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424A -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424A
KR20100039424A KR1020107004462A KR20107004462A KR20100039424A KR 20100039424 A KR20100039424 A KR 20100039424A KR 1020107004462 A KR1020107004462 A KR 1020107004462A KR 20107004462 A KR20107004462 A KR 20107004462A KR 20100039424 A KR20100039424 A KR 20100039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unsubstituted
optically active
substit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603B1 (ko
Inventor
다케시 오쿠마
노리요시 아라이
마사야 아카시
히로히토 오오오카
츠토무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홋가이도 다이가쿠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홋가이도 다이가쿠,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홋가이도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0003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5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uclidine or iso-quinuclidine ring systems, e.g. quinine alkaloids
    • C07D45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uclidine or iso-quinuclidine ring systems, e.g. quinine alkaloids containing not further condensed quinuclidine 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B01J31/18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containing nitrogen,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 as complexing atoms, e.g. in pyridine ligands, or in resonance therewith, e.g. in isocyanide ligands C=N-R or as complexed central atoms
    • B01J31/1805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containing nitrogen,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 as complexing atoms, e.g. in pyridine ligands, or in resonance therewith, e.g. in isocyanide ligands C=N-R or as complexed central atoms the ligands containing 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B01J31/24Phosphines, i.e. phosphorus bonded to only carbon atoms, or to both carbon and hydrogen atoms, including e.g. sp2-hybridised phosphorus compounds such as phosphabenzene, phosphole or anionic phospholide ligands
    • B01J31/2404Cyclic ligands, including e.g. non-condensed polycyclic ligands, the phosphine-P atom being a ring member or a substituent on the ring
    • B01J31/2409Cyclic ligands, including e.g. non-condensed polycyclic ligands, the phosphine-P atom being a ring member or a substituent on the ring with more than one complexing phosphine-P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3/00Asymmetric synthe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31/00Catalytic reactions performed with catalyst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231/60Reduction reactions, e.g. hydrogenation
    • B01J2231/64Reductions in general of organic substrates, e.g. hydride reductions or hydrogenations
    • B01J2231/641Hydrogenation of organic substrates, i.e. H2 or H-transfer hydrogenations, e.g. Fischer-Tropsch processes
    • B01J2231/643Hydrogenation of organic substrates, i.e. H2 or H-transfer hydrogenations, e.g. Fischer-Tropsch processes of R2C=O or R2C=NR (R= C, 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02Compositional aspects of complexes used, e.g. polynuclearity
    • B01J2531/0261Complexes comprising ligands with non-tetrahedral chirality
    • B01J2531/0266Axially chiral or atropisomeric ligands, e.g. bulky biaryls such as donor-substituted binaphthalenes, e.g. "BINAP" or "BIN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80Complexes comprising metals of Group VIII as the central metal
    • B01J2531/82Metals of the platinum group
    • B01J2531/821Ruthe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Catalyst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입수 용이한 루테늄 화합물을 부제 환원 촉매로서 사용하고, 광학 순도가 높은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를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를, 식 (II):Ru(X)(Y)(Px)n[R1R2C*(NR3R4)-A-R5R6C*(NR7R8)]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 (II) 의 존재하에서 부제 수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 (III) 으로 나타내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식 중, R 은 수소 원자, C7 ∼ C18 아르알킬기 등을, X 및 Y 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등을, Px 는 포스핀 배위자를, n 은 1 또는 2 를, R1 ∼ R8 은 수소 원자, C1 ∼ C20 알킬기 등을, * 는 광학 활성 탄소 원자를, A 는 에틸렌기 등을 각각 나타낸다) 이다.
[화학식 1]

Description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ODUCTION OF OPTICALLY ACTIVE 3-QUINUCLIDINOL DERIVATIVE}
본 발명은 생리 활성 물질, 특히 의약품의 제조 원료로서 유용한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9월 6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7-230973호, 및 2008년 2월 13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8-03231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알카로이드류 중에서도 아자비시클로 고리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생리 활성 물질로서 유용한 화합물이 많다. 그 중에서도,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는, 의약품의 제조 원료로서 중요한 화합물이다.
종래,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의 공업적인 제조 방법으로서, 부제 수소화 촉매의 존재하에서, 저렴한 수소 가스를 수소원으로 사용하고 3-퀴누클리디논을 직접 부제 수소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4).
이 제조 방법에서는, 부제 수소화 촉매로서, 광학 활성 디포스핀과 1,2-디아민을 배위자로서 갖는 광학 활성 천이 금속 착물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광학 활성 천이 금속 착물에서는, 광학 활성 디포스핀 배위자로서 축 (軸) 부제를 갖는 비스비나프틸 화합물 유도체를, 특허문헌 2 에서는 축 부제를 갖는 비스비페닐 화합물 유도체를, 특허문헌 3 에서는 측사슬에 광학 활성기를 갖는 페로센 화합물 유도체를, 또, 특허문헌 4 에서는 부제 탄소를 갖는 알칸 화합물 유도체를 각각 갖고 있다. 또, 디아민 배위자로서, 어느 문헌도 광학 활성 혹은 라세미의 1,2-디아민 화합물을 갖고 있다. 이들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모든 부제 수소화 촉매에 의해서도 수소화 반응은 온화한 조건하에서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3 의 방법은, 얻어지는 퀴누클리디놀의 거울상 이성체 과잉율 및 촉매 효율이 모두 낮고, 특허문헌 2 의 방법은 촉매 효율이 낮고, 특허문헌 4 의 방법은 얻어지는 퀴누클리디놀의 거울상 이성체 과잉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3-퀴누클리디논을, 거울상 이성체 과잉율 및 촉매 효율 모두 높은 달성율에서 직접 부제 수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7738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68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92434호 WO2006/103756호 팜플렛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를, 거울상 이성체 과잉율 (또는 거울상 이성체 과잉율과 디아스테레오머 과잉율) 및 촉매 효율 모두 높은 달성율로 직접 부제 수소화하여, 높은 광학 순도의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를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제 수소화 촉매의 존재하에서, 저렴한 수소 가스를 수소원으로 사용하여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를 직접 부제 수소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하였다. 그 결과, 사용하는 부제 수소화 촉매로서, 입수 용이한 디포스핀 배위자와 1,4-디아민 배위자를 갖는 광학 활성 루테늄 금속 착물을 사용함으로써,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를 거울상 이성체 과잉율 (또는 거울상 이성체 과잉율과 디아스테레오머 과잉율) 및 촉매 효율 모두 높은 달성율로 직접 부제 수소화시켜 높은 광학 순도의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 (1) ∼ (5) 의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1) 식 (I)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 는 수소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20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C20 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5 ∼ C6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7 ∼ C18 아르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C18 아릴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를, 식 (II) : Ru(X)(Y)(Px)n[R1R2C*(NR3R4)-A-R5R6C*(NR7R8)] 〔식 중, X 및 Y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카르복시레이트, 수산기, 또는 C1 ∼ C20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Px 는 포스핀 배위자를 나타낸다.
n 은 1 또는 2 를 나타낸다.
