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695A - 동축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695A
KR20220005695A KR1020200083180A KR20200083180A KR20220005695A KR 20220005695 A KR20220005695 A KR 20220005695A KR 1020200083180 A KR1020200083180 A KR 1020200083180A KR 20200083180 A KR20200083180 A KR 20200083180A KR 20220005695 A KR20220005695 A KR 20220005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nkage
coaxial cable
locking membe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남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5695A/ko
Publication of KR2022000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개시한다. 상기 커넥터(10)는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케이블(1)과 압착되어 연결된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시그널 터미널(24)이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11)의 외면을 둘러서는 연동구(40)가 하우징(11)을 따라 이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연동구(40)는 제2탄성부재(38)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력을 받고 있다. 잠금구(50)는 상기 연동구(40)에 걸어져 있다가 상대 커넥터(60)와의 결합시에 연동구(40)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제1탄성부재(36)의 토션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대 커넥터(60)와 체결된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 커넥터{Coaxial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동축 케이블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데, 다양한 형태에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와이어의 선단에 연결된 터미널을 가지는 커넥터들 사이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들 와이어중에는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나사부를 가져서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나사부의 체결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조립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너트 형태의 잠금구가 커넥터의 외면을 둘러서 설치되어 있는 형태여서 상기 잠금구를 상대 커넥터의 나사부에 결합하는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77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538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잠금구의 걸림상태를 해지하여 잠금구가 자동적으로 회전하면서 상대 동축케이블 커넥터와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을 위한 구동력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동구와 잠금구 사이의 걸림과 걸림해제를 통해 상대 커넥터와 결합 시에 상기 잠금구가 자동적으로 회전하면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블의 선단과 함께 압착되도록 구성된 케이블압착관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부에 상기 케이블의 심선과 연결되어 위치되는 시그널 터미널;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제2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연동구; 상기 연동구의 일측에 걸어지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동구를 둘러싸고 상기 연동구와의 걸림 해제시에 상기 하우징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토션력을 가지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과 체결되는 잠금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케이블압착관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과 압착되며 후단에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의 단부가 지지되는 단부판을 구비하는 슬리이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외면 둘레에는 규제홈이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규제홈에는 상기 연동구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리브가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연동구의 이동행정을 규제한다.
상기 연동구의 외면에는 걸림턱이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구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연동구의 상기 돌출리브가 형성된 선단으로 개방되게 다수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리브가 형성된 부분이 탄성변형가능하게 된다.
상기 잠금구의 관통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상대 나사부와 결합된다.
상기 잠금구의 후단으로 개방되게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연동구와의 결합 시에 상기 잠금구의 후단이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잠금구의 후단에 인접한 위치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잠금구의 후단 방향으로 개방되게 안착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단부가 안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선단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을 가지고 후단에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과 함께 압착되도록 구성된 케이블압착관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내부에 상기 케이블의 심선과 연결되어 위치되는 시그널 터미널; 상기 하우징의 케이블압착관이 삽입되는 케이블압착관을 가지고 후단에는 단부판이 형성된 슬리이브;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선단 내면의 돌출리브가 걸어져 하우징 선단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하우징 후단방향으로 이동되는 연동구; 상기 연동구에 걸어져 설치되었다가 상기 연동구의 하우징 후단방향 이동 시에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하우징을 따라 회전이동가능하여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과 체결되는 잠금구; 상기 잠금구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슬리이브의 단부판에 후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잠금구에 회전을 위한 토션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연동구의 후단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슬리이브의 단부판에 후단부가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내에 위치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 터미널은 상기 절연체의 터미널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잠금구의 외면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구, 상기 하우징, 상기 연동구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케이블의 메쉬망과의 전기적 연결을 통한 접지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잠금구가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력을 가지고 걸어져 있다가 상대 커넥터에 의해 잠금구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회전되어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는 나사부에 체결된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편리함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잠금구가 연동구에 걸어져 있을 때 제1탄성부재인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을 가지고 있다. 즉,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힘이나 구동원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이 아닌, 제1탄성부재의 복원력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한 제1탄성부재의 탄성변형을 발생시켜 두면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자동체결을 달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배면에서 보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연동구를 배면에서 보인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잠금구를 배면에서 보인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지 전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10)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커넥터(10)의 골격을 하우징(11)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접지를 위해 그러하다.
