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550A -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550A
KR20100048550A KR1020080107763A KR20080107763A KR20100048550A KR 20100048550 A KR20100048550 A KR 20100048550A KR 1020080107763 A KR1020080107763 A KR 1020080107763A KR 20080107763 A KR20080107763 A KR 20080107763A KR 20100048550 A KR20100048550 A KR 20100048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pedestrian
compressed ai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8550A/ko
Publication of KR2010004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2019/026Buffers, i.e. bumpers of limited ex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 시, 차량과 충돌된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의 충돌 가속도와 충돌 위치를 감지하도록 범퍼에 구비된 센서부와; 차량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충돌 가속도 값과 보행자의 충돌 위치 값을 전달받아 전체적인 제어를 하는 전자제어유닛과; 차량의 내부와 후드 및 윈드 실드가 결합되는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압축 공기를 분사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되어,
보행자 혹은 임의의 사물이 주행 중인 차량과 충돌 후, 차량의 후드 및 윈드 실드에 2차적으로 충돌하게 될 때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후드 및 윈드 실드에 충돌하게 되는 시간을 늘려 충돌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고, 압축 공기를 분사 시키는 분사 노즐의 장착 위치 자유롭게 이동하여 상해 저감 장치 전체 시스템의 편의성이 향상시키며 압축 공기만 방출한 후 충전해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 및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범퍼, 보행자, 충돌, 분사, 압축공기

