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59Y1 -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59Y1
KR200477459Y1 KR2020150000242U KR20150000242U KR200477459Y1 KR 200477459 Y1 KR200477459 Y1 KR 200477459Y1 KR 2020150000242 U KR2020150000242 U KR 2020150000242U KR 20150000242 U KR20150000242 U KR 20150000242U KR 200477459 Y1 KR200477459 Y1 KR 200477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otrusion
engine block
engin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소영
Original Assignee
최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소영 filed Critical 최소영
Priority to KR2020150000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59Y1/ko
Priority to PCT/KR2015/006065 priority patent/WO2016114457A1/ko
Priority to JP2015004125U priority patent/JP3200641U/ja
Priority to CN201521071859.8U priority patent/CN205379669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의 기어연결부가 구비되는 블록 면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기어연결부가 구비되는 블록 면에 각각 결합부를 형성하여, 양 결합부가 서로 맞물리게 끼워져 엔진블록과 동작블록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10)의 블록 면의 중앙에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홈형 기어연결부(11)가 있는 블록 면에 구비되는 제1 결합부(12)와, 엔진블록(10)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20)의 블록 면의 중앙에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형 기어연결부(21)가 있는 블록면에 구비되는 제2 결합부(2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Integration structure of engine block of moving block toy, and moving block operated by being integrated with the engine block.}
본 고안은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의 기어연결부가 구비되는 블록 면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기어연결부가 구비되는 블록 면에 각각 결합부를 형성하여, 양 결합부가 서로 맞물리게 끼워져 엔진블록과 동작블록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이 즐겨 사용하는 완구 중 완제품으로 만들어진 것은 어린이들의 창의력을 개발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는데, 요즈음에는 어린이들이 완구를 직접 조립, 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지능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블록 완구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블록완구는 여러 블록들을 결합하여 조형물을 조립하는 방식에서 보다 발전하여 배터리가 삽입되어 파워를 제공하는 파워블록, 파워블록에 결합되고 기어부가 내장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엔진블록, 엔진블록에 결합되고 기어부가 내장되어 회전운동, 걷기운동, 피스톤운동, 슬라이딩운동 등의 동작이 가능한 동작블록 등이 구비되어 엔진블록에 동작블록들이 결합되어 전체 블록완구가 완성되면 회전운동, 걷기운동, 피스톤운동, 슬라이딩운동 등의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 세트가 시판되고 있다.
예를 들어, G사의 블록완구인 M제품은 엔진블록의 회전운동이 동작블록들과 결합하여 회전운동, 걷기운동, 피스톤운동 등의 동작을 가진 조형물의 제작이 가능한 블록완구 세트로서 파워블록, 엔진블록, 동작블록(회전블록, 워킹블록, 피스톤블록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제품은 엔진블록과 동작블록의 결합이 엔진블록의 홈형 기어연결부와 동작블록의 돌출형 기어연결부의 결합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각 기어연결부를 에워싸는 속이 빈 원통형 둘레에 톱니구조가 형성되어 양 톱니구조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지만 파워를 내는 엔진블록과 이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즉 홈형 기어연결부와 돌출형 기어연결부의 결합을 통하여 엔진블록과 동작블록이 결합되면 양 기어연결부의 축 방향 결합은 유지되지만 이에 직교하는 방향의 결합은 고정되지 못하고 좌우측에서 상하로 기울어지는 등 견고하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엔진블록에 동작블록이 결합되어도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며, 동작블록의 돌출형 기어연결부가 구비되는 블록 면에 상기 블록 면 크기의 사각형의 둘레부를 갖는 블록{이하 '도형블록(300)'이라고 함}을 미리 끼워 넣어 엔진블록의 홈형 기어연결부가 구비되는 블록 면과 동작블록의 돌출형 기어연결부가 구비되는 블록 면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엔진블록과 동작블록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1998-0063828호 "완구용 블록의 강도 보강장치"(1998. 11. 25. 공개) 등록특허 제1140326호 "조립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용 완구"(2012. 4. 19. 등록) 등록특허 제1470435호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조립용 완구"(2014. 12. 2.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시판되고 있는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의 기어연결부가 구비되는 블록면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기어연결부가 구비되는 블록면에 각각 결합부를 형성하여, 양 결합부가 서로 맞물리게 끼워져 엔진블록과 동작블록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는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10)의 블록 면의 중앙에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홈형 기어연결부(11)가 있는 블록 면에 구비되는 제1 결합부(12)와, 엔진블록(10)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20)의 블록 면의 중앙에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형 기어연결부(21)가 있는 블록면에 구비되는 제2 결합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잇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12)는 엔진블록(10)의 좌,우,저면에 형성되는 홈형 기어연결부(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둘레를 따라 전,후,좌,우에 형성되는 외측으로 개방된
Figure 112015003345724-utm00001
형상의 제1 돌출부(13), 상기 제1 돌출부(13)의
Figure 112015003345724-utm00002