상기 하우징(11)은 도 2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를 관통해서는 관통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의 외면을 둘러서는 규제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규제홈(13)은 상기 하우징(11)의 선단에서 소정 거리 후퇴된 위치에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규제홈(13)의 일측 가장자리, 즉 하우징(11)의 선단쪽 가장자리는 규체턱(14)이 된다. 상기 규제턱(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구(40)의 선단이 걸어져서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1)의 후단에는 케이블압착관(16)이 있다. 상기 케이블압착관(16)의 내부에도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는 케이블(1)이 위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압착관(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슬리이브(30)의 케이블압착관(32) 내부로 들어간다. 상기 케이블압착관(16)(32)들은 케이블(1)과 함께 압착되어 케이블(1) 선단에 커넥터(10)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블압착관(16)의 외면에는 안착채널(18)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18)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케이블압착관(16)의 외면에 마름모 형상이 다수개 열을 지어 형성되도록 안착채널(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채널(18)은 형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안착채널(18)에는 케이블(1)의 내부에 있는 메쉬망이 압착시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압착관(16)에 케이블(1)의 메쉬망이 위치된 상태로 슬리이브(30)의 케이블압착관(32)과 함께 압착됨에 의해 접지를 위한 연결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의 관통공(12) 선단에는 절연체(20)가 설치된다. 상기 절연체(20)는 절연성 물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절연체(20)도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절연체(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시그널터미널(24)이 주변 부분과 절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체(20)에는 터미널관통공(22)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관통공(22)은 선단측이 내경이 작고 후단 측은 내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는 시그널터미널(24)의 형상에 대응되게 하여 시그널터미널(24)이 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터미널관통공(22)에는 시그널터미널(24)이 위치된다. 상기 시그널터미널(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 시그널 터미널(70)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시그널터미널(24)은 본 실시례에서는 선단은 핀형상의 접촉핀(26)이고, 후단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심선연결체(28)가 있다. 상기 심선연결체(28)는 상기 케이블(1)의 심선(3)(도 3 참고)과 결합된다. 상기 심선연결체(28)는 심선(3)과 함께 압착될 수도 있다.
슬리이브(3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케이블압착관(32)이 있고, 후단에는 단부판(34)이 상기 케이블안착관(32)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압착관(32)은 본 실시례에서는 중공의 육각기둥형상이다. 상기 케이블압착관(32)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1)의 케이블압착관(16)이 위치되어 케이블(1), 케이블압착관(16)과 함께 압착되어 케이블(1)과 슬리이브(30) 그리고 하우징(11)이 서로 결합되게 한다.
상기 슬리이브(30)의 단부판(34)은 제1탄성부재(36)와 제2탄성부재(38)의 각각의 일단부가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단부판(34)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고정홈(34')이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36)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코일 형상인데 토션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이다. 상기 제1탄성부재(36)의 일단부에는 제1걸이봉(37)이 있고 타단부에는 제2걸이봉(37')이 있다. 상기 제2걸이봉(37')은 상기 단부판(34)의 제2고정홈(34')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제1걸이봉(37)은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구(50)의 제1고정홈(59)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36)는 잠금구(50)의 회전을 위한 토션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38)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구(40)를 상기 하우징(11)의 선단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탄성부재(38)도 원통코일 형상이다. 도 1에서는 상기 제1탄성부재(36)의 일부가 도시되지 않았다. 이는 제2탄성부재(38)의 일부가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동구(40)는 원통형상일 수 있고 상기 하우징(11)의 외면을 둘러싸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동구(40)는 상기 하우징(11)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이동가능하다. 즉, 상기 규체홈(13)의 폭만큼의 직선이동 행정을 가진다. 상기 연동구(40)의 내부를 관통해서 관통공(41)이 있는데, 이에는 상기 하우징(11)이 위치된다. 대략 상기 관통공(41)의 내경은 상기 하우징(11)의 외경보다 약간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연동구(40)의 후단 외면을 둘러서는 걸림턱(42)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42)은 상기 연동구(40)의 외면에 대칭이 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4개가 90도 간격으로 대칭이 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42)에는 선단 일부에 곡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구(50)의 걸이턱(52)에 있는 곡면과의 연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연동구(40)의 관통공(41) 내면중 선단을 둘러서는 돌출리브(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리브(44)는 연동구(40)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둘출리브(44)는 상기 규제홈(13) 내에 위치되어 연동구(40)가 이동되는 행정을 규제한다. 상대 커넥터(60)와 본 발명의 커넥터(1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규제턱(14)에 밀착되어 있고, 상대 커넥터(60)의 결합시에는 밀려서 상기 규제홈(13)의 후단쪽으로 이동되어 있게 된다.
