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599B1 -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 - Google Patents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599B1
KR101358599B1 KR1020127034070A KR20127034070A KR101358599B1 KR 101358599 B1 KR101358599 B1 KR 101358599B1 KR 1020127034070 A KR1020127034070 A KR 1020127034070A KR 20127034070 A KR20127034070 A KR 20127034070A KR 101358599 B1 KR101358599 B1 KR 10135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lity
access points
access point
service informa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396A (ko
Inventor
니킬 자인
라자트 프라카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1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Wirelss Local Area Network) 의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WLAN 에서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핸드오프 결정을 행하도록 추가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프로세서에 의해 행한 핸드오프 결정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간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는 IP 네트워크, 이동 통신 디바이스, 또는 WLAN 내에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에 접속되는 서버에 위치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HANDOFF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원격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의 핸드오프를 지원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WLAN 은 사용자로 하여금 네트워크에 접속을 유지하면서 로컬 지리적 영역 주위에서 로밍을 가능하게 한다. 공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유선 액세스 포인트가 임의의 수의 무선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플러그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WLAN 에 의해 커버링된 지리적 영역에 미치는 범위는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중 액세스 포인트들을 이용하여 확장될 수 있다. 예로서, 많은 수의 다중 액세스 포인트들은 오피스 빌딩 내에 분포되어 직원들이 오피스 빌딩을 두루 돌아다닐 때 직원들에게 중단 없는 네트워크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WLAN 은 가정에서 설정되어 다중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의 인터넷 접속에 액세스하게 할 수도 있다. 기술의 향상과 비용의 절감에 따라 WLAN 의 실현성은 엄청난 속도로 계속 증가한다.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에 의해 공표된 표준 (소위 802.11 또는 Wi-Fi 라 칭함) 은 WLAN 의 빠른 성장에 사실상 기여하였다. 블루투스 및 HomeRF 도 산업에서 용인을 얻고 있는 WLAN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는 IEEE 802.11 보다 좁은 지리적 영역에 채용된다. 보다 좁은 지리적 영역들은 일반적으로 개인 영역 네트워크 (PAN: Personal Area Network) 라 불린다. 한편, HomeRF 는 통상 IEEE 802.11 과 동일한 지리적 범위를 가지나, IEEE 802.11 만큼 대중적이진 않다. 이들뿐만 아니라 다른 WLAN 기술의 출현은 네트워크 기반 시스템에 대한 무선 액세스의 증가된 소비자 요구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사용자가 WLAN 을 통하여 로밍함에 따라 중단 없는 네트워크 접속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무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하는데 효율적인 방법을 채용해야 한다. 이들 방법은 핸드오프간의 지연을 최소화할뿐만 아니라 이러한 핸드오프의 실패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일 양태를 개시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에서 각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간에 핸드오프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프로세서에 의해 행한 핸드오프 결정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들 간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다른 양태를 개시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WLAN 의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서버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 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핸드오프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프로세서에 의해 행한 핸드오프 결정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간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추가적 양태를 개시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WLAN 의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핸드오프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송수신기는 프로세서에 의해 행한 핸드오프 결정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간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다른 양태를 개시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WLAN 의 각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핸드오프 결정을 행하기 위한 수단, 및 핸드오프 결정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WLAN 의 액세스 포인트들 간에 이동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하는 일 양태의 방법을 개시한다. 방법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는 단계로서, 데이터 베이스는 WLAN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갖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단계와, 데이터베이스 내의 서비스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중 제 1 액세스 포인트에서 액세스 포인트들 중 제 2 액세스 포인트로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으로 이해되며,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은 오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설명으로서 도시되고 기술된다. 본 발명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상이한 실시형태들이 가능하고, 그 몇몇 상세함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다른 관점들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은 사실상 예시적으로서 간주되며 제한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WLAN 을 통하여 로밍함에 따라 중단 없는 네트워크 접속성을 달성할 수 있고, 핸드오프간의 지연을 최소화할뿐만 아니라 이러한 핸드오프의 실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양태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기술되며, 제한적이지 않다.
