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432A -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 Google Patents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432A
KR20100039432A KR1020107004611A KR20107004611A KR20100039432A KR 20100039432 A KR20100039432 A KR 20100039432A KR 1020107004611 A KR1020107004611 A KR 1020107004611A KR 20107004611 A KR20107004611 A KR 20107004611A KR 20100039432 A KR20100039432 A KR 20100039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rver
access point
call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025B1 (ko
Inventor
닉힐 제인
아비니쉬 아그라왈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3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29Packet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47Transmission e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04L43/087J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 장치, 및 두 네트워크 사이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의 핸드오프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장치의 프로세서는 제2 네트워크에서의 호를 지원하면서 제1 네트워크에서 서버와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를 또한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정보, 로컬 측정, 또는 이둘 모두를 사용하여 호를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WIRELESS HANDOFFS BETWEEN MULTIPLE NETWORKS}
본 출원은 2005년 4월 21일 출원된 "Triggers for WAN to LAN Handoffs"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60/674,110을 우선권으로 청구한다.
본 발명은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모바일 통신 장치의 핸드오프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의 발달을 초래하였다. CDMA2000 1x는 광역 전화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단지 일 례이다. CDMA2000 1x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기술을 이용하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2(3GPP2)에 의해 공표된 무선 표준이다. CDMA는 다수의 사용자가 확산 스펙트럼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공통 통신 매체를 공유하게 하는 기술이다. 유럽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경쟁적인 무선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이다. CDMA2000 1x와는 상이하게, GSM은 무선 전화 및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협대역 시분할 다중 접속(TDMA)을 이용한다. 소정의 다른 무선 네트워크는, e-mail 및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데이터 레이트를 갖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및 오디오 및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광대역 음성 및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을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셀룰러 기술을 이용하는 광역 네트워크로 간주될 수 있다. 셀룰러 기술은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이 셀들로 분해되는 기술에 기초한다. 이러한 각각의 셀들 내에는, 모바일 사용자와 통신하는 고정된 송수신 기지국(BTS)이 존재한다. 기지국 제어기(BSC)는 BTS를 제어하고, 패킷 스위칭 및 회로 스위칭되는 네트워크에 대해 적절한 게이트웨이로 통신을 라우팅하도록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무선 정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장치는 광역 셀룰러 네트워크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사이에서 결절 없는(seamless)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공하면서 통합된 음성, 데이터, 및 스트리밍 미디어를 지원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무선 LAN은 IEEE 802.11, 블루투스 등과 같은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에 대해 전화 및 데이터 서비스를 통상적으로 제공한다. 무선 LAN의 존재는 무선 LAN의 인프라 구조를 이용하여 허가받지 않은 스펙트럼으로 셀룰러 통신을 확장함으로써 광역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용량(capacity)을 증가시키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
최근에, 모바일 장치가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게 하는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었다. 추가적인 기술이 모바일 사용자가 하나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으로부터 다른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할 때 모바일 사용자의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품질 성능은, 만일 모바일 장치를 핸드오프하는 결정이 모바일 사용자의 위치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서비스 품질에도 의존하는 경우 소정의 실시예에서 향상될 수도 있다.
모바일 통신 장치의 일 특징이 개시된다. 모바일 통신 장치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호를 지원하면서 제1 네트워크의 서버와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서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되는다. 프로세서는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호를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다.
모바일 통신 장치의 다른 특징이 개시된다. 모바일 통신 장치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호를 지원하면서 제1 네트워크의 서버와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순방향의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지연, 지터, 패킷 손실 또는 데이터 에러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기초로 제1 네트워크로 호를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다.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의 통신 방법의 일 특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호를 지원하면서 제1 네트워크에서 서버와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호를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장치로부터 통신하는 방법의 일 특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호를 지원하면서 제1 네트워크에서 서버와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순방향의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지연, 지터, 패킷 손실 또는 데이터 에러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기초로 제1 네트워크로 호를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통신 장치의 다른 특징이 개시된다. 모바일 통신 장치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호를 지원하면서 네트워크의 서버와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는 수단, 네트워크 접속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로 호를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모바일 통신 장치의 또 다른 특징이 개시된다. 모바일 통신 장치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호를 지원하면서 제1 네트워크의 서버와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는 수단, 순방향의 네트워크 접속에 대해 지연, 지터, 패킷 손실 또는 데이터 에러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측정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로 호를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임이 이해되며,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는 예로써 본원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원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원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특징이 도면에서 예로써 설명되며, 본원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념적인 블록도이다.