상기 연동구(40)에는 다수개의 슬릿(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46)은 상기 연동구(40)의 선단까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동구(40)의 후단부분은 서로 연결되지만 상기 연동구(40)의 선단부분은 4부분으로 나누어져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돌출리브(44)가 형성된 선단 부분의 내경이 상기 하우징(11)의 규제홈(1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조립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조립시에 상기 슬릿(46)에 의해 상기 연동구(40)의 선단 부분이 탄성변형되어 상기 돌출리브(44)가 상기 규제홈(13)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잠금구(50)는 일종의 너트와 같은 구성인데, 상대 커넥터(60)의 하우징(61) 외면에 체결된다. 상기 잠금구(50)에도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공(5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1)의 내면 후단에는 다수개의 걸이턱(5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2)은 상기 연동구(30)의 걸림턱(42)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턱(52)에도 소정의 곡면 부분이 있어서 상기 걸림턱(42)의 곡면과 서로 연동되면서 걸림과 걸림해제가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통공(51)의 내면 선단 일부 구간에는 나사부(54)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54)는 상대 커넥터(60)의 상대 하우징(61) 외면에 형성된 상대나사부(64)에 체결된다.
상기 잠금구(50)의 외면에는 세레이션(56)이 형성된다. 상기 세레이션(56)은 마찰력을 제공하여 상기 잠금구(50)를 작업자가 직접 회전시켜 상대 커넥터(60)와의 체결을 해지할 때, 힘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잠금구(50)의 후단에 인접한 외면 둘레에는 플랜지(58)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58)는 상기 잠금구(50)의 외면 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58)에는 상기 잠금구(50)의 후방을 향해 개방되게 안착채널(58')이 형성된다.(도 6 참고) 상기 안착채널(56')은 상기 제1탄성부재(36)의 일측 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채널(56')에는 제1고정홈(5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홈(59)에는 제1걸이봉(37)이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잠금구(50)에는 슬릿(59')이 잠금구(50)의 후단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슬릿(59')이 180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슬릿(59')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연동구(40)와의 결합시에 걸림턱(42)과 걸이턱(52)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연동구(40)와 잠금구(50)가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잠금구(50)가 상대 커넥터(60)와 체결됨에 의해 본 실시례의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60) 사이의 접지를 위한 연결이 이루어져 본 실시례의 커넥터(10)에 연결된 케이블(1)과 상대 커넥터(60)에 연결된 케이블(1) 사이의 접지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례의 커넥터(10)와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60)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60)의 골격을 하우징(61)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61)은 접지를 위해 도전성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6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관통공(6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61)의 선단 외면 둘레에는 상대 나사부(64)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61)의 후단에는 케이블(1)의 압착을 위한 케이블압착관(도시되지 않음)이 있고, 이 부분이 슬리이브(66)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케이블(1)과 함께 압착된다. 이때도 메쉬망이 상기 케이블압착관의 외면에 위치된 상태이다.
