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154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154A
KR20100038154A KR1020090093704A KR20090093704A KR20100038154A KR 20100038154 A KR20100038154 A KR 20100038154A KR 1020090093704 A KR1020090093704 A KR 1020090093704A KR 20090093704 A KR20090093704 A KR 20090093704A KR 20100038154 A KR20100038154 A KR 20100038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ns
lens unit
camera module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야 모리타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은 상기 촬영 렌즈를 수납하는 렌즈 유닛 및 촬상 소자를 수납하는 소자 유닛을 갖는다. 촬상 소자의 화상면이 촬영 렌즈의 광축에 직교하도록 위치 조정되어 소자 유닛과 렌즈 유닛을 고정한다. 렌즈 유닛에는 상면 및 저면의 각각에 홀딩 지그로 유지되는 한 쌍의 피유지 부재가 설치된다. 각 피유지 부재는 삼각형 단면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렌즈 유닛의 후방을 향해 경사진 저면을 갖는다. 각 피유지 부재의 내부에는 촬상 소자에 대한 렌즈 유닛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할 시에, 핀 지그가 수용되는 위치 결정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촬상 소자(image sensor)를 수납하는 소자 유닛 및 촬영 렌즈(taking lens)를 수납하는 렌즈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촬영 렌즈를 수납하는 렌즈 유닛 및 CCD 또는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수납하는 소자 유닛의 통합이다. 전형적인 카메라 모듈은 휴대전화 및 도어폰의 케이스내에 맞도록 소형화되어 있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일반적으로 1-2백만 픽셀 이하의 저해상도 촬상 소자를 구비하였다. 큰 개구율을 가지면, 상기 저해상도 촬상 소자는 상기 촬영 렌즈와 촬상 소자간의 정밀한 위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픽셀수에 상당하는 해상도를 지닌 화상을 생성한다.
한편, 현재의 카메라 모듈은 일반적인 디지탈 카메라와 같이 다수의 픽셀을 사용하고, 3~5백만 픽셀 이하의 고해상도 촬상 소자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고해상도 촬상 소자는 작은 개구율을 갖고, 상기 촬영 렌즈와 촬상 소자간의 정밀한 위치 조정을 필요로 하여 픽셀수에 상당하는 해상도로 화상을 생성한다.
종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이 두개의 홀딩 메카니즘에 의해서 유지되고, 이동되어 고정되는 소자 유닛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조건에 있어서, 렌즈 유닛을 통하여 테스트 차트가 촬상 소자로 촬상된다. 이어서, 상기 촬상이 소정 해상도가 될 때까지 상기 렌즈 유닛의 배치(또는 위치)가 변경되고, UV 경화 수지에 의해 상기 렌즈 유닛은 상기 소자 유닛과 연결된다(일본특허공개 2005-198103호 참조).
상기 렌즈 유닛 및 센스 유닛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이들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기준면으로서 위치 결정 부재가 설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한면이 약 10밀리미터인 작은 입방체이다. 따라서, 공간 제한 때문에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유닛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조립 후에 품질 검사에서 지그로 유지하기 위해서 피유지 부재(held member)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에 대해서 SMIA(Standard Mobile Imaging Architecture)라 불리는 규격이 있다. 상기 SMIA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사이의 접속을 규정한다. 종래의 SMIA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그 후면(또는 상기 소자 유닛의 후면)에 단자군을 갖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로부터 광을 도입하기 위하여 그 전면(또는 상기 렌즈 유닛의 전면)에 촬영창을 갖는다.
최근,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 모듈이 더욱 소형화가 되면, 상기 촬영창 및 상기 단자군은 상기 모듈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 유닛 및 상기 소자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 결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곤란하다.
