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211A -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 - Google Patents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211A
KR20100039211A KR1020090068779A KR20090068779A KR20100039211A KR 20100039211 A KR20100039211 A KR 20100039211A KR 1020090068779 A KR1020090068779 A KR 1020090068779A KR 20090068779 A KR20090068779 A KR 20090068779A KR 20100039211 A KR20100039211 A KR 20100039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learning
displayed
memoriz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134B1 (ko
Inventor
박규일
Original Assignee
박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일 filed Critical 박규일
Publication of KR2010003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Abstract

본 발명은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을 반복학습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시각적, 청각적으로 단어 또는 문장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기학습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제1 언어와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스탭에 따라 설정된 개수로 표시창에 표시되고, 표시창에 표시되는 제1 언어와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의 속도를 변형하여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표시단계; 및 사용자의 진행요구 또는 일정시간 후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를 구성하는 자소(字素)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자소가 표시되거나,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기호가 표시되는 일부표시단계; 를 포함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을 제공한다.
암기학습방법, 암기학습장치, 영어, 한국어, 자소(字素), 데이터베이스

Description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METHOD FOR MEMORIZING WORD ON THE BASE OF SPEED LISTENING AND MEMORIZING WOR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을 반복학습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시각적, 청각적으로 단어 또는 문장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어가 세계적인 공통어로서 자리잡고 있는 상황에서 영어 교육은 이제 필수가 되고 있다. 글로벌 시대에 즈음하여 사이버 공간의 실질적인 표준어가 영어로 표기되고 있으며, 대량의 정보 역시 영어로 저장되어 있다. 이에 영어 교육을 더욱 절실한 것이다.
이러한 영어의 필요성에 의해 대부분의 나라에서 영어 교육이 필수 과정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학습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학 습 방법은 결과적으로 영어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영어를 사용하는 영역권의 문화를 이해하고 이들이 사용하는 어구의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의사 표현의 자연스러움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영어를 이루는 단어를 암기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구 조건이다. 때로는 영어 학습 방법이 단순 지식 위주의 입시교육에 맞춰지는 경우도 있으나, 이 역시 암기를 요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영어 학습시 암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으며, 많은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영어 단어의 암기에 있어 단순하게 반복적인 필기나 발성에 의한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어 암기효율의 극대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전자 사전이 일종의 편리하고 인기있는 영어학습 도구가 되었으며, 몇 가지 영어학습 시스템이 휴대용 전자 영어 학습 장치 또는 인터넷 영어 학습 장치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어 학습 장치는 단순한 "단어 브라우징(Vocabulary browsing)" 및 "단어 검사"와 같은 일부 단순한 기능만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학습효율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을 반복학습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시각적, 청각적으로 단어 또는 문장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암기학습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제1 언어와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스탭에 따라 설정된 개수로 표시창에 표시되고, 표시창에 표시되는 제1 언어와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의 속도를 변형하여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표시단계; 및 사용자의 진행요구 또는 일정시간 후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를 구성하는 자소(字素)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자소가 표시되거나,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기호가 표시되는 일부표시단계; 를 포함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을 제공한다.
