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413A -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 Google Patents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413A
KR20100029413A KR1020080088191A KR20080088191A KR20100029413A KR 20100029413 A KR20100029413 A KR 20100029413A KR 1020080088191 A KR1020080088191 A KR 1020080088191A KR 20080088191 A KR20080088191 A KR 20080088191A KR 20100029413 A KR20100029413 A KR 20100029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ing
injector
coupl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760B1 (ko
Inventor
이철섭
임근택
이상희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1020080088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760B1/ko
Priority to EP09169669A priority patent/EP2161441B1/en
Priority to AT09169669T priority patent/ATE542996T1/de
Priority to CN2009101730621A priority patent/CN101672236B/zh
Publication of KR2010002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02M55/005Joints; Sealings for high pressure conduits, e.g. connected to pump outlet or to injector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젝터의 중간에 다른 관 등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 등 외력에 의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커넥터의 구속력을 증대시킨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는 인젝터에 형성된 끼움공에 삽입되는 끼움관부와, 상기 인젝터의 상기 끼움공의 주변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탄성 이동하며 끼워지는 삽입부가 포함되는 결합커넥터 및 상기 결합커넥터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를 상기 삽입홈에 누르는 가압부가 포함되는 잠금커넥터가 구비된다.
이로써, 인젝터와 탄성력을 가지며 삽입되는 결합커넥터의 삽입부를, 이 결합커넥터의 후단에서 결합되는 잠금커넥터의 가압부가 더욱 강하게 누름으로써 결합커넥터와 인젝터의 결속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인젝터, 커넥터

Description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Double locking connector for injector}
본 발명은 인젝터의 중간에 다른 관 등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 등 외력에 의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커넥터의 구속력을 증대시킨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인젝터는 연료와 공기가 섞인 혼합가스와, 이 혼합가스를 분사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케이블 등이 지나도록 내부가 빈 관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인젝터와 혼합가스의 공급관 및 케이블 등을 연결하기 위하여, 원통 형상인 인젝터의 측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각종 관이 결합되는 커넥터를 결합하여 인젝터와 다른 관들을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추후에 인젝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인젝터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커넥터와 인젝터의 결합은 단순한 끼움결합이나, 볼트와 너트를 조립 을 통하여 결합되기도 하지만 분리가 용이하도록 커넥터에 구비된 탄성 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탄성 수단은 탄성력을 가지는 클립, 밴드를 이용하거나, 커넥터 자체에 탄성력을 가지는 돌출편 등이 구비되어 탄성있는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성 수단에 의한 커넥터의 결합은 사용자가 탄성 수단의 탄성력을 이기도록 변형시켜 인젝터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지만, 자동차의 운행에 의하여 발생한 진동이 탄성 수단에 전달되어, 탄성 수단에 피로가 축적되고 결국 탄성력이 상실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자동차의 오랜 운행에 따라 탄성력을 잃어버린 커넥터는, 차량의 운행 중에 인젝터에서 스스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자동차의 운행 중 안전 사고가 발생될 위험도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의 진동에 의하여 인젝터에서 분리되지 아니하게 하도록 인젝터와 커넥터의 결합부분을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탄성 수단을 가져 인젝터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탄성 수단이 자동차의 진동에 불구하고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하여 피로에 의한 탄성력의 상실이 없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탄성 수단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탄성 수단을 고정하는 부재가 정확한 위치로 결합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한편, 원터치로 인젝터와 커넥터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서로 결합되는 2개의 커넥터를 밀어 한 번에 인젝터와 결합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2개의 커넥터간의 결합을 해제할 때, 인젝터와도 쉽게 분리될 수 있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구체적으로, 2개의 커넥터 간의 결합을 해제할 때, 탄성 수단을 이동시켜 커넥터를 인젝터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인젝터에 형성된 끼움공에 삽입되는 끼움관부와, 상기 인젝터의 상기 끼움공의 주변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탄성 이동하며 끼워지는 삽입부가 포함되는 결합커넥터 및 상기 결합커넥터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를 상기 삽입홈에 누르는 가압부가 포함되는 