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713B1 -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713B1
KR101127713B1 KR1020120005455A KR20120005455A KR101127713B1 KR 101127713 B1 KR101127713 B1 KR 101127713B1 KR 1020120005455 A KR1020120005455 A KR 1020120005455A KR 20120005455 A KR20120005455 A KR 20120005455A KR 101127713 B1 KR101127713 B1 KR 101127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nector
housing
antenna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2000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 및 안테나 커넥터가 원터치에 의해서 결합되고, 결합력이 쉽게 해제되지 않고 지속될 수 있도록 하며, 원터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결합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하우징과, 커넥터 핀과, 상기 하우징과 커넥터 핀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체와, 상기 하우징과 절연체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 커넥터와의 결합되는 결합용 핀과, 결합용 핀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용 돌기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되 결합용 핀의 외측에 제 2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 보호용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축 커넥터와;
최외각에 설치되며, 동축 커넥터와 결합시 결합용 핀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 사이의 제 2 공간부로 삽입되는 제 1 결합용 하우징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 1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공간부로 동축 커넥터의 결합용 핀이 진입되도록 하고, 일단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여 결합용 돌기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결합용 하우징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과 제 2 결합용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탄발 스프링과, 스프링 유동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An Antenna Assembly Conbined a Coaxial Connector and Antenna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축 커넥터 및 안테나 커넥터가 원터치에 의해서 결합되고, 결합력이 쉽게 해제되지 않고 지속될 수 있도록 하며, 원터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결합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메인 라인에서 분기되는 지점에는 신호분기기가 설치되며, 이 신호분기기에는 통신 메인 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신호를 각 수용가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부인 동축커넥터가 다수개 조립되어 있다.
상기 신호분기기는 알루미늄합금이나 아연합금을 주조하여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상,하부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하우징에 조립되어 메인라인의 신호를 각각의 수용가로 전송하는 동축케이블과 기계적,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동축커넥터로 구성된다.
한편, 외부 통신라인과 무선통신하는 영역에서는 안테나 커넥터와 동축 커넥터가 각각 별도로 생산된후에 상기 안테나 커넥터에 동축 커넥터가 결합되도록 하여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동축커넥터는 안테나 커넥터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조립되므로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러한 나사체결을 위하여 하우징과 동축커넥터에는 나사부를 각각 형성하여야됨으로 이에 따른 가공비가 그만큼 더 소요되어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나사 결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풀리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안테나 커넥터와 동축 커넥터의 결합구조는 단순히 나사결합에 의한 소켓 결합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안테나를 회전시키면서 나사결합이 풀려서 안테나 커넥터와 동축 커넥터의 결합이 불량하게 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사용자는 안테나 커넥터와 동축 커넥터가 확실하게 결합되었는지를 인지 하지 못하여 접속이 불량한 상태로 지상파 또는 위성파를 수신하게 되므로 제대로된 영상이 출력되지 못하는 일이 많았던 것이다
한편, 본 출원인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안테나 커넥터와 동축 커넥터를 결합하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터치에 의해서 결합되고,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은 기술을 출원하여 등록 받았는바(등록특허 제 10-0873224호), 그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안테나 커넥터에 탄발 스프링 및 원터치 결합수단을 설치하고, 동축 커넥터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터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서 안테나 커넥터와 동축 커넥터를 한번에 결합시키도록 하고, 아울러 결합완료후에는 결합부위를 압박하여 쉽게 상호 분리되지 않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안테나 커넥터에 설치되는 원터치 결합수단을 뒤로 후퇴시킨후에 동축 커넥터와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의 특허기술은 안테나 커넥터와 동축 커넥터를 상호 결합시킬때에 원터치 결합수단을 반드시 뒤로 후퇴 시키는 동작을 선행한 후에 동축 커넥터와 결합시키기 때문에 곧바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결합과정이 불편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안테나 커넥터와 동축 커넥터를 상호 결합시킬때 원터치 결합수단을 후퇴시키지 않고 곧바로 상호 결합시키는 기술을 출원하여 등록 받았는바(등록특허 제 10-0978952호),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그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을 안테나 커넥터(20)에 삽입시키면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틈새로 진입하면서 제 1 스프링 유동부(25)를 밀쳐서 후퇴시키고, 제 1 스프링 유동부(25)의 후퇴에 따라 제 1 스프링(23)이 압축되며, 이후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결합용 돌기(14a)가 삽입되면 제 1 스프링 유동부(25)가 원위치되면서 제 1 스프링 유동부(25)가 결합용 돌기(14a)의 상부를 압박하여 동축 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가 강력하게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었다.
