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188A -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188A
KR20100044188A KR1020107001940A KR20107001940A KR20100044188A KR 20100044188 A KR20100044188 A KR 20100044188A KR 1020107001940 A KR1020107001940 A KR 1020107001940A KR 20107001940 A KR20107001940 A KR 20107001940A KR 20100044188 A KR20100044188 A KR 20100044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curvature
bending die
radius
sutur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2549B1 (ko
Inventor
칸지 마츠타니
타다시 오츠카
카즈아키 가토
Original Assignee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4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1/00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 B21G1/08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of hollow needles or needles with hollow end, e.g. hypodermic needles, larding-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1/00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 B21G1/02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of needles with eyes, e.g. sewing-needles, sewing-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길이방향으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고 만곡한 의료용 봉합침을 보다 합리적으로 굽힘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길이방향으로 다른 곡률반경(r, R)으로 만곡시키는 굽힘가공방법에 있어서, 왕복회동하는 벤딩다이(11)의 외주면을 길이방향으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만곡하는 봉합침(A)의 만곡 형상에 대응시킨 성형면(11a~11c)을 형성하여 두고, 벤딩다이(11)의 외주면과 프레스롤(14)을 가요성을 갖는 벨트(12)를 끼워 상대적으로 압압시키고, 벤딩다이의 외주면과 프레스롤(14)이 압압하는 점(P)에 있어서의 벤딩다이(11)의 외주면과 벨트(12)와의 사이에 봉모양의 소재(1)를 끼움과 동시에 벤딩다이를 감기방향(화살표a방향) 및 되감기방향(화살표b방향)으로 왕복회동시킴으로써, 소재(1)를 길이방향으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만곡시킨다.

Description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 방법{BENDING METHOD OF MEDICAL SUTURE NEDDLE}
본 발명은 만곡한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 방법에 관계되는 것으로, 특히 침끝에서 동체부에 걸쳐 대략 같은 곡률반경으로 만곡한 의료용 봉합침 혹은 침끝에서 동체부 및 원단부에 걸친 길이 방향으로 다른 곡률 반경으로 만곡한 의료용 봉합침을 제조하는 때에 유리한 굽힘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 조직을 봉합하는 때에 이용하는 의료용 봉합침은 침끝에서 동체부를 거쳐 원단(元端)부에 이르는 사이에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만곡형상은 전 길이에 걸쳐서 대략 같은 곡률반경을 갖고 있으며, 1/2서클 (180도), 3/8서클(135도), 1/4서클(90도) 등의 형상 혹은 각도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만곡한 의료용 봉합침을 제조하는 때에 축봉모양의 소재를 만곡시키는 굽힘가공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원주상의 굽힘롤과 이 굽힘롤의 외주에 압접하여 감기는 가요성을 가진 벨트의 사이에 소재를 삽입하고, 굽힘롤과 벨트에 의해 소재를 감아 해당 소재를 벤딩다이의 외주면을 따라 굽힘가공하고, 그 후 되감는 것으로 굽힘가공된 소재를 배출함으로써 축봉모양의 소재를 만곡시키고 있다.
또한 주로 안과 수술에 이용되는 의료용 봉합침인 바이커브니들(bicurre needle)은 침끝부분과 동체부가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며 만곡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 봉합침을 굽힘가공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미리 소정의 단면 형상으로 성형된 직침상의 소재에 대해 만곡형상을 구성하는 가장 큰 곡률반경으로 일단측으로부터 소정범위에 걸쳐 굽힘가공을 하고, 이어서 상기 굽힘가공이 행해진 소재에 대해 상기 곡률 반경보다도 작은 곡률반경으로 해당 소재의 단부로부터 소정범위에 걸쳐 굽힘가공을 실시하고, 이하 순차적으로 곡률 반경이 작아지도록 소재의 단부로부터 소정 범위에 걸쳐 굽힘가공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 기술에서는 의료용 봉합침의 만곡 형상에 대응시킨 다른 곡률반경을 가진 굽힘롤을 복수 준비해 두고, 이들 굽힘롤에 의해 순차 굽힘가공을 함으로써 합리적으로 굽힘가공을 할 수 있다.
