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166A -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 및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 Google Patents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 및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166A
KR20100043166A KR1020100030047A KR20100030047A KR20100043166A KR 20100043166 A KR20100043166 A KR 20100043166A KR 1020100030047 A KR1020100030047 A KR 1020100030047A KR 20100030047 A KR20100030047 A KR 20100030047A KR 20100043166 A KR20100043166 A KR 20100043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optical
connecting member
weak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816B1 (ko
Inventor
노부히로 하시모토
마사요시 스즈키
토모키 후루에
켄 스케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577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64421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ublication of KR2010004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40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index-matching medium between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접속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취급이 간편한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를 제공한다. 광전송 매체와 타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과의 사이에 개재시켜 광학적으로 접속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에 있어서, 광전송 매체와 접하는 강점착면과 타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과 접하는 약점착면을 구비한다. 또, 이 점착성 접속 부재에 의해서, 광전송 매체와 타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과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접속한다.

Description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 및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COHESIVE CONNECTION MEMBER, OPTICAL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STICKING JIG HAVING COHESIVE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은 광학 접속에 있어서의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 및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에 관한 것이다.
광파이버를 이용한 광전송로의 전송 효율은 광전송로에서의 광파이버끼리나 광파이버와 광반도체 장치 등의 광학 부품과의 광학적인 접속부에서의 접속 손실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들 접속부에서의 접속 손실의 원인에는 광파이버의 위치 결정에 관한 것, 축 빗나감, 축의 경사, 광파이버 단면 사이의 간격 등이 있고, 또 광파이버의 단면에 관한 것, 경사, 거칠기, 꾸불꾸불함 등이 있다.
이들 원인을 효과적으로 없애기 위해서, 접속 장치를 복잡한 구조로 고정도(高精度)로 하거나, 광파이버의 단면에 고도의 연마 처리를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광파이버의 접속시에 대폭적인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서는, 광파이버 선단에 점착성 접속 부재를 첩착하고,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를 통해 타 광파이버나 광학 부품과 접속함으로써, 광통신에서 문제가 되는 접속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광학 접속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일본 특개 2006-221031호 공보 참조).
도 8 은 종래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0a, 10b는 광파이버, 21은 종래의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이다. 도 8 에 있어서, 광파이버(10a)와 광파이버(10b)의 접속 단면 사이에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1)가 첩착한 상태로 개재하고 있다. 2개의 광파이버(10a 및 10b)는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1)를 통해 맞대어지고, 그것에 의해 광파이버가 광학적으로 접속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한 번 위치 결정에 실패해 첩착해 버리면 다시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취급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 이 방법에서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신경쓰면서 필요한 크기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잘라내어 광파이버의 선단에 첩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매우 섬세한 작업을 필요로 하고, 청결한 공장 내라면 몰라도 광파이버 배선의 현장에서 실시하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접속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위치 결정을 다시 할 수 있어 취급이 간편한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손실을 저감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를 현장에서도 간편하게 광파이버의 선단에 첩착할 수 있는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 기술적 구성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는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a)과, 타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b)과의 사이에 개재시켜 광학적으로 접속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로서, 강점착면과 약점착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약점착면이 점착력 1~100 gf/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강점착면의 점착력이 상기 약점착면의 점착력보다 20 gf/25㎜ 이상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에폭시계 경화제 혹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굴절률이 1.35 에서 1.5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시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는 상기한 것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성 접속 부재에 의해서, 광전송 매체와 타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과의 사이가 광학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는 광커넥터 지름에 맞춘 삽입 구멍을 가지는 판상 부재와,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점착성 접속 부재를 가지는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로서,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가 상기 삽입 구멍의 바닥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판상 부재는 기재판과 구멍 뚫린 판이 접착층으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는 강점착층과 약점착층을 갖고, 약점착층이 상기 삽입 구멍의 바닥에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는 강점착층과 약점착층을 갖고, 약점착층이 박리 필름을 통해 상기 삽입 구멍의 바닥에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약점착층이 점착력 1~100 gf/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강점착층과 약점착층의 점착력이 하기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점착층의 점착력 〉약점착층의 점착력 + 20 gf/25㎜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삽입 구멍이 보호 테이프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위치 결정을 다시 할 수 있어 취급이 간편한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용적인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어, 간편하게 손실이 적은 광학 접속을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 손실을 저감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를 현장에서도 간편하게 광파이버의 선단에 첩착할 수 있는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운반도 편리하고, 작업성이 뛰어난 실용적인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이용한 제 1 실시 형태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이용한 제 2 실시 형태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이용한 제 2 실시 형태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 는 평면도, 도 4b 는 B-B 선 단면도, 도 4c 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A-A 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a 는 평면도, 도 6b 는 C-C 선 단면도, 도 6c 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A-A 선 단면 확대도로서, 도 7a 는 광커넥터 삽입 전의 도면, 도 7b 는 광커넥터 삽입시의 도면, 도 7c 는 광커넥터 삽입 후의 도면이다.