도2는 셀룰러 및 무선 LAN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의 예를 도시한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3은 호 설정 동안 모바일 장치의 알고리즘의 기능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4는 호가 진행 중일 때 도3의 알고리즘의 기능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서 설명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일한 실시예를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특정한 설명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한 설명 없이 실행될 수도 있음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소정의 예에서, 잘 알려진 구조 및 구성이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기술이 하나의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의 모바일 사용자의 핸드오프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다수의 기술은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 전체에 분산된 하나 이상의 무선 LAN을 갖는 광역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의 관점에서 개시될 것이다. 모바일 통신 장치는 CDAM2000 1x 네트워크에서의 동작하도록 의도된 셀룰러 폰과 같은 무선 전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적당한 장치일 수도 있다. 모바일 통신 장치는 예로써 IEEE 802.11을 포함하는 무선 LAN을 액세스하기 위해 소정의 적합한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은 IEEE 802.11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셀룰러 폰의 환경에서 설명될 수 있는 반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이러한 기술이 다수의 네트워크를 액세스할 수 있는 다른 모바일 통신 장치로 확장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술은 CDMA2000 1x 네트워크와 GSM 네트워크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는 모바일 통신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IEEE 802.11과 통신할 수 있는 셀룰러 폰에 대한 소정의 참조, 또는 다른 특정한 실시예는, 이러한 특징이 넓은 범위의 애플리케이션을 갖는다는 것을 전제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모바일 장치(102)는 연속한 파선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광역 셀룰러 네트워크(104)를 통해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셀룰러 네트워크(104)는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 전체에 분산된 다수의 BTS를 지원하는 BSC(106)를 포함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단일 BTS(108)가 도1에 도시된다.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110)는 공중 전화 교환 네트워크(PSTN)(112)로 게이트웨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비록 도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셀룰러 네트워크(104)는 셀룰러 네트워크(104)의 지리적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각각이 임의의 수의 BTS를 지원하는 다수의 BSC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수의 BSC가 셀룰러 네트워크(104) 도처에서 사용될 때, MSC(110)는 BSC들 사이의 통신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104)는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 도처에 분산된 하나 이상의 무선 LAN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일 무선 LAN(114)이 도1에 도시된다. 무선 LAN(114)은 IEEE 802.11,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무선 LAN(114)은 IP 네트워크(118)와 통신하도록 모바일 장치(102)를 위한 액세스 포인트(116)를 포함한다. 서버(120)는 PSTN(112)으로의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MSC(110)로 IP 네트워크(118)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전력이 모바일 장치(102)에 처음 인가될 때, 모바일 장치는 셀룰러 네트워크(104) 또는 무선 LAN(114) 중 하나에 접속을 시도할 것이다. 특정 네트워크를 액세스하기 위한 결정은 특정 네트워크 및 전체 설계 제한과 관련한 다양한 팩터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로써, 모바일 장치(102)는 서비스 품질이 최소 임계치를 충족할 때 무선 LAN(114)을 액세스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LAN(114)이 모바일 전화 및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도까지, 귀중한 셀룰러 대역폭이 다른 모바일 사용자에 대해 자유롭게 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102)는 액세스 포인트(116), 또는 무선 LAN의 소정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비컨(beacon)을 연속적으로 탐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비컨은 액세스 포인트(116)에 의해 전송되는 동기화 정보를 갖는 주기적 신호이다. 전력이 위치 A에서 모바일 장치(102)에 인가되는 경우일 수도 있는, 모바일 장치(102)가 비컨을 검색할 수 없는 경우, 모바일 장치(102)는 셀룰러 네트워크(104)로 접속을 시도한다. 모바일 장치(102)는 BTS(108)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셀룰러 네트워크(104)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일단 파일럿 신호가 획득되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식으로 무선 접속이 모바일 장치(102)와 BTS(108) 사이에서 구축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102)는 MSC(110)로 등록하기 위해 BTS(108)와의 무선 접속을 이용할 수도 있다. 등록은 모바일 장치(102)가 자신의 소재를 셀룰러 네트워크(104)에 알리는 프로세스이다. 등록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모바일 장치(102)는 모바일 장치(102) 또는 PSTN(112) 중 하나에 의해 호가 초기화될 때까지 유휴(idle) 상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무선 트래픽 링크는 호를 설정 및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102) 및 BTS(108) 사이에서 구축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102)가 위치A로부터 위치B로 셀룰러 네트워크(104)를 통해 이동하면서, 모바일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116)로부터 비컨을 검출하기 시작한다. 일단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방식으로 무선 접속이 둘 사이에 구축될 수도 있다. 이어 모바일 장치(102)는 서버(120)의 IP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모바일 장치(102)는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해 도메인 네임 서버(DNS)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서버(120)의 도메인 네임은 셀룰러 네트워크(104)를 통해 모바일 장치(102)로 전달될 수도 있다.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2)는 서버(120)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이라는 용어는 모바일 장치(102)와 서버(120) 사이의 네트워크 계층 접속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요구되는, 물리 계층 접속을 포함하는 하위 계층 접속을 의미한다. 일단 네트워크 접속이 구축되면, 서버(120)로부터의 정보는 무선 LAN(114)의 서비스 품질이 모바일 장치(102)를 액세스 포인트(116)로 핸드오프하기에 충분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로컬 측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2) 및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해 행해진 로컬 측정의 예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116)로의 핸드오프는 소프트 핸드오프 또는 하드 핸드오프일 수도 있다. 소프트 핸드오프는 셀룰러 네트워크(104)의 BTS(108)와의 현재 무선 트래픽 링크를 단절시키기 전에 무선 LAN(114)의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트래픽 링크를 구축하는 프로세스이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호가 중단될 확률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핸드오프를 실질적으로 감지하지 않게 한다. 