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348B1 -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348B1
KR102136348B1 KR1020190021459A KR20190021459A KR102136348B1 KR 102136348 B1 KR102136348 B1 KR 102136348B1 KR 1020190021459 A KR1020190021459 A KR 1020190021459A KR 20190021459 A KR20190021459 A KR 20190021459A KR 102136348 B1 KR102136348 B1 KR 10213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nter frame
center
partition wal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홍규
황지하
Original Assignee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348B1/ko
Priority to US17/250,211 priority patent/US20210258454A1/en
Priority to PCT/KR2019/009695 priority patent/WO2020171319A1/ko
Priority to TW108133414A priority patent/TW20203225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에 착탈가능한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프레임, 상기 중심프레임의 양 측에 각기 결합되어 상기 중심프레임과 함께 루프 형상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각기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탄성 재질의 상기 중심프레임이 탄성변형되어 상기 프레임부 일단의 개방부가 생성 또는 확장되어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착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WEARABLE CAMERA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목에 용이하게 착용하여 다각도의 영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웨어러블 장치들이 개발되어 시장에 나오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주변환경을 촬영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몰입 영상을 촬영하거나, 위급한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또는 안전요원이 현장상황을 촬영하기 위해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웨어러블 카메라는 특정 방향의 영상만 촬영할 수 있어 다각도의 영상을 획득하지 못하거나 해상도가 떨어지는 제약이 있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고 벗을 수 있는 넥 밴드(neck band) 형태의 360도 카메라 장치는 사용자의 활동 자유도가 높으면서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동시에 적절한 촬상 위치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360도 영상을 고해상도로 촬영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고해상도 카메라가 루프 형상 프레임에 장착되어야 하고, 이 경우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째, 서로 이격되게 루프 형상 프레임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들 간의 상대적 위치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하되, 목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형태가 변형가능하도록 유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즉, 카메라가 실장되는 프레임은 어느 정도의 강성(rigidity)을 확보하는 동시에 신체 탈착을 위해 탄성변형이 용이하면서도 제품 수명이 확보되는 상반된 구조적 특성들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동시에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둘째, 장시간 사용을 위해 별도의 대용량 배터리 팩으로부터 고해상도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을 프레임 내부에 수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착용을 위해서는 프레임을 탄성 변형시켜야 하고, 이 변형이 반복될 경우 특히 변형이 집중되는 부위의 내부에 수용된 전원공급선(케이블)에 마찰이나 굴곡 등으로 인한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셋째, 현장에서 웨어러블 카메라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목에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위치한 고해상도 카메라에서 발생하는 열이 저온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안전기준 EN563에 의하면, 플라스틱의 화상 한계 표면 온도는 1분 이내 60도, 10분 이내 48도, 8시간 이내 43도로 규정되어 있으나, 기존의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경우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11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에 착용이 용이하면서도 착용 시 복수의 카메라들을 안정적으로 보유하여 영상 품질이 우수한 웨어러블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대용량 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선의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반복된 사용 후에도 전원공급선의 마찰이나 굴곡으로 인한 손상을 막을 수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신체 착용 상태에서 장시간 고해상도 영상 촬영을 할 경우에도 저온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연성을 강화하면서 탄성변형부를 대칭적으로 분리 배치되도록 하여 제품 수명이 길고 사용자 편의성 및 조립성이 우수한 고해상도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이 간편하지만 탈락이 되지 않는 밴드고정부의 후크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착탈가능한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로서, 중심프레임; 상기 중심프레임의 양 측에 각기 결합되어 상기 중심프레임과 함께 루프 형상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각기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탄성 재질의 상기 중심프레임이 탄성변형되어 상기 프레임부 일단의 개방부가 생성 또는 확장되어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착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프레임에는 공동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일영역이 개방된 개방 루프이거나 또는 폐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이 연장되어 상하 중첩 또는 체결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는 개방 루프이나 형상은 폐루프이고, 제1 및 제2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의 경우에는 폐루프이나 착용을 위해 체결부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자석이나 다른 간단한 장치에 의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중심프레임은 T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동은 양 측면 및 하부의 세 단부가 개방되고, 중심프레임의 하부는 배터리연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연결관에 수용된 복수의 전원공급선이 상기 중심프레임의 상기 공동에서 양 측으로 분기되어 T자 형상의 양 측면으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동의 중앙부에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하부는 개방되어, 중심프레임 하부에 결합되는 배터리 연결관의 연결관결합공과 상기 격벽 양측의 공동이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심프레임에는 공동이 형성되고, 상기 공동의 중앙에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공동은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모듈은 각기 카메라홀더에 수용되고, 상기 카메라홀더는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부 외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고무 재질의 커버부를 포함하는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모듈은 각기 카메라홀더에 수용되고, 상기 카메라홀더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커버는 카메라모듈의 촬상방향에 배치되고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며 카메라모듈의 상부를 커버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카메라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인접한다.