도 8 은 종래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의 개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점착성 접속 부재
(1) 제 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는 광파이버 등의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a)과, 타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b)과의 사이에 개재시켜 광학적으로 접속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로서, 강점착면과 약점착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을 이용해 제 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이용한 제 1 실시 형태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0a, 10b 는 광파이버, 22 는 본 발명의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 22a 는 강점착면, 22b 는 약점착면이다.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는 강점착면(22a) 및 약점착면(22b)을 가진다. 강점착면(22a) 및 약점착면(22b)을 일체로 하여 구성해도 되고, 강점착면(22a)과 약점착면(22b)의 사이에 다른 굴절률 정합제를 사이에 두어도 된다.
도 1 에 있어서, 광파이버(10a)와 광파이버(10b)의 접속 단면 사이에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가 개재되어 있다. 2개의 광파이버(10a 및 10b)는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를 통해 맞대어지고, 그것에 의해 광파이버가 광학적으로 접속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광파이버(10a)와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는 강고하게 첩착되어 있다.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와 광파이버(10b)는 매우 약하게 첩착되어 있다.
따라서, 광파이버(10a)와 광파이버(10b)를 갈라 놓으면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와 광파이버(10b)가 박리되므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을 다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는 굴절률 정합성을 가지는 동시에 강점착면(22a) 및 약점착면(22b)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의 굴절률 정합성이란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굴절률과, 접속되는 광전송 매체 및/또는 광학 부품과의 굴절률의 근사 정도를 말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굴절률은 광전송 매체 및/또는 광학부품의 굴절률에 가까운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프레넬 반사의 회피에 의한 전송 손실의 면으로부터, 그들의 굴절률의 차이가 ±0.1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의 굴절률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의 굴절률의 평균값과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는 필름화한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이어도 되고, 또 정적인 상태로 유동하지 않고 소정의 형상을 보지하지만 자유롭게 변형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강점착면 및 약점착면에는 고분자 재료, 예를 들면 아크릴계, 에폭시계, 비닐계, 실리콘계, 고무계, 우레탄계, 메타크릴계, 나일론계, 비스페놀계, 디올계, 폴리이미드계, 불소화 에폭시계, 불소화 아크릴계 등의 각종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이것들을 혼합하거나 불소 수지나 경화제를 첨가하거나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접착성, 그 외의 면으로부터, 아크릴계 점착제와 실리콘계 점착제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란, 그 기본 구조가 아크릴산인 탄소수 2~12 의 알킬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인 탄소수 4~12 의 알킬에스테르를 주모노머로 하여 구성된 폴리머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류,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주모노머와 공중합하는 모노머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투명성이 뛰어난 재료인 것이 필요하고, 사용하는 파장, 즉, 가시광선 및 근적외 영역에서의 광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가교제나 경화제를 조정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투명성을 낼 수 있는 재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하는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실리콘계 점착재란 주쇄의 골격이 Si-O-Si 결합 (실록산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재를 의미하고, 실리콘 고무 또는 실리콘 레진으로 구성된다.
이것들은 유기 용매에 용해한 상태로 도포해 고화 또는 성막된다.
실리콘 고무의 주폴리머는 직쇄상의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서, 메틸기의 일부를 페닐기나 비닐기로 치환한 것도 포함된다.
또, 실리콘 레진은 복잡한 삼차원 구조를 가진 분자량 3000 ~ 1만 정도의 것이 사용되고, 고무계 점착재에 있어서의 점착 부여 수지의 역할을 한다.
덧붙여, 실리콘계 점착재에는 가교제, 연화제, 점착 조정제, 그 외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점착력, 습윤성을 조절하거나 내수성, 내열성을 부여해도 된다.
실리콘계 점착재는 내열 보지력이 뛰어나 고온, 저온 환경하에서도 점착력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실리콘계 점착재를 광전송 매체 및/또는 광학 부품 사이에 개재시킨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고온 환경하 (~250℃), 혹은 저온 환경하 (~ -50℃)에서도 접속부의 밀착이 유지되어 항상 안정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고온을 이력한 다음에도 경화하거나 황변하거나 하지 않고, 피착체로부터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 실리콘계 점착재는 전기 절연성, 내약품성, 내후성, 내수성이 뛰어나 광범위한 재료, 예를 들면, 클래드층이 불소 수지로 코팅된 광파이버 등에 대해서도 밀착시킬 수 있다.
또, 광도파로나 광학 부품에 대해서도, 불소 폴리이미드 등의 불소 수지 베이스의 것에 대해서도 점착성을 나타내므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에는 각종 에폭시계 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촉매를 이용해 경화시켜도 된다.
그리고, 점착제와 경화제의 조합이나 배합량 등에 의해서 강점착면(22a)용 재료와 약점착면(22b)용 재료를 나누어 만들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점착력은 약점착면이 1~100 gf/2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gf/25㎜,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 gf/25㎜이다.
약점착면(22b)의 점착력이 1 gf/25㎜ 미만이면 접속이 안정되지 않고, 100 gf/25㎜를 넘으면 위치 결정을 다시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강점착면(22a)은 점착성 접속 부재가 박리하지 않도록 강한 점착력이 필요하여, 약점착면의 점착력보다 20 gf/25㎜ 이상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약점착면의 2배 이상의 점착력을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점착력은 JIS Z0237 의 180도 박리 점착력에 준거해 측정한 값이다.