상기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로 인하여 공간 제한에도 불구하고 위치 결정 부재를 위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촬영 렌즈를 수납하는 렌즈 유닛 및 촬상 소자를 수납하는 소자 유닛을 갖고, 피유지 부재 및 위치 결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피유지 부재는 상기 렌즈 유닛 및 소자 유닛의 상면 및 저면에 또는 양측면에 한쌍이 설치된다. 이들 피유지 부재는 카메라 모듈이 검사될 시 홀딩 지그에 의해서 유지된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피유지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유닛 및 소자 유닛의 상대적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사각형 상자이다. 상기 피유지 부재는 삼각형 단면의 오목부이고, 상기 촬상 소자를 향하여 경사진 저면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촬영 렌즈의 광축에 수직으로 연장된 위치 결정 구멍이다.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은 상기 렌즈 유닛과 소자 유닛이 함께 연결될 시 상기 렌즈 유닛을 유지하기 위한 핀 지그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위치 결정면 및 위치 결정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 결정면은 상기 피유지 부재의 저면내에 형성되고, 상기 촬영 렌즈의 광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은 상기 위치 결정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축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은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소자 유닛이 함께 연결될 시 상기 위치 결정면과 접촉하기 위해서 어깨부를 갖는 핀 지그를 수용하여 상기 렌즈 유닛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 또는 저부에 또는 양측면에 형성된 피유지 부재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로 인한 공간 제한에도 불구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위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휴대전화기 및 이러한 장치에 설치하기 위해 설계된 약 6~10mm의 입방형을 갖는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촬영 렌즈를 노출하기 위해 전면에 촬영창(12) 및 상면 및 저면에 각각 위치 결정 부재(13)를 갖는 한쌍의 피유지 부재(수용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상면에 조립기의 프로브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15)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5)는 조립 후 플레이트(16)에 의해 커버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소자 유닛(20) 및 렌즈 유닛(21)을 포함한다. 상기 소자 유닛(20)은 화상면이 화상 광축(23)(촬영 렌즈(11)의 광축)에 수직이 되는 방법으로 위치 조정된 후, 상기 렌즈 유닛(21)에 고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선, 상기 소자 유닛(20) 및 상기 렌즈 유닛(21)의 2개의 결합면(20a, 21a)이 상기 소자 유닛(20)의 측면 상의 접착제 수용기(수용 구)(22)로 자외선(UV) 경화 수지를 도포한 후 UV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연결된다.
각각의 접착제 수용기(22)는 상기 소자 유닛(20)의 결합면(20a) 상에 일부분 개방된 오목부이다. 상기 접착제 수용기(22)는 화상 광축(23)을 가로질러 상면의 어느 끝부 및 우측면 상에도 위치된다.
상기 렌즈 유닛(21)의 결합면(21a) 상에 플렉시블 기판(24)의 단자군(25)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소자 유닛(20)의 결합면(20a) 상에는 접점군(27)을 지닌 커트 아웃(cutout)(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 유닛(21)과 상기 소자 유닛(20)이 연결되면, 도전성 접착제 등에 의해서 상기 단자군(25)이 상기 접점군(2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자 유닛(20)은 하우징(32)에 IR 커트 필터(30) 및 촬상 소자(18)를 갖는다. 상기 IR 커트 필터(30)는 상기 하우징(32) 상의 노광 개구(33)를 커버한다. 상기 촬상 소자(18)는 상기 IR커트 필터(30) 배후에 위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자 유닛(20)의 후면 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35)로 이루어지는 후면 단자군(36)이 노출되어 있고, 이것은 휴대 전화기 또는 이러한 장치의 접점에 접속가능하다. 상기 후면 단자군(36)의 일부는 도전성 소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기 촬상 소자(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후면 단자군(36)의 나머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24)을 통하여 상기 렌즈 유닛(21)의 렌즈 위치 검출기(29) 및 렌즈 구동 시스템(28)에 접속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렌즈 유닛(21)은 렌즈 커버(40), 렌즈 홀더(41) 및 지지 블록(42)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커버(40)는 상기 촬영창(12)과 노광 개구(33) 사이에 연장된 피사제 광로를 둘러싼다. 상기 렌즈 커버(40)는 복수의 탄성이 있는 로킹 클로(locking claw)(도시하지 않음)를 가져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지지 블록(42)을 부착한다.