일부표시단계 다음에, 일부표시단계를 거친 제1 언어와,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제2 언어가 표시창에 표시되고, 다수의 제2 언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언어가 제1 언어에 대응되는 경우 일정점수를 얻는 학습체크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학습체크단계를 통해 얻은 일정점수의 합이 설정된 목표점수 이상일 경우 다음 학습스탭의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표시단계 다음에, 일부표시단계를 거친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이 출력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표시창에 기재된 언어가 출력된 발음에 해당하는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인 경우 일정점수를 얻는 학습체크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학습체크단계를 통해 얻은 일정점수의 합이 설정된 목표점수 이상일 경우 다음 학습스탭의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표시단계 다음에, 사용자의 진행요구 또는 일정시간 후 제1 언어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가 표시창에 재표시되는 재표시단계;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표시단계 다음에, 재표시단계를 거친 제1 언어와,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제2 언어가 표시창에 표시되고, 다수의 제2 언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언어가 제1 언어에 대응되는 경우 일정점수를 얻는 학습체크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학습체크단계를 통해 얻은 일정점수의 합이 설정된 목표점수 이상일 경우 다음 학습스탭의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 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재표시단계 다음에, 재표시단계를 거친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이 출력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표시창에 기재된 언어가 출력된 발음에 해당하는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인 경우 일정점수를 얻는 학습체크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학습체크단계를 통해 얻은 일정점수의 합이 설정된 목표점수 이상일 경우 다음 학습스탭의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표시단계에서,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가 표시되는 경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 또는 제2 언어에 대응되는 제1 언어는 빈칸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표시단계는,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의 속도를 변형하여 출력 가능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단계 전에, 사용자가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의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요구단계;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를 검색하고,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 또는 제2 언어에 대응되는 제1 언어를 검출하는 단어검출단계; 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학습체크단계 다음에, 사용자가 학습을 완료한 학습스탭이 둘 이상일 경우, 학습스탭에서 학습된 제1 언어, 제2 언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 설정된 개수만큼 무작위로 선택되어 표시창에 표시되거나, 제1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이 출력되는 통합학습체크단계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을 적용한 암기학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에 의하면,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을 반복학습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각적, 청각적으로 단어 또는 문장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장치는 세계 각국의 언어 학습에 사용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특히 영어와 한국어를 학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소(字素)"는 한 언어의 문자 체계에서 음소(音素; 더 이상 작게 나눌 수 없는 음운론상의 최소 단위)를 표시하는 최소의 변별적 단위로서의 문자 혹은 문자 결합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장치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용으로 별도 제작될 수도 있고,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유무선 단말기(유선전화기나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나 개인용 컴퓨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암기학습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암기학습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이 적용된 암기학습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이 적용된 암기학습장치(100)는 크게 입력부(110)와 표시창(120), 스피커(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10)는 전원 온/오프 버튼, 사용자들이 영어 또는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 명령수행버튼 등 암기학습장치(100)의 전면이나 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된다.
표시창(120)은 통상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하기에 서술하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암기학습장치(100)의 사용자에게 문자로 영어단어 또는 문장이나 한국어단어 또는 문장, 현재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등 암기학습장치(100)의 사용에 따른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창(120)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암기학습장치(100)를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스피커(130)는 표시창(120)과 마찬가지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응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음성 신호는 영어단어 또는 문장이나 한국어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 암기학습장치(100)의 현재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등 암기학습장치(100)의 사용에 따른 각종 정보를 지칭한다. 이때, 스피커(130)는 암기학습장치(100)의 제조단가 등에 따라 암기학습장치(100)에 탑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에 따라 각종 언어사전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학습하고자 하는 제1 언어와 제2 언어가 영어와 한국어이므로 그에 해당하는 영어사전(142), 한국어사전(144)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다. 