두께는 강점착면과 약점착면 양쪽 모두 10~30㎛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약점착면의 두께는 9㎛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강점착면과 약점착면 양쪽 모두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광전송 매체 및/또는 광학 부품에 요철이 있었을 경우에 깨끗하게 접속하지 못하고, 30㎛를 넘으면 삽입 손실이 커진다.
또, 약점착면의 두께가 9㎛를 넘으면,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으로부터 벗길 때 깨끗하게 벗겨지기 어렵다. 또, 강점착면과 약점착면의 굴절률의 차이는 ±0.03 이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광전송 매체로는 상기한 광파이버 외에 광도파로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빛을 전송하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된다. 또, 광파이버도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면, 석영,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광파이버를 이용할 수 있다. 또, 광도파로로는 석영 광도파로, 폴리이미드 광도파로, PMMA 광도파로, 에폭시 광도파로 등이 이용된다.
나아가, 사용하는 2개의 광전송 매체의 종류가 다르더라도 점착성 접속 부재의 습윤성에 의해 밀착하므로, 안정하게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외경의 광전송 매체에 있어서도, 코어 지름과 모드 필드 지름이 같으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덧붙여, 광파이버의 개수, 광도파로의 매수도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광파이버로 이루어진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광학 부품으로는 광학 렌즈, 필터 등을 들 수 있고, 그 종류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 렌즈는, 예를 들면 양볼록, 양오목, 요철, 평철, 비구면 등의 각종 형상을 가지는 것이나, 콜리메이트 렌즈, 로드 렌즈 등을 들 수가 있고, 필터로는, 예를 들면 일반 광통신용 필터 외, 다층막 필터나 폴리이미드 필터 등을 들 수 있다.
(2) 제 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2 및 도 3 을 이용해 실시 형태 2 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이용한 실시 형태 2 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1a ~ 14a, 11b ~ 14b 는 광파이버, 15a, 15b 는 4심의 광파이버 테이프 심선, 47 은 가이드핀, 75a, 75b 는 MT 커넥터, 751a, 751b 는 가이드핀 삽입 구멍이다.
도 2 에 있어서, MT 커넥터(75a)와 MT 커넥터(75b)의 접속 단면 사이에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가 개재하고 있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MT 커넥터(75a) 및 MT 커넥터(75b)는 가이드핀(47)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를 통해 맞대어지고, 그것에 의해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가 광학적으로 접속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MT 커넥터(75a)와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는 강고하게 첩착되어 있다.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와 MT 커넥터(75b)는 매우 약하게 첩착되어 있다.
따라서, MT 커넥터(75a)와 MT 커넥터(75b) 를 갈라 놓으면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와 MT 커넥터(75b)가 박리되므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을 다시 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이용한 실시 형태 2 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T 커넥터(75a)와 MT 커넥터(75b)의 사이에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를 배치한다.
다음에,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를 MT 커넥터(75a)에 첩착한다. 이때, 강점착면(22a)과 MT 커넥터(75a)가 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핀(47)을 가이드핀 삽입 구멍(751a,751b)에 삽입함으로써 위치 결정을 실시하면서,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T 커넥터(75a)와 MT 커넥터(75b)를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를 통해 맞대게 한다. 이것에 의해, 시트상 점착성 접속 부재(22)의 약점착면(22b)과 MT 커넥터(75b)가 첩착되어 광학 접속 구조가 제작된다.
위치 결정용 가이드핀(47)이 있는 경우에도, 미묘한 접촉 각도의 차이가 생기는 일이 자주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해 위치 결정을 다시 하여 적절한 접속을 실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PET 필름 등의 보호 필름을 깔고, 그 위에 약점착면용 재료 및 강점착면 재료를 도포하여 PET 필름 등의 보호 필름을 얹음으로써, 점착성 접속 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약점착면용 재료 및 강점착면용 재료를 도포하는 순서는 어느 쪽을 먼저 해도 되지만, 보다 얇은 쪽이 바람직한 약점착면을 먼저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먼저 도포한 재료가 다 마르기 전에 다음의 재료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반드시 보호 필름을 이용할 필요는 없지만, 더러움을 막아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보호 필름을 이용해 제작하고, 사용에 있어서 벗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광학 접속 구조
다음에,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점착성 접속 부재를 필요한 크기로 잘라, 그의 강점착면을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a)에 접촉시키고, 그 후 약점착면과 타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b)을 접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가 제작된다. 또한, 접촉의 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위치 결정에 실패했을 경우는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a)을 되돌림으로써, 약점착면과 타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b)이 박리하므로 용이하게 재접합을 실시할 수 있다.
3.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1) 제 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4 및 도 5 를 이용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 는 평면도, 도 4b 는 B-B 선 단면도, 도 4c 는 사시도, 도 5 는 A-A 선 단면 확대도이다.
30 은 제 3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구성하는 판상 부재, 31 은 점착성 접속 부재, 31a 는 강점착층, 31b 는 약점착층, 32 는 판상 부재를 구성하는 구멍 뚫린 판, 33 은 판상 부재를 구성하는 기재판, 35 는 판상 부재를 구성하는 접착층, 36 은 박리 필름, H 는 삽입 구멍이다.