상기 렌즈 홀더(41)는 상기 촬영 렌즈(11)를 유지하고, 상기 렌즈 커버(40) 내에 수용된다. 상기 지지 블록(42)은 상기 피사체광을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45)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 블록(42)은 로드(43), 가이드축(44) 및 플렉스블 기판(24)을 갖는다. 또한, 한쌍의 피유지 부재(14)가 상기 상면 및 저면에 각각 설치된다. 이들 피유지 부재(14)는 품질 검사 공정에 있어서, 모듈 유지 장치에 의해 파지된다.
상기 렌즈 홀더(41)는 제 1 및 제 2 베어링 암(46, 47)을 갖는다. 상기 제 1 베어링 암(46)은 임의의 마찰력으로 로드(43)에 맞물려진다. 상기 로드(43)는 상기 화상 광축(23)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2 베어링 암(47)은 상기 로드(43)와 평행하게 연장된 가이드 축(44)에 맞물려지고, 상기 렌즈 홀더(41)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렌즈 구동 시스템(28)은 로드(43), 피에조 소자(48) 및 지지대(50)로 이루어진다. 압전판의 적층인 상기 피에조 소자(48)는 상기 지지대(50)에 대하여 신축 방향으로 한 끝 및 상기 로드(43)에 다른 끝이 부착되어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의 톱니형 펄스의 인가시, 상기 피에조 소자(48)는 신축되고 수축되어 축방향으로 상기 로드(43)를 진동시킨다. 상기 진동은 포커싱을 위해 상기 화상 광축(23)을 따라서 상기 렌즈 홀더(41)를 이동시킨다. 상기 지지대(50)는 상기 지지 블록(42)의 전면에 부착된다.
상기 렌즈 위치 검출기(29)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24)의 선단에 홀(Hall) 소자(52) 및 상기 홀 소자(52)를 대면하도록 상기 렌즈 홀더(41)에 배치된 Nd(네오디뮴) 자석(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 소자(52)는 상기 렌즈 홀더(41)의 통로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홀 소자(52)는 자기저항의 변화를 검출하여 Nb 자석(53), 즉, 렌즈 홀더(41)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싱 조작 도안에 상기 촬영 렌즈(11)의 위치가 제어된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24) 상에 복수의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군(55)이 설치된다. 상기 접점군(55)은 상기 렌즈 커버(40)가 상기 지지 블록(42)에 부착될 시, 상기 개구부(15)로부터 노출된다. 후술의 위치 조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접점군(55)은 프로브에 접속된다. 이들 프로브는 상기 접점군(55)에 의하여 상기 촬영 렌즈(11)의 이동을 위해 구동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로부터 렌즈 위치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렌즈 유닛(21)은 각각의 상기 피유지 부재(14)에 위치 결정 부재(13)를 갖는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위치 결정면(66) 및 위치 결정 구멍(6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결정면(66)은 상기 화상 광축(23)과 평행하다. 상기 위치 결정 구멍(67)은 상기 위치 결정면(66) 내에 임의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화상 광축(23)과 수직이다. 이들 위치 결정면(66) 및 위치 결정 구멍(67)은 상기 위치 조정 공정에서의 기준면으로서 작동하여 상기 소자 유닛(20)에 대하여 상기 렌즈 유 닛(21)의 위치 및 각도를 모두 정밀하게 조정한다. 이것에 대해서, 탈형을 용이하게 하도록 외부면(14a)(상면 및 저면을 포함)이 모두 경사져 있다. 따라서 기준면으로서 상기 외부면(14a)이 사용될 수 없다.