도 1 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2 는 셀룰라 통신 및 WLAN 통신 양자의 지원이 가능한 이동 디바이스의 일례를 기술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 은 이동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의 기능을 기술하는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개시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는 실시형태만을 나타내도록 의도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제공하기 위하여 구체적 설명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구체적 상세함 없이도 실행될 수도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확한다. 몇몇 경우에서는, 공지된 구조들 및 구성요소들이 본 발명의 개념의 모호함을 회피하기 위하여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은 WLAN 용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 실행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전화와 같은 무선 전화 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무선 전화는 예를 들어, IEEE 802.11, 블루투스, HomeRF, 또는 임의의 다른 WLAN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WLAN 에 액세스하는 임의의 적합한 프로토콜을 채용함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들 기술들은 WLAN 과 통신이 가능한 무선 전화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으며, 당업자는 이들 기술들이 다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까지 확장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한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은 셀룰라 네트워크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핸드오프에 적용될 수도 있다. CDMA2000 1x 와 GSM 은 2 개의 예시일뿐이다. 대안적으로, 이들 기술들은 다중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까지 확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들 기술들은 IEEE 802.11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셀룰라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IEEE 802.11 성능을 갖는 셀룰라 디바이스에 대한 어떤 설명도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을 기술하기 위해서만 의도되며, 이와 함께 이들 양태들이 광의의 적용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 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개념 블록도이다. 이동 디바이스 (102) 의 사용자는 일련의 점선들에 따라 WLAN (106) 을 향하고 WLAN (106) 내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WLAN (106) 은 네트워크 접속성을 점유자에게 제공하는 빌딩 내에 사용될 수도 있다. WLAN (106) 은 IEEE 802.11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WLAN (106) 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108a 내지 108c) 를 포함하여 이동 디바이스 (102) 가 IP 네트워크 (110) 와 통신한다. 서버 (112) 는 전화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PSTN (116,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으로의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이동 전화 스위칭 센터 (114, MSC: Mobile Switching Center) 에 IP 네트워크 (110) 를 인터페이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WLAN (106) 외부에 있는 경우, 이동 디바이스 (102) 는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셀룰라 WAN (120, Wide Area Network) 을 이용한다. 셀룰라 WAN (120) 은 셀룰라 커버리지 영역 곳곳에 분산된 다수의 BTS (Base Transceiver Stations) 를 지원하는 BSC (122, Base Station Controller) 를 포함한다. 설명의 단순성을 위해 도 1 에 단일 BTS (124) 를 도시한다. BSC (122) 는 MSC (114) 와 통신하여 PSTN (116), 또는 IP 네트워크 (110) 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를 제공한다. 도 1 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셀룰라 WAN (120) 은 많은 수의 BSC 를 채용하며, 각각의 BSC 는 임의 개수의 BTS 를 지원하여 셀룰라 WAN (120) 의 지리적 범위를 확장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BSC 가 셀룰라 WAN (120) 곳곳에 채용되는 경우, MSC (114) 는 BSC 간의 통신을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동 디바이스 (102) 는 BTS (124) 에서 파일롯 신호를 포획하여 셀룰라 WAN (120) 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일단 파일롯 신호가 포획되면, 이동 디바이스 (102) 와 BTS (124) 간의 무선 접속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확립될 수도 있다. 이동 디바이스 (102) 는 BTS (124) 와의 무선 접속을 이용하여 MSC (114) 에 이름을 등록할 수도 있다. 등록은 이동 디바이스 (102) 가 그 소재를 셀룰라 WAN (120) 에 알리는 프로세스이다. 등록 프로세스가 완료되는 경우, 이동 디바이스 (102) 는 호가 개시되기 전까지 아이들 상태로 들어갈 수도 있다. 호는 이동 디바이스 (102) 에 의해 개시되거나, PSTN (116) 또는 IP 네트워크 (110) 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어떤 방식으로든, 공중 트래픽 링크는 이동 디바이스 (102) 와 BTS (124) 간에 확립되어 호를 설정하고 지원할 수도 있다.
이동 디바이스 (102) 는 WLAN 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비컨 (beacon) 에 대해 주기적으로 탐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비컨은 WLAN 의 각 액세스 포인트에서 송신된 주기적 신호이다.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사용자가 WLAN (106) 에 접근하거나 WLAN (106) 내로 들어감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에서 비컨을 검출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이후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방식에서,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일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무선 접속을 확립한다. 무선 접속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확립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이후 서버 (112) 의 IP 주소를 획득한다. 이동 디바이스 (102) 는 DNS (Domain Name Server) 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버의 IP 주소를 결정할 수도 있다. 서버 (112) 의 도메인 이름은 셀룰라 WAN (120) 을 통해 이동 디바이스 (102) 에 전달될 수도 있다. IP 주소를 이용하여,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서버 (112) 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일단 네트워크 접속이 확립되면, 사용자는 이동 디바이스 (102) 를 이용하여 전화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PSTN (116)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IP 네트워크 (110) 에 액세스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WLAN (106) 을 통해 로밍함에 따라,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액세스 포인트들 (108a 내지 108c) 간에 핸드오프 되어 네트워크 접속성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일 액세스 포인트에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프 하기 위한 결정은 다양한 요인에 기초할 수도 있다. WLAN (106) 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서는 각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갖는 중앙 데이터베이스가 서버 (112) 에 의해 유지될 수도 있다. 서비스 품질 정보는 호 단절율, 핸드오프 실패율, 및 최대 트래픽 시간과 같은 각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품질 정보는 데이터 에러율과 같은 각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품질 측정 기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에러율" 은 비트-에러-율 (BER), 프레임-에러-율 (FER), 패킷-에러-율, 또는 네트워크 접속에 대해 송신된 정보에 오류가 생기는지를 나타내는 다른 에러율 측정법을 취할 수도 있다. 이동 디바이스 (102) 는 각 액세스 포인트 (108a 내지 108c) 에서의 비컨의 신호 세기와 관련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지능적 핸드오프 결정을 행함으로써 WLAN (106) 내에 핸드오프의 실패율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화 통신 애플리케이션에서, 품질 측정 기준은 각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지연, 지터 (jitter) 또는 손실 패킷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측정 기준은 이동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수신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호 품질의 양호한 표시일 수도 있다. 예시로서, 과도한 지연은 원하지 않은 에코 (echoes) 나 화자 중첩 (talker overlap) 으로 인한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지연으로 인한 문제는 지터를 제거하기 위한 필요에 의해 더 혼합될 수도 있다. 지터는 네트워크 병목, 타이밍 드리프트 (timing drift), 또는 루트 변경으로 인한 패킷 지연의 변동이다. 손실 패킷은 전화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현저한 문제일 수 있다. IP 네트워크들은 서비스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손실 패킷들의 발생율이 높게 나타난다. IP 네트워크에서, 음성 패킷은 데이터 패킷과 동일하게 취급된다. 결국, 음성 패킷은 IP 네트워크가 심하게 병목되는 경우, 데이터 패킷과 동일하게 손실된다. 그러나, 데이터 패킷과 달리, 손실된 음성 패킷은 이후에 단순히 재송신될 수 없다.
