1600 내지 3300m/min로 부분 연신사(POY)를 사용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의 복합섬유로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복합섬유를 80 내지 95℃의 연신온도로하고 160 내지 180℃로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사이드-바이-사이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잠재권축성 복합섬유, 부분연신사(POY)

Description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Composite fibers of high elastic polyes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잠재권축성을 지니는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종의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를 복합방사한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포츠웨어 및 일반적인 의류 분야에서도 고신축성을 요구하는 원단의 수요가 커지면서 스판덱스 시장이 함께 성장해 왔다. 그렇지만, 스판덱스의 경우 내알카리성에 문제가 있으며, 스판덱스 원사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별도의 커버링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원단을 얻을 수 밖에 없어서 점점 얇은 원단을 원하는 시장의 요구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스판덱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점도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이드-바이-사이드 방식으로 복합 방사하여 원단 제조시 부여되는 열 수축차에 의한 크림프를 발현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 신축성 잠재권축사가 제시되었다.
일본 특공평 제10-72732호 및 일본 특공평 제9-209217호에서는 극한 점도차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2종을 사용하는 방법과 일본 특공평 제3-161519호 및 일본 특공평 제9-414234호에서는 고수축성의 공중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 발현성 섬유의 제조방법등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잠재권축사는 스판덱스에 비해 현저히 낮은 신축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한 잠재권축사가 미국특허 제3,671,379호에 등장하여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잠재권축사는 일반적인 신축성 복합섬유의 경우, 무하중 비수처리후 열세트시 그 고정성이 70%수준 또는 그 이하이고, 열세트 전후의 10% 신장시 탄성모듈러스 및 파단신도의 변화율이 20%이상이어서 후공정중, 또는 최종 가공후에도 형태변형이 심하게 발생하여 제품 가공시 그 조건 설정이 까다롭고 치수를 안정화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49484호에서는 2종의 복합성분중 1종을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로 사용할 경우 소프트 스트레치성이 우수하여 지나친 조임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최근 직물의 추세인 촘촘하면서도 탄성회복율과 신장회복율이 우수한 잠재권축 섬유는 개발되지 않았는 바, 이에 대한 개발이 소망되었다.
본 발명은 우수한 권축 특성 및 신장 회복율을 갖춘 잠재 권축 섬유를 방사 및 연신 공정 제어를 통해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촘촘하고 부드러우면서 우수한 신장 회복율을 가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 조건 및 연신 조건을 제어하여 원사에서의 권축 특성 및 극대응력 온도, 극대 응력 값을 조절하여 기존의 잠재권축사보다 신축 특성이 향상된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종(異種)의 폴리에스테르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방사속도가 1600 내지 3300m/min로 부분 연신사(POY)를 사용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의 복합섬유로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된 복합섬유를 80 내지 95℃의 연신온도로하고 160 내지 180℃로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권축 특성 및 신장 회복율이 뛰어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PTT의 고유점도(Ⅳ)가 0.90 내지 1.10dl/g이고, PET의 고유점도(Ⅳ)가 0.50 내지 0.65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축 특성 및 신장 회복율이 뛰어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PTT와 PET의 비율을 45:55 내지 50:5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축 특성 및 신장 회복율이 뛰어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신비가 1.5 내지 2.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축 특성 및 신장 회복율이 뛰어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에 있어서, 이종(異種)의 폴리에스테르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이드-바이-사이드형으로 복합한 섬유이며, (1) 파단 신도가 25% 내지 40%이고, (2) 건열 수축 응력의 최대 응력치가 0.3 내지 0.6 G/D이고, (3) 건열 수축 최대 응력 발현시 온도가 180 내지 200℃이며, (4) LEESONA 측정 후 수축된 길이가 16 내지 22cm이고, (5) 탄성 회복율이 35 내지 50%이고, (6) 교락수가 40 내지 70 개/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PTT와 PET의 비율을 45:55 내지 50:5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 복합섬유를 연사 혹은 무연으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섬유는 기존의 잠재권축 발현형 섬유보다 균일하고 우수한 신축특성을 나타내며 안정적인 공정으로 인해 조업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안정적인 방사 공정 및 연신 공정 제어를 통해 우수한 권축 특성 및 뛰어난 신장 회복율을 갖춘 잠재 권축 섬유 제조 및 촘촘하고 부드러우면서 우수한 신장 회복율을 가진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로서 35 내지 50%의 탄성 회복율을 가지게 되며, 30%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직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원단”이라 