Description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Collided pedestrian injury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가 차량의 범퍼와 충돌 시 차량의 윈드 실드 글라스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과 보행자간에 접촉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비교적 저속으로 접촉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보행자는 상당히 큰 부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차량과 보행자간에 접촉사고가 발생 시에 보행자의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보행자에게 인가되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차량에는 보행자 혹은 임의의 사물이 차량과 충돌 시 차량이 후드를 상승시키거나, 윈드 실드의 에어백을 전개함으로써 차량과 충돌한 보행자나 임의의 사물을 보호할 수 있었다.
차량의 후드를 상승시킬 경우 TTF(Time to fire)를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무거운 후드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인플레이터를 폭발시켜야 한다.
그러나 인플레이터는 폭발 작동이 시작되면 취소가 불가능하고, 한번 폭발하면 원상태로 복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용 및 원가 상승을 초래한다.
또한, 윈드 실드의 에어백을 전개하는 경우는 보행자의 충돌 부위를 효과적으로 전부 보호할 수 없고, 후드의 상승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전개가 시작되면 취소가 불가능하며 에어백이 전개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 추가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행자 혹은 임의의 사물이 주행 중인 차량과 충돌 후, 차량의 후드 및 윈드 실드에 2차적으로 충돌하여 발생되는 상해치를 현저히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압축 공기만 충전 및 방출하게 함으로써 복구가 가능하게 하여 비용 및 원가 절감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행자 혹은 임의의 사물과 차량의 충돌 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 시, 차량과 충돌된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의 충돌 가속도와 충돌 위치를 감지하도록 범퍼에 구비된 센서부와; 차량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충돌 가속도 값과 보행자의 충돌 위치 값을 전달받아 전체적인 제어를 하는 전자제어유닛과; 차량의 내부와 후드 및 윈드 실드가 결합되는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압축 공기를 분사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차량의 후드 및 윈드 실드에 배치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과 연결되고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분사 되는 압축 공기가 저장되는 압축 공기 탱크와;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 공기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분사 노즐에서 압축 공기가 분사 되도록 상기 압축 공기 탱크를 작동시키는 분사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 노즐과 상기 압축 공기 탱크는 압축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되는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차체 프레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신호 전달 와이어에 의해 상기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분사제어유닛으로 상기 압축 공기 탱크의 구동 여부 신호와 상기 범퍼에 충돌된 보행자의 충돌 위치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범퍼의 전면 내측에 복수 개의 상기 가속도 센서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는, 보행자 혹은 임의의 사물이 주행 중인 차량과 충돌 후, 차량의 후드 및 윈드 실드에 2차적으로 충돌하게 될 때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후드 및 윈드 실드에 충돌하게 되는 시간을 늘려 충돌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압축 공기를 분사 시키는 분사 노즐의 장착 위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해 저감 장치 전체 시스템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압축 공기만 방출한 후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구가 가능해져 비용 및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가 차량에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가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는, 차량이 보행자(H) 혹은 임의의 사물과 충돌 사고가 발생할 경우 차량에 충돌된 보행자(H)를 감지하고 충돌된 보행자(H)의 충돌 가속도와 충돌 위치를 감지하도록 범퍼(1)에 구비된 센서부(10)와;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10)로부터 충돌 가속도 값과 보행자(H)가 충돌된 위치 값을 전달받아서 전체적인 제어를 하는 전자제어유닛(20)과; 차량의 내부와 후드 및 윈드 실드가 결합되는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20)으로부터 구동 여부 신호와 충돌 위치 신호를 전달받아 압축 공기를 분사시키는 구동부(3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30)는 차량의 후드 및 윈드 실드가 결합되는 차체 프레임에 배치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31)과, 차량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 노즐(31)과 연결되어 상기 분사 노즐(31)로 분사되는 압축 공기가 저장되는 압축 공기 탱크(32)와, 상기 압축 공기 탱크(32)와 연결되고 압축 공기가 상기 분사 노즐(31)에서 분사되도록 상기 압축 공기 탱크(32)를 작동시키는 분사제어유닛(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 노즐(31)은 상기 후드(2) 및 윈드 실드(3)가 결합되는 차체 프레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이 구비되나,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이 상기 차체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분사 노즐(31)은 상기 압축 공기 탱크(32)에서 유입된 압축 공기가 유동되어 각각의 분사 노즐(31)에 전달될 수 있도록 호스(34)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34)가 상기 압축 공기 탱크(32)와 상기 분사 노즐(31)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압축 공기 탱크(32)는 차량이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차체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자제어유닛(20)은 신호 전달 와이어(5)에 의해 상기 센서부(10) 및 상기 구동부(30)의 분사제어유닛(33)과 연결된다.
상기 센서부(10)와 상기 전자제어유닛(20)을 연결하는 상기 신호 전달 와이어(5)는 상기 범퍼(1)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센서부(10)가 보행자(H)가 차량과 충돌하게 되면 충돌 가속도와 충돌 위치를 감지한 값을 상기 전자제어유닛(2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제어유닛(20)과 상기 분사제어유닛(33)을 연결하는 상기 신호 전달 와이어(5)는 상기 전자제어유닛(20)이 상기 센서부(10)로부터 전달 받은 충돌 가속도와 충돌 위치 값에 따라 구동 여부 신호와 충돌 위치 신호를 상기 분사제어유닛(33)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센서부(10)는 보행자(H)가 충돌 시 충돌 가속도 값과 충돌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범퍼(1)의 전면 내측에 복수 개의 상기 가속도 센서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 범퍼(1)의 전면 내측에는 복수 개의 가속도 센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된 센서부(10)가 구비된다. 각각의 가속도 센서는 신호 전달 와이어(5)로 연결이 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 전달 와이어(5)가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전자제어유닛(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닛(20)은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신호 전달 와이어(5)에 의해 연결되며 타측은 신호 전달 와이어(5)에 의해서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부(30)의 분사제어유닛(33)와 연결된다.
상기 전자제어유닛(20)과 분사제어유닛(33)는 두 개의 신호 전달 와이어(5)에 의해 연결이 되는데, 구동 여부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 와이어(5)와 충돌 위치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 와이어(5)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제어유닛(33)은 압축 공기 탱크(32)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 공기 탱크(32)는 후드 및 윈드 실드가 결합되는 차체 프레임에 배치된 복수 개의 분사 노즐(31)에 압축 공기가 유동되는 호스(3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충돌 보호자 상해 저감 장치는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차량이 주행 중 보행자(H) 혹은 임의의 사물과 충돌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차량과 보행자(H)가 충돌하게 되면 차량의 전면에 구비된 범퍼(1)의 전면 내 측에 구비된 센서부(10)가 충돌된 보행자(H)의 충돌 가속도와 충돌 위치를 측정한다.(S310단계)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가속도 센서가 상기 범퍼(1)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구비되기 때문에 보행자(H)가 차량의 전면 어느 부위에 충돌하여도 충돌 가속도와 충돌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센서부(10)에서 파악된 충돌 가속도와 충돌 위치는 신호 전달 와이어(5)를 통해 센서부(10)에서 전자제어유닛(20)으로 전달된다.(S315단계)
전자제어유닛(20)은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있어, 센서부(10)에서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전자제어유닛(20)은 전달 받은 충돌 가속도와 충돌 위치 값을 바탕으로 구동부(30)의 분사제어유닛(33)에 구동 여부 신호와 충돌 위치 신호를 전달한다.(S320단계)
그리고 분사제어유닛(33)은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압축 공기 탱크(32)와 분사 노즐(31)을 작동시켜 압축 공기 탱크(32)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호스(34)를 통해 유동시켜 분사 노즐(31)에 의해서 차량의 외부로 분사시킨다.(S325단계, S330단계)
대개의 경우, 차량과 충돌한 보행자(H)는 범퍼와 1차 충돌을 한 후 후드 및 윈드 실드 사이에 보행자(H)의 머리가 부딪혀 사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분사 노즐(31)에서 분사되는 압축 공기의 분포가 후드와 윈드 실드에 집중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를 차량에 구비하면 보행자(H) 가 차량과 1차 충돌을 한 후, 2차 충돌을 하게 될 경우 보행자(H)의 충돌 가속도와 충돌 위치를 파악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시키면 압축 공기에 의해서 2차 충돌시 발생할 수 있는 충돌력을 감소시켜 보행자(H)의 상해치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를 사용하면, 보행자가 차량에 1차 충돌을 한 후 후드 혹은 윈드 실드에 2차 충돌을 하게 되는 경우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보행자의 상해지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가 차량에 구비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가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범퍼 2: 후드
3: 윈드 실드 5: 신호 전달 와이어
10: 센서부 20: 전자제어유닛
30: 구동부 31: 분사 노즐
32: 압축 공기 탱크 33: 분사제어유닛
34: 호스 H: 보행자

