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712A -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 Google Patents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712A
KR20160112712A KR1020150038927A KR20150038927A KR20160112712A KR 20160112712 A KR20160112712 A KR 20160112712A KR 1020150038927 A KR1020150038927 A KR 1020150038927A KR 20150038927 A KR20150038927 A KR 20150038927A KR 20160112712 A KR20160112712 A KR 20160112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using
touch structure
pi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472B1 (ko
Inventor
김경숙
Original Assignee
최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솔 filed Critical 최한솔
Priority to KR102015003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4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 조립형 입체 조형물에 있어서, 특히 구형 입체 구조물 또는 타원형 입체 구조물 또는 다각형 입체 구조물 또는 비정형 입체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중계용 결합구를 구비하되, 상기 입체 구조물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용 홈에 암나사산 구조물을 갖도록하며, 일측 또는 양측에 볼트형 나사 구조물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결합용 바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용 바를 이용하여 중계용 결합구를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조립형 입체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구 형태 또는 타원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의 중계용 결합구를 구비하되, 상기 중계용 결합구에 다수개의 제 1 결합용 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결합용 홈에는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용 결합구에 대응하여 결합용 바의 양측 끝단에는 수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중계용 결합구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용 홈을 통해 결합용 바를 연결하여 입체형 구조물을 제작토록 구성함으로서 조형물을 보다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아울러 완구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입체 조형물을 형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ing spring}
본 발명은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형 입체 구조물 또는 타원형 입체 구조물 또는 다각형 입체 구조물 또는 비정형 입체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중계용 결합구를 구비하되, 상기 입체 구조물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용 홈에 제 1 원터치 구조물을 삽입시키고, 일측 또는 양측에 제 2 원터치 구조물을 갖는 결합용 바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용 바를 이용하여 중계용 결합구를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단위블록을 유아들이 직접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키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하여 유아들의 창의력과 지능을 발달시키기 위한 놀이기구이다.
종래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상부면에 다수의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상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조립식 블록완구는 단순히 각각의 단위블록을 상, 하로 조립하여 특정모형을 완성하기 때문에, 모형의 입체감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순함을 탈피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US 4,055,019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141302호와 같이 정삼각 조립부재와 정사각 조립부재를 이용해 입체물을 조립할 수 있는 블록 완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미국 특허 US 4,055,019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141302호와 같은 경우 블록체의 면방향으로 대향되는 블록체의 면이 끼워져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목표하는 하나의 입체물을 연결시킬 수는 있으나 보다 다양한 입체물을 다양한 각도로 확장 변형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이 또한 유아들로 하여금 쉽게 싫증을 느끼게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 입체 도형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서로 근접하는 각각의 블록들이 서로 입체물의 모서리를 형성하게 된다.
즉, 예로서 정육면체를 조합하게 되면 직각으로 위치되는 2개의 블록들 끝변이 서로 입체물의 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므로, 하나의 모서리에 2개의 변이 형성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완성된 입체물의 예리함을 느끼지 못하게 하거나 완성도를 낮추게 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입체 구조물은 조각 예술품으로 적용될 수도 있는바, 이러한 구조물은 보다 다양한 폼으로 변형시키기 어려워서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 조각품으로 변형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추구하고자 할때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서는 쉽게 입체물의 변형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중계용 결합구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용 홈을 통해 결합용 바를 연결하되 원터치 조립 형태로 서로 결합되되면서 입체형 구조물을 제작토록 구성함으로서 조형물을 보다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아울러 완구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입체 조형물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구조물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거나, 구조물에 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돌기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중계용 결합구(100)와; 상기 중계용 결합구의 결합용 홈에 설치되는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에 결합되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을 양측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결합용 바(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은, 원통형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과, 상기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체(13)와, 상기 하우징과 고정체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 커넥터와의 결합되는 결합용 핀(14)과, 결합용 핀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용 돌기(14a)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11)으로부터 연장하되 결합용 핀의 외측에 제 2 공간부(16)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 보호용 커버(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은, 최외각에 설치되며, 동축 커넥터(10)와 결합시 결합용 핀(12)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의 제 2 공간부(16)로 삽입되는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 1 공간부(24)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공간부(24)로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이 진입되도록 하고, 일단에 결합용 홈(22a)을 형성하여 결합용 돌기(14a)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결합용 하우징(22)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에 설치되는 탄발 스프링(23)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탄발 스프링(23)을 내장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2)이 진입하면 후퇴하여 탄발 스프링(23)을 압박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삽입되면 탄발 스프링(23)의 탄발에 의해 전진하여 결합용 돌기(14a) 상부에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을 위치시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돌기(14a)를 압박하면서 지지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유동부(25)와, 제 2 결합용 하우징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체(27)와, 상기 고정체 하단에 형성되어 커넥터 핀과 결합되는 커넥터 핀홀(28)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의 결합용 돌기와 제 2 원터치 