소프트 핸드오프는 개별 셀룰러 및 무선 LAN 송수신기를 갖는 모바일 장치(102)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 핸드오프는 액세스 포인트(116)와 무선 트래픽을 설정하기에 앞서 호를 서비스하는 BTS(108)로부터 짧은 접속 차단을 수반한다. 하드 핸드오프는 여러 가지 이유로 실현될 수도 있다. 예로써, 하드 핸드오프는 핸드오프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튜닝되는 단일 송수신기를 갖는 모바일 장치(102)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소프트 핸드오프를 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102)는 프레임 오프셋, 오정렬, 또는 모바일 장치(102)가 셀룰러 네트워크(104)의 외부에서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프 하고 있는 경우, 하드 핸드오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BTS(108)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16)로의 핸드오프의 예가 설명될 것이다. 일단 모바일 장치(102)가 로컬 측정측정치들 및 서버 정보로부터 서버 정보가 액세스 포인트(116)로의 핸드오프를 개시하도록 결정되면, 모바일 장치(102)는 네트워크 접속(120)을 통해 서버(120)로의 핸드오프 요청을 전달한다. 서버(120)는 액세스 포인트(116)가 셀을 조정할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가졌는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핸드오프 메시지를 MSC(110)로 전달한다. 핸드오프 메시지는 BTS(108)에게 무선 LAN(114)으로의 핸드오프를 통보하기 위해 MSC(110)에 의해 사용된다. 서버(120)는 또한 핸드오프 명령을 모바일 장치(102)로 전달한다. 핸드오프 명령에 응답하여, 모바일 장치(102)는 BTS(108)와의 현재 무선 트래픽 링크를 중단하고 액세스 포인트(116)와 새로운 무선 트래픽 링크를 구축한다. 일단 액세스 포인트(116)와 새로운 무선 트래픽 링크가 구축되면, 서버(120)는 핸드오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MSC(10)에 신호를 보낸다. 모바일 장치(102)는 이제 무선 LAN(114)을 이용하여 셀룰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2)가 셀룰러 서비스를 위해 무선 LAN(114)을 이용하므로, 모바일 장치는 서버(120) 및 로컬 측정에 의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접속의 서비스 품질을 계속 모니터링한다. 무선 LAN(114)의 서비스 품질이 수용가능한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모바일 장치(102)는 셀룰러 네트워크(104)로 다시 핸드오프를 개시할 수도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104)로의 핸드오프는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서버(120)로 핸드오프 전송을 요청함으로써 모바일 장치(102)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20)는 소정의 적절한 표준을 기초로 모바일 장치의 요청을 승인 또는 거절할지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120)에는 요청을 거절할 어떠한 결정권도 주어지지 않는다. 어떤 경우든, 서버(120)는 핸드오프 절차의 일부로서 핸드오프 메시지를 MSC(110)에 전달한다. 핸드오프 메시지는 이용가능한 리소스를 갖는 목표 BTS를 찾기 위해 MSC(110)에 의해 사용된다. 이어 MSC는 핸드오프를 위한 리소스를 준비하고 서버(120)로 핸드오프 명령을 전달할 것을 목표 기지국에 통보한다. 핸드오프 명령에 응답하여, 서버(120)는 모바일 장치(102)가 목표 BTS로 이동할 것을 명령한다. 모바일 장치(120)는 액세스 포인트(116)과의 현재 무선 트래픽 링크를 차단하고 목표 BTS와의 새로운 무선 트래픽 링크를 구축함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일단 새로운 무선 트래픽 링크가 목표 BTS로 구축되면, 목표 BTS는 핸드오프가 완료되고, 셀룰러 서비스를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104)의 사용을 재개함을 나타내기 위해 MSC(110)에 신호를 보낸다.
도2는 셀룰러 및 무선 LAN 통신 모두를 지원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모바일 장치(102)는 셀룰러 송수신기(202) 및 무선 LAN 송수신기(20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102)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셀룰러 송수신기(202)는 BTS(미도시)와의 CDMA2000 1x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무선 LAN 송수신기(204)는 액세스 포인트(미도시)와의 IEEE 802.11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모바일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된 개념이 다른 셀룰러 및 무선 LAN 기술에 확장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각각의 송수신기(202, 204)는 각각 개별 안테나(206, 207)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송수신기(204, 204)는 단일 광대역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206, 207)는 하나 이상의 방사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102)는 또한 프로세서(208)가 두 송수신기(202, 204)에 결합되게 도시되지만, 모바일 장치(102)의 선택적 실시예에서 개별 프로세서가 각각의 송수신기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8)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소정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로써, 프로세서(208)는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특히 (1)셀룰러 네트워크 및 무선 LAN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 및 관리하고, (2)키패드(210), 디스플레이(212), 및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에 프로세서를 인터페이스시키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8)는 컨볼루션 인코딩, 순환 중복 검사(CRC) 기능, 변조, 및 확산 스펙트럼 프로세싱과 같은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을 지원하는 내장된 소프트웨어 계층을 갖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를 포함할 수도 있다. DSP는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보코더 기능을 또한 실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8)가 구현되는 방식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한에 의존할 것이다.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이러한 상황하에서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의 상호 호환성, 및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개시된 기능의 최적 구현을 인식할 것이다.
프로세서(208)는 하나의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트리거하는 알고리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은 전술한 구조에 기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지원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알고리즘은 프로세서(208)와는 독립된 모듈일 수도 있다.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소정 조합일 수도 있다. 특정한 설계 제한에 의존하여, 알고리즘은 모바일 장치(102)의 소정의 엔티티로 통합되거나, 모바일 장치(102)의 다수의 엔티티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핸드오프를 트리거하기 위해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된 표준은 특정 구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표준은 모바일 장치(102)에 의해 행해진 로컬 측정 및 서버(120)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준은, 무선 LAN(114)의 서비스 품질이 수용가능할 때 모바일 장치(102)를 BTS(108)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16)로 핸드오프는 요청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한 표준이, 서비스 품질이 수용가능한 레벨 이하로 떨어질 때, 모바일 장치(102)를 다시 BTS(108)로 핸드오프시키는 요청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핸드오프 요청을 생성하기 위해 알고리즘이 이러한 표준을 조작하는 방식은 모바일 장치(102)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소정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을 조작하는 최적의 방법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모바일 장치(102)에 의해 행해진 로컬 측정은 네트워크 접속의 품질을 나타내는 다양한 메트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로써, 모바일 장치(102)는 액세스 포인트(116)로부터의 전송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전화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연, 지터(jitter) 또는 패킷 손실은 순방향의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신뢰가능한 품질 메트릭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순방향"이라는 용어는 서버(120)로부터 모바일 장치(102)로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전송을 의미하며, "역방향"은 모바일 장치(102)로부터 서버(120)로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전송을 의미한다. 