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604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604A
KR20230139604A KR1020220038145A KR20220038145A KR20230139604A KR 20230139604 A KR20230139604 A KR 20230139604A KR 1020220038145 A KR1020220038145 A KR 1020220038145A KR 20220038145 A KR20220038145 A KR 20220038145A KR 20230139604 A KR20230139604 A KR 20230139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pring
connector
lock
tub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진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영
Priority to KR102022003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604A/ko
Priority to PCT/KR2022/005460 priority patent/WO2023191167A1/ko
Publication of KR20230139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튜브와 튜브의 연결 신뢰도를 확보하고 커넥터와 튜브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원하는 경우 쉽게 커넥터와 튜브를 분리하기 위해, 내측에 튜브가 삽입될 공간을 마련하는 관형의 메인바디 메인바디에 결합하여 튜브를 가압하여 고정하고, 탄성변형시 고정을 해제하는 락스프링 및 메인바디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이동에 의해 락스프링을 지지하는 경우 락스프링의 탄성변형을 억제하는 더블락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중공부를 갖는 복수의 튜브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유체(예를 들어, 냉각수)가 지나는 튜브와 튜브, 또는 튜브와 다른 부재를 연결한다. 이러한 기능의 관점에서, 튜브와 결합된 커넥터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기밀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기밀성은 튜브와 커넥터의 신뢰도 있는 체결을 전제로 한다.
커넥터와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커넥터에는 락스프링이 구비된다. 락스프링은 튜브를 커넥터에 고정시킨다. 락스프링은 탄성변형됨에 따라 튜브가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삽입된 튜브가 해제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준다. 그런데 이러한 락스프링은 의도치 않게 탄성변형되어 튜브가 빠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락스프링이 의도치 않게 탄성변형되는 것을 막도록 하는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탄성변형되는 것을 막는 상태 또는 예비 상태를 확실하게 구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락스프링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할 때 의도치 않게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를 피할 필요가 있다.
또 커넥터 및 튜브가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 락스프링을 탄성변형시켜 튜브를 빼내고자 하는 경우가 있음에도 공간 등의 제약으로 인해 락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지 못하는 경우 다른 방식을 통해 락스프링을 탄성변형시켜 튜브를 빼낼 필요가 있다.
또 락스프링의 강성이 충분하지 못해 락스프링이 탄성변형되지 않았음에도 튜브가 강제로 당겨지는 경우 락스프링이 완전히 변형되면서 튜브가 빠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튜브와 튜브의 연결 신뢰도를 확보하여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튜브와 커넥터를 체결한 뒤 원하는 경우 다시 쉽게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의도하지 않게 튜브가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튜브가 삽입될 공간을 마련하는 관형의 메인바디 메인바디에 결합하여 튜브를 가압하여 고정하고, 탄성변형시 고정을 해제하는 락스프링 및 메인바디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이동에 의해 락스프링을 지지하는 경우 락스프링의 탄성변형을 억제하는 더블락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메인바디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락스프링은 메인바디의 제1 개구를 따라 폭 방향으로 삽입되어 메인바디에 결합하고, 더블락은 메인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락스프링은 폭 방향 제1 단부에 대한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더블락은 락스프링 내부에 삽입되어 제1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락스프링의 형상 변형을 억제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락스프링은 탄성변형시 삽입될 또는 삽입된 튜브의 직경보다 큰 원형을 띠는 내부 공간을 갖고, 락스프링 내부 공간의 중심축과 메인바디의 중공부 중심축은 평행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락스프링 제1 단부의 타측 단부인 제2 단부에 구비되는 보조 돌기 및 보조 돌기가 노출되도록 메인바디에 형성된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보조 돌기는 삽입 방향으로 가압되어 락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보조 돌기 및 제2 개구는 제2 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메인바디 및 락스프링은 결합된 락스프링의 분리를 방지하는 락스프링 고정부를 구성하고, 락스프링 고정부는 후크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더블락 및 메인바디는, 더블락이 락스프링의 탄성변형을 제한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더블락 체결부 및 더블락이 락스프링의 탄성변형을 제한하지 않을 때 메인바디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 구조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제한부를 형성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더블락 체결부는, 더블락이 유동하지 않도록 경사면을 갖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락스프링은 튜브의 외주면에 돌출된 돌출 리브에 걸리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락스프링은, 걸림턱 영역의 두께를 보강하여 락스프링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튜브와 튜브의 연결 신뢰도를 확보하여 유체가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넥터와 튜브를 연결시킬 수도 있고, 필요시 분리시킬 수도 있다.