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상기 베이스부와 TPE 재질의 상기 커버부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의 상단은 상기 베이스부 상단 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부 상단과 커버부 상단은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의 상단 내주면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의 하단부 외주 모서리는 상기 라운드부에 밀착되어 상기 라운드부를 가압하면서 밀착된다.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는 탄성 재질의 중심프레임; 및 상기 중심프레임의 양측에 각기 결합되어 상기 중심프레임과 함께 일 영역이 개방된 루프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프레임은 내부에 형성된 공동 또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형태 변형 없이 각기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중심프레임이 탄성변형됨에 따라 상기 일 영역의 개방부가 확장된다.
상기 공동 또는 관통공의 중앙부에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또는 공동은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은 상기 중심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격벽은 상기 중심프레임의 내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중심프레임은 중앙부에 배치된 격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전단이 개방된 루프 형상의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는, 전단의 개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중심프레임; 상기 중심프레임의 양 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중심프레임과 함께, 상기 전단이 개방된 루프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카메라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는, 탄성 재질의 상기 중심프레임이 탄성변형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이 각기 외측으로 벌려짐으로써 전단의 개방부가 확장되어, 사용자의 목에 착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프레임에는 또한 공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프레임은 T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동은 양 측면 및 하부의 세 단부가 개방되고, 중심프레임의 중앙부 하단은 배터리연결관에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연결관에 수용된 복수의 전원공급선이 상기 중심프레임의 상기 공동에서 양 측으로 분기되어 T자 형상의 양 측면으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공동의 중앙부에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하부는 개방되어, 중심프레임 하부에 결합되는 배터리 연결관의 연결관결합공과 상기 격벽 양측의 공동이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는 신체에 장시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해도 저온 화상의 위험이 없고 동시에 카메라모듈의 방수 효과가 있으면서 제조 및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치는 목 또는 신체에 착용이 용이하면서도 착용 시 복수의 카메라들을 안정적으로 보유하여 영상품질이 우수한 웨어러블 카메라를 제공한다. 대용량 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선의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반복된 사용 후에도 손상이 적어 제품의 수명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나아가 제품 수명이 길고 사용자 편의성 및 조립성이 우수한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는 조립이 간편하지만 탈락이 되지 않는 밴드고정부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 들 간의 상대 위치가 안정된 동시에 착용 편의성이 우수하므로, 360도 영상 품질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제품 신뢰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의 뒷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카메라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의 앞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중심프레임과 인접 부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중심프레임과 인접 부품들의 횡절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중심프레임의 중앙부를 종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홀더와 카메라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카메라홀더의 하부커버의 절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카메라홀더의 하부커버 및 밴드고정부의 절단면과 후크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홀더의 하부커버와 상부커버의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고해상도 카메라 작동시 온도 분포를 나타낸 열화상이미지 및 온도 분포를 표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 또는 '연결'된다는 것은 두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결합 또는 연결되는 것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결합 또는 연결되는 것까지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도 1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목에 장착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의 뒷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홀더(121, 122, 123, 124)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프레임부(12), 복수의 카메라홀더(121, 122, 123, 124)에 각기 결합되어 사용자 주변의 서로 다른 방향을 각기 촬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카메라모듈, 상기 프레임부(12)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배터리(200) 및 상기 배터리(200)와 프레임부(12)을 연결하는 배터리연결관(190)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연결관(190)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복수의 카메라모듈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카메라전원공급선(미도시)을 수용하여 프레임부(12)로 안내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카메라전원공급선을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복수개의 카메라모듈로 전원을 각기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연결관(190)과 프레임부(12) 내부에 수용 또는 매립되는 복수개의 카메라전원공급선의 배치를 도면과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신체, 특히 사용자의 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상기 프레임부(12)는 탄성 재질의 중심프레임(140)과, 상기 중심프레임의 양 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125) 및 제2 프레임(126)을 포함한다. 도 4의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부(12)는 일영역(전단)이 개방된 루프 형상이고, 중심프레임(140)은 전단의 개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과 함께 전단이 개방된 루프를 형성한다.