R1 ∼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20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C20 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5 ∼ C6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7 ∼ C18 아르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C18 아릴기를 나타낸다. 또, R1 과 R2 중 어느 것이 R3 과 R4 중 어느 것과, R5 와 R6 중 어느 것이 R7 과 R8 중 어느 것과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 는 광학 활성 탄소 원자인 것을 나타낸다.
A 는 에테르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되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3알킬렌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렌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릴렌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2 가의 헤테로 고리기를 나타낸다. 또, A 가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3 알킬렌기인 경우, R1 과 R2 중 어느 것이 R5 와 R6 중 어느 것과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부제 수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 (III)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 *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2) 식 (I-1)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를,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부제 수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 (III-1)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R, *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 는 R 이 수소 원자 이외의 경우, 광학 활성 탄소 원자인 것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3)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이, 식 (II-1) : Ru(X)(Y)(Px) n[R1C*H(NR3R4)-A-R1C*H(NR3R4)]
(식 중, X, Y, Px, n, R1, R3, R4, * 및 A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4)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이, 식 (II-2) : Ru(X)(Y)(Px) n[R1C*H(NH2)-A-R1C*H(NH2)]
(식 중, X, Y, Px, n, R1, *, 및 A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5)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이, 식 (II-3) : Ru(X) 2(Pxx)[R1C*H(NH2)-A-R1C*H(NH2)]
(식 중, X, R1, *, 및 A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Pxx 는 광학 활성 포스핀 배위자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입수 용이한 루테늄 화합물을 부제 환원 촉매로서 사용함으로써, 광학 순도가 높은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를, 거울상 이성체 과잉율 혹은 디아스테레오머 과잉율 및 촉매 효율 모두 높은 달성율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를,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부제 수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식 (III) 으로 나타내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이다.
3- 퀴누클리디논 유도체 (I)
본 발명에서는, 출발 원료로서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 (이하,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 (I)」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사용한다.
상기 식 (I) 에서, R 은 수소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20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C20 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5 ∼ C6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7 ∼ C18 아르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C18 아릴기를 나타낸다.
C1 ∼ C20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C2 ∼ C20 알케닐기로서는, 비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 1-n-부테닐기, 1-s-부테닐기, 1,3-부타디에닐기, 1-n-펜테닐기, 2-n-펜테닐기, 3-n-펜테닐기, 2-n-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C3 ∼ C8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C5 ∼ C6 시클로알케닐기로서는, 1-시클로펜테닐기, 2-시클로펜테닐기, 1-시클로헥세닐기, 2-시클로헥세닐기, 3-시클로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C7 ∼ C18 아르알킬기로서는, 벤질기,
Figure pct00005
,
Figure pct00006
-디메틸벤질기, 페네틸기, 벤즈하이드릴기 등을 들 수 있다.
C6 ∼ C18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3-안트라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1 ∼ C20 알킬기, C2 ∼ C20 알케닐기의 치환기로서는, 화학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이면, 그 종류나 개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 수산기 ;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s-부톡시기, i-부톡시기, t-부톡시기 등의 C1 ∼ C20 알콕시기 ; 벤질옥시기,
Figure pct00007
,
Figure pct00008
-디메틸벤질옥시기, 페네틸옥시기 등의 C7 ∼ C18 의 아르알킬옥시기 ; 아세틸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등의 아실아미노기 ; 메탄술포닐아미노기, 톨루엔술포닐아미노기 등의 술포닐아미노기 ; N-메틸-N-아세틸아미노기, N-에틸-N-아세틸아미노기, N-메틸-N-벤조일아미노기, N-에틸-N-아실아미노기 등의 N-알킬-N-아실아미노기 ; N-메틸-N-메틸술포닐아미노기, N-에틸-N-메틸술포닐아미노기 등의 N-알킬-N-알킬술포닐아미노기 ; 프탈이미드기 ; 푸라닐기, 피라닐기, 디옥소라닐기 등의 함산소헤테로 고리기 ; 등을 들 수 있다.
C7 ∼ C18 아르알킬기, C6 ∼ C18 아릴기, C3 ∼ C8 시클로알킬기, C5 ∼ C6 시클로알케닐기의 치환기로서는, 화학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이면, 그 종류나 개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 수산기 ;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s-부톡시기, i-부톡시기, t-부톡시기 등의 C1 ∼ C20 알콕시기 ; 벤질옥시기,
Figure pct00009
,
Figure pct00010
-디메틸벤질옥시기, 페네틸옥시기 등의 C7 ∼ C18 의 아르알킬옥시기 ; 아세틸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등의 아실아미노기 ; 메탄술포닐아미노기, 톨루엔술포닐아미노기 등의 술포닐아미노기 ; N-메틸-N-아세틸아미노기, N-에틸-N-아세틸아미노기, N-메틸-N-벤조일아미노기, N-에틸-N-아실아미노기 등의 N-알킬-N-아실아미노기 ; N-메틸-N-메틸술포닐아미노기, N-에틸-N-메틸술포닐아미노기 등의 N-알킬-N-알킬술포닐아미노기 ; 프탈이미드기 ; 푸라닐기, 피라닐기, 디옥소라닐기 등의 함산소헤테로 고리기 ;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C1 ∼ C20 알킬기 ;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등의 C3 ∼ C8 시클로알킬기 ; 비닐기, n-프로페닐기, i-프로페닐기, n-부테닐기, sec-부테닐기, 1,3-부타디에닐기, n-펜테닐기, 2-펜테닐기, 3-펜테닐기, 헥세닐기 등의 C2 ∼ C20 알케닐기 ; 1-시클로펜테닐기, 2-시클로펜테닐기, 1-시클로헥세닐기, 2-시클로헥세닐기, 3-시클로헥세닐기 등의 C5 ∼ C6 시클로알케닐기 ; 벤질기,
Figure pct00011
,
Figure pct00012
-디메틸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C7 ∼ C18 의 아르알킬기 ;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3-안트라세닐기 등의 C6 ∼ C18 아릴기 ; 등을 들 수 있다.