함은 제직 또는 편직에 의해 제조되는 물품, 부직포 및 섬유상 웹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이종의 폴리에스테르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이용하여 권축 특성 및 신장 회복율이 뛰어난 잠재 권축 복합섬유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 1성분이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이고, 제 2성분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인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PTT와 PET를 용융단계를 거쳐 별개의 토출구멍을 통해 방사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PTT와 PET의 비율은 45:55 내지 50:50으로 하는데, PTT의 비율이 50을 초과하게 되면 신축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PTT의 고유점도(Ⅳ)는 0.90 내지 1.10dl/g이고, PET의 고유점도(Ⅳ)가 0.50 내지 0.65dl/g임이 바람직한데, 고유점도가 상기범위 미만인 경우 유동성이 커지고 권축성이 떨어지며 계면간의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고유 점도가 상기범위를 초과하면 탄성회복율이 떨어지고, PET의 경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PTT와의 점도차가 작게되면 신축성이 떨어진다. PTT와 PET의 폴리머의 점도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원사 및 직물의 신축특성을 시험할 경우, 두 폴리머간의 점도차를 되도록 크게 해주는 것이 신축특성 발현에 유리하다.
상기 물성 발현을 위한 제조방법으로 방사속도는 1600 내지 3300m/min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방사속도가 2000 내지 3000m/min 이다. 방사 속도가 상기범위를 초과하면 방사 작업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방사속도가 상기범위 미만인 경우 부분 연신사(POY)의 물성변화가 있을 수 있어 안정적인 제조조건의 확립이 어렵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복합 방사 장치의 모식도로 토출공을 통해 방사된 개개의 섬유상 중합체를 방사구금 바로 밑에서 사이드-바이-사이드형으로 복합섬유를 수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연신 공정에서는 연신 온도, 연신비가 복합섬유의 권축 특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인자로서 적정한 조건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본 발명의 연신온도는 80 내지 95℃로 함이 바람직하다. 연신온도가 80℃ 미만인 경우에는 섬유의 균일성이 떨어지고, 품질이 불량한 상태가 되며, 연신온도가 95℃가 초과되는 경우 작업성이 떨어지고 섬유가 쉽게 끊어진다
상기 본 발명의 연신비는 1.5 내지 2.5배로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배의 연신비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연신비가 1.5 배 미만이면 권축 특성이 적게 되고, 상기범위를 초과하여 2.5배보다 많게 되면 연신비는 제사 작업성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므로 적정 연신비 선정이 되어야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열처리 온도 또한 중요한 인자로서 열처리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극대응력발현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권축 특성을 좋게 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80℃로 한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열처리 할 경우 복합섬유의 권축성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열처리 할 경우 작업성이 좋지 않으며 제조경비가 많이 들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는, 방사조건 및 연신조건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극대응력 개시온도를 80 내지 100℃, 극대응력 발현온도를 180 내지 220℃, 극대응력값을 0.3 내지 0.6g/d수준으로 조절하여 원사의 권축 특성 및 탄성 회복율을 적절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는 파단 신도가 25% 내지 40%이고, 건열 수축 응력의 최대 응력치가 0.3 내지 0.6 G/D을 나타내며 건열 수축 최대 응력 발현시 온도가 180 내지 200℃이며, LEESONA 측정 후 수축된 길이가 16 내지 22cm이고, 교락수가 40 내지 70 개/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의 잠재권축성 복합섬유로 35 내지 50%의 탄성 회복율을 가지게 되며, 30%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직물의 특징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최종적으로 제조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단면형태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은 연신과 권취 사이에 교락부여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섬유의 균일성 및 염색성이 좋게 되며, 공정속도를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잠재권축성 복함섬유를 이용한 직물 또는 편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모노 데니어의 굵기가 7.8데니어이면서, 총데니어가 380데니어이며 고유점도 가 1.10dl/g인 PTT와 고유점도가 0.55dl/g인 PET 잠재 권축 복합 필라멘트사를 방사속도 2000m/min으로 방사하여 부분 배향사를 제조한 후, 별도의 연신 장치를 사용하여 제1 고뎃 로울러의 온도 92℃, 열처리 온도 182℃, 연신비 2.5로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균일한 교락을 위해서 제2 고뎃 로울러에 오버피드 2%를 주었는데 롤러의 표면에 선속도 차이를 줌으로써 균일한 교락을 부여할 수 있었다. 노즐은 1개의 노즐을 제2 고뎃 로울러와 와인더사이에 설치하여 2.5kg/m²의 공기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사는 모노 데니어의 굵기가 3.1데니어이면서, 총데니어가 150데니어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원사를 800TM으로 연사하여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워터제트 직기에서 평직으로 제직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하였다.
