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7231A -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231A
KR20100037231A KR1020080096446A KR20080096446A KR20100037231A KR 20100037231 A KR20100037231 A KR 20100037231A KR 1020080096446 A KR1020080096446 A KR 1020080096446A KR 20080096446 A KR20080096446 A KR 20080096446A KR 20100037231 A KR20100037231 A KR 20100037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garlic
syrup
malt
processed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호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남호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호, 김현수 filed Critical 김남호
Priority to KR1020080096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7231A/ko
Publication of KR2010003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23L21/27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Abstract

본 발명은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조청과 엿 가공 공정 중에 흑마늘을 혼합하여 흑마늘에 함유 되어있는 각종 유효성분과 맛까지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 우리민족 전통식품인 조청과 엿에 흑마늘에 포함되어있는 각종 유효성분 및 기능을 포함하여 건강에 도움이 되는 조청과 엿을 제공할 수 있다.
조청. 엿. 흑마늘.

Description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흑마늘을 가공. 농축한 후 조청과 엿 가공공정 중에 혼합 숙성하여 흑마늘에 함유된 유효성분과 기능을 부여하고 흑마늘 고유의 향을 가진 조청과 엿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 우리민족 전통식품인 조청과 엿의 기능향상과 건강에 유익한 조청과 엿을 제공할 수 있다.
조청과 엿은 우리민족 전통식품으로서 일반인에게 익숙한 식품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고 전통식품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조청과 엿의 가공공정을 보면 전분이 많은 곡물(쌀 맥아. 옥수수)을 쩌서 고드밥을 만드는 단계;
이와는 별도로 보리나 밀을 원료로 질금 (엿기름)가루를 만든 후 미지근한 물에 풀어서 질금물을 만드는 단계;
고드밥과 질금물을 혼합 숙성하는 단계;
숙성이 끝난 혼합물의 건더기를 거르는 정제단계;
정제된 정제액을 끓여서 조청을 만드는 1차 농축단계;
조청을 더 끓여서 갱엿을 만드는 2차 농축단계;
갱엿을 늘리고 여러 형태로 가공하는 엿 가공단계; 로 구성된다.
일반인의 전통식품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면서 많은 종류의 조청과 엿이 가공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간식이나 기호식품 이외의 기능성이 부족한 점이 사실이다.
근래에 들어서 일반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블랙푸드의 열풍에 힘입어 흑마늘에 대한관심과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흑마늘이란 마늘을 굽거나 삶지 않고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장시간 발효 숙성시킴으로서 마늘 특유의 향기성분인 유황 화합물을 증발시켜 매운 맛과 불쾌한 냄새 제거는 물론 체내 흡수율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흑마늘의 주성분은 diallyl disulfide로 황 함유 화합물질에는 항세균 항곰팡이 항산화 혈소판응집억제 항암 면역기능 항진작용 등의 기능이 알려저 있으며 생마늘에 거의 없는 수용성 화합물인 S-아릴시스테인 S-메틸시스테인 S-아릴메르캅탄시스테인 등이 다량 함유되어있다.
이처럼 건강에 유익한 식품인 흑마늘에 관한 일반인의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고 각종 흑마늘 제품이 가공 판매되고 있으나 가격적인 면에서 부담되는 단점이 있고 보다 다양한 가공 제품이 부족한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강 유익한 흑마늘을 가공. 농축한 다음 조청과 엿의가공공정 중에 혼합 숙성하여 포장 후 판매하는 방법으로 일반인에게 익숙하고 쉽게 먹을 수 있는 조청과 엿에 흑마늘에 함유된 유효성분과 기능을 부여하고 건강에 유익한 조청과 엿을 제조하고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분이 많은 곡식(맥아.옥수수.쌀)을 쩌서 고두밥을 만드는 단계; 보리나 밀을 원료로 질금(엿기름)가루를 미지근한 물에 풀어서 질금(엿기를)물 만드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각 각 만들어진 질금(엿기름)물과 고두밥을 혼합하여 20도 이상 30도 이하의 온도에서 약 10시간 동안 숙성 후 고두밥이 삭아서 풀어지면 건더기를 걸러내어 물만 받아내는 정제단계;
이와는 별도로 흑마늘 진액을 추출하기 위하여 깐 마늘을 원료로 하여 가공된 흑마늘을 중탕기에 넣고 재료량의 10%∼30%의 식수를넣은 후 80도이상 130도 이하의 온도에서 1시간이상 6시간이하의 시간 동안 중탕하여 중탕이 끝난 흑마늘을 유압프레스기를 이용하여 흑마늘 진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과정에서 가공된 흑마늘 진액을 60도 이상의 온도에서 장시간 농축하여 흑마늘 진액의 농도가 40브릭스 이상 90브릭스 이하로 농축하는 흑마늘 진액 농축단계를 거처서 농축된 흑마늘 진액을 가공한다.