또한,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는 WLAN (106) 의 각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리스트를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리스트화된 각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되는 것은 동작 채널, 즉 주파수 밴드이다. 이동 디바이스 (102) 는 그 리스트를 이용하여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그 채널들만을 탐색함으로써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탐색시간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2 는 셀룰라 WAN 통신 및 WLAN 통신 양자의 지원이 가능한 이동 디바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기능 블럭도이다.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셀룰라 송수신기 (202) 및 WLAN 송수신기 (20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 디바이스 (102) 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서, 셀룰라 송수신기 (202) 는 BTS (미도시) 로 CDMA2000 1x 통신의 지원이 가능하며, WLAN 송수신기 (204) 는 액세스 포인트 (미도시) 로 IEEE 802.11 통신의 지원이 가능하다. 그러나, 당업자는 이동 디바이스 (102) 와 관련하여 기술된 개념이 홀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다른 셀룰라 기술 및 WLAN 기술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로서, 단일 WLAN 송수신기는 IEEE 802.11 통신 전용 이동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제어하에서 채용될 수도 있다. IEEE 802.11 성능을 갖는 셀룰라 이동 디바이스에서, 각 송수신기 (202 및 204) 는 도시된 것처럼 각각 개별 안테나 (206 및 207) 를 가질 수도 있으나, 송수신기들 (202 및 204) 은 단일 광대역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다. 각 안테나 (206 및 207) 는 하나 이상의 방사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 (102) 는 2 개의 송수신기 (202 및 204) 와 커플링된 프로세서 (208) 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동 디바이스 (102) 의 대안적 실시형태들에서는 각 송수신기를 위해 개별 프로세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08) 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로서, 프로세서 (208) 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미도시)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으며, 특히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1) 셀룰라 WAN 및 WLAN 과의 액세스를 제어 및 관리하고, (2) 프로세서 (208) 를 키패드 (212), 디스플레이 (210), 및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미도시) 과 인터페이스한다. 또한, 프로세서 (208) 는 컨벌루션 인코딩 (convolutional encoding), CRC (Cyclic Redundancy Check) 기능, 변조, 및 확산-스펙트럼 프로세싱과 같은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을 지원하는 내장된 소프웨어 계층을 갖는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미도시)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DSP 는 보코더 (vocoder) 기능을 수행하여 전화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08) 는 이동 디바이스 (102) 의 독립 엔티티 (stand-alone entity) 나 전역에 걸쳐 분산된 다중 엔티티들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208) 가 제공되는 방식은 전체 시스템 상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한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한 상황하에서 하드웨어 구성, 펌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의 상호 호환가능성과, 각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술된 기능성을 최대로 구현하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사용자가 셀룰라 WAN (120) 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WLAN 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비컨 (beacon) 을 주기적으로 탐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충분한 비컨 신호 강도로 검출하는, WLAN 의 제 1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디바이스 (102) 가 WLAN 에 접근함에 따라 다중 액세스 포인트들을 검출하는 경우,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최대 강도의 비컨을 갖는 액세스 포인트와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할 수도 있다. WLAN 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비컨 신호 강도는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블록 (216) 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RSSI 는 대부분 자동 이득 제어를 위해 WLAN 송수신기 (204) 에 피드백 되는 현존하는 신호이며, 결국 이동 디바이스의 회로 복잡도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프로세서 (208) 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 액세스 포인트들에서의 비컨 신호 강도는 프로세서 (208) 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비컨은 선험적으로, 알려진 확산-스펙트럼 신호이기 때문에, 비컨의 복제는 이동 디바이스 (102) 의 메모리 (209) 에 저장될 수 있다. 복조된 비컨은 메모리 (209) 내에 저장된 복제 비컨과 상관되어 공지된 수단에 의해 송신된 비컨의 에너지를 추정한다.