Claims (7)

  1. 차량의 충돌 사고 시, 차량과 충돌된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의 충돌 가속도와 충돌 위치를 감지하도록 범퍼에 구비된 센서부와;
    차량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충돌 가속도 값과 보행자의 충돌 위치 값을 전달받아 전체적인 제어를 하는 전자제어유닛과;
    차량의 내부와 후드 및 윈드 실드가 결합되는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압축 공기를 분사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되는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차량의 후드 및 윈드 실드에 배치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과 연결되고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분사 되는 압축 공기가 저장되는 압축 공기 탱크와,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 공기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분사 노즐에서 압축 공기가 분사 되도록 상기 압축 공기 탱크를 작동시키는 분사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과 상기 압축 공기 탱크는 압축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되는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차체 프레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이 구비되는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신호 전달 와이어에 의해 상기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분사제어유닛으로 상기 압축 공기 탱크의 구동 여부 신호와 상기 범퍼에 충돌된 보행자의 충돌 위치 신호를 전달하는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범퍼의 전면 내측에 복수 개의 상기 가속도 센서가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KR1020080107763A 2008-10-31 2008-10-31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KR20100048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763A KR20100048550A (ko) 2008-10-31 2008-10-31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763A KR20100048550A (ko) 2008-10-31 2008-10-31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550A true KR20100048550A (ko) 2010-05-11

Family

ID=4227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763A KR20100048550A (ko) 2008-10-31 2008-10-31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85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112B1 (ko) 보행자 검출 시스템
US7400958B2 (en) System for triggering restraining means
KR101020549B1 (ko)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치
CN101716922B (zh) 车辆的行人保护装置
CN101987596B (zh) 一种停车辅助系统的控制方法
CN103129510B (zh) 一种防止行人小腿下潜的保护装置及方法
KR101109279B1 (ko) 보행자 보호 장치용 트리거 신호의 생성 방법 및 장치
CN100572150C (zh) 行人保护装置
JP5440476B2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US20130091779A1 (en) Controlled collapse of car windshield
KR20100048550A (ko) 충돌 보행자 상해 저감 장치
EP2524847B1 (en) Vehicle control arrangement
JP2008094237A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KR20100092194A (ko) 차량용 범퍼 에어백 장치
KR20120071995A (ko) 측면승객보호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066910A (ko)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974275A (zh) 车用行人保护安全气帘装置
KR100214972B1 (ko) 정면충돌시 프론트 글래스의 파편 비상방지 시스템
KR102376264B1 (ko) 도로터널의 졸음방지 장치
KR101509808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150097013A (ko)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구비되는 뺑소니 사고 표시장치
KR20120000157A (ko) 추락 충격 방지용 에어매트 어셈블리
KR20100089662A (ko) 차량의 후드
KR20120079573A (ko) 차량용 외부 에어백 제어 시스템
JP2006327426A (ja) 衝突緩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