염색 가공 완료된 직물의 신장율, 신장 회복율 등의 물성은 KSK규격에 의거하여 각각 10회씩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준비된 원사가 무연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준비된 원사를 800TM으로 연사하여 편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준비된 원사를 무연으로 연사하여 편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모노 데니어의 굵기가 3.1데니어이면서, 총데니어가 150데니어이며 고유점도가 1.10dl/g인 PTT와 고유점도가 0.55dl/g인 PET 잠재 권축 복합 필라멘트사를 방사속도 4000m/min으로 방사하여 완전 배향사를 제조하여, 열처리 온도 182℃, 연신비 2.5로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원사를 800TM으로 연사하여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워터제트 직기에서 평직으로 제직 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하였다.
염색 가공 완료된 직물의 신장율, 신장 회복율 등의 물성은 KSK규격에 의거하여 각각 10회씩 측정하였다.
비교예 2
준비된 원사가 무연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준비된 원사를 800TM으로 연사하여 편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준비된 원사를 무연으로 연사하여 편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모노 데니어의 굵기가 3.1데니어이면서, 총데니어가 150데니어이며 고유점도가 0.85dl/g인 PTT와 고유점도가 0.67dl/g인 PET 잠재 권축 복합 필라멘트사를 방사속도 2000m/min으로 방사하여 완전 배향사를 제조하여, 열처리 온도 182℃, 연신비 2.5로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원사를 800TM으로 연사하여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워터제트 직기에서 평직으로 제직 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하였다.
염색 가공 완료된 직물의 신장율, 신장 회복율 등의 물성은 KSK규격에 의거하여 각각 10회씩 측정하였다.
비교예 6
준비된 원사가 무연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준비된 원사를 800TM으로 연사하여 편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준비된 원사를 무연으로 연사하여 편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9
모노 데니어의 굵기가 3.1데니어이면서, 총데니어가 150데니어이며 고유점도가 1.10dl/g인 PTT와 고유점도가 0.55dl/g인 PET 잠재 권축 복합 필라멘트사를 방사속도 2000m/min으로 방사하여 완전 배향사를 제조하여, 열처리 온도 182℃, 연신비 3.0으로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원사를 800TM으로 연사하여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워터제트 직기에서 평직으로 제직 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하였다.
염색 가공 완료된 직물의 신장율, 신장 회복율 등의 물성은 KSK규격에 의거하여 각각 10회씩 측정하였다.