데이터 에러 레이트는 순방향 네트워크 접속의 추가 품질 메트릭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에러 레이트"는 비트 에러 레이트(BER), 프레임 에러 레이트(FER), 패킷 에러 레이트, 또는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비트가 손상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다른 에러 레이트 측정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서버(120)에 의해 제공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116) 상의 로딩(loading), 액세스 포인트(116)의 성능과 관련한 이력 정보, 데이터 에러 레이트, 지연, 지터 또는 역방향에서의 패킷 손실과 같은 품질 메트릭, 또는 네트워크 저속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소정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1 및 2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 강도는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 블록(216)으로 모바일 장치(102)에서 측정될 수도 있다. RSSI는 아마도 자동 이득 제어를 위해 무선 LAN 송수신기(202)로 피드백되는 현재 신호일 것이며, 따라서 모바일 장치(102)의 회로 복잡성을 증가시키기 않고 프로세서(208)에 제공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무선 접속의 품질은 비컨으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다. 비컨이 알려진 확산 스펙트럼 신호이기 때문에, 연역적으로, 비컨의 복제가 모바일 장치(102)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복조된 비컨은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식에 의해 전송된 비컨의 에너지를 추정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복제 비컨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은 또한 순방향의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다양한 품질 메트릭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품질 메트릭 중 하나는 순방향의 네트워크 접속에 걸친 지연이다. 전화 애플리케이션에서, 초과 지연은 바람직하지 않은 에코 또는 화자 중첩으로 인해 열악한 품질을 초래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은 소정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지연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날짜 및 시간 스템프는 네트워크 접속에 걸친 지연을 측정하기 위해 서버(120)로부터 송신된 패킷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순방향 송신이 모바일 장치(102)에 의해 수신될 때, 시간 스탬프는 프로세서(208)에서 추출될 수 있고, 모바일 장치(102) 내부의 로컬 클록(미도시)와 비교될 수 있다. 순방향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지연을 나타내는 결과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은 가장 최근 전송에 대해 메모리에 저장된 지연 값, 또는 택일적으로, 다수의 지연 값으로부터의 평균 지연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모바일 장치(102)를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접속에 걸친 지연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 스탬프의 사용은 로컬 클록이 서버(120)와 동기화될 것을 필요로 한다. 원격 시간 소스(미도시)가 모바일 장치(102)를 서버(120)와 동기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원격 시간 소스는 무선, 위성, 모뎀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세계 협정시(UTC)와 동기되는 IP 네트워크(118)의 많은 서버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원격 시간 소스는 모바일 장치(102)에서 내부 클록을 업데이트 또는 동기화하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NTP)로 알려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NTP는 소정의 시간 기준으로 시계를 동기화시키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다. NTP는 프로세서(208)에서, 또는 모바일 장치(102)의 소정 위치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전화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연 관련 문제들이 지터를 제거할 필요성에 의해 추가로 조합될 수도 있다. 지터는 네트워크 정체, 시간 편이, 또는 경로 변경으로 인한 패킷들의 지연에서의 변화이다. 지터의 제거는 모든 패킷이 올바른 순서로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도달하는 패킷들의 버퍼링을 필요로 한다. 패킷들의 버퍼링 프로세스는 추가의 지연을 부가한다. 따라서, 알고리즘은 추가의 품질 메트릭으로서 순방향에서 네트워크 접속에 대해 지터를 측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다. 네트워크의 지연에서의 변경에 적응하는, 적응형 지터 버퍼의 경우, 알고리즘에 의해 측정된 지연은 측정이 프로세싱 경로에서 행해졌는지에 따라 네트워크 지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패킷에 대한 고정된 지연을 도출하는 고정된 지터 버퍼의 경우, 알고리즘은 메모리에 저장된 지연 값에서의 변화로부터 네트워크 지터를 측정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은, 지연 값들의 최악의 경우의 변화, 지연 값들의 평균 변화,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모바일 장치를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손실된 패킷들은 전화 애플리케이션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IP 네트워크들이 서비스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높은 빈도의 손실된 패킷을 통상적으로 나타낼 것이다. IP 네트워크에서, 음성 패킷들은 데이터로서 동일하게 처리된다. 그 결과, 음성 패킷들은, IP 네트워크가 심하게 정체될 때, 데이터 패킷과 동등하게 드롭(drop)될 것이다. 그러나 데이터 패킷과 상이하게, 손실된 음성 패킷은 이후에 간단하게 재전송될 수 없다. 알고리즘은 소정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손실된 패킷과 관련한 품질 메트릭을 계산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예로서,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패킷들은 또한 시간 및 날짜 스탬프 외에, 시퀀스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순방향 전송이 모바일 장치(102)에 의해 수신될 때, 시퀀스 번호는 프로세서(208)에서 추출되고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시퀀스 번호에 기반하여, 알고리즘은 어떤 패킷이 손실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볼루션 인코딩, CRC 기능, 변조 및 공간 확산 프로세싱과 같은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이 프로세서(20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CRC 기능은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수단에 의해 FER을 계산하기 위해 프로세서(208)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FER은 하나의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모바일 장치(102)를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순방향에서 네트워크 접속의 품질 메트릭으로서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또는 CRC 기능에 부가하여, 다른 데이터 에러 검출 기술이 몇 가지만 열거하며, 검사 합 및 패리티 비트를 포함하는 품질 메트릭을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품질 메트릭 외에, 알고리즘은 모바일 장치(102)를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핸드오프할 지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120)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116) 상의 로딩과 관련될 수도 있다. 