잠금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커넥터의 외곽을 이루는 하우징의 전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탄성있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부를 누르며 상기 삽입부의 탄성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삽입부를 향하여 돌출된 누름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가압부에 형성된 가압돌기가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결합커넥터의 후단 양측에는 걸림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커넥터의 후단부에는 상기 걸림공에 걸리는 락킹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결합커넥터와 상기 인젝터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잠금커넥터가 상기 결합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끼움관부의 측면에는 이송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의 전단부는 상기 이송턱을 타고 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잠금커넥터가 상기 결합커넥터에 삽입 시 상기 끼움관부를 상기 끼움공으로 밀도록, 상기 이송턱을 가압하는 이송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잠금커넥터에는 상기 잠금커넥터가 상기 결합커넥터의 후단으로 후퇴시, 상기 결합커넥터가 상기 인젝터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서 상기 삽입부를 탄성 이동시키는 걸림해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끝단 부분에는 양측으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끝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을 상기 끼움관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삽입홈에서 이탈되게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와 나란하게 이격 형성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를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따르면, 인젝터와 탄성력을 가지며 삽입되는 결합커넥터의 삽입부를, 이 결합커넥터의 후단에서 결합되는 잠금커넥터의 가압부가 더욱 강하게 누름으로써 결합커넥터와 인젝터의 결속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더하여, 가압부가 삽입부와 하우징 사이에 끼워져, 삽입부가 자동차의 진동 등에 의하여 탄성 이동하지 못하도록 억제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피로 누적으로 삽입부가 탄성을 잃어 결합커넥터가 인젝터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상승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에 누름턱이 더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압부가 삽입부를 더욱 강하게 누름으로써, 결합커넥터와 인젝터의 결합력이 더욱 상승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삽입홈에 가이드레일이 더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압부의 가압돌기가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끼워지므로, 가압부가 끼워지는 위치가 어긋나지 아니하게 되어 조립불량 및 잘못된 방향으로 조립하다가 가압부 등이 파손될 염려가 없게 되 어 더욱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결합커넥터에 구비된 플랜지의 걸림공에 잠금커넥터의 락킹턱이 걸려 고정됨으로써 잠금커넥터가 결합커넥터에 손쉽게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잠금커넥터를 결합커넥터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인젝터에 대고 밀면, 한 번에 인젝터와 결합커넥터의 결합 및 결합커넥터와 잠금커넥터의 결합이 모두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간편하여 사용자는 조립이 쉬워지며,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송턱과 이송돌기가 구비됨으로써, 결합커넥터와 인젝터의 결합이 이루어진 다음에 결합커넥터와 잠금커넥터의 결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잠금커넥터와 결합커넥터가 결합되면 결합커넥터와 인젝터의 결합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조립의 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결합커넥터에서 잠금커넥터를 후퇴시킬 때, 걸림돌기와 걸림턱에 의하여 완전히 분리되지 아니함으로써, 결합커넥터와 잠금커넥터를 별도로 보관함에 따라 어느 하나가 분실될 위험이 없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더하여, 걸림돌기가 삽입부를 삽입홈에서 이탈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한 번에 인젝터에서 결합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어, 편리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와 인젝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1)에는 인젝터(10)에 탄성 수단을 통하여 고정되는 결합커넥터(100)와, 이 결합커넥터(100)에 결합되며 탄성 수단을 고정하는 잠금커넥터(200)가 구비된다.
이때, 인젝터(10)는 대략 원통형상인 중공관이며, 이 인젝터(10)의 측면에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끼움공(11)이 형성되고, 이 끼움공(11)이 형성된 인젝터의 양 측면에는 함몰된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홈(12)은 끼움공(11)과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끼움공(11)의 주변과 삽입홈(12)의 주변은 내부로 함몰되어 평면(13)으로 이루어져, 결합커넥터(100)와 면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커넥터(100)에는 끼움관부(110)가 구비되어 끼움공(11)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결합커넥터(100)와 인젝터(10)의 결합은 삽입부(120)가 삽입홈(12)에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잠금커넥터(200)에는 몸체부(22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돌출된 걸림편(231)과 가압부(210)가 결합커넥터(10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이때 끼움관부(110)의 뒷부분은 몸체부(220)에 형성된 인출공(221)을 통과하여 후단으로 빠지게 결합된다.