일단 무선 접속이 확립되면, 프로세서 (208) 는 초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서버 (112) 와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할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 (208) 는 순방향의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된 다양한 품질 측정 기준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순방향" 이란 용어는 서버 (112) 에서 이동 디바이스 (102) 까지의 전송을 가리키며, "역방향" 이란 용어는 이동 디바이스 (102) 에서 서버 (112) 까지의 전송을 가리킨다. 다음의 실시형태들의 설명에서, 품질 측정 기준은 지연, 지터, 손실 패킷, 및 데이터 에러율을 포함하며, 순방향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임의의 형태의 품질 측정 기준일 수 있다. 이들 측정 기준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이동 디바이스 (102) 에서 서버 (112) 까지 송신될 수도 있다. 서버 (112) 는 이들 측정 기준들을 이용하여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또한, 서버 (112) 는 역방향의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한 그 자신의 다양한 품질 측정 기준을 계산할 수도 있으며, 이들 측정 기준들을 이용하여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추가 갱신한다.
프로세서 (208) 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순방향의 네트워크 접속 전반에 대한 지연을 계산할 수도 있다. WLAN (106) 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서, 날짜 및 시간 스탬프가 서버 (112) 로부터 송신된 패킷과 함께 사용되어 네트워크 접속 전반에 대한 지연을 측정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순방향 전송이 이동 디바이스 (102) 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시간 스탬프는 프로세서 (208) 에서 추출되어 이동 디바이스 (102) 의 내부 로컬 클록 (미도시) 과 비교될 수 있다. 순방향의 네트워크 접속의 지연을 나타내는 그 결과는 서버 (112) 에 다시 송신되어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접속 전반에 대한 지연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 스탬프의 사용은 로컬 클록이 서버 (112) 와 동기화될 것을 요구한다. 원격 시간 소스 (미도시) 는 이동 디바이스 (102) 가 서버 (112) 와 동기화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원격 시간 소스는 무선, 위성, 모뎀,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UTC (Universal Time Coordinated) 와 동기화되는 IP 네트워크 (110) 의 많은 서버들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원격 시간 소스는 이동 디바이스 (102) 의 내부 클록을 갱신하거나 동기화하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시간 스탬프는 NTP (Network Time Protocol) 로 공지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NTP 는 클록을 일부 시간 기준에 동기화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다. NTP 는 프로세서 (208) 내 또는, 이동 디바이스 (102) 의 다른 어느 곳에서 운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08) 는 추가 품질 측정 기준으로서 순방향의 네트워크 접속의 지터를 측정하도록 추가 구성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지연의 변화에 적응하는 적응성 지터 버퍼의 경우에, 알고리즘에 의해 측정된 지연은 측정이 행해지는 프로세싱 경로에 의존하여 네트워크 지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패킷에 고정 지연을 안내하는 고정 지터 버퍼의 경우에, 프로세서는 지연 값의 변화로부터 네트워크 지터를 측정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든, 지터 값은 서버 (112) 로 다시 송신되어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또한, 프로세서 (208) 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손실 패킷과 관련한 품질 측정 기준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예로서, 서버 (112) 에서 송신된 패킷은 순서뿐만 아니라 시간 및 날짜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순방향 전송이 이동 디바이스 (102) 에 의해 접수되는 경우, 순서는 프로세서 (208) 에서 추출되어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순서에 기초하여, 알고리즘은 어떤 패킷이 손실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손실 패킷의 번호는 서버 (112) 에 다시 송신되어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초기에 논하였던 바와 같이,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은 컨벌루션 인코딩, CRC 기능, 변조, 및 확산-스펙트럼 프로세싱과 같이 프로세서 (208)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CRC 기능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FER 를 계산하도록 프로세서 (208)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FER 은 서버 (112) 에 다시 송신되어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도 있다.
도 3 은 사용자가 WLAN 을 통해 로밍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핸드오프들을 관리 및 제어 시의 프로세서의 기능을 기술하는 흐름도이다. 302 단계에서, 이동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WLAN 에 접근 또는 WLAN 내로 들어감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들에서 하나 이상의 비컨을 검출하는 것을 시작한다. 비컨의 신호 강도는 초기에 더욱 상세히 언급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 또는 WLAN 송수신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이후, 무선 접속은 WLAN 송수신기와 최대 강도의 비컨을 갖는 액세스 포인트 간에 확립된다. 이 액세스 포인트는 "베이스 (base) 액세스 포인트" 로서 불린다. 일단 무선 접속이 확립되면, 프로세서는 304 단계에서 서버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306 단계에서, IP 네트워크를 통해 MSC 에 등록하여 이동 디바이스로 향하도록 예정된 모든 호들이 WLAN 을 통해 라우팅되는 것 (도 1 참조) 을 보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액티브 호를 지원하고 있다면, MSC 는 WAN 에서 WLAN 으로 그 액티브 호를 핸드오프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308 단계에서, 프로세서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네트워크 접속을 이용하여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인접 리스트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식별한다. 인접 리스트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들은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 이라고 불린다. 310 단계에서, 프로세서는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계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한다. 서비스 품질 정보는 로딩 (loading), 호 단절율 (dropped call rate), 및 최대 트래픽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서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을 이용한 모든 이동 디바이스들에서 품질 측정 기준 갱신은 서비스 품질 정보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만들 수도 있다.