형상 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이 구비되는 제1 돌기(14), 하나의 제1 돌출부(13)와 다른 하나의 제1 돌출부(13)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홈부(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22)는 동작블록(20)의 엔진블록(10)과 결합되는 블록 면에 형성되는 돌출형 기어연결부(2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둘레를 따라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결합되면 엔진블록(10)의 제1 홈부(15)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외측으로 개방된
Figure 112015003345724-utm00003
형상의 제2 돌출부(23), 상기 제2 돌출부(23)의
Figure 112015003345724-utm00004
형상 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이 구비되는 제2 돌기(24),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결합되면 엔진블록(10)의 제1 돌출부(13)와 제1 돌기(14)가 끼워지도록 하나의 제2 돌출부(23)와 다른 하나의 제2 돌출부(23)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홈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13)와 제2 돌출부(23), 상기 제1 돌기(14)와 제2 돌기(24), 상기 제1 홈부(15)와 제2 홈부(25)는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결합되면 제1 돌출부(13)가 제2 홈부(25)에, 제2 돌출부(23)가 제1 홈부(15)에 삽입되고, 제1 돌기(14)가 제2 홈부(25)에, 제2 돌기(24)가 제1 홈부(15)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의 기어연결부가 구비되는 블록면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기어연결부가 구비되는 블록면에 각각 결합부를 형성하여, 양 결합부가 서로 맞물리게 끼워져 엔진블록과 동작블록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엔진블록과 동작블록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작동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시판되고 있는 M제품의 엔진블록과 동작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시판되고 있는 M제품의 동작블록에 도형블록을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의 (a)는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엔진블록 실물의 사시도 및 분해도, (b)는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동작블록 중 회전블록 실물의 사시도 및 분해도, (c)는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동작블록 중 워킹블록 실물의 사시도 및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엔진블록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동작블록 중 회전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동작블록 중 워킹블록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엔진블록, 동작블록 중 회전블록, 워킹블록이 결합된 조형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엔진블록, 동작블록에 내장되는 기어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아니며, 시판되는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 제품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1)'는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10)의 블록 면의 중앙에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홈형 기어연결부(11)가 있는 블록 면에 구비되는 제1 결합부(12)와, 엔진블록(10)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20)의 블록 면의 중앙에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형 기어연결부(21)가 있는 블록면에 구비되는 제2 결합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부(12)는 엔진블록(10)의 좌,우,저면에 형성되는 홈형 기어연결부(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둘레를 따라 전,후,좌,우에 형성되는 외측으로 개방된
Figure 112015003345724-utm00005
형상의 제1 돌출부(13), 상기 제1 돌출부(13)의
Figure 112015003345724-utm00006
형상 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이 구비되는 제1 돌기(14), 하나의 제1 돌출부(13)와 다른 하나의 제1 돌출부(13)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홈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결합부(22)는 동작블록(20)의 엔진블록(10)과 결합되는 블록 면에 형성되는 돌출형 기어연결부(2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둘레를 따라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결합되면 엔진블록(10)의 제1 홈부(15)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외측으로 개방된
Figure 112015003345724-utm00007
형상의 제2 돌출부(23), 상기 제2 돌출부(23)의
Figure 112015003345724-utm00008
형상 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이 구비되는 제2 돌기(24),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결합되면 엔진블록(10)의 제1 돌출부(13)와 제1 돌기(14)가 끼워지도록 하나의 제2 돌출부(23)와 다른 하나의 제2 돌출부(23)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홈부(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돌출부(13)와 제2 돌출부(23), 상기 제1 돌기(14)와 제2 돌기(24), 상기 제1 홈부(15)와 제2 홈부(25)는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결합되면 제1 돌출부(13)가 제2 홈부(25)에, 제2 돌출부(23)가 제1 홈부(15)에 삽입되고, 제1 돌기(14)가 제2 홈부(25)에, 제2 돌기(24)가 제1 홈부(15)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힘을 주어 잡아 빼내지 않는 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견고하게 결합되면 엔진블록(10)의 홈형 기어연결부(11)와 동작블록(20)의 돌출형 기어연결부(21)가 서로 맞물리게 끼워져 엔진블록(10)의 회전운동이 동작블록(20)들과 결합하여 회전운동, 걷기운동, 피스톤운동 등과 같이 다양한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엔진블록, 동작블록 중 회전블록, 워킹블록이 결합된 조형물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도면에는 파워를 제공하는 파워블록( 30), 파워블록(30)에 결합되고 기어부가 내장되어 회전운동을 하며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엔진블록(10), 엔진블록(10)에 결합되고 기어부가 내장되어 회전운동을 하며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회전블록(26), 엔진블록(10)에 결합되고 기어부가 내장되어 걷기운동을 하며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워킹블록(27)이 결합된 로봇 형상의 조형물이 도시되어 있다.