특허문헌1:특허제1295902호공보 특허문헌2:특허제3078339호공보
의료용 봉합침은 선단에 날카로운 침끝이 형성되고, 침끝에서 동체부에 걸쳐 서서히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굽힘가공법에서는 침끝을 굽힘롤과 벨트와의 사이에 삽입하여 굽힘롤을 회동시켜 휘감고, 소정 각도 회동시킨 후 되감음으로써 굽힘가공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침끝을 포함한 부분에서는 벨트의 굽힘롤에 대한 압접이 충분하지 않고, 도 5에 나타내듯이 의료용봉합침(51)의 침끝(52)을 포함한 부분이 충분한 만곡형상이 되지 않고 대략 직선상을 유지해 버린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굽힘가공 방법에서는 전술한 문제나 길이 방향으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만곡하고 있는 바이커브 봉합침을 굽힘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목적하는 의료용 봉합침이 어떠한 만곡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합리적으로 굽힘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1개의 소재에 대해 여러 차례의 굽힘가공을 하는 것이 필요하고, 작업에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여 번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 2의 굽힘가공 방법에서는 소재의 외주면이 굽힘롤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만곡하기 때문에, 소재가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소재의 중심축이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서도 실용상으로는 같은 곡률반경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경우에서도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침끝을 포함한 부위에서도 확실하게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한편 길이 방향으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고 만곡한 의료용 봉합침을 합리적으로 굽힘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의료용 봉합침의 제1의 굽힘가공 방법은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왕복 회동하는 벤딩다이와 상기 벤딩다이의 외주면에 감기는 가요성을 가진 벨트와, 상기 벤딩다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벨트를 끼워 상대적으로 압압하는 백업부재를 갖고, 상기 벤딩다이의 외주면과 백업부재가 상기 벨트를 통해 상대적으로 압압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벤딩다이의 외주면과 벨트와의 사이에 봉모양의 의료용 봉합침 소재를 끼워 삽입하고, 벤딩다이를 감기방향 및 되감기방향으로 왕복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소재를 길이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벤딩다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로 이루어지는 곡률반경이 해당 벤딩다이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의료용 봉합침의 제2의 굽힘가공방법은 상기 제 1의 굽힘가공 방법에 있어서 벤딩다이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로 이루어지는 곡률반경이 기준이 되는 외주상의 점으로부터 회동방향 하류측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만곡하는 의료용 봉합침의 만곡 형상에 대응시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의료용 봉합침의 제3의 굽힘가공 방법은 상기 제 1의 굽힘가공 방법에 있어서, 벤딩다이가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해당 벤딩다이의 회동중심이 원통의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의료용 봉합침(이하 봉합침이라 한다)의 제1의 굽힘가공 방법에서는 회전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로 이루어지는 곡률반경이 해당 벤딩다이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변화하도록 구성된 벤딩다이와, 벤딩다이의 외주면에 감기는 가요성을 가진 벨트와, 벤딩다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벨트를 사이에 두어 상대적으로 압압하는 백업부재를 갖고, 벤딩다이의 외주면과 백업부재가 상대적으로 압압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벤딩다이의 외주면과 벨트와의 사이에 봉모양의 의료용 봉합침의 소재를 끼워 벤딩다이를 감기방향 및 되감기방향으로 왕복회동 시키는 것으로 소재를 길이 방향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특히, 벤딩다이에 있어서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로 이루어지는 곡률반경(이하 단순히 곡률반경이라 함)가 벤딩다이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벤딩다이의 곡률반경이 작은 회동범위에 대응시켜 침끝을 벨트와의 사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침끝에서 동체부에 걸쳐 테이퍼상으로 형성된 소재라도 침끝을 포함한 미소한 부분을 작은 곡률반경으로 굽힘가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침끝을 포함한 미소부분을 동체부와 같은 굽힘가공을 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봉합침의 제2의 굽힘가공 방법에서는 벤딩다이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로 이루어지는 곡률반경이 기준이 되는 외주 상의 점으로부터 회동방향 하류측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만곡하는 의료용 봉합침의 만곡 형상에 대응시켜 형성되어 있으므로, 벤딩다이의 외주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점을 기준으로 하여 소재를 삽입함으로써 벤딩다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다른 곡률반경에 대응시켜 만곡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용 봉합침의 제3의 굽힘가공 방법에서는 벤딩다이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해당 벤딩다이의 회동 중심이 원통의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벤딩다이의 회동 중심과 원통의 중심과의 거리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곡률반경의 치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각 굽힘가공 방법에서는 소재를 벤딩다이와 벨트와의 사이에 끼워 한 번에 굽힘가공을 행함으로써 해당 소재를 목적하는 봉합침의 만출형상에 만곡시킬 수가 있어 작업의 번잡함을 배제한 합리적인 굽힘가공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침끝에서 동체부를 거쳐 원단부에 이르는 동안에 다른 곡률반경으로 만곡한 봉합침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도 1에 나타내는 봉합침을 굽힘가공하기 직전의 소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굽힘가공을 실시하는 굽힘가공장치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제2 실시예의 굽힘가공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굽힘가공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과제의 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봉합침의 굽힘가공 방법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봉합침의 굽힘가공 방법은 침끝에서 동체부를 거쳐 원단부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 만곡시킨 봉합침을 한번의 굽힘가공에 의해 성형하는 것을 실현한 것이다.