덧붙여, 점착성 접속 부재 (31) 는 통상 투명하지만, 도면 중에서는 알기 쉽게하기 위해 착색해 나타내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는 광커넥터 지름에 맞춘 삽입 구멍(H)을 가지는 판상 부재(30)와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점착성 접속 부재(31)를 갖고, 점착성 접속 부재(31)가 삽입 구멍(H)의 바닥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상 부재)
본 발명의 판상 부재는 한 조각의 부재이어도 되지만, 도 5 에 나타내는 대로 구멍 뚫린 판(32)과 기재판(33)을 접착층(35)으로 일체화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삽입 구멍(H)의 깊이를 구멍 뚫린 판(32)의 두께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 한 조각의 부재에 구멍을 형성하고 나서 구멍의 바닥에 점착성 접속 부재(31)를 배치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지만,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착층(35) 상에 점착성 접속 부재(31)를 배치하고 나서 구멍 뚫린 판(32)을 얹음으로써, 용이하게 구멍의 바닥에 점착성 접속 부재(31)를 배치할 수 있다.
또, 점착성 접속 부재(31)는 직접 삽입 구멍의 바닥인 접착층(35) 상에 배치해도 되지만,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 필름(36)을 통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구멍(H)은 광커넥터 지름에 맞춘 치수를 가지지만, 주위에 약간 여유를 가지게 해도 된다.
삽입 구멍(H)의 깊이, 즉 도 5 에서의 구멍 뚫린 판(32)의 두께는 삽입되는 광커넥터에 맞춘 깊이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1㎜~10㎜ 정도가 바람직하다.
구멍 뚫린 판(32)에는 레이저 등으로 정밀하게 구멍을 뚫은 아크릴판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삽입 구멍(H)은 규칙적으로 배열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에서는 1열 10개의 둥근 구멍이 나타나고 있지만, 열수나 개수를 늘려도 되고, 여러 종류의 광커넥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름이나 형태가 다른 삽입 구멍을 배열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에 이용되는 광커넥터로는 SC 커넥터, FC 커넥터, MPO 커넥터, MT 커넥터, MU 커넥터, FPC 커넥터 등이 있다.
예를 들면, 1매의 판상 부재에 SC 커넥터용의 둥근 구멍과 MT 커넥터용의 사각 구멍을 설치한 것 등도 가능하다.
기재판(33)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50~5000㎛가 바람직하다.
기재판(33)에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접착층(35)의 두께는 100~200㎛가 바람직하다.
접착층(35)은 광커넥터를 꽉 누를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면 테이프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박리 필름(36)의 두께는 10~70㎛가 바람직하다.
박리 필름(36)에는 박리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점착성 접속 부재)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점착성 접속 부재(31)는 굴절률 정합성을 가지는 동시에 점착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 점착성 접속 부재(31)는 양면이 동등한 점착력을 가지는 것이어도 되지만,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점착층(31a) 및 약점착층(31b)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약점착층(31b)이 박리 필름(36)을 통해 삽입 구멍(H)의 바닥에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광커넥터를 삽입 구멍(H)에 끼워 넣었을 때에, 강점착층(31a)이 광커넥터 선단에 확실히 부착하는 동시에, 약점착층(31b)이 삽입 구멍의 바닥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함으로써, 작업의 확실성 및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강점착층(31a) 및 약점착층(31b)은 일체로 하여 구성해도 되고, 강점착층(31a)과 약점착층(31b)의 사이에 다른 굴절률 정합제를 두어도 된다.
점착성 접속 부재(31)의 굴절률 정합성이란,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굴절률과 접속되는 광전송 매체 및/또는 광학 부품과의 굴절률의 근사를 말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굴절률은 광전송 매체 및/또는 광학 부품의 굴절률에 가까운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프레넬 반사의 회피에 의한 전송 손실의 면으로부터, 이들 굴절률의 차이가 ±0.1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덧붙여,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의 굴절률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광전송 매체와 광학 부품의 굴절률의 평균값과 점착성 접속 부재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점착층(31a) 및 약점착층(31b)에는 고분자 재료, 예를 들면 아크릴계, 에폭시계, 비닐계, 실리콘계, 고무계, 우레탄계, 메타크릴계, 나일론계, 비스페놀계, 디올계, 폴리이미드계, 불소화 에폭시계, 불소화 아크릴계 등의 각종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이것들을 혼합하거나 불소 수지나 경화제를 더하거나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접착성, 그 외의 면으로부터, 아크릴계 점착제와 실리콘계 점착제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점착제와 경화제의 조합이나 배합량 등에 의해 강점착층(31a)용 재료와 약점착층(31b)용 재료를 나누어 만들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점착력은 약점착층이 1~100 gf/2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gf/25㎜,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 gf/25㎜이다.
약점착층(31b)의 접착력이 1 gf/25㎜ 미만이면 광커넥터끼리의 접속이 안정되지 않고, 100 gf/25㎜를 넘으면 박리가 어려워진다.
강점착층(31a)은 점착성 접속 부재가 광커넥터로부터 박리하지 않도록 강한 점착력이 필요하고, 약점착층의 점착력보다 20 gf/25㎜ 이상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기의 관계이다.