상기 하우징(61)의 관통공(62)에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상대 절연체(68)를 관통하여 상대 시그널 터미널(70)이 위치된다. 상기 상대 절연체(68)는 상기 상대 시크널 터미널(70)이 상기 시그널 터미널(24)과만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주변의 부분과는 절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실시례의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60)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도 상기 커넥터(10)의 같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잠금구(50)는 상기 하우징(11)의 선단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의 선단이 가장 선단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잠금구(50)는 상대적으로 후퇴된 위치에 있으며, 상기 연동구(40)는 상기 잠금구(50)와 하우징(11)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선단의 돌출리브(44)가 상기 하우징(11)의 규제턱(14)에 걸어진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연동구(40)의 선단은 상기 잠금구(50)의 선단보다는 더 후퇴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연동구(40)는 상기 제2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규제턱(14)에 상기 돌출리브(44)가 걸어진 상태에 있다. 상기 잠금구(50)는 상기 걸이턱(52)이 상기 연동구(40)의 걸림턱(42))에 걸어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잠금구(50)는 상기 제1탄성부재(36)의 토션력을 받고 있다. 즉, 상기 제1탄성부재(36)의 제1걸이봉(37)이 상기 잠금구(50)의 고정홈(59)에 걸어져 있고, 상기 제2걸이봉(37')은 상기 슬리이브(30)의 제2고정홈(34')에 걸어져서 토션력을 가진 상태로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구(50)의 걸이턱(52)이 상기 연동구(40)의 걸림턱(42)에서 해제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36)의 토션력에 의해 상기 잠금구(50)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구(40)의 걸림턱(42)에서 상기 잠금구(50)의 걸이턱(52)이 해제되는 것은 상기 연동구(40)가 상기 제2탄성부재(3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후방으로 밀림에 의해 이루어 진다. 즉 상대 커넥터(60)의 하우징(61)의 선단이 상기 연동구(40)의 선단을 밀면서 상기 잠금구(50)의 관통공(51) 내로 진입함에 의해 걸림턱(42)과 걸이턱(52)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걸이턱(52)이 상기 걸림턱(42)으로부터 해지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36)의 토션력이 상기 잠금구(50)에 작용한다. 상기 잠금구(50)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60)의 상대 하우징(61)에 형성된 상대 나사부(64)에 상기 잠금구(50)의 나사부(54)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체결상태는 도 9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동구(40)는 상기 상대커넥터(60)의 상대 하우징(61)에 의해 밀려져서 제2탄성부재(38)가 상대적으로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체결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10)에 연결된 케이블(1)과 상기 상대 커넥터(60)에 연결된 케이블(1) 사이의 접지가, 상기 하우징(11), 잠금구(50), 상대 하우징(61)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 9의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6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기 잠금구(50)를 상기 제1탄성부재(36)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잠금구(50)의 회전에 의해 상대 커넥터(60)와의 나사부 결합은 해지되고 잠금구(50)가 상기 하우징(1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이동으로 상대 커넥터(60)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연동구(40)는 상기 제2탄성부재(38)의 복원력으로 밀려서 상대적으로 하우징(11)의 선단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규제턱(14)에 돌출리브(44)가 걸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연동구(40)의 걸림턱(42)에 상기 잠금구(50)의 걸이턱(52)이 걸어져서 상대 커넥터(60)와의 체결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슬리이브(30)가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슬리이브(30)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슬리이브(30)의 단부판(34)에 탄성부재(36,38)가 지지되는 대신에 상기 하우징(11)의 후단을 연장하여 상기 탄성부재(36,38)를 지지할 수도 있다.