비교예 10
준비된 원사가 무연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준비된 원사를 800TM으로 연사하여 편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준비된 원사를 무연으로 연사하여 편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9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구분 PTT 고유점도 (dl/g) PET 고유점도(dl/g) 연신비(배) 강 도 (G/D) 신도 (%) 탄성회복율 (%) LEESONA (cm) 극대응력값 (G/D) 극대응력온도(℃) 직물신장율 (%) 직물신장회복율(%) 촘촘함 &부드러움
실시예1 1.1 0.55 2.5 3.4 28 42 19 0.4 188 35 97 우수
실시예2 1.1 0.55 2.5 3.5 31 47 21 0.5 197 36 96 우수
실시예3 1.1 0.55 2.5 3.5 27 43 20 0.4 185 38 95 우수
실시예4 1.1 0.55 2.5 3.3 30 41 18 0.6 192 38 95 우수
비교 예1 1.1 0.55 2.5 3.6 24 32 23 0.3 210 32 85 보통
비교 예2 1.1 0.55 2.5 3.0 18 26 25 0.4 223 28 80 보통
비교 예3 1.1 0.55 2.5 3.3 22 30 24 0.4 225 33 86 보통
비교 예4 1.1 0.55 2.5 3.2 23 31 28 0.3 218 29 84 보통
비교 예5 0.85 0.67 2.5 3.1 30 28 23 0.4 206 20 80 보통
비교 예6 0.85 0.67 2.5 3.1 20 23 22 0.3 205 18 75 불량
비교 예7 0.85 0.67 2.5 3.0 22 24 24 0.2 216 19 76 불량
비교 예8 0.85 0.67 2.5 3.4 24 30 20 0.4 21 24 82 보통
비교 예9 1.1 0.55 3.0 3.0 20 27 26 0.2 213 19 75 불량
비교 예10 1.1 0.55 3.0 3.0 22 33 22 0.3 215 26 83 보통
비교 예11 1.1 0.55 3.0 3.2 23 29 23 0.3 205 25 84 보통
비교 예12 1.1 0.55 3.0 3.1 23 31 21 0.4 208 25 80 보통
※ 시험 방법
(1) 강도,신도의 측정
원사의 섬도는 1회 회전시 1m인 타래를 90m 감아 무게를 측정하고 9000m로 환산하여 구하였다. 섬유의 강도,신도의 측정은 자동 인장시험기(Textechno 社)를 사용하여 50cm/min의 속도, 50cm의 파지거리를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2) 탄성 회복율
ASTM D 672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시료는 5000 de 타래를 얻을 수 있도록 섬도별로 회전수를 조절하고, 100℃의 물에 15분동안 침지하여 아래와 같이 L1, L2를 측정한다.
L1 : 30g + 1000g 하중 적용 후, 측정. (stress & relax 3회 반복)
L2 : 1000g 하중 제거 30초 후, 측정.
계산식 : 탄성 회복율 = (L1-L2) / L2 × 100
(3) 극대 응력 온도 및 극대 응력 값
열 응력 측정 장치(KE-2: 가네보 엔지니어링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섬유를 22cm로 잘라서 10cm고리로 만들어서 측정기에 장치하였다. 측정시 초하중은 0.067 G/D, 승온 속도 2℃/초의 조건에서 측정하고, 열응력의 온도 변화를 차트에 기재하였다. 이 피크의 판독치로 부터 극대 응력 온도 및 극대 응력 값(G/D)을 측정하였다.
(4) LEESONA 수축 길이
시료의 초기 길이는 (20.5÷0.0016÷de÷2)미터(m)의 길이를, 1회 회전시 1m인 타래에 감아 양끝을 연결하여 초기길이를 50cm로 하고, 20.5g 초하중을 적용하여 82℃±2℃ 의 온수에 10분간 열처리하고 3~5분간 방치하여(물방울이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방치) 길이를 측정하였다.
(5) 직물의 신장율, 신장 회복율
직물의 신장율은 KSK 0352 5.2.2의 측정방법으로 10회 측정하였다.
직물의 신축 회복율은 KSK 0541의 측정방법으로 10회 측정하였다.
(6) 촘촘하고 부드러운 정도
직물의 태에 대한 효과를 10명의 전문가에 의한 검사 결과 8명 이상이 촘촘하고 부드럽다고 판단할 경우를 우수, 5 ~ 7명이 촘촘하고 부드럽다고 판단할 경우를 보통, 5명 미만이 촘촘하고 부드럽다고 판단할 경우를 불량으로 구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복합 방사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연신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최종적으로 제조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단면형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출기 2 : 방사팩
3 : 제 1 고뎃 로울러 4 : 부분 연신사(POY)
5 : 제 2 고뎃 로울러 6 : 닢 로울러
7 : 와인더 8 : 히트 플레이트
9 : 에어 노즐

Claims (7)

  1.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종(異種)의 폴리에스테르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방사속도가 1600 내지 3300m/min로 부분 연신사(POY)를 사용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의 복합섬유로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된 복합섬유를 80 내지 95℃의 연신온도로하고 160 내지 180℃로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권축 특성 및 신장 회복율이 뛰어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PTT의 고유점도(Ⅳ)가 0.90 내지 1.10dl/g이고, PET의 고유점도(Ⅳ)가 0.50 내지 0.65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축 특성 및 신장 회복율이 뛰어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PTT와 PET의 비율을 45:55 내지 50:5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축 특성 및 신장 회복율이 뛰어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비가 1.5 내지 2.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축 특성 및 신장 회복율이 뛰어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5.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에 있어서,
    이종(異種)의 폴리에스테르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이드-바이-사이드형으로 복합한 섬유이며,
    (1) 파단 신도가 25% 내지 40%이고,
    (2) 건열 수축 응력의 최대 응력치가 0.3 내지 0.6 G/D이고,
    (3) 건열 수축 최대 응력 발현시 온도가 180 내지 200℃인
    (4) LEESONA 측정 후 수축된 길이가 16 내지 22cm이고,
    (5) 탄성 회복율이 35 내지 50%이고,
    (6) 교락수가 40 내지 70 개/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6. 제5항에 있어서,