파워블록(3)과 엔진블록(10)의 결합은 파워블록(30)의 저면에 홈부, 엔진블록(10)의 상면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엔진블록(10)의 돌출부를 파워블록(30)의 홈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도 6에는 로봇 형상의 조형물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갖는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을 결합하여 만드는 조형물은 로봇 형상의 조형물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1 : 본 고안의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10 : 엔진블록 11 : 홈형 기어연결부
12 : 제1 결합부 13 : 제1 돌출부
14 : 제1 돌기 15 : 제1 홈부
20 : 동작블록 21 : 돌출형 기어연결부
22 : 제2 결합부 23 : 제2 돌출부
24 : 제2 돌기 25 : 제2 홈부
26 : 회전블록 27 : 워킹블록
30 : 파워블록

Claims (3)

  1. 삭제
  2.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10)의 블록 면의 중앙에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홈형 기어연결부(11)가 있는 블록 면에 구비되는 제1 결합부(12)와, 엔진블록(10)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20)의 블록 면의 중앙에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형 기어연결부(21)가 있는 블록면에 구비되는 제2 결합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12)는 엔진블록(10)의 좌,우,저면에 형성되는 홈형 기어연결부(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둘레를 따라 전,후,좌,우에 형성되는 외측으로 개방된
    Figure 112015042762810-utm00009
    형상의 제1 돌출부(13), 상기 제1 돌출부(13)의
    Figure 112015042762810-utm00010
    형상 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이 구비되는 제1 돌기(14), 하나의 제1 돌출부(13)와 다른 하나의 제1 돌출부(13)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홈부(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22)는 동작블록(20)의 엔진블록(10)과 결합되는 블록 면에 형성되는 돌출형 기어연결부(2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블록 면에 수직방향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둘레를 따라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결합되면 엔진블록(10)의 제1 홈부(15)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외측으로 개방된
    Figure 112015042762810-utm00011
    형상의 제2 돌출부(23), 상기 제2 돌출부(23)의
    Figure 112015042762810-utm00012
    형상 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이 구비되는 제2 돌기(24),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결합되면 엔진블록(10)의 제1 돌출부(13)와 제1 돌기(14)가 끼워지도록 하나의 제2 돌출부(23)와 다른 하나의 제2 돌출부(23)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홈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13)와 제2 돌출부(23), 상기 제1 돌기(14)와 제2 돌기(24), 상기 제1 홈부(15)와 제2 홈부(25)는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결합되면 제1 돌출부(13)가 제2 홈부(25)에, 제2 돌출부(23)가 제1 홈부(15)에 삽입되고, 제1 돌기(14)가 제2 홈부(25)에, 제2 돌기(24)가 제1 홈부(15)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엔진블록(10)과 동작블록(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KR2020150000242U 2015-01-13 2015-01-13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KR200477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242U KR200477459Y1 (ko) 2015-01-13 2015-01-13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PCT/KR2015/006065 WO2016114457A1 (ko) 2015-01-13 2015-06-16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JP2015004125U JP3200641U (ja) 2015-01-13 2015-08-15 動作が可能なブロック玩具のエンジンブロックとエンジンブロックに結合されて作動する動作ブロックとの結合構造
CN201521071859.8U CN205379669U (zh) 2015-01-13 2015-12-21 可动积木玩具的引擎积木和结合于该引擎积木的活动积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242U KR200477459Y1 (ko) 2015-01-13 2015-01-13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459Y1 true KR200477459Y1 (ko) 2015-06-09

Family

ID=5351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242U KR200477459Y1 (ko) 2015-01-13 2015-01-13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00641U (ko)
KR (1) KR200477459Y1 (ko)
CN (1) CN205379669U (ko)