1: 케이블 3: 심선
10: 동축 케이블 커넥터 11: 하우징
12: 관통공 13: 규제홈
14: 규제턱 16: 케이블압착관
18: 안착채널 20: 절연체
22: 터미널관통공 24: 시그널 터미널
26: 접촉핀 28: 심선연결체
30: 슬리이브 32: 케이블압착관
34: 단부판 34': 제2고정홈
40: 연동구 41: 관통공
42: 걸림턱 44: 돌출리브
46: 슬릿 50: 잠금구
51: 관통공 52: 걸이턱
54: 나사부 56: 세레이션
58: 플랜지 58': 안착채널
59: 제1고정홈 59': 슬릿
60: 상대 커넥터 61: 상대 하우징
62: 관통공 64: 상대 나사부
66: 슬리이브 68: 상대절연체
70: 상대 시그널 터미널

Claims (14)

  1.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선단과 함께 압착되도록 구성된 케이블압착관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부에 상기 케이블의 심선과 연결되어 위치되는 시그널 터미널;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제2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연동구;
    상기 연동구의 일측에 걸어지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동구를 둘러싸고 상기 연동구와의 걸림 해제시에 상기 하우징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토션력을 가지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과 체결되는 잠금구;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케이블압착관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과 압착되며 후단에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의 단부가 지지되는 단부판을 구비하는 슬리이브를 더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 둘레에는 규제홈이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규제홈에는 상기 연동구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리브가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연동구의 이동행정을 규제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구의 외면에는 걸림턱이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구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구의 상기 돌출리브가 형성된 선단으로 개방되게 다수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리브가 형성된 부분이 탄성변형가능하게 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의 관통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상대 나사부와 결합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의 후단으로 개방되게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연동구와의 결합 시에 상기 잠금구의 후단이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의 후단에 인접한 위치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잠금구의 후단 방향으로 개방되게 안착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단부가 안착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9.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선단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을 가지고 후단에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과 함께 압착되도록 구성된 케이블압착관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내부에 상기 케이블의 심선과 연결되어 위치되는 시그널 터미널;
    상기 하우징의 케이블압착관이 삽입되는 케이블압착관을 가지고 후단에는 단부판이 형성된 슬리이브;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선단 내면의 돌출리브가 걸어져 하우징 선단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하우징 후단방향으로 이동되는 연동구;
    상기 연동구에 걸어져 설치되었다가 상기 연동구의 하우징 후단방향 이동 시에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하우징을 따라 회전이동가능하여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과 체결되는 잠금구;
    상기 잠금구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슬리이브의 단부판에 후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잠금구에 회전을 위한 토션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연동구의 후단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슬리이브의 단부판에 후단부가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절연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내에 위치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 터미널은 상기 절연체의 터미널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구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턱이 소정의 각도 간격을 형성되고, 상기 잠금구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상기 걸이턱이 걸어진 상태로 있다가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상기 연동구가 상대 커넥터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걸림턱에서 상기 걸이턱이 걸림해제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 둘레에는 규제홈이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규제홈에는 상기 연동구의 선단 내면에 형성된 돌출리브가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연동구의 이동행정을 규제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의 외면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 상기 하우징, 상기 연동구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케이블의 메쉬망과의 전기적 연결을 통한 접지를 수행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20200083180A 2020-07-07 2020-07-07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20220005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180A KR20220005695A (ko) 2020-07-07 2020-07-07 동축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180A KR20220005695A (ko) 2020-07-07 2020-07-07 동축 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695A true KR20220005695A (ko) 2022-01-14

Family

ID=7934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180A KR20220005695A (ko) 2020-07-07 2020-07-07 동축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569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83B1 (ko) 2010-12-17 2011-06-30 (주)슈펙스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1127713B1 (ko) 2012-01-17 2012-03-2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83B1 (ko) 2010-12-17 2011-06-30 (주)슈펙스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1127713B1 (ko) 2012-01-17 2012-03-22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를 원터치로 체결한 수신 안테나용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90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utomatic conductor termination
US5595499A (en) Coaxial connector having improved locking mechanism
US7288002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self-gripping and self-sealing features
US7537482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DK1701410T3 (en) COAXIAL CONNECTOR WITH CABLE GRIP FUNCTION
EP1836747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pop-out pin
US6361348B1 (en) Right angle, snap o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US9413148B2 (en) Electric wall feedthrough for solar installations
US8360796B2 (en) Device for latching a connector device and associated tool
US7238047B2 (en) Connector plug and mating plug
TWI364147B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gripping ferrule and method for terminating same
TWI459655B (zh) 連接器及連接器單元
KR20070043624A (ko) 전처리가 필요없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JPH0612670B2 (ja) 浮動式同軸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7431603B1 (en) Electrical wire connector
JP6943175B2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EP3131158B1 (en) Power contact
EP2684258B1 (en) An electric connector accessory and its method of assembly
JPH0850966A (ja) 高周波用同軸コネクタ
US11211732B2 (en) Plug-in connector part with caulked contact elem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plug-in connector part
US3323098A (en) Sub-miniature coaxial connector
US6896549B2 (en) Device for connecting coaxial conductors to a plug-in connector
KR100880050B1 (ko) 마찰 결합 슬리브를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EP3540868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20220005695A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