비록 무선 LAN(114)이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광역 스펙트럼을 사용하지만, 오버헤드는 액세스 포인트(116)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바일 사용자의 수를 한정할 수도 있다. 더욱이, 무선 LAN(114) 부근의 다른 모바일 사용자의 존재는 액세스 포인트(116) 상에 추가의 로딩이 될 수도 있다. 서버(120)는 액세스 네트워크(116)를 통해 무선 LAN(114)에 의해 지원되는 모든 모바일 사용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모바일 장치(102)로 제공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은 하나의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모바일 장치(102)의 핸드오프를 요청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서버(120)에 의해 모바일 장치(102)로 제공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116)에 대한 이력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로써, 서버(120)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수단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116)에 의해 드롭핑된 호의 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이 일단 구축되면,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모바일 장치(102)로 전송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2)에서 알고리즘은 액세스 포인트(116)에서의 로딩 계산을 돕기 위해 상기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만일 액세스 포인트(116)에 의해 높은 빈도의 드롭핑된 호가 존재하면, 알고리즘은 액세스 포인트에 단지 적절한 로딩이 걸릴 때에도 셀룰러 네트워크 상에서 호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청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역으로, 만일 드롭핑된 호의 빈도가 낮으면, 알고리즘은 더욱 적극적인 방식을 취하고 만일 액세스 포인트(116)에 과도하게 로딩이 걸리더라도 무선 LAN(114) 상에서 호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청의 생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정보는 역방향에서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하여 서버(120)에 의해 계산된 다양한 품질 메트릭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품질 메트릭은 데이터 레이트 에러, 지연, 지터, 손실된 패킷, 및 네트워크 접속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소정의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120)는 알고리즘과 관련하여 전술된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이러한 품질 메트릭을 계산할 수도 있다. CRC 기능은 역방향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전송된 프레임에 내장된 CRC 값으로부터 FER을 계산하기 위해 서버(120)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지연 또는 지터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모바일 장치(102)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와 함께 날짜 및 시간 스템프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한도까지, NTP가 서버 내부 시계를 동기화하기 위해 서버(120)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102)에 의해 제어 신호에 포함된 시퀀스의 수는 손실된 패킷을 식별하기 위해 서버(120)에 의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품질 메트릭은 순방향 및 역방향 모두에서 네트워크 접속의 완전한 화상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102)에 의해 측정된 품질 메트릭과 관련한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3은 호 설정 동안 알고리즘의 기능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302)에서, 일단 호가 모바일 장치로부터 배치되거나, 모바일 장치에 의해 수신되면, 알고리즘은 인에이블된다. 일단 인에이블되면, 알고리즘은 단계(304)에서 네트워크 접속이 모바일 장치와 서버 사이에서 구축(establish)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단계(306)에서, 알고리즘은 셀룰러 네트워크 상에 호를 설정하도록 프로세서로 신호를 보낸다. 그러나 만일 네트워크 접속이 존재하면, 알고리즘은 서버로부터 정보의 수신을 시작할 것이다. 모바일 장치에 의해 행해진 로컬 측정과 함께, 이러한 정보는 무선 LAN의 서비스 품질이 호를 지원하기 위해 수용가능한 지를 결정하기 위해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단계(308)에서, 알고리즘은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예에서, 정보는 무선 LAN에서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을 나타낸다. 단계(310)에서, 알고리즘은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를 결정한다. 만일 알고리즘이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이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결정하면, 알고리즘은 단계(306)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상에 호를 설정하도록 프로세서에 신호를 보낸다. 임계치는 모자일 장치에서 생성되거나, 택일적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서버로부터 모바일 장치로 제공될 수도 있다. 어쨋든, 임계치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력 정보에 기반하여 고정되거나 조정가능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결정했음을 가정하면, 프로세스는 계속된다. 단계(312)에서, 알고리즘은 순방향에서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다양한 품질 메트릭을 측정한다. 알고리즘은 또한 단계(314)에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로부터의 정보는 역방향에서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다양한 품질 메트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품질 메트릭은 단계(316)에서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다. 만일 품질 메트릭이 수용불가능한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면, 알고리즘은 셀룰러 네트워크 상에 호를 설정하도록 프로세서에 신호를 보낸다. 역으로, 만일 품질 메트릭이 수요가능한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면, 알고리즘은 단계(318)에서 무선 LAN 상에 호를 설정하도록 프로세서에 신호를 보낸다.
도4는 호가 진행 중일 때 알고리즘의 기능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무선 LAN의 서비스 품질에 따라, 호는 도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두 네트워크 중 하나 상에서 설정된다. 만일 알고리즘이 무선 LAN의 서비스 품질이 호 설정 동안 수용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면, 호는 단계(306)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상에서 설정된다. 알고리즘은 호가 진행함에 따라 무선 LAN의 서비스 품질을 계속하여 모니터링한다. 알고리즘은 단계(402)에서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와 관련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이 단계(404)에서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를 결정한다. 만일 알고리즘이 액세스 포인트의 로딩이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결정하면, 호는 셀룰러 네트워크 상에서 유지된다. 알고리즘은 단계(402 및 404)에서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을 계속하여 모니터링한다. 만일, 한편으로, 알고리즘이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단계(406)에서 알고리즘은 순방향에서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다양한 품질 메트릭을 측정하며, 단계(408)에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서버로부터의 정보는 역방향에서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다양한 품질 메트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품질 메트릭은 단계(410)에서 알고리즘에 의해 평가된다. 만일 품질 메트릭이 수용가능하지 않은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면, 호는 셀룰러 네트워크 상에서 유지되는 반면, 알고리즘은 단계(402)로 복귀하여 계속하여 무선 LAN을 모니터링한다. 역으로, 만일 품질 메트릭이 수용가능한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면, 알고리즘은 단계(412)에서 무선 LAN으로의 핸드오프를 협상하도록 프로세서에 신호를 보낸다.