한쌍의 커트 아웃(68)(도 2 참조)이 상기 소자 유닛(20)의 각각의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된다. 위치 조정 공정 동안에 이들 커트 아웃(68)의 사용에 의해 상기 소자 유닛(20)이 유지된다.
상기 위치 조정 공정 후에 고정 공정이 따른다. 상기 고정 공정은 상기 접착제 수용기(22)에 UV 경화성 접착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개시된다. 이어서, UV선이 조사되어 상기 소자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21)을 모두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24)의 단자군(25)이 상기 소자 유닛(20)의 접점군(27)에 접속되고, 최후에 상기 개구부(15)가 상기 플레이트(16)로 닫힌다. 상기 조립된 카메라 모듈(10)은 품질 검사 공정의 라인으로 송부된다.
상기 품질 검사 공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되고, 상기 후면 단자군(36)에 의해서 외부로 형성된 신호 및 전원 공급이 구동되고, 이어서 그것의 조작 및 화질에 대하여 검사된다.
상기 품질 검사 공정은 상기 카메라 모듈(10)을 유지하는 모듈 유지 장치(100)(도 13 참조)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상기 모듈 유지 장치(100)는 복수의 탄성이 있는 로킹 클로(홀딩 지그)를 가져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피유지 부재(14)와 맞물린다. 상기 피유지 부재(14)는 상기 로킹 클로(101)의 형태와 상응하는 삼각형 단면의 오목부이다. 상기 피유지 부재(14)는 화상면을 향해 경사지는 저 면(61) 및 상기 저면(61)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는 인게이징된 면(engaged face)(1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게이징된 면(14b)은 상기 로킹 클로(101)가 상기 피유지 부재(14)와 맞물릴 시, 상기 로킹 클로(101)의 인게이징된 면(101a)과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인게이징된 면(14b)은 피사체 또는 화상면을 향해서 약간 경사져도 좋고, 여전히 유효하다.
이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조립 절차가 설명된다. 상기 소자 유닛(20) 및 상기 렌즈 유닛(21)이 개별적으로 제작되고, 위치 조정 라인으로 송부된다. 상기 위치 조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소자 유닛(20) 및 상기 렌즈 유닛(21)은 조립기(60)에서 세팅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립기(60)는 차트 유닛(70), 집광 렌즈(71), 상기 렌즈 유닛(21)을 유지하는 렌즈 유지 장치(72), 상기 소자 유닛(20)을 유지하는 소자 유지 장치(73), 수지 주입기(74), UV선 조사기(75) 및 이들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76)를 포함한다.
상기 차트 유닛(70)은 테스트 차트(77) 및 후면으로부터 상기 테스트 차트(77)를 조명하도록 평행 광을 발광하는 광원(7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테스트 차트(77), 예컨대, 플라스틱 광확산기 패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광 렌즈(71)는 상기 차트 유닛(70)으로부터 광을 집광하여 상기 렌즈 유닛(21)에 안내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렌즈 유지 장치(72)는 복수의 위치 결정 로드(81)가 구비된 상부 지지판(79) 및 하부 지지판(80)을 갖는다. 상기 하부 지지판(80)은 고정되어 있고, 위치 결정 로드(81)는 상면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있다. 각각의 위치 결정 로드(81)는 선단에 소구경의 위치 결정핀(핀 지그)(82)을 갖 는다. 상기 위치 결정핀(81)은 상기 렌즈 유닛(21)의 저면에 위치 결정 구멍(67)으로 들어간다. 이 때, 상기 위치 결정 로드(81)의 어깨부(83)가 상기 위치 결정면(66)과 접촉된다.
