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061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061A
KR20170054061A KR1020150156758A KR20150156758A KR20170054061A KR 20170054061 A KR20170054061 A KR 20170054061A KR 1020150156758 A KR1020150156758 A KR 1020150156758A KR 20150156758 A KR20150156758 A KR 20150156758A KR 20170054061 A KR20170054061 A KR 20170054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case
camera modul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646B1 (ko
Inventor
박용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6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7
    • H04N5/2251
    • H04N5/2253
    • H04N5/22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 상면에 상기 렌즈홀더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렌즈홀더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관통홀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2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폭시를 사용하지 않고 너트를 이용하여 렌즈홀더를 케이스에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아 유익하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일부만을 탈락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 내부의 추가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운전자 편의 및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새로운 기술이 다양하게 접목되고 있으며, 특히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은 소프트웨어 기술과 융합되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카메라들은 차량에 장착되기 위해 크기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에 따라, 볼트와 같은 결합이나 고정수단들이 에폭시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고, 카메라 모듈 분야에 있어서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렌즈의 포커싱을 조절하고 있다.
하지만, 접착제로 사용되는 에폭시가 인체에 유해하고,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에폭시의 토출량 및 에폭시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조립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즉, 에폭시가 경화되기 전에 렌즈를 포커싱의 수행과 함께 케이스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매우 제한적이다. 그리고 에폭시 접착제는 경화되는데 시간이 소요되며, 경화 후 불량 발생시 다시 작업하기가 곤란하여 해당 카메라 모듈을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유해한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너트를 통해 렌즈홀더와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친환경적인 작업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의 이미지 센서에 대한 추가적인 포커싱이 필요하거나 케이스 내부의 관리가 필요하거나 재작업이 필요할 경우, 도어부만을 탈락시켜 카메라 모듈 내부의 관리가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 상면에 상기 렌즈홀더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렌즈홀더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관통홀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2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측과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홀더를 통과한 광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3 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렌즈홀더가 수용하는 렌즈의 이미지 센서에 대한 포커싱이 완료된 후, 기설정된 토크 이하로 회전되며,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돌부를 회피하도록 대응하는 회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부가 상기 회피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스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정면에 개구된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정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제1 나사부의 상부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폭시를 사용하지 않고 너트를 이용하여 렌즈홀더를 케이스에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아 유익하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일부만을 탈락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 내부의 추가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 제2 ,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홀더(100)와 케이스(200) 및 인쇄회로기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렌즈홀더(100)는 내부에 렌즈(미도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되어 고정된다. 인쇄회로기판(300)은 렌즈홀더(100) 또는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310)가 실장된다.
렌즈홀더(1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홀더(100)의 외주면에 제1 나사부(110)의 상측에는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20)는 후술하는 케이스(200)의 상면과 마주하여 접하며, 렌즈홀더(100)의 스토퍼 및 실링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스(200)는 상면에 렌즈홀더(100)가 관통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케이스(200)는 하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면에 인쇄회로기판(300)이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에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렌즈홀더(100)가 수용되되, 렌즈홀더(100)의 상측 일부가 관통공(210)을 관통하여 케이스(2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관통공(210) 주변의 케이스(200) 상면과 렌즈홀더(100)의 리브(120)가 마주하게 되며, 렌즈홀더(100)는 케이스(200)에 지지된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200)의 상면의 내주면 즉, 관통공(210) 주변에는 렌즈홀더(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부(110)와 대응하는 제2 나사부(220)가 형성되며, 렌즈홀더(100)와 케이스(200)는 나사결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의 하단 일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돌부(230)는 케이스(200)와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300)이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함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300)이 케이스(200)의 하단의 개방면에 제대로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일종의 가이드 또는 지지부 역할을 수행한다.
