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763A - 대나무 바닥재 - Google Patents
대나무 바닥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36763A KR20100036763A KR1020080096143A KR20080096143A KR20100036763A KR 20100036763 A KR20100036763 A KR 20100036763A KR 1020080096143 A KR1020080096143 A KR 1020080096143A KR 20080096143 A KR20080096143 A KR 20080096143A KR 20100036763 A KR20100036763 A KR 201000367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mboo
- plate
- pieces
- longitudinal direction
- floo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5—Layered panels only of wo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surface of assembled elongated wooden stri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판부분이 특수 구조화되어서 단변측 길이방향으로 쉽게 구부러지지 않아 상판과 하판의 접착이 떨어져 들뜨지 않게 하고, 중판의 단변측 휨에 의한 전체적인 왜곡현상을 방지한 대나무 바닥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는 대나무로 이루어진 상판, 중판 및 하판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대나무 바닥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진 대나무 조각의 표면이 바깥쪽으로 가도록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판의 바깥쪽 표면은 상기 상판의 표면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중판은 장변측 최외각부의 양면에는 대나무 조각이 상기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대나무 측면조각과, 중간면에는 상기 단변측 길이방향으로 수직 배열되는 대나무수직세부조각을 포함하되, 상기 중판의 장변측 또는 단변측의 일측에는 조립시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나무 바닥판, 상판, 중판, 하판, 대나무수직세부조각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나무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판부분이 특수 구조화되어서 중판의 장변측 최외각은 양변에 길이방향으로 대나무조각을 각각 놓아 수분의 유입과 배출로 인한 급격한 팽창과 수축에 따른 변형을 막고, 중판 내부의 단변측은 대나무 조각이 수직되게 적층됨으로써 휠려는 물성이 중성화되어 쉽게 구부러지지 않아 상판과 하판의 접착이 떨어져 들뜨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종래 대나무 바닥재의 최대 문제점인 폭 방향(단변측 길이방향)의 휨을 방지한 대나무 바닥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아파트, 단독주택의 거실, 방 등의 바닥이나, 사무실의 실내 바닥에 사용되는 재료를 의미한다.
근래들어 실내 인테리어 및 자연친화적인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바닥재로서 자연친화적인 목재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마루판재로 사용되는 일반 목재는 인위적인 식수와 수령이 수십년은 되어야 하나, 환경단체 등의 반대와 정부의 규제 등으로 점점 벌목도 쉽지 않아 가격이 폭등되는 현상이 일어나며, 전체 원목중에서 옹이부분 처럼 상품성이 없는 부 분이 상당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원재료비용이 증가되어 제품가격이 올라감에 따라 대중화가 되지 못할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환경훼손의 우려도 없고 밀도가 높아 경도(단단함)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해마다 죽순이 생장하여 4-5년이 경과되면 바닥재로 이용이 충분하게 가능하고 이에 따른 원활한 자재의 순환성으로 비교적 저렴한 대나무가 바닥재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현재 대나무로 이루어진 상판, 중판 및 하판을 상호 접착하도록 제조된 대나무 마루판재가 개시되어 있으나, 대나무의 물성상 대나무의 내부쪽으로 휘게되는 성질이 있는데, 이로 인해 도1a,b,c,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판과 중판의 접착이 떨어져 들뜨게 되거나, 중판의 단변측 조각의 휨으로 인한 전체적인 왜곡 현상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대나무로 이루어진 상판, 중판 및 하판을 상호 접착하는 방법이 각각 대나무판의 상판, 중판 및 하판을 수직으로 배열한 후 일정 힘을 가하여 한꺼번에 가열압착시키는 방법만을 사용하여서 작업 공수가 많이 들고, 작업 시간 역시 장시간이 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판, 하판과 중판의 적층 구조를 완전히 다르게 하여 대나무의 휠려는 물성을 중성화시켜 내구성을 높이고, 어느쪽으로도 휨이 발생하지 않아 건축자재로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대나무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판, 하판과 중판을 각각 별도로 원판으로 제작하고 나중에 절단하여 접합함으로서 작업 공수를 줄이고 제작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대나무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는 대나무로 이루어진 상판, 중판 및 하판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대나무 바닥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판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진 대나무 조각의 표면이 바깥쪽으로 가도록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판의 