312 단계에서,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WLAN 을 통해 로밍함에 따라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비컨의 신호 강도 변화를 측정한다. 이것은 이동 디바이스가 휴면 상태인 경우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의 동작 주파수들을 통해 WLAN 송수신기의 튜너를 스위핑 (sweeping) 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액티브 호를 지원하고 있는 경우에서는, 적절한 버퍼링이 서버와 이동 디바이스에서 사용되어 WLAN 송수신기로 하여금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비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게 할 수도 있다.
314 단계에서, 프로세서는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서 하나의 후보 액세스 포인트로 이동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할지를 결정한다. 핸드오프 결정은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비컨 측정과 서비스 품질 정보에 기초할 수도 있다. 핸드오프 결정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구체적 알고리즘은 변할 수도 있다. 예로서, 알고리즘은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최대 강도의 비컨을 우선 결정하도록 실행할 수 있다. 일 후보 액세스 포인트가 최대 강도의 비컨을 가진다면, 이후 프로세서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그 일 후보 액세스 포인트로 이동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할 수도 있다. 이들 조건은 지연, 지터, 손실 패킷 또는 데이터 에러율과 같은 소정 품질 측정 기준에 대한 최저 임계 수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최대 강도의 비컨을 갖는 그 일 후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품질 측정 기준이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동일한 품질 측정 기준과 비교되어 핸드오프 결정을 2 개의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네트워크 접속의 상대적 품질에 근거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후보 액세스 포인트와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비컨의 상대적 강도는 식의 요소로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로딩, 호 단절율, 및 최대 트래픽 패턴은 이동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할지를 결정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서는 비콘이 최대 강도가 아니나, 최고 품질 네트워크 접속을 제공할 수 있는 일 후보 액세스 포인트로 이동 디바이스를 핸드오프 할 수도 있다.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로딩은 최대 임계에 도달할 경우 핸드오프 하는데 절대적 장애를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핸드오프 결정 시 단지 일 요소일 수도 있다. 최대 트래픽 패턴은 WLAN 전반에 로드를 균일하게 분배하는 핸드오프 결정을 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성능 요구사항과 시스템에 부과된 전반적 설계 제한에 기초한 임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대한 적절한 알고리즘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와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접속이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남을 것으로 프로세서가 결정하면, 알고리즘 루프는 308 단계로 되돌아가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모니터하는 것을 계속한다. 대안적으로, 이동 디바이스가 하나의 후보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프 되어야 하는 것으로 프로세스가 결정하면, 알고리즘 루프는 306 단계로 되돌아가 MSC 에 이름을 등록한다. 등록 프로세스를 통해, 일단 핸드오프가 완료하면 MSC 는 그 후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모든 호를 이동 디바이스에 라우팅하도록 경계시킨다.
대안적 실시형태에서, 서비스 품질 정보의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는 이동 디바이스 (102) 의 메모리 (209) 에 유지될 수도 있다 (도 2 참조). 도 1 에 돌아가,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사용자가 WLAN (106) 에 접근하거나 WLAN (106) 내로 들어가는 경우 서버 (112) 와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한다. 일단 네트워크 접속이 확립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와 인접 리스트는 서버 (112) 에서 이동 디바이스 (102) 로 다운로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각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인접 리스트는 이동 디바이스 (102) 내로 미리-공급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서비스 품질 정보와 인접 리스트를 이용하여 WLAN (106) 내에서의 지능적 핸드오프 결정을 지원하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이동 디바이스 (102) 가 WLAN (106) 과 계속으로 동작함에 따라,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서버 (112) 로부터 각 액세스 포인트 (108a 내지 108c) 와 관련한 이력 정보와 품질 측정 기준을 수신한다. 이력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로딩, 호 단절율, 및 최대 트래픽 패턴을 포함하며, 품질 측정 기준은 역방향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데이터 에러율, 지연, 지터, 및 손실 패킷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력 정보는 이동 디바이스 (102) 의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 (102) 는 순방향 네트워크 접속의 다양한 품질 측정 기준을 계산하여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를 추가 갱신할 수도 있다. 또한, 순방향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품질 측정 기준은 WLAN (106) 의 다른 이동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서버 (112) 에 송신되어 이동 디바이스 (102) 와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의 품질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연관되어 기술된 다양한 설명적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요소들, 및/또는 성분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성분,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성분들,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과 같은 컴퓨팅 성분들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들 또는 알고리즘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들의 결합을 통해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제거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해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프로세스가 그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여기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당업자는 이들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을 명백히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은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서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으로서, 단수의 구성요소에 대한 참조는 구체적으로 진술되지 않았다면 "하나 그리고 오직 하나"를 의미하도록 의도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를 의미한다. 공지 또는 나중에 당업자에게 공지될 본 개시물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모든 균등물들은 여기에 참조로써 명백하게 병합되고 청구항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여기에 개시된 어떠한 것도 그러한 개시가 청구항 내에서 직접 언급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공중에 제공되지 않는다. 어떠한 청구범위 구성요소도, 구성요소가 "~위한 수단" 이라는 어구를 사용하여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거나,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 구성요소가 "~하는 단계" 라는 어구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35 U.S.C. §12 (sixth paragraph) 의 조항의 항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35)

  1.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내의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상기 WLAN 내의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순방향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되고 신호 강도와 다른 서비스 품질 메트릭을 계산하며,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에 대한 갱신을 송신하되, 상기 갱신은 상기 서비스 품질 메트릭을 포함하고, 상기 갱신은 상기 서비스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를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 사이의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의 상대적 차이로서,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모니터링된 신호 강도와 다른,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의 상대적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로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행해진 상기 핸드오프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서버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서버에 위치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대한 로딩 (loading) 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대한 인접 리스트 (neighbor list)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인접 리스트는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인접 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서만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핸드오프 결정을 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제 2 WLAN 내의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WLAN 내의 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 2 WLAN 내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프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셀룰라 WAN 내의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9.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내의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수단;
    상기 WLAN 내의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