한편, 잠금커넥터(200)는 결합커넥터(100)에 고정되기 위하여 볼트를 이용한 결합, 클러치 부재를 이용한 결합 등 다양한 결합으로 서로 결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잠금커넥터(200)와 결합커넥터(100)가 서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손쉽게 결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커넥터(100)의 후단 양측에는 걸림공(141)이 형성된 플랜지(140)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커넥터(200)의 후단부에는 상기 걸림공(141)에 걸리는 락킹턱(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턱(222)이 플랜지(140)를 벌리면서 잠금커넥터(200)가 결합커넥터(100)에 삽입되고, 이 락킹턱이 걸림공의 측면에 걸림으로써, 잠금커넥터가 결합커넥터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잠금커넥터를 강제로 후퇴시키면 플랜지가 벌어지면서 잠금커넥터가 결합플랜지의 후단으로 이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채용된 결합커넥터의 단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결합커넥터(100)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끼움관부(110)가 중심에 형성되고, 이 끼움관부(110)와 이격되면서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130)이 형성된다. 이때, 끼움관부(110)의 측면에는 끼움공(11)의 내면과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무링 과 같은 실링부재(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20)는 이 하우징(130)의 전단부, 즉 인젝터(10)에 삽입되는 부분의 하우징에서 탄성을 가지며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인젝터의 양측면에 형성된 삽입홀(12)에 대응되도록 결합커넥터(100)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한편, 끼움관부(110)의 측면에는 전단부(112a)가 경사진 이송턱(112)이 하우징에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이송턱과 하우징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가압부(210)가 탄성이동하며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 이송턱(112)의 전방면(113)은 인젝터의 끼움공(11) 주변과 접하여 결합커넥터(100)의 스톱퍼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삽입부가 도시된 도 3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삽입부(120)의 끝단부에는 결합커넥터(10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삽입돌기(122)가 형성된다. 이때, 삽입돌기(122)의 형상은 삽입홈(12)의 홈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삽입부(120)의 끝단부에는 길이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양측이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123)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걸림턱의 전단부(123a)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삽입부(120)의 중앙은 길게 홈이 형성되어 추후 설명되는 가압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1)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채용된 잠금커넥터의 단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잠금커넥터(200)에는 몸체부(220)의 양측에서 결합커넥터(100)에 삽입되는 가압부(210)가 길게 탄성있게 연장 형성되며, 양 가압부의 마주보는 면에는 가압돌기(211)와 이송돌기(21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가압돌기(211)의 전단부(211a)와 후단부(211b)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송돌기는 후단부(212b)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가압부(210)의 양측면에는 잠금커넥터(200)가 결합커넥터(100)의 후방으로 이동할 때, 잠금커넥터(200)가 결합커넥터(100)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아니하게 하면서, 결합커넥터(100)와 인젝터(1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걸림해제부(2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걸림해제부(230)는 몸체부(220)에서 가압부(210)와 나란히 이격되며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편(23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걸림편(231)은 가압부(210)보다 길게 형성되고, 나란하게 형성된 양 걸림편(231)의 마주보는 전단 부분에는 걸림돌기(232)가 형성된다. 이 걸림돌기(232)는 전단부(232a)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단부(232b)도 전단부의 경사와 대략 평행하게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도 5(a)와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채용된 결합커넥터의 가조립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와, 횡단면도이다.
원터치로 인젝터와 더블 락킹 커넥터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잠금커넥터(100)는 상기 결합커넥터(100)의 후단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커넥터(100)를 상기 인젝터(10)를 향하여 가압하고, 상기 결합커넥터(100)와 상기 인젝터(10)의 탄성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결합커넥터(100)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즉, 결합커넥터(100)가 인젝터(10)에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커넥터(100)를 가압하는 방향과, 잠금커넥터(200)가 결합커넥터(100)에 결합되기 위하여 잠금커넥터(200)를 가압하는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잠금커넥터(200)의 전단 일부분을 결합커넥터에 삽입한 상태(이하 '가조립'이라 함)에서 결합커넥터(100)의 전단을 인젝터(10)에 대고 한 번에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인젝터(10)와 더블 락킹 커넥터(1)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가압부(210)에 구비된 가압돌기(211)는 전단부(211a)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송턱(112)에 의하여 가압부(210)가 몸체부의 양측으로 벌어지는 탄성 이동을 하면서 잠금커넥터(200)가 결합커넥터(100)에 일부분 삽입된다.