강점착층의 점착력 〉약점착층의 점착력 + 20 gf/25㎜
게다가, 약점착층의 2배 이상의 접착력을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점착력은 JIS Z 0237의 180도 박리 점착력에 준거한 형태로 측정했다.
두께는 강점착층(31a)과 약점착층(31b) 양쪽 모두 10~30㎛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약점착층(31b)의 두께는 9㎛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점착성 접속 부재(31)는 광커넥터 지름에 맞춘 삽입 구멍(H) 보다 한층 좁은 정도의 치수가 바람직하고, 삽입 구멍(H)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제 4 실시 형태
다음에, 도 6 을 이용해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치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a 는 평면도, 도 6b 는 C-C 선 단면도, 도 6c 는 사시도이다.
34 는 보호 테이프, 34a 는 보호 테이프의 손잡이부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는 삽입 구멍(H)이 보호 테이프(34)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와 동일하다.
보호 테이프(34)로는 시판의 멘딩 테이프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보호 테이프(34)에 의해 사용 전에 삽입 구멍(H)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보호 테이프(34)를 벗겨 버리듯이 하면, 보호 테이프(34)의 유무에 의해 어느 삽입 구멍(H)이 사용 종료인가가 일목 요연하게 된다.
덧붙여, 멘딩 테이프의 단부를 반으로 접는 등 하여 손잡이부(34)를 설치해 두면, 취급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한다.
(3)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의 제조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기재판(33) 상에 접착층(35)이 되는 양면 테이프 등을 붙이고, 박리 필름(36)으로서 박리 PET 등을 얹는다.
그리고, 박리 PET(36) 위로부터 약점착층(31b) 재료 및 강점착층(31a) 재료를 도포해 건조시킨다.
다음에, 소정 개소의 약점착층(31b), 강점착층(31a), 박리 PET(36)를 광커넥터 지름보다도 한층 좁아지도록 떼어내고, 그 외 부분의 약점착층(31b), 강점착층(31a), 박리 PET(36)를 제거한다.
그리고, 미리 레이저 등으로 정밀한 구멍 뚫기를 실시한 구멍 뚫린 판(32)을 양면 테이프(35) 위에 얹음으로써, 제 3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삽입 구멍(H)을 덮도록 보호 테이프(34)를 붙이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제조할 수 있다.
(4)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의 사용 방법
다음에, 도 7 을 이용해 본 발명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7 은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A-A 선 단면 확대도로서, 도 7a 는 광커넥터 삽입 전의 도면, 도 7b 는 광커넥터 삽입시의 도면, 도 7c 는 광커넥터 삽입 후의 도면이다.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커넥터(C) 삽입 전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는 삽입 구멍(H)의 바닥에 박리 필름(36)을 통해 점착성 접속 부재(31)가 배치되어 있다.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커넥터(C) 삽입시에는 강점착층(31a)이 광커넥터(C)와 접촉해 부착하고, 아울러 유연성이 있는 접착층(35)이 쿠션의 역할을 해 점착성 접속 부재(31)의 전면이 완전하게 광커넥터(C)의 선단에 부착한다.
도 7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커넥터(C) 삽입 후에는 약점착층(31b)이 박리 필름(36)으로부터 박리해 광커넥터(C)의 선단에 점착성 접속 부재(31)가 전사된다.
덧붙여, 상기 광커넥터(C)를 다른 광커넥터나 광학 부품에 꽉 누르면 용이하게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광커넥터가 서로 엇갈림을 일으켜도, 다른 광커넥터와 약점착층(31b)이 용이하게 박리하므로, 접속을 다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이용해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 및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설명한다.
1. 광학 접속 구조
〈실시예 1〉
우선, 점착성 접속 부재를 제작했다.
강점착면용 재료로서 재료 A 를 준비했다.
재료 A
아크릴계 점착제α (100중량부) + 에폭시계 경화제 (0.05중량부),
점착력 1767 gf/25㎜, 20℃에서의 굴절률 1.463
덧붙여, 굴절률의 측정에는 파장 1310㎚의 광원을 이용했다 (이하 같다).
약점착면용 재료로서 재료 X 를 준비했다.
재료 X
아크릴계 점착제α (100중량부) + 에폭시계 경화제 (4중량부),
점착력 30 gf/25㎜, 20℃에서의 굴절률 1.468,
두께 50㎛의 PET 필름을 깔고, 그 위에 재료 X 를 5㎛의 두께로 도포했다.
그리고, 즉시 그 위로부터 재료 A 를 15㎛의 두께로 도포하고, 두께 50㎛의 PET 필름을 얹어 실시예 1 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제작했다.
다음에,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했다.
우선, 점착성 접속 부재를 필요한 크기로 자르고, 석영계 싱글 모드의 광파이버 (스미토모덴코샤제, 외경 0.25㎜, 20℃에서의 굴절률 1.452) 8개를 묶은 MT 커넥터의 단부를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의 강점착면에 밀착시켰다. 계속하여, 이 MT 커넥터를 석영계 싱글 모드의 광파이버 (스미토모덴코샤제, 외경 0.25㎜, 20℃에서의 굴절률 1.452) 8개를 묶은 다른 MT 커넥터와 맞대게 함으로써, 점착성 접속 부재의 약점착면과 타 MT 커넥터를 접합해 실시예 1 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했다.