    순방향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되고 신호 강도와 다른 서비스 품질 메트릭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에 대한 갱신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갱신은 상기 서비스 품질 메트릭을 포함하고, 상기 갱신은 상기 서비스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갱신을 개시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 사이의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의 상대적 차이로서,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모니터링된 신호 강도와 다른,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의 상대적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로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핸드오프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10.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WLAN 내의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WLAN 내의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갖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단계;
    순방향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되고 신호 강도와 다른 서비스 품질 메트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에 대한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갱신은 상기 서비스 품질 메트릭을 포함하고, 상기 갱신은 상기 서비스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갱신 개시 단계;
    적어도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 사이의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의 상대적 차이로서,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모니터링된 신호 강도와 다른,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의 상대적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로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로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중 제 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서버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서버 상에 위치되며, 상기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액세스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 내의 메모리에 상주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대한 로딩 (loading) 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대한 인접 리스트 (neighbor list)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인접 리스트는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핸드오프 결정을 행할 때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인접 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서만 이용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17.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WLAN 내의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WLAN 내의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가지며,
    순방향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되고 신호 강도와 다른 서비스 품질 메트릭을 계산하고,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에 대한 갱신을 개시하되, 상기 갱신은 상기 서비스 품질 메트릭을 포함하고, 상기 갱신은 상기 서비스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를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 사이의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의 상대적 차이로서,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모니터링된 신호 강도와 다른,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의 상대적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로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을 생성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대한 로딩 (loading)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대한 인접 리스트 (neighbor list)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인접 리스트는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핸드오프 결정을 행할 때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인접 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서만 이용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대한 로딩 (loading) 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2.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하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상기 WLAN 내의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제 1 프로그램가능 로직 컴포넌트;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 2 프로그램가능 로직 컴포넌트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WLAN 내의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품질 정보를 갖는, 상기 제 2 프로그램가능 로직 컴포넌트;
    순방향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과 관련되고 신호 강도와 다른 서비스 품질 메트릭을 계산하기 위한 제 3 프로그램가능 로직 컴포넌트;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에 대한 갱신을 개시하기 위한 제 4 프로그램가능 로직 컴포넌트로서, 상기 갱신은 상기 서비스 품질 메트릭을 포함하고, 상기 갱신은 상기 서비스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4 프로그램가능 로직 컴포넌트;
    적어도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 5 프로그램가능 로직 컴포넌트;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 6 프로그램가능 로직 컴포넌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 사이의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의 상대적 차이로서,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모니터링된 신호 강도와 다른,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의 상대적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로 상기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핸드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을 생성하기 위한 제 7 프로그램가능 로직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대한 로딩 (loading) 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다른 이동 디바이스들로부터의 갱신에 기초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경을 위해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역방향 서비스 품질 메트릭 갱신에 기초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경을 위해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모니터링된 대응하는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들의 세트로부터 가장 강한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고;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가장 강한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에서의 차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드오프 결정은 상기 차이에 기초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 상의 로드가 최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상기 하나가 상기 핸드오프를 수신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대응하는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로부터 가장 강한 후보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고,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로부터 최고 품질의 후보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핸드오프 결정은 상기 핸드오프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최고 품질의 후보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부하가 상기 WLAN 에 걸쳐 분포되도록 최대 트래픽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프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3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의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 또는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여 다른 이동 디바이스들로부터의 갱신에 기초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경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3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및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의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역방향 서비스 품질 메트릭 갱신에 기초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경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3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대응하는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들의 세트로부터 가장 강한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가장 강한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정보에서의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프 결정은 상기 차이에 기초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3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하나 상의 로드가 최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 중 상기 하나가 상기 핸드오프를 수신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3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로부터 가장 강한 후보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로부터 최고 품질의 후보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최고 품질의 후보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가장 강한 후보 액세스 포인트와는 상이한, 상기 최고 품질의 후보 액세스 포인트 식별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프 결정은 상기 핸드오프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최고 품질의 후보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35. 제 10 항에 있어서,
    부하가 상기 WLAN 에 걸쳐 분포되도록 최대 트래픽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프 결정을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핸드오프 방법.