이송돌기(212)는 가압부의 끝단 부분에 형성된 가압돌기(211)보다 몸체부에 가깝게 형성되어, 이송돌기(212)의 전단이 잠금커넥터의 가압 방향과 수직되게 이송턱(112)에 접함으로써 잠금커넥터(200)가 결합커넥터(100)에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걸리게 되는 것이다. 즉, 이송돌기(212)는 이송턱(112)에 걸리게 되므로, 잠금커넥터는 결합커넥터에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잠금커넥터를 밀면 결합커넥터도 인젝터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a)와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채용된 결합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보인 종단면와, 횡단면도이다.
이후, 잠금커넥터(200)를 인젝터(10)를 향하여 더욱 가압하게 되면, 잠금커넥터의 삽입부(120)는 인젝터의 삽입홈 주변 부분에 의하여 하우징(130)의 내벽면 쪽으로 밀려 이동되었다가, 인젝터의 측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된 삽입홈(12)에서 탄성력으로 복원되며 이 삽입홈에 끼워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가압부(210)의 끝단 부분은 인젝터(10)의 끼움공(11) 주변의 측면의 위치까지 삽입되며, 이후 결합커넥터(100)가 인젝터(10)로 밀려짐으로써, 삽입홈(12)의 주변에 의하여 삽입부(120)가 결합커넥터의 하우징(130) 쪽으로 탄성 이동할 때, 가압부(210)의 끝단이 인젝터의 측면에 의하여 결합커넥터의 하우징(130) 쪽으로 밀리게 된다.
이렇게 가압부(210)가 인젝터의 측면에 의하여 결합커넥터의 하우징(130) 방향으로 벌어짐으로써, 가압부(210)에 형성된 이송돌기(212)도 이송턱(112) 보다 외측으로 이동되어, 이송돌기(212)가 이송턱(112)을 지나 결합커넥터(100)로 더욱 깊이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결합커넥터가 인젝터에 결합된 다음에 잠금커넥터가 결합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로써, 결합커넥터(100)에 가조립된 잠금커넥터(200)를 인젝터(10)로 향하게 밀어, 인젝터와 결합커넥터의 결합 및 결합커넥터와 잠금커넥터의 결합이 순차적으로 한 번의 가압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조립이 간단하여 조립 작업이 편리해 지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삽입부가 자동차의 진동 등 외력에도 불구하고,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여 피로의 누적에 의한 탄성의 상실이 없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압부(210)는 상기 삽입부(120)와 상기 하우징(130) 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부(120)를 누르며 상기 삽입부(120)의 탄성 이동을 억제하게 구성된다.
더하여, 가압부(210)는 탄성 이동 가능한 삽입부(120)를 삽입홈(12)에 가압하여 결합커넥터(100)와 인젝터(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압부(210)는 탄성을 가져 삽입부(120)를 삽입홈(12)에 더욱 가압하는 기능을 갖거나,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삽입부(120)의 탄성 이동을 억제하며 삽입부(120)를 삽입홈(12)에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잠금커넥터가 결합커넥터에 결합하며 삽입부를 부가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결합커넥터와 인젝터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인젝터에서 결합커넥터가 쉽게 이탈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압부(210)는, 잠금커넥터와 결합커넥터 간의 결합시 결합커넥터의 하우징(130)과 삽입부(120) 사이의 공간에 끼워져 삽입부(120)를 삽입홈(12)에 강하게 압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압부(210)의 두께는 적어도 삽입부(120)가 삽입홈(12)에 끼워졌을 때, 삽입부(120)에서 결합커넥터의 하우징(130) 내벽면까지의 길이보다 두껍 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 조건에 의하여 가압부(210)가 삽입부(120)를 삽입홈(12) 쪽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가압부(210)가 결합커넥터의 하우징(130)과 삽입부(120) 사이에 빈틈없이 끼워짐으로써, 삽입홈에 끼워진 삽입부(120)는 자동차에서 발생한 진동 등 외력에 의하여 탄성 이동이 억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젝터(10)에 오랜 기간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도 진동에 의하여 탄성력을 잃지 아니하게 된다.