또, 튜브가 의도하지 않게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와 튜브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에 튜브가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락스프링이 탄성변형된 상태 및 변형이 원복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커넥터를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커넥터에 일측 및 타측 튜브가 모두 결합 상태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락스프링에 대한 배면 사시도 일부 및 비교를 위한 또 다른 락스프링에 대한 배면 사시도 일부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튜브가 결합된 상태의 커넥터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타측에서 바라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의 더블락이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10)와 튜브(20)의 결합 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10)에 튜브(20)가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락스프링(200)이 탄성변형된 상태 및 변형이 원복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커넥터(10)는 튜브(20)와 튜브(20), 또는 튜브(20)와 다른 구조물을 연결한다. 유체는 커넥터(10)를 통해 연결되는 튜브(20)를 이동하게 된다. 커넥터(10)와 튜브(20)가 쉽게 연결되거나 또는 쉽게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커넥터(10)와 튜브(20)는 쉽게 연결 또는 분리가 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원하지 않음에도 커넥터(10)와 튜브(20)가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커넥터(10)와 튜브(20)의 결합 틈으로 유체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기능해야 함은 물론이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요건들을 만족하는 커넥터(1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커넥터(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각각 튜브(20-a, 20-b)가 연결될 수 있다. 두 튜브(20-a, 20-b)는 커넥터(10)에 의해 연통될 수 있으며, 연통된 중공부 공간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체는 차량용 냉각수일 수 있으며, 커넥터(10) 및 튜브(20)는 차량 내부에서 냉각수가 지나는 유체 회로의 일부 구성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가 차량 냉각수 커넥터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약적인 공간에서 작업자의 접근 및 작업이 얼마나 용이한지, 진동 및 떨림이 많은 환경에서 커넥터가 튜브를 얼마나 단단하게 고정하는지 등이 특히 주요한 기술적 과제가 된다.
튜브(20)는 플라스틱 소재와 같이 형상 변형이 없거나 제한적인 강성의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폴리아미드(예를 들어, PA11, PA12 등과 같은 나일론)와 같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특히 커넥터(10)의 일측에 결합하는 튜브(20-a)는 전자의 소재로, 타측에 결합하는 튜브(20-b)는 후자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튜브(20)와 커넥터(10) 사이의 결합 방식에 기인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두 튜브(20-a, 20-b)를 연통할 길이 방향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커넥터(10)는 튜브(20) 외주면을 감싸 튜브(20)가 커넥터(10)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 및 튜브(20)가 커넥터(10) 외주면을 감싸 튜브(20)가 커넥터(10) 외측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넥터(10)에 있어서 전자의 구조가 구비된 쪽을 길이 방향 일측, 후자의 구조가 구비된 쪽을 길이 방향 타측으로 정의한다.
나아가,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커넥터(10)의 폭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정의한다.
커넥터(10)는 크게 메인바디(100), 락스프링(200) 및 더블락(3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100)는 길이 방향의 중공부(101)를 형성한다. 메인바디(100) 일측에는 튜브(20)가 삽입되어 각 중공부가 연통하게 되고, 메인바디(100)의 타측은 튜브(20)에 삽입되어 각 중공부가 연통하게 된다.