KR1020127034070A 2005-09-30 2006-09-29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 KR101358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40,901 US20070076662A1 (en) 2005-09-30 2005-09-30 Handoff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1/240,901 2005-09-30
PCT/US2006/038108 WO2007041320A1 (en) 2005-09-30 2006-09-29 Handoff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322A Division KR20110050746A (ko) 2005-09-30 2006-09-29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396A KR20130016396A (ko) 2013-02-14
KR101358599B1 true KR101358599B1 (ko) 2014-02-04

Family

ID=376402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070A KR101358599B1 (ko) 2005-09-30 2006-09-29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
KR1020117009322A KR20110050746A (ko) 2005-09-30 2006-09-29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
KR1020087010591A KR20080065634A (ko) 2005-09-30 2006-09-29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322A KR20110050746A (ko) 2005-09-30 2006-09-29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
KR1020087010591A KR20080065634A (ko) 2005-09-30 2006-09-29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70076662A1 (ko)
EP (1) EP1938646B1 (ko)
JP (2) JP4885965B2 (ko)
KR (3) KR101358599B1 (ko)
CN (1) CN101352064B (ko)
BR (1) BRPI0616451A2 (ko)
CA (1) CA2624251A1 (ko)
RU (1) RU2008117150A (ko)
TW (1) TW200723918A (ko)
WO (1) WO2007041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6710B2 (en) 2003-07-28 2010-01-12 Nortel Networks Limited Mobility in a multi-access communication network
US7716740B2 (en) * 2005-10-05 2010-05-11 Alcatel Lucent Rogue access point detection in wireless networks
US9723520B1 (en) 2005-12-20 2017-08-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ation based mode switching for dual mode mobile terminals
US7590418B1 (en) * 2006-01-20 2009-09-1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of a location server for hierarchical WLAN systems
ATE434359T1 (de) * 2006-02-10 2009-07-15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und system zur signalisierung der weiterleitung von sprachverbindungen zwischen zugangspunkten in einem drahtlosen lokalen netz
JP4708240B2 (ja) * 2006-03-28 2011-06-2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US20070280200A1 (en) * 2006-05-31 2007-12-06 Patel Mehul B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p client using a wireless personal-area-network enabled device
US7480504B2 (en) * 2006-05-31 2009-01-20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to compensate for failed network access using disparate access technologies
JP5106013B2 (ja) * 2006-09-15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7978667B2 (en) * 2006-11-30 2011-07-12 Kyocera Corporation Management of WLAN and WWAN communication services to a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532399B2 (en) * 2006-11-30 2016-12-27 Kyocer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ervice to a multi-mod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233433B2 (en) * 2008-02-26 2012-07-31 Kyocer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WLAN service using beacon signals
US9661557B2 (en) * 2008-02-28 2017-05-23 Qualcomm Incorporated Cell selection using enhanced general neighbor list methods
FR2929067B1 (fr) * 2008-03-20 2011-04-15 Neuf Cegetel Procede pour decider si une liaison sans fil entre un terminal mobile et internet est utilisable pour etablir une communication telephonique via internet
US8185060B2 (en) 2008-04-22 2012-05-22 Qualcomm Incorporated Serving base station selection using backhaul quality information
JP5368812B2 (ja) * 2008-07-15 2013-12-1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通信端末
JP4608686B2 (ja) * 2008-07-15 2011-01-1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通信端末
US9078182B2 (en) * 2008-08-28 2015-07-07 Kyocera Corporation Radio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9172726B2 (en) * 2008-09-30 2015-10-27 Alcatel Lucent Impairment reduction for tandem VoIP calls
US8332528B2 (en) * 2008-11-18 2012-12-11 Agere Systems Llc Personal broadcast and content delivery engine
US8165577B2 (en) * 2009-03-19 2012-04-24 Kyocera Corporation Pilot signal transmission management
US8422506B2 (en) * 2009-06-19 2013-04-16 Via Telecom,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load balancing management
CN102215154B (zh) * 2010-04-06 2016-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业务的访问控制方法及终端
US9247459B2 (en) * 2010-04-29 2016-01-26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adding a new quality of service traffic stream in a multipl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JP5659350B2 (ja) * 2011-06-24 2015-01-28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無線lan機器および無線ローミング方法