식 (I)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는, 수소 원자가 아닌 R 이 치환되는 탄소 원자의 입체 배치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광학 활성체이어도 되고, 라세미체 혼합물이어도 된다.
식 (I)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로서는, 식 (I-1)
[화학식 5]
Figure pct00013
(식 중, R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에 나타내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6]
Figure pct00014
루테늄 화합물 ( II )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 (이하, 「루테늄 화합물(II)」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부제 수소화 촉매로서 사용한다.
상기 식 (II) 에서, X 및 Y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하이드리드), 할로겐 원자 (할로겐화물 이온), 카르복시레이트, 수산기 (수산화물 이온), 또는, C1 ∼ C20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상기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시레이트로서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n-부탄산 등 C2 ∼ C20 카르복실산의 아니온을 들 수 있다.
상기 C1 ∼ C20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s-부톡시기, i-부톡시기, 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Px 는 포스핀 배위자를 나타내고,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의 배위자가 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광학 활성 배위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핀 배위자로서는, 식 : PRARBRC 로 나타내는 단좌 포스핀 배위자나, 식 : RDREP-Q-PRFRG 로 나타내는 2 좌 포스핀 배위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 PRARBRC, 및 식 : RDREP-Q-PRFRG 에서, RA ∼ RG 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20 알킬기 ;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등의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C14 아릴기 ;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기 ; 를 나타낸다.
또, RA, RB 및 RC 중 어느 2 개가 결합하여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탄소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RD 와 RE 또는 RF 와 RG 가 결합하여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탄소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RA, RB 및 RC 중 2 개가 결합하여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를 형성해도 되고, RD 와 RE 및/또는 RF 와 RG 가 결합하여 포스포탄기, 포스포란기, 포스피난기, 포스페판기 등의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6 헤테로 고리기를 형성해도 된다.
Q 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프로필렌기 등의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5 알킬렌기 ; 자일렌디일기 ; 시클로프로필렌기, 시클로부틸렌기, 시클로펜틸렌기, 시클로헥실렌기, 비시클로헵텐디일기 등의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렌기 ;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페로세닐렌기, 9,10-디하이드로안트라센디일기, 크산텐디일기(Xanthene-4,5-diyl) 등의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C22 아릴렌기 ; 1,1'-비페닐-2,2'-디일기, 3,3'-비피리딜-4,4'-디일기, 4,4'-비피리딜-3,3'-디일기, 1,1'-비나프틸-2,2'-디일기, 1,1'-비나프틸-7,7'-디일기 등의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축대칭 화합물의 2 가기 ; 페로센의 2 가기 ; 를 나타낸다.
상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각 기의 치환기로서는, 화학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이면, 그 종류나 개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R 의 C7 ∼ C18 아르알킬기 등의 치환기로서 예시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 PRARBRC 로 나타내는 단좌 포스핀 배위자의 구체예로서는, 트리메틸포스핀, 트리에틸포스핀, 트리부틸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트리(p-톨릴)포스핀 등의 RA, RB 및 RC 가 모두 동일한 기인 3 급 포스핀 ; 디페닐메틸포스핀, 디메틸페닐포스핀, 디이소프로필메틸포스핀, 1-[2-(디페닐포스피노)페로세닐]에틸메틸에테르, 2-(디페닐포스피노)-2'-메톡시-1,1'-비나프틸 등의 RA, RB 및 RC 중 2 개가 동일한 기인 3 급 포스핀 ; 시클로헥실(O-아니실)-메틸포스핀, 에틸메틸부틸포스핀, 에틸메틸페닐포스핀, 이소프로필에틸메틸포스핀 등의 RA, RB 및 RC 가 모두 상이한 기인 3 급 포스핀 ; 등을 들 수 있다.
식 : RDREP-Q-PRFRG 로 나타내는 2 좌 포스핀 배위자로서는, 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탄,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 1,2-비스(디메틸포스피노)에탄, 1,3-비스(디메틸포스피노)프로판, 9,9-디메틸-4,5-비스[비스(2-메틸페닐)포스피노]크산센 (XANTPHOS),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BINAP) 등을 들 수 있다.
또, BINAP 의 나프틸 고리 및/또는 벤젠 고리에, 할로겐 원자, 알킬기, 할로겐화 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 등의 치환기를 갖는 BINAP 의 유도체도 바람직한 2 좌 포스핀 배위자로서 예시할 수 있다.
상기 BINAP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2,2'-비스(디-p-트릴포스피노)-1,1'-비나프틸이나, 2,2'-비스[비스(3,5-디메틸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등의 2 좌 포스핀 배위자 ;
1-[2-(디페닐포스피노)페로세닐]에틸디-t-부틸포스핀 ; 1-[2-(디페닐포스피노)페로세닐]에틸디페닐포스핀 ; 1-[2-(디페닐포스피노)페로세닐]에틸디시클로헥실포스핀 ; 상기 페로센 유도체의 벤젠 고리에, 할로겐 원자, 알킬기, 할로겐화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 등의 치환기를 갖는 2 좌 포스핀 배위자 ; 1-부톡시카르보닐-4-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디페닐포스피노메틸)피롤리딘 ; 1-부톡시카르보닐-4-디페닐포스피노-2-(디페닐포스피노메틸)피롤리딘 ;
2,2'-비스(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6,6'-디메틸-1,1'-비페닐 ;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6,6'-디메톡시-1,1'-비페닐 (MeO-BIPHEP) ;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5,5'-디클로로-6,6'-디메톡시-1,1'-비페닐 (Cl-MeO-BIPHEP) ; 5,5'-비스(디페닐포스피노)-4,4'-비-1,3-벤조디옥솔 (SEGPHOS), ; SEGPHOS 의 1,3-벤조디옥솔 고리 및/또는 벤젠 고리에, 할로겐 원자, 알킬기, 할로겐화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 등의 치환기를 갖는 2 좌 포스핀 배위자 ; 2,3-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 ; 1-시클로헥실-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 ; 2,3-O-이소프로필리덴-2,3-디하이드록시-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 ;
1,2-비스(2,5-디에틸포스포라노)벤젠 (Et-DUPHOS) ; 1,2-비스(2,5-디-t-이소프로필포스포라노)벤젠 ; 1,2-비스(2,5-디메틸포스포라노)벤젠 (Me-DUPHOS) ; 5,6-비스(디페닐포스피노)-2-노르보르넨, N,N'-비스(디페닐포스피노)-N,N'-비스(1-페닐에틸)에틸렌디아민 ;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 2,3-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 (CHIRAPHOS) ; 2,4-비스(디페닐포스피노)펜탄 (BDPP) ;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틸)-2,2'-디메틸-1,3-디옥소란 (DIOP) ;
C3-TUNEPHOS ; PHANEPHOS ; Me-BPE ; SYNPHOS ; SDP ; 1,2-비스(t-부틸메틸포스피노)에탄 ; 1,2-비스[(2-메톡시페닐)(페닐)포스피노]에탄 (DIPAMP) ; 2,2',6,6'-테트라메톡시-4,4'-비스(디페닐포스피노)-3,3'-비피리딘 ; 1-Boc-4-디페닐포스피노-2-(디페닐포스피노메틸)피롤리딘 ; 등을 들 수 있다.