락스프링(200)은 메인바디(100)에 결합하여 튜브(20)를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튜브(20)를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락스프링(200)이 튜브(20)를 고정하는 방식은 튜브(20) 외주면을 가압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락스프링(200)이 원 상태로 복원 가능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락스프링(200)이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경우 튜브(20)는 메인바디(100)에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또는 삽입되었던 튜브(2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더블락(300)은 메인바디(10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락스프링(200)의 탄성변형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도 3은 이러한 메인바디(100), 락스프링(200) 및 더블락(300)의 거동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커넥터(10)에 튜브(20)가 삽입된 후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락스프링(200)은 폭 방향 양측, 예를 들어 상하 방향 양측에서 가압되어 탄성변형 될 수 있다. 특정 방향에 대해 락스프링(200)이 가압되면, 튜브(20)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201)이 형성된다(락스프링(200)이 탄성변형된 모습은 도 4의 (a)와 같다). 즉 락스프링(200)이 가압됨에 따라 락스프링(200)은 내부에 원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원형의 공간은 튜브(20)의 직경보다 커 튜브(20)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된다.
락스프링(200)이 적절히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락스프링(200)은 적절한 물질 및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스프링(200)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락스프링(200)은 PA66(Polyamide 66)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락스프링(200)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 충분히 얇은 두께의 구조로 구현되어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튜브(20)가 락스프링(200) 및 메인바디(100)에 충분히 삽입된 이후 락스프링(200)에 적용된 가압이 해제되면 삽입된 튜브(20)는 락스프링(200)에 의해 커넥터(10)에 고정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탄성변형되었던 락스프링(200)은 가압이 제거됨에 따라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락스프링(200)이 복원된 모습은 도 4의 (b)와 같다), 튜브(20)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락스프링(200)의 본래 형상은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원형의 내부 공간(201)을 포함하고, 이는 튜브(20)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없는 형상임을 알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더블락(300)은 락스프링(200)의 의도하지 않은 탄성변형 또는 메인바디(100)에서의 유동을 방지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더블락(300)은 락스프링(200)이 외부 구성과의 간섭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되거나, 또는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락스프링(200)이 변형되거나 메인바디(100)에서 유동하여 종국적으로 튜브(20)가 커넥터(10)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 더블락(300)은 커넥터(10)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락스프링(200) 내부로 삽입 후 락스프링(200)을 지지할 수 있다. 더블락(300)에 의해 지지된 락스프링(200)은 폭 방향에 대한 압축힘을 받더라도 더블락(300)에 의해 변형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튜브(20)가 의도하지 않게 커넥터(10)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도 3의 (a) 내지 (c)의 과정은 역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는 커넥터(10) 일측에 이미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튜브(20)를 분리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3의 (c)의 상태에서 더블락(300)을 커넥터(10) 길이 방향 타측으로 슬라이드 시켜 도 3의 (b)의 상태로 만들고, 도 3의 (a)와 같이 락스프링(200)을 상하 방향에서 가압하여 튜브(2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락스프링(200)을 가압함으로써 튜브(20)를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이는 이미 연결된 커넥터(10) 및 튜브(2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 두 구성을 분리시켜 필요한 대상만 교체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이는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락스프링(200)의 탄성변형은 폭 방향(예를 들어, 상하 방향)에 대한 압축힘을 의미한다. 