이러한 사전은 각 언어의 단어 외에도 각 언어의 각종 문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영어단어 또는 문장 및 한국어단어 또는 문장의 실제 발음과 억양 등이 저장된 발음저장부(144)를 포함하여 암기학습장치(100)에 스피커(130)가 탑재된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30)를 통해 해당 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을 출력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암기 학습 프로그램에 따라 암기학습장치(100) 전체를 제어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하는 단어 또는 문장이 어떤 언어인지,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의 철자가 정확한지를 해당 언어사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증하고, 표시창(120)이나 스피커(130), 또는 표시창(120)과 스피커(130)를 모두를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 청각적으로 해당 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데이터베이스(140)의 발음저장부(144)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의 발음 속도를 변형, 예를 들어 보통의 발음 속도를 1배속이라고 할 경우 1.5배속이나 2배속 등 다양한 속도로 빠르게 발음되도록 변형시켜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암기학습장치(100)는 사용자들이 네트워크(200)에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140)에 학습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 즉 영어와 한국어의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른 언어를 학습하고자 할 경우에는 영어나 한국어 대신 다른 언어에 대한 데이터를 다운받아 해당 언어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20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이나 인트라넷, 전화망, 위성통신망 또는 모바일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이나 이들과 유사한 네트워크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암기학습장치(100)에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 예를 들어 암기학습장치(100)가 네트워크(200)에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장치나 데이터베이스, 모듈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 외에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암기학습장치를 이용한 학습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암기학습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영어, 한국어, 일어, 중국어 등) 및 해당 언어의 수준별 학습스탭(Step)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언어의 수준별 학습스탭은, 예를 들어 제1 학습스탭, 제2 학습스탭... 제10 학습스탭 등과 같이 구분될 수도 있고, 초급, 중급, 상급으로 간단하게 구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하기에 서술하는 학습체크단계(S400)를 통해 학습한 과정, 예를 들어 초급과정을 통과한 이후에 중급과정을 학습하도록 하여 상급과정까지 순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특정 영어단어 또는 문장과, 특정 영어단어 또는 문장에 대응되는 한국어단어 또는 문장이 표시창에 표시됨과 동시에 그에 해당하는 발음이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된다(S100, 표시단계). 이때, 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 속도를 변형하여 순차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통의 발음 속도를 1배속이라고 할 경우 1.5배속이나 2배속 등 다양한 속도로 빠르게 발음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빠른 듣기, 일명 속청(速聽)은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표시단계(S100) 전에 사용자가 영어단어 또는 한국어단어의 검색을 요구할 수 있다(검색요구단계, S10). 이와 같이 검색이 요구될 경우 제어부(150)에서는 검색이 요구된 단어에 해당되는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단어를 검색하고, 검출(단어검출단계, S20)하여 표시창(120)에 표시함으로써 표시단계(S100)가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검색을 요구하여 검출된 단어는 별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전 데이터베이스에 각 언어의 각종 문장들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문장을 검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단어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사전으로부터 무작위로 추출될 수 있고, 기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단어, 예를 들어 유사한 의미를 갖는 유사단어나 사용자가 검색해본 단어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단계(S100) 다음에 사용자의 진행요구가 있을 경우, 표시창(120)에 표시된 영어단어를 구성하는 자소(字素)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자소와, 한국어단어를 구성하는 자소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자소가 표시되거나,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기호가 표시된다(S200, 일부표시단계). 이때, 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진행요구 없이 표시단계(S100)에서 표시창(120)에 표시된 특정 영어단어와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단어가 일정시간 후 영어단어의 자소와 한국어단어의 자소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사용자의 진행요구 또는 일정시간 후 제어부(150)에서는 설정에 따라 일부표시단계(S200)를 거친 영어 또는 한국어단어나 문장을 표시창(120)에 재표시(재표시단계, S300)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표시단계(S100)와 마찬가지로 표시된 언어의 발음이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 속도를 변형하여 순차적으로 출력시켜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단계(S100), 일부표시단계(S200), 그리고 설정에 따라 포함될 수 있는 재표시단계(S300)의 순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스탭에 설정된 일정 개수의 단어 또는 문장의 학습이 완료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어부(150)는 학습한 단어 또는 문장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 예를 들어 10개나 20개, 또는 30개 이상인지를 파악(S50)하여 일정 개수 미만일 경우 표시단계(S100)에서 표시된 단어와는 다른 영어단어와, 다른 영어단어에 해당되는 한국어단어를 표시창(120)에 표시하도록, 즉 제2, 제3... 표시단계와 일부표시단계(S200)를 거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설정에 따라 재표시단계(S300)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재표시단계(S300)를 거친 단어의 개수를 파악하여 해당 학습스탭의 학습을 계속 진행할 것인지, 완료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표시단계(S200)를 거친 단어 또는 문장의 개수가 한 단위를 이루도록 일정 개수 이상, 예를 들어 10개 이상일 경우 지금까지 사용자가 학습해온 학습스탭의 단어 또는 문장의 학습을 테스트하게 된다(학습체크단계, S400).
