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386A - 신속 커넥터용 제2래치 및 검정기 - Google Patents

신속 커넥터용 제2래치 및 검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386A
KR20060045386A KR1020050027193A KR20050027193A KR20060045386A KR 20060045386 A KR20060045386 A KR 20060045386A KR 1020050027193 A KR1020050027193 A KR 1020050027193A KR 20050027193 A KR20050027193 A KR 20050027193A KR 20060045386 A KR20060045386 A KR 20060045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retainer
connector body
male member
black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635B1 (ko
Inventor
리챠드 엠. 페페
짐 케린
Original Assignee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6004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신속 커넥터 커플링은 암형 커넥터 몸체와, 관형 수형 부재와, 제1리테이너 및 제2래치/검정기를 포함한다. 상기 암형 커넥터 몸체는 관통 보어와, 상기 보어내로 개방되는 횡단 슬롯을 포함한다. 환형 업셋부를 갖는 상기 수형 부재는 관통 보어내로 연장된다. 제1리테이너는 슬롯내에 배치되며, 상기 수형 부재를 커넥터 몸체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래치/검정기는 슬롯내에 배치되며, 커넥터 몸체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리테이너의 해제를 배제하는 래치 위치와 언래치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 제2래치는 수형 부재의 삽입시 제2래치를 언래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리테이너 빔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래치/검정기는 외측에 배치되는 검정기와, 상기 수형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가의 래치를 포함한다.
커플링, 레그, 슬롯, 노치, 융기부, 어깨부, 빔, 리테이너, 하우징, 관통 보어

Description

신속 커넥터용 제2래치 및 검정기{SECONDARY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도1은 본 발명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분해도.
도2는 도1의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암형 커넥터 본체의 측면도.
도4는 도2의 암형 커넥터 본체의 배면도.
도5는 도4의 선5-5를 따른 커넥터 본체의 단면도.
도6은 도3의 선6-6을 따른 커넥터 본체의 단면도.
도7은 도1의 제1리테이너의 정면도.
도8은 도7의 제1리테이너의 측면도.
도9는 도5의 제1리테이너의 배면도.
도10은 도1의 제2래치/검정기의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제2래치/검정기의 평면도.
도12는 도10의 제2래치/검정기의 배면도.
도13은 도10의 제2래치/검정기의 측면도.
도14는 밀봉 챔버내의 밀봉 소자를 갖는 도1의 커넥터 본체의 단면도.
도15는 제1리테이너가 고정 위치에 있고 제2래치/검정기는 언래치 위치에 있 는, 도1의 커플링의 측면도.
도16은 도15의 선16-16을 따른 커플링의 단면도.
도17은 제1리테이너가 고정된 위치에 있고 제2래치/검정기는 래치 위치에 있는, 도1의 커플링의 단면도.
도18은 제1리테이너는 해제된 위치에 있고 제2래치/검정기는 해제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도1의 커플링의 단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면서 도1 내지 도18의 실시예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과 비교하여 부가 기능을 갖는 다른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평면도.
도20은 유체 라인에 연결이 실현되는 동안 특정 관계에 있는 커플링 소자를 나타내는 도19의 선20-20을 따른 도19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단면도.
도21은 유체 라인에 연결이 실현되는 동안 상이한 관계에 있는 커플링 소자를 나타내는 도19의 선20-20을 따른 도19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단면도.
도22는 도19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
도23은 도19의 신속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의 단면도.
도24는 도23의 선24-24를 따른 커넥터 본체의 단면도.
도25는 도19의 신속 커넥터의 제1리테이너의 사시도.
도26은 도19의 신속 커넥터의 제1리테이너의 측면도.
도27은 도19의 신속 커넥터의 제1리테이너의 정면도.
도28은 도19의 신속 커넥터의 제2래치/검정기의 사시도.
도29는 도19의 신속 커넥터 또는 커플링의 제2래치/검정기의 측면도.
도30은 도19의 신속 커넥터 또는 커플링의 제2래치/검정기의 정면도.
도31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수정된 형태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측면도.
도32는 도31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배면도.
도33은 도31의 신속 커넥터의 단면 측면도.
도34는 도31의 실시예의 제2래치/검정기 소자의 부분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커플링 12: 커넥터 본체
13: 호스 14: 수형 부재
20: 외벽 22: 내벽
24: 축 26: 관통 보어
32: 하우징 부분 34: 밀봉 챔버
90: 업셋부 96: 레그
98: 횡단 부재 106: 래치
162: 측면 슬롯 166: 바닥 슬롯
190: 업셋부 192: 튜브 단부
196: 레그 206: 래치
210: 도입 영역 222: 핑거
229: 플랜지
본 출원은 2004년 3월 31일에 출원된 동시계속출원 제10/814,314호의 일부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신속 커넥터 커플링을 포함하는 유체 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래치/검정기를 구비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및 기타의 분야에서, 암형 커넥터 본체내에 수용되어 밀봉식으로 유지되는 수형 부재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은 종종 두개의 소자 또는 도관 사이의 유동 연결을 제공하도록 종종 이용되므로써, 두 소자 사이에 유체 라인을 형성한다. 신속 커넥터 커플링을 사용하는 것은 밀봉되고 단단히 잠긴 유체 라인이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수형 부재와 암형 커넥터 본체를 함께 결합하기 위해 수 많은 방법과 기구가 존재된다. 지지기구의 한 형태는 커넥터 본체 내에 배치된 리테이너의 사용과 관련된다. 리테이너는 커넥터 본체 내에 형성된 방사상 표면과 수형 부재에 형성된 확장된 업셋부(upset)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중베어링 부재를 갖고, 따라서 수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내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형태의 리테이너가 갖는 하나의 결점은 대개 커플링을 분리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 합을 분리하기 위해 특별한 해제 장치나 슬리브가 사용된다.
지지기구의 또 다른 형태는 커넥터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삽입된 지지 클립 형태의 리테이너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슬롯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빔은 수형 부재 업셋부와 슬롯을 한정하는 후방표면 사이에 놓여서, 커플링의 연결이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 이러한 리테이너의 물리적 외관에 기인하여, 거래업계에서 "말굽" 리테이너라고 불린다. 이러한 형태의 리테이너의 예는 본 발명에 참조인용된 칼라하스티 등에 특허허여된 미국 특허 제5,586,792호(이하 '792특허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 특허 제5,586,792호에 개시된 "말굽" 리테이너는 커플링의 복잡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아니하면서 커플링을 쉽게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은, 커플링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는 것을 막고 커플링이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며 제1말굽 리테이너가 실패하는 경우 커플링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래치/검정기를 이용하여, 미국 특허 제5,586,792호에 개시된 형태의 리테이너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은 유체 라인 시스템에 관련되어 설명된다. 단단한 튜브와 다른 유체운반 소자, 구체적으로는 가요성 호스 사이의 해제가능한 연결로서 나타난다. 그러나, 커플링은 가압 여부에 관계없이 유체 통로의 단단한 소자의 연결과 같이 유체가 누설되지 않고 그러나 해제할 수 있는 연결이 요구되는 수 많은 다른 장치에 적용된다. 한 예는 차량용 연료 주입 파이프 장치이다. 또 다른 예는 배수설비 장치이다.
도1은 유체 라인에 형성된 신속 커넥터 커플링(10)을 나타낸다. 커플링(1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암형 커넥터 본체(12)와 제1리테이너 부재(16)와 별개의 제2래치/검정기 부재(18)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수형 부재(14)로 구성된다. 수형 부재(14)는 유체 라인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공 튜브의 단부에 형성된다. 사용시, 암형 커넥터 본체(12)는 또한 유체 라인 시스템의 일부인 튜브 또는 호스(13)(도14에 도시된 것처럼)에 연결된다. 암형 커넥터 본체(12)와 수형 부재(14)는 유체 라인내에 영구적이지만 독자적인 접합부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2)는 도2 내지 도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계단식 외벽(20)과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계단식 내벽(22)에 의해 한정된다. 커넥터 본체(12)는 축(24)을 중심으로 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내벽(22)은 관통 보어(26)를 한정한다. 보어(26)는 더 큰 직경, 즉 수형 부재 수용부로부터 더 작은 직경, 즉 호스 연결단부(30)까지 커넥터 본체(12)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된다.
커넥터 본체(12)의 내벽(22)의 직경이 바뀜으로써 네개의 별개의 부분으로 보어(26)가 나누어진다. 수형 부재 수용부로부터 호스 연결단부(30)까지 내부를 향해 축을 따라 이동하면,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2), 밀봉 챔버(34), 튜브 단부 리셉터클(36), 및 유체 통로(38)가 있다.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2)은 수형 부재 수용단부(28)에 인접해 있다. 이는 상부 지지부재(44)와 두개의 측면 지지부재(46, 48)와 두개의 중앙 지지부재(50, 52)와 두개의 바닥 지지부재(54, 56)에 의해 내측 림(42)에 연결된 C 형상 외측 림 (40)에 의해 한정된다. 외측 림 슬롯(41)은 C 형상 외측 림(40)의 바닥부에서 한정된다. 노치(43)는 내측 림(42)의 바닥부에서 한정된다. 상부 지지부재(44)와 두개의 측면 지지부재(46, 48) 사이의 간격은 두개의 상부 슬롯(58, 60)을 한정한다. 두 측면 지지부재(46, 48)와 바닥 지지부재(54, 56) 사이의 간격은 두 측면 슬롯(62, 64)을 한정한다. 두 바닥 지지부재(54, 56) 사이의 간격은 바닥 슬롯(66)을 한정한다. 상부 슬롯(58, 60)은 커넥터 본체(12)의 중앙 축(24)을 횡단하여 제1리테이너(16)를 수용하여 위치시킨다. 측면 슬롯(62, 64)과 바닥 슬롯(66)은 제2래치/검정기(18)를 커넥터 본체의 중앙축(24)을 횡단하여 수용하고 위치시킨다. 상부 지지부재(44)는 곡선모양의 상부표면(45)을 한정한다. 중앙 지지부재(50, 52)의 각각은 고정 어깨부(68,70)를 한정한다. 고정 융기부(72, 74)는 각 바닥 지지부재(54, 56)의 외부 엣지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된다.