다만, 작업자는 락스프링(200)의 폭 방향 일측(예를 들어, 상단) 가압만으로도 상술한 탄성변형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락스프링(200)의 폭 방향 타측(예를 들어, 하단)이 메인바디(100)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폭 방향 일측 가압이 용이하도록, 락스프링(200)은 제1 단부(210)(예컨대, 상단부)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가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작업자는 넓은 면적의 가압부를 누름으로써 쉽게 락스프링(200)을 탄성변형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더블락(300)은 락스프링(200)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더블락(300)은 슬라이드 되어 락스프링(200)의 제1 단부(210)(또는 가압부)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더블락(300)에 구비된 지지부(320)는 락스프링(200)의 제1 단부(210)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 지지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지지부(320)는 제1 단부(210) 내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넥터(10)의 세부 구조에 대해 조금 더 상세히 알아본다. 락스프링(200)은 메인바디(100)의 폭 방향으로 삽입된 후 체결된다. 메인바디(100)는 락스프링(200)이 삽입될 제1 개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102)는 락스프링(200)의 삽입방향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락스프링(200)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락스프링(200)이 메인바디(100)에 삽입됨에 따라, 락스프링(200)의 내부 공간(201)은 메인바디(100)의 중공부(101)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스프링(200) 내부 공간(201)의 중심축과 메인바디(100)의 중공부(101) 중심축은 평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일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커넥터(10)를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메인바디(100)에 체결된 락스프링(200)이 의도하지 않게 다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바디(100) 및 락스프링(200)은 락스프링 고정부(410)를 구성할 수 있다. 락스프링 고정부(410)는 락스프링(200)이 메인바디(100)에 대해 삽입 방향의 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락스프링 고정부(410)는 후크 구조, 즉 후크(411) 및 걸림부(412)로 구성될 수 있다. 후크(411)는 락스프링(200)에, 걸림부(412)는 메인바디(1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후크(411)는 락스프링(200)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후크(411)는 경사면을 가져 락스프링(200)이 메인바디(100)의 제1 개구(102)에 삽입될 때는 걸림부(412)에 의해 내측(또는 일측)으로 가압되어 압축되고, 락스프링(200)이 제1 개구(102)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체결이 완료되면 다시 외측(또는 타측)으로 돌출되어 메인바디(100)의 걸림부(412)에 걸려 체결된다.
도 7은 도 5의 커넥터(10)에 일측 및 타측 튜브(20-b)가 모두 결합 상태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튜브(20)는 상술한 것과 같이 락스프링(200)의 내주면 가압에 의해 일차적으로 고정됨에서 나아가, 락스프링(200)의 걸림턱(220)에 의해 이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일측 튜브(20-a)가 커넥터(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튜브(2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 리브(21)는 락스프링(200)의 걸림턱(220)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걸리게 된다. 반대로 튜브(20)가 커넥터(10)에 삽입될 때에는, 튜브(20)의 돌출 리브(21)는 락스프링(200)의 걸림턱(220) 경사면(221)을 따라 자연스럽게 압축되어 튜브(20)가 커넥터(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중 고정 구조에 의해 튜브(20)는 커넥터(1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걸림턱(220) 경사면(221)과 튜브(20) 돌출 리브(21)의 상호 가압은 락스프링(200)을 탄성변형 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락스프링(200)의 제1 단부(210)를 가압하는 과정없이 튜브를 커넥터(10)에 체결시킬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락스프링(200)에 대한 배면 사시도 일부 및 비교를 위한 또 다른 락스프링(200)에 대한 배면 사시도 일부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락스프링(200)은 튜브(20)의 강제 이탈을 막고, 튜브(20)가 강제 이탈되는 경우에도 락스프링(200)의 영구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보강 리브(222)를 구비할 수 있다. 락스프링(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브(20)의 선택적 체결을 위한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변형이 용이한 재료 및 형상을 갖게 되는데, 이는 모순적으로 튜브(20)를 커넥터(10)로부터 분리시키길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튜브(20)를 강제로 분리될 위험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강제 분리는 락스프링(200)의 영구 변형을 가져올 수도 있다. 특히,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락스프링(200)의 걸림턱(220)은 튜브(20)의 돌출 리브(21)와 걸리는 지점에 해당하므로 튜브(20)가 강제적으로 분리되는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지점이 된다.