학습체크단계(S4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표시창(120)을 통해 영어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하고,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단어 또는 문장이 포함되는 다수의 한국어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정답을 선택하는 객관식 문제를 제출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30)를 통해 영어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을 출력한 후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표시창(120)에 표시된 다수의 한국어단어 또는 문장에서 사용자가 정답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정답의 선택은 암기학습장치(100)에 마련되는 입력부(110)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고, 표시 창(120)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펜 등으로 직접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창(120)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영어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이 출력된 후 사용자가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직접 표시창(120)에 그에 대응되는 한국어단어 또는 문장을 기재하는 주관식 문제로도 제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스트에 의해 사용자가 정답을 맞출 경우 일정점수를 획득하고, 계속적인 테스트를 통해 얻은 일정점수의 합이 설정된 목표점수 이상일 경우 다음 학습스탭, 즉 초급과정을 학습한 경우 중급과정의 학습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암기학습장치를 이용한 학습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도 3의 (a) 내지 (d)를 살펴보면 암기학습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영어단어 "sun"과, "sun"에 대응되는 한국어단어 "태양"이 표시창(120)에 표시된다(표시단계, S100). 이때, "sun"과 "태양"의 발음이 출력되며, 발음의 속도를 변형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가 있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도 3의 (b)와 같이 다음 단어인 영어단어 "flower"와, "flower"에 대응되는 한국어단어 "꽃"이 표시되며, 순차적으로 도 3의 (c) 및 (d)와 같이 "tree"와 "나무", "school"과 "학교"가 표시창(120)에 표시되면서 동시에 해당 언어의 발음이 속도 변형 가능하게 출력된 다.
이는 문장의 학습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데,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것처럼 "I love you."와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This is a pen."와 "이것은 펜입니다.", "He is a teacher."와 "그는 선생님입니다."의 영어문장과 한국어문장이 표시되고, 해당 언어문장의 발음이 속도 변형 가능하게 출력된다.
다음, 도 5의 (a) 내지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부표시단계(S200)가 진행된다. 즉, 영어단어 "sun"을 구성하는 자소 중 "s"가 표시되고,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단어가 표시될 위치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 빈칸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설정에 따라 도 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요구가 있거나 일정 시간이 지난 후 "sun"과 "태양"이 표시된다(재표시단계, S300). 이때, 설정에 따라 "sun"과 "태양"의 발음이 출력될 수 있으며 발음 속도를 변형시켜, 예를 들어 2배속으로 "sun"과 "태양"의 발음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행하고 있는 학습스탭에 설정된 일정 개수의 단어가 10개일 경우 표시된 "sun"과 "태양"이 10개째 단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10개째 단어가 아닐 경우 도 5의 (c)와 같이 다른 단어, 즉 "flower"의 자소 중 일부가 표시되며, 이후 도 5의 (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flower"와 꽃"이 재표시되며, 이때 설정에 따라 "flower"와 "꽃"에 대한 발음 속도를 변형시켜 출력될 수 있다.
계속해서, "flower"와 "꽃"이 10개째 단어가 아닐 경우 또다른 단어, 예를 들어 "tree"의 자소 중 일부가 표시되어 전술한 대로 진행된다.
전술한 도 5는 단어를 학습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며, 도 6에서는 문장을 학 습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문장의 학습에서는 단어의 학습과 같이 문장을 이루는 단어의 자소 중 일부를 표시해서는 학습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영어문장 또는 한국어문장 전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도 6의 (a)에서는 한국어문장인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가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가 있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도 6의 (b)와 같이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에 대응되는 영어문장인 "I love you."가 표시되고, 각 문장의 발음이 속도 조절 가능하게 출력된다.
또한, 도 6의 (c)에서는 새로운 한국어문장인 "그는 선생님입니다."가 표시되고, 도 6의 (d)에서는 "그는 선생님입니다."과 그에 대응되는 영어문장인 "He is a teacher."가 표시되면서 문장의 발음이 속도 조절 가능하게 출력되는 것이다.