한편, 삽입부(120)를 삽입홈(12)에 누르는 가압부(210)의 압력이 증대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결합커넥터의 하우징(130)에는 상기 삽입부를 향하여 돌출된 누름턱(1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누름턱(131)은 삽입부(120)와 하우징(130) 간의 공간의 폭을 줄여 가압부(210)가 보다 강한 힘으로 삽입부를 삽입홈을 향하여 누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결합커넥터(100)와 잠금커넥터(200)의 결합 방향에 따라 가압부(210)가 삽입부(120)와 하우징(130) 사이에 자연스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일단에 경사면(131a)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누름턱(131)으로 인하여 가압부(210)의 고정력이 더욱 증가하므로, 결합커넥터와 인젝터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삽입부를 누르는 가압부가 삽입부와 하우징 사이의 정확한 위치에 결 합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120)에는 상기 가압부(210)에 형성된 가압돌기(211)가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1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부(210)는 길게 형성되는 판 형상이며, 이 판 형상의 끝단부에는 삽입부(120)를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삽입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211)가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120)에는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삽입돌기(122)가 구비되며, 이 삽입돌기(122)가 구비된 반대면의 중앙에는 가압돌기(211)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레일(121)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가압부(210)가 결합커넥터의 하우징(130)과 삽입부(120) 사이로 진입할 때, 가압부에 형성된 가압돌기(211)가 가이드레일(121)의 홈을 타고 진입할 수 있게 되어, 가압부가 삽입부의 중앙 부분을 정확히 누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가압부(210)가 삽입부(120)를 정확한 위치에서 가압할 수 있어, 결합커넥터와 잠금커넥터의 결합이 매번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어, 결합 중 변형에 의한 조립 불량과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도 7(a)와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채용된 결합커넥터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와,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락킹 커넥터(1)는 인젝터(10)와 분리시 잠금커넥터(200)와 결합커넥터(100)와의 결합을 해제하면서, 잠금커넥터(200)를 결합커 넥터(100)의 후방으로 후퇴시 결합커넥터(100)와 인젝터(10)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해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잠금커넥터(200)와 결합커넥터(100) 간의 결합의 해제는, 전술된 결합커넥터의 플랜지가 벌어지면서 잠금커넥터(200)를 결합커넥터(100)에서 강제적으로 분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후 잠금커넥터를 결합커넥터의 후단에서 후퇴시키면서 인젝터(10)와 결합커넥터(10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잠금커넥터(200)가 상기 결합커넥터(100)의 후단으로 후퇴시, 상기 가압부(210)가 상기 이송턱(112)에 걸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이송턱(112)의 전단부(112a), 상기 가압돌기(211)의 후단부(211b) 및 상기 이송돌기(212)의 후단부(212b)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잠금커넥터가 후퇴할 때, 가압부에 형성된 이송돌기(212) 및 가압돌기(211)가 이송턱(112)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송턱(112)의 전단부(112a)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가압부(210)의 이송돌기(212)와 가압돌기(211)가 이송턱(112)의 경사진 전단부를 보다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이송턱(112)의 전단부에 접촉하는 이송돌기(212) 및 가압돌기(211)의 후단부에도 이송턱(112)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잠금커넥터(200)의 후퇴가 이송턱(112)에 의하여 걸림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잠금커넥터가 결합커넥터에서 완전히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삽입부(120)를 삽입홈(12)에서 이탈시키기 위하여 잠금커넥터에는 걸림해제부(230)가 구비된다.
이때, 걸림해제부(230)는 잠금커넥터(200)가 결합커넥터(100)의 후방으로 이동될 때, 결합커넥터(100)의 일부분에 걸리는 갈고리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갈고리의 일부를 변형하여 잠금커넥터의 후방 이동력의 방향을 전환하여 삽입홈(12)을 양측으로 벌리도록 탄성 이동시키게 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일례로,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걸림해제부(230)는, 끝단에 걸림돌기(232)가 형성된 걸림편(2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잠금커넥터(200)에는 삽입부(120)의 양측에 돌출되는 걸림턱(123)에 걸리도록 끝단에 걸림돌기(232)가 형성되는 걸림편(231)이 상기 가압부(210)와 나란하게 이격되고, 잠금커넥터가 결합커넥터에 완전히 삽입되어 고정될 때, 그 끝단이 결합커넥터(100)의 전단 부분에 이를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걸림돌기(232)의 전단부(232a)에는, 잠금커넥터가 결합커넥터에 삽입될 때, 삽입홈에 형성된 걸림턱(123)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로써, 잠금커넥터(200)와 결합커넥터(100)의 결합이 해제되고, 잠금커넥터가 결합커넥터의 후방으로 후퇴되면, 걸림돌기(232)는 삽입부(120)의 측면을 따라 후퇴하다가 걸림턱(123)에 접촉되어 걸림으로써, 잠금커넥터(200)가 결합커넥 터(100)의 후방으로 이탈되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잠금커넥터(200)는, 결합커넥터의 전단 가까이에까지 삽입되었던 걸림돌기(232)가 삽입부(120)의 걸림턱(123)에 걸리기까지의 이동 거리만큼 결합커넥터(100)의 후단으로 후퇴되는 것이다.