보강 리브(222)는 이러한 튜브(20)의 강제 분리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강제 분리가 되더라도 락스프링(200)의 형상이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 리브(222)는 락스프링(200)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고 탄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강 리브(222)는 락스프링(200)의 걸림턱(220)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의 (b)는 보강 리브(222)가 구비되지 않은 락스프링(200)을 도시한 것이며,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보강 리브(222)는 주변부보다 더 두꺼운 영역을 가짐으로써 강성을 증가시킨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튜브(20)가 결합된 상태의 커넥터(10)의 일측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락스프링(200)을 탄성변형시켜 튜브(20)를 출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락스프링(200)의 제1 단부(210)(즉, 가압부)를 가압하여 락스프링(200)을 탄성변형 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커넥터(10)와 튜브(20) 결합 구조물이 이미 어떤 구조물(예컨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 제1 단부(210)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튜브(20)를 커넥터(10)로부터 강제로 당겨 빼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으나,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커넥터(10) 및 튜브(20)의 손상, 나아가서는 주변 다른 구조물까지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락스프링(200)의 제1 단부(210)(상단부)가 아닌 다른 영역, 예를 들어 제2 단부(230)(하단부)에서 락스프링(200)을 탄성변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락스프링(200)은 락스프링(200)의 탄성변형을 위한 보조 돌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보조 돌기(231)를 가압함으로써 락스프링(200)의 탄성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외부에서 보조 돌기(231)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메인바디(100)는 보조 돌기(231)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개구(103)는 락스프링(200)이 메인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보조 돌기(231) 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작업자는 보조 돌기(231)를 삽입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락스프링(200)을 탄성변형 시킬 수 있다. 보조 돌기(231)는 작업자가 보조 돌기(231)를 위에서 아래로 용이하게 눌릴 수 있도록 삽입 반대 방향을 향하는 누름면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보조 돌기(231)는 수평 양측에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조 돌기(231)가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두 보조 돌기(231)를 파지하여 힘을 가하기 용이하며, 탄성변형을 양쪽에서 유도하므로 쉽게 탄성변형되어 튜브(20)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조 돌기(231)는 제2 단부(230)(하단부) 끝이 아닌 수평 방향 양측으로 치우쳐 구비되어 외부에서 접근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두 보조 돌기(231)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타측에서 바라본 커넥터(10)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10)의 더블락(300)이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를 함께 참조한다.
더블락(300)은 메인바디(100) 상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며 락스프링(200)을 지지하여 락스프링(200)의 탄성변형을 제한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이는 더블락(300)의 메인바디(100) 상에서의 길이 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더블락(3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더블락(300)과 메인바디(100)에는 슬라이드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420)는 제1 가이더(421) 및 제2 가이더(422)의 계합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가이더(421)는 메인바디(10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가이더(422)는 더블락(300)에 구비되어 제1 가이더(421)와 걸림 구조를 갖는다.
도 11의 (c)와 같이 락스프링(200)의 탄성변형을 제한하는 상태(이를 더블락(300) 체결상태로 정의한다)에서 더블락(300)은 더블락 체결부(430)를 통해 더블락(300) 체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블락 체결부(430)는 후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바디(100)의 외주면 적어도 일 지점에는 돌출부(431)가 구비되고, 더블락(300)은 돌출부(431)에 걸릴 수 있는 제3 개구(432)를 구비할 수 있다. 더블락(300)의 개구는 원통형의 바디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31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더블락 체결부(430)는 커넥터(10)의 수평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a)와 같이 더블락(300)이 락스프링(200)의 탄성변형을 제한하지 않는 상태(이를 더블락(300) 비체결상태로 정의한다)에서 더블락(300)이 메인바디(100)의 타측으로 계속 슬라이드 되어 메인바디(10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는 슬라이드 제한부(440)에 의해 구현된다.
슬라이드 제한부(440)는 메인바디(100)에 돌출 형성된 타측 돌출턱(441) 및 더블락(300)에 구비되어 타측 돌출턱(441)에 걸릴 수 있는 절곡 형상의 절곡부(442)를 포함한다. 더블락(300)이 타측으로 이동하다가 절곡부(442)가 타측 돌출턱(441)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어 더블락(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절곡부(442)는 더블락(300)의 타측 방향 슬라이드 종점을 설정할 뿐만 아니라, 일측 방향 슬라이드 종점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곡부(442)는 메인바디(100)에 돌출 형성된 일측 돌출턱(443)의 상호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절곡부(442)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 이동 한계점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더블락(300) 비체결상태에서 더블락(300)이 의도하지 않게 체결상태로 전환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메인 바디에서 슬라이드 되어 유동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유동방지부(4311)에 의해 구현되며, 유동방지부(4311)는 메인바디(100)의 돌출부(431)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4311)는 더블락(300)의 날개부(310)의 단부(311)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더블락(300) 비체결상태에서 더블락(300)의 날개부(310)의 단부(311)는 유동방지부(4311)에 지지되어 일측으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더블락(300)을 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충분한 힘이 작용된 경우에만 도 11의 (a)에서 (b)의 상태로 전환하고, 충분히 이동이 발생하면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유동방지부(4311)에 인해 락스프링(200)이 제1 개구(102)부에 삽입될 때 더블락(300)이 락스프링(200)의 삽입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한다.