즉, 안테나 커넥터(20)를 구성하는 제 1 결합용 하우징(21) 내측에 제 1 스프링 유동부(25) 및 제 1 스프링(23)을 삽입 설치하여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을 안테나 커넥터(20)에 결합시 제 1 스프링 유동부를 밀치고 들어가 원터치로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계속적인 사용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첫째,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조립되기 전에 외부 오염물질에 쉽게 노출될 수 있고, 아울러 외부 충격에 의해서 변형되거나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축 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의 결합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등록특허는 결합용 핀(14)을 보호하는 구성수단이 없이 완전히 노출되므로 외부 충격에 그대로 노출되어 오염물질이 닿을 경우 안테나 커넥터와 결합과정에서 결합용 핀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이 그대로 안테나 커넥터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바닥에 떨어지거나 할때 쉽게 휘어져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둘째, 제 1 스프링 유동부(25) 및 제 1 스프링(23)이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동축 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를 결합시키는 정상적인 작동하에서는 결합용 핀(14)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용 돌기(14a)의 상부를 제 1 스프링 유동부(25)가 눌러서 지지하여야 하나, 외부에서 안보이기 때문에 실제로 제 1 스프링 유동부(25)가 결합용 돌기를 제대로 지지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다시말해서, 제 1 스프링(23)이 망가져 탄성이 없어진 상태에서는 제 1 스프링 유동부(25)를 동작시킬 수가 없고 따라서 결합용 돌기(14a)를 지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바, 그러나 이때에도 동축 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에 삽입되어 원터치에 의해서 결합이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 1 스프링 유동부가 결합용 돌기의 상부를 지지하고 있다고 생각하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테나 커넥터와 동축 커넥터가 완전히 꽉 맞물리면서 결합되지 못하고 헐겁게 결합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셋째, 결합용 홈(22a)과 결합용 돌기(14a)가 면접촉에 의해 결합되고 이들 재료가 금속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결합상태에서 장시간 사용시에 상호 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의 상호 분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결합용 홈(22a)과 결합용 돌기(14a)가 면접촉 상태에서 장시간 지속되면 외부 오염물질이 스며들거나 기타 금속 피로도가 증가시에 서로 붙어서 상호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동축 커넥터의 결합용 핀을 보호하는 구성을 부가하여 결합용 핀이 외부로부터 오염되거나 충격에 직접 맞닿는 것을 예방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동축 커넥터의 결합용 핀이 지지되는 것을 명확하게 확인하여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의 밀착 결합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결합용 홈에 돌기 구조를 추가하여 결합용 홈과 결합용 돌기가 선접촉 또는 점접촉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의 상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10) 및 안테나 커넥터(2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커넥터(10)는, 원통형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과, 상기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체(13)와, 상기 하우징과 절연체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 커넥터와의 결합되는 결합용 핀(14)과, 결합용 핀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용 돌기(14a)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11)으로부터 연장하되 결합용 핀의 외측에 제 2 공간부(16)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 보호용 커버(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테나 커넥터(20)는, 최외각에 설치되며, 동축 커넥터(10)와 결합시 결합용 핀(12)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의 제 2 공간부(16)로 삽입되는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 1 공간부(24)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공간부(24)로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이 진입되도록 하고, 일단에 결합용 홈(22a)을 형성하여 결합용 돌기(14a)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결합용 하우징(22)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에 설치되는 탄발 스프링(23)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탄발 스프링(23)을 내장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2)이 진입하면 후퇴하여 탄발 스프링(23)을 압박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삽입되면 탄발 스프링(23)의 탄발에 의해 전진하여 결합용 돌기(14a) 상부에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을 위치시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돌기(14a)를 압박하면서 지지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유동부(25)와, 제 2 결합용 하우징 하단에 설치되는 절연체(27)와, 상기 절연체 하단에 형성되어 커넥터 핀과 결합되는 커넥터 핀홀(28)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와 안테나 커넥터(20)의 결합용 홈(22a)은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결합용 돌기(14a)의 하부에는 반원 형태의 보조 돌기 또는 삼각 형태의 보조돌기를 더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 작동편(26)은, 손가락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두리면에 다수개의 요철을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의 결합용 핀을 보호하는 구성을 부가하여 결합용 핀이 외부로부터 오염되거나 충격에 직접 맞닿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축 커넥터의 결합용 핀이 지지되는 것을 명확하게 확인하여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의 밀착 결합 상태를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용 돌기에 보조 돌기 구조를 추가하여 결합용 홈과 결합용 돌기가 선접촉 또는 점접촉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의 상호 분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중 동축 커넥터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중 안테나 커넥터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결합하는 과정으로 결합용 핀의 전진에 의해서 제 1 스프링 유동부가 뒤로 후퇴되는 상태 도면.