밀봉 챔버(34)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2)의 내부로 축을 따라 형성된다. 밀봉 챔버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2)과 관련하여 내벽(22)의 감축된 직경부에 의해 한정되고, 원뿔형 어깨부(78)로부터 방사상 어깨부(80)로 내부를 향해 축을 따라 연장된다. 밀봉 챔버(34)는 밀봉 소자를 수용하여 커넥터 본체(12)와 수형 부재(14) 사이에서 유체 밀봉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튜브 단부 리셉터클(36)은 밀봉 챔버(34)의 내부로 축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튜브 단부 리셉터클은 밀봉 챔버(34)와 관련하여 내벽(22)의 감축된 직경부에 의해 한정되며, 방사상 어깨부(80)의 작은 직경 단부로부터 원뿔형 어깨부(82)로 내부를 향해 축을 따라 연장된다. 튜브 단부 리셉터클(36)은 수형 부재(14)의 개 방 단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유체 통로(38)는 내벽(22)의 가장 작은 직경부에 의해 한정된다. 유체통로는 원뿔형 어깨부(82)의 작은 직경 단부에서 시작하여 호스 연결단부(30)에 이른다. 유체 통로(38)를 둘러싸는 외벽(20) 부분은 유체 라인의 다른 소자에 수월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커넥터 본체(12)는 가요성 호스에 연결되도록 특별히 형성되어 있다. 원뿔형 코형상부(84)는 가요성 호스에 쉽게 삽입되도록 단부(30)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경사진 돌기(86)는 커넥터 본체에 호스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코형상부(84)의 외부에 형성된다. 홈(88)은 필요시 외부의 O링 밀봉을 수용하도록 한정된다.
다른 시스템 장치에 연결되도록 커넥터 본체(12)의 유체 통로 단부의 주위에 다른 외부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소자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나사산이 형성된 보어 내에서 연결되는 것을 수월하게 하도록, 나사산이 외벽(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수형 부재(14)는 단단한 튜브의 단부에 형성된다. 수형 부재는 개방 튜브 단부(92)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형성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업셋부(90)를 포함한다. 튜브 단부(92)는 수형 부재(14)를 커넥터 본체(12)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모를 없애거나 테이퍼 처리를 할 수 있다. 부드러운 원통형 밀봉 표면(94)은 업셋부(90)와 튜브 단부(92) 사이에서 연장된다. 밀봉 표면(94)의 외부 직경은 수형 부재(14)의 단부가 튜브 단부 리셉터클(36)내에 꼭 맞게 끼워지도록 되어야 한다.
"말굽"형 제1리테이너는 도7 내지 도9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의 가요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2)의 상부 슬롯(58, 60)을 통해 연장되는 제1리테이너(16)는 커넥터 본체(12)에 떼어낼 수 있게 결합된다.
제1리테이너(16)는 횡단부재(98)로부터 연장하고 횡단부재(98)에 의해 단부에서 연결되는, 한쌍의 연장된, 일반적으로 평행인 레그(96)를 포함한다. 횡단 부재(98)는 수형 부재(14)의 업셋부가 아닌 외경 부분과 거의 동일한 두개의 레그(96) 사이에 간격을 제공한다. 레그(96)는 상부 슬롯(58, 60)의 축상의 폭과 거의 동일하지만 약간 더 작은(틈새 여유를 허용하기 위해) 축상의 폭을 갖는다. 레그(96)의 측면 폭은 레그(96)의 외부로의 팽창을 허용하도록(수형 부재가 삽입되고 해제되도록) 상부 슬롯(58, 60)의 측면 폭보다 다소 적다.
횡단 부재(98)는 레그(96)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축상의 폭을 갖는다. 도8에 도시된 것처럼, 횡단 부재(98)는 레그(96)의 전방 표면(102)과 축상에 일렬로 정렬되지만, 레그(96)의 후방표면(104)을 넘어서 축을 따라 연장된다.
각 레그(96)는 횡단부재(98)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형성된 래치(106)와, 횡단부재(98)에 인접한 단부에서 후방표면(104)에 형성된 해제 돌출부(108), 및 래치(106)와 횡단부재(98) 사이에서 전방표면(102)에 형성된 경사진 도입 영역(110)을 포함한다. 제1리테이너(16)가 커넥터 본체(12)에 완전히 삽입되면, 래치(106)는 제1리테이너(16)를 커넥터 본체(12)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래치(106)에 의해 한정되는 래칭 엣지(112)는 제1리테이너를 고정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12)의 중앙 지지부재(50, 52)에 의해 한정되는 고정 어깨부(68, 70)와 결합된다.
해제 돌출부(108)는 횡단 부재(98)의 바로 아래에서 각 레그(96)의 후방표면(104)으로부터 돌출된다. 해제 돌출부(108)는 횡단부재(98)가 레그(96)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거리와 거의 동일한 거리로 레그(96)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경사표면(114) 즉, 캠형 표면은 각 돌출부(108)에 형성된다. 조립될 때, 경사표면(114)은 커넥터 본체(12)의 상부 지지부재(44)의 곡선모양의 상부표면(45) 바로 위에 안착된다. 제1리테이너(16)를 가압하여 커넥터 본체(12)내로 들어가게 하도록 압력이 횡단부재(98)에 가해지면, 경사표면(114)은 상부 지지부재(44)와 접촉하여 미끄러지거나 캠작용을 하게 된다. 그 결과, 레그(96)는 펴져서 서로 멀리 떨어지게 되어, 수형 부재(14)가 해제되도록 한다.
도입 영역(110)은 방사상으로 그리고 각 레그의 전방표면(102)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경사지고, 전방 표면(102)과 후방 표면(104) 사이의 대략 중간지점에서 끝난다. 도입 영역(110) 사이의 간격은 전방표면(102) 인접부에서 최대이다. 여기서, 그 간격은 수형 부재(14)에 형성된 업셋부(90)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다. 도입 영역(110)의 후방 엣지(116)에서, 도입 영역(110) 사이의 간격은 수형 부재(14)의 (업셋부가 아닌) 외경과 거의 같다. 래치(106)에 더 가까운 도입 영역(110)의 부분은 수형 부재 업셋부(90)의 환형 형상과 일치하도록 도면부호 118에서 내부를 향해 휘어진다. 이것은 커넥터 본체(12)를 관통하는 수형 부재(14)를 안내하여 중심의 정위치에 오도록 하는 것을 돕게 된다.
제2래치/검정기(18)는 도10 내지 도13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2래치/검정기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의 가요성 재료로 구성된다. 제2래치/검정기(18)는 리테이너 빔(119), 및 연결부재(124)에 의해 연결되는 일반적으로 평행인 핑거(122)를 포함한다. 연결부재(124)는 직사각형 형상의 노치(125)를 한정한다. 래치 위치로부터(도17에 도시된 것처럼) 언래치 위치로(도16에 도시된 것처럼) 제2래치/검정기(18)를 떼내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하기 위해서, 나사 드라이버의 단부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의 날을 갖는 엣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노치(125)가 형성되어 있다. 튜브 검정기(126)는 리테이너 빔(119)의 정면으로부터 축상에서 연장된다. 지지 림(128)은 연결부재의 후방으로부터 축상에서 연장된다.
리테이너 빔(119)은 측면 확대부(120)과 폭 감소부(121)를 포함한다. 확대부(120)의 측면 폭은 바닥 슬롯(66)의 측면 폭보다 다소 좁다. 폭 감소부(121)의 측면 폭은 외측 림 슬롯(41)의 측면 폭보다 약간 좁다. 확대부(120)는 수형 부재(14)의 업셋부(90)와 접합하는 접합 표면(123)을 한정한다.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상의 내부 표면은 수형 부재(14)를 형성하는 튜브의 외부 표면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휘어져 있다.
각각의 핑거(122)는 연결부재(124)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형성된 후크(130)를 포함한다. 후크(130)에 의해 한정되는 노치(132)는 제2래치/검정기가 언래치 위치에 있을 때 제2래치/검정기(18)를 커넥터 본체(12)에 연결하기 위해 바닥 지지부재(54, 56)에 의해 한정되는 고정 융기부(72, 74)와 맞물린다. 후크(130)와 연결부재(124) 사이에서, 각 핑거(122)의 내부 표면은 경사면(134)과 측면 확대 표 면(136)을 한정한다. 두 핑거의 경사면(134) 사이의 거리는 고정 융기부(72, 74)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두 핑거의 측면 확대 표면(136) 사이의 거리는 고정 융기부(72, 74)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 나아가, 핑거(122)의 내부표면 사이의 가장 좁은 거리는 제1리테이너(16)의 레그(96)의 외부표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길다. 핑거(122)의 축상의 폭은 레그(96)의 축상의 폭과 거의 같다.