바깥쪽 표면은 상기 상판의 표면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중판은 장변측 최외각부의 양면에는 대나무 조각이 상기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대나무 측면조각과, 중간면에는 상기 단변측 길이방향으로 수직 배열되는 대나무수직세부조각을 포함하되, 상기 중판의 장변측 또는 단변측의 일측에는 조립시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판의 중간면의 단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대나무수직세부조 각은, 다수개의 대나무 조각을 수직으로 적층시켜 접합시키고, 일정폭을 가지면서 세부 조각으로 나뉘도록 수직으로 절단한 조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판과 하판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진 상기 대나무수직세부조각이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중판의 장변측 최외각의 양변에 길이방향으로 대나무조각을 각각 놓아 수분의 유입과 배출로 인한 급격한 팽창 및 수축에 따른 변형을 막고 , 중판 내부의 단변측은 대나무 조각이 수직되게 적층됨으로써 휠려는 물성을 중성화시켜 오래도록 사용하여도 단변측 길이방향으로 휨이 발생하기 않아 바닥재로서 안정적으로 영구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판, 하판과 중판의 적층 구조를 완전히 다르게 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판, 하판과 중판을 각각 별도로 원판으로 제작하고 나중에 절단하여 접합함으로서 작업 공수를 줄이고 제작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100)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 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측면을 절단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0)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진 대나무 조각을 바깥쪽으로 표면이 가도록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하판(130)의 바깥쪽 표면은 상기 상판(110)의 표면과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배열된다.
즉, 상판(110)은 대나무 무늬 표면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하판(130)은 대나무 무늬 표면이 아래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열되어, 이하 설명하는 대나무의 휨 성질을 상호 상쇄할 수 있다.
또한 도3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0)과 하판(130)은 상호 맞대응되어 배열 및 접착됨으로서 장시간 사용시 바닥의 난방이나 외부의 습기 등에 의해 대나무의 휨 성질이 서로 상쇄된다.
그런데 도1c,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발명은 본 발명과 같이 대나무의 휨성질이 화살표 방향처럼 서로 상쇄되지 않고 서로 가중만 되어 장기간 사용시 상판과 중판의 접착이 떨어져 들뜨게 되거나, 중판의 뒤틀림에 의해 대나무 바닥재 전체가 뒤틀려 수명이 줄고 위험하기까지 하다.
따라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판(110)의 바깥쪽에 대나무 무늬 표면이 있고, 동일한 마디에서 유래된 대나무 조각을 사용함으로써 대나무 조각의 색상과 마디 간격이 서로 일치하여 원목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져 대나무의 휨 성질 또 는 왜곡현상을 상쇄함에 따른 내구성 증대뿐만 아니라 장식미가 뛰어난 효과도 있다.
상기 중판(120, 125)은 장변측 최외각부의 양면에는 대나무 측면 조각(125)이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즉 도2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판(120, 125)의 대나무 조각이 장변측 최외각부의 단면이 아닌 양면에 수평으로 배열되어 외부환경에 노출되더라도 한쪽 방향으로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대나무의 길이방향으로 수분침투가 용이한 반면, 그 수직방향에서는 수분 침투가 어렵다.
따라서 만일 상기 중판(120, 125)은 장변측 최외각부의 양면에 대나무 조각이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수평 배열되지 않는다면 중판(120, 125)의 중간면의 대나무수직세부조각 단변측 길이방향의 조각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져서 수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 중판의 장변측 최외각의 양변에 길이방향으로 대나무조각을 각각 놓아 수분의 침투를 막고, 휠려는 물성을 중성화시켜 오래도록 사용하여도 휨이 발생하기 않아 바닥재로서 안정적으로 영구히 사용할 수 있다.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나무수직세부조각(120)은 다수개의 대나무 조각(5)을 수직으로 적층시켜 접합시키고, 일정폭을 가지면서 세부 조각으로 나뉘 도록 수직으로 절단한 조각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휠려는 물성을 중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대나무수직세부조각을 수직 적층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나무수직세부조각(120, 220)을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100, 200)의 상판(110, 210)과 하판(130, 230)에 설치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내구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대나무 바닥재(200)를 보여주며, 도2와는 중판이 동일하고, 상판과 하판은 상기 중판(220, 225)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대나무수직세부조각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한다.