케이스(200)의 정면에는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는 개구부(24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부(250)를 정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어부(250)가 개구부(240)를 폐쇄하되, 도어부(250)의 외측이 개구부(240)의 외측보다 크게 형성되어, 케이스(2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었으나, 이는 사용자의 선택사항으로 도어부(250)의 외측은 개구부(240)의 외측과 크기가 일치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도어부(250)가 개구부(240)보다 작게 형성된다면, 도어부(250)가 개구부(240)에 끼워지고 접착제가 도어부(250)와 개구부(240) 사이에 도포될 수도 있으며, 도어부(250)와 개구부(240)의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인쇄회로기판(300)은 케이스(200)의 하단에 개방된 개방면에 배치되고, 케이스(200)와 결합함으로써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에는 이미지 센서(310)가 실장되며, 렌즈홀더(100)에 수용되어 있는 렌즈와 광축이 일치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300)의 꼭지부분에는 케이스(200)의 돌부(230)와 대응하여 회피하는 회피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300)이 케이스(200)의 하단의 개방면에 위치하여 결합할 때, 돌부(230)의 하단면과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은 가상의 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와 도 3에는 돌부(230)가 인쇄회로기판(300)의 꼭지부분의 회피부(320)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돌부(230)의 위치는 케이스(200)의 하단에서 변경가능하고, 회피부(320)는 인쇄회로기판(300) 상에서 돌부(23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변경가능하며,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케이스(200)와 인쇄회로기판(30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는 너트(400)가 수용되고, 너트(400)는 렌즈홀더(10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너트(400)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부(110)와 대응하는 제3 나사부(410)가 형성되고, 너트(400)와 렌즈홀더(100)는 나사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너트(400)는 렌즈홀더(100)를 케이스(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너트(400)는 렌즈홀더(100)가 수용하는 렌즈의 이미지 센서(310)에 대한 포커싱이 완료된 후, 기설정된 토크 이하로 회전될 수 있으며, 렌즈홀더(100)를 케이스(20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관통공(210)에 형성된 제2 나사부(220)와 너트(400)에 형성된 제3 나사부(410)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홀더(100)의 외주면에 턱(미도시)이 형성되어 하방으로 축관되는 형태일 수 있고, 너트(400)는 렌즈홀더(100)의 축관부와 대응하여 결합하며, 관통공(210)에 확관부가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렌즈홀더(100)를 케이스(200)에 형성된 관통공(210)에 삽입하여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렌즈홀더(100)의 상부는 케이스(200)의 상방으로 노출되고, 리브(120)는 케이스(200)의 상면과 마주하게 위치하여 렌즈홀더(100)를 케이스(200)로부터 지지하며, 렌즈홀더(100)의 하부 중 적어도 일부는 케이스(2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그리고 케이스(200)의 하단의 개방면을 통해 너트(400)를 렌즈홀더(100)의 하단에 나사결합시킨다.
이후, 상면에 이미지 센서(310)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300)을 이미지 센서(310)와 렌즈홀더(100)에 수용된 렌즈의 광축이 일치되도록 상기 개방면에 결합시킨다.
케이스(200)의 정면에 형성된 개구부(240)를 통해 렌즈홀더(100)를 회전시켜 렌즈홀더(100)에 수용된 렌즈의 이미지 센서에 대한 초점을 맞춘다(Focusing). 즉,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렌즈홀더(100)가 회전하고, 렌즈홀더(100)가 회전함에 따라 렌즈와 이미지 센서(310)의 거리가 조절되며, 이로써 포커싱이 완료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너트(400)를 기설정된 토크 이하로 회전시킴으로써, 렌즈홀더(100)를 케이스(200)에 고정시킨다. 이때, 렌즈와 이미지 센서(310)의 포커싱이 이루어지면서 리브(120)와 케이스(200)의 상면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고, 만약 틈이 형성되었다면 상기 틈에 접착제를 투입할 수도 있다.