튜브 검정기(126)는 일반적으로 달 모양이다. 튜브 검정기(126)의 방사상 내부표면은 제1굴곡면(138)과 제2굴곡면(140)을 구비한다. 제1굴곡면(138)은 수형 부재(14)를 형성하는 튜브의 외부표면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휘어져 있다. 제2굴곡면(140)은 업셋부(90)의 외부표면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휘어져 있다.
지지 림(128)은 연결부재(124)의 후방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리브(142)는 지지 림(28)의 전방표면을 연결부재(124)의 후방표면에 연결시킨다. 리브(142)의 측면 폭은 내측 림(42)의 노치(43)의 측면 폭보다 다소 좁다. 리브(142)의 축방향 길이는 내측 림(42)의 축상의 두께보다 다소 길다. 엣지(144)의 곡률은 밀봉 챔버(34)를 둘러싸는 외벽(20) 부분의 곡률과 일치한다. 엣지(144)의 곡률은 제2래치/검정기를 언래치 위치로 해제하여 수형 부재를 수리하기 위해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휘어져 있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챔버(34)내에 단단한 스페이서 링(150)에 의해 분리되는 두개의 O링 밀봉(146, 148)이 배치되어 있다. O링(146, 148)은 밀봉 챔버(34)내에 꽉 끼이도록, 그리고 수형 부재(14)의 밀봉 표면(94)을 둘러싸고 꽉 끼이도록 그 크기가 정해진다. O링(146, 148)은 중공 스페이서 슬리브(152)에 의 해 밀봉 챔버(34)내에 고정된다. 스페이서 슬리브(152)는 슬리브(152)를 보어(26)내에 위치시키도록 내벽(22)의 원뿔형 어깨부(78)에 안착된 원뿔형 확대단부(154)를 갖는다. 보어(26)내에 스페이서 슬리브(152)를 고정하는 것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승의 환형부(156)가 슬리브(152)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고, 대응하는 환형 오목부(158)가 내벽(22)에 형성되어 있다(도5참고). 상승부(156)는 슬리브(152)를 고정하기 위해 내벽(22)에 형성된 오목부(158)에 맞물려서 수용될 것이다.
수형 부재(14)를 커넥터 본체(12)에 삽입하기 전에, 제1리테이너(16)는 커넥터 본체(12)에 우선 부착된다. 제1리테이너(16)의 레그(96)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2)의 상부 슬롯(58, 60)을 통해 삽입된다. 제1리테이너(16)는 횡단부재(98)와 해제 돌출부(108)가 상부 지지부재(44)위에 위치되고, 레그(96)의 도입영역(110)이 수형 부재 수용단부(28)쪽을 향하도록 방향이 설정된다.
레그(96)를 상부 슬롯(58, 60)에 삽입하는 것은 횡단부재(98)에 하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수월해진다. "하향의 힘"은 본 특허출원에서 커넥터 본체(12)를 향해 가해지는 힘이다. 레그(96)가 중앙 지지부재(50, 52)의 측면과 접촉할 때, 하향의 힘의 증가가 필요하다. 충분히 큰 하향의 힘을 가하여, 레그(96)의 모를 없앤 단부는 중앙 지지부재(50, 52)의 측면에 대해 미끄러져서, 레그(96)가 중앙 지지부재(50, 52)를 지나가게 한다. 레그가 중앙 지지부재(50, 52)를 통과하면, 레그(96)는 내부를 향해 구부려지고 래칭 엣지(112)는 커넥터 본체(12)에 제1리테이너(16)를 고정하도록 바닥 지지부(78)의 고정 어깨부(68, 70) 아래에 위치된다. 올바르게 부착된 제1리테이너(16)가 도15 내지 도17에 도시되어 있다. 부착된 위치에서, 제1리테이너(16)의 레그(96)는 측면에서 투시하였을 때 보어(26)의 축(24)에 거의 수직으로 있다.(도1 및 도15 참고) 전방 또는 후방에서 투시하였을 때, 레그(96)는 대략 보어(26)의 축(24)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두고 있다.(도16 및 도17 참고)
제1리테이너(16)가 커넥터 본체(12)에 적절히 부착되고, 수형 부재(14)는 커넥터 본체(12)에 삽입된다. 레그(96) 사이의 간격이 수형 부재(14)의 업셋부가 아닌 부분의 외부 직경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수형 부재(14)의 밀봉 표면(94)은 거의 저항을 받지 않고 레그(96) 사이를 지나 밀봉 챔버(34)로 들어간다. 수형 부재(14)의 업셋부(90)가 레그(96)와 접촉할 때 삽입에 대한 저항이 발생된다. 레그(96)의 도입 영역(110)은 내부를 향해 축상에서 힘을 충분히 가할 때 레그 사이에 업셋부(90)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업셋부(90)가 레그(96) 사이를 통과할 때, 도입 영역(110)을 따라 올라타고 레그(96)를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휘어지게 한다. 업셋부(90)가 일단 레그를 통과하면, 레그(96)는 업셋부(90)의 뒤에서 고정된 위치로 다시 튀어나오게 된다. 레그(96)의 후방 표면(104)은 커넥터 본체(12)로부터 수형 부재(14)가 뒤이어 일어나는 갑작스런 후퇴를 방지하기 위해 업셋부와 접한다. 스페이서 슬리브(152)는 커넥터 본체(12)의 내벽(22)에 한정된 원뿔형 어깨부(78)를 따라 수형 부재(130)가 고정된 위치로부터 내부를 향해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된 위치로부터 수형 부재(14)가 해제되는 것은 횡단부재(98)에 하방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횡단부재(98)에 대한 하향의 힘은 해제 돌출부(108)가 커넥터 본체(12)의 상부 지지부재(44)의 굴곡된 상부표면(45)과 접촉하 게 한다. 해제 돌출부(108)의 경사면(114)은 상부 지지부재(44)에 대해 미끄러지거나 캠작용을 하여, 하방으로 힘이 계속 가해짐으로써 레그(96)가 측면으로 벌어져서 멀리 떨어지게 한다. 결국, 레그(96)는 레그(96) 사이에 업셋부(90)가 통과하는데 충분한 거리만큼 벌어질 것이다. 그후에 수형 부재(14)는 커넥터 본체(12)로부터 후퇴할 것이다. 수형 부재(14)가 커넥터 본체(12)로부터 후퇴하고 제1리테이너(16)가 이완되면, 제1리테이너(16)는 다시 일반적으로 설치된 위치로 복귀된다.
고정 융기부(72, 74)가 노치(132)내에 위치되는 언래치 위치로부터(도15 및 도16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래치 위치로(도17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제2래치/검정기(18)를 위치시킴으로써 결합이 완성된다. 제2래치/검정기(18)를 래치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연결부재(124)에 하향의 힘이 가해진다. 충분한 하향의 힘으로, 핑거(122)의 경사면(134)은 고정 융기부(72, 74)의 측면에 대해 미끄러져서, 핑거(122)를 벌어지게 하여 핑거가 바닥 지지부재(54, 56)를 통과하게 한다. 도16 및 도17에 나타난 것처럼, 수형 부재(14)가 커넥터 본체(12)내로 적절하게 삽입되면, 제2래치/검정기는 제2래치/검정기(18)의 핑거(122)의 부분이 제1리테이너(16)의 레그(96)의 외부를 향해 측면으로 위치되는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동시에, 리테이너 빔(119)과 튜브 검정기(126)는 수형 부재(14)를 향해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움직여지고, 지지 림(128)은 밀봉 챔버(34)를 둘러싸는 외벽(20)을 향해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이동된다.
제2래치/검정기(18)가 커넥터 본체(12)에 완전히 삽입되면, 고정 융기부(72, 74)는 핑거(122)의 경사면(134)을 넘게 되고, 측면 확대 표면(136) 사이에 위치된다. 제2래치/검정기(18)의 핑거(122)는 도17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를 향해 측면방향으로 튀어서 래치 위치에 이르게 된다. 제2래치/검정기(18)의 핑거(122)는 측면에서 투시하였을 때 보어(26)의 축(24)에 대체로 수직이다. (도1 및 도15 참고) 정면 또는 후방에서 투시하면, 핑거(122)는 보어(26)의 축(24)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도16 및 도17 참고). 래치 위치에서, 제2래치/검정기(18)의 각 핑거(122)의 부분은 제1리테이너(16)의 대응하는 레그(96)의 외부를 향해 측면에 위치된다. 레그(96)에 대한 핑거(122)의 위치는 레그(96)가 갑작스럽게 외부를 향해 측면으로 움직여서 수형 부재(14)를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래치 위치에서, 리테이너 빔(119)의 후방 표면은 수형 부재(14)의 업셋부(90)와 축방향으로 접촉하고 있는 관계에 있다. 리테이너 빔(119)과 업셋부(90) 사이의 이러한 축방향 접촉 관계는 제1리테이너(16)가 실패하는 경우에 수형 부재(14)를 커넥터 본체(12)내에 지지하도록 제2래치/검정기(18)에 제2래치 특성을 제공한다.