즉, 목적으로 하는 봉합침이 날카로운 침끝에서 동체부를 거쳐 원단부에 이르는 만곡 형상이 몇 개의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경우, 다른 곡률 반경마다 굽힘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한 번의 굽힘가공으로 용이하고 확실한 굽힘가공을 실현한 것이다. 또 목적하는 봉합침이 날카로운 침끝에서 동체부를 거쳐 원단부에 이르는 만곡 형상이 대략 같은 곡률반경을 갖는 것인 경우, 침끝을 포함한 부분의 곡률 반경을 동체부 혹은 원단부의 만곡형상과 같은 곡률반경으로 만곡시키는 굽힘가공을 실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봉합침의 단면형상이나 기능을 안정 하는 것이 아니고 단면이 원형으로 칼날을 갖지 않는 환침(丸針)이나 단면이 삼각형으로 침끝에서 소정 길이 범위에 칼날을 갖는 각침(角針) 등, 어떤 단면 형상이어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안과 수술 시에 이용되는 봉합침의 경우 봉합해야 할 부위를 깊고 좁게 봉합할 필요로부터 침끝 부분의 곡률을 크게 하여 반경이 작은 만곡형상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러한 봉합침의 굽힘가공에 적용한 때에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봉합침이 복수의 다른 곡률반경을 연속시킨 형상으로 만곡하는 경우, 침끝 부분의 곡률반경이 큰 만곡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원단부측의 곡률 반경이 크거나 또는 작은 것, 동체부의 곡률 반경이 크거나 또는 작은 것 등의 형상을 형성하는 일도 가능하고 또 만곡은 바이 커브 뿐만 아니라 트리플 커브 이상 등의 만곡 형상을 형성하는 일도 가능하다. 이들은 벤딩다이를 회전시켜 성형면의 기준 위치를 적당 변경하는 것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봉합침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피아노선으로 대표되는 강, 마르텐사이트계 스텐레스강,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 등으로이루어지는 선재나 판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봉합침은 생체조직을 꿰뚫어 봉합실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생체 조직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경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고, 한편 유통 과정에서 녹이 생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의 선을 소정의 감면률(感面率)로 냉각선 당김가공을 하여 조직을 화이버상으로 신장시킴으로써, 가공 경화에 의한 높은 경도와 화이버상으로 신장한 조직에 의한 굽힘강도를 발현시킨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직을 화이버상으로 신장시킨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으로 이루어진 소재를 굽힘가공한 때, 이 소재가 갖는 굽힘에 대한 저항에 의해 날카로운 침끝을 포함한 선단 부분에 대한 굽힘가공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높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굽힘가공법은 이러한 재료를 이용한 봉합침의 굽힘가공을 행하는 때에 유리하다.