도 4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의 결합이 완료된 것으로 제 1 스프링 유동부가 결합용 핀을 압박하는 상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중 동축 커넥터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중 안테나 커넥터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결합하는 과정으로 동축 커넥터를 안테나 커넥터에 근접시킨 제 1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결합하는 과정으로 제 1 결합용 하우징을 밀면서 상호 결합중인 제 2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결합하는 과정으로 제 1 결합용 하우징을 더 밀면서 상호 결합중인 제 3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결합이 완료된 것으로 제 1 결합용 하우징이 결합용 핀을 압박하는 제 4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결합용 돌기 제 1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의 결합용 돌기 제 2 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크게 구분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축 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축 커넥터(10)는,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과, 절연체(13)와, 결합용 핀(14)과, 결합용 돌기(14a) 및, 원통형 보호용 커버(15)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축 커넥터(10)와 결합되는 안테나 커넥터(20)는,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과, 탄발 스프링(23)과, 스프링 유동부(25)와, 스프링 작동편(26)과, 절연체(27)와, 커넥터 핀홀(2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용 하우징(22)에는 결합용 홈(22a)과, 스토퍼(22b)를 포함하고, 스프링 유동부(25)는 스프링 작동편(26)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안테나 커넥터(20)의 후단에는 스프링 지지부(29)가 형성되어 탄발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작동편(26)는 테두리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동축 커넥터(10)의 하우징은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절연체와 커넥터 핀(12)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하우징과 절연체 사이에는 안테나 커넥터(20)와의 결합수단으로서 결합용 핀이 설치되고, 결합용 핀(14)의 끝단에는 양측이 경사진 결합용 돌기(14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용 핀(14)의 보호하기 위해 결합용 핀(14)의 외측으로 원통형 보호용 커버(15)가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보호용 커버는 동축 커넥터(10)의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형태이다.
상기 안테나 커넥터(20)는 맨 외측에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설치되고, 그 아래엔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설치되며,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아래에 절연체(27)가 설치되고, 절연체(27) 아래에 커넥터 핀(12)이 결합되는 커넥터 핀홀(28)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동축 커넥터(10)의 커넥터 핀(12)은 안테나 커넥터(20)의 커넥터 핀홀(28)에 결합되어 안테나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동축 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의 결합을 위해 동축 커넥터(10)에는 결합용 핀(14)이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용 핀(14)이 결합되도록 안테나 커넥터(20)에는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 커넥터(20)의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에는 제 1 공간부(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 공간부(24)로 동축 안테나(10)의 결합용 핀(14)이 삽입 결합된다. 이때,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에 제 2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상기 제 2 공간부로 삽입되면서 결합용 핀(14)의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결합용 핀(14)의 상부로는 안테나 커넥터(20)의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위치되고, 상기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상부에는 동축 커넥터(10)의 원통형 보호용 커버(15)가 위치되어 결합용 핀을 이중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원터치 결합을 위해서 탄발 스프링(23)과 스프링 유동부(25)가 설치되는바, 결합용 핀(14)이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을 직선방향으로 누르면 스프링 유동부(25)가 뒤로 밀리면서 스프링 지지부(29)에 지지되면서 탄발 스프링(23)이 압축되고, 이후 결합용 돌기(14a)가 결합용 홈(22a)에 결합되면 탄발스프링(23)의 탄발 작용에 의하여 스프링 유동부(25)가 자동으로 원위치 되고 이에 따라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핀(14)의 상부를 누르는 위치에 오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7 내지 9와 같이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을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의 제 1 공간부(24)로 진입시키면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이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의 제 2 공간부(16)로 진입한다.
이때, 결합용 핀(14)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을 뒤로 밀면서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유동부(25)가 탄발 스프링(23)을 압축하면서 후퇴한다.