상기 개방부에 대향되게 루프 중심에 배치된 중심프레임(140)은 형태가 유지되면서도 필요한 경우 힘을 가해 변형이 되도록 유연성이 있는 탄성 재질, 예를 들어 고무(예를 들어 TPE, 바람직하게는 TPU)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프레임(125,126)은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카메라홀더(121, 122, 123, 124)와 결합되거나 또는 카메라홀더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125,126)은 중심프레임에 비해 탄성이 적거나 매우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이것은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카메라홀더에 결합된 카메라모듈의 위치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프레임이 비교적 형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중심프레임(140)은 탄성 재질의 내부가 빈 T자 형태 튜브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중심프레임(140)은 세 단부가 개방된 공동이 형성된 T자 형태의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양 측단은 카메라홀더를 구비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과 연결되고, 중앙부 하단은 배터리연결관(190)에 연결된다. 상기 중심프레임(140)의 T자형 공동(cavity)은 복수의 카메라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공급선을 하부의 배터리연결관으로부터 수용하고 동시에 탄성 재질의 중심프레임에 유연성을 부가한다.
카메라홀더(121, 122, 123, 124)의 내부에는 각기 카메라모듈 및 전원공급선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프레임(125, 126)의 내부에도 전원공급선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프레임(125, 126)은 내부가 빈 튜브 형상일 수 있다. 상기 T자형 공동은 양 측단이 개방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의 전원공급선을 수용하는 튜브와 연결된다. 하부의 배터리연결관(190)으로부터 도입되는 복수개의 전원공급선(미도시)은 T자형 중심프레임의 중앙부에서 분기하여 일부 전원공급선은 좌측의 카메라홀더(121)를 거쳐 제1프레임(125) 쪽으로 나머지 일부는 우측의 카메라홀더(122)를 거쳐 제2프레임(126) 쪽으로 안내되도록 조립되어야 한다. 중심프레임에 형성된 공동은 이러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중심프레임에 유연성을 더하여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착용 시 중심프레임의 탄성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반복된 사용으로 인한 중심프레임의 변형으로부터 생기는 마모나 손상을 줄여 제품의 수명이 증가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T자형 중심프레임의 T자형 공동(또는 T자형 관의 형태인 중심프레임의 내부)의 중앙부에는 중심프레임의 내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격벽(142)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은 중심프레임(14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중심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격벽(142)에 의해 공동은 좌측공동(144)과 우측공동(143)으로 분리되고 격벽을 중심으로 공동은 좌우 대칭구조를 이룬다. 한편, 격벽 하부의 배터리연결관(190)의 연결관결합공과 연결되는 부분은 개방되어 하부공동(149)에 의해 좌측공동(144)과 우측공동(143)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격벽이 없는 구조의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를 반복하여 사용할 경우, T자형 중심프레임의 중앙부 또는 특정한 일 영역에 굴곡 변형이 집중되므로 내부에 수용된 전원공급선들에 마찰 또는 굴곡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여 제품 불량이 생길 수 있다. 상기 격벽이 중심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면, 유연해질 부위를 좌우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고, 굽힘 변형을 좌우 공동(143, 144)으로 분산시켜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즉, 전원공급선용 공동이 형성된 고무 재질의 중심프레임은 중앙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중앙의 굽힘 강성은 증가되고 변형이 발생하는 위치는 좌우대칭으로 분산된다. 동시에 이 격벽은 조립 시에 하부의 배터리연결관(190)에 수용된 복수의 전원공급선을 좌우로 분기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여 조립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4,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중심프레임(140)의 일단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 사이에는 제1 카메라홀더(121)가 결합되고, 상기 중심프레임(140)의 타단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일단 사이에는 제2 카메라홀더(122)가 결합된다. 상기 제1 프레임(125)의 타단에는 제3 카메라홀더(123)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126)의 타단에는 제4 카메라홀더(124)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프레임(140)은 루프 형상 프레임부(12)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고, 양측면에는 카메라홀더(121, 122)가 각기 후방 촬영이 가능하도록 루프 후방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중심프레임(140)의 횡방향 길이는 프레임부(12)의 루프 길이(프레임부의 연장선 포함한 전체 폐루프 길이)의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탄성 재질의 중심프레임이 ?F고 반면 카메라홀더를 포함한 제1 및 제2 프레임이 거의 변형이 없는 재질임에도 공동이 형성된 중심프레임은 유연하게 변형가능하고 동시에 수명이 오래 유지된다.
