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184A -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 - Google Patents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184A
KR20100031184A KR1020080090148A KR20080090148A KR20100031184A KR 20100031184 A KR20100031184 A KR 20100031184A KR 1020080090148 A KR1020080090148 A KR 1020080090148A KR 20080090148 A KR20080090148 A KR 20080090148A KR 20100031184 A KR20100031184 A KR 20100031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vegetation mat
frame
vegetation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878B1 (ko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8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1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끼식물을 이용한 녹화용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은 내부에 이끼식물이 고정되어 있는 평판형상의 망상체와 상기 평판상의 망상체 내부의 평면 일면에 적층 고정되는 건조물 이끼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건조물 이끼층이 가진 수분보유력과 수분흡수력을 이용하여 녹화용 이끼식물의 배지로서 활용하고, 건물구조물이나 경사진 토양 면의 녹화에 효율적인 활착과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끼식물을 녹화수단으로 활용함에 있어, 건조물 이끼를 활용하여 관수의 필요성을 최소화하는 한편 외부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가능하고, 이끼식물의 균등하고 효율적으로 양생할 수 있는 녹화용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끼식물, 건조물 이끼, 녹화구조물, 저류시스템

Description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SUBSTRATE FOR CULTIVATING MOSS AND FRAME STRUCTURE OF GROWING MOSS PLANT}
본 발명은 이끼식물을 이용한 녹화용 식물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끼식물을 녹화수단으로 활용함에 있어, 건조물 이끼를 활용하여 관수의 필요성을 최소화하는 한편 외부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가능하고, 이끼식물의 균등하고 효율적으로 양생할 수 있는 녹화용 식생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녹화용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옥상 등 인공구조물 상부에 적용하기 위한 구조물을 단위모듈화 함으로써, 식생매트를 이용한 방음벽, 저류형 이끼 정원시스템, 경사면의 녹화에 적용가능한 녹화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심지의 벽면이나 담장,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교각,등에 덩쿨 식물 들을 심어 피복하는 인공 녹화사업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친환경적인 도심지 환경조성을 위해 인공 구조물 상부를 녹화하는 방법으로 인위적으로 식물을 인공 구조물의 바닥면을 피복하여 녹화를 진행시키는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는 현대사회의 관심사인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에 관한 문제에 부응한 온실 효과 가스 배출 등의 세부적인 문제에 맞물려, 그린 에너지의 도입이나 에너지 소비효율의 향상 및 에너지 소비량 자체의 절약 등의 방안으로 도시부의 녹화사업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녹화용 식생 기판(100)이라는 구조물은 도시녹화에 사용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즉 상기 식생 기판(100)을 단위 패널형으로 제작하여 녹화기술과 건축기술을 일체화시켜 생태적인 건물외피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식생 기판은 단위 패널형으로 외벽구조체(110)를 마련하고, 상기 외벽구조체 상부에 이끼분쇄물이 함유된 식생판(120)을 구비하고, 이러한 식생판이 부착된 외벽구조체를 인공 구조물의 바닥면에 붙이는 방식을 취하여 왔다. 또는 제지 슬러지와 황토 이끼 분쇄물 등을 혼합한 물질로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히 또 다른 방식의 식생판의 형태로, 식생매트로 활용시에 생육기반이 되는 기반의 형성을 제지 슬러지와 황토, 이끼 분쇄물을 혼합하여 식생판을 형성하는 경우에, 이끼매트가 가지는 생육환경에 관수 시스템이나 외부의 강우 등으로 이끼가 소실되거나, 활착이 이루어 지지 못하는 치명적인 생육환경에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녹화용 구조물로서 이끼 식물을 활용하는 식생 매트에 있어서의 안정적인 관수 구조와 평지 및 녹화지, 경사지에서의 안정적인 부착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식생매트 및 녹화구조물에 대한 필요성이 강하게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끼식물을 녹화수단으로 