    PTT와 PET의 비율을 45:55 내지 50:5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섬유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 에 의한 섬유를 연사 혹은 무연으로 사용하여 경사 또는 위사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KR1020080109008A 2008-11-04 2008-11-04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10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08A KR101103377B1 (ko) 2008-11-04 2008-11-04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008A KR101103377B1 (ko) 2008-11-04 2008-11-04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51A true KR20100049951A (ko) 2010-05-13
KR101103377B1 KR101103377B1 (ko) 2012-01-06

Family

ID=4227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008A KR101103377B1 (ko) 2008-11-04 2008-11-04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3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357B1 (ko) * 2010-07-06 2013-01-24 주식회사 효성 관형 편직물 및 이를 이용하는 복합 중공사막
CN107385527A (zh) * 2017-06-02 2017-11-24 吴江佳力高纤有限公司 一种tss高弹性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CN107385528A (zh) * 2017-06-02 2017-11-24 吴江佳力高纤有限公司 一种高弹消光tsf复合纤维切片纺及其制备方法
KR20180063447A (ko) * 2016-12-02 2018-06-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열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12538662A (zh) * 2020-11-09 2021-03-23 江苏新视界先进功能纤维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高弹吸湿抗静电ptt/pet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442B1 (ko) 2010-10-12 2012-08-30 주식회사 아트매뉴팩쳐 신축성이 우수한 직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80B1 (ko) * 2005-01-31 2008-05-16 주식회사 코오롱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0796B1 (ko) * 2005-11-07 2007-03-28 주식회사 휴비스 자발 고권축 폴리에스테르 복합 단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방적사 및 부직포
KR101043884B1 (ko) * 2005-12-30 2011-06-22 주식회사 효성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KR20080059848A (ko) * 2006-12-26 2008-07-01 주식회사 효성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성 분섬용 섬유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357B1 (ko) * 2010-07-06 2013-01-24 주식회사 효성 관형 편직물 및 이를 이용하는 복합 중공사막
KR20180063447A (ko) * 2016-12-02 2018-06-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열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07385527A (zh) * 2017-06-02 2017-11-24 吴江佳力高纤有限公司 一种tss高弹性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CN107385528A (zh) * 2017-06-02 2017-11-24 吴江佳力高纤有限公司 一种高弹消光tsf复合纤维切片纺及其制备方法
CN112538662A (zh) * 2020-11-09 2021-03-23 江苏新视界先进功能纤维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高弹吸湿抗静电ptt/pet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377B1 (ko) 201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243B1 (ko)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TW577945B (en) Hetero-composite-composite yarn, fabric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KR101103377B1 (ko)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4292763B2 (ja) 複合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008255B (zh) 具有良好伸缩性的聚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KR101618073B1 (ko)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113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KR101103379B1 (ko) 염색성이 개선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9480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87734B1 (ko) 고속방사를 이용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4123646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糸条および布帛
KR20120132050A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3988422B2 (ja) 複合布帛の製造方法
JP6948048B2 (ja) 潜在捲縮性複合繊維
KR101599109B1 (ko) 선연 후가연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JP2007231473A (ja) 混繊複合糸及びその製造法
KR101850628B1 (ko)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고신축성의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4687091B2 (ja) ソフトストレッチ糸および布帛
KR102219084B1 (ko) 강도 및 신장률이 높은 인터레이스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4380519B2 (ja) ソフトストレッチ糸の製造方法
JP3833622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の製造方法及び同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JP3719258B2 (ja) ソフトストレッチ糸および製造方法ならびに布帛
JP2006257632A (ja) 複合布帛
JP4009484B2 (ja) ストレッチ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