단계(318)를 참조하면, 호는 도3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LAN상에서 초기에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알고리즘은 호가 진행함에 따라 무선 LAN의 서비스 품질을 계속하여 모니터링한다. 알고리즘은 단계(414)에서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와 관련한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416)에서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를 결정한다. 알고리즘이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이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결정하면, 알고리즘은 단계(424)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핸드오프를 협상하도록 프로세서에 신호를 보낸다. 그렇지 않으면, 알고리즘은 단계(418)에서 순방향에서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다양한 품질 메트릭을 측정하고, 단계(420)에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서버로부터의 정보는 역방향에서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다양한 품질 메트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품질 메트릭은 단계(422)에서 알고리즘에 의해 평가된다. 만일 품질 메트릭이 수용불가능한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면, 알고리즘은 단계(424)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핸드오프를 협상하도록 프로세서에 신호를 보낸다. 다른 한편으로, 만일 알고리즘이 무선 LAN의 서비스 품질이 수용가능하다고 결정하면, 호는 무선 LAN 상에 유지되는 반면, 알고리즘은 단계(414)로 복귀하고 계속하여 무선 LAN을 모니터링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다양하게 설명되는 논리들, 논리 블럭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응용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요소들,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될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그들의 조합에서 즉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제거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임의의 다른 저장 매체 형태로 당업자에게 공지된다. 저장 매체는 저장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프로세서에 접속된다. 선택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당업자가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며, 여기서 한정된 일반 원칙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과 전체적으로 조화되는데, 단일 소자에 대한 참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면, "하나 및 단지 하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인식될, 설명된 모든 구성 및 구조는 참조를 위해 포함되며, 청구항에 포함된다. 더욱이, 청구항에 기재되었는지와 무관하게, 설명된 어떤 것도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천명한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가 "수단" 또는 "단계"와 같이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았다면, 어떠한 청구항의 구성 요소도 35 U.S.C.§112, 6번째 문단의 규정에 따라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18)

  1. 모바일 통신 장치로서,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호(call)를 지원하면서 제1 네트워크의 서버와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순방향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지연, 지터, 패킷 손실 또는 데이터 에러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호를 핸드오프할 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 및 상기 정보 둘 다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호를 핸드오프할 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와의 상기 무선 접속을 구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을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한 이력 정보(historica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되는 품질 메트릭을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메트릭은 역방향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지연, 지터, 패킷 손실, 또는 데이터 에러 레이트와 관련되는, 모바일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무선 접속을 구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 전송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보 및 상기 측정된 신호 강도 둘 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상기 호를 핸드오프할 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호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IEEE 802.11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10.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호를 지원하면서 제1 네트워크의 서버와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순방향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지연, 지터, 패킷 손실 또는 데이터 에러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호를 핸드오프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 및 상기 정보 둘 다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호를 핸드오프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와의 상기 무선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상의 로딩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되는 품질 메트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메트릭은 역방향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지연, 지터, 패킷 손실, 또는 데이터 에러 레이트와 관련되는,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하는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와의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무선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 전송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보 및 상기 측정된 신호 강도 둘 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상기 호를 핸드오프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하는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호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IEEE 802.11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하는 방법.
KR1020107004611A 2005-04-21 2006-04-20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KR101143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411005P 2005-04-21 2005-04-21
US60/674,110 2005-04-21
US11/155,796 2005-06-16
US11/155,796 US7515909B2 (en) 2005-04-21 2005-06-16 Wireless handoffs between multiple networks
PCT/US2006/015255 WO2006116191A1 (en) 2005-04-21 2006-04-20 Wireless handoffs between multiple network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26263A Division KR100979834B1 (ko) 2005-04-21 2006-04-20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432A true KR20100039432A (ko) 2010-04-15
KR101143025B1 KR101143025B1 (ko) 2012-05-14

Family

ID=367548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26263A KR100979834B1 (ko) 2005-04-21 2006-04-20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KR1020107004611A KR101143025B1 (ko) 2005-04-21 2006-04-20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26263A KR100979834B1 (ko) 2005-04-21 2006-04-20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515909B2 (ko)
EP (2) EP2262320B1 (ko)
JP (1) JP4796132B2 (ko)
KR (2) KR100979834B1 (ko)
CN (1) CN101199229B (ko)
TW (2) TWI332802B (ko)
WO (1) WO2006116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9274A1 (en) * 2005-09-01 2007-03-01 Eitan Yacobi Hard handoff from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o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7706796B2 (en) * 2005-09-01 2010-04-27 Qualcomm Incorporated User terminal-initiated hard handoff from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o a cellular network
US7894815B2 (en) * 2005-10-21 2011-02-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for providing hand-off quality of service of inter-access systems and method thereof
US9215754B2 (en) 2007-03-07 2015-12-15 Menu Networks Wi-Fi virtual port uplink medium access control
US9025581B2 (en) 2005-12-05 2015-05-05 Meru Networks Hybrid virtual cell and virtual port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US9142873B1 (en) 2005-12-05 2015-09-22 Meru Networks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e for concurrent communication in an access point
US9794801B1 (en) 2005-12-05 2017-10-17 Fortinet, Inc. Multicast and unicast messages in a virtual cell communication system
US9215745B1 (en) 2005-12-09 2015-12-15 Meru Networks Network-based control of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472359B2 (en) 2009-12-09 2013-06-25 Meru Networks Seamless mobility in wireless networks
US8064601B1 (en) 2006-03-31 2011-11-22 Meru Networks Secu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160664B1 (en) 2005-12-05 2012-04-17 Meru Networks Omni-directional antenna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multiple radios with narrow frequency separation