지지 림(128)과 튜브 검정기(126)는 커넥터 본체(12)에 제2래치/검정기(18)를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래치 위치에서, 리브(142)는 내측 림(42)의 바닥에서 한정된 노치(43)를 통해 연장된다. 지지 림(128)은 커넥터 본체(12)의 내측 림(42)에서 후방으로 축상에 밀착하여 위치되고 밀봉 챔버(34)를 둘러싸는 외벽(20)에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밀착하여 위치된다. 연결부재(124)는 내측 림(42)에서 축상으로 전방을 향해 밀착하여 위치된다. 커넥터 본체(12)에 대해 제2래치/검 정기(18)를 축상에 위치시키도록, 제2래치/검정기(18)의 지지 림(128)과 연결부재(124)는 내측 림(42)을 사이에 끼운다. 리테이너 빔(119)의 폭 감소부(121)는 외측 림 슬롯(41)을 통해 연장된다. 튜브 검정기(126)는 커넥터 본체(12)의 외측 림(40)의 전방으로 밀착하여 위치되고 수형 부재(14)를 형성하는 튜브에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밀착하여 위치된다. 지지 림(128)은 커넥터 본체(12)에서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밀착하여 위치되고, 튜브 검정기(126)는 튜브에서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밀착하여 위치되기 때문에, 일단 래치 위치에 있게된 경우 지지 림(128)과 튜브 검정기(126)는 제2래치/검정기(18)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18은 수형 부재(14)가 커넥터 본체(12)에 적절히 삽입되지 않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업셋부(90)가 제1리테이너(16)의 레그(96)를 넘도록 수형 부재(14)가 커넥터 본체(12)에 충분히 삽입되지 않았다. 레그(96)가 여전히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핑거(122)의 단부가 제1리테이너(16)의 여전히 벌어진 다리(96)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제2래치/검정기(18)의 핑거(122)는 커넥터 본체(12)내로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삽입될 수 없다. 나아가, 수형 부재(14)가 커넥터 본체(12)내에 충분하지 않게 삽입된 상태에서, 업셋부(90)는 방사상으로 제2래치/검정기(18)의 리테이너 빔(119)의 내부를 향해 밀착하여 위치된다. 또한, 리테이너 빔(119)의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하는 표면이 업셋부(90)의 방사상 외부 표면과 접하는 것은 제2래치/검정기가 커넥터 본체(12)내로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하여 삽입될 수 있는 것을 막는다. 이러한 제2래치/검정기(18)가 래치 위치로 내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사용자에게 수형 부재(14)가 커넥터 본체 (12)에 충분히 삽입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반면에, 수형 부재(14)가 커텍터 본체(12)에 충분히 삽입되어서 업셋부(90)가 제1리테이너(16)의 레그(96)를 넘었다면, 제2래치/검정기의 핑거(122)의 단부는 제1리테이너(16)의 레그(96)와 접하지 않을 것이며, 리테이너 검정기(119)의 방사상으로 내부로 향하는 표면은 업셋부(90)의 방사상의 외부 표면과 접하지 아니하여 제2래치/검정기(18)가 래치 위치로 이동하게 할 것이다. 제2래치/검정기(18)가 래치 위치로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움직일 수 있는 것은 사용자에게 수형 부재(14)가 충분히 커넥터 본체(12)에 삽입되었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도19 내지 도30은 도1 내지 도18의 커플링에 존재하지 않는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을 개시한다. 또한 구성요소들은 아래 설명되는 것처럼 다소 변형되었지만, 설명된 제1실시예의 장점을 필수적으로 제공한다.
이 실시예의 추가 특징은 완전히 조립된 최종 래치 상태로 유체 라인내에 신속 커넥터 커플링이 끼워지고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이다. 모든 지지 소자 및 결합 소자들은 커넥터 본체내에 수형 부재를 고정하게 되도록 커넥터 본체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특징은 단단한 튜브의 커넥터 본체에 결합하는 것이 커넥터 본체에 연결되고 최종 래치 위치에 위치되는 제2래치 검정기로 달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저하다.
도19 내지 도30에 있어서, 도19는 유체 라인내에서 분리할 수 있는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을 나타낸다. 커플링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암 형 커넥터 본체(112)와 제1리테이너 부재(116)와 별개의 제2래치/검정기 부재(118)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형 부재(114)로 구성된다. 수형 부재(114)는 유체 라인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공 튜브의 단부에 형성된다. 사용시, 암형 커넥터 본체(112)는 또한 유체 라인 시스템의 일부인 튜브나 호스(13)에 연결된다(도14에 도시된 것처럼). 암형 커넥터 본체(112)와 수형 부재(114)는 유체 라인내에서 영구적인, 그러나 분리할 수 있는 접합부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12)는 도22 내지 도2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1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계단식으로 형성된 외벽(120)과,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계단식으로 형성된 내벽(122)에 의해 한정된다. 도시된 커넥터 본체(112)는 바람직하게 폴리아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체의 외부는 어떤 요구되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에 대해 흔한 형상인, 단부사이에서 90도로 굽힘이 있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내벽(122)은 길이방향 축(124)을 중심으로 하는 관통 보어(126)를 한정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축이라는 용어는 중심축(124)을 쭉 따라가는 것을 의미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측면, 측면방향으로, 횡단, 및 횡단방향으로 등의 용어는 축(124)에 일반적으로 수직하는 평면내의 측면에서 측면을 의미한다. 횡단 이동은 일반적으로 축(124)에 수직하는 평면에서 축(12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과 그 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측면 이동은 축(124)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하는 평면에서 축(12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그 축을 향하는 방향으 로 측면에서 측면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커넥터 본체(112)의 보어(126)는 더 큰 직경, 즉 수형 부재 수용단부(128)로부터 더 작은 직경, 즉 호스 연결단부(130)로 커넥터 본체(112)를 완전히 통과하여 연장된다.
커넥터 본체(112)의 내벽(122)의 직경이 변동됨으로써 관통 보어(126)는 별개의 부분들로 나누어진다. 수형 부재 수용단부(128)로부터 호스 연결단부(130)까지 축을 따라 내부로 움직이면,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132), 밀봉 챔버(134), 튜브 단부 리셉터클(136), 및 유체 통로(138)가 있다.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132)은 수형 부재 수용단부(128)에 인접된다.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은 수형 수용단부(128)에서 관통 보어(126)에 대해 입구를 한정하는 횡단 평면의 전방 표면(129)을 갖는 축상의 외측 림(140)에 의해 한정된다.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상의 외측 림(140)은 상부 지지부재(144)와 두개의 측면 지지부재(146)와 두개의 중앙 지지부재(150)와 두개의 바닥 지지부재(154)에 의해 축상의 내측 림(142)에 연결된다. 바닥 벽(157)은 바닥 지지부재(154)에서 림(140, 142) 사이로 연장된다. 노치(141)는 축상의 외측 림(140)의 바닥벽(157)에서 한정된다.
상부 지지부재(144)와 두개의 측면 지지부재(146) 사이의 간격은 한쌍의 제1슬롯, 즉 상부 슬롯(158)을 한정한다. 두개의 중앙 지지부재(150)와 두개의 바닥 지지부재(154) 중간의 공간은 상부 지지부재(144)로부터 바로 반대편에 있는 제2슬롯, 즉 바닥 슬롯(166)을 한정한다. 이러한 슬롯은 관통 보어(126)에 대해 개방되어 있다. 두 측면 지지부재(146)와 바닥 지지부재(154) 사이의 간격은 한쌍의 제2 슬롯, 즉 측면 슬롯(162)을 한정한다.
상부 슬롯(158)은 커넥터 본체(112)의 중심축(124)에 대해 횡단하여 제1리테이너(116)를 수용하여 위치시킨다. 바닥 슬롯(166)은 커넥터 본체의 중심축(124)에 대해 횡단하여 제2래치/검정기(118)를 수용하고 위치시킨다. 제1리테이너(116)와 제2래치/검정기(118) 모두의 소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측면 슬롯(162)에 존재한다.
바닥 슬롯(166)은 도22내지 도24에 도시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중앙 지지부재(150)의 표면(167)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바닥 지지부재(154)의 표면(169) 사이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는 확대부, 및 도23에 도시된 측면 표면(175) 사이에서 횡단하여 연장되는 도22 및 도24에 가장 잘 나타난 폭이 좁은 부분을 포함한다. 표면(175)은 노치(141)와 내부 보어(126) 사이에서 연장하고 중앙선 또는 중앙축(124)으로부터 일반적으로 같은 거리에 있고 서로 평행하다.
바닥 슬롯의 횡단 부분은 일반적으로 "T" 형상이다. 바닥 슬롯(166)의 내벽 표면(171)은 바닥 슬롯(166)의 최내각의 표면을 한정한다. 전방 또는 외부의 벽 표면(173)은 도23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 슬롯(166)의 전방 또는 정면 벽을 한정한다.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132)은 또한 튜브 업셋부 수용 챔버를 관통 보어(124)내에서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132)의 벽 표면(171)의 내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한정된다.