상기 중심프레임(140), 제1 내지 제4 카메라홀더, 제1 및 제2 프레임에는 각기 전원공급선이 수용되어 안내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프레임, 제1 내지 제4 카메라홀더, 제1 및 제2 프레임은 결합되어 전방이 개방된 루프 형상의 프레임부를 형성하고, 중심프레임(14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구조이다. 제3 및 제4 카메라홀더(123, 124)는 일 영역이 개방된 루프 형상의 프레임부에서 전방에 위치하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서 전방 개방부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홀더 중의 일부와 제1 및 제2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125)이 상부 및 하부 케이싱의 2개 부품으로 구성되어 서로 체결되고 상부 케이싱이 연장되어 제1 또는/및 제3 카메라 홀더의 상부 커버로 기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케이싱이 제1 또는/및 제3 카메라 홀더의 하부 커버로 기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부(12)의 제1 및 제2 프레임이 연장되어 서로 맞닿거나 겹쳐질 수도 있다. 즉 프레임부(12)가 개방 가능한 폐루프 구조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3과 같이 별도의 신체고정밴드부(160)를 구비하여 폐루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의 경우에는 폐루프이나 착용을 위해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의 체결부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자석이나 다른 간단한 장치에 의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홀더(123, 124)가 없거나 제1 및 제2 프레임의 중간에 형성될 수도 있고, 강성 재질의 신체고정밴드가 카메라홀더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이 연장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카메라홀더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카메라모듈이 수용된 제3 및 제4 카메라홀더(123, 124) 중 하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카메라홀더의 하부커버의 종절단도이다.
카메라모듈(135)은 광학계와 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카메라홀더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카메라홀더는 대략 상자 형태의 상부커버(136)와 하부커버(130, 131)를 포함한다. 상면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상부커버(136)는 개구가 카메라모듈(135)의 광학계와 정렬되도록 결합된다. 하부커버(130, 131)와 상부커버(136)는 결합하여 케이스 형태의 카메라홀더를 형성하여 내부에 카메라모듈(135)를 수용한다.
하부커버는 베이스부(131)와 상기 베이스부 하단의 커버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131)는 상부커버(136)와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31)와 상부커버(136)는 나사에 의해 체결되기 위한 나사구멍이 대응되는 위치에 각기 형성되고 상부커버와 베이스부가 맞닿는 모서리의 형상은 서로 대응된다. 상기 커버부(130)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부(131)에 밀착결합되도록 베이스부(131) 하면과 일치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는 착용 위치가 목둘레로서, 고해상도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카메라홀더가 신체(목)이 장시간 닿을 경우 저온 화상의 우려가 있다. 국제 통용 안전 기준인 EN563에 의하면, 플라스틱의 화상 한계 표면 온도는 10분 이내 48도, 8시간 이내 43도로 규정되어 있다. 플라스틱 재질의 카메라홀더 내에 수용된 고해상도 카메라모듈을 작동시킬 경우 좁은 카메라홀더 내에 수용된 카메라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이 바로 카메라홀더로 전달되어 상부 및 하부 커버 표면의 온도가 42도 내지 48도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하부커버는 카메라모듈의 촬상소자에 인접하고 동시에 그 외표면은 착용자의 목과 접하게 되는 부분으로, 촬상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이 하부커버의 표면을 통해 전달되어 착용자의 목에 저온화상을 일으키기 쉽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홀더의 하부커버는 플라스틱이 아닌 고무재질, 바람직하게는 TPE, 더 바람직하게는 TPU 재질로 형성되어 카메라모듈에서 신체(목) 부위로 전달되는 열을 줄이는 단열효과를 가진다. 이 경우 카메라모듈과 고무재질의 커버의 온도 차이는 약 10도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커버를 포함한 카메라홀더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커버의 베이스부(131)는 플라스틱 재질,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31)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부(130)는 고무 재질, 특히 TPE, 더 바람직하게는 TPU 재질로 형성된다.