US9730125B2 (en) 2005-12-05 2017-08-08 Fortinet, Inc. Aggregated beacons for per station control of multiple stations across multiple access poi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85618B1 (en) 2005-12-05 2015-11-10 Meru Networks Seamless roaming in wireless networks
JP4896991B2 (ja) * 2006-01-10 2012-03-14 フランス・テレコム 異なるネットワークに属するセル間で接続の転送を向上させるための通信方法および端末
JP2007243803A (ja) * 2006-03-10 2007-09-20 Fujitsu Ltd 無線lan経路制御方式、無線lan管理装置、無線lanアクセス端末および無線lan経路制御方法
US8837441B2 (en) * 2006-03-28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satile system for WLAN/CDMA2000 interworking
JP4273136B2 (ja) * 2006-06-23 2009-06-03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けるVoIP端末通話数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713434B2 (ja) * 2006-09-29 2011-06-2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管理装置
US20080089313A1 (en) * 2006-10-11 2008-04-17 Cayo Jerald M Traceable record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networks
WO2008087931A1 (ja) * 2007-01-17 2008-07-24 Nec Corporation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と、それらに用いられる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47966A1 (en) * 2007-08-17 2009-02-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a heterogeneous wireless ad hoc mobile internet access service
US8644206B2 (en) * 2007-08-17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Ad hoc service provider configuration for broadcasting service information
US20090046644A1 (en) * 2007-08-17 2009-02-19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 set manager for ad hoc mobile service provider
US20090047930A1 (en) * 2007-08-17 2009-02-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a heterogeneous wireless ad hoc mobile service provider
US20090047964A1 (en) 2007-08-17 2009-02-19 Qualcomm Incorporated Handoff in ad-hoc mobile broadband networks
US7894436B1 (en) 2007-09-07 2011-02-22 Meru Networks Flow inspection
JP4998886B2 (ja) * 2007-11-12 2012-08-1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422466B2 (en) * 2007-11-26 2013-04-16 Nokia Corporation Multiple network connections
US8566839B2 (en) 2008-03-14 2013-10-22 William J.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ntent presentation objects
US8600341B2 (en) 2008-03-14 2013-12-03 William J.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exchanges of data facilitating distributed locational applications
US8897742B2 (en) 2009-11-13 2014-11-25 William J.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sudden proximal user interface
US8634796B2 (en) 2008-03-14 2014-01-21 William J.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exchanges of data facilitating distributed location applications
JP5368812B2 (ja) * 2008-07-15 2013-12-1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通信端末
JP4608686B2 (ja) * 2008-07-15 2011-01-1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通信端末
JP5064565B2 (ja) * 2008-08-28 2012-10-3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通信端末
WO2010024350A1 (ja) * 2008-08-28 2010-03-0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通信端末
JP5186355B2 (ja) * 2008-12-25 2013-04-17 株式会社Kddi研究所 通信特性測定装置及び無線端末
US8301913B2 (en) * 2009-02-16 2012-10-30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ower provisioning for a wireless access point
US8805371B2 (en) * 2009-03-17 2014-08-12 Airvana Lp Identifying hand-over targets in lightly coordinated networks
US9003205B2 (en) * 2009-03-31 2015-04-07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to lower the operating cost of wireless network by enforcing low power infrastructure operation
WO2010129897A1 (en) * 2009-05-07 2010-11-11 Airvana Network Solutions, Inc. Wireless network inter-technology handoffs
US9060311B2 (en) * 2009-05-22 2015-06-16 Broadcom Corporation Enterprise level management in a multi-femtocell network
US20100296498A1 (en) * 2009-05-22 2010-11-25 Jeyhan Karaoguz Integrated femtocell and wlan access point
US9179367B2 (en) 2009-05-26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Maximizing service provider utility in a heterogeneous wireless ad-hoc network
US8897778B2 (en) * 2009-07-03 2014-11-25 Cisco Technology, Inc. Infrastructure assisted network transition
CN102550081A (zh) * 2009-10-06 2012-07-0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终端装置、切换控制方法以及切换控制程序
US9137719B2 (en) * 2009-10-27 2015-09-15 Clearwire Ip Holdings Llc Multi-frequency real-time data stream handoff
US9197482B1 (en) 2009-12-29 2015-11-24 Meru Networks Optimizing quality of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WO2011117764A1 (en) * 2010-03-26 2011-09-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nk assessment before terminating alternate connection during heterogeneous network handovers
US8594021B2 (en) * 2010-07-19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Effective timing measurements by a multi-mode device
US8699392B2 (en) 2010-10-26 2014-04-15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access point power usage during low network usage intervals
US8941539B1 (en) 2011-02-23 2015-01-27 Meru Networks Dual-stack dual-band MIMO antenna
US8923864B2 (en) * 2011-05-26 2014-12-30 Sigram Schindler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Handover proactive association provisioning support method and system
US9629028B2 (en) 2012-03-16 2017-04-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eterogeneous carrier aggregation
US9706423B2 (en) * 2012-03-16 2017-07-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offloading traffic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805300B2 (en) 2012-03-19 2014-08-12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Agile and adaptive wideband MIMO antenna isolation
US8874047B2 (en) 2012-03-19 2014-10-28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Agile and adaptive transmitter-receiver isolation
TWI531260B (zh) * 2012-05-24 2016-04-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無線通訊站台及傳輸介面切換方法
EP2875696B1 (en) * 2012-07-20 2016-10-0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ynamically configuring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in a converged network
US8886236B2 (en) * 2012-07-31 2014-11-11 Aruba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minimum sensitivity threshold for receiving wireless signals
US9038060B2 (en) * 2012-10-02 2015-05-19 Nextbit Systems Inc. Automatically installing operating system specific to a detected network
US9106721B2 (en) 2012-10-02 2015-08-11 Nextbit Systems Application state synchronization across multiple devices
US20150295801A1 (en) * 2012-10-25 2015-10-15 Blue Octopus Matrix Inc. Distributed Network Delay and Jitter Monitoring Using Fixed and Mobile Network Devices
US9596637B2 (en) * 2012-11-05 2017-03-14 Apple Inc. Dynamically adapting wireless communication
CN104969617B (zh) * 2012-11-27 2019-12-03 西格拉姆申德勒有限公司 切换先行关联预备支持方法和系统
WO2014082659A1 (en) * 2012-11-27 2014-06-05 Sigram Schindler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Handover proactive association clearing support method and system
US9351203B2 (en) 2013-09-13 2016-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ice call continuity in hybrid networks
US9894489B2 (en) 2013-09-30 2018-02-13 William J.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situational proximity observation alerting privileged recipients
CN105745961B (zh) * 2013-11-20 2019-03-01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发送装置、接收装置以及通信终端
US9510251B2 (en) 2013-12-31 2016-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ll handoff initiation in hybrid networks
US9560185B2 (en) 2014-03-1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ybrid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nnection indicator