한편, 일부표시단계(S200)를 도 7의 (a) 내지 (d)와 같이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에 해당하는 발음기호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서는 중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는데, 도 7의 (a)에서는 한자 "民族"의 발음기호가 표시되고,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단어 "민족"이 표시될 위치는 빈칸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가 있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도 7의 (b)와 같이 "民族"과 "민족"이 표시창(120)에 표시되면서 설정에 따라 "民族"과 "민족"의 발음이 속도 변형 가능하게 출력된다.
이와 동일한 순서로, 도 7의 (c)와 같이 "民族"과는 다른 한자인 "兄弟"의 발음기호가 표시되고, 다음에 도 7의 (d)와 같이 한문 "兄弟"와 한국어단어 "형제" 가 표시되면서 해당 발음이 속도 변형 가능하게 출력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암기학습장치를 이용하여 학습 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우선, 도 8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전술한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재표시단계(S300)를 거친 영어단어("sun", "flower", "tree", "school"...)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 예를 들어 10개를 채운 경우 표시창(120)에 이를 표시하여 학습체크단계(S400)를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된 각각의 단어를 보면서 학습했던 단어를 체크하게 되고, 사용자가 표시창(120)에 표시된 ①~④번의 다수의 한국어단어 중 어느 하나 를 선택, 예를 들어 표시창(120)에 표시된 해당 번호부분을 눌러주게 되면, 눌려진 위치에 표시된 번호가 문제로 제시된 영어단어에 대응되는 한국어단어인지를 판단하여 정답일 경우 일정점수를 획득하게 되고, 오답을 선택한 경우 점수획득에 실패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학습체크단계(S400)로도 충분할 수 있으나, 좀 더 명확한 테스트를 위해 도 8의 (a) 내지 (d)와 같이 영어단어에 대한 학습체크, 즉 1차 학습체크가 완료되면, 도 9의 (a) 내지 (d)와 같이 도 8의 (a) 내지 (d)과는 반대로 한국어단어가 문제로 주어지고, 이에 대하여 ①~④번의 다수개 영어단어가 표시되어 단어학습상태의 체크, 즉 2차 학습체크를 시작할 수 있다.
2차 학습체크는 1차 학습체크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선택하는 번호에 따라 제시된 한국어단어에 대응되는 영어단어인지를 판단하여 일정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1차 학습체크단계(도 8)에서 영어단어가 표시되고, 2차 학습체크단계(도 9)에서 한국어단어가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1차에서 한국어단어가 표시되고 2차에서 영어단어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1차 또는 2차 학습체크단계에서 영어단어와 한국어단어가 뒤섞여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1차 또는 2차 학습체크단계 후 설정에 따라 학습한 단어에 대한 발음 속도를 변형시켜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장에 대한 학습체크단계(S400)에서도 1차 및 2차 학습체크단계(S400)를 거치도록 하여 명확한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객관식 문제를 제출하여 학습체크단계(S400)를 진행하는 것 외에, 스피커(130)를 통해 영어 단어 또는 문장이나 한국어 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을 출력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학습체크단계(S400를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영어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이 출력된 후 표시창(120)에 도 5 내지 도 11과 같이 한국어단어 또는 문장이 ①~④번의 보기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이 중에서 정답을 암기학습장치(100)에 마련되는 입력부(110)을 이용하여 선택하거나, 표시창(120)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펜 등으로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객관식으로 출제하는 것 외에도 주관식으로 출제하는 것이 가능한데, 영어단어 또는 문장의 발음이 출력된 후 사용자가 표시창(120)에 발음을 청취한 영어단어 또는 문장에 대응되는 한국어단어 또는 문장을 직접 기재하도록 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주관식 문제는 표시창(120)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기재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학습체크단계(S400)를 통해 얻은 일정점수의 합이 설정된 목표점수 이상이 되면 다음 학습스탭, 예를 들어 초급과정을 지나 중급과정의 학습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설정에 따라 학습체크단계(S400) 다음에 통합학습체크단계(미도시)가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합학습체크단계는 사용자가 학습을 완료한 학습스탭이 둘 이상, 예를 들어 초급과정과 중급과정, 상급과정을 학습완료한 경우 초급, 중급, 고급과정에서 학습한 영어단어 또는 문장과 한국어단어 또는 문장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테스트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초급과정에서 100개의 언어를 학습하고, 중급과정에서 100개의 언어, 고급과정에서 100개의 언어를 학습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통합학습체크단계를 진행하고자 테스트할 개수를 50개로 설정하게 되면, 초급과정에서 학습한 언어 중 50개가 무작위로 선택되어 출제되고, 마찬가지로 중급과정과 상급과정에서 학습한 언어 중 각각 50개가 무작위로 선택되어 순차적으로 출제되는 것이다.