하부커버는 이중사출에 의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베이스부(131)와 고무 재질, 특히 TPU 재질의 커버부(130)를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화시켜 성형한다. 먼저 베이스부(131)를 성형한 후 베이스부(130)의 하부에 커버부를 밀착 성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조립 공정이 간단하면서 단열효과가 우수하고 동시에 콤팩트한 카메라홀더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하부커버의 사용 신뢰성을 높이며, 일체화 효과를 공고히 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와 고무를 표면접촉뿐만 아니라 홀 접촉으로 접촉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베이스부(131)의 바닥면에 구멍(hole)을 형성하고 고무 커버부(130)의 사출시에 상기 구멍에 고무를 삽입되게 함으로써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 및 제4 카메라홀더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카메라홀더에도 동일한 하부커버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형상은 일부 상이할 수 있으나, 기본적인 플라스틱/고무 재질이 일체로 결합된 2중 구조의 하부커버를 구비하는 것은 동일하다.
카메라홀더의 상부커버(136)와 하부커버의 결합부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커버의 하단에는 2개의 후크부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하부커버의 베이스부의 턱에 걸려 후크 결합된다. 상부커버에 카메라모듈을 수용한 후 하부커버와 후크 결합에 의해 상부커버 및 카메라모듈을 고정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접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커버(136)의 하단면에는 하향으로 돌출한 하단 돌출부(137)가 내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단 돌출부는 하부커버의 베이스부의 내주를 따라 상단면에 형성된 수용단차부에 수용된다. 이중사출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상자 형태의 베이스부(131) 외표면에 밀착 결합된 고무 재질 커버부(130)의 상단은 베이스부 상단 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부 상단과 커버부 상단은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커버부(130)의 상단 내주면은 라운드 처리가 되어 있고 이 라운드부는 커버부 상단에서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베이스부(131)의 상단면으로 연장된다.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상부커버(136)의 하단부 외주 모서리는 상기 라운드부에 밀착되어 고무재질(TPE) 커버부의 라운드부를 가압하면서 밀착 결합하게 되고, 이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부에 방수 효과를 준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경우, 폴리카보네이트나 ABS 재질의 상하부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공차를 0.05 mm 내지 0.1 mm 로 설계하는데, 이는 제품의 성형 냉각 시에 변형이 있을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이경우 조립 공차로 인해 수분 침투를 막기 어려워 별도의 방수 처리를 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커버의 커버부(130) 재질이 TPE와 같은 고무재질로서 탄성재이므로, 상부커버(136)의 하단 모서리와 커버부(130) 상단 내주면의 라운드부가 서로 0.1 내지 0.2 mm 깊이로 중첩(d)되도록 설계하여도 조립이 가능하다. 중첩을 탄성재인 커버부의 변형으로 흡수하여 수용할 수 있고, 별도의 방수처리 없이도 수밀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는 베이스부와 저면의 커버부가 이중사출에 의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방법, 예를 들어 사출성형된 베이스부의 저면에 3D 프린터에 의해 고무 재질의 커버부를 형성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사출 PC/TPU 결합 하부커버를 채용한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의 열화상이미지와 카메라홀더에서의 온도 분포를 간략히 표시한 것이다. 상부커버의 경우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부커버에 대응하는 부위의 온도가 PolyCabonate/TPU 결합된 하부커버 보다 8도 이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된 열발생원인 촬상소자가 인접한 하부커버 표면이 상부커버면 보다 낮고 안전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2)의 전방 개구부에는 신체고정밴드(160)가 구비될 수 있다. 신체고정밴드(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의 좌우 양단에 각기 결합되는 제1밴드(161)와 제2밴드(163)를 포함한다. 신체고정밴드(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했을 때, 프레임부(12)이 사용자의 목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활동시 프레임부(12)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선명한 영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제1밴드(161)와 제2밴드(163)에는 각각 암수벨크로가 구비되어 서로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신체고정밴드는 벨크로에 한정되지 않으며 끈 등의 소재 뿐 아니라 강성 소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신체고정밴드(160)가 프레임부에 고정되기 위한 밴드고정부(180)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밴드고정부(180)는 프레임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카메라홀더(123, 124)에 결합되고, 베이스(181), 베이스(181) 상부에 돌출 형성된 후크부, 베이스부 하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포함한다. 고리부는 신체고정밴드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이고, 밴드고정부(180)는 카메라홀더(123, 124)의 하부커버에 후크 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도 9과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밴드고정부(180)의 후크부(182)는 베이스(181)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하부커버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후크부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각기 하부커버의 베이스부 바닥면 또는 경사 돌기부에 걸림으로써 고정된다.