벤딩다이는 축봉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외주면에 성형면이 형성되어 있고, 나아가 왕복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벤딩다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성형면의 형상은 회동중심으로부터의 거리로 이루어지는 곡률 반경이 벤딩다이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벤딩다이의 곡률반경의 변화와 회전각도와의 관계는 일의적으로 설정하는 것은 아니며, 목적으로 하는 봉합침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안과수술 시에 이용되는 바이커브 봉합침과 같이 침끝에서 동체 부를 거쳐 원단부에 이르는 경로로 설정된 만곡형상이 큰 폭으로 변화하는 곡률반경을 갖는 경우, 벤딩다이의 외주면은 굽힘가공을 실시해야 할 목적의 봉합침의 만곡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침끝을 포함한 선단 부분을 동체부 및 원단부와 대략 같도록 만곡시키는 경우, 벤딩다이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해당 원통의 중심과 회동중심이 편심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성형면의 형상은 반드시 목적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성하는 연속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진 만곡형상과 일치한 형상일 필요는 없고, 봉합침의 소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재질(예를 들면 스프링 팩 특성 등)을 포함한 조건을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딩다이와 백업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된 벨트는 벤딩다이의 외주면에 감겨 해당 외주면과의 사이에 봉합침의 소재를 끼우고, 백업부재와 벤딩다이와의 상대적인 압압에 의해 소재를 성형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벨트는 가요성과 간단하게 파단하지 않는 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벨트로서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면 재질 등을 한정하지 않고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벨트로서는 스틸벨트, 스텐레스 벨트, 황동벨트 등의 금속벨트가 있고, 이들 벨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금속 벨트에 한정하는 일 없이 합성 수지 벨트로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백업부재는 벨트를 사이에 두어 벤딩다이와 상대적으로 압압하고, 벤딩다이와 벨트의 사이에 삽입된 소재를 성형하는 것이다. 그리고 벤딩다이의 회동에 수반하여 해당 벤딩다이의 회동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변화한 때, 벤딩다이 혹은 백업부재가 상대적으로 변위하여 상기 거리의 변화에 추종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백업부재로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구조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백업부재로서는 판 모양의 부재 혹은 벤딩다이에 대해 굽힘강도에 따라 반경의 크기를 설정한 원통상의 부재 등이 있으며, 어느 쪽이나 바람직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벤딩다이와 백업부재를 압압시키는 구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프레임에 벤딩다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을 고정한 경우 백업부재를 용수철 혹은 에어 실린더나 유압 실린더에 의해 벤딩다이 방향으로 부세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백업부재를 프레임에 고정한 경우, 벤딩다이를 용수철 혹은 에어실린더나 유압실린더에 의해 백업부재 방향으로 부세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어느 쪽의 구조라도 벤딩다이와 백업부재를 상대적으로 압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 벤딩다이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중심까지의 거리가 변화한 때 이 변화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굽힘가공 방법의 제1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침끝에서 동체부를 거쳐 원단부에 이르는 사이에서 다른 곡률 반경으로 만곡한 봉합침(바이커브 봉합침)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봉합침을 굽힘가공하기 직전의 소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관계되는 굽힘가공을 실시하는 굽힘가공 장치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1, 2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진 만곡형상을 갖는 봉합침(A)에 대해 설명한다.
봉합침(A)은 바이커브니들로 불리는 안과용 봉합침이며, 두께가 0.1mm~0.4 mm 정도의 소재(1)를 침끝(1a)으로부터 칼날(1b)이 형성된 칼날부(1c), 동체 부(1d)를 거쳐 원단부(1e)에 걸쳐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진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침끝(1a)으로부터 칼날부(1c)에 걸쳐 곡률반경이 작은 반경(r)으로 만곡하고, 동체부(1d)는 곡률반경이 큰 반경(R)으로 만곡하여 구성되어 있다. 특히, 반경(r)으로의 만곡은 침끝(1a)를 포함하여 칼날부(1c)까지의 극히 짧은 범위에 형성되고 있고, 이 범위에 연속한 칼날부(1c)로부터 동체부(1d)에 걸쳐 반경(r)으로부터 반경(R)까지 연속적으로 증대하고, 동체부(ld)와 대응하는 부위에서 반경(R)로 만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봉합침(A)에 있어서, 침끝(1a)은 생체조직을 작은 저항으로 찔러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날카로운 첨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침끝(1a)와 연속한 칼날부(1c)는 단면이 삼각형인 부분(1c1)과 단면이 사다리꼴인 부분(1 c2)이 연속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부분(1cl, 1c2)에 걸쳐 저변의 양측에 칼날(1b)이 형성되어 있다.