상부 지지부재(144)는 곡선모양 상부표면(145)을 한정한다. 중앙 지지부재(150)의 각각은 고정 어깨부(168)를 한정한다. 고정 융기부(172)는 각각의 바닥 지지부재(154)의 외부 엣지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된다.
밀봉 챔버(134)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132)의 내부로 축상에 형성되어 있다. 밀봉 챔버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132)에 비해 감소된 내벽(122)의 직경부에 의해 한정되고, 원뿔형 어깨부(178)로부터 방사상 어깨부(180)까지 내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도1 내지 도18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처럼, 밀봉 챔버(134)는 밀봉 소자를 수용하여 커넥터 본체(112)와 수형 부재(114) 사이에서 유체 밀봉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튜브 단부 리셉터클(136)은 밀봉 챔버(134)의 축의 내부를 향해 형성된다. 튜브 단부 리셉터클은 방사상 어깨부(180)의 작은 직경 단부로부터 원뿔형 어깨부(182)까지 축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밀봉 챔버(134)에 비해 감소된 내벽(122)의 직경부에 의해 한정된다. 튜브 단부 리셉터클(136)은 수형 부재(114)를 수용하여 안내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유체통로(138)는 내벽(122)의 가장 작은 직경부에 의해 한정된다. 유체통로는 원뿔형 어깨부(182)의 작은 직경 단부로부터 호스 연결단부(130)에까지 이른다. 유체 통로(138)를 둘러싸는 외벽(120)의 부분은 유체 라인의 다른 소자에 연결되는 것을 수월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1 내지 도18의 실시예에서처럼, 설명되는 커넥터 본체(112)는 가요성 호스에 연결되도록 특별히 형성된다. 물론, 앞서 논의된 것처럼, 어떤 다른 적절한 접속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부재(114)는 단단한 튜브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수형 부재는 개방된 튜브나 팁(192)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방사 상 접합표면(191)을 한정하는 방사상으로 확대된 업셋부(190)를 포함한다. 튜브 단부 또는 팁(192)은 수형 부재(114)가 커넥터 본체(11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모를 없애거나 테이퍼를 형성시킬 수 있다. 부드러운 원통형 밀봉 표면(194)은 업셋부(190)와 튜브 단부(192) 사이에서 연장된다. 밀봉 표면(194)의 외부 직경은 수형 부재(114)의 단부가 튜브 단부 리셉터클(136)내에 꼭 맞도록 되는 정도이다. 업셋부(190)를 넘어 튜브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튜브는 계속되어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원통형 표면(195)을 한정한다. 보통 원통형 밀봉 표면(194)과 직경이 동일하다.
"말굽"형태의 제1리테이너(116)가 도25 내지 도2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플라스틱과 같이 탄성의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132)의 상부 슬롯(158)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리테이너(116)는 커넥터 본체(112)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된다.
제1리테이너(116)는 횡단 부재(198)로부터 연장되고 횡단부재(198)에 의해 일단부에서 결합되는, 한쌍의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평행인 레그(196)를 포함한다. 횡단부재(198)는 수형 부재(114)의 업셋부가 아닌 부분의 외부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레그(196) 사이에 분리된 부분을 제공된다. 레그(196)는 상부 슬롯(158)의 축상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다소 좁은(틈새여유를 허용하도록) 축상의 폭을 갖는다. 레그(196)의 측면 폭은 레그(196)의 외부로의 팽창을 허용하도록(수형 부재가 삽입되고 해제되도록) 상부 슬롯(158)의 측면 폭보다 다소 적다.
횡단 부재(198)는 레그(196)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축상의 폭을 갖는다. 도26에 도시된 것처럼, 횡단 부재(198)는 레그(196)의 외부 표면(202)과 축상에 일렬로 정렬되지만, 레그(196)의 후방표면(204)을 넘어서 축을 따라 연장된다.
각각의 레그(196)는 횡단부재(198)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형성된 래치(206)를 포함한다. 제1리테이너(116)가 커넥터 본체(112)에 완전히 삽입되면, 래치(206)는 제1리테이너(116)를 커넥터 본체(112)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래치(206)에 의해 한정되는 래칭 엣지(212)는 제1리테이너를 해제할 수 있게 고정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112)의 중앙 지지부재(150)에 의해 한정되는 고정 어깨부(168)와 결합된다. 각 레그(196)는 제1리테이너를 위로 밀어올리도록 중앙 지지부재(150)의 상부 측면 외부 엣지와 함께 작용하는 도27에 도시된 경사표면(205)을 포함한다.
해제 돌출부(208)는 횡단 부재(198)의 바로 아래에서 각 레그(196)의 내부표면(204)으로부터 돌출된다. 해제 돌출부(208)는 횡단부재(198)가 레그(196)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거리와 거의 동일한 거리로 레그(196)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도1 내지 도18의 실시예의 제1리테이너(16)의 경사표면 즉 캠형 표면 처럼, 경사표면, 즉 캠형 표면은 각 돌출부(208)에 형성된다. 조립될 때, 경사표면은 커넥터 본체(112)의 상부 지지부재(144)의 곡선모양의 상부표면(145) 바로 위에 안착된다. 제1리테이너(116)를 가압하여 커넥터 본체(112)내로 들어가게 하도록 압력이 횡단부재(198)에 가해지면, 경사표면은 상부 지지부재(144)와 접촉하여 미끄러지거나 캠작용을 하게 된다. 그 결과, 레그(196)는 펼쳐저서 서로 멀리 떨어지게 되고, 측면 슬롯(162) 내에서 외부를 향해 횡단하여 움직이는 래치는 수형 부재(114)가 해제되도록 한다.
도입 영역(210)은 레그(196)의 전방 표면(202)내에 형성된다. 이 도입 영역은 방사상으로 그리고 각 레그의 전방표면(202)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경사지고, 외부 표면(202)과 내부 표면(204) 사이의 대략 중간지점에서 종료된다. 도입 영역(210) 사이의 간격은 전방표면(202) 인접부에서 최대이다. 여기서, 그 간격은 수형 부재(114)에 형성된 업셋부(190)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다. 도입 영역(210)의 내부 엣지(216)에서, 도입 영역(210) 사이의 간격은 수형 부재(114)의 (업셋부가 아닌) 외경과 거의 같다. 래치(206)에 더 가까운 도입 영역(210)의 부분은 수형 부재 업셋부(190)의 환형 형상과 일치하도록 218에서 내부를 향해 휘어진다. 이 형상은 커넥터 본체(112)를 관통하는 수형 부재(114)를 안내하여 중심의 정위치에 오도록하는 것을 돕는다.
수형 부재(114)가 커넥터(118)에 완전히 삽입되면, 튜브 업셋부(191)는 횡단 내벽(171)의 내부의 업셋부 수용 챔버에 존재한다. 제1리테이너(116)의 레그(196)는 내부 표면(204)이 업셋부(190)의 방사상 표면(191)과 접하는 관계에 있고, 수형 수용단부(128)의 외부로 수형 부재(114)의 축방향 움직임을 배제하도록 배치된다.
제2래치/검정기(118)가 도28 내지 도30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바닥 슬롯(166)내로 연장하며 또한 측면 슬롯(162)내로 연장하고 커넥터 본체(112)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다. 굴곡진 상부 지지부재(144)와 제1리테이너(116)를 향하여 그리고 이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부의 또는 래치 위치와 외부의 언래치 위치 사이에서 바닥 지지부재(156)에 대하여 제2래치/검정기는 커넥터 본체(112)를 가로질러 미끄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래치/검정기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의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제2래치/검정기(118)는 바닥 슬롯(166)위에 놓이는 방사상으로 내부로 향하는 표면(227)을 갖는 연결부재(224)를 포함하고, 바닥 슬롯(166) 내에 미끄러지도록 배치된 리테이너 빔(219)은 이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제2래치/검정기(218)는, 연결부재(224)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고 리테이너 빔(219)과 동일한 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쌍의 곡선모양이고 일반적으로 탄성인 핑거(222)의 형태인 측면부를 포함한다. 플랜지(229)는 연결부재의 내부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2래치/검정기(218)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플랜지(229)는 비교적 가까운 근방에서 바닥벽(157) 위에 놓인다. 따라서, 플랜지(229)는 제2래치/검정기(218)를 언래치 위치로 보내기 위해 플랜지(229)와 바닥벽(157) 사이에 나사드라이버 날이나 다른 도구를 삽입하여 제2래치/검정기를 래치 위치로부터 움직이도록 하는데 유용하다.
각각의 핑거(222)는 연결부재(224)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형성된 후크(230)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224)에 의해 형성된 노치(232)는 제2래치/검정기가 외측의 래치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제2래치/검정기(218)를 커넥터 몸체(212)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바닥 지지부재(154)에 의해 형성된 고정 융기부(172)와 결합된다.
