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631B1 -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631B1
KR102651631B1 KR1020200114898A KR20200114898A KR102651631B1 KR 102651631 B1 KR102651631 B1 KR 102651631B1 KR 1020200114898 A KR1020200114898 A KR 1020200114898A KR 20200114898 A KR20200114898 A KR 20200114898A KR 102651631 B1 KR102651631 B1 KR 10265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learner
proficiency
korean
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940A (ko
Inventor
남기춘
류재춘
구민모
백연지
조성훈
조성학
이솔빈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6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를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한국어 능숙도 평가 과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제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한국어 능숙도 평가 과제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능숙도 과제부; 및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된 과제에 대한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한국어 능숙도를 평가하는 능숙도 평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ONLINE-BASED KOREAN PROFICIENCY EVALU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를 평가하는 장치로, 특히 한국어의 글자와 소리의 매치를 정확히 학습하였는지를 평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언어 능력은 크게 수용과 인출의 능력으로 평가를 한다. 수용은 듣기와 읽기, 인출은 말하기와 쓰기 능력으로, 일반적으로 언어 학습에서는 수용 능력을 습득하고 인출 능력으로 전이가 된다. 하지만 수용 능력을 완전히 학습하지 않고 인출 훈련을 하게 되면 다음 단계의 학습에서 글자/소리 간 연합에 혼동을 주어 이후의 언어 학습에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특히 한글의 특징은 한 음절에 자음+모음+자음의 구조를 가지며 형태가 비슷하지만 다른 소리와 뜻을 가지는 음소의 조합이 상당히 존재하거나(ex. ㄱ/ㄲ/ㅋ, ㅈ/ㅉ/ㅊ 등), 음절 내 소리가 변할 수 있는 자음(ex. 자음동화 등)이 존재하여, 한국어의 발음 및 구조와는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외국인의 경우 초기 학습이 어려운 언어이다.
본 발명은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를 평가함으로써, 학습자의 수행상태를 진단하고,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은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를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한국어 능숙도 평가 과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제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한국어 능숙도 평가 과제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능숙도 과제부; 및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된 과제에 대한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한국어 능숙도를 평가하는 능숙도 평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구성으로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를 사용한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에 의하면, 제공되는 과제를 통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숙도를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를 위한 능숙도 평가 장치 및 전체적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능숙도 과제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를 통한 한국어 능숙도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메인 화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도 5 및 도 6은 제1 선택 화면 및 제2 선택 화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도 7은 탐지 과제 튜토리얼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도 8은 탐지-초급 난이도의 스테이지 1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도 9는 대치 과제 튜토리얼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도 10은 대치-초급 난이도의 스테이지 2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도 11은 합성 과제 튜토리얼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도 12는 합성-중급 난이도의 스테이지 1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도 13은 탈락 과제 튜토리얼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도 14는 탈락-초급 난이도의 스테이지 1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화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한국어 능숙도를 평가하는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이용자로서, 기존의 한국어 학습 콘텐츠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배운 미취학 아동과 외국인들, 아동 한글 학습 콘텐츠를 기보유한 학습 기업, TOPIK과 같은 한국어 능력 시험 검정 기관과 연구소 등이 있을 수 있다.