상기 각 각의 과정에서 가공된 질금물과 고두밥에서 추출한 추출액과 농축된 흑마늘 진액을 일정 비율로 혼합 숙성하는 단계;
혼합 숙성된 혼합액을 끓여서 농축하여 조청을 만드는 1차 농축단계;
조청을 다시 더 끓여서 갱엿을 만드는 2차 농축단계;
이와는 별도로 깐마늘을 원료로 가공된 흑마늘을 대형 믹서기를 이용해 믹서하는 흑마늘 믹서단계;
2차 농축단계에서 가공된 갱엿과 믹서된 흑마늘을 혼합하는 3차 혼합단계;
상기단계에서 혼합된 갱엿과 흑마늘 혼합물질을 늘려서 일정한 규격과 형태로 엿을 만드는 흑마늘엿 가공 단계;
일정한 규격과 크기로 절단하고 포장하는 단계;
이러한 가공공정을 통해서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을 가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흑마늘에서 추출한 흑마늘 진액을 조청과 엿 만드는 과정에 혼합 숙성하여 흑마늘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흑마늘 진액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수 있고 건강에 유익한 조청과 엿을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해 흑마늘을 이용하여 추출된 흑마늘 진액을 조청과 엿의 제조공정 중에 혼합숙성 함으로서 저렴하게 대량으로 건강에 유익한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진액이 함유된 조청과 엿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진액이 함유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먼저 조청과 엿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고두밥 만드는 단계(S100)는 전분이 많은 곡식(맥아.옥수수.쌀)을 쩌서 고두밥을 만든 후에 질금(엿기름)물 만드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보리나 밀을 원료로 만든 질금(엿기름)가루를 미지근한 물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60분간 불린 후 탈수기를 이용하여 건더기를 걸러내어 질금(엿기름)액을 추출한다.
다음은 상기 단계에서 각각 가공된 질금(엿기름)액과 고두밥을 혼합 숙성하는 1차 혼합단계(S300)를 거치게 되는데 질금액(엿기름)과 고두밥을 적당량 혼합하여 10도이상 30도이하의 온도에서 약 10시간 동안 숙성 시키면 고두밥 알이 잘 삭게 되는데 건더기를 걸러주는 정제단계(S400)의 과정을 거처서 잘 삭은 물만 추출한다.
이와는 별도로 흑마늘 진액 추출단계(Y100)에서는 깐 마늘을 굽거나 삶지 않고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발효 숙성하여 가공된 흑마늘을 중탕기에 넣고 흑마늘량의 10%∼ 30%의 음용수를 부은후 80도이상 130도 이하의 온도에서 1시간이상 6시간 이하의 시간동안 중탕하여 흑마늘이 충분히 익으면 유압프레스기를 이용하여 흑마늘 진액을 추출한 후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흑마늘 진액을 60도 이상의 온도에서 장시간 농축하여 흑마늘 진액의 농도가 30브릭스 이상 90브릭스 이하로 농축하 여 농축된 흑마늘 진액을 가공한다.
다음은 2차 혼합 숙성단계(S500)로 상기 각 각의 단계 S400과 Y100에서 가공된 엿기름 물과 고두밥 추출액과 농축된 흑마늘 진액을 혼합 숙성하는 단계로 S400에서 추출한 추출액과 Y100에서 가공한 흑마늘 진액의 혼합 중량비가 S400에서 추출한 추출액 70%∼90%와 Y100에서 가공된 흑마늘 진액10%∼30%를 혼합하여45도의 온도에서 6시간 6시간 동안 숙성 시킨다.
상기 2차 혼합단계를 거친 후 조청을 만드는 1차 농축단계(S600)는 상기단계(S500)에서 혼합 숙성된 추출액을 스테인레스 재질의 용기에 넣고 80도 이상의 온도에서 계속 저으면서 끓여서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을 가공한다.
조청으로 판매 하기위해서는 상기 S500단계에서 가공된 조청을 용도에 따라서 각기 다른 용량 및 재질의 용기에 포장하여 흑마늘 조청으로 유통할 수 있다.
상기과정을 거처서 가공된 조청은 흑마늘 진액의 유효성분및 향과 맛이 조청에 함유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S600단계에서 가공된 조청을 다시 농축하여 갱엿을 만드는 2차 농축단계(S700)는 상기S600단계에서 가공된 조청을 스테인레스 재질의 용기에 넣고 80도 이상의 온도에서 계속 저으면서 농축하여 조청에 끈기가 생기면서 짙은 색상이 되고 적당한 농도가 되면 식혀서 갱엿이 가공된다.
이와는 별도로 흑마늘 믹서단계(Y200)에서는 깐 마늘을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숙성 발효하여 가공된 흑마늘을 대형 믹서기를 이용하여 믹서하여 분쇄된 흑마늘을 가공한다.
다음 단계는 3차 혼합단계(S800)는 S700단계에서 가공된 갱엿과 Y200단계에서 가공된 분쇄된 흑마늘을 혼합하는 과정으로 각각의 혼합 중량비가 갱엿 70%∼99%와 흑마늘1%∼30%를 혼합한다.
상기단계에서 혼합된 갱엿과 흑마늘을 엿 늘리는 기계를 이용하여 약40분간 엿 늘리는 과정을 거친 후에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 크기 및 형태로 가공하는 엿 가공단계(S900)를 거처서 가공된 엿이 식으면 포장하여 최종적으로 흑마늘을 이용한 엿이 가공된다.
위와 같이 S100∼S900 및 Y100∼Y200의 과정을 통해 가공된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 및 엿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