왜냐하면, 상기 대나무수직세부조각(210, 230)의 단변측은 폭이 매우 좁아 장시간이 흘러도 좌우로 휘어짐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중판(120, 125)의 장변측 또는 단변측의 일측에는 조립시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중판(120, 125)의 장변측 또는 단변측의 일측이 상,하판(110, 130) 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하면 상기 튀어나온 부분이 삽입돌기를 형성하게 됨은 물론 상기 중판(120, 125)의 다른 장변측 또는 다른 단변측의 일측이 상,하판(130) 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하면 상기 들어간 부분이 삽입홈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대나무 바닥재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대나무수직세부조각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중판의 삽입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제조방법 중 접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100)를 이루는 상판(110), 중판(120, 125) 및 하판(130)의 대나무 조각과 대나무수직세부조각을 준비한다.
여기서 상판(110), 중판(120, 125) 및 하판(130)의 대나무 조각은 동일한 무늬를 가진 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판(110), 중판(120, 125) 및 하판(130)의 대나무 조각과 수직 세부 조각의 측면을 접합시킨 채로 수평으로 나열하여 대나무 원판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110; a공정), 중판(120, 125; b공정) 및 하판(130; c공정)의 대나무 조각과 수직 세부 조각의 측면은 소정의 대나무 전용 접합재로 접합을 한다.
계속하여 상기 대나무 원판을 대나무 바닥재(100)를 제조할 수 있는 상태로 자른다(cut).
특히, 도7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측 방향으로 절단할 경우 도4의 상판(210)과 하판(230)에 삽입되고, (나)측 방향으로 절단할 경우 도2의 중판의 가운 데 부분(120)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잘라진 대나무 원판을 상판(110), 중판(120, 125) 및 하판(130)의 순서대로 배열하여 접합시킨다.
여기서 상판(110)과 하판(130)은 서로 맞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대나무 바닥재(100)는 상판(110), 하판(130)과 중판(120, 125)을 각각 별도로 원판으로 제작하고 나중에 절단하여 접합함으로서 작업 공수를 줄이고 제작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100)는 중판 내부 단변측의 대나무수직세부조각이 수직되게 적층됨으로써 휠려는 물성을 중성화시켜 오래도록 사용하여도 단변측 길이방향으로 휨이 발생하지 않아, 상판(110)과 중판(120, 125)의 접착이 떨어져 들뜨지 않고, 이러한 중판(120, 125)의 왜곡현상에 의한 대나무 바닥재 전체적인 뒤틀림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1a,b,c,d는 종래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의 측면을 절단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대나무수직세부조각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중판의 삽입 효과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 바닥재의 제조방법 중 접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5 : 대나무 조각 100, 200 : 대나무 바닥재
110 : 상판 120, 220 : 대나무수직세부조각
125, 225 : 대나무 측면 조각 130 : 하판
Claims (3)
- 대나무로 이루어진 상판, 중판 및 하판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대나무 바닥재에 있어서,상기 상판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진 대나무 조각의 표면이 바깥쪽으로 가도록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고,상기 하판의 바깥쪽 표면은 상기 상판의 표면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상기 중판은 장변측 최외각부의 양면에 대나무 조각이 상기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대나무 측면조각과, 중간면에 상기 단변측 길이방향으로 수직 배열되는 대나무수직세부조각을 포함하되,상기 중판의 장변측 또는 단변측의 일측에는 조립시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돌기 또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바닥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중판의 중간면의 단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대나무수직세부조각은,다수개의 대나무 조각을 수직으로 적층시켜 접합시키고, 일정폭을 가지면서 세부 조각으로 나뉘도록 수직으로 절단한 