기존의 언어 능숙도를 측정하는 테스트는 지필검사 기반으로, 초기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를 평가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특허에서는 4가지의 온라인 과제를 제시하고 과제 진행에 따른 반응시간 및 정오율을 기반으로 한국어 능숙도를 평가하기 때문에, 한국어의 소리/글자 간 연합에 대한 이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언어 발달 중인 아동이나 한국어를 학습하기 시작한 초기 외국인 학습자의 언어 습득에 대한 잠재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 및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를 포함하는, 한국어 능숙도 평가 시스템은 클라이언트(100), 능숙도 평가 장치(200)를 포함하고, 능숙도 평가 장치(200)는 학습자 관리부(210), 학습자 관리 DB(220), 능숙도 과제부(230), 과제 DB(240), 능숙도 평가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100)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의 컴퓨터를 비롯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등 표시 화면을 가짐과 아울러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학습자는 이러한 클라이언트(100)를 통해 능숙도 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학습자 관리부(210)는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입력된 학습자 정보를 학습자 관리 DB(220)에 제공하고, 학습자 관리 DB(220)로부터 확인된 정보를 통해 클라이언트(100)의 로그인을 제어한다. 또한, 학습자 관리부(210)는 클라이언트(100)로부터 가입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자 관리 DB(220)로 전송하여, 학습자 관리 DB(22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학습자 관리 DB(220)에는 학습자들의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비롯한 각종 가입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능숙도 과제부(230)는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입력된 과제, 난이도 및 스테이지 정보를 과제 DB(240)에 제공한다. 상기 능숙도 과제부(230)는 학습자에게 탐지 과제, 대치 과제, 합성 과제, 탈락 과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선택 화면을 제공하고 학습자가 어느 하나의 과제를 선택하면, 선택된 과제의 난이도 및 스테이지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선택 화면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탐지 과제가 선택된 경우, 능숙도 과제부는 탐지 과제의 난이도 및 스테이지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선택 화면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학습자가 제2 선택 화면에 기초하여 난이도 및 스테이지를 선택하면, 능숙도 과제부는 선택된 난이도 및 스테이지에 대응하는 과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탐지 과제의 초급 난이도 중 스테이지 1이 선택된 경우, 능숙도 과제부는 탐지 과제의 초급 난이도 중 스테이지 1에 대응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능숙도 과제부(230)는 초급, 중급, 고급의 난이도와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조음 방식에 따른 분류, 교체 또는 대치, 탈락 또는 생략, 첨가, 축약, 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으로 구성된 스테이지로 과제를 세분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초급 난이도는 제시되는 음성 및 보기로 고빈도의 단어, 1음절 및 1음소를 포함하고 중급 난이도는 제시되는 음성 및 보기로 중빈도의 단어, 2음절 및 2음소를 포함하고 고급 난이도는 제시되는 음성 및 보기로 저빈도의 단어, 3~4음절 및 3~4음소를 포함하여 난이도를 세분화할 수 있고,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와 조음 방식에 따른 분류가 동일한 ㄱ/ㄲ/ㅋ, ㄷ/ㄸ/ㅌ, ㅂ/ㅃ/ㅍ, ㅈ/ㅉ/ㅊ 등으로 구성하거나 비슷한 발화특성으로 구성하여 스테이지를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능숙도 과제부(230)는 선택된 과제, 난이도 및 스테이지에 해당되는 과제가 실행되기 전에 튜토리얼을 제공할 수 있고, 과제 수행 데이터를 측정하고 과제 DB에 저장하며, 하나의 과제가 끝나면 제1 선택 화면 및 제2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가게 할 수 있다.
상기 과제 DB(240)에는 탐지 과제에 대한 정보, 대치 과제에 대한 정보, 합성 과제에 대한 정보, 탈락 과제에 대한 정보, 각 과제 별 과제 수행 데이터, 및 평가 결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능숙도 평가부(250)는 과제 DB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과제에 대한 학습자의 과제 수행 데이터(정오율, 반응시간)에 기초하여 특정 과제에 해당되는 부분에 대한 학습자의 한국어 능숙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과제 DB에 저장한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숙도 과제부(23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능숙도 과제부(230)는 탐지 과제 모듈(231), 대치 과제 모듈(232), 합성 과제 모듈(233), 탈락 과제 모듈(234)을 포함한다.
상기 탐지 과제 모듈(231)은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해당하는 글자를 찾게 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탐지 과제의 초급 스테이지 1은 '굴'을 음성으로 제시하고 '물, 굴, 귤, 굽, 꿀' 중에서 정답을 찾게 할 수 있다.