후크(230)와 연결부재(224) 사이에 배치되는 각각의 핑거(222)의 내측면은 경사면(234) 형태의 천이면과, 측방향으로 신장된 표면(236)과, 지지랜드(237)를 형성한다. 상기 2개의 핑거(222)의 경사면(234) 사이의 거리는 고정 융기부(172) 사이의 거리 보다 짧다. 측방향으로 신장된 표면(236) 사이의 거리는 고정 융기부(172)의 측방향 외측 엣지 사이의 이격거리 보다 길지 않다. 2개의 핑거의 지지랜드(237) 사이의 거리는 고정 융기부(172)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
제2래치/검정기(118)는 연결부재(224)상에 하향의(커넥터 몸체를 향하여) 힘을 가정하므로써, 제1리테이너(116)를 향해 횡단하여 내측위치 또는 래치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힘은 고정 융기부(172)를 가압하여 노치(232)를 벗어나게 한다. 상기 경사면(234)은 고정 융기부(172)를 올라타서 핑거(222)를 외측으로 굴곡시키므로써, 이들을 펼쳐지게 하며 또한 신장면(236)이 고정 융기부(172)를 통과시킨 후 지지랜드(237) 사이에 시킨다. 제2래치/검정기(118)는 핑거(222)의 탄성 특성과, 지지랜드(237) 및 고정 융기부(172)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위치에 해제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제2래치/검정기는 "하향" 위치 또는 "래치" 위치에 배치된다. 나사 드라이버를 플랜지(229)와 바닥벽(157) 사이에 삽입하여 제2래치/검정기(218)를 커넥터 몸체(212)의 외측으로 가압하므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언래치 위치로 이동된다.
도21는 래치된 위치에 있는 제2래치/검정기(118)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핑거(222)의 자유단부에 있는 후크(230)는 레그(196)의 자유단부에서 래치(206)를 벗어나 측방향으로 측부 슬롯(162)에 배치된다. 핑거(222)상에서 후크(23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래치(206)에서 제1리테이너(116)의 레그(196)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 보다 미세하게 길다. 핑거(222)의 축방향 폭은 레그(196)의 축방향 폭과 거의 동일하다. 핑거(222)의 길이는, 제2래치/검정기(218)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핑거(222)가 레그(196)의 외측 굴곡부와 간섭하여, 핑거(196)가 중심 지지부재(150)의 고정 어깨부(168)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칫수를 갖는다.
리테이너 빔(219)은 측방향 신장부(220)와 협소부(221)를 포함한다. 상기 신장부(220)의 측방향 폭은 중심 지지부재(150)상에서 이격된 벽면(167)과 바닥 지지부재(154)상에서 이격된 벽면(169) 사이에서 바닥 슬롯(166)의 신장부의 측방향 폭 보다 미세하게 좁다. 상기 협소부(221)의 측방향 폭은 측방향으로 이격된 벽(175) 사이에서 바닥 슬롯(166)의 협소부의 측방향 폭 보다 미세하게 좁다.
도28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빔(219)의 단면은 "T"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협소부(221)는 "T"형 레그를 형성하며, 상기 신장부(220)는 "T"형 횡단 바아를 형성한다. 상기 리테이너 빔(219)은 커넥터 몸체(112)의 바닥 슬롯(166)의 내벽(171)과 대면하는 신장부(220)상에서 내벽면 또는 후방 벽면(228)을 포함한다. 리테이너 빔 협소부(169)는 커넥터 몸체(112)의 바닥 슬롯(166)의 전방벽(173)과 대면하는 외벽면 또는 전방 벽면(226)을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 빔(219)은 바닥 지지부재(154)의 벽면(169)과 중심 지지부재(150)상의 벽면(167)에 대해 미끄럼가능하며 밀착이격된 신장부(220)의 측방향 측벽을 포함한다. 도20 및 도21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빔(219)의 협소부(221)는 바닥 슬롯(166)의 협소부의 측벽(175)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밀착이격된 측방향 측벽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래치/검정기(118)의 리테이너 빔(219)은 커넥터 몸체(112)의 바닥 슬롯(166)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바닥 슬롯 (166)의 벽은 래치 위치와 언래치 위치 사이에서 제2래치/검정기(118)의 운동을 위하여, 바닥 슬롯에서 리테이너 빔(219) 및 제2래치/검정기(118)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리테이너 빔은 제2래치/검정기(118)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관통구멍(126)에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다.
리테이너 빔(219)의 신장부(220)의 내측 벽면(228)은 접합면을 형성한다. 상기 리테이너 빔(219)은 제2래치/검정기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수형 부재의 업셋부(190)의 방사방향 표면(191)과의 접합을 위해 접합면(228)이 정렬될 수 있게 하는 길이를 갖는다.
리테이너 빔(118)의 방사방향 내측 단부는 수형 부재(114)를 형성하는 튜브의 외측면(195)의 곡률과 매칭되도록 굴곡된 튜브 대향면(223)을 형성한다. 제2래치/검정기(118)가 래치 위치에 있고, 리베이너 빔(219)의 내측 벽면(228)이 튜브(114)의 방사방향 접합면(191)과 접합되어 있을 때, 상기 튜브 대향면(223)은 업셋부(191)의 후방으로 튜브(114)의 외측면에 대해 대면한 상태로 밀착이격된다.
즉, 상기 업셋부는 몸체(112)의 리테이너 부분(132)의 벽(171)의 축방향 내향으로 커넥터 몸체(118)의 업셋부 수용챔버에 배치된다. 레그(196)상의 내측 접합면(204)은 몸체(112)의 수형 수용단부(128)로부터 수형부재(190)의 후퇴를 배제하기 위하여, 업셋부(190)의 표면과 접합된 상태로 배치된다. 리테이너 빔의 내측 벽면(228) 또한 업셋부(190)의 방사방향 표면과 접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수형 부재(114)의 후퇴를 배제한다.
도14애 도시된 바와 같이, 도1 내지 도18의 실시예에 대해, 밀봉 챔버(134) 의 내부에는 단단한 스페이서 링에 의해 분리된 2개의 O링이 배치된다. 도19 내지 도30에서는 이러한 부품의 배치를 반복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O링은 밀봉 챔버(134)내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는 칫수를 가지며, 수형 챔버(114)의 밀봉면(194) 주위에 밀착된다. 상기 O링은 중공 스페이서 슬리브에 의해 밀봉 챔버(134)에 고정된다. 상기 스페이서 슬리브는 슬리브를 보어내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내벽(122)의 원뿔형 어깨부(178)에 안착되는 원뿔형 확장 단부를 갖는다. 슬리브의 외주에는 상승한 환형부가 형성되며, 대응의 환형 오목부(258)는 내벽(222)에 형성된다(도23 참조). 스페이서 슬리브의 상기 상승한 부분은 슬리브를 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내벽(122)에 형성된 오목부(258)에 결합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 빔(219)의 협소부(221)상에서의 전방 대향면 또는 외측 대향면(226)은 캠 또는 경사면(233)에 의해 형성된 모따기를 포함한다. 제2래치/검정기(118)가 커넥터 몸체(112)에 부착될 때, 캠 또는 경사면(233)은 커넥터 몸체(118)의 수형 수용단부(128)를 향하여 대면한다.
제2래치/검정기(118)가 래치된 위치에서, 상기 캠면(233)은 수형부재(114)의 삽입시 업셋부(190)에 의해 접촉되도록 위치된다. 경사면은 리테이너 빔을 방사외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리테이너 빔(219)에 부여되도록 형성된다. 수형부재가 삽입될 때, 리테이너 빔은 외측으로 가압되어, 제2래치/검정기(118)를 언래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후, 상기 수형부재(114)는 커넥터 몸체(112)내로 완전히 삽입된다. 커넥터 몸체로의 수형 부재(114)의 완전 삽입후, 제2래치/검정기(118)는 래치 위치 로 방사내향으로 가압되어, 내측면(228)을 업셋부(190)의 방사방향 표면(191)과 접촉접합시킨다.
도시된 제2래치/검정기(118)에 있어서, 경사면(233)은 리테이너 빔의 전방면(226)에 대해 일정한 각도(60°)를 이루고 있다. 빔이 바닥 슬롯(166)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될 때는 일반적으로 중심선이나 축선(124)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233)은 커넥터 몸체(112)의 축선(124)에 대해 약 30°의 각도를 이루며, 수형 수용단부(128)를 향해 분기된다.
캠면에 사용된 각도는 중요하지 않다. 수형 부재(114)의 삽입중 인가된 축방향 힘은 제2래치/검정기(118)를 그 래치 위치로부터 언래치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한다.
도19 내지 도21에는 도19 내지 도30의 실시예에서 조립된 신속 커넥터 커플링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1리테이너(116)는 커넥터 몸체(112)에 부착된다. 제1리테이너(116)의 레그(196)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132)의 상부 슬롯(158)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제1리테이너(116)는 횡단부재(198) 및 해제 돌출부(208)가 지지부재(144)의 굴곡된 상부면(145) 위에 배치되도록 지향된다. 레그(196)의 도입 영역(210)은 수형 부재 수용단부(128)와 대면한다.
상기 제1리테이너(116)는 횡단부재(198)상의 하향력을 인가하므로써 상부 슬롯(158)을 통해 레그(196)를 삽입하면 커넥터 몸체(112)에 부착된다. 레그(196)가 중앙 지지부재(150)의 측부와 접촉할 때는 하향력이 증가될 필요가 있다. 하향력을 충분히 인가하면, 레그(196)의 둥근 단부는 중앙 지지부재(150)의 측부로 미끄 러져서, 레그(196)를 벌리고, 상기 레그(196)를 중앙 지지부재(150)를 지나 통과시킨다. 레그(196)상의 래치(206)가 중앙 지지부재(150)를 소거할 때, 상기 레그(196)는 제1리테이너(116)를 커넥터 몸체(112)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중앙 지지부(150)의 고정 어깨부(168)의 하부에 배치된 래칭 엣지(212)에 측방향 내측으로 탄성을 갖는다.