활용함에 있어, 건조물 이끼를 활용하여 관수의 필요성을 최소화하는 한편 외부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가능하고, 이끼식물의 균등하고 효율적으로 양생할 수 있는 녹화용 식생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녹화용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녹화를 구현할 수 있는 녹화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이끼식물이 고정되어 있는 평판형상의 망상체; 상기 평판상의 망상체 내부의 평면 일면에 적층 고정되는 건조물 이끼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를 제공하여, 건조물 이끼가 가진 수분보유특성과 수분 흡수능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이끼식물의 활착이 가능한 녹화용 식생매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평판형상의 망상체의 적어도 1 이상의 부위를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를 제공하여, 식생매트 내부에 고르게 배치되어 있는 이끼식물과 건조물 이끼층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수직으로 배치시켰을 경우에 중력이나 수분 보유로 인한 자체하중으로 아래쪽으로 몰리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인 구도로 식생매트의 골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인공 재봉부재를 사용하여 식생매트 의 일정 부위를 재봉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재는 내청(anti-rust)성질을 가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를 제공하여 수분을 상시 접촉하는 환경에서 내식, 내청의 성질을 보유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술한 식생매트를 고정하여 생육시키는 생육구조물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생육과 녹화를 구현할 수 있는 구조물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내부가 비어있는 내부관라인 구조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110)과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관라인의 홀에 삽입하여 결합되는 삽입고정부(121)를 구비한 앵글프레임(120), 상기 메인프레임과 앵글프레임의 결합으로 생기는 구조물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130)로 생성되는 생육프레임(100)과 상기 생육프레임의 내부에 충진되는 수분공급부재(140)와 상기 생육프레임의 상부면에 내부에 이끼식물이 고정되어 있는 평판형상의 망상체(1)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술한 녹화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적어도 1 이상의 다공성 투과홀(131)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메인프레임 및 앵글프레임의 내부 면에 형성된 단차부(P)에 배치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은, 상기 생육프레임(100)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식생매트 부분을 보완고정하는 외부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생매트에 형성되는 상기 수분공급부재(140)는 건조물 이끼, 모래 또는 이들의 결합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하면에는 상기 수분공급부재(140)과 연결되는 관수유닛(31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관수유닛(310)은 상기 다공성 투과홀(130)에 연결되는 관수유도부재(312)와 상기 관수유도부재(312)내에 충진되는 관수용충진부재(3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관수용충진부재(311)는 흡수천부재와 건조물 이끼가 결합된 혼합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관수유도부(312)는 메쉬형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녹화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내부프레임 또는 외부프레임을 수용하는 외부수조(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끼식물을 녹화수단으로 활용함에 있어, 건조물 이끼를 활용하여 관수의 필요성을 최소화하는 한편 외부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가능하고, 이끼식물의 균등하고 효율적으로 양생할 수 있는 녹화용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물 이끼층을 활용한 식생매트를 기능성 녹화구조물 또는 저수조와 결합하여 평면지, 벽면구조물 또는 경사면에 녹화구조물을 설치하는 공사공정 및 관리보수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의 S1단계를 살펴보면, 하부에 평판형상의 망상체(10)을 놓고, 그 상부에 건조물 이끼층(20)을 형성하며, 상기 건조물 이끼층(20)에 이끼식물을 고정한 후(S2 단계), 상기 이끼식물이 고정된 위에 다시 평판형상의 망상체(10)를 덮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식생매트를 형성하게 된다.