〈실시예 2〉
강점착면용 재료로서 재료 A 대신에 재료 B 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같게 하여 실시예 2 의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했다.
재료 B
아크릴계 점착제β (100중량부) + 에폭시계 경화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0.9중량부), 점착력 148 gf/25㎜, 20℃에서의 굴절률 1.464
〈실시예 3〉
강점착면용 재료로서 재료 A 대신에 재료 C 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같게 하여 실시예 3 의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했다.
재료 C
아크릴계 점착제β (86중량부) + 불소 수지 (14중량부) +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0.77중량부), 점착력 182 gf/25㎜, 20℃에서의 굴절률 1.457
〈실시예 4〉
약점착면용 재료로서 재료 X 대신에 재료 Y 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같게 하여 실시예 4 의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했다.
재료 Y
아크릴계 점착제γ (100중량부) +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디이소시안산 헥사메틸렌 부가체) (1중량부), 점착력 10 gf/25㎜, 20℃에서의 굴절률 1.478
〈비교예 1〉
재료 A 만을 이용해 비교예 1 의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했다.
〈비교예 2〉
재료 B 만을 이용해 비교예 2 의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했다.
〈비교예 3〉
재료 C 만을 이용해 비교예 3 의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했다.
〈비교예 4〉
재료 X 만을 이용해 비교예 4 의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했다.
〈비교예 5〉
재료 Y 만을 이용해 비교예 5 의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접속 구조에 대해, 이용한 재료를 표 1 에 나타냈다.
강점착면 약점착면
실시예 1 재료 A 재료 X
실시예 2 재료 B 재료 X
실시예 3 재료 C 재료 X
실시예 4 재료 A 재료 Y
비교예 1 재료 A
비교예 2 재료 B
비교예 3 재료 C
비교예 4 재료 X
비교예 5 재료 Y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접속 구조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방법〉
(초회 접속 손실)
8개의 광파이버를 묶은 MT 커넥터의 접속면을 연마하여, 직접 MT 커넥터와 MT 커넥터를 접속해 8개의 광파이버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LED : 1550㎚의 빛을 입사시키고, 타단으로부터 출사한 빛의 파워를 측정해 그 평균값을 산출해 기준값으로 했다.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접속 구조의 8개의 광파이버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LED : 1550㎚의 빛을 입사시키고, 타단으로부터 출사한 빛의 파워를 측정해 그 평균값을 산출해, 각각의 초기값으로 했다.
기준값과 초기값의 차이를 산출해, 초회 접속 손실 [dB] 로 했다.
(재접속 성공 회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접속 구조의 8개의 광파이버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LED : 1550㎚의 빛을 입사시키고, 타단으로부터 출사한 빛의 파워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해 각각의 초기값으로 했다.
다음에, MT 커넥터를 갈라 놓음으로써 약점착면과 다른 MT 커넥터를 박리시키고, 다시금 MT 커넥터를 다른 MT 커넥터에 맞대게 하여 접속해, 빛의 파워를 마찬가지로 측정하여 초기값과의 차이 [dB] 를 측정했다.
초기값과의 차이가 0.3dB 이내이면 재접속 성공으로 했다.
이후, 박리, 재접속, 측정을 반복해 초기값과의 차이가 0.3dB 를 넘는지, 또는 측정 회수가 100회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하여 재접속 성공 회수를 조사했다.
이상의 결과를 표 2 로 나타냈다.
초회 접속 손실 [dB] 재접속 성공 회수
실시예 1 0.018 100회 이상
실시예 2 0.074 100회 이상
실시예 3 0.038 100회 이상
실시예 4 0.063 100회 이상
비교예 1 0.090 0회
비교예 2 0.098 1회
비교예 3 0.111 0회
비교예 4 첩착 불가에 의해 측정 불능
비교예 5 첩착 불가에 의해 측정 불능
〈평가 결과〉
실시예 1~4 에서는 초회 접속 손실, 재접속 성공 회수 함께 실용상 문제없었다.
이것과 대조적으로, 비교예 1~3 에서는 초회 접속 손실은 실용상 문제없기는 했지만, 재접속 회수는 1회 이하로 실용상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실시예 4 및 5 에서는 점착력이 너무 약해서 MT 커넥터가 점착성 접속 부재를 보지하지 못하고, 첩착 불능에 의해, 초회 접속 손실, 재접속 성공 회수와 함께 측정할 수 없었다.
2.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실시예 5〉
우선, 강점착층용의 점착성 접속 부재로서 재료 A 를 준비했다.
재료 A
아크릴계 점착제 (100중량부) + 에폭시계 경화제 (0.05중량부)
점착력 1767 gf/25㎜, 20℃에서의 굴절률 1.463
또한, 굴절률의 측정에는 파장 1310㎚의 광원을 이용했다 (이하 같다).
약점착층용의 점착성 접속 부재로서 재료 X 를 준비했다.
재료 X
아크릴계 점착제 (100중량부) + 에폭시계 경화제 (4중량부)
점착력 30 gf/25㎜, 20℃에서의 굴절률 1.468
다음에, 기재판(33)인 투명 PET판 (아크릴선데이사제, 상품명 : 선데이 PET, 두께 500㎛) 상에 접착층(35)이 되는 양면 테이프 (닛토덴코사제, 상품명 : 양면 접착 테이프, 두께 125㎛)를 붙이고, 박리 필름(36)으로서 시판의 박리 PET (두께 38㎛)을 얹었다.