상기 대치 과제 모듈(232)은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보기에서 해당하는 자음/모음/음절을 찾아 바꾸게 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치 과제의 초급 스테이지 2는 '벼'를 음성으로 제시하고 '혀, ㅁ, ㄴ, ㅊ, ㅂ, ㅇ'을 보기로 제시하며 '혀'를 '벼'로 만드는 자음을 찾게 할 수 있다.
상기 합성 과제 모듈(233)은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보기에서 해당하는 자음/모음/음절을 합하여 목표하는 글자로 바꾸게 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과제의 중급 스테이지 1은 '마음'을 음성으로 제시하고 '마, 머, 모, 음, 옴, 암'을 보기로 제시하며 '마음'을 구성하는 정답을 찾게 할 수 있다.
상기 탈락 과제 모듈(234)은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보기에서 해당하는 자음/모음/음절을 이탈하였을 때 발음되는 글자를 찾게 한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탈락 과제의 쉬움 스테이지 1은 '솜, ㅁ'을 화면에 제시하고 '소, 고, 모, 수, 써'를 음성 보기로 제시하며 음성 보기 중 정답인 '소'를 찾게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200)를 통한 능숙도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14는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200)의 실시 예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한국어 능숙도를 평가받고자 하는 한국어 학습자가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100)를 통해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장치에 접속하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00)의 표시 화면에는 로그인 화면이 표시된다.
학습자가 이미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S10-Yes), 로그인 창에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고(S20), 가입되지 않은 경우(S10-No) 가입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S11).
학습자 관리 모듈(210)은 학습자가 클라이언트(100)를 통해 입력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가 학습자 관리 DB(220)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
이때, 학습자가 입력한 정보와 학습자 관리 DB(220)에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S30-No)에는 가입되어 있는 경우(S10-Yes)로 돌아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받고,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S30-Yes)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00)의 표시 화면에 상기 제1 선택 화면 및 제2 선택 화면을 제공한다(S40).
과제, 난이도 및 스테이지 선택(S40)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선택 화면을 이용하여 과제인 탐지 과제, 대치 과제, 합성 과제, 탈락 과제 중 하나를 선택하고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선택 화면에서 초급, 중급, 고급의 난이도 및 제시된 스테이지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도 7, 9, 11,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과제, 난이도 및 스테이지에 해당되는 과제가 실행되기 전에 과제에 대응하는 튜토리얼이 실행될 수 있다.
한국어 능숙도 과제 수행은 상술한 바와 같이 능숙도 과제부(230)의 탐지 과제 모듈(231), 대치 과제 모듈(232), 합성 과제 모듈(233), 탈락 과제 모듈(234)를 통해 이루어지고, 능숙도 과제부(230)은 수행 도중에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입력된 답과 학습자의 반응시간을 측정하고 이 수행 데이터를 과제 DB(24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한국어 능숙도 평가(S60)는 능숙도 평가부(250)에서 앞서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여 과제 DB(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초급 난이도의 [ㅈ/ㅉ/ㅊ] 구분에 대한 탐지 과제에서 [ㅈ/ㅉ/ㅊ 구분에 대한 정답률은 60%이고 반응시간은 1초(± 0.3)일 때]와 초급 난이도의 [ㄷ/ㄸ/ㅌ의 구분에 대한 정답률은 90%이고 반응시간은 2초(± 0.8)일 때]인 경우에서, 동일한 사용자인 경우 '첫 예시인 ㅈ/ㅉ/ㅊ의 경우는 타 음소(ㄱ/ㄹ/ㅎ… 등)와 해당 음소군(ㅈ/ㅉ/ㅊ)의 구분이 잘되나 해당 음소군 내의 구분이 잘 되지 않고 두 번째 예시인 ㄷ/ㄸ/ㅌ의 경우는 해당 음소군의 구분이 잘 되지 않으나 해당 음소군 내의 구분은 잘함'이라는 평가를 하고, 사용자가 다른 경우 반응시간이 빠른데 정답률이 낮다면 '해당 과제를 주의해서 수행하지 않았거나 글자의 특성을 명확하게 학습 또는 기억하지 못함'이라는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한국어 능숙도 평가 결과에 따른 한국어 능숙도 평가는, 각각의 검사가 종료된 이후 바로 진행될 수도 있고, 모든 검사가 종료된 이후 일괄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학습자가 다른 과제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S70-Yes)에는 앞서 과제를 선택했던 제1 선택 화면(S40)로 돌아가서 다른 과제, 난이도 및 스테이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4가지의 온라인 과제를 기본으로 하여 과제 진행에 따른 반응시간 및 정오율로 언어 능숙도를 평가하기 때문에, 한국어의 소리/글자 간 연합에 대한 이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언어 발달 중인 아동이나 한국어를 학습하기 시작한 초기 외국인(한국어가 모어가 아닌) 학습자의 언어 습득에 대한 잠재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클라이언트 200 : 능숙도 평가 장치