후크부는 평면 형태의 베이스(181)로부터 돌출되고,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며, 일측면(제1측)에는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돌출부가 배치되고, 제1측과 대향하는 타측에는 상단부로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지는 제2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경사면이 외측에 형성된 제1 돌출부의 저면은 상기 기둥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돌출부 저면과 베이스 사이의 거리는 하부커버의 두께에 공차를 더한 값이다.
한편, 하부커버에는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상기 후크부의 하부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하부커버의 상기 관통공에 인접한 영역에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저면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경사 돌기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 돌기부(134)는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서 관통공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관통공의 측면에 대해 165도 내지 175도 바람직하기로는 170도의 경사각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통해 후크부가 삽입되면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돌기부를 외측으로 밀어 내면서 삽입된 후 탄성에 의해 상기 돌기부의 상단부가 상기 제2 돌출부의 저면을 하부에서 지지 고정한다. 일반적인 HOOK에 의한 Locking은 매우 큰 힘을 가하면 분리가능한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 훅 로킹 방식은 조립은 용이하지만 전문관리자에 의해서만 내부 분해 가능한 구조이므로, 조립성이 양호한 동시에 견고한 체결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프레임부와 관련된 구성은 일 영역이 개방된 루프 형상의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뿐 아니라 사용자의 목 또는 손목, 허리 같은 대략 원통형 신체 부위에 착용이 가능한 다양한 웨어러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프레임부 12, 121, 122, 123, 124: 카메라홀더
130: 커버부 131: 베이스부
134; 돌기부
135: 카메라모듈 136: 상부커버
140: 중심프레임 142: 격벽
143, 144: 공동 145, 146: 연결관
147, 148: 연결링 149: 하부 공동
180: 밴드고정부 181:베이스
182: 후크부 190: 배터리연결관

Claims (10)

  1. 사용자의 목에 착탈가능한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로서,
    탄성 재질의 중심프레임;
    상기 중심프레임의 양 측에 각기 결합되어 상기 중심프레임과 함께 루프 형상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형태 변형 없이 각기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중심프레임이 탄성변형되어 상기 프레임부 일단의 개방부가 생성 또는 확장되어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의 착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며,
    상기 중심프레임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되고,
    상기 공동의 중앙부에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공동은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중심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일영역이 개방된 개방 루프이거나 또는 폐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프레임은 T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동은 양 측면 및 하부의 세 단부가 개방되고,
    중심프레임의 하부는 배터리연결관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연결관에 수용된 복수의 전원공급선이 상기 중심프레임의 상기 공동에서 격벽에 의해 양 측으로 분기되어 T자 형상의 양 측면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는 개방되어, 중심프레임 하부에 결합되는 배터리 연결관의 연결관결합공과 상기 격벽 양측의 공동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프레임은 루프 형상의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프레임은 탄성 재질의 내부가 빈 T자 형태 튜브이고, 중앙부에 배치된 격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고,
    상기 격벽은 중심프레임의 내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모듈은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프레임의 횡방향 길이는 상기 프레임부의 루프 길이의 20% 이하이고, 상기 프레임부의 루프 길이는 프레임부의 연장선을 포함한 전체 폐루프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모듈은 각기 카메라홀더에 수용되고,
    상기 카메라홀더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카메라모듈의 촬상방향에 배치되고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며 카메라모듈의 상부를 커버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카메라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착용 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베이스부와 결합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상기 베이스부와 TPE 재질의 상기 커버부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단은 상기 베이스부 상단 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부 상단과 커버부 상단은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의 상단 내주면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의 하단부 외주 모서리는 상기 라운드부에 밀착되어 상기 라운드부를 가압하면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9.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로서,