도20 및 도21에는 적절히 부착된 제1리테이너(116)가 도시되어 있다. 부착된 위치에서, 제1리테이너(116)의 레그(196)는 측부에서 투시하였을 때, 보어(126)의 축선(124)에 거의 수직하다. 전방이나 후방에서 투시하였을 때, 레그(196)는 보어(126)의 축선(124)으로부터 거의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커넥터 조리체는 바닥 슬롯(166)내에 배치된 제2래치/검정기(118)에 의해 완성된다. 도19 내지 도3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래치/검정기(118)는 도21에서 지지랜드(237)의 하부에 배치된 고정 융기부(172)에 해제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2래치/검정기는 내향 위치 또는 래치 위치에 있게 된다. 이렇게 배치되었을 때, 리테이너 빔(219)의 캠면(233)은 커넥터 몸체(112)의 수형 부재 수용단부(128)와 대면하며, 제1리테이너(116)의 레그(196)상에서 경사진 도입 영역(210)의 중간지점에서 관통 보어(126)의 내부로 돌출된다.
커넥터 몸체(112)에 부착된 제1리테이너(116) 및 제2래치/검정기(118)에 의해, 상기 수형 부재(114)는 커넥터 몸체(112)에 삽입되어, 유체 통로를 완성한다. 수형 부재(114)가 삽입될 때, 튜브(114)의 단부 또는 팁(192)은 레그(196)상에서의 각각의 도입 경사면(210)과 접촉한다. 레그(196) 사이의 이격거리가 수형 부재 (114)의 비업셋 외경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수형 부재(114)의 밀봉면(194)은 저항을 거의 받지 않고 레그(196) 및 밀봉 챔버(134) 사이를 통과한다.
수형 부재(114)의 업셋부(190)가 레그(196)와 접촉할 때 삽입저항이 발생된다. 레그(196)의 도입 영역(210)은 축방향 내향력을 인가할 때만 레그 사이로 업셋부(190)의 통로를 허용한다. 업셋부(190)가 레그(196) 사이를 통과할 때는 도입 영역(210)을 따라 올라가서, 방사방향으로 또는 측방향 외측으로 레그(196)를 굴곡시킨다. 업셋부(190)가 레그를 통과하면, 상기 레그(196)는 업셋(190)의 후방에서 고정 위치로 복귀되어, 중앙 지지부재의 고정 어깨부(168)상에 결합된 엣지(112)를 래치시킨다. 업셋부(191)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132)의 벽(171)과 보어(126)상의 원뿔형 어깨부(178) 사이에 형성된 업셋부 수용챔버내에 배치된다. 레그(196)의 내측면(204)은 수형부재(114)가 커넥터 몸체(112)로부터 부주의하게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업셋 방사면(191)과 접촉된다. 도1 내지 도18에 도시된 스페이서 슬리브는 커넥터 몸체(112)의 내벽(122)에 형성된 원뿔형 어깨부(178)를 따라 수형 부재(114)의 계속적인 내향 삽입을 방지한다.
도19 내지 도3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에 있어서, 업셋부(190)가 제1리테이너(116)의 레그(196)의 경사진 도입 영역(210)과 접촉할 때는 제2래치/검정기(118)의 리테이너 빔(219)상에서 캠면(230)과 접촉한다. 튜브 또는 수형 부재(114)의 삽입을 향한 지속적인 축방향 압력은 커넥터 몸체(112)로부터 리테이너 빔(219)상에 상향의 힘을 발휘한다. 핑거(222)의 탄성 특징에 의해 이들은 서로 펼쳐져서, 바닥 슬롯(166)의 내부에서 제2래치/검정기(118)가 그 래치 위치로부터 언 래치 위치로 미끄러지게 한다. 측방향 신장면(236)이 고정 융기부(172)를 통과하면, 핑거(222)상의 경사면(234)은 고정 융기(172)의 외측 엣지와 상호작용하여, 제2래치/검정기의 횡단방향 외향 운동을 촉진시킨다.
언래치 위치에서, 핑거(222)의 후크(230)상의 노치(232)는 바닥 지지부재(154)의 고정 융기부(172)를 포획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리테이너 빔(219)의 굴곡된 접합면(223)은 축선 또는 중심선(124)으로부터 방사외측으로 이격되어, 튜브 업셋부(190)의 통과를 허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 업셋부(190)에 의해, 제1리테이너(116)의 레그(196)는 외측으로 굴곡되어, 관통 보어(126)내의 원뿔형 어깨부(178)와 도1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페이서 슬리브와 업셋부의 접촉에 의해, 중앙 보어(126)에서 내향으로 업셋부(190)의 통과를 허용한다. 이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방사방향으로 신장된 업셋부(190)의 후방면은 신장된 레그(196)의 후방면(204)의 축방향 내측으로 배치되며, 후방면은 업셋부(190)의 방사방향 표면(191)과 접촉하게 된다. 레그의 탄성량에 의해, 이들은 내측으로 굴곡되며, 이에 따라 업셋부(191)를 후방면(204)의 내측으로 고정시킨다.
제2래치/검정기(118)가 언래치 위치 또는 업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횡단부재(198)상에 하향력을 발휘하므로써, 레그(196)의 후방에서 고정 위치로부터 수형부재의 해제를 달성할 수 있다. 횡단부재(198)상의 하향력에 의해, 해제 돌출부(208)상의 캠면은 커넥터 몸체(112)의 상부 지지부재(144)의 굴곡된 상부면(145)과 접촉하게 된다. 해제 돌출부(208)의 경사면은 상부 지지부재(144)를 미끄러지거나 캠동작을 실행하여, 하향력이 계속 인가되었을 때 상기 레그(196)가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레그(196)는 레그(196) 사이에서 업셋부(190)의 외측 제거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틈 이격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형 부재(114)는 커넥터 몸체(112)로부터 후퇴된다. 커넥터 몸체(112)로부터 부재(114)의 후퇴 및 제1리테이너(116)의 이완에 따라, 제1리테이너(116)는 통상 설치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횡단부재(198)는 중앙 지지부재(150)에 대해 각진 표면(205)의 상호동작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된다.
도20 및 도21에는 제2래치/검정기의 조작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두 도면에서, 수형 부재(114)는 레그(196)의 내벽(204)을 지나 축방향으로 관통 보어(126)내로 삽입된다. 상기 레그는 굴곡되지 않는 위치로 복귀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래칭 엣지(112)는 중앙 지지부재(150)의 고정 어깨부(168)에 포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형 부재(114)의 삽입에 의해, 제2래치/검정기(118)는 커넥터 몸체(112)로부터 도20에 도시된 언래치 위치로 상향으로 이동된다.
제2래치/검정기(118)를 언래치 위치에 배치하기 위하여, 연결부재(224)에는 하향의 힘이 인가된다. 충분한 하향력에 의해, 핑거(222)의 경사면(234)은 고정 융기부(172)의 측부에 대해 미끄러져서 핑거(222)를 펼쳐지게 하며, 이에 따라 핑거가 바닥 지지부재(154)를 지나 방사내측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도20 및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몸체(112)에 적절히 삽입된 수형 부재(114)에 의해, 제2래치/검정기는 도20에 도시된 래치 위치로 이동하며, 이러한 위치에서 제2래치/검정기(118)의 핑거(222)의 자유단부 또는 후크(230)는 제1리테이너(116)의 레그 (196)의 방사외측에 배치된다. 도21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치/검정기(118)가 래치 위치에 있기 때문에, 후크(230)는 제1리테이너(116)의 신장된 레그(196)의 측방향 또는 횡단방향 외측굴곡을 방해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호동작은 레그(196)를 외측으로 굴곡시켜 관통 보어(126)로부터 수형 부재를 인출하는, 횡단부재(198)의 내향 조작을 배제한다.
이와 동시에, 리테이너 빔(219)은 수형 부재(114)를 향하여 방사내향으로 이동된다. 래치 위치에서, 리테이너 빔(219)의 내벽(228)은 수형 부재(114)의 업셋부(190)의 표면(191)과 축방향으로 접촉되어 있다. 리테이너 빔(219)과 업셋부(190) 사이의 이러한 축방향 접촉은 튜브 수용단부(128)의 외측으로 수형 부재(114)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고, 수형 부재(114)를 커넥터 몸체(112)에 지지하는 제2래치 특징을 제공한다.
도19 내지 도30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특별한 장점은 커넥터 몸체(112, 제1리테이너, 제2래치/검정기(118)가 조립될 수 있다는 점이며, 또한 상기 제2래치/검정기(118)가 래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이다. 커텍터 몸체(112)와, 그 관련의 제1리테이너(116)와, 제2래치/검정기(118)가 유체 시스템 및 수형 부재(114)에 조립될 때는 제2래치/검정기를 언래치 위치로 변위시킨다. 일단 수형 부재(114)가 관통 보어(126)에 완전히 삽입되고, 업셋부(190)가 레그(196)의 내측 접합면(204)의 내향으로 방사방향 벽(191)에 배치되었다면, 제2래치/검정기(118)는 튜브 표면(195)에 밀착이격된 튜브 대향면(223)과의 래치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리테이너 빔(219)은 업셋부(190)의 외향 운동을 방해하도록 배치 된다.
