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191B1 -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191B1
KR101303191B1 KR1020130016138A KR20130016138A KR101303191B1 KR 101303191 B1 KR101303191 B1 KR 101303191B1 KR 1020130016138 A KR1020130016138 A KR 1020130016138A KR 20130016138 A KR20130016138 A KR 20130016138A KR 101303191 B1 KR101303191 B1 KR 101303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touch screen
words
database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현
Original Assignee
임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현 filed Critical 임상현
Priority to KR102013001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어 및 그 단어와 연관된 영상을 먼저 디스플레이하여 연상에 의해 단어와 영상을 매칭시키고, 이후 단어의 뜻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쉽게 단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나의 단어 학습 후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필기체 단어를 인식하여 올바르게 학습하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othod for learning words}
본 발명은 단어를 학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어 및 그와 연상된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패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필기체 단어를 인식하여 올바른 철자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많은 학습 도구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단어를 암기하기 위한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단어학습을 위한 장치로서, 등록특허 제10-0330552호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조건에 맞는 다수의 단어를 검색하고, 단어를 먼저 디스플레이 한 다음 선정된 시간 경과후에 단어의 뜻을 디스플레이하며, 이러한 과정을 검색된 다수의 단어가 모두 표시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단어를 보고 단어의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기다린 다음에야 비로소 뜻을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단어학습장치를 통해 검색된 단어를 일방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학습의 진도를 나갈 수 있으나, 단순히 문자로만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내용만으로는 학습자가 쉽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어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또한 학습자가 단어 학습을 적극적으로 행하는지를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단어와 뜻이 모두 문자로 되어 있어서 단어와 뜻을 쉽게 매칭하여 연상하기가 힘들고, 또한 학습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단어와 뜻을 단순히 바라보고만 있을 수 있어 올바르게 단어학습을 하고 있는지를 즉각 확인할 수 없으며, 또한 소극적 학습에 의한 학습 효과의 증대를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단어 및 그 단어와 연관된 영상을 먼저 디스플레이하여 연상에 의해 단어와 영상을 매칭시키고, 이후 단어의 뜻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쉽게 단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나의 단어 학습 후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필기체 단어를 인식하여 올바르게 학습하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어 학습 장치는,
영상이 포함된 단어를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필기체 정보 및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
학습자로부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검색 조건에 따른 다수의 단어를 검색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영상이 포함된 단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하나의 단어를 디스플레이 한 다음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필기체 정보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단어와의 철자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며, 그 일치 여부를 터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
필기체 인식을 위한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세서가 운용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복수의 영상이 포함된 단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어 학습 방법은,
학습자로부터 단어의 검색 조건이 입력되면, 그 조건에 만족하는 영상이 포함된 단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단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과정;
단어를 디스플레이 한 다음 제1 표시시간 경과되면, 단어의 뜻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들여 디스플레이 하는 제2과정;
단어의 뜻을 디스플레이 한 다음 제2 표시시간이 경과되면, 단어입력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 한 다음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3과정;
상기 제3과정에 의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이 있으면, 이를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된 단어와 인식된 단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설정횟수동안 반복하여 일치하게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에 의해 설정횟수 반복하여 입력한 경우에 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후 제1과정에 의해 검색된 다음 단어의 존재여부에 따라 그 다음 단어로 상기 제2과정부터 반복 수행하거나 또는 종료하는 제5과정;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단어와 그 연관되는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연상에 의한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학습자로부터 필기체 단어를 입력받아 올바를 철자인지도 판단함으로써 적극적인 학습에 의해 이 또한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어 학습 장치를 보인 도.
도2는 학습기의 내부 회로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도4는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예를 보인 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어 학습 장치를 보인 도로서, 터치스크린(110)과 터치펜(111)이 구비된 학습기(100)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기(100)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터치스크린(110)과, 단어 및 그와 연관된 영상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40)와, 본 발명의 운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부(130)와, 운용 프로그램에 의해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프로세서(120)와,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10)은 출력 및 입력장치로서, 터치펜(111)을 이용하여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필기체 단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통신부(150)는 유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블루투스나 직비 등의 근거리 통신장치일 수 있다.
학습자는 먼저 자신이 학습할 단어에 대한 검색조건을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입력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상태, 상황, 학년별, 알파벳 순서 등의 검색조건을 입력하거나 또는 랜덤한 조건으로 단어를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단어 검색 기술은 공지의 전자사전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이미 언급된 검색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단어 검색을 위해 프로세서(120)는 단어검색창에 대한 화면을 터치스크린(110)에 구현하게 되며,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검색 조건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단어 중 검색 조건에 맞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어들을 검색하게 된다.
검색된 단어에는 단어의 의미를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 및 뜻이 포함되어 있게 되며, 첫번째 단어와 영상을 도4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에 제1 표시시간(3 ~ 5초 정도) 동안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단어와 영상을 연관시켜 쉽고 정확히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제1 표시시간이 경과되면, 프로세서(120)는 그에 대한 뜻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읽어들여 제2표시시간(7 ~ 10초 정도) 동안 디스플레이하며, 이후 단어입력 안내정보를 터치스크린(110)에 표시한다.
예를들면, "터치펜으로 표시된 단어를 따라 쓰세요"라는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 한 다음 프로세서(120)는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입력되는 학습자의 필기체 단어를 인식하게 되는데, 이러한 필기체 인식기술은 현재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이미 많이 구현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한다.
프로세서(120)에 의한 필기체 인식 결과 디스플레이된 단어와 철자가 일치하면,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학습자에 의해 반복횟수(예를들면 10회 반복)가 정해진 경우에는 터치스크린(110)에 반복횟수만큼의 단어입력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면서 필기체 인식과정, 디스플레이된 단어와 입력단어의 일치여부 판단 과정을 반복수행하게 되고, 그 정확하게 기재하여 입력한 횟수를 누적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게 된다.
즉, 학습자로 하여금 여러번 단어를 정확히 직접 쓰도록 하여 능동적인 학습에 의한 학습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된 단어와 인식된 단어가 서로 상이하거나 철자가 다르다면, 기 디스플레이된 단어를 제2표시시간 동안 다시 한번 디스플레이 하여 다시 정확히 입력되도록 하며, 이때는 반복 횟수를 누적하지 않는다.
이렇게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입력횟수에 대한 정보는 올바르게 단어를 학습하였는지에 대한 판단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이후 검색된 다음 단어가 있는 경우에 그 단어 및 그와 연관된 영상을 터치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의 과정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1에서와 같이 학습기(100)와 컴퓨터(200)는 케이블(300)이나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동시킨 경우에는 학습기(100)를 단지 필기체 단어 입력장치로서 활용하고, 컴퓨터(200)에 본 발명의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가 탑재되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학습기 110 : 터치스크린
111 : 터치펜 120 : 프로세서
130 : 프로그램 저장부 140 : 데이터베이스
150 : 통신부 200 : 컴퓨터
300 : 케이블