또, 식 : RDREP-Q-PRFRG 로 나타내는 2 좌 포스핀 배위자에서, Q 는 RD 및 RF 와 결합하여 인 원자를 함유하는 비스헤테로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비스헤테로 고리로서는, 비스포스포탄, 비스포스포란, 비스포스피난, 비스포스페판을 들 수 있다.
Q 가 RD 및 RF 와 결합하여 인 원자를 함유하는 비스헤테로 고리를 형성한, 식 : RDREP-Q-PRFRG 로 나타내는 2 좌 포스핀 배위자의 구체예로서는, 1,1'-디-t-부틸-[2,2']-디포스포라닐 (TANGPHOS), 2,2'-디-t-부틸-2,3,2',3'-테트라하이드로-1H, 1'H-[1,1']-비이소포스핀드릴 (DUANPHOS), 4,4'-디-t-부틸-4,4',5,5'-테트라하이드로-3,3'-비-3H-디나프토[2,1-c : 1',2'-e]포스페핀 (BINAPINE), 1,2-비스{4,5-디하이드로-3H-디나프토[1,2-c : 2',1'-e]포스페피노}벤젠 (BINAPHA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II) 에서, n 은 1 또는 2 를 나타낸다.
상기 식 (II) 에서, [R1R2C*(NR3R4)-A-R5R6C*(NR7R8)] 은 광학 활성 디아민 배위자를 나타낸다.
식 (II) 중, * 는 광학 활성 탄소 원자인 것을 나타낸다.
R1 ∼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20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C20 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5 ∼ C6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7 ∼ C18 아르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C18 아릴기를 나타낸다.
R1 ∼ R8 의,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20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C20 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5 ∼ C6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7 ∼ C18 아르알킬기, 및,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C18 아릴기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R 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R1 과 R2 중 어느 것이 R3 과 R4 중 어느 것과, R5 와 R6 중 어느 것이 R7 과 R8 중 어느 것과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R1 과 R2 중 어느 것이 R3 과 R4 중 어느 것과, R5 와 R6 중 어느 것이 R7 과 R8 중 어느 것과 결합하여 형성된 고리형 잔기로서는, 2-피롤리디닐기, 2-인돌릴기, 2-피페리디닐기,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2-일기,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3-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R1 ∼ R8 로서는, 합성 및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후술하는 A 가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3 알킬렌기인 경우에는, R1 과 R2 중 어느 것이 R5 와 R6 중 어느 것과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 는 광학 활성을 갖는 탄소 원자인 것을 나타낸다.
A 는, 에테르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되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3 알킬렌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렌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C22 아릴렌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2 가의 헤테로 고리기를 나타낸다.
A 의, 에테르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되는 C1 ∼ C3 알킬렌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트리메틸렌기, -CH2-O-CH2- 등을 들 수 있다.
A 의 C3 ∼ C8 시클로알킬렌기, C6 ∼ C22 아릴렌기로서는, 상기 Q 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A 의 2 가의 헤테로 고리기로서는, 퓨란-3,4-디일, 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디일, 1,3-디옥소란-4,5-디일, 2-옥소-1,3-디옥소란-4,5-디일, 티오펜-3,4-디일, 피롤-3,4-디일, 2-이미다졸리디돈-4,5-디일 등의 5 원자 고리의 2 가의 헤테로 고리기 ; 1,4-디옥소란-2,3-디일, 피라진-2,3-디일, 피리다진-4,5-디일 등의 6 원자의 2 가의 헤테로 고리기 ; 1,4-벤조디옥소란-2,3-디일 등의 2 가의 축합 헤테로 고리기 ;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되는 C1 ∼ C3 알킬렌기, C3 ∼ C8 시클로알킬렌기, C6 ∼ C22 아릴렌기 및 2 가의 헤테로 고리기에서의 치환기는, 화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R 의 C7 ∼ C18 아르알킬기 등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A 가 상이한 탄소 원자에 각각 치환기를 갖는 에틸렌기인 경우, 에틸렌기의 2 개의 치환기끼리는 결합하여 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A 의 구체예로서는, 시클로펜탄-1,2-디일, 시클로헥산-1,2-디일, 1,2-페닐렌 등의 2 가의 탄화수소 고리기 ;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는 루테늄 화합물 (II) 이, 식 (II-1) : Ru(X)(Y)(Px)n[R1C*H(NR3R4)-A-R1C*H(NR3R4)] (식 중, X, Y, Px, n, R1, R3, R4, * 및 A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식 (II-2) : Ru(X)(Y)(Px)n[R1C*H(NH2)-A-R1C*H(NH2)] (식 중, X, Y, Px, n, R1, *, 및 A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 (II-3) : Ru(X)2(Pxx)[R1C*H(NH2)-A-R1C*H(NH2)] (식 중, X, R1, *, 및 A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Pxx 는 광학 활성 포스핀 배위자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 (II-3) 으로 나타내는 디아민 배위자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광학 활성 1,4-디아미노펜탄, 광학 활성 2,5-디아미노헥산, 광학 활성 비스(2-아미노프로필)에테르, 광학 활성 비스(2-아미노-2-페닐에틸)에테르, 광학 활성 1,3-디아미노-1,3-디페닐프로판, 광학 활성 1,4-디아미노-1,4-디페닐부탄, 광학 활성 1,4-디아미노-1,4-디시클로헥실부탄, 광학 활성 1,2-비스(1-아미노에틸)시클로펜탄, 광학 활성 1,1-비스(1-아미노에틸)시클로펜탄, 광학 활성 1,2-비스(1-아미노에틸)시클로헥산,
광학 활성 1,2-비스(1-아미노에틸)벤젠, 4R,5R-디(1R-아미노에틸)2,2-디메틸-[1,3]디옥소란, 4S,5S-디(1S-아미노에틸)2,2-디메틸-[1,3]디옥소란, 4R,5R-디(1S-아미노에틸)2,2-디메틸-[1,3]디옥소란, 4S,5S-디(1R-아미노에틸)2,2-디메틸-[1,3]디옥소란 등을 들 수 있다.