도 2 및 도 7 등을 참조하면, 커넥터(10)의 타측, 구체적으로는 메인바디(100)의 타측은 타측 튜브(20-b)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주름부(104)를 가질 수 있다. 주름부(104)는 메인바디(100) 타측 외주면에 구비되어 변형성을 갖는 튜브(20)가 연결되었을 때 마찰력을 증가시켜 튜브(2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주름부(104)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띠의 복수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방향은 튜브(20)가 빠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는 마찰력을 극대화시켜 튜브(20)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넥터(10) 일측과 타측의 결합형태가 다른 이유는 기능에 근거한다. 커넥터(10) 일측의 결합 구조는 튜브(20)를 단단하게 결합시키면서도 필요시 쉽게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며, 커넥터(10) 타측의 결합 구조는 튜브(20)가 한번 결합된 경우 쉽게 해제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적용되는 환경 조건에 맞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일측 결합 구조가 양측에 대칭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반대로 타측 결합 구조가 양측에 대칭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커넥터(10)는 실링부(450)를 가질 수 있다. 실링부(450)는 커넥터(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450)는 오링(451)에 의해 구현된다.
커넥터(10)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45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오링(451)은 튜브(20)의 외주면 및 메인바디(100)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실링을 구현한다.
리테이너(452)는 일측 튜브(20-a)를 커넥터(10)로부터 분리할 때 오링(451)이 함께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리테이너(452)는 오링(451)을 메인바디(100)에 가둠과 동시에 메인바디(100)에 걸리는 구조를 가져 오링(451) 및 리테이너(452)가 메인바디(10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오링(451)과 달리 보조링(453)은 오링(451)과 유사한 형상,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오링(451)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보완하고, 오링(451)을 보조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보조링(453)은 오링(451)보다 더 고온 및 고압의 상태에서 견디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10)의 타측에도 오링(451)이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의 오링(451)은 타측 튜브(20-b)의 내주면과 메인바디(100)의 외주면을 기밀하게 실링한다. 타측 오링(451)의 이탈 방지를 위해, 메인바디(100)의 외주면에는 함몰 영역(105)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커넥터 20: 튜브
20-a: 커넥트 일측에 결합하는 튜브 20-b: 커넥트 타측에 결합하는 튜브
21: 돌출 리브 100: 메인바디
101: 중공부 102: 제1 개구
103: 제2 개구 104: 주름부
105: 함몰 영역 200: 락스프링
201: 내부 공간 210: 제1 단부(상단부 또는 가압부)
220: 걸림턱 221: 경사면
222: 보강 리브 230: 제2 단부(하단부)
231: 보조 돌기 300: 더블락
310: 날개부 311: 날개부 단부
320: 지지부 410: 락스프링 고정부
411: 후크 412: 걸림부
420: 슬라이드부 421: 제1 가이더
422: 제2 가이더 430: 더블락 체결부
431: 돌출부 4311: 유동방지부
432: 제3 개구 440: 슬라이드 제한부
441: 타측 돌출턱 442: 절곡부
443: 일측 돌출턱 450: 실링부
451: 오링 452: 리테이너
453: 보조링

Claims (12)

  1. 내측에 튜브가 삽입될 공간을 마련하는 관형의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결합하여 튜브를 가압하여 고정하고, 탄성변형시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락스프링; 및
    상기 메인바디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락스프링을 지지하는 경우 상기 락스프링의 탄성변형을 억제하는 더블락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락스프링은 상기 메인바디의 제1 개구를 따라 폭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결합하고,
    상기 더블락은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넥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락스프링은 폭 방향 제1 단부에 대한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상기 더블락은 상기 락스프링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락스프링의 형상 변형을 억제하는 커넥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락스프링은 탄성변형시 삽입될 또는 삽입된 튜브의 직경보다 큰 원형을 띠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락스프링 내부 공간의 중심축과 상기 메인바디의 중공부 중심축은 평행한 커넥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락스프링 제1 단부의 타측 단부인 제2 단부에 구비되는 보조 돌기; 및
    상기 보조 돌기가 노출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돌기는 상기 삽입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락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커넥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돌기 및 제2 개구는 상기 제2 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커넥터.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락스프링은 결합된 상기 락스프링의 분리를 방지하는 락스프링 고정부를 구성하고, 상기 락스프링 고정부는 후크구조를 갖는 커넥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락 및 메인바디는,