Claims (2)

  1. 삭제
  2. 터치스크린에 의해 학습자로부터 단어의 검색 조건이 입력되면, 프로세서는 그 조건에 만족하는 영상이 포함된 단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단어를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과정;
    프로세서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단어를 디스플레이 한 다음 제1 표시시간 경과되면, 단어의 뜻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들여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2과정;
    단어의 뜻을 디스플레이 한 다음 제2 표시시간이 경과되면, 프로세서가 단어입력 안내정보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 한 다음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터치펜에 의해 필기체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3과정;
    상기 제3과정에 의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필기체를 프로세서가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된 단어와 인식된 단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반복횟수가 정해졌는가를 판단하는 제4과정;
    반복횟수가 정해졌으면 프로세서가 그 반복횟수 동안 상기 제3과정 및 제4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디스플레이된 단어와 인식된 단어의 일치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는 제5과정;
    디스플레이된 단어와 인식된 단어가 서로 상이하거나 철자가 다르다면, 프로세서가 기 디스플레이된 단어를 제2 표시시간 동안 다시 한번 디스플레이 하여 상기 제3과정부터 재차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반복 횟수를 누적하지 않는 제6과정;
    설정된 반복횟수동안 디스플레이된 단어와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어 인식된 단어가 설정된 반복횟수와 일치하게 입력되면,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후 제1과정에 의해 검색된 다음 단어의 존재여부에 따라 그 다음 단어로 상기 제2과정부터 반복 수행하거나 또는 종료하는 제7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KR1020130016138A 2013-02-15 2013-02-15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130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138A KR101303191B1 (ko) 2013-02-15 2013-02-15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138A KR101303191B1 (ko) 2013-02-15 2013-02-15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191B1 true KR101303191B1 (ko) 2013-09-09

Family

ID=4945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138A KR101303191B1 (ko) 2013-02-15 2013-02-15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1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335A (ko) * 2007-10-15 2009-04-20 박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54951A (ko) * 2008-10-06 2009-06-01 박규일 주니어용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KR20120015149A (ko)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펀진 학습기 및 학습기의 동작 방법
KR101210432B1 (ko) * 2011-07-14 2012-12-10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단어 학습을 위한 전자학습장치 및 학습컨텐츠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335A (ko) * 2007-10-15 2009-04-20 박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54951A (ko) * 2008-10-06 2009-06-01 박규일 주니어용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KR20120015149A (ko)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펀진 학습기 및 학습기의 동작 방법
KR101210432B1 (ko) * 2011-07-14 2012-12-10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단어 학습을 위한 전자학습장치 및 학습컨텐츠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1663A1 (en) Image recognition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01148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netically annotating text
KR101825154B1 (ko) 중첩 쓰기 핸드라이팅 입력방법
CN111475627B (zh) 解答推导题目的检查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8562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electronic device, medium and product
CN105869640A (zh) 识别针对当前页面中的实体的语音控制指令的方法和装置
CN104915420B (zh) 知识库数据处理方法及系统
CN112115736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作业批改方法、系统和智能终端
JP6197706B2 (ja) 電子機器、問題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610901B (zh) 一种基于ai视觉下的英语课文辅助教学方法及系统
CN105930486A (zh) 大数据的快速搜索方法及装置
CN104794485A (zh) 一种识别书写字的方法及装置
CN111880668A (zh) 输入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3744971A (zh) 一种主动推送信息的方法和设备
CN111542817A (zh) 信息处理装置、视频检索方法、生成方法及程序
CN113220854A (zh) 机器阅读理解的智能对话方法及装置
KR101303191B1 (ko)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US10133920B2 (en) OCR through voice recognition
CN116881412A (zh) 汉字多维信息匹配训练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090054951A (ko) 주니어용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CN113836377A (zh) 信息关联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798033A (zh) 基于手势识别钢琴训练方法、系统、设备以及存储介质
US2017024284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xtracting content items from content
US20160225285A1 (en) Spanish Language Teaching Systems and Methods
CN110956962A (zh) 车载机器人的答复信息确定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