이후 스프링 유동부(25)가 일정거리 후퇴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용 핀(14)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삽입된다.
그러면, 스프링 유동부(25)의 압축이 해제되어 탄발 스프링(23)의 탄발력에 의해서 원위치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유동부(25)가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를 압박하여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핀(14)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킴으로서 동축 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동축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을 안테나 커넥터(20)에 삽입시키면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틈새로 진입하면서 스프링 유동부(25)를 밀쳐서 후퇴시키고, 스프링 유동부(25)의 후퇴에 따라 탄발 스프링(23)이 압축되며, 이후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결합용 돌기(14a)가 삽입되면 스프링 유동부(25)가 원위치되면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핀(14)의 상부를 압박함으로서 동축 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가 강력하게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원터치에 의해서 동축 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의 결합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때 탄발 스프링이 망가진 상태에서는 스프링 유동부(25)가 원위치 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결합용 핀(14)을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결합용 핀을 스프링 유동부가 지지하지 못하는 상황을 곧바로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종래 기술과 차별되는 것으로, 종래 기술에서 살펴보면 제 1 스프링 유동부(25) 및 제 1 스프링(23)이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기 때문에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결합후 제대로 결합용 핀이 지지되고 있는가를 파악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 유동부(25)가 제대로 원위치 되지 않으면 탄발 스프링(23)의 망실을 곧바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합용 핀(14)의 지지상태를 곧바로 파악할 수 있어 부품의 교체등 다른 조치를 빠르게 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동축 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를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먼저, 스프링 작동편(26)을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후퇴시킨다. 이때 스프링 작동편(26)은 요철이 형성 되어 있어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다.
그러면, 스프링 작동편(26)이 후퇴되면서 탄발 스프링(23)을 압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 유동부(25)와 결합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단턱(22b)에 지지된 스프링 유동부(25)가 후퇴하여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면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를 자연스럽게 안테나 커넥터(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결합용 돌기(14a)가 경사면을 형성하고, 결합용 홈(22a) 역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분리할 수 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용 핀의 보다 자연스러운 분리를 위해서 결합용 돌기의 하부에 삼각 형태의 보조돌기(14b) 또는 반원 형태의 보조돌기(14c)를 더 형성하는바, 삼각 형태의 돌기(14b)를 형성하게 되면 결합용 핀(14)이 결합용 홈(22a)에 결합시 선접촉이 이루어져 나중에 결합용 핀을 결합용 홈으로부터 분리할 때 용이하게 분리되고, 아울러 반원 형태의 돌기(14c)를 형성하게 되면 결합용 핀(14)이 결합용 홈(22a)에 결합시 반원과 점접촉이 이루어져 나중에 결합용 핀(14)을 결합용 홈(22a)으로부터 분리할 때 용이하게 분리된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결합용 핀과 결합용 홈이 면접촉되기 때문에 외부 오염물질 등이 결합용 핀 또는 결합용 홈에 묻어 있는 상태에서 결합시 상호 분리가 용이하지 않으나, 본 발명은 결합용 핀과 결합용 홈이 선접촉 또는 점접촉에 의해서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용 핀과 결합용 홈의 상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동축 커넥터의 결합용 핀을 원통형 보호용 커버가 보호하고 있으므로 오염물질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동축 커넥터(10)와 안테나 커넥터(20)를 별도의 사전 동작없이 원터치로 결합이 가능하고, 분리시킬 때에는 안테나 커넥터(20)의 스프링 유동부(25)를 후퇴시킨후 동축 커넥터(10)를 원터치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며, 또한, 결합용 핀과 결합용 홈을 점접촉 또는 선접촉에 의해서 결합시키므로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다.