그리고, 박리 PET의 위로부터 약점착층(31b) 재료 X 및 강점착층(31a) 재료 A 를 도포해 건조시켰다.
또한, 약점착층(31b)의 두께는 5㎛, 강점착층(31a)의 두께는 15㎛였다.
다음에, 소정 개소의 약점착층(31b), 강점착층(31a), 박리 PET(36)를 소정의 10개소에서 직경 2㎜가 되도록 원형으로 레이저에 의해 잘라내고, 그 외 부분의 약점착층(31b), 강점착층(31a), 박리 PET(36)를 벗겨 제거했다.
그리고, 미리 레이저로 10개소에 직경 2.5㎜의 정밀한 구멍 뚫기를 실시한 구멍 뚫린 판(32) (아크릴선데이사제, 상품명 : 아크릴선데이판, 두께 1㎜)을 양면 테이프 상에 위치를 맞추어 얹었다.
아울러, 삽입 구멍(H)을 덮도록 보호 테이프(34)인 멘딩 테이프 (스미토모쓰리엠사제, 상품명 : Scotch 멘딩 테이프)를 붙여 실시예 5 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제조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5 의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이용하여, 10개의 SC 커넥터 (스미토모덴코샤제, 상품명 : 편단 SC 커넥터 부착 피그텔파이버)에 점착성 접속 부재를 첩착하고, 다른 SC 커넥터 (스미토모덴코샤제, 상품명 : 편단 SC 커넥터 부착 피그텔파이버)에 커넥터 어댑터를 이용해 꽉 누름으로써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고, 그 시간을 재었다.
10개의 광학 접속 구조의 제작에 걸린 시간은 70초였다.
또, 10개의 광학 접속 구조는 실용상 문제없이 접속되어 있었다.
〈비교예 6〉
두께 50㎛의 PET 필름을 깔고, 그 위에 재료 X 를 5㎛의 두께로 도포했다.
그리고, 즉시 그 위에서부터 재료 A 를 15㎛의 두께로 도포해 건조시켜 비교
예 6 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제조했다.
상기 비교예 6 의 점착성 접속 부재로부터 필요한 크기의 점착성 접속 부재를 떼어내어 10개의 SC 커넥터 (스미토모덴코샤제, 상품명 : 편단 SC 커넥터 부착 피그텔파이버)에 첩착하고, 다른 SC 커넥터 (스미토모덴코샤제, 상품명 : 편단 SC 커넥터 부착 피그텔파이버)에 커넥터 어댑터를 이용해 꽉 누름으로써,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고, 그 시간을 재었다.
10개의 광학 접속 구조의 제작에 걸린 시간은 3000초 (50분) 이었다.
또, 10개의 광학 접속 구조 중 3개는 위치 결정에 실패해 실용상 문제가 있었다.
〈평가 결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 손실을 저감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를 현장에서도 간편하게 광파이버의 선단에 첩착할 수 있는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판상으로 운반도 편리하고, 작업성이 뛰어난 실용적인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a)과, 타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b)과의 사이에 개재시켜 광학적으로 접속하는 굴절률 정합성을 가지는 점착성 접속 부재로서, 강점착면과 약점착면을 가지고, 약점착면이 점착력 1~100 gf/25㎜ 이며, 강점착면의 점착력이 약점착면의 점착력보다 20 gf/25㎜ 이상 강하고, 강점착면과 약점착면의 굴절률 차는 ±0.03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i) 아크릴계 점착제 및 에폭시계 경화제; 혹은 (ⅱ)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굴절률이 1.35 에서 1.5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
  5. 청구항 1에 기재된 점착성 접속 부재에 의해서, 광전송 매체와 타 광전송 매체 또는 광학 부품과의 사이가 광학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6. 광커넥터 지름에 맞춘 삽입 구멍을 가지는 판상 부재와,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점착성 접속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가 굴절률 정합성을 가지고, 강점착증과 약점착층을 가지며, 상기 삽입 구멍의 바닥에 접하고 있고,
    약점착면이 점착력 1~100 gf/25㎜ 이며, 강점착면의 점착력이 약점착면의 점착력보다 20 gf/25㎜ 이상 강하고, 강점착면과 약점착면의 굴절률 차는 ±0.03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기재판과 구멍 뚫린 판이 접착층으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접속 부재는 강점착층과 약점착층을 갖고, 약점착층이 박리 필름을 통해 상기 삽입 구멍의 바닥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이 보호 테이프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KR1020100030047A 2006-10-31 2010-04-01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 및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KR100997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95026 2006-10-31
JPJP-P-2006-295026 2006-10-31
JP2007057749A JP4644218B2 (ja) 2007-03-07 2007-03-07 粘着性接続部材貼着治具
JPJP-P-2007-057749 2007-03-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251A Division KR20080039252A (ko) 2006-10-31 2007-10-26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 및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166A true KR20100043166A (ko) 2010-04-28
KR100997816B1 KR100997816B1 (ko) 2010-12-01

Family

ID=389842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251A KR20080039252A (ko) 2006-10-31 2007-10-26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 및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KR1020100030047A KR100997816B1 (ko) 2006-10-31 2010-04-01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 및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251A KR20080039252A (ko) 2006-10-31 2007-10-26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 및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85461B2 (ko)
EP (1) EP1918746B1 (ko)
KR (2) KR20080039252A (ko)
CN (1) CN101174006B (ko)
HK (1) HK1117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2674A1 (ja) * 2008-03-31 2009-10-08 株式会社巴川製紙所 ゴム部材、粘着性接続部材および光学接続構造