Claims (3)

  1.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전분이 많은 곡식(맥아.옥수수.쌀)을 쩌서 꼬두밥을 만드는 단계;
    보리나 밀을 원료로 가공된 질금(엿기름)물 만드는 단계;
    엿기름물과 꼬두밥을 혼합 숙성하는 단계;
    혼합 숙성된 엿기름물과 꼬두밥에서 추출액을 추출하는 정제단계;
    이와는 별도로 깐 마늘을 원료로 가공된 흑마늘을 이용하여 흑마늘 진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단계에서 각각 가공된 엿기름물 추출액과 흑마늘 진액을 혼합 숙성하는 단계;
    흑마늘 진액이 함유된 조청을 만들기 위한 1차 농축단계;
    이와는 별도로 깐 흑마늘을 원료로 가공된 흑마늘을 믹서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과정에서 가공된 조청과 믹서된 흑마늘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과정에서 가공된 흑마늘과 혼합된 조청을 농축하여 갱엿을 만드는 2차 농축단계;
    갱엿 늘리는 기계를 이용하여 약 40분간 갱엿을 늘리고 용도에 따라 각각의 크기와 형태로 가공하는 흑마늘을 이용한 엿 가공단계;를 거처 엿이 식으면 포장하여 최종제품이 생산되는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흑마늘 진액 추출단계에서 흑마늘 진액의 농도가 30브릭스 이상 90브릭스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갱엿과 믹서된 흑마늘의 혼합 중량비가 갱엿70%∼99%와 믹서된 흑마늘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
KR1020080096446A 2008-10-01 2008-10-01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7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446A KR20100037231A (ko) 2008-10-01 2008-10-01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446A KR20100037231A (ko) 2008-10-01 2008-10-01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231A true KR20100037231A (ko) 2010-04-09

Family

ID=4221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446A KR20100037231A (ko) 2008-10-01 2008-10-01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72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12B1 (ko) * 2013-01-18 2014-08-27 문정국 한약재를 함유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KR20200012200A (ko) * 2018-07-26 2020-02-05 농업회사법인 관주식품(주) 당가수분해효소 처리된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12B1 (ko) * 2013-01-18 2014-08-27 문정국 한약재를 함유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KR20200012200A (ko) * 2018-07-26 2020-02-05 농업회사법인 관주식품(주) 당가수분해효소 처리된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7228A (ko) 식물 진액을 함유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
CN101953423B (zh) 芝麻茶酥的生产方法
CN1200883A (zh) 柑、橙、桔类果糕及其制作方法
CN103060165A (zh) 一种黑蒜醋及其制备方法
CN105695295A (zh) 薏米蜂蜜醋的制备方法
CN102763750B (zh) 一种葛根枣香茶的制造方法
CN106722168A (zh) 即冲复合小米粉的制备方法
CN103651680A (zh) 一种五仁月饼的制作方法
KR20100037231A (ko) 흑마늘을 이용한 조청과 엿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5317A (ko) 매실 한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실 한과
KR20170076536A (ko) 마늘빵 제조방법
US20100303995A1 (en) Natural nutritional supplementary food of abelmoschus manihot (linn.) medius
CN1413492A (zh) 一种多维百合糕及其制作方法
JP4361563B2 (ja) 桑黄茸抽出物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による桑黄茸抽出物及びこれを含む食品組成物
KR102016787B1 (ko) 식용곤충 진액 발효고추장의 제조 방법
CN105238631A (zh) 一种沙糖桔糯米酒酿
KR20050122190A (ko) 양파고추장 제조방법
KR102501823B1 (ko) 천년초 추출액 함유 즉석 고추장의 제조방법
CN108041432A (zh) 一种茶香糕的制作工艺
CN101912135B (zh) 一种豆芽榨汁后的干物质处理方法
CN109362934B (zh) 一种具有豆瓣风味的薄荷硬糖的制备方法
CN106417656A (zh) 大豆分离蛋白粉和谷朊粉制备的胡萝卜蛋白干及其方法
CN104957326B (zh) 一种发酵型桑椹碎末果茶的生产方法
JPS61141876A (ja) ワカメ焼酎の製法
CN106551256A (zh) 一种玫瑰面条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