10: 동축 커넥터
11: 하우징
12: 커넥터 핀
13: 절연체
14: 결합용 핀
14a: 결합용 돌기
14b: 삼각형태 보조돌기
14c: 반원형태 보조돌기
15: 원통형 보호용 커버
16: 제 2 공간부
20: 안테나 커넥터
21: 제 1 결합용 하우징
22: 제 2 결합용 하우징
22a: 결합용 홈
22b: 단턱
23: 탄발 스프링
24: 제 1 공간부
25: 스프링 유동부
26: 스프링 작동편
27: 절연체
28: 커넥터 핀홀

Claims (4)

  1. 동축 커넥터(10) 및 안테나 커넥터(2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커넥터(10)는,
    원통형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과, 상기 하우징(11)과 커넥터 핀(12)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체(13)와, 상기 하우징과 절연체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 커넥터와의 결합되는 결합용 핀(14)과, 결합용 핀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용 돌기(14a)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11)으로부터 연장하되 결합용 핀의 외측에 제 2 공간부(16)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원통형 보호용 커버(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테나 커넥터(20)는,
    최외각에 설치되며, 동축 커넥터(10)와 결합시 결합용 핀(12)과 원통형 보호용 커버(15) 사이의 제 2 공간부(16)로 삽입되는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 1 공간부(24)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공간부(24)로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4)이 진입되도록 하고, 일단에 결합용 홈(22a)을 형성하여 결합용 돌기(14a)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결합용 하우징(22)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과 제 2 결합용 하우징(22) 사이에 설치되는 탄발 스프링(23)과,
    상기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의 후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탄발 스프링(23)을 내장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핀(12)이 진입하면 후퇴하여 탄발 스프링(23)을 압박하고,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가 제 2 결합용 하우징(22)의 결합용 홈(22a)에 삽입되면 탄발 스프링(23)의 탄발에 의해 전진하여 결합용 돌기(14a) 상부에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을 위치시켜, 제 1 결합용 하우징(21)이 결합용 돌기(14a)를 압박하면서 지지하도록 유도하는 스프링 유동부(25)와,
    제 2 결합용 하우징 하단에 설치되는 절연체(27)와,
    상기 절연체 하단에 형성되어 커넥터 핀과 결합되는 커넥터 핀홀(28)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커넥터(10)의 결합용 돌기(14a)와 안테나 커넥터(20)의 결합용 홈(22a)은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돌기(14a)의 하부에는 반원 형태의 보조 돌기(14c) 또는 삼각 형태의 보조돌기(14b)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작동편(26)은,
    손가락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두리면에 다수개의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KR1020120005455A 2012-01-17 2012-01-17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KR101127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455A KR101127713B1 (ko) 2012-01-17 2012-01-17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455A KR101127713B1 (ko) 2012-01-17 2012-01-17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713B1 true KR101127713B1 (ko) 2012-03-22

Family

ID=4614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455A KR101127713B1 (ko) 2012-01-17 2012-01-17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7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712A (ko) * 2015-03-20 2016-09-28 최한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KR20220005695A (ko) 2020-07-07 2022-01-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2599355B1 (ko) * 2023-08-31 2023-11-07 주식회사 우석엔지니어링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52B1 (ko) * 2010-07-01 2010-09-0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결합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52B1 (ko) * 2010-07-01 2010-09-0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결합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712A (ko) * 2015-03-20 2016-09-28 최한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KR101669472B1 (ko) 2015-03-20 2016-10-26 최한솔 스프링을 구비한 원터치 조립형 입체 조형물
KR20220005695A (ko) 2020-07-07 2022-01-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2599355B1 (ko) * 2023-08-31 2023-11-07 주식회사 우석엔지니어링 정보통신용 케이블 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6658B2 (en) Cable connector with switching structure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127713B1 (ko)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CN205488826U (zh) 板对板连接器及移动终端
GB2493253A (en) Tool to enable an ROV to handle a subsea connection protector
US20160006188A1 (en) Detecting Structure of Receptacle Connector
GB2521899A (en) Cable connector
WO2007084283A3 (en) Thermocouple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enhanced connectivity features
CN105261884A (zh) 一种充电吸尘器导电部位的对接结构
US9748710B2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KR100873224B1 (ko) 수신안테나용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의 조립구조
EP2973871B1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US7938654B2 (en) Gentle disconnect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and tool therefor
US9954299B2 (en)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connector
KR100978952B1 (ko)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결합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CN201378652Y (zh) 一种矩形连接器
US20150189785A1 (en) Casing and server having the casing
CN103855494A (zh) 一种线缆连接器部件
US9246244B2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TWI513120B (zh) A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nd a connector for this device
CN101950883B (zh) 结合同轴连接器和天线连接器的接收天线组件
WO2006128059A3 (en) Electrical interface extension with isolation function
CN102882071B (zh) 接收天线用组装体
WO2008117181A3 (en) Connecting device and process
CN101192716A (zh) 快速连接端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