이로써, 잠금커넥터(200)가 결합커넥터(100)와 완전히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현장에서 더블 락킹 커넥터(1)의 교체시 잠금커넥터(200)와 결합커넥터(100)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결합커넥터와 잠금커넥터 간의 결합을 해제할 때, 삽입부를 탄성 이동시켜 결합커넥터를 인젝터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잠금커넥터(200)가 상기 결합커넥터(100)의 후단으로 후퇴시, 상기 걸림돌기(232)가 상기 걸림턱(123)을 상기 끼움관부(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삽입돌기(122)가 상기 삽입홈(12)에서 이탈되게 할 수 있다.
즉, 걸림돌기(232)와 걸림턱(123)이 접촉하는 면은 걸림돌기(232)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걸림턱(123)의 전단부(123a)를 밀어, 삽입부(120)를 결합커넥터의 하우징(130) 쪽으로 탄성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걸림돌기(232)의 후단부(232b)에는 전단부(232a)에 형성된 경사면과 평행한 경사면을 추가로 형성하고, 걸림턱(123)의 전단부(123a)에도 걸림돌기(232)의 후단부(232b)와 평행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걸림돌기(232)의 후단 이동으로 삽입부(120)를 삽입홈(12)에서 이탈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잠금커넥터(200)를 후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결합커넥터의 삽입부(120)가 인젝터의 삽입홈(12)에서 이탈되어, 인젝터와 결합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5(a) 내지 도 7(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잠금커넥터(200)는 결합커넥터(100)의 후방에서 삽입되어, 가압부(210)의 가압돌기(211)는 이송턱(112)을 타고 넘어가고, 이 가압돌기(211)의 후방에 형성되는 이송돌기(212)는 이송턱(112)에 걸린 가조립 상태로 준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사용자가 결합커넥터(100)의 전단을 인젝터(10)에 대고, 잠금커넥터를 밀게 되면, 이송돌기(212)에 걸린 이송턱(112)에 의하여 결합커넥터(100)가 인젝터를 향하여 밀어지게 된다.
이때, 결합커넥터의 하우징(130) 내부 양측에 구비된 삽입부(120)가 인젝터(10)의 양측에 구비된 삽입홈(12) 주면에 의하여 하우징(130) 쪽으로 탄성 이동되며, 삽입부의 삽입돌기(122)가 삽입홈(12)에 끼워져, 인젝터(10)와 결합커넥터(100)가 결합된다.
이후, 가압부(210)의 끝단부분에 형성된 가압돌기(211)의 전단부가 인젝터의 측면과 접하고, 가압부(210)가 결합커넥터(100)의 하우징(130) 쪽으로 벌어지면서 이송돌기(212)가 이송턱(112)을 지나 잠금커넥터(200)가 결합커넥터(100)로 더 깊게 삽입된다.
더하여, 깊숙이 삽입된 잠금커넥터의 가압부(210)의 가압돌기(211)가 삽입부(120)의 가이드레일(121)에 형성된 홈을 타고 진행되어, 가압부의 가압돌기(211)가 삽입부(120)와 하우징(130) 사이에 끼워져, 가압돌기가 삽입부의 탄성 이동을 억제하며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잠금커넥터가 결합커넥터에 삽입될 때 걸림편(231)은 걸림돌기(232)의 전단부(232a)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이송턱(112)을 타고 넘으며, 삽입부의 끝단부분의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23)에 접촉하여, 걸림편(231)이 결합커넥터의 하우징(130)과 가깝게 탄성 이동되며 걸림턱(123)을 지나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232)가 걸림턱(123)을 지난 후,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삽입부(120)의 측면을 따라 결합커넥터의 전단 부분까지 이동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1)를 인젝터(1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먼저 플랜지(140)를 벌리고 잠금커넥터(200)를 결합커넥터(100)의 후방으로 당기게 된다.