도 2b에 도시된 (a)는 상기 이끼식물과 건조물 이끼층이 고정된 평판형상의 망상체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평판형상의 망상체(10)의 내부에 이끼식물(30)과 건조물 이끼(20)가 적층된 구조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의 제조 공정의 순서는 역순으로 진행되어 평판형상의 망상체 위에 이끼식물을 놓고 그 위에 건조 물이끼를 놓는 구조이더라도 이를 뒤집는 경우에는 동일한 구조의 식생매트가 형성되므로, 제조 공정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식생매트의 후면을 형성하는 평판형상의 망상체의 경우에는 동일한 재질의 평판형상의 망상체가 아닌 다른 재질의 판상체라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불 투수성의 내식성 재질의 망상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평판형상의 망상체(10)의 형상은 판모양의 다양한 형상도 가능하 나,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모양이 바람직하며, 경사지의 모양이나 부착될 지역의 특수성에 따라 다각형 형상 등 그 형상상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끼식물이 고정되고 있는 평판형상의 망상체(10)에 대하여 상기 평판형상의 망상체의 한쪽 면의 전체 면을 건조물 이끼층으로 적층시키고, 그 상부에 이끼식물을 고정한 후 그 상부에 다시 평판형상의 망상체층을 형성하여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평판형상의 망상체층의 전체 면에 걸친 건조물 이끼에서 수분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해, 상기 평판형상의 망상체에 고정된 이끼식물을 양생 및 활착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평판형상의 망상체(10)은 그물형 메쉬(mesh)구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그물코의 크기가 5mm~3cm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2cm 정도이다. 특히 상기 망의 표면화 개구율은 60~98%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95% 정도이다. 상기 망상체(10)의 두께는 5mm~4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2cm이다. 그 재질은 플라스틱, 고무, 합성수지, 금 등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일단 탄력이 있어서 접어서 가공이 용이하고, 경시적으로 내구성 내부식성이 뛰어난 소재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내장성이 뛰어난 금속이 망상체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앵커매트"로 알려져 있는 연약지만 안정 등의 용도에 이용되는 망상체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또 그 소재로는 플라스틱, 고무, 금속 등 종류를 한정하지 않고 접어서 구부리기가 용이하고 내장,내식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등의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끼식물(30)은 통상의 재배법으로 얻은 이끼식물을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생장한 이끼식물의 군락의 정부 근방을 절단하여, 절단한 이끼식물의 단편을 수확물로서 이용해 절단된 이끼식물의 군락의 양생을 계속 실시하며, 이러한 양생과 수확의 사이클을 반복하여 이끼식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이끼식물의 군락은 천연의 이끼식물의 군락이던, 통상의 팔레트 재배로 얻을 수 있는 군락이든, 이끼식물을 고정한 인공기반을 양생하여 얻을 수 있는 군락이던 무방하다. 또한 이끼 식물의 군락의 정부 근방을 절단하는 시기는 상기 이끼식물이 대체로 23cm 에 이른 시점이 가장 적당하다. 이끼식물의 군락의 정부 근방의 절단은 이끼식물의 군락의 상부(초록이 많은 부분)를 절단기구를 이용하여 절단하거나, 빗자루 솔 등으로 군락의 상부를 쓸어 주듯이 함으로써 이끼식물의 정부 근방이 용이하게 절단되어 원하는 이끼식물의 단편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절단 공정의 뒤, 절단하여 얻은 이끼식물의 단편은 "수확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끼식물의 근간이 되는 이끼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절단된 후의 이끼 식물의 군락은 양생을 계속함으로써, 이끼식물을 다시 생장시킬 수 있다. 양생과 절단, 수확의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이끼식물의 단편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어 얻을 수 있는 이끼 식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이러한 건조물 이끼의 일예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물이끼는 이끼식물 선류 물이끼과 물이끼속(Sphagnum L.)에 속하는 모든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아트리쿰 운둘라툼(Atrichum undulatum)(Hedw.) 피. 베아우브(P. Beauv)(Namigata-Tachigoke) 등의 아트리쿰 피. 베아우브(Atrichum P. Beauv.)(Tachigoke-zoku); 포고나툼 인플렉숨(Pogonatum inflexum)(Lindb.)랙.(Lac.)(Ko-sugigoke) 등의 포고나튬 피. 베아우브(Pogonatum P. Beauv)(Niwa-sugigoke-zoku); 폴리트리카스트룸 포르모숨(Polytrichastrum formosum)(Hedw.) 