WO (1) WO201611445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412A1 (ko) * 2015-09-04 2017-03-09 주식회사 짐월드 조립형 연결부재
WO2017039408A1 (ko) * 2015-09-04 2017-03-09 주식회사 짐월드 장난감 블록
KR101748424B1 (ko) * 2015-09-04 2017-06-16 (주)짐월드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7092B1 (ja) * 2016-11-29 2017-09-13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
CN109771969A (zh) * 2019-01-31 2019-05-21 美科科技(北京)有限公司 动力传输模块和模块化积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585B1 (ko) * 2012-08-09 2014-07-22 김태석 자석 연결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완구
JP2014526364A (ja) * 2011-09-23 2014-10-06 株式会社シンシア・ジャパン 鋸歯構造物及びその構造物を含む玩具ブロック
KR101470435B1 (ko) * 2013-06-11 2014-12-08 유니트러스트개발(주)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조립용 완구
JP2014533594A (ja) * 2011-11-30 2014-12-15 グワーンドーン アルファ アニメーション アンド カルチ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離脱可能な合体コマ玩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324A (ko) * 2001-10-06 2003-04-14 임재열 자력을 이용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한 복합형 완구
EP1813332A1 (de) * 2006-01-31 2007-08-01 Techno Bloxx AG Verbindungsmittel für Konstruktionselemente und Bausteinsatz dam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6364A (ja) * 2011-09-23 2014-10-06 株式会社シンシア・ジャパン 鋸歯構造物及びその構造物を含む玩具ブロック
JP2014533594A (ja) * 2011-11-30 2014-12-15 グワーンドーン アルファ アニメーション アンド カルチ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離脱可能な合体コマ玩具
KR101421585B1 (ko) * 2012-08-09 2014-07-22 김태석 자석 연결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완구
KR101470435B1 (ko) * 2013-06-11 2014-12-08 유니트러스트개발(주)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조립용 완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412A1 (ko) * 2015-09-04 2017-03-09 주식회사 짐월드 조립형 연결부재
WO2017039408A1 (ko) * 2015-09-04 2017-03-09 주식회사 짐월드 장난감 블록
KR101748424B1 (ko) * 2015-09-04 2017-06-16 (주)짐월드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KR101764358B1 (ko) 2015-09-04 2017-08-02 (주)짐월드 조립형 연결부재
CN108025218A (zh) * 2015-09-04 2018-05-11 体育世界股份有限公司 玩具块体
US10391415B2 (en) 2015-09-04 2019-08-27 Gymworld Inc. Connecting member for self-assembly t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4457A1 (ko) 2016-07-21
CN205379669U (zh) 2016-07-13
JP3200641U (ja)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459Y1 (ko)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과, 엔진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KR200480215Y1 (ko) 동작이 가능한 블록완구의 엔진블록 및 엔진공유블록과, 엔진블록 또는 엔진공유블록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동작블록의 결합구조
US20130102220A1 (en) Construction toy
CN103028263B (zh) 可扩展玩具构建元件
JP2019524317A (ja) 玩具組立要素
CN104383696A (zh) 多面体磁性拼接积木块
KR101732632B1 (ko) 장난감 블록
KR200478523Y1 (ko) 동작이 가능한 블록형 로봇완구의 동작블록에 결합되어 동작블록과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추가 동작블록을 갖는 블록형 로봇완구
CN204050991U (zh) 一种百变扣扣基础套件组合玩具
CN110869099B (zh) 具有铰接式可连接元件的玩具构件组
KR200480402Y1 (ko) 블록완구의 블록과 블록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장치
KR200441034Y1 (ko) 조립 블럭
KR101458692B1 (ko) 자석퍼즐
CN103908786A (zh) 拼装积木构件及玩具
KR101916181B1 (ko) 블록 커플링
KR200322980Y1 (ko) 조립식 블록
KR20200025911A (ko) 기어전동 방식형 완구
CN220736171U (zh) 玩具肩关节及包含该肩关节的玩具
KR20150100572A (ko) 구성형 장난감
CN204654546U (zh) 可减轻噪音的无外露拉绳窗帘驱动装置
CN204522259U (zh) 自拼插单元
KR101669751B1 (ko)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KR200465231Y1 (ko) 연결구와 연결봉을 포함하는 조립 구조물
CN209827483U (zh) 按摩器转动拆装结构
KR101916180B1 (ko) 블록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