한편, 걸림편(231)의 걸림돌기(232)가 삽입부(120)의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23)에 접촉하게 되며, 걸림돌기(232)에 의하여 걸림턱(123)이 구비된 삽입부(120)가 하우징(130) 쪽으로 탄성 이동된다. 이로써, 삽입부(120)의 삽입돌 기(122)가 인젝터의 삽입홈(12)에서 외측으로 이탈되어 사용자는 별다른 추가 조작 없이 인젝터(10)에서 결합커넥터(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와 인젝터를 도 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를 결합한 사시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채용된 결합커넥터의 단면을 보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결합커넥터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채용된 잠금커넥터의 단면을 보인 사시도.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채용된 결합커넥터의 가조립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가조립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채용된 결합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조립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에 채용된 결합커넥터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해제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더블 락킹 커넥터
100 : 결합커넥터
110 : 끼움관부 111 : 실링부재 112 : 이송턱
113 : 전방면 112a : 전단부
120 : 삽입부 121 : 가이드레일 122 : 삽입돌기
123 : 걸림턱 123a : 전단부
130 : 하우징 131 : 누름턱 131a : 경사면
140 : 플랜지 141 : 걸림공
200 : 잠금커넥터
210 : 가압부 211 : 가압돌기 211a : 전단부
211b : 후단부 212 : 이송돌기 212b : 후단부
220 : 몸체부 221 : 인출공 222 : 락킹턱
230 : 걸림해제부 231 : 걸림편 232 : 걸림돌기
232a : 전단부 232b : 후단부
10 : 인젝터
11 : 끼움공 12 : 삽입홈 13 : 평면

Claims (9)

  1. 인젝터(10)에 형성된 끼움공(11)에 삽입되는 끼움관부(110)와,
    상기 인젝터(10)의 상기 끼움공(11)의 주변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12)에 탄성 이동하며 끼워지는 삽입부(120)가 포함되는 결합커넥터(100); 및
    상기 결합커넥터(100)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120)를 상기 삽입홈(12)에 누르는 가압부(210)가 포함되는 잠금커넥터(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2. 제1항에서,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결합커넥터(100)의 외곽을 이루는 하우징(130)의 전단에서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으로 탄성있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삽입부(120)와 상기 하우징(130) 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부(120)를 누르며 상기 삽입부(120)의 탄성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3. 제2항에서,
    상기 하우징(130)에는 상기 삽입부(120)를 향하여 돌출된 누름턱(13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4. 제2항에서,
    상기 삽입부(120)에는 상기 가압부(210)에 형성된 가압돌기(211)가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결합커넥터(100)의 후단 양측에는 걸림공(141)이 형성된 플랜지(140)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커넥터(200)의 후단부에는 상기 걸림공(141)에 걸리는 락킹턱(2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결합커넥터(100)와 상기 인젝터(10)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잠금커넥터(200)가 상기 결합커넥터(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7. 제6항에서,
    상기 끼움관부(110)의 측면에는 이송턱(1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211)의 전단부(211a)는 상기 이송턱(112)을 타고 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210)에는, 상기 잠금커넥터(200)가 상기 결합커넥터(100)에 삽 입 시 상기 끼움관부(110)를 상기 끼움공(11)으로 밀도록, 상기 이송턱(112)을 가압하는 이송돌기(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8. 제1항에서, 상기 잠금커넥터(200)에는
    상기 잠금커넥터(200)가 상기 결합커넥터(100)의 후단으로 후퇴시, 상기 결합커넥터(100)가 상기 인젝터(1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12)에서 상기 삽입부(120)를 탄성 이동시키는 걸림해제부(2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9. 제8항에서,
    상기 삽입부(120)의 끝단 부분에는 양측으로 걸림턱(12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해제부(230)는
    상기 걸림턱(123)에 걸리도록 끝단부에는 상기 걸림턱(123)을 상기 끼움관부(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삽입돌기(122)가 상기 삽입홈(12)에서 이탈되게 하는 걸림돌기(232)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210)와 나란하게 이격 형성되는 걸림편(23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KR1020080088191A 2008-09-08 2008-09-08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KR101449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191A KR101449760B1 (ko) 2008-09-08 2008-09-08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EP09169669A EP2161441B1 (en) 2008-09-08 2009-09-07 Double locking connector for an injector
AT09169669T ATE542996T1 (de) 2008-09-08 2009-09-07 Doppelsperrenanschluss für einen einspritzer