지.엘. 스미스(G.L. Smith) 등의 폴리트리카스트룸 지.엘. 스미스(Polytrichastrum G.L. Smith)(Miyama-sugigoke-zoku); 폴리트리쿰 콤뮨헤듀 (Polytrichum commune Hedw.)(Umasugigoke)등의 폴리트리쿰 헤듀.(Polytrichum Hedw.)(Sugigoke-zoku); 세라토돈 푸르푸레우스(Ceratodon purpureus)(Hedw.) 버드.(Bird.)(Yanoueno-akagoke) 등의 세라토돈 버드.(Ceratodon Bird.)(Yanouenoaka-gokezoku);디크라눔 자포니쿰 미트.(Dicranum japonicum Mitt.)(Shippogoke), 디크라눔 니포넨세 베슈(Dicranum nipponense Besch)(O-shippogoke), 디크라눔 스코파리움 헤듀.(Dicranum scoparium Hedw.)(Kmojigoke), 디크라눔 폴리세툼 에스더블유.(Dicranum polysetum Sw.)(Nami-shippogke) 등의 디크라눔 헤듀.(Dicranum Hedw.)(Shippogoke-zoku); 레우코브리움 스카브룸 랙.(Leucobryum scabrum Lac.)(0-shiragagoke), 레우브리움 주니페로이데움(Leucobryum juniperoideum)(Brid.) 씨. 물.(C. Mull.)(Hosoba-okinagoke) 등의 레우코브리움 햄페(Leucobryum Hampe)(Shiragagoke-zoku); 브리움 아르젠테움 헤듀.(Bryum argenteum Hedw.)(Gingoke) 등의 브리움 헤듀.(Bryum Hedw.)(Hariganegoke-zoku); 로도브리움 기간테움(Rhodobryum giganteum)(schwaegr.) 파르.(Par.)(Okasagoke)등의 로도브리움(Rhodobryum)(Schimp.) 햄페(Hampe)(Kasagoke-zoku), 플라기오니움 아쿠툼(Plagiomnium acutum)(Lindb.) 티. 콥.(T. Kop.)(Kotsubogoke) 등의 플라기 오니움 티. 콥.(Plagiomnium T.Kop.)(Tsuruchochingoke-zoku); 트라키시스티스 마이크로필라(Trachycystis microphylla)(Dozy et Molk.) 린드브.(Lindb.) (Kobano-chochingoke) 등의 트라키시스티스 린드브.(Trachycystis Lindb.)(Kobano-chochingoke-zoku);피르호브리움 도지아눔(Pyrrhobryum dozyanum)(Lac.) 마누엘(Manuel)(Hinokigoke) 등의 피르호브리움 미트.(Pyrrhobryum Mitt.)(Hinokigoke-zoku); 바르트라미아 포미포르미스 헤듀.(Bartramia pomiformis Hedw.)(Otamagoke)등의 바르트라미스 헤듀.(Bartramia Hedw.)(tamagoke-zoku); 클리마시움 덴드로이데스(Climacium dendroides)(Hedw.) 웹. 에 모흐르(Web. et Mohr)(Furoso), 클리마시움 자포니니시움 린드브.(Climacium japonicium Lindb.)(Koyano-mannengusa) 등의 클리마시움 웹. 에 모흐르(Climacium Web. et Mohr)(Koyano-mannengusazoku);라코미트리움 에리코이데스(Racomitrium ericoides)(Web. et Brid) 브리드(Brid)(Hai-sunagoke), 라코미트리움자포니시움 로지 에 몰크.(Racomitrium japonicium Dozy et Molk.)(Ezo-sunagoke), 라코미트리움 카네스센스(Racomitrium canescens)(Hedw.) 브리드. 에스에스피. 라티폴리움(Brid. ssp. latifolium)(Sunagoke), 라코미트리움 바르블로이드스 카드.(Racomitrium barbuloides Card.)(Kobanosunagoke) 등의 라코미트리움 브리드.(Racomitrium Brid.)(Shimofurigoke-zoku); 힙눔 플루마에포르메 윌스.(Hypnum plumaeforme Wils.)(Haigoke) 등의 힙눔 헤듀.(HypnumHedw.), 놈. 콘스.(nom. cons.)(Haigoke-zoku); 투이디움 카네다에 색.(Thuidium Kanedae Sak.)(Toyama-shinobugoke) 등의 투이다움 브루취 에 쉼프. 인 비.에스.지.(Thuidium Bruch et Schimp. in B.S.G.)(Shinobugoke-zoku)등을 들 수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끼 식물은 한 종류의 이끼식물을 이용하는 것은 물론 2종 이상을 조합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강한 일조를 좋아하는 이끼 식물(이를 테면, 스나고케, 트노고케)과 응달을 좋아하는 이끼식물(이를 테면, 하이코케, 십포고케, 히노키고케, 카사코케 등)을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본 재배체가 사용되는 일조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이끼식물의 생육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조물 이끼층은 상기 녹화용 이끼층이 생육할 수 있는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그 수분흡수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물 이끼는 엽록소를 상실하고 건조된 것을 말하나, 이끼류의 경우 수분이 없는 환경하에서는 건조된 상태로 존재하다 수분을 흡수하는 경우 다시 생명활동을 재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식물인바, 본 발명에서는 건조물 이끼층을 멸균사멸처리를 하여 오로지 수분흡수능 만을 보유한 건조물 이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물 이끼의 가장 큰 물리적 특성은 수분흡수능과 수분전파력을 들수 있으며, 통상의 경우 건조물 이끼로 형성된 본원발명의 건조물 이끼층은 수직방향으로 수분을 자연흡수하는 경우 수직으로 45cm 이상을 중력에 대항하여 상승할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수분을 전파하는 것은 수분이 공급되는 한은 면적에 무관히 가능하다.