3- 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 (I) 를 출발 원료로 하고, 루테늄 화합물 (II) 를 수소화 촉매로서 사용하는 부제 수소화 반응에 의해,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 (III) 중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부제 수소화 반응은,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 (I) 을 루테늄 화합물 (II) 의 존재하에서, 원하는 바에 따라 염기를 첨가하고, 소정 압력의 수소 가스 또는 수소 공여체의 존재하에서 부제 환원시킴으로써 실시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루테늄 화합물 (II) 의 제조 원료가 되는, 포스핀 배위자를 갖는 루테늄 착물, 및 디아민 화합물을 별도로 반응계에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염기를 첨가하여 루테늄 화합물 (II) 를 생성시킨 후, 그 루테늄 화합물 (II) 를 꺼내지 않고, 그 반응계 중에 기질을 첨가함으로써 반응계 내에서 부제 수소화 반응을 실시할 수도 있다.
촉매로서 사용하는 루테늄 화합물 (II) 의 사용량은, 반응 용기의 크기나 촉매 활성에 의해 상이한데, 반응 기질인 3-퀴누클리디논 (I) 에 대해, 통상적으로 1/5,000 ∼ 1/200,000 배 몰, 바람직하게는 1/10,000 ∼ 1/100,000 배 몰의 범위이다.
사용하는 염기로서는,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피리딘,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DABCO), 1,6-디아자비시클로[5.4.0]인데세-7-엔 (DBU) 등의 유기 염기 ; 나트륨메톡사이드, 나트륨에톡사이드, 칼륨t-부톡사이드, 마그네슘메톡사이드, 마그네슘에톡사이드 등의 금속 알콕사이드류 ; n-부틸리튬 등의 유기 리튬 화합물 ;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LDA), 리튬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등의 리튬아미드류 ;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염 ;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수소염 ;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슘 등의 금속 수소화물 ;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의 첨가량은, 루테늄 화합물 (II) 에 대해 2 배 몰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 ∼ 50,000 배 몰의 범위이다.
부제 수소화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에서 실시할 수 있다.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반응을 저해시키지 않고 기질 및 촉매를 가용화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 i-부탄올, 벤질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펜탄, 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탄화수소류 ;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HF), 1,2-디메톡시에탄,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N,N-디메틸아세타미드, 1,3-디메틸이미다졸리딘,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N-메틸피롤리돈,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 (HMPT) 등의 아미드류 ; 아세토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 DMSO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 종 단독이고, 혹은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 생성물이 알코올 화합물이므로, 알코올류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사용량은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 (I) 의 용해도 및 경제성에 의존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무용매 또는 고 (高) 희석 조건에 가까운 상태에서도 반응은 진행되는데, 통상적으로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 (I) 100 중량부에 대해 10 ∼ 10,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 1,000 중량부의 범위이다.
수소의 압력은 통상적으로 1 × 105 ∼ 2 × 107 Pa 이고, 실용적 관점에서 3 × 105 ∼ 1 × 107 Pa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수소 공여체로서는, 예를 들어, 수소 저장 합금이나 디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 (I) 에 대해, 통상적으로 1 ∼ 100 배 당량의 범위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적으로 -50 ∼ +200 ℃, 바람직하게는 0 ∼ 100 ℃ 의 온도 범위이다.
또, 반응 시간은, 반응 기질 농도나 온도, 압력 등의 반응 조건에 의존하는데, 통상적으로 수 분 ∼ 수 일이다.
반응 형식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어, 배치식이어도 되고 연속식이어도 된다.
반응 종료 후에는, 통상적인 유기 합성 화학적 수법에 의해 단리·정제를 실시하고,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 (III) 을 얻을 수 있다.
목적물의 구조는, 원소 분석, NMR, IR, 매스 스펙트럼 등의 공지된 분석 수단에 의해 동정,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는, 의약품의 활성 성분 또는 그 활성 성분의 제조 중간체의 제조 원료로서 유용하다.
3- 퀴누클리디놀 유도체 ( III )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식 (III) 으로 나타내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 (이하,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 (III)」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루테늄 화합물 (II) 를 수소화 촉매로서 사용하는 부제 수소화 반응에 의해, * 로 나타내는 광학 활성 탄소 원자를 갖는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 (III) 중 어느 것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사용하는 루테늄 화합물 (II) 의 에난티오머에 대응하여 어느 일방의 에난티오머 이성체가 우선하여 얻어지는 것에 의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 (I-1)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를 출발 원료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식 (III-1)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식 (I-1)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식 중, R 이 수소 원자인 3-퀴누클리디논을 출발 원료로 하고, 루테늄 화합물 (II) 를 촉매로서 반응하면,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놀 (IIIa), (IIIb) 중 어느 하나를 얻을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15
또, 식 (I-1)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서, 식 중, R 이 수소 원자 이외인 식 (I-1)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를 출발 원료로 하고, 루테늄 화합물 (II) 를 수소화 촉매로 하여 부제 수소화 반응하면, 하기에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 (IIIc), (IIId) 중 어느 것을 얻을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ct00016
(식 중, R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는, 의약품의 활성 성분 또는 그 활성 성분의 제조 중간체의 제조 원료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의 물성의 측정에 사용한 장치는 다음과 같다.
(1) Varian GEMINI-300 (300 MHz, 바리안사 제조), JNM-A300 (300 MHz) 및 JNM-A400 (400 MHz, 니혼 전자사 제조)
(2) 선광도의 측정 : 선광도계, JASCO DIP-360 (니혼 분광사 제조)
(3)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 LC-10Advp, SPD-10Avp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4)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 GC-17A, CR-7A Plus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및 GC-353B (GL 사이언스사 제조)
사용하는 루테늄 화합물 (II) 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84790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다.
실시예 1
[화학식 9]
Figure pct00017
50 ㎖ 슈렝크관에 3-퀴누클리디논 (1) 1.63 g (13 mmol) 을 첨가하고, 진공 펌프로 용기 내를 감압 후, 아르곤을 봉입하는 조작을 3 회 반복하여 용기 내를 아르곤으로 치환시켰다. 그곳에, 2-프로판올 12.7 ㎖ 와의 칼륨tert-부톡사이드의 2-프로판올 용액 (1.0 M) 0.26 ㎖ (0.26 mmol) 을 각각 유리제 시린지로 첨가하였다. 초음파 장치를 사용하여 3-퀴누클리디논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액체 질소의 온도하에서 용액을 동결시켰다. 진공 펌프에서 용기 내를 감압시킨 후, 히트건을 사용하여 융해시켰다. 이 동결 탈기 조작을 3 회 반복하고, 이것을 기질 용액으로 하였다.