GB2493183B (en) * 2011-07-27 2014-01-08 Renesas Mobile Corp Cellular radio path measurement and reporting
US8774847B2 (en) 2011-07-27 2014-07-08 Broadcom Corporation Cellular radio path measurement and reporting
US10064241B2 (en) * 2012-02-15 2018-08-28 T-Mobile Usa, Inc. Dynamically enabled Wi-Fi
GB201211580D0 (en) 2012-06-29 2012-08-15 Microsoft Corp Determining suitablity of an access network
GB201211568D0 (en) 2012-06-29 2012-08-15 Microsoft Corp Determining network availability based on geographical location
GB201211565D0 (en) 2012-06-29 2012-08-15 Microsoft Corp Determining availability of an acess network
CN103596215B (zh) * 2012-08-13 2018-03-23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第一网络侧设备、第二网络侧设备和wlan覆盖范围识别方法
KR101596412B1 (ko) 2014-06-16 2016-02-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픈플로우 기반 무선 네트워크의 혼합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3305009B1 (en) 2015-05-26 2023-07-26 Intel Corporation Wlan mobility for lte/wlan aggregation
FR3071990B1 (fr) * 2017-09-29 2019-10-04 Sagemcom Broadband Sas Procede d'aide a un basculement de terminal mobile entre reseaux locaux sans-fil communautai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4439A1 (en) * 2003-01-09 2004-07-29 Nokia Corporation Selection of access poi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4778B2 (en) * 1997-08-20 2010-05-11 Tracbeam Llc Wireless location gateway and applications therefor
US6014565A (en) * 1998-05-29 2000-01-11 Motorola, Inc. Method for service planning in a radio telephone system
WO2002037715A1 (fr) * 2000-10-31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tation mobile et procede de transfert
US7006828B1 (en) * 2001-02-12 2006-02-28 Via Teleco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selection handoff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0123057D0 (en) * 2001-09-25 2001-11-14 Red M Communications Ltd Virtual wireless network services
FR2832895B1 (fr) * 2001-11-26 2004-02-20 France Telecom Systeme de telecommunication a gestion centralisee
EP1512306B1 (en) * 2002-06-13 2006-03-22 NTT DoCoMo, Inc. Proactive deployment of decision mechanisms for optimal handover
US7257105B2 (en) * 2002-10-03 2007-08-14 Cisco Technology, Inc. L2 method for a wireless station to locate and associate with a wireless network in communication with a Mobile IP agent
US7020438B2 (en) * 2003-01-09 2006-03-28 Nokia Corporation Selection of access poi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4304399A (ja) * 2003-03-31 2004-10-28 Nec Corp 通信端末、基地局、サー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JP4209720B2 (ja) * 2003-05-29 2009-0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
CN1262126C (zh) * 2003-07-01 2006-06-28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无线局域网的越区切换方法
FR2866184B1 (fr) * 2004-02-10 2006-06-09 Cit Alcatel Procede de selection d'un reseau de communications pour un terminal de communication mobile, a partir d'informations sur des points d'acces de reseaux sans fil
CA2557762A1 (en) * 2004-03-03 2005-09-15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mac layer handoff latency in wireless networks
US20070178911A1 (en) * 2004-06-09 2007-08-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generation of signal strength map for location determination of mobile devices
US8144197B2 (en) * 2005-03-30 2012-03-27 Memsic Transducer Systems Co., Ltd Adaptive surveillance network and method
US7835743B2 (en) * 2005-08-03 2010-11-16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Seamless network interface selection, handoff and management in multi-IP network interface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4439A1 (en) * 2003-01-09 2004-07-29 Nokia Corporation Selection of access poi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76662A1 (en) 2007-04-05
KR20080065634A (ko) 2008-07-14
CN101352064B (zh) 2013-08-14
JP4885965B2 (ja) 2012-02-29
EP1938646B1 (en) 2017-11-01
JP5149434B2 (ja) 2013-02-20
KR20130016396A (ko) 2013-02-14
TW200723918A (en) 2007-06-16
KR20110050746A (ko) 2011-05-16
JP2012054970A (ja) 2012-03-15
RU2008117150A (ru) 2009-11-10
WO2007041320A1 (en) 2007-04-12
CN101352064A (zh) 2009-01-21
CA2624251A1 (en) 2007-04-12
BRPI0616451A2 (pt) 2011-06-21
EP1938646A1 (en) 2008-07-02
JP2009512255A (ja)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599B1 (ko)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핸드오프
US11483720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KR100910143B1 (ko) 다중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의 제어 및 관리
KR100979834B1 (ko) 다수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US20190394722A1 (en) Distribution of Clients Across a Network
RU239277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ы отстройки и перекрестного поискового вызова
TW201330657A (zh) 以湛台位置為基礎之鄰近決定及交換率估算方法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