구조물의 결합용 홈은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계용 결합구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용 홈을 통해 결합용 바를 연결하되 원터치 조립 형태로 서로 결합되되면서 입체형 구조물을 제작토록 구성함으로서 조형물을 보다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아울러 완구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입체 조형물을 형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조립형 입체 구조물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전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중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후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든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조립형 입체 구조물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전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중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구조물 결합후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든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입체형 조형물을 제조하되, 중계용 결합구(100)와,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결합용 바(30)와, 제 2 원터치 구조물(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중계용 결합구(100)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거나, 중계용 결합구에 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돌기에 결합용 홈(11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용 홈(110)에는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이 삽입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용 바(30)의 양측 끝단부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이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워터치 구조물(20)은 제 1 원터치 구조물(10)에 결합되어 중계용 결합구(100)와 결합용 바(3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하고, 필요에 따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을 조작하여 제 1 원터치 구조물(10)로 부터 해체시킴으로서 중계용 결합구(100)와 결합용 바(30)의 용이한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를 구분하면,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은,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과, 고정체(13)와, 결합용 핀(14)과, 결합용 돌기(14a) 및, 원통형 보호용 커버(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결합되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은,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과, 탄발 스프링(23)과, 스프링 유동부(25)와, 스프링 작동편(26)과, 고정체(27)와, 커넥터 핀홀(2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용 하우징(22)에는 결합용 홈(22a)과, 스토퍼(22b)를 포함하고, 스프링 유동부(25)는 스프링 작동편(26)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후단에는 스프링 지지부(29)가 형성되어 탄발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작동편(26)는 테두리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하우징은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고정체와 커넥터 핀(12)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하우징과 고정체 사이에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과의 결합수단으로서 결합용 핀이 설치되고, 결합용 핀(14)의 끝단에는 양측이 경사진 결합용 돌기(14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용 핀(14)의 보호하기 위해 결합용 핀(14)의 외측으로 원통형 보호용 커버(15)가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보호용 커버는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형태이다.
상기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은 맨 외측에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설치되고, 그 아래엔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설치되며,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아래에 고정체(27)가 설치되고, 고정체(27) 아래에 커넥터 핀(12)이 결합되는 커넥터 핀홀(28)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커넥터 핀(12)은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커넥터 핀홀(28)에 결합되어 결합이 공고해진다.
그리고,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결합을 위해 제 1 원터치 구조물(10)에는 결합용 핀(14)이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용 핀(14)이 결합되도록 제 2 원터치 구조물(20)에는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에는 제 1 공간부(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 공간부(24)로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핀(14)이 삽입 결합된다. 이때,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핀(14)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에 제 2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상기 제 2 공간부로 삽입되면서 결합용 핀(14)의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결합용 핀(14)의 상부로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위치되고, 상기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상부에는 동축 커넥터(10)의 원통형 보호용 커버(15)가 위치되어 결합용 핀을 이중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원터치 결합을 위해서 탄발 스프링(23)과 스프링 유동부(25)가 설치되는바, 결합용 핀(14)이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을 직선방향으로 누르면 스프링 유동부(25)가 뒤로 밀리면서 스프링 지지부(29)에 지지되면서 탄발 스프링(23)이 압축되고, 이후 결합용 돌기(14a)가 결합용 홈(22a)에 결합되면 탄발스프링(23)의 탄발 작용에 의하여 스프링 유동부(25)가 자동으로 원위치 되고 이에 따라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핀(14)의 상부를 누르는 위치에 오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핀(14)을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의 제 1 공간부(24)로 진입시키면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의 제 2 공간부(16)로 진입한다.
이때, 결합용 핀(14)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을 뒤로 밀면서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유동부(25)가 탄발 스프링(23)을 압축하면서 후퇴한다.
이후 스프링 유동부(25)가 일정거리 후퇴되면 결합용 핀(14)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삽입된다.
그러면, 스프링 유동부(25)의 압축이 해제되어 탄발 스프링(23)의 탄발력에 의해서 원위치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유동부(25)가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를 압박하여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핀(14)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킴으로서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이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핀(14)을 제 2 원터치 구조물(20)에 삽입시키면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틈새로 진입하면서 스프링 유동부(25)를 밀쳐서 후퇴시키고, 스프링 유동부(25)의 후퇴에 따라 탄발 스프링(23)이 압축되며, 이후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결합용 돌기(14a)가 삽입되면 스프링 유동부(25)가 원위치되면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핀(14)의 상부를 압박함으로서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이 강력하게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원터치에 의해서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의 결합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체형 구조물을 보다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아울러 보다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프링 작동편(26)을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후퇴시킨다. 이때 스프링 작동편(26)은 요철이 형성 되어 있어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다.