건조물 이끼층을 형성하는 건조물 이끼는 그 종류에 무관히 수분흡수능이 확보되며, 멸균사멸처리된 건조물 이끼이라면 무방하다. 이러한 건조물 이끼의 일예 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물이끼는 이끼식물 선류물이끼과 물이끼속(Sphagnum L.)에 속하는 모든 것을 의미하고, 상술한 이끼류를 포함하며, 나아가 구체적으로는 오오 물이끼(Sphagnum palustre L.), 이보 물이끼(Sphagnum papillosum Lindb), 무라사키 물이끼(Sphagnum magellanicum Brid.), 키레하 물이끼(Sphagnum aongstroemii c.Hartm), 키다치 물이끼(Sphagnum compactum DC), 코아나 물이끼(Sphagnum microporum Warnst.ex Card), 코노마 물이끼(Sphagnum calymmatophyllum Warnest.& Card), 코가미 물이끼(Sphagnum subsecundum Nees ex Sturm), 오소바 물이끼(Sphagnum girgensohnii Russow), 타민 물이끼(Sphagnumfuscum,(Schimp.)H.Klingger.), 히메 물이끼(Sphagnum fimbriatum Wilson ex Wilson & Hook.f.), 스기하 물이끼(Sphagnum capillifolium(Ehrh.)Hedw.), 오소베리 물이끼(Sphagnum junghuhnianum Dozy&Milk. Subsp.Pseudomolle(Warnest.)H.Suzuki), 우타 물이끼(Sphagnum tenellum Hoffm), 하리 물이끼(Sphagnum cuspidatum Hoffm), 아오모리 물이끼(Sphagnum recurvum P. Beauv), 우로코 물이끼(Sphagnum squarrosum Crom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물이끼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2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끼식물과 건조물 이끼의 적층을 한 후에는 평판형상의 망상체의 외곽의 다수부분과 망상체의 면의 일정부분을 고정부재(40)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된 도면에는 "C-링거"라고 알려져 있는 건 형태의 결속장치(41)를 이용하여 링 상태의 고정부재를 결속수단으로 식생매트를 상하 2층의 망상체와 그 내부의 건조물 이끼층과 이끼식 물을 결속시키고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평판형상의 망상체에 내부에 충진 고정된 이끼식물과 건조물 이끼층이 상기 평판형상의 망상체와 단단하게 고정되는 효과와 아울러, 수직 벽면구조에 설치하거나,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라도 강우나 중력, 자체하중 등에 의한 누실이나 한쪽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막아 보다 안정적인 구조의 식생매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부재는 다양한 소재를 활용할 수 있으며, 종류도 실, 와이어, 고정핀 등 그 형상은 무관하며, 바람직하게는 내식, 내청에 강한 소재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부재를 이용한 점 적인 고정방식 외에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변형예로는 식생매트 전면을 일정 간격으로 박음질하여 보다 안정적은 고정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방식의 점적인 방식의 고정에 비해 설치장소의 변경, 바닥면이나 경사지, 수직벽면 어느 곳에 설치하여도 내부의 이끼층이나 건조물 이끼가 한쪽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막아 매트 전체에 균일한 분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의 압력등으로 인한 손실의 우려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평판형상의 망상체에 이끼식물 또는 건조물 이끼를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이 한정되지 않으며, 손으로 밀어넣거나, 수압이나 풍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평판형상의 망상체 위에 건조물 이끼, 이끼식물을 적층하거나, 반대로 이끼식물적층 후, 그 위에 건조물 이끼를 적층하여 뒤집는 구조 등 어느 제조방법에 의하던 모두 수동이나 수압,풍압 등으로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망상체의 내부로 고정시킬 수 있다.