동체부(1d)는 칼날부(1c)측의 단면이 사다리꼴인 부분(1dl)과 단면이 고형(Japanese hand drum cross section)(평행한 두 변과 이 두 변에 끼워져 대향하는 2개의 호로 이루어지는 형상)의 부분(1d2)이 연속하여 구성되어 있고, 부분(1d1)의 저변에서도 칼날은 형성되지는 않았다. 더욱이 원단부(1e)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단면(1f)에는 도시하지 않은 봉합실을 취부하는 정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봉합침(A)의 소재(1)는 냉간선 당김가공에 의해 굵기가 0.4mm로 형성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의 선을 이용하고 있다.
이 재료는 높은 경도와 굽힘강도를 가지고 있고, 굽힘가공한 때의 스프링백의 양은 예를 들면 열처리를 실시하기 이전의 마르텐사이트계 스텐레스강과 비교하여 크다.
다음으로, 도 3에 의해 굽힘가공장치(B)에 대해 설명한다. 도에 있어서 벤딩다이(11)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왕복회동 가능하고 더욱이 회동 이외에는 이동 불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벤딩다이(11)의 외주면에 가요성을 가진 벨트(12)가 감겨져 있다. 벨트(12)는 상류측에 배치된 공급롤(13a)로부터 인출되고, 벤딩다이(11)와 백업부재로 구성되는 프레스롤(14)에 끼워진 후, 권취 롤(13b)에 감겨져 있다. 또 벤딩다이(11)의 하측에는 프레스롤(14)이 배치되어 있고, 부세부재(15)에 의해 벨트(12)를 사이에 두어 벤딩다이(11)에 압압하고 있다.
벤딩다이(11)의 굵기는 목적으로 하는 봉합침의 만곡부위에 있어서의 최대반경에 대응하여 설정되기때문에, 일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목적으로 하는 봉합침(A)이 안과용 봉합침인 경우, 굵기는 6 mm정도이다. 그리고 이 6mm정도의 굵기를 가진 벤딩다이(11)의 외주면에 다른 곡률반경을 가진 성형면이 형성되어 있다.
즉, 벤딩다이(1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점P를 기준점으로 하여, 이 기준점(P)과 벤딩다이(11)의 회전중심(O)과의 거리를 봉합침(A)의 침끝(1a)으로부터 칼날부(1c)에 걸친 곡률반경(r)에 대응시켜 점(P)을 기점으로 하여 봉합침(A)에 있어서의 곡률반경(r)의 만출부위인 침끝(1a)을 포함하는 극히 짧은 범위에 대응한 반경(r)의 원호상의 성형면(11a)으로 하여 형성되고 있다.
또한 벤딩다이(1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봉합침(A)의 동체부(1d)의 곡률 반경(R)과 대응한 부위는 반경(R)의 원호상의 성형면(11b)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성형면(11a)과 성형면(11b)과의 사이는 봉합침(A)에 있어서 의 칼날부(1c)로부터 동체부(1d)에 도달하는 반경(r)로부터 반경(R)에 완만하게 이행하는 성형면(11c)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벨트(12)는 미사용상태의 것이 공급롤(13a)에 휘감겨져 있고, 소재(1)에 대한 굽힘가공을 실시하는 때마다 소정 길이만큼 인출되며, 가공 후의 벨트는 권취롤(13b)에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벨트(12)를 소재(1)에 대해 굽힘가공을 실시한 후, 소정 길이 권취함으로써 새로운 소재(1)에 대한 굽힘가공을 실시하는 때에는 항상 새로운 벨트(12)가 공급되게 된다.