상기 상부 지지판(79)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렌즈 유닛(21)이 상기 하부 지지판(80)에 세팅되면 하강한다. 상기 상부 지지판(79)이 상기 렌즈 유닛(21)에 접근할 시, 상기 상부 지지판(79)의 위치 결정핀(82)이 상기 렌즈 유닛의 상면의 한쌍의 위치 결정 구멍(67)으로 들어가고, 상기 어깨부(83)는 상기 위치 결정면(66)과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렌즈 유닛(21)은 3차원 공간에서의 기준 위치 및 각도로서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렌즈 유닛(21)이 상기 테스트 차트(77)의 중심(85)으로 화상 광축(23)을 정렬시키되록 위치 결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판(79)은 복수의 프로브(84a)로 이루어지는 프로브군(84)을 갖는다. 상기 상부 지지판(79)이 하강하면, 각각의 프로브(84a)는 개구부(15)로 들어가서 검사를 위하여 플렉시블 기판(24)의 접점군(55)을 접촉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자 유지 장치(73)는 상부 리프팅 판(90), 하부 리프팅 판(91), 이동 메카니즘(96), 프로브 유닛(94) 및 경사 메카니즘(95)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부 및 하부 리프팅 판(90, 91)은 2개의 탄성이 있는 인게이징 클로(engaging claw)(92)를 갖는다. 상기 맞물립 클로(92)는 후면으로서 소자 유닛(20)이 접근되고, 4개의 커트 아웃(68)과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상기 소자 유지 장치(73)에 의해서 상기 소자 유닛(20)이 유지된다. 상기 이동 메카니즘(96)은 상기 화상 광축(23)을 따라서 상기 소자 유닛(20)을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소자 유닛(20)은 상기 렌즈 유닛(21)과 접촉된 접점 위치와 상기 렌즈 유닛(2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상기 프로브 유닛(94)은 검사를 위하여 소자 유닛(20)의 후면 단자군(36)과 접속되도록 복수의 프로브(93)를 갖는다. 각각의 프로브(93)는 상기 화상 광축(23)을 따라서 약간 이동할 수 있는 팁을 갖고 상기 팁은 스프링에 의해 푸싱된다.
상기 경사 메카니즘(95)은 상기 렌즈 유닛(21)에 대하여 상기 소자 유닛(20)의 각도를 변경한다. 특히, 상기 경사 메카니즘(95)은 상기 촬상 소자(18)의 화상면이 상기 화상 광축(23)과 직교로 될 때까지 수직 및 수평으로 상기 소자 유닛(20)을 변경한다.
상기 제어기(76)는 접점 위치에 상기 소자 유닛(20)을 세팅하도록 상기 이동 메카니즘(96)을 구동시키고, 인포커스 위치(상기 테스트 차트(77)까지의 거리에 따른 포커싱 위치)로 상기 렌즈 유닛(21)의 촬영 렌즈(11)를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이동 메카니즘(96)에 의해서 상기 제어기(76)는 떨어진 위치까지 단계적으로 상기 소자 유닛(20)을 이동시키고, 상기 소자 유닛(20)이 소정 거리로 이동할 때마다 상기 촬상 소자(18)로 상기 테스트 차트(77)를 촬상한다. 미리 결정된 해상도로 화상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기(76)는 최적 자세(상기 렌즈 유닛(21)으로부터의 거리 및 그 위치에서의 각도)를 산출하다. 최종적으로 산출된 자세로 상기 소자 유닛(20)을 세팅함으로서, 상기 소자 유닛(20) 및 상기 렌즈 유닛(21)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제어기(76)가 상기 경사 메카니즘(95)을 구동한다.
이어서, 상기 고정 방법이 행해진다. 상기 고정 공정에 있어서, 도 12에 나 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76)는 위치된 소자 유닛(20)을 유지하고, 상기 수지 주입기(74)를 구동하여 상기 소자 유닛(20)의 접착제 수용기(22)로 UV 경화성 접착 수지(87)를 도포한다. 이어서, 상기 UV선 조사기(75)는 상기 UV 경화성 접착 수지(86)를 경화시키는 UV선을 조사하도록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소자 유닛(20) 및 상기 렌즈 유닛(21)이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최후로 상기 플렉시블 기판(24) 상의 단자군(25)의 각각의 단자와 상기 소자 유닛(20) 상의 접점군(27)의 각각의 접점 사이에 도전성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소자 유닛(20) 및 상기 렌즈 유닛(2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완성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품질 검사 라인으로 송부된다.