조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바닥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상판과 하판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진 상기 대나무수직세부조각이 장변측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바닥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6143A KR101093293B1 (ko) | 2008-09-30 | 2008-09-30 | 대나무 바닥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6143A KR101093293B1 (ko) | 2008-09-30 | 2008-09-30 | 대나무 바닥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6763A true KR20100036763A (ko) | 2010-04-08 |
KR101093293B1 KR101093293B1 (ko) | 2011-12-14 |
Family
ID=4221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6143A KR101093293B1 (ko) | 2008-09-30 | 2008-09-30 | 대나무 바닥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329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60393A (zh) * | 2013-09-06 | 2017-05-31 | 郑牧之 | 免漆竹地板及其制造方法 |
CN109822709A (zh) * | 2019-03-01 | 2019-05-31 | 苏州金象木业有限公司 | 防潮抗变形耐地热硬木地板的制备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93524A (zh) * | 2016-07-18 | 2016-12-07 | 浙江永裕竹业股份有限公司 | 一种复合重竹地板 |
WO2019183677A1 (en) * | 2018-03-27 | 2019-10-03 | Lifewood International Pty Ltd | Composite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33133B2 (ja) | 1999-04-01 | 2003-08-04 | 株式会社三葉 | 竹集成床材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竹集成床材と、その竹集成床材を用いた床構造 |
KR200358864Y1 (ko) | 2004-05-07 | 2004-08-11 | 임동문 |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
KR200374083Y1 (ko) | 2004-10-25 | 2005-01-27 | 이경근 | 대나무 바닥재 |
-
2008
- 2008-09-30 KR KR1020080096143A patent/KR10109329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60393A (zh) * | 2013-09-06 | 2017-05-31 | 郑牧之 | 免漆竹地板及其制造方法 |
CN106760393B (zh) * | 2013-09-06 | 2019-01-18 | 郑牧之 | 免漆竹地板及其制造方法 |
CN109822709A (zh) * | 2019-03-01 | 2019-05-31 | 苏州金象木业有限公司 | 防潮抗变形耐地热硬木地板的制备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3293B1 (ko) | 2011-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3293B1 (ko) | 대나무 바닥재 | |
WO2009030132A1 (en) | A jointless lengthened bamboo section material and a method thereof | |
CN105751326A (zh) | 一种实木板材 | |
US7960004B2 (en) | Glue-laminated bamboo furniture | |
KR100688878B1 (ko) | 온돌마루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CN201152004Y (zh) | 一种抗变形地板 | |
KR101702941B1 (ko) | 내구성을 향상시킨 목재패널 및 제조방법 | |
CN104401046B (zh) | 一种榫卯结合的木质工程材点阵夹芯结构的制备方法 | |
CN205521791U (zh) | 一种实木板材 | |
KR101725863B1 (ko) | 3겹합판으로 한 강마루 바닥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마루 바닥재 | |
CN201011103Y (zh) | 小拼木结合指接实木地板 | |
KR101166284B1 (ko) | 클릭 합판마루 | |
CN204414671U (zh) | 一种新型榫卯结合的木质工程材点阵夹芯结构 | |
KR101067442B1 (ko) | 휨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마루 | |
CN102225561A (zh) | 硬木同向拼板及其制作方法 | |
CN205348682U (zh) | 具有纵横透气性能的实木地板基材及其实木地板 | |
CN210482873U (zh) | 一种快捷拼装铝地板 | |
KR100900574B1 (ko) | 소나무 마루판의 제조방법 | |
JP2007046386A (ja) | 建築用化粧部材 | |
CN201835699U (zh) | 烧结门板 | |
CN111255189A (zh) | 一种实木地板基材及其实木地板 | |
KR101037657B1 (ko) | 건축물용 조립식 바닥재 | |
CN202359786U (zh) | 一种实木炭化复层双榫斜槽地板 | |
CN216031422U (zh) | 一种竹木复合式立芯板 | |
CN216139092U (zh) | 一种多层环保生态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