이 때문에 굽힘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벨트(12)의 변형이 새로운 소재(1)에 대한 굽힘가공 시에 장애가 되는 일이 없고, 청정한 벨트(12)에 의해 바람직한 성형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프레스롤(14)은 부세부재(15)에 의해 항상 대략 일정한 힘이 부여되어 벤딩다이(11)에 압압하고 있다. 부세부재(15)는 프레스롤(14)을 대략 일정한 힘으로 벤딩다이(11)에 압압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좋고, 푸쉬용수철 혹은 풀용수철 등의 용수철류, 유체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스롤(1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브프레임에 취부한 에어실린더에 의해 부세부재(15)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굽힘가공장치(B)에서는 벤딩다이(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성형면(11a)의 기준점이 되는 점(P)이 항상 바로 밑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벤딩다이(11)를 화살표(a, b)방향으로 왕복회동시킴으로써 소재(1)에 대한 굽힘가공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벤딩다이(11)를 회동하는 구동장치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원에 의한 수동조작에 의한 구동이어도 좋고, 또한 일정한 각도로 가역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한 전동모터에 의한 구동이어도 좋다. 봉합침(A)을 한 번에 대량으로 제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굽힘가공장치(B)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소재(1)를 굽힘가공할 때의 작업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벤딩다이(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성형면(11a)의 점(P)이 바로 밑에 있을 것, 점(P)의 위치에 있는 벨트(12)가 새로운 것일 것, 프레스롤(14)이 적당한 힘으로 압압하고 있을 것을 확인한다.
벤딩다이(11)와 프레스롤(14)이 압압하고 있는 부위에서 점(P)부에 있어서의 벤딩다이(11)와 벨트(12)와의 사이에 소재(1)의 침끝(1a)을 찔러넣고, 벤딩다이(11)를 화살표(a)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회동에 수반하여 벨트(12), 프레스롤 (14)이 각각 화살표(a)방향으로 움직이고, 동시에 소재(1)를 벤딩다이(11)와 벨트(12)의 사이에 휘감아 화살표(a)방향으로 이송한다.
이 과정에서 소재(1)는 프레스롤(14)에 의해 부세되어 벤딩다이(11)의 성형면(11a, 11c, 11b)에 압접하고, 나아가 벨트(12)에 의해 벤딩다이(11)에 압접하여 성형된다. 또한, 벤딩다이(11)의 회동에 수반하여 벤딩다이(11)의 회전중 심(O)과 프레스롤(14)과의 거리가 r로부터 R로 변화하지만 이 때의 거리의 변화는 프레스롤(14)을 부세하고 있는 부세부재(15)에 의해 흡수되어 벤딩다이 (11), 벨트(12), 프레스롤(14)은 화살표(a)방향으로 원활하게 회동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벤딩다이(11)를 화살표(a)방향으로 소정 각도(소재(1)의 침끝(la)으로부터 동체부(1d)를 거쳐 원단부(1e)에 도달하는 각도) 회동시킴으로써, 소재(1)에 대한 원단부(1e)까지의 성형이 종료한 후, 벤딩다이(11)을 화살표(b)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회동에 수반하여 벨트(12), 프레스롤(14)이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동하고, 소재(1)가 벤딩다이(11)와 벨트(12)의 사이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소재(1)는 침끝(1a)으로부터 칼날부(1c)에 있어서의 소정의 각도범위가 곡률반경(r)로 만곡되고, 동체부(1d)에 있어서의 소정의 각도 범위가 곡률반경(R)로 만곡되어 칼날부(1c)로부터 동체부(1d)에 걸친 범위가 곡률반경(r)으로부터 곡률반경(R)까지 완만하게 연속적으로 곡률반경이 변화하는 형상으로 만곡된다.