스테인리스제 100 ㎖ 오토클레이브 (유리 내 통 장착) 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코팅된 교반자, 및 루테늄 화합물 (II) 로서 (S)-1,1'-비나프틸-2,2'-비스(디-p-톨릴)포스핀루테늄(II)디클로라이드(2R,3R,4R,5R)-3,4-O-이소프로필리덴헥산-2,5-디아민 착물을 1.4 ㎎ (1.3 μmol, S/C = (기질 : 13 mmol)/(루테늄 화합물 (II) : 1.3 μmol) = 10,000) 을 첨가하여 용기 내를 아르곤으로 치환시켰다. 다음으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의 튜브를 사용하여, 기질 용액을 오토클레이브에 이송하였다.
수소 도입관을 사용하여 오토클레이브와 수소 봄베를 접속하고, 0.2 MPa 의 수소를 10 회 방출시켜 도입관 내의 공기를 수소로 치환시켰다. 계속해서, 오토클레이브의 용기 내에 1.0 MPa 의 수소를 봉입하고, 즉시 0.2 MPa 가 될 때까지 방출시키는 조작을 10 회 반복하여 용기 내를 수소로 치환시켰다. 마지막에 2.0 MPa 로 수소를 충전하고 20 ∼ 25 ℃ 에서 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내부 표준으로서 증류 정제한 테트랄린을 146.1 ㎎ (1.105 mmol)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R)-3-퀴누클리디놀(3-R) 이 13 mmol (수율 : 100 %), 거울상체 과잉율 : 97 %ee (R) 로 생성되어 있었다.
실시예 2
루테늄 화합물 (II) 로서 (S)-1,1'-비나프틸-2,2'-비스(디페닐)포스핀루테늄(II)디클로라이드(2R,3R,4R,5R)-3,4-O-이소프로필리덴헥산-2,5-디아민 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반응하여, (R)-3-퀴누클리디놀(3-R) 을 얻었다. S/C, 전화율, 및 거울상체 과잉율을 이하에 나타낸다.
S/C : 10,000
전화율 : 100 %
거울상체 과잉율 : 97 %ee (R)
실시예 3
루테늄 화합물 (II) 로서 (S)-1,1'-비나프틸-2,2'-비스(디페닐)포스핀루테늄(II)디클로라이드(R,R)-헥산-2,5-디아민 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반응하여, (R)-3-퀴누클리디놀(3-R) 을 얻었다. S/C, 전화율, 및 거울상체 과잉율을 이하에 나타낸다.
S/C : 20,000
전화율 : 100 %
거울상체 과잉율 : 95 %ee (R)
실시예 4
내부를 아르곤 치환한 오토클레이브에, 3-퀴누클리디논 (1) 1.63 g (13 mmol), {[(S)-(6,6'-디메틸-1,1'-비페닐-2,2'-디일)-비스(디페닐포스핀)]루테늄(II)디클로라이드(DMF)n} 착물 1.1 ㎎ (1.3 μmol), 2-프로판올 12.7 ㎖, 및 (2R,3R,4R,5R)-3,4-O-이소프로필리덴헥산-2,5-디아민의 0.05M 2-프로판올 용액 31 ㎕ (1.55 μmol) 를 첨가하여 탈기 조작한 후, 실온에서 30 분 교반하였다. 그곳에 칼륨tert-부톡사이드의 2-프로판올 용액 (1.0 M) 0.26 ㎖ (0.26 mmol) 를 첨가하고, 2.0 MPa 의 수소 가압하 20 ∼ 25 ℃ 에서 16 시간 교반하여 (R)-3-퀴누클리디놀(3-R) 을 얻었다. S/C, 전화율, 및 거울상체 과잉율을 이하에 나타낸다.
S/C : 10,000
전화율 : 100 %
거울상체 과잉율 : 95 %ee (R)
실시예 5
내부를 아르곤 치환한 오토클레이브에 3-퀴누클리디논 (1) 1.63 g (13 mmol), {[(S)-(6,6'-디메틸-1,1'-비페닐-2,2'-디일)-비스(디-p-톨릴포스핀)]루테늄(II)디클로라이드(DMF)n} 착물 1.1 ㎎ (1.3 μmol), 2-프로판올 12.7 ㎖, 및 (2R,3R,4R,5R)-3,4-O-이소프로필리덴헥산-2,5-디아민의 0.05M 2-프로판올 용액 31 ㎕ (1.55 μmol) 를 첨가하여 탈기 조작한 후, 실온에서 30 분 교반하였다. 그곳에 칼륨 tert-부톡사이드의 2-프로판올 용액 (1.0 M) 0.26 ㎖ (0.26 mmol) 을 첨가하고, 2.0 MPa 의 수소 가압하 20 ∼ 25 ℃ 에서 16 시간 교반하여 (R)-3-퀴누클리디놀(3-R) 을 얻었다. S/C, 전화율, 및 거울상체 과잉율을 이하에 나타낸다.
S/C : 10,000
전화율 : 100 %
거울상체 과잉율 : 96 %ee (R)
[화학식 10]
Figure pct00018
실시예 6
루테늄 화합물 (II) 로서 (R)-1,1'-비나프틸-2,2'-비스(디페닐)포스핀루테늄(II)디클로라이드(1S,2S,3S,4S)-2,3-O-이소프로필리덴-1,4-디페닐부탄-1,4-디아민 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반응하여, (S)-3-퀴누클리디놀(3-S) 를 얻었다. S/C, 전화율, 및 거울상체 과잉율을 이하에 나타낸다.
S/C : 5,000
전화율 : 100 %
거울상체 과잉율 : 95 %ee (S)
실시예 7
루테늄 화합물 (II) 로서 (R)-1,1'-비나프틸-2,2'-비스(디-p-톨릴)포스핀루테늄(II)디클로라이드(S,S)-헥산-2,5-디아민 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반응하고, (S)-3-퀴누클리디놀(3-S) 를 얻었다. S/C, 전화율, 및 거울상체 과잉율을 이하에 나타낸다.
S/C : 10,000
전화율 : 100 %
거울상체 과잉율 : 97 %ee (S)
실시예 8
루테늄 화합물 (II) 로서 (R)-1,1'-비나프틸-2,2'-비스(디-p-톨릴)포스핀루테늄(II)디클로라이드(S,S)-1,4-디페닐부탄-1,4-디아민 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반응하여, (S)-3-퀴누클리디놀(3-S) 를 얻었다. S/C, 전화율, 및 거울상체 과잉율을 이하에 나타낸다.