만일 이끼식물을 상기 평판형상의 망상체에 고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이끼식물을 고정한 망상체의 넓은 평면 전면에 걸쳐, 건조물 이끼를 적층 고정하되, 물에 침지한 건조물 이끼를 수분을 탈수하고 상기 망상체의 넓은 평면의 어느 쪽이던 한쪽에만 전면에 깔고, 건조물 이끼층을 제작하여 이끼식물을 그 위에 수압 풍압을 이용해 밀어넣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구조물의 구성 및 적용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를 장착 및 생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생육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메인프레임(110), 앵글프레임(120)으로 결합되는 생육프레임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경우에는 상부와 하부가 일정한 단차(P)를 지닌 구조로 형성되며, 각각의 메인프레임의 외각 모서리 연결부위에는 앵글프레임(120)을 메인 프레임에 끼워 결합하여 사각형의 틀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부에는 내부관라인(111)이 형성되고(즉 내부관라인은 상기 앵글프레임(120)에 형성되는 삽입고정부(121)의 직경과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임.) 이 내부관라인에 상기 삽입고정부(121)이 결합되어 틀이 형성되게 된다.
특히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연질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메인 프레임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것처럼 단지 사각형의 틀에서 나아가 가로 세로의 변의 크기를 달리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상으로 변형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다양한 녹화구조물을 필요로 하는 공간에 다양한 형상을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어 그 활용성 및 경제성, 효율성이 현저하게 증진될 수 있는 범용성이 구비된다.
상기 생육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사각형의 틀(도 3a의 (a)도면참조)은 내부가 개구된 형상이며, 따라서 상기 개구된 면에 지지플레이트(130)와 같은 평판형상의 지지부재가 상기 단차(P)에 걸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제시된 사각의 틀(110,120) 형상에 상술한 지지플레이트(130)가 결합한 생육프레임(100)에 상술한 식생매트를 결합한 녹화구조물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메인프레임의 단차에 지지플레이트(130)가 배치되어 상부면으로만 개구된 형태의 생육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생육프레임의 내부공간에는 수분공급부재(140)이 충진된다. 그리고 수분공급부재(140)가 충진된 상기 생육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상술한 식생매트(1)가 배치된다. 이 경우 식생매트는 상기 생육프레임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형태로는 상기 생육프레임의 측면까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고정되거나, 생육프레임의 측면을 따라 외부프레임(200)을 더 형성하여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형태(도시된 것)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내부에는 메인 및 앵글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생육프레임(내부프레임)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이끼매트를 연결한 후, 외부에는 외부프레임을 끼우으로써 매트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외관 향상 및 생육을 조장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에는 적어도 1 이상의 다공성 투과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되는 생육프레임은 하부에 수조(미도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도 있으며, 나아가 생육프레임을 겹쳐서 적층시키는 구조로 활용하여, 녹화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도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생육프레임을 다단 구조로 적층시키고, 이러한 다단구조의 적층물을 하나 이상 형성하여 계단형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높이가 다른 생육프레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경우 각각의 생육프레임이 적층된 구조에서, 다단의 생육프레임의 상부면과 외측면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 즉 내부에 이끼식물이 고정되어 있는 평판형상의 망상체가 둘러싸는 구조의 매트를 설치하되, 적층된 생육프레임의 외벽을 감싸는 구조로하여, 외부에서 관찰시에도 생육프레임이 보이지 않고 녹화된 이끼식물만ㅇ르 보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여기에서 더 나아가 상술한 것처럼 생육프레임을 구성하는 메인프레임의 길이 조절을 하여 다양한 크기로 모듈화할 수 있으며, 외부프레임을 제거하고 내부의 생육프레임과 식생매트를 연결함으로써, 생육프레임의 측면부 까지 이끼가 생육하게 되어 녹화가 되지 않는 부분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육프레임을 다양한 적용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1)의 하부에 수분공급 부재(140), 그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13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에는 다공성투과홀(13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외부수조(300)가 형성될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생육프레임인 메인프레임과 앵글프레임은 생략하였다.) 하부수조 내부에는 소정의 물(water;w)이 담수되어 있다.