    상기 더블락이 상기 락스프링의 탄성변형을 제한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더블락 체결부; 및
    상기 더블락이 상기 락스프링의 탄성변형을 제한하지 않을 때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 구조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제한부를 형성하는 커넥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락 체결부는,
    상기 더블락이 유동하지 않도록 경사면을 갖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스프링은 튜브의 외주면에 돌출된 돌출 리브에 걸리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삽입되는 튜브와 마주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튜브의 삽입에 따라 상기 걸림턱의 경사면이 가압되어 상기 락스프링의 탄성변형을 가져오는 커넥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락스프링은,
    상기 걸림턱 영역의 두께를 보강하여 상기 락스프링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220038145A 2022-03-28 2022-03-28 커넥터 KR20230139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145A KR20230139604A (ko) 2022-03-28 2022-03-28 커넥터
PCT/KR2022/005460 WO2023191167A1 (ko) 2022-03-28 2022-04-15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145A KR20230139604A (ko) 2022-03-28 2022-03-28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604A true KR20230139604A (ko) 2023-10-05

Family

ID=8820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145A KR20230139604A (ko) 2022-03-28 2022-03-28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9604A (ko)
WO (1) WO20231911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616A1 (ko) * 2022-10-11 2024-04-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배관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760B1 (ko) * 2008-09-08 2014-10-13 타이코에이엠피(유)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JP2010270838A (ja) * 2009-05-21 2010-12-02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配管接続構造
JP2011140988A (ja) * 2010-01-07 2011-07-21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および配管接続構造
DE102015003792B4 (de) * 2015-03-23 2021-08-26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Kupplungsvorrichtung
FR3044382B1 (fr) * 2015-11-30 2017-12-0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rapide avec bague secable pour connexion fluidique securise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616A1 (ko) * 2022-10-11 2024-04-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배관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167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251B1 (ko) 급속 커넥터
KR101328375B1 (ko)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KR101594621B1 (ko)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KR101305856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CN104455825B (zh) 具带按钮释放用一体弹簧臂的锁闩的快连流体导管连接器
KR100314314B1 (ko) 2개의 유체 파이프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접속식 커플링
JP6131183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11306388A (zh) 用于连接软管的快速接头总成
US10617861B2 (en) Bayonet coupling assembly
JP2872410B2 (ja) スクイーズ・リリースクイックコネクタ
US20050230968A1 (en) Quick connector
KR20060045386A (ko) 신속 커넥터용 제2래치 및 검정기
KR20230139604A (ko) 커넥터
GB2253666A (en) A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a tube to a pipe which has a peripheral retaining rib
WO2014050119A1 (ja) コネクタ
US20100213702A1 (en) Release tool for quick connector
KR102536620B1 (ko) 볼잠금 연결체
JP2008232438A (ja) 高圧用のクイックコネクタ
JP2009273209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ファスナー
WO2014010235A1 (ja) コネクタ
EP2519766B1 (en) A quick connector element
CN207094002U (zh) 可拆卸的快速连接装置
CN109404647A (zh) 可拆卸的快速连接装置
JP4166225B2 (ja) パネル貫通の配管部材のホルダ
CN108779887A (zh) 通过拉动环断开连接的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