S/C : 10,000
전화율 : 100 %
거울상체 과잉율 : 98 %ee (S)
실시예 9
[화학식 11]
Figure pct00019
내부를 아르곤 치환시킨 오토클레이브에, 2-벤즈하이드릴퀴누클리딘-3-온(1-2) 의 라세미체 혼합물 397.7 ㎎ (1.30 mmol) 과 (S)-1,1'-비나프틸-2,2'-비스(디페닐)포스핀루테늄(II)디클로라이드(R,R)-헥산-2,5-디아민 착물 1.2 ㎎ (1.3 μmol) 을 넣었다. 그곳에 2-프로판올 6.4 ㎖ 를 첨가하고 탈기 조작한 후, 칼륨tert-부톡사이드의 2-프로판올 용액 (1.0 M) 0.13 ㎖ (0.13 mmol) 를 첨가하고, 1.0 MPa 의 수소 가압하 20 ∼ 25 ℃ 에서 18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 후, 미정제물을 1H-NMR 로 분석한 결과 syn 체만이 생성되어 있고,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 n-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체적비)) 로 정제하여 (2S,3S)-2-벤즈하이드릴퀴누클리딘-3-올(3-2) 382 ㎎ (1.30 mmol, 수율 96 %) 을 얻었다. 이것의 광학 순도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 아세토니트릴 : 0.02M 인산수소2나트륨 수용액 = 6 : 4 (체적비), 칼럼 : CHIRALCEL OD-RH, 다이셀 화학 공업사 제조) 로 측정한 결과 96 %ee 였다.
실시예 10
루테늄 화합물 (II) 로서 (S)-1,1'-비나프틸-2,2'-비스(디페닐)포스핀루테늄(II)디클로라이드(2R,3R,4R,5R)-3,4-O-이소프로필리덴헥산-2,5-디아민 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반응하여 (2S,3S)-2-벤즈하이드릴퀴누클리딘-3-올(3-2) 를 수율 99 %, >99 %ee 로 얻었다.
실시예 11
루테늄 화합물 (II) 로서 하기의 [화학식 12]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반응하여 (2S,3S)-2-벤즈하이드릴퀴누클리딘-3-올(3-2) 를 수율 96 %, >99.6 %ee 로 얻었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20
실시예 12
내부를 아르곤 치환시킨 오토클레이브에, 2-벤즈하이드릴퀴누클리딘-3-온(1-2) 의 라세미체 혼합물 398.0 ㎎ (1.30 mmol), {[(S)-(6,6'-디메틸-1,1'-비페닐-2,2'-디일)-비스(디페닐포스핀)]루테늄(II)디클로라이드(DMF)n} 착물 1.1 ㎎ (1.3 μmol), 2-프로판올 6.4 ㎖ 및 (2R,3R,4R,5R)-3,4-O-이소프로필리덴헥산-2,5-디아민의 0.05M 2-프로판올 용액 31 ㎕ (1.55 μmol) 를 첨가하여 탈기 조작한 후 실온에서 30 분 교반하였다. 그곳에 칼륨tert-부톡사이드의 2-프로판올 용액 (1.0M) 0.13 ㎖ (0.13 mmol) 를 첨가하고, 1 MPa 의 수소 가압하 20 ∼ 25 ℃ 에서 18 시간 교반하였다. 실시예 7 과 동일한 후처리 조작하여, (2S,3S)-2-벤즈하이드릴퀴누클리딘-3-올(3-2) 를 수율 97 %, >99 %ee 로 얻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입수 용이한 루테늄 화합물을 부제 환원 촉매로서 사용함으로써, 광학 순도가 높은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를, 거울상 이성체 과잉율 혹은 디아스테레오머 과잉율 및 촉매 효율 모두 높은 달성율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Claims (5)

  1. 식 (I)
    [화학식 1]
    Figure pct00021

    (식 중, R 는 수소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20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C20 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5 ∼ C6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7 ∼ C18 아르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C18 아릴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를, 식 (II) : Ru(X)(Y)(Px)n[R1R2C*(NR3R4)-A-R5R6C*(NR7R8)] 〔식 중, X 및 Y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카르복시레이트, 수산기, 또는 C1 ∼ C20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Px 는 포스핀 배위자를 나타낸다.
    n 은 1 또는 2 를 나타낸다.
    R1 ∼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20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C20 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5 ∼ C6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7 ∼ C18 아르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C18 아릴기를 나타내고, R1 와 R2 중 어느 것이 R3 과 R4 중 어느 것과, R5 와 R6 중 어느 것이 R7 과 R8 중 어느 것과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 는 광학 활성 탄소 원자인 것을 나타낸다.