210 : 학습자 관리부 220 : 학습자 관리 DB
230 : 능숙도 과제부 231 : 탐지 과제 모듈
232 : 대치 과제 모듈 233 : 합성 과제 모듈
234 : 탈락 과제 모듈 240 : 과제 DB
250 : 능숙도 평가부

Claims (9)

  1. 복수의 한국어 능숙도 평가 과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제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한국어 능숙도 평가 과제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능숙도 과제부; 및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된 과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정오율 및 각 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반응시간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한국어 능숙도를 평가하는 능숙도 평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능숙도 과제부는 상기 복수의 한국어 능숙도 평가 과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선택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선택 화면에 기초하여 선택된 과제에 대한 난이도 및 스테이지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선택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스테이지는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및 조음 방식에 따른 분류 기준에 따라 세분화되는,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숙도 과제부는 학습자의 과제 수행 데이터를 측정하며 탐지 과제 모듈, 대치 과제 모듈, 합성 과제 모듈, 탈락 과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탐지 과제 모듈은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해당하는 글자를 찾게 하고,
    상기 대치 과제 모듈은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보기에서 해당하는 자음/모음/음절을 찾아 바꾸게 하고,
    상기 합성 과제 모듈은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보기에서 해당하는 자음/모음/음절을 합하여 목표하는 글자로 바꾸게 하고,
    상기 탈락 과제 모듈은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보기에서 해당하는 자음/모음/음절을 이탈하였을 때 발음되는 글자를 찾게 하는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 과제 모듈, 상기 대치 과제 모듈, 상기 합성 과제 모듈의 제시되는 음성은 선택된 과제, 난이도 및 스테이지에 해당하면서 보기 문항 중 정답과 일치하는 음성을 제시하고,
    상기 탈락 과제 모듈의 제시되는 음성은 선택된 난이도 및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보기 및 정답으로 음성을 제시하는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숙도 과제부는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난이도를 구분하고,
    상기 초급 난이도는 제시되는 음성 및 보기로 1음절 및 1음소를 포함하고,
    상기 중급 난이도는 제시되는 음성 및 보기로 2음절 및 2음소를 포함하고,
    상기 고급 난이도는 제시되는 음성 및 보기로 3~4음절 및 3~4음소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숙도 과제부는 선택된 과제, 난이도 및 스테이지에 해당되는 과제가 실행되기 전에 튜토리얼을 제공하는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7. 삭제
  8. 학습자 관리부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장치 내의 학습자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인지 판단하고, 저장된 학습자가 아닌 경우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
    능숙도 과제부에서 상기 한국어 학습자가 상기 학습자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인 경우, 상기 장치 내의 과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한국어 능숙도 평가 과제, 난이도 및 스테이지를 선택하게 하고 해당되는 자료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학습자가 상기 한국어 능숙도 평가 과제를 수행하게 하며, 제공된 과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정오율 및 각 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반응시간 값을 포함하는 수행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및
    능숙도 평가부에서 한국어 능숙도 평가의 상기 정오율 및 상기 반응시간 값에 기초하여 상기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숙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지는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및 조음 방식에 따른 분류 기준에 따라 세분화되는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능숙도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탐지 과제 모듈에서,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해당하는 글자를 찾게 하는 탐지 과제 단계; 대치 과제 모듈에서,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보기에서 해당하는 자음/모음/음절을 찾아 바꾸게 하는 대치 과제 단계; 합성 과제 모듈에서,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보기에서 해당하는 자음/모음/음절을 합하여 목표하는 글자로 바꾸게 하는 합성 과제 단계; 탈락 과제 모듈에서, 제시되는 음성을 듣고 보기에서 해당하는 자음/모음/음절을 이탈하였을 때 발음되는 글자를 찾게 하는 탈락 과제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방법.