CN2009101730621A CN101672236B (zh) 2008-09-08 2009-09-08 用于喷射器的双锁定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191A KR101449760B1 (ko) 2008-09-08 2008-09-08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413A true KR20100029413A (ko) 2010-03-17
KR101449760B1 KR101449760B1 (ko) 2014-10-13

Family

ID=4147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191A KR101449760B1 (ko) 2008-09-08 2008-09-08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161441B1 (ko)
KR (1) KR101449760B1 (ko)
CN (1) CN101672236B (ko)
AT (1) ATE542996T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543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다스 록킹 조립체
KR20160112712A (ko) * 2015-03-20 2016-09-28 최한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1488A1 (de) * 2010-11-15 2012-05-16 Audi Ag Befestigungsanordnung einer Kraftstoffzufuhrvorrichtung an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sowie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Kraftstoffzufuhrvorrichtung an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2015222190B4 (de) * 2015-11-11 2019-03-2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Steckverbinder und Motor- oder Ventilabdeckungselement umfassend einen Steckverbinder
KR102313024B1 (ko) 2017-04-03 2021-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KR20230139604A (ko) *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화영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14365U1 (ko) 1991-11-18 1992-03-12 Vorschepoth, Heinrich, 5000 Koeln, De
DE4214105A1 (de) * 1992-04-29 1993-11-04 Voss Armaturen Steckverbinder fuer schlauch- oder rohrleitungen, insbesondere fuer kraftstoffleitungen von verbrennungsmotoren
FR2771472B1 (fr) * 1997-11-21 2000-01-14 Renault Raccord encliquetable notamment pour conduites de carburant
US6053149A (en) * 1998-05-28 2000-04-25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uel injector clip retention arrangement
US6539920B1 (en) * 2000-05-04 2003-04-01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Retaining clip
DE20008378U1 (de) * 2000-05-10 2001-10-11 Voss Armaturen Rastbarer Leitungsverbinder, insbesondere für Kraftstoffleitungen
DE10115048A1 (de) * 2001-03-27 2002-10-02 Bosch Gmbh Robert Verbindungsstück zum Verbinden einer Brennstoffleitung mit einem Brennstoffeinspritzventil
KR200272666Y1 (ko) 2002-01-15 2002-04-18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시일과 홀더가 일체로 성형된 인젝터용 커넥터
JP4219612B2 (ja) 2002-05-10 2009-02-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二重ロックコネクタ
EP1903209B1 (en) 2004-11-25 2009-10-0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Device to suction fuel from a fuel injector
JP2006307794A (ja) * 2005-04-28 2006-11-09 Denso Corp 燃料噴射弁の組付け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543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다스 록킹 조립체
KR20160112712A (ko) * 2015-03-20 2016-09-28 최한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2236B (zh) 2013-05-15
KR101449760B1 (ko) 2014-10-13
EP2161441B1 (en) 2012-01-25
EP2161441A1 (en) 2010-03-10
CN101672236A (zh) 2010-03-17
ATE542996T1 (de)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9413A (ko)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US7331813B2 (en) Plug-socket assembly
CN101327077B (zh) 滑轨装置
US8037582B2 (en) Fastener
US7494156B2 (en) Quick connector
US6878082B2 (en) Hydraulic tensioner with ratchet mechanism
JP5391137B2 (ja) ボールロック式コネクタ
US20080001395A1 (en) Coupling and socket thereof
JPH0734570U (ja) フロントホルダ付き二重係止コネクタ
CN111306388A (zh) 用于连接软管的快速接头总成
WO2009107790A1 (ja) 管継手用のソケット及び管継手
US821088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60108940A1 (en) Swivelling Lever Arrangement for Housing Arrangement
JPH0773068B2 (ja)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ー
EP3789648B1 (en) Ball-lock connector
US20130221665A1 (en) Pipe connecting connector
CN111200214A (zh) 一种连接器及其插头
US7008270B1 (en) Cable connector
KR100718515B1 (ko) 안전 클립을 구비한 분리형 퀵 커넥터
CN102197926B (zh) 用于滑轨总成的开启装置
JP3674521B2 (ja) コネクタ
CN110212354B (zh) 连接器组件及其连接器、连接器壳体组件
JP2005197167A (ja) コネクタ
CN110323636B (zh) 连接器组件和连接器
KR200410072Y1 (ko) 안전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