    A 는 에테르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되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3알킬렌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C8 시클로알킬렌기,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릴렌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2 가의 헤테로 고리기를 나타낸다. 또, A 가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C3 알킬렌기인 경우, R1 과 R2 중 어느 것이 R5 와 R6 중 어느 것과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부제 수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 (III)
    [화학식 2]
    Figure pct00022

    (식 중, R, *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2. 식 (I-1)
    [화학식 3]
    Figure pct00023

    (식 중, R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3-퀴누클리디논 유도체를,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부제 수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 (III-1)
    [화학식 4]
    Figure pct00024

    (식 중, R, *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 는 R 이 수소 원자 이외의 경우, 광학 활성 탄소 원자인 것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이, 식 (II-1) : Ru(X)(Y)(Px) n[R1C*H(NR3R4)-A-R1C*H(NR3R4)]
    (식 중, X, Y, Px, n, R1, R3, R4, * 및 A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이, 식 (II-2) : Ru(X)(Y)(Px) n[R1C*H(NH2)-A-R1C*H(NH2)]
    (식 중, X, Y, Px, n, R1, *, 및 A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이, 식 (II-3) : Ru(X) 2(Pxx)[R1C*H(NH2)-A-R1C*H(NH2)]
    (식 중, X, R1, *, 및 A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Pxx 는 광학 활성 포스핀 배위자를 나타낸다) 으로 나타내는 루테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KR1020107004462A 2007-09-06 2008-09-02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KR101161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30973 2007-09-06
JPJP-P-2007-230973 2007-09-06
JP2008032311 2008-02-13
JPJP-P-2008-032311 2008-02-13
PCT/JP2008/065746 WO2009031526A1 (ja) 2007-09-06 2008-09-02 光学活性3-キヌクリジノ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424A true KR20100039424A (ko) 2010-04-15
KR101161603B1 KR101161603B1 (ko) 2012-07-03

Family

ID=4042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462A KR101161603B1 (ko) 2007-09-06 2008-09-02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436181B2 (ko)
EP (1) EP2186812B1 (ko)
JP (1) JP5244113B2 (ko)
KR (1) KR101161603B1 (ko)
CN (1) CN101796050B (ko)
WO (1) WO2009031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3753A1 (ja) * 2013-09-06 2015-03-12 日本曹達株式会社 エンド-9-アザビシクロ[3.3.1]ノナン-3-オ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CN105085513B (zh) * 2014-05-20 2017-10-31 中山奕安泰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r)‑3‑奎宁环醇的方法
CN111454258B (zh) * 2020-05-28 2021-07-20 中山奕安泰医药科技有限公司 索非那新中间体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353B2 (ja) 1996-10-25 2000-05-15 科学技術振興事業団 ルテニウム−ジアミン錯体及びこれを触媒とする光学活性アルコール類の製造方法
JP4004123B2 (ja) 1997-12-26 2007-11-07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ルテニウム錯体を触媒とするアルコ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EP1146037B1 (en) 1999-01-18 2006-06-21 Nippon Soda Co., 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amino alcohols
DE19938709C1 (de) 1999-08-14 2001-01-1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drenalin
WO2001058843A1 (fr) 2000-02-08 2001-08-16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rocede de preparation d'alcools secondaires optiquement actifs possedant des groupes fonctionnels azote ou oxygene
EP1136475B1 (en) 2000-03-22 2004-08-18 F. Hoffmann-La Roche Ag Piperidine and piperazine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
JP5042438B2 (ja) 2000-07-10 2012-10-03 日本曹達株式会社 シン立体配置を有するβ−アミノアルコール類の製造方法
JP4286486B2 (ja) * 2001-01-15 2009-07-01 日本曹達株式会社 ルテニウム化合物、ジアミン配位子および光学活性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JP2003176266A (ja) * 2001-12-13 2003-06-24 Sumitomo Chem Co Ltd 光学活性なアゼチジンアミド配位遷移金属錯体および用途
JP2003277380A (ja) * 2002-03-20 2003-10-02 Kawaken Fine Chem Co Ltd 光学活性3−キヌクリジノールの製造方法
DE10228103A1 (de) 2002-06-24 2004-01-15 Bayer Cropscience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JPWO2004007506A1 (ja) * 2002-07-15 2005-11-10 日本曹達株式会社 ルテニウム化合物、ジアミン配位子および光学活性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JP3569280B1 (ja) 2003-03-07 2004-09-22 川研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光学活性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JP4482299B2 (ja) 2003-08-27 2010-06-16 日本曹達株式会社 ルテニウム化合物及び光学活性アルコ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2005306804A (ja) * 2004-04-23 2005-11-04 Takasago Internatl Corp 光学活性3−キヌクリジノールの製造方法
RU2346996C2 (ru) * 2004-06-29 2009-02-20 ЮРОПИЭН НИКЕЛЬ ПиЭлСи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выщелачивание основных металлов
JP4490211B2 (ja) 2004-08-27 2010-06-23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光学活性3−キヌクリジノール類の製造方法
US8212037B2 (en) * 2005-03-30 2012-07-03 Kanto Kagaku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tion of optically active quinuclidinols
KR101087941B1 (ko) 2006-07-27 2011-11-28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1,1,1-트라이플루오로아세톤의 비대칭 수소화
JP5172124B2 (ja) * 2006-09-29 2013-03-27 関東化学株式会社 2位に置換基を有する光学活性キヌクリジノール類の製造方法
JP5232374B2 (ja) * 2006-09-29 2013-07-10 関東化学株式会社 2位に置換基を有する光学活性キヌクリジノール類の製造方法
US8207379B2 (en) * 2008-04-07 2012-06-26 Nippon Soda Co., Ltd. Ruthenium compound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aminoalcohol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1526A1 (ja) 2009-03-12
KR101161603B1 (ko) 2012-07-03
CN101796050B (zh) 2015-08-12
CN101796050A (zh) 2010-08-04
US8759524B2 (en) 2014-06-24
JPWO2009031526A1 (ja) 2010-12-16
US20130225824A1 (en) 2013-08-29
EP2186812A1 (en) 2010-05-19
JP5244113B2 (ja) 2013-07-24
EP2186812B1 (en) 2013-07-03
EP2186812A4 (en) 2011-04-06
US8436181B2 (en) 2013-05-07
US20100174081A1 (en)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9931B2 (en) Ruthenium complex and method for preparing optically active alcohol compound
EP2294075B1 (en) Novel ruthenium complexes having hybrid amine ligands, their preparation and use
EP0918781B1 (en) Asymmetric synthesis catalyzed by transition metal complexes with cyclic chiral phosphine ligands
US9255049B2 (en) Ruthenium complex and method for preparing optically active alcohol compounds using the same as a catalyst
CA2414049A1 (en) Ruthenium-diphosphine complexes and their use as catalysts
EP0901997B1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alcohol compound
KR101161603B1 (ko) 광학 활성 3-퀴누클리디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JP3720235B2 (ja) 光学活性ルテニウムホスフィン錯体の製造方法及び該錯体を用いた光学活性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US9328079B2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amine
Benincori et al. Free design of chiral diphosphine chelating ligands for stereoselective homogeneous catalysis by assmbling five‐membered atomatic heterocycles
CN101508702A (zh) 四氢喹啉和吲哚啉衍生的磷氮配体、合成方法和应用
JP5042438B2 (ja) シン立体配置を有するβ−アミノアルコール類の製造方法
CN112654630B (zh) 四齿二氨基二膦配体、过渡金属络合物及它们的制造方法以及其用途
US8822680B2 (en) Paracyclophane-based ligands, their preparation and use in catalysis
Anderson et al. Synthesis of planar chiral ferrocenyl cyclopentadienyl chelate ligand precursors
JP2012031119A (ja) 軸不斉イソキノリ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不斉合成方法
JP5616976B2 (ja) ジアステレオ選択的にアルコール化合物を製造する方法及びルテニウム化合物
US20070155974A1 (en) Transition metal catalysts
JP2013082638A (ja) 光学活性アミノニトリ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936264A (zh) 一种芳香基手性噁唑啉膦配体的合成方法
JP2006008682A (ja) トロピリデンアミン、その製造法、その遷移金属錯体及び該遷移金属錯体を含む触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