도 13 및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품질 검사 공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모듈 유지 장치(100)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검사를 위해 상기 모듈 유지 장치(100)는 상기 피유지 부재(14)를 부착하도록 4개의 로킹 클로(101) 및 상기 후면 단자군(36)을 접촉하도록 복수의 프로브(10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102)는 상기 화상 광축(23)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고, 스프링에 의해서 푸싱된다. 상기 소자 유지 장치(73)와 동일하게 상기 모듈 유지 장치(100)는 차트 유닛, 집광 렌즈 및 이들 구성 요소의 제어기를 갖는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상기 모듈 유지 장치(100)에 세팅되면, 상기 로킹 클로(101)가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후면에 대하여 가압되고 탄성 변형되어 상기 피유지 부재(14)와 맞물린다. 이 때, 상기 프로브(102)는 상기 후면의 단자(35)를 접촉한다. 상기 모듈 유지 장치(100)의 제어기는 임의의 위치로 상기 촬영 렌즈(11)를 이동시키고, 상기 촬상 소자(18)로 상기 테스트 차트를 촬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8)로부터의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촬상된 화상의 해상도가 검사된다.
상기 품질 검사 공정 후, 상기 개구부(15)는 상기 판(16)으로 커버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출하 준비된다.
상기 렌즈 유닛(21)에 대하여 상기 소자 유닛(2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 대신에, 상기 렌즈 유닛(21)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 결정 부재(13) 및 상기 피유지 부재(14)가 상기 소자 유닛(20)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군(84)은 상기 렌즈 유닛(21)이 경사질 때, 경사져야 한다.
상기 위치 결정 부재(13) 및 상기 피유지 부재(14)가 상기 렌즈 유닛(21)의 상면 및 하면에 한쌍으로 위치되지만, 이들은 우측면 및 좌측면에 위치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21)에 삼각형 단면을 갖는 피유지 부재(14)가 형성되지만,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저면(61)만이 상기 렌즈 유닛(21)에 형성되어도 좋고, 상기 인게이징된 면으로서 상기 소자 유닛(20)의 전면(20b)의 일부가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위치 결정 부재(13)가 상기 위치 결정면(66) 및 상기 위치 결정 구멍(67)을 갖지만, 상기 위치 결정면(66)이 필수인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위치 결정 구멍(67)이 깊게 되어 상기 위치 결정면으로서 그 저면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충분히 설명되지만, 각종 변형 및 변조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변형 및 변조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다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이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판독될 때,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카메라 모듈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4는 소자 유닛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렌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피유지 부재의 위치에서 광축을 따라 절단시의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모듈 유지 장치의 로킹 클로 및 피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조립기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9는 조립기의 렌즈 유지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10은 광축을 따라 절단시의 상기 렌즈 유지 장치의 렌즈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조립기의 소자 유지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12는 광축을 따라 절단시의 접착 공정에서의 렌즈 유닛 및 소자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품질 검사 공정에서의 모듈 유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광축을 따라 절단시의 모듈 유지 장치의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피유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Claims (5)

  1. 촬영 렌즈를 수납하는 렌즈 유닛과 상기 촬영 렌즈를 통하여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를 수납하는 소자 유닛을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렌즈 유닛 및 상기 소자 유닛 중 하나의 상면 및 저면 또는 양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을 검사시에 홀딩 지그에 의해 유지되는 한쌍의 피유지 부재;
    각각의 상기 피유지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유닛 및 상기 소자 유닛의 상대적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위치 결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사각형 상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유지 부재는 삼각형 단면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 소자를 향하여 경사진 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촬영 렌즈의 광축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소자 유닛을 연결시에 상기 렌즈 유닛을 유지하는 핀 지그를 수용하는 위치 결정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저면내에 형성되고, 상기 촬영 렌즈의 광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위치 결정면; 및
    상기 위치 결정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축에 수직으로 연장된 위치 결정 구멍으로서, 상기 위치 결정면과 접촉하도록 어깨부를 가져서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소자 유닛의 연결시에 상기 렌즈 유닛을 유지하는 핀 지그를 수용하는 위치 결정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90093704A 2008-10-03 2009-10-01 카메라 모듈 KR201000381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58134 2008-10-03