상기와 같이, 소재(1)를 굽힘가공장치(B)에 의해 한 번 굽힘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침끝(1a)으로부터 동체부(1d)를 거쳐 원단부(1e)에 이르는 사이를 다른 곡률 반경으로, 나아가 다른 곡률반경의 접속부위에 있어서도 원활히 연속시킨 곡선으로 하여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굽힘가공 방법에 대해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2실시예의 굽힘가공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굽힘가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에 나타내는 굽힘가공장치(C)는 전술한 굽힘가공장치(B)에 대해 벤딩다이(20)의 구성이 다른 것 이외는 동일하다. 도에 있어서, 벤딩다이(20)는 원통상의 축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해당 원통의 중심(O1)과 벤딩다이(20)의 회전중심 (O2)이 거리(l) 떨어진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벤딩다이(20)는 O1-O2을 묶는 선의 연장선을 프레스롤(14)의 중심 에 일치시킨 때의 벤딩다이(20)의 회동위치를 기준으로 하고, 벤딩다이(20)의 반경을 R로 한 때, 회동중심(20)으로부터 성형면의 기준위치(P)와의 거리인 곡률 반경(r)은 r=R-1이 되고, 벤딩다이(20)를 90도 회동시킨 때의 곡률반경(r)은 r=R이 되고, 더욱이 벤딩다이(20)를 180도 회동시킨 때의 곡률 반경(r)은 r=R+21가 된다. 따라서 벤딩다이(20)의 회동에 수반하여 곡률반경(r)은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벤딩다이(20)를 이용하여 구성한 굽힘가공장치(C)에 의해 소재(1)에 대한 굽힘가공을 실시하는 경우, 벤딩다이(20)를 곡률반경(r)이 가장 작아지는 위치(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 설정해 두고, 이 상태로 벤딩다이(20)와 벨트(12)와의 사이에 소재(1)를 삽입하여 벤딩다이(20), 프레스롤(14)을 화살표(a, b)방향으로 왕복회동시킴으로써 소재(1)에 대한 굽힘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굽힘가공된 소재(1)는 침끝(1a)를 포함한 선단부분이 가장 작은 곡률 반경으로 만곡되기 때문에 벤딩다이(20)로부터 이탈한 후, 스프링 백이 생긴 경우에서도 만곡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벤딩다이(20)에 있어서의 곡률반경(r)을, 목적으로 하는 봉합침의 침끝(1a)을 포함한 선단부분에 설정되어 있는 곡률반경이나 재료의 성질 등의 조건에 대응시켜 설정함으로써, 침끝(1a)를 포함한 부분을 동체부, 원단부의 만곡 형상에 대응시킨 만곡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A 봉합침
B 굽힘가공장치
O 벤딩다이의 회전중심
P 성형면의 기준단위
1 소재
1a 침끝
1b 칼날
1c 칼날부
1d 동체부
1e 원단부
1f 원단면
1i, 20 벤딩다이
11a~11c 성형면
12 벨트
13a 공급롤
13b 권취롤
14 프레스롤
15 부세부재

Claims (3)

  1.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왕복회동하는 벤딩다이와 상기 벤딩다이의 외주면에 감기는 가요성을 가진 벨트와, 상기 벤딩다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벨트를 끼워 상대적으로 압압하는 백업부재를 갖고, 상기 벤딩다이의 외주면과 백업부재가 상기 벨트를 통해 상대적으로 압압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벤딩다이의 외주면과 벨트와의 사이에 봉모양의 의료용 봉합침 소재를 끼워 끼우고, 벤딩다이를 감기방향 및 되감기방향으로 왕복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소재를 길이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벤딩다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로 이루어지는 곡률반경이 해당 벤딩다이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다이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로 이루어지는 곡률반경이 기준이 되는 외주 상의 점으로부터 회동방향 하류측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만곡하는 의료용 봉합침의 만곡 형상에 대응시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다이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벤딩다이의 회동중심이 원통의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방법.