그러면, 스프링 작동편(26)이 후퇴되면서 탄발 스프링(23)을 압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 유동부(25)와 결합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단턱(22b)에 지지된 스프링 유동부(25)가 후퇴하여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돌기(14a)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면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의 결합용 돌기(14a)를 자연스럽게 제 2 원터치 구조물(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결합용 돌기(14a)가 경사면을 형성하고, 결합용 홈(22a) 역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분리할 수 있다.
10: 제 1 원터치 구조물
20: 제 2 원터치 구조물
30: 결합용 바
100: 중계용 결합구

Claims (3)

  1. 구조물에 다수개의 결합용 홈을 형성하거나, 구조물에 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돌기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중계용 결합구(100)와;
    상기 중계용 결합구의 결합용 홈에 설치되는 제 1 원터치 구조물(10)과;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에 결합되는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을 양측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결합용 바(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10)은,
    원통형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과, 상기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체(13)와, 상기 하우징과 고정체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 커넥터와의 결합되는 결합용 핀(14)과, 결합용 핀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용 돌기(14a)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11)으로부터 연장하되 결합용 핀의 외측에 제 2 공간부(16)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 보호용 커버(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터치 구조물(20)은,
    최외각에 설치되며, 동축 커넥터(10)와 결합시 결합용 핀(12)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의 제 2 공간부(16)로 삽입되는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 1 공간부(24)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공간부(24)로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이 진입되도록 하고, 일단에 결합용 홈(22a)을 형성하여 결합용 돌기(14a)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결합용 하우징(22)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에 설치되는 탄발 스프링(23)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탄발 스프링(23)을 내장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2)이 진입하면 후퇴하여 탄발 스프링(23)을 압박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삽입되면 탄발 스프링(23)의 탄발에 의해 전진하여 결합용 돌기(14a) 상부에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을 위치시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돌기(14a)를 압박하면서 지지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유동부(25)와,
    제 2 결합용 하우징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체(27)와,
    상기 고정체 하단에 형성되어 커넥터 핀과 결합되는 커넥터 핀홀(28)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터치 구조물의 결합용 돌기와 제 2 원터치 구조물의 결합용 홈은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KR1020150038927A 2015-03-20 2015-03-20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KR101669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27A KR101669472B1 (ko) 2015-03-20 2015-03-20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27A KR101669472B1 (ko) 2015-03-20 2015-03-20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712A true KR20160112712A (ko) 2016-09-28
KR101669472B1 KR101669472B1 (ko) 2016-10-26

Family

ID=5710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927A KR101669472B1 (ko) 2015-03-20 2015-03-20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4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649A (ko)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텔콘 케이블 커넥터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동통신 기지국용어레스터
KR20100029413A (ko) * 2008-09-08 2010-03-17 타이코에이엠피(유)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KR101127713B1 (ko) * 2012-01-17 2012-03-2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649A (ko)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텔콘 케이블 커넥터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이동통신 기지국용어레스터
KR20100029413A (ko) * 2008-09-08 2010-03-17 타이코에이엠피(유)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KR101127713B1 (ko) * 2012-01-17 2012-03-2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472B1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184B1 (ko) 완구 조립 세트
KR101414360B1 (ko) 조립식 완구블록
US9724617B2 (en) Snap-fit connector and toy assembly having the same
TWD209321S (zh) 連接器
KR20170040323A (ko) 유지 프레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77459Y1 (ko)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KR200480215Y1 (ko)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 및 엔진공유블록과, 엔진블록 또는 엔진공유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TW201521995A (zh) 射出成型模具
KR101669472B1 (ko)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CN109107198B (zh) 积木弹射件
KR101732632B1 (ko) 장난감 블록
KR101669751B1 (ko)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KR200478523Y1 (ko) 동작이 가능한 블록형 로봇완구의 동작블록에 결합되어 동작블록과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추가 동작블록을 갖는 블록형 로봇완구
KR101924453B1 (ko) 완구용 조립 블록
JP3200642U (ja) ブロック玩具のブロックとブロック間の堅固な結合のための装置
KR20170034782A (ko) 입체 조형물 본뜨기를 이용한 조형물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60114205A (ko) 입체 조형물 본뜨기를 이용한 조형물 제조장치
KR20170034783A (ko) 입체 조형물 본뜨기를 이용한 조형물 제조장치
KR102007717B1 (ko) 조립형 완구 프레임
CN203911048U (zh) 具紧固端子的连接器结构及其端子结构
CN202920995U (zh) 一种拼装玩具
CN206236847U (zh) 插拔式电连接器压入螺母改良结构
CN212067730U (zh) 变形公仔
KR200479878Y1 (ko) 블록 지지대를 갖는 블록완구
KR102090130B1 (ko)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