상기 관수유닛(310)은 상기 다공성투과홀(130)에 연결되는 관수유도부재(312)와 상기 관수유도부재(312)내에 충진되는 관수용 충진부재(311)을 포함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관수용 충진부재(311)는 상기 수분공급부재(140)과 동일한 건조물 이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등의 흡수천과 건조물이끼로 형성되거나 흡수천 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건조물 이끼만으로 형성되는 관수용충진부재는 건조물 이끼의 삽투압으로 수분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수분흡수능과 공급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장기간 사용하게 되는 경우 건조물 이끼의 분해 또는 부식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수분전달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부직포 등의 흡수천을 병합하는 경우 현저한 생육 조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된다.
또한, 상기 관수유도부재(312)는 기본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의 기둥형상이거나, 다각기둥 모양의 입체구조를 형성하되 내부는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쉬(mesh) 형태의 부재로 형성하여 원활한 수분유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4b에 도시된 구조는 기본적인 구조는 도 5a와 동일하나, 다른 점은 수분 공급부재(140)를 제거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1)와 관수유닛(310)으로 수분공급시스템을 구축한 녹화구조물이다. 다만,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위하여 생육프레임(100)을 도시된 것처럼 수조의 내측벽을 따라서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수유닛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관수용 충진부재(311)는 상기 수분공급부재(140)과 동일한 건조물 이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등의 흡수천과 건조물이끼로 형성되거나 흡수천 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구조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구조물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점은 생육프레임(100)을 형성하되 지지플레이트와 메인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며, 수분공급부재(140)의 상부면에 식생매트(1)를 형성하며, 관수유닛(310)을 형성하고 수조(300)에 담수된 수분을 상부의 이끼식물로 공급하는 것은 동일하다. 역시 수분공급부재(140)는 건조물이끼, 또는 보습기능이 있는 건조물이끼와 배수기능이 있는 모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것처럼 관수용충진부재는 건조물이끼, 또는 건조물이끼와 흡수천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에 식생매트(1)를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생육프레임(100)을 다수로 형성한 것이며, 그 외의 사항은 동일하다. 즉 생육프레임의 하부는 지지플레이트(130)로 형성하고, 여기에 관수유닛(310)을 배치하여 수분공급부재(140)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수분공급부재는 건조물 이끼만의 삼투압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조물 이끼와 흡수천을 혼합하여 수분을 공 급하도록 함이 수분공급의 균일한 효율을 보장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구조물의 이용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생육프레임(100)을 2단 또는 3단등 다단으로 형성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지만, 바른 적용례로서 수분공급부재(140)의 형상을 다양하게 조성하여 도시된 것 같은 입체형 형상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다양한 구조의 녹화구조물은 수분공급부재로 활용되는 건조물이끼와 더불어 흡수천등의 활용으로 수분의 공급효율을 극대화하는 한편, 다양한 녹화지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식생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녹화구조물을 형성하는 프레임들의 구조와 이를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녹화구조물의 다른 적용예이다.

Claims (16)

  1. 내부에 이끼식물(30)이 고정되어 있는 평판형상의 망상체(10);
    상기 평판상의 망상체(10) 내부의 평면 일면에 적층 고정되는 건조물 이끼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는 상기 평판형상의 망상체의 적어도 1 이상의 부위를 고정부재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평판형상의 망상체의 상부면을 균등한 간격 또는 불균등한 간격으로 재봉을 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청(anti-rust)성질을 가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5. 식생매트를 고정하여 생육시키는 생육구조물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있는 내부관라인 구조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110);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관라인의 홀에 삽입하여 결합되는 삽입고정부(121)를 구비한 앵글프레임(120);
    상기 메인프레임과 앵글프레임의 결합으로 생기는 구조물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130);로 생성되는 생육프레임(100)과
    상기 생육프레임의 내부에 충진되는 수분공급부재(140)와 상기 생육프레임의 상부면에는 내부에 이끼식물이 고정되어 있는 평판형상의 망상체(1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적어도 1이상의 다공성 투과홀(1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메인프레임 및 앵글프레임의 내부면에 형성된 단 차부(P)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은, 상기 생육프레임(100)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식생매트부분을 보완고정하는 외부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재(140)는 건조물 이끼, 모래 또는 이들의 결합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10. 청구항 6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하면에는 상기 수분공급부재(140)과 연결되는 관수유닛(31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관수유닛(310)은 상기 다공성 투과홀(130)에 연결되는 관수유도부재(312)와 상기 관수유도부재(312)내에 충진되는 관수용충진부재(3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관수용충진부재(311)는 흡수천부재와 건조물 이끼가 결합된 혼합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관수유도부(312)는 메쉬형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 또는 외부프레임을 수용하는 외부수조(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15.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생육프레임(100)을 적어도 1 이상 적층하여 다단으로 형성하며,
    상기 적층된 다단의 생육프레임의 상부면과 외측면을 내부에 이끼식물이 고정되어 있는 평판형상의 망상체(10)가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적어도 1이상의 다공성 투과홀(131)에 상기 수분공급부재(140)과 연결되는 관수유닛(31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용 녹화구조물.