이후, 케이스(200)의 정면에 개구부(240)를 덮도록 도어부(250)를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조립이 완성된다. 만약, 카메라 모듈의 조립이 완성된 후 렌즈의 포커싱을 추가적으로 조절할 경우에는, 도어부(250)를 케이스(200)의 정면으로부터 탈락시킨 후, 너트(400)를 회전시키고 렌즈홀더(100)를 회전시킴으로써 렌즈의 이미지 센서에 대한 포커싱을 조절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렌즈홀더 110 : 제1 나사부
120 : 리브 200 : 케이스
210 : 관통공 220 : 제2 나사부
230 : 돌부 240 : 개구부
250 : 도어부 300 : 인쇄회로기판
310 : 이미지 센서 320 : 회피부
400 : 너트 410 : 제3 나사부

Claims (8)

  1.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
    상면에 상기 렌즈홀더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렌즈홀더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관통홀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2 나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측과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홀더를 통과한 광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3 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너트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렌즈홀더가 수용하는 렌즈의 이미지 센서에 대한 포커싱이 완료된 후, 기설정된 토크 이하로 회전되며,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돌부를 회피하도록 대응하는 회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부가 상기 회피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스가 결합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정면에 개구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정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제1 나사부의 상부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리브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50156758A 2015-11-09 2015-11-09 카메라 모듈 KR102539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758A KR102539646B1 (ko) 2015-11-09 2015-11-09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758A KR102539646B1 (ko) 2015-11-09 2015-11-0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61A true KR20170054061A (ko) 2017-05-17
KR102539646B1 KR102539646B1 (ko) 2023-06-02

Family

ID=5904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758A KR102539646B1 (ko) 2015-11-09 2015-11-0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6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726Y1 (ko) * 1984-05-17 1986-04-24 김강식 직각 반사장치를 내설한 티브이용 렌즈
JP2005007444A (ja) * 2003-06-19 2005-01-13 Kanto Auto Works Ltd ネジ穴を有する鋳物の作製方法および鋳込み用ナット
KR100920781B1 (ko) * 2008-04-04 2009-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00038154A (ko) * 2008-10-03 2010-04-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카메라 모듈
JP2012123025A (ja) * 2010-12-06 2012-06-28 Sony Corp 電子カメ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726Y1 (ko) * 1984-05-17 1986-04-24 김강식 직각 반사장치를 내설한 티브이용 렌즈
JP2005007444A (ja) * 2003-06-19 2005-01-13 Kanto Auto Works Ltd ネジ穴を有する鋳物の作製方法および鋳込み用ナット
KR100920781B1 (ko) * 2008-04-04 2009-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00038154A (ko) * 2008-10-03 2010-04-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카메라 모듈
JP2012123025A (ja) * 2010-12-06 2012-06-28 Sony Corp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646B1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8757B2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KR102427350B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JP5601000B2 (ja) 撮像装置
US20170155808A1 (en) Camera, in particular usable in a vehic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amera
KR102280348B1 (ko) 카메라 모듈
TW200641515A (en) Nonadjustable focusing type camera module
JP2015186994A (ja) センサ構成
JP2021092798A (ja) 受光装置
US10562467B2 (en) Bonding structure, imaging apparatus, and on-vehicle camera
JP6702670B2 (ja) レンズ鏡筒、光学機器およびレンズ鏡筒の製造方法
KR20170054061A (ko) 카메라 모듈
US20190106912A1 (en) Method for mounting a door handle support in a final position and door handle support fastening set
JP6411151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US9729768B2 (en) Electronic device
CN114051464B (zh) 车辆用镜装置以及车辆用镜装置的制造方法
CN109844598B (zh) 摄像装置
KR101778284B1 (ko) 렌즈커버의 착탈식 고정장치
JP2016212329A (ja)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CN107838843B (zh) 影像撷取模块组装的定位装置
KR101188720B1 (ko) 노광조건 절환유닛 및 카메라 유닛
KR101875419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조립 방법
KR20170020616A (ko) 카메라 모듈 및 포커싱 조절용 공구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CN112298046A (zh) 车辆用镜装置
KR102167663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