KR1020107001940A 2007-07-27 2008-07-14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 방법 KR101452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95496 2007-07-27
JPJP-P-2007-195496 2007-07-27
PCT/JP2008/062667 WO2009016946A1 (ja) 2007-07-27 2008-07-14 医療用縫合針の曲げ加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188A true KR20100044188A (ko) 2010-04-29
KR101452549B1 KR101452549B1 (ko) 2014-10-21

Family

ID=4030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940A KR101452549B1 (ko) 2007-07-27 2008-07-14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07684B2 (ko)
EP (1) EP2172288A4 (ko)
JP (1) JPWO2009016946A1 (ko)
KR (1) KR101452549B1 (ko)
CN (1) CN101765468A (ko)
RU (1) RU2010107219A (ko)
WO (1) WO20090169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6863B1 (en) 2013-03-15 2018-08-01 Armour Technologies, Inc. Medical device curv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5598317B (zh) * 2016-03-08 2017-06-27 淮安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医用缝合针全自动折弯机
JP2022505436A (ja) * 2018-11-08 2022-01-14 ネオ・メディカル・ソシエテ・アノニム 整形外科用ロッドベンダ
CN109772954B (zh) * 2019-03-18 2023-08-22 凯达铁建电气化铁路器材有限公司 双环杆成型机以及成型方法
US11745248B2 (en) 2020-05-14 2023-09-05 Blue Fury Consulting, Llc Needle bender
CN112024656B (zh) * 2020-08-12 2022-05-20 杭州锐健医疗股份有限公司 用于运动医学肩袖损伤手术中缝合钩的组合工装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21B2 (ja) * 1979-10-31 1983-03-31 松下電工株式会社 木口カバ−
JPS6034416Y2 (ja) * 1981-05-08 1985-10-14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パイプベンダ−
JPS59167417A (ja) * 1983-03-15 1984-09-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アンローダの荷役量制御方法
US4777816A (en) * 1986-09-03 1988-10-18 Inoue Sangyo Co. Ltd. Roll bending machine
JPH03204120A (ja) * 1989-12-28 1991-09-05 Suzuki Motor Corp パイプ曲げ装置
JP3078339B2 (ja) 1991-02-25 2000-08-21 マニー株式会社 医療用縫合針の曲げ加工方法
CA2100530A1 (en) * 1992-09-02 1994-03-03 Michael W. Bogart Needle curving apparatus
CA2106791A1 (en) * 1992-10-09 1994-04-10 Michael W. Bogart Needle curving apparatus
US5457978A (en) * 1992-10-09 1995-10-17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Cartridge fed apparatus for forming curved rectangular bodied needles
US5388441A (en) * 1992-12-29 1995-02-14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Needle curver with automatic feed
JP4598371B2 (ja) 2003-04-24 2010-12-15 株式会社コベルコ マテリアル銅管 ヘアピン曲げ銅管および銅管のヘアピン曲げ加工方法
JP4376600B2 (ja) * 2003-12-01 2009-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管材の引き曲げ加工条件算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管材の引き曲げ加工方法及び装置
US7937981B2 (en) * 2007-12-17 2011-05-10 Ethicon, Inc. Process for treating metal alloy surgical needles to improve bending stiff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2288A1 (en) 2010-04-07
US8307684B2 (en) 2012-11-13
KR101452549B1 (ko) 2014-10-21
WO2009016946A1 (ja) 2009-02-05
EP2172288A4 (en) 2015-01-21
US20100263425A1 (en) 2010-10-21
JPWO2009016946A1 (ja) 2010-10-14
CN101765468A (zh) 2010-06-30
RU2010107219A (ru) 201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4188A (ko) 의료용 봉합침의 굽힘가공 방법
JP4309339B2 (ja) ストリップを回転表面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518524B1 (ko) 의료용 봉합침의 벤딩방법 및 벤딩장치
KR100880679B1 (ko) 주름살 제거용 특수사 제조장치
KR20100043704A (ko) 덕트용 클램프 제조장치
JP5181293B2 (ja) 医療用縫合針の曲げ加工方法及び医療用縫合針
DE10332605B4 (de) Anpressvorrichtung für eine Oberflächenbearbeitungsvorrichtung
JPH0649216B2 (ja) 刃付縫合針の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並びに刃付縫合針
KR101563743B1 (ko) 봉합사 가시 성형장치
CN110402153A (zh) 消除了拉制所致非均匀性的金线的制造方法及通过该制造方法制造的金线
JP3078339B2 (ja) 医療用縫合針の曲げ加工方法
JP2008221446A (ja) 微小試験片研磨装置
US5431036A (en) Needle curving apparatus
KR20170024479A (ko) 시술용 매선 및 그 제조방법
JPH054167B2 (ko)
JP6245492B2 (ja) 長尺ワークの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KR20170072180A (ko) 시술용 매선 및 그 제조방법
KR100707251B1 (ko) 철선의 직진장치
CN209238772U (zh) 一种卷簧卷绕机构
JP3526419B2 (ja) シース成形装置
JP4065207B2 (ja) ロール成形装置及びロール成形方法
JPS63126919A (ja) 繊維切断装置
JP2005186133A (ja) コイルワイヤ成形方法及び装置
CN106863077A (zh) 精加工带装置和工件精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