KR1020080090148A 2008-09-12 2008-09-12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 KR101123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148A KR101123878B1 (ko) 2008-09-12 2008-09-12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148A KR101123878B1 (ko) 2008-09-12 2008-09-12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266A Division KR101123885B1 (ko) 2011-08-29 2011-08-29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184A true KR20100031184A (ko) 2010-03-22
KR101123878B1 KR101123878B1 (ko) 2012-03-15

Family

ID=4218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148A KR101123878B1 (ko) 2008-09-12 2008-09-12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8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52163C1 (ru) * 2010-10-27 2012-06-10 Игорь Анатольевич Ефремов Способ сохранения земельных участков
KR101304678B1 (ko) * 2011-10-31 2013-09-0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KR101337266B1 (ko) * 2012-01-19 2013-12-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실가스 저감용 습지조성방법
KR101374055B1 (ko) * 2012-01-30 2014-03-1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습지 조성용 생육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습지조성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007A (ja) * 2003-04-01 2004-11-04 Grid Frame:Kk 苔パネル
JP2005245408A (ja) * 2004-03-08 2005-09-15 Yoshitada Ihara 網状構造体を培地として選択された苔の固定化工法と緑化構造体。
JP2008193934A (ja) * 2007-02-09 2008-08-28 Tokai Univ 植生基板及びその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52163C1 (ru) * 2010-10-27 2012-06-10 Игорь Анатольевич Ефремов Способ сохранения земельных участков
KR101304678B1 (ko) * 2011-10-31 2013-09-0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KR101337266B1 (ko) * 2012-01-19 2013-12-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실가스 저감용 습지조성방법
KR101374055B1 (ko) * 2012-01-30 2014-03-1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습지 조성용 생육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습지조성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878B1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7391B (zh) 岩石坡面生态化治理方法
KR100876007B1 (ko) 무토양잔디
KR100876008B1 (ko) 카펫형 천연 지피식물에 의한 옥상녹화장치
CN206728695U (zh) 一种两栖式园林景观植物种植箱
CN105340507A (zh) 一种佛甲草屋顶绿化种植方法及屋顶绿化种植结构
KR101123878B1 (ko)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
RU2751851C1 (ru) Способ интенсивн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газона с обогащением почвы водой с помощью суперабсорбента при орошении
CN106718223A (zh) 一种用于城市立体绿化的高效节水型栽培容器及其应用方法
KR101123885B1 (ko)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구조물
CN108739550B (zh) 倒挂式综合立体种植的菜-虫-鱼的共作方法
KR101187777B1 (ko) 인공지반녹화에 적용가능한 식생블럭
CN204948899U (zh) 一种佛甲草屋顶绿化种植结构
CN114128556A (zh) 生长床及其制作方法、边坡修护方法
CN210275443U (zh) 一种应用于石斛栽培的温室立体栽培装置
KR101314887B1 (ko) 도심형 옥상 녹화 구조물
JP2004201632A (ja) 屋上緑化用培土、屋上緑化設備、屋上緑化方法
CN201752190U (zh) 一种蔬菜的盆栽结构
WO2000069249A1 (fr) Matiere de fixation permettant la croissance des racines
KR100625866B1 (ko) 식생기반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식생 배양방법
JP3088216U (ja) 緑化基材
JP4192270B2 (ja) 緑化構造並びに緑化施工方法
JP2012223156A (ja) 緑化ボード及び緑化システム
KR200388494Y1 (ko) 콘크리트에서도 잔디의 재배관리가 용이한 배수판
JP2001103836A (ja) 植物育成用マットおよび人工地盤の緑化方法
JP2004329139A (ja) 植生基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