    탄성 재질의 중심프레임; 및
    상기 중심프레임의 양측에 각기 결합되어 상기 중심프레임과 함께 일 영역이 개방된 루프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프레임은 내부에 형성된 공동 또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형태 변형 없이 각기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중심프레임이 탄성변형됨에 따라 상기 일 영역의 개방부가 확장되며,
    상기 공동 또는 관통공의 중앙부에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또는 공동은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고,
    상기 격벽은 상기 중심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프레임은 중앙부에 배치된 격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KR1020190021459A 2019-02-22 2019-02-22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KR10213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59A KR102136348B1 (ko) 2019-02-22 2019-02-22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US17/250,211 US20210258454A1 (en) 2019-02-22 2019-08-02 Wearable camera device
PCT/KR2019/009695 WO2020171319A1 (ko) 2019-02-22 2019-08-02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TW108133414A TW202032250A (zh) 2019-02-22 2019-09-17 可穿戴相機設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59A KR102136348B1 (ko) 2019-02-22 2019-02-22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348B1 true KR102136348B1 (ko) 2020-07-23

Family

ID=7189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459A KR102136348B1 (ko) 2019-02-22 2019-02-22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58454A1 (ko)
KR (1) KR102136348B1 (ko)
TW (1) TW202032250A (ko)
WO (1) WO2020171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1329S1 (en) * 2019-11-26 2022-05-10 Shenzhen Pa. Times Technology Co., Ltd Wearable camera
USD1018624S1 (en) * 2019-12-16 2024-03-19 Magic Leap, Inc. Wearable accessory with camera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382A (ja) * 1999-12-10 2001-06-22 Zaza International:Kk イヤホン装置
KR20100038154A (ko) * 2008-10-03 2010-04-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카메라 모듈
KR20150111198A (ko) 2014-03-25 2015-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09950B1 (ko) * 2014-10-10 201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음향 장치
KR20160149107A (ko) * 2015-06-17 201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453A (ko) * 2015-08-18 201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382A (ja) * 1999-12-10 2001-06-22 Zaza International:Kk イヤホン装置
KR20100038154A (ko) * 2008-10-03 2010-04-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카메라 모듈
KR20150111198A (ko) 2014-03-25 2015-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09950B1 (ko) * 2014-10-10 201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음향 장치
KR20160149107A (ko) * 2015-06-17 201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58454A1 (en) 2021-08-19
WO2020171319A1 (ko) 2020-08-27
TW202032250A (zh)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348B1 (ko)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EP4071538A1 (en) Head-mounted device
CN110967839B (zh) 保护壳体和头戴式设备
CN110967838B (zh) 头戴式设备
CN211149071U (zh) 头戴式设备
CN110895370A (zh) 头戴式设备
CN110927968A (zh) 头戴式设备
CN110908119B (zh) 保护壳体和头戴式设备
CN110888235A (zh) 受力件和头戴式设备
CN110989170B (zh) 头戴式设备
CN110908115B (zh) 头戴式设备
CN110967840B (zh) 头戴式设备
CN110908120B (zh) 头戴式设备
CN112925099A (zh) 头戴式设备
CN115202056B (zh) 头戴式设备
CN110908118B (zh) 头戴式设备
CN110888236B (zh) 头戴式设备
CN211426935U (zh) 头戴式设备
CN210927739U (zh) 摄像装置和头戴式设备
CN211426931U (zh) 头戴式设备
CN110824714B (zh) 用于头戴式设备的系带组件以及头戴式设备
US12007572B2 (en) Head-mounted device
CN110879475A (zh) 头戴式设备
CN110879474A (zh) 头戴式设备
CN110908117A (zh) 用于头戴式设备的松紧调节机构以及头戴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