KR1020200114898A 2020-09-08 2020-09-08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265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898A KR102651631B1 (ko) 2020-09-08 2020-09-08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898A KR102651631B1 (ko) 2020-09-08 2020-09-08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940A KR20220032940A (ko) 2022-03-15
KR102651631B1 true KR102651631B1 (ko) 2024-03-26

Family

ID=8081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898A KR102651631B1 (ko) 2020-09-08 2020-09-08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629B1 (ko) 2023-07-07 2023-10-25 허원진 평가 문항에 대한 피평가자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한말하기 채점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534B1 (ko) * 2004-03-11 2006-06-08 유승혁 멀티미디어 한글 학습시스템 및 그 한글 학습방법
KR20160023070A (ko) * 2014-08-21 2016-03-03 김성광 다양한 게임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20180060747A (ko) * 2016-11-29 2018-06-07 백재진 퍼즐을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KR102027233B1 (ko) * 2017-07-24 2019-10-01 주식회사 트라이캐치미디어 빅스크린을 통한 학습 및 기능성 게임실행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940A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ssling Phonetics instruction improves learners’ perception of L2 sounds
Fulcher Scoring performance tests
Vančová Current issues in pronunciation teaching to non-native learners of English
WO2000030059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language fluency
Schaetzel et al. Teaching Pronunciation to Adult English Language Learners. CAELA Network Brief.
Foorman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processing: Separate but equal?
Al Abdely et al. Learning English Vowels by Iraqi EFL Learners: Perceived Difficulty versus Actual Performance.
Kennedy et al. Pronunciation acquisition
Kaiser Mobile-assisted pronunciation training: The iPhone pronunciation app project
KR102651631B1 (ko)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
Ren et al. Sensitivity to word endings as probabilistic orthographic cues to lexical stress among English as second language learners
Goss Exploring variation in nonnative Japanese learners’ perception of lexical pitch accent: The roles of processing resources and learning context
KR20190143057A (ko) 한자와 중국어의 병행 학습이 가능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Gottardi et al.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nd text-to-speech technologies for L2 pronunciation improvement: reflections on their affordances
Weil The impact of perceptual dissimilarity on the perception of foreign-accented speech
Porter An early start to French literacy: learning the spoken and written word simultaneously in English primary schools Volume 1 of 2
Li The effects of phonics instruction on L2 phonological decoding and vocabulary learning
Genelza et al.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Decoding Ability of Second Year BSED-English Students in USEP–Tagum Campus
Chen et al. The Effect of Fundamental Frequency on Mandarin Intelligibility by L2 Learners in Quiet and Noise Environments: A Pilot Study
Motohashi-Saigo et al. A relationship between orthographic output and perception in L2 Japanese phonology by L1 English speakers
Dalton et al. Using speech analysis to unmask perceptual bias: Dialect, difference, and tolerance
Medina González et al. Assistive design for English phonetic tools (ADEPT) in language learning
Pennington et al. Assessing Pronunciation
Bouchair et al. The place of pronunciation in the competency-based English curricula at the Algerian middle and secondary school level.
Dressler Inter-and intra-language influences on the English spelling development of fifth-grade, Spanish-speak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