JP5170911B2 (ja) 2008-10-28 2013-03-27 株式会社巴川製紙所 粘着性接続部材貼着治具
US20110104388A1 (en) * 2009-11-02 2011-05-05 Harris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n optical device including a curable index matching elastomeric solid layer
US8175426B2 (en) 2009-11-02 2012-05-08 Harris Corporation Optical fiber switch including an index matching elastomeric solid layer providing core and cladding index of refraction matching and related methods
US8231281B2 (en) 2009-11-02 2012-07-31 Harris Corporation Repeatable optical waveguide interconnection including an index matching elastomeric solid layer providing core and cladding index of refraction matching and related methods
US8137001B2 (en) * 2009-11-02 2012-03-20 Harris Corporation Repeatable optical waveguide interconnection including an index matching elastomeric solid layer and related methods
US8195016B2 (en) * 2009-11-02 2012-06-05 Harris Corporation Optical fiber switch including an index matching elastomeric solid layer and related methods
JP5988130B2 (ja) 2012-01-30 2016-09-07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フィルム担持基板およびフィルム貼着用治具
US9885839B2 (en) 2013-01-29 2018-02-06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including optical fiber alignment device with optical fiber cleaner
WO2014118225A1 (en) 2013-01-29 2014-08-07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Fiber optic connector with fiber end protection
WO2017058629A1 (en) 2015-09-28 2017-04-06 Commscope Technologies Llc End face protection tape for fiber optic connector; and methods
US20220196924A1 (en) * 2020-12-22 2022-06-23 Intel Corporation Pierceable protective cover for photonic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338A (en) * 1974-11-08 1976-11-02 Gosser Robert B Push-pin assembly method and construction
US4512630A (en) * 1975-11-11 1985-04-23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connector
JPS582512A (ja) 1981-06-26 1983-01-08 Sanyo Electric Co Ltd 石油燃焼器
JPS582812A (ja) * 1981-06-29 1983-01-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高密度ユニツトの接続方法
US4900125A (en) * 1988-07-21 1990-02-13 Abbott Laboratories Optical coupling method
JPH0534532A (ja) * 1991-07-31 1993-02-12 Hitachi Ltd 光フアイバの接続器
FR2685098B1 (fr) * 1991-12-12 1995-02-10 Andre Schiltz Procede de montage et de couplage optique sur un substrat et substrat equipe d'une fibre optique.
JP3653402B2 (ja) * 1998-05-27 2005-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光送受信モジュール
JP4209001B2 (ja) 1998-09-03 2009-01-14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複合両面テープ
IT1308824B1 (it) * 1999-03-22 2002-01-11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Procedimento per la giunzione permanente di fibre con punti ditransizione vetrosa fortemente differenti.
JP4088779B2 (ja) * 2003-04-25 2008-05-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ファイバ間の結合構造および結合方法
JP2006221031A (ja) * 2005-02-14 2006-08-24 Tomoegawa Paper Co Ltd 光学接続構造
JP2007093647A (ja) * 2005-09-27 2007-04-12 Tomoegawa Paper Co Ltd 光学接続構造及び光学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4006B (zh) 2010-06-02
EP1918746B1 (en) 2015-01-14
KR100997816B1 (ko) 2010-12-01
EP1918746A1 (en) 2008-05-07
CN101174006A (zh) 2008-05-07
US20080099150A1 (en) 2008-05-01
HK1117918A1 (en) 2009-01-23
US7985461B2 (en) 2011-07-26
KR20080039252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816B1 (ko) 점착성 접속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 및 점착성 접속 부재 첩착 치구
EP1686402B1 (en) Optical connection structure and optical connection method
JP4332490B2 (ja) 光学接続構造およびその光学接続方法
JP2006221031A (ja) 光学接続構造
JP5574960B2 (ja) 光伝送媒体、フェルール及び光終端コネクタ
JP2007093647A (ja) 光学接続構造及び光学接続方法
JP5228037B2 (ja) ゴム部材、粘着性接続部材および光学接続構造
JP4644218B2 (ja) 粘着性接続部材貼着治具
CN100465679C (zh) 光连接器及光纤的连接结构
JP5150201B2 (ja) 粘着性接続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接続構造
JP2009265243A (ja) 光学接続構造および光学接続方法
JP2010191234A (ja) 光吸収材、光吸収材貼着治具および光減衰器
JP2009244545A (ja) 光学接続構造および光学接続方法
JP2007225743A (ja) 光コネクタ
JP2009271312A (ja) 光学接続構造および光学接続方法
JP2009244556A (ja) 光学接続構造および光学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