US9363711B2 (en) 2014-04-07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experiences during call handovers on a hybrid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2015165069A1 (zh) * 2014-04-30 2015-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传输下行数据的方法、移动性管理网元、接入网设备和服务网关
US9456333B2 (en) 2014-07-09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entralized routing in hybrid networks
EP3823342B1 (en) 2014-10-30 2023-12-13 DZ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formance and usage information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210625B1 (en) * 2015-04-24 2015-12-08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network connections
US9826445B2 (en) 2015-05-21 2017-11-21 At&T Mobility Ii Llc Facilitation of adaptive dejitter buffer between mobile devices
KR102081853B1 (ko) 2015-06-02 2020-02-26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를 위한 네트워크 노드 및 그 안에서의 방법
WO2016192775A1 (en) 2015-06-02 2016-1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in for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394978B1 (ko) * 2015-09-18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728816B2 (en) 2015-12-31 2020-07-28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Assisted handover to VoLTE in case of VoWiFi failure
US10764791B2 (en) 2016-03-31 2020-09-0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pmany Voice service client device
CN106231640B (zh) * 2016-07-29 2019-12-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接入点切换方法及装置
US10977273B2 (en) * 2016-08-02 2021-04-13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data transfer
CN110495218A (zh) 2017-03-31 2019-11-22 英国电讯有限公司 接入网络选择
EP3603209A1 (en) * 2017-03-31 2020-02-0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Access network selection
EP3603211B1 (en) 2017-03-31 2022-03-30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Network discovery
EP3643113A1 (en) 2017-06-23 2020-04-2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Voice service handover
US11197204B2 (en) 2017-06-23 2021-12-07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Voice service handover
WO2019185506A1 (en) 2018-03-29 2019-10-03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An improved method of channel selection in a wireless network
CN108337707B (zh) * 2018-04-17 2020-10-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的切换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11812515B2 (en) 2018-05-01 2023-11-07 Intermetro Communications, Inc. Multiple active network wireless device using a shadow number
WO2019213117A1 (en) 2018-05-01 2019-11-07 Intermetro Communications, Inc. Multiple active network wireless device
DE102021118955A1 (de) 2021-07-22 2023-01-26 Denso Corporatio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ählen von einer von zumindest zwei Verkehrsvernetzungs- Vorrichtungen
DE102022110850A1 (de) 2022-05-03 2023-11-09 Denso Corporatio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ählen von einer von zumindest zwei Verkehrsvernetzungsvorrichtunge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124A1 (en) * 1998-12-30 2003-09-04 Vladimir Alperovich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s based upon local area network conditions
DE60026454T2 (de) * 2000-05-19 2006-11-09 Lucent Technologies Inc. Drahtloses lokales Netzwerk mit Lastverteilung
US7039027B2 (en) * 2000-12-28 2006-05-02 Symbol Technologies, Inc. Automatic and seamless vertical roaming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while maintaining an active voice or streaming data connection: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ATE483338T1 (de) * 2001-04-26 2010-10-15 Nokia Corp Verfahren zur weiterreichungssteuerung
US6978137B2 (en) * 2001-05-11 2005-12-20 Ntt Docomo Inc. Aggregation point prediction matching for coherent layer three signaling and fast IP mobility triggering
US7245915B2 (en) * 2001-09-27 2007-07-17 Ntt Docomo, Inc. Layer three quality of service aware trigger
DE50308912D1 (de) * 2002-02-11 2008-02-14 Siemens Ag Verfahren und entsprechende vorrichtungen zur verwaltung von funkressourcen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US7583632B2 (en) * 2002-05-28 2009-09-01 Nortel Networks Limited Efficient handoffs between cellular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7082304B2 (en) * 2002-06-05 2006-07-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radio link switching method
JP3712996B2 (ja) * 2002-07-19 2005-11-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ATE463139T1 (de) * 2002-09-10 2010-04-15 Spyder Navigations Llc Messungen in kommunikationssystemen
EP1574097A1 (en) * 2002-12-19 2005-09-14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handover mechanism in frequency multiple band environment and equipment therefor
EP1435748B1 (en) 2002-12-30 2006-03-29 France Telecom Handover between wireless networks of different technologies
US6904029B2 (en) * 2003-01-23 2005-06-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ource-initiated handoff from a source cellular wireless network to a target non-cellular wireless network
US9166867B2 (en) * 2003-01-27 2015-10-20 Qualcomm Incorporated Seamless roaming
FI20030967A (fi) * 2003-06-27 2004-12-28 Nokia Corp Yhteysasetusten valinta
DE60319975T2 (de) * 2003-07-31 2009-05-07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Kg Verfahren zur Verwaltung von gemeinsame Funkressourcen in einem zellularen Telefonnetzwerk
US7082301B2 (en) * 2003-09-12 2006-07-2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triggering handoff of a call between networks
WO2005027556A1 (en) * 2003-09-12 2005-03-24 Ntt Docomo, Inc. Selection of a target network for a seamless handover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networks
JP4733703B2 (ja) 2003-09-13 2011-07-27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1次エージェントおよび2次エージェントとして動作可能な基地局から形成されたネットワーク・アクティブ・セットを使用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
US7164915B2 (en) * 2003-12-19 2007-01-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Handover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7161915B2 (en) * 2004-04-26 2007-01-09 Motorola, Inc. Wireless quality-of-service detection method
US7729700B2 (en) * 2004-06-07 2010-06-01 Nokia Corporation Vertical network handovers
US7962148B2 (en) * 2004-07-20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nd managing access to multiple networks
US20060217112A1 (en) * 2005-03-23 2006-09-28 Richard Mo System And Method For A Virtual Mobile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8153A (en) 2007-02-16
EP2262320A1 (en) 2010-12-15
JP4796132B2 (ja) 2011-10-19
TWI442796B (zh) 2014-06-21
US20060240828A1 (en) 2006-10-26
EP2262320B1 (en) 2014-07-23
JP2008538691A (ja) 2008-10-30
US7515909B2 (en) 2009-04-07
TW201002105A (en) 2010-01-01
US20090191876A1 (en) 2009-07-30
WO2006116191A1 (en) 2006-11-02
CN101199229B (zh) 2013-05-22
US7986948B2 (en) 2011-07-26
KR20080004599A (ko) 2008-01-09
CN101199229A (zh) 2008-06-11
TWI332802B (en) 2010-11-01
EP1872616A1 (en) 2008-01-02
KR101143025B1 (ko) 2012-05-14
KR100979834B1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834B1 (ko)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CA2574576C (en) Controlling and managing access to multiple networks
KR101358599B1 (ko)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
EP2862389B1 (en) Handover prediction using historical data
JP2007503761A (ja) セル再選択の間に通信接続を維持するための通信制御部および方法
US7065363B1 (en) Routing in a network
RU2377728C2 (ru) Управление и руководство доступом к нескольким сетям
TW202014029A (zh) 一種無線通訊方法、終端設備和網路設備
RU236402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иртуального однонаправленного кан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