JP2008258134A JP2010088088A (ja) 2008-10-03 2008-10-03 カメラ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154A true KR20100038154A (ko) 2010-04-13

Family

ID=4207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704A KR20100038154A (ko) 2008-10-03 2009-10-01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085474A1 (ko)
JP (1) JP2010088088A (ko)
KR (1) KR20100038154A (ko)
CN (1) CN101715062A (ko)
TW (1) TW2010159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061A (ko) * 2015-11-09 2017-05-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136348B1 (ko) * 2019-02-22 2020-07-23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92130C (zh) * 2007-02-28 2010-0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的对位组装系统及对位组装方法
US8525925B2 (en) * 2008-12-29 2013-09-03 Red.Com, Inc. Modular digital camera
US8525924B2 (en) 2008-12-29 2013-09-03 Red.Com, Inc. Modular motion camera
CN102314050B (zh) * 2010-06-29 2015-02-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JP5703899B2 (ja) * 2010-12-28 2015-04-22 株式会社リコー 測距装置
DE102011005629A1 (de) 2011-03-16 2012-09-20 Robert Bosch Gmbh Bildsensor-Modu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US9009952B2 (en) * 2011-08-29 2015-04-21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Apparatus for assembling a lens module and an image sensor to form a camera module,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1089247B2 (en) 2012-05-31 2021-08-1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 for reducing fixed pattern noise in image data
KR101406016B1 (ko) * 2013-01-11 2014-06-11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 모듈
US9681028B2 (en) 2013-03-15 2017-06-13 Red.Com, Inc. Digital camera with wireless connectivity
KR101504005B1 (ko) * 2013-06-05 201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WO2015016042A1 (ja) 2013-07-30 2015-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WO2015016009A1 (ja) * 2013-07-30 2015-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WO2015015986A1 (ja) * 2013-08-01 2015-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WO2015015999A1 (ja) * 2013-08-01 2015-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WO2015016002A1 (ja) * 2013-08-01 2015-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WO2015016043A1 (ja) * 2013-08-01 2015-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WO2015060188A1 (ja) * 2013-10-22 2015-04-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
JP5961770B2 (ja) 2014-01-09 2016-08-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5990655B2 (ja) * 2014-01-09 2016-09-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電子機器
WO2015153787A1 (en) 2014-04-04 2015-10-08 Red.Com, Inc. Broadcast module for a digital camera
WO2016009558A1 (ja) * 2014-07-18 2016-01-2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撮像装置
EP4145205A1 (en) * 2014-08-07 2023-03-08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1534795S (ko) * 2014-10-09 2015-10-13
JP1545978S (ko) * 2015-04-10 2016-03-22
KR20170032657A (ko) * 2015-09-15 2017-03-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도어벨 장치
CN112255861B (zh) 2015-11-06 2022-04-12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组
TWD175522S (zh) * 2015-11-09 2016-05-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裝置之部分
CN108605084B (zh) 2015-12-14 2019-09-13 Red.Com有限责任公司 模块化的数码相机以及移动电话
CN115373102A (zh) * 2016-09-30 2022-11-22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设备、包括该设备的相机模块和光学仪器
USD819717S1 (en) * 2016-12-29 2018-06-05 Facebook, Inc. Camera
US10750063B2 (en) * 2018-07-19 2020-08-18 Hand Held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image focusing adjustment module
JP6887064B2 (ja) * 2018-09-27 2021-06-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CN111405145B (zh) * 2019-01-02 2021-12-07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以及具有该相机模组的电子装置
JP6819845B1 (ja) * 2019-11-22 2021-01-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装置、および振動装置を備える撮像ユニット
JP6819846B1 (ja) * 2019-11-22 2021-01-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装置、および振動装置を備える撮像ユニット