이 외에, 설정에 따라 테스트할 개수가 50개인 경우 초급, 중급, 고급과정에서 학습한 총 300개의 단어 중 각 과정에서 무작위로 선택, 예를 들어 초급과정에서 15개, 중급과정에서 15개, 고급과정에서 20개가 선택되어 총 50개의 언어가 출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통합학습체크단계의 수행과정은 전술한 학습체크단계와 동일하게, 즉 출제되는 언어가 표시창(120)에 표시되거나, 출제되는 언어의 발음이 출력되어 객관식이나 주관식으로 테스트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통합학습체크단계에서도 정답을 맞춰 일정점수를 획득하도록 하고, 일정점수의 합이 목표점수를 넘게 되면 그 다음의 학습스탭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이 적용된 암기학습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암기학습장치를 이용한 학습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암기학습장치를 이용한 학습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암기학습장치를 이용하여 학습 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암기학습장치 110: 입력부
120: 표시창 130: 스피커
140: 데이터베이스 142: 제1 언어사전
144: 제2 언어사전 144: 발음저장부
150: 제어부 200: 네트워크

Claims (13)

  1. 암기학습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제1 언어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스탭에 따라 설정된 개수로 표시창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언어와 상기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의 속도를 변형하여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표시단계; 및
    사용자의 진행요구 또는 일정시간 후 상기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제1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를 구성하는 자소(字素)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자소가 표시되거나, 상기 제1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기호가 표시되는 일부표시단계;
    를 포함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표시단계 다음에,
    상기 일부표시단계를 거친 제1 언어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제2 언어가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고,
    상기 다수의 제2 언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언어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경우 일정점수를 얻는 학습체크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학습체크단계를 통해 얻은 일정점수의 합이 설정된 목표점수 이상일 경우 다음 학습스탭의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표시단계 다음에,
    상기 일부표시단계를 거친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이 출력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상기 표시창에 기재된 언어가 출력된 발음에 해당하는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인 경우 일정점수를 얻는 학습체크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학습체크단계를 통해 얻은 일정점수의 합이 설정된 목표점수 이상일 경우 다음 학습스탭의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표시단계 다음에,
    사용자의 진행요구 또는 일정시간 후 상기 제1 언어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가 표시창에 재표시되는 재표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표시단계 다음에,
    상기 재표시단계를 거친 제1 언어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를 포함하는 다수의 제2 언어가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고,
    상기 다수의 제2 언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언어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경우 일정점수를 얻는 학습체크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학습체크단계를 통해 얻은 일정점수의 합이 설정된 목표점수 이상일 경우 다음 학습스탭의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표시단계 다음에,
    상기 재표시단계를 거친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이 출력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상기 표시창에 기재된 언어가 출력된 발음에 해당하는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인 경우 일정점수를 얻는 학습체크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학습체크단계를 통해 얻은 일정점수의 합이 설정된 목표점수 이상일 경우 다음 학습스탭의 제1 언어와 제2 언어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표시단계에서,
    상기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에 대응되는 제1 언어는 빈칸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8.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표시단계는,
    상기 제1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의 속도를 변형하여 출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 전에,
    사용자가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의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요구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를 검색하고, 상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에 대응되는 제1 언어를 검출하는 단어검출단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 전에,
    사용자가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의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요구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를 검색하고, 상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에 대응되는 제1 언어를 검출하는 단어검출단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 전에,
    사용자가 제1 언어 또는 제2 언어의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요구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를 검색하고, 상기 제1 언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에 대응되는 제1 언어를 검출하는 단어검출단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체크단계 다음에,
    상기 사용자가 학습을 완료한 학습스탭이 둘 이상일 경우,
    상기 학습스탭에서 학습된 제1 언어, 제2 언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 설정된 개수만큼 무작위로 선택되어 상기 표시창에 표시되거나, 상기 제1 언어 또는 상기 제2 언어에 해당하는 발음이 출력되는 통합학습체크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을 적용한 암기학습장치.
KR1020090068779A 2008-10-06 2009-07-28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 KR101121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7903 2008-10-06
KR1020080097903 2008-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211A true KR20100039211A (ko) 2010-04-15
KR101121134B1 KR101121134B1 (ko) 2012-03-20

Family

ID=4086047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332A KR20090052843A (ko) 2008-10-06 2009-04-28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KR1020090041426A KR20090054951A (ko) 2008-10-06 2009-05-12 주니어용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KR1020090068779A KR101121134B1 (ko) 2008-10-06 2009-07-28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332A KR20090052843A (ko) 2008-10-06 2009-04-28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KR1020090041426A KR20090054951A (ko) 2008-10-06 2009-05-12 주니어용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900528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056A (ko) * 2018-06-07 2019-12-17 오승종 속청 기반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69B1 (ko) * 2011-11-18 2013-02-21 임호진 온톨로지 기반 자동 암기 학습 시스템
KR101232455B1 (ko) * 2012-04-19 2013-02-12 신경순 단어 암기 방법
KR101303191B1 (ko) * 2013-02-15 2013-09-09 임상현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7818A (en) * 1992-08-18 1998-02-10 Hitachi, Ltd. Audio signal stor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converting speech speed
KR200404733Y1 (ko) * 2005-10-19 2005-12-27 시소러스주식회사 속독 및 속청을 위한 전자 학습기
KR20080051876A (ko) * 2006-12-07 2008-06-11 (주)테일러테크놀로지 전자사전 검색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장치 및검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056A (ko) * 2018-06-07 2019-12-17 오승종 속청 기반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843A (ko) 2009-05-26
KR101121134B1 (ko) 2012-03-20
KR20090054951A (ko) 200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vens et al. Access to mathematics for visually disabled students through multimodal interaction
Shen et al. Character reading fluency, word segmentation accurac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L2 Chinese
US20060063139A1 (en) Computer assisted reading tutor apparatus and method
Yenkimaleki et al. Effects of attention to segmental vs. suprasegmental features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comprehensibility of the EFL learners targeting the perception or production-focused practice
US201002854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letion of keyboard entry
KR20180130746A (ko) 빅데이터 기반 언어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KR101121134B1 (ko) 속청을 기반으로 한 암기학습방법 및 암기학습장치
US20100318346A1 (en) Second language pronunciation and spelling
US10373516B2 (en) Method for facilitating contextu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association
KR100238451B1 (ko)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egel Listening for gist
US201203235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inyin and a dynamic memory state for modifying a hanyu vocabulary test
Tashpolatovna et al. It Related Vocabulary Development and Some Obstacle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 in Technical Universities
KR102031482B1 (ko) 외국어 학습 관리 시스템 및 학습 방법
KR101333946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드로잉기법 기반의 영어 말하기 학습 기구
AU2018229559A1 (en) A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Reading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KR102651631B1 (ko)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
JP2002182554A (ja) 綴り学習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206306B1 (ko) 언어구사원리에 기초한 언어학습시스템 및 언어학습방법
KR20210089425A (ko) 모바일 영어단어 학습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KR20100038049A (ko) 오토 피드백 언어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00103A (ko) 언어 학습기 및 그에 따른 언어 학습 방법
KR20120046131A (ko)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KR20150036954A (ko) 어플을 이용한 받아쓰기 학습 및 채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