WO2021100227A1 (ja) * 2019-11-22 2021-05-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装置、および振動装置を備える撮像ユニット
USD985038S1 (en) * 2020-04-27 2023-05-02 Thinkware Corporation Video recorder for vehicle
CN115914784A (zh) * 2021-09-30 2023-04-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驱动器及其制作方法、驱动装置、摄像头模组、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155A (ko) * 2001-02-27 2002-11-0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광학계 및 그것을 이용한 프로젝터
JP3490694B2 (ja) * 2001-03-28 2004-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33669B2 (ja) * 2001-12-04 2008-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545070B1 (ko) * 2003-03-18 2006-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모듈, 그 조립장치 및 방법
US7071966B2 (en) * 2003-06-13 2006-07-04 Benq Corporation Method of aligning lens and sensor of camera
US20050036057A1 (en) * 2003-07-24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pickup device integrated with len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233737B2 (en) * 2003-08-12 2007-06-19 Micron Technology, Inc. Fixed-focus camera module and associated method of assembly
US20050041098A1 (en) * 2003-08-18 2005-02-24 Inventec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image capturing module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5164955A (ja) * 2003-12-02 2005-06-23 Fujitsu Ltd 撮像デバイス、撮像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撮像デバイス保持機構
JP2005191387A (ja) * 2003-12-26 2005-07-14 Fujitsu Ltd 撮像素子試験方法及び装置
TW200632506A (en) * 2005-03-02 2006-09-16 Premier Image Technology Corp Camera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JP4233535B2 (ja) * 2005-03-29 2009-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装置用モジュール、光路画定器及び光学装置用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7983556B2 (en) * 2006-11-03 2011-07-19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with contamination reduction feature
JP2008124777A (ja) * 2006-11-13 2008-05-29 Alps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4413956B2 (ja) * 2007-08-21 2010-02-10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機
US8035904B2 (en) * 2007-09-07 2011-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modu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061A (ko) * 2015-11-09 2017-05-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136348B1 (ko) * 2019-02-22 2020-07-23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WO2020171319A1 (ko) * 2019-02-22 2020-08-27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15062A (zh) 2010-05-26
TW201015985A (en) 2010-04-16
US20100085474A1 (en) 2010-04-08
JP2010088088A (ja)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8154A (ko) 카메라 모듈
US9432580B2 (en) Camera module having anti-shake mechanism
KR101354775B1 (ko) 카메라 모듈
US20210173175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mounted device
US11048307B2 (en) Dual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040412B2 (ja) 撮像素子パッケージ、撮像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レンズ鏡筒並びに撮像装置
KR20120033278A (ko) 촬상 유닛
KR20050033495A (ko) 촬상 장치
US8786713B1 (en) Fixture for aligning auto-focus lens assembly to camera sensor
JP2008261917A (ja) レンズ鏡筒
JP2006184543A (ja) 組レンズの組立て方法、この方法によって組立てられた組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7057516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20190137657A (ko) 듀얼 카메라 모듈
JP2008261929A (ja) レンズ鏡筒
JP201217775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焦点調整構造及び焦点調整方法
US9791659B2 (en)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JP200704758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立調整装置および組立調整方法
JP7075029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N114666464B (zh) 用于潜望式摄像模组的组装方法和潜望式摄像模组
US9609196B2 (en)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19449A (ko) 카메라 모듈용 소켓
US20100302437A1 (en) Solid-state imaging unit,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fixing solid-state imaging device
KR102045009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US11346789B2 (en) Optical inspection system
CN112824962B (zh) 光学元件驱动机构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