도1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부재(114)는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며, 리테이너 빔(219)의 자유단부에서 튜브 대향면(223)은 래치 위치로의 제2래치/검정기(118)의 운동을 배제하는 업셋부(190)와 접촉할 것이다. 제2래치/검정기(118)를 래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러한 무능력은 상기 수형 부재(114)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제1리테이너(116)의 레그(196)에 의해 축방향 분리로부터 고정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31 및 도34는 본 발명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외측에서 투시가능한 부가의 래치 설비는 도1 내지 도30의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한 특징을 보완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31 내지 도34에 도시된 신속 커넥터 커플링(310)은 암형 커넥터 몸체(312)를 포함하며, 해제 가능하게 유체연결되는 수형 부재(314)를 수용한다. 상기 커넥터 커플링은 제1리테이너(316) 및 제2래치/검정기(318)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처럼 서로 작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외측에서 투시가능한 래치/검정기의 부가적 특징이 채용되었다.
도3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부재(314)는 도1 내지 도30의 수형 부재와는 다소 상이하다. 상기 수형 부재(314)는 팁 또는 단부(392)와, 상기 팁으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된 업셋부(390)를 포함한다. 상기 수형 부재(314)는 팁(39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튜브를 따라 업셋부(390)로부터 설정거리만큼 이격된 제2업셋부(393)를 포함한다. 상기 업셋부(393)는 방사방향 환형 표면(397)을 포함한다.
상기 수형 부재(314)는 도1 내지 도30의 실시예에 서술된 방식으로 암형 몸체(312)와, 제1리테이너(316) 및 제2래치/검정기(3178)와 함께 작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튜브 부재(314)가 커넥터 몸체(312)에 완전히 삽입되어 제1리테이너(316) 및 제2래치/검정기(318)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고정되었을 때, 제2업셋부(393)는 커넥터 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도31 및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치/검정기(318)는 도19 내지 도30의 실시예에 사용된 모든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래치/검정기는 횡단방향의 외측 래치/검정기(348)를 지지하는 커넥터 몸체(312)의 축선(324)에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향 지지바아(346)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래치/검정기(348) 및 지지바아(346)는 바아(345)와 외측 래치/검정기(348) 및 제2래치/검정기(318)와 일체로 성형되는 강화 웨브에 연결된다.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래치/검정기(348)는 지지바아(346)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레그(353)를 갖는 횡단 플랜지(352)에서 종료된다. 상기 플랜지(352)는 튜브(312)의 외측 원통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내측 굴곡면(354)을 갖는다. 상기 레그(353)의 횡단방향 연장부는 제2업셋부(393)의 외측 굴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짧은 굴곡 세그먼트(357)를 포함한다.
바아(346)의 축방향 길이와 외측 래치/검정기(348)의 방사방향 길이는, 제2래치/검정기(318)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측 굴곡면(354)이 제2업셋부(393)의 방사방향 표면(397)을 지나거나 이를 벗어나서 수형 부재(314)와 대면하여 밀착 이격된 상태로 안착된다. 상기 플랜지는 수형 부재(314)의 외측 환형 방사방향 표면(397)과 축방향으로 접합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수형 부재(314)가 커넥터 몸체(312)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제1업셋부가 제1리테이너(316)와 제2래치/검정기(318)의 리테이너 빔의 내측으로 포획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짧은 굴곡 세그먼트(357)는 제2업셋부(393)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적절한 연결이 없음을 시각적으로 알려주게 된다.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350)는 수형 부재 또는 튜브(314)가 커넥터 몸체(312)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웨브(350)와 제2업셋부(393) 사이에 간극을 제공하는 절결 영역(351)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몸체(312)는 웨브(350)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1 내지 도18의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슬롯(41)과 같은 전방 슬롯을 포함한다. 상기 웨브(350)는 커넥터 몸체(312)의 내측 보어의 방사방향으로 슬롯내에서 미끄럼가능하며, 제2래치/검정기(318)의 운동은 래치 위치와 언래치 위치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47)

  1. 유체라인에서 절단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의 수형 수용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관통 보어를 형성하는 커넥터 몸체와,
    관형 수형 부재를 상기 커넥터 몸체내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리테이너 부재와,
    상기 커넥터 몸체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된 분리형의 제2래치/검정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관통 보어내로 개방되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 부재는 상기 커넥터 몸체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고, 몸체에서 슬롯내에 배치되는 이격된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는 레그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되는 해제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래치/검정기 부재는 몸체에서 슬롯내에 배치되며, 언래치 위치와 래치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리테이너를 향하여 또는 제1리테이너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커넥터 몸체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래치/검정기는 연결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탄성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는 제2래치/검정기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레그의 자유단부 외측으로 측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및 핑거의 크기는 제2래치/검정기가 언래치 위치에 배치될 경우에만, 레그가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제2래치/검정기가 언래치 위치로부터 래치 위치로 이동시, 상기 제2래치/검정기의 핑거는 상기 레그가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제1리테이너의 레그의 자유단부와 접촉하며, 이러한 접촉은 제2래치/검정기가 상기 래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횡단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횡단부재를 커넥터 몸체를 향해 가압하므로써 고정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는 상부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지지부재와 측부 지지부재 사이에 한쌍의 상부 슬롯을 형성하며 이로부터 이격된 한쌍의 측부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한쌍의 중앙 지지부재와 한쌍의 바닥 지지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중앙 지지부재 및 바닥 지지부재는 한쌍의 측부 슬롯 및 바닥 슬롯을 형성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의 횡단부재는 상부 슬롯을 통해 연장 되는 레그가 구비된 상부 지지부재상에 놓이며; 상기 레그의 자유단부는 측부 슬롯에 노출되며; 상기 제2래치/검정기의 연결부재는 측부 슬롯에 배치된 핑거를 갖는 바닥 슬롯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지지부재는 측방향으로 지향된 고정 융기부를 포함하며, 후크를 각각 형성하는 상기 핑거의 자유단부는 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노치는 제2래치/검정기가 언래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고정 융기부를 해제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지지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랜드는 제2래치/검정기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고정 융기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노치와 지지랜드 사이에 천이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부재는 고정 어깨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레그의 자유단부는 래치를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레그의 래치는 제1리테이너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나의 중앙 지지부재의 고정 어깨부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검정기는 관통 보어를 향해 또는 관통 보어로부터 바닥 슬롯에서 미끄럼가능한 리테이너 빔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빔은 제2래치/검정기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관통 보어에 노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수형 부재가 커넥터 몸체내에 충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수형부재와 접촉하는 방사내측의 튜브 대향면을 포함하며, 언래치 위치로부터 래치 위치로 제2래치/검정기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수형 부재가 커넥터 몸체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수형 부재와의 축방향 접촉상태로 이동가능한 수형 부재와의 축방향 접촉을 위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수형 부재가 커넥터 몸체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수형 부재와의 축방향 접촉상태로 이동가능한 수형 부재와의 축방향 접촉을 위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제2래치/검정기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관통 보어에 노출되며 커넥터 몸체의 수형 부재 수용단부를 향하여 대면하는 각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경사면은 커넥터 몸체의 관통 보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약 30°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검정기는 관통 보어를 향해 또는 관통 보어로부터 상기 슬롯중 하나에 미끄럼가능한 리테이너 빔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빔은 제2래치/검정기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관통 보어에 노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수형 부재가 커넥터 몸체내에 충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수형부재와 접촉하는 방사내측의 튜브 대향면을 포함하며, 제2래치/검정기는 언래치 위치로부터 래치 위치로 제2래치/검정기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수형 부재가 커넥터 몸체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수형 부재와의 축방향 접촉상태로 이동가능한 수형 부재와의 축방향 접촉을 위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수형 부재가 커넥터 몸체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수형 부재와의 축방향 접촉상태로 이동가능한 수형 부재와의 축방향 접촉을 위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제2래치/검정기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관통 보어에 노출되며 커넥터 몸체의 수형 부재 수용단부를 향하여 대면하는 각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경사면은 커넥터 몸체의 관통 보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약 30°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에 의해 형성된 슬롯중 하나는 T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래치/검정기의 리테이너 빔은 T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리테이너 빔은 상기 슬롯에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연결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래치/검정기는 리테이너 빔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탄성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커넥터 몸체의 수형 부재 수용단부와 대면하는 각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경사면은 커넥터 몸체의 관통 보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약 30°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검정기는 림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림은 제2래치/검정기를 커넥터 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검정기는 튜브 검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 검정기는 제2래치/검정기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 몸체의 외측으로 상기 수형 부재와 밀착이격되어 배치되는 굴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29. 유체라인에서 절단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의 수형 수용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관통 보어를 형성하는 커넥터 몸체와,
    관형 수형 부재를 상기 커넥터 몸체내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리테이너 부재와,
    상기 커넥터 몸체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된 분리형의 제2래치/검정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관통 보어내로 개방되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 부재는 상기 커넥터 몸체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고, 몸체에서 슬롯내에 배치되는 이격된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는 레그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되는 해제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래치/검정기 부재는 커넥터 몸체에 대해 언래치 위치로부터 래치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래치/검정기는 몸체의 슬롯에 배치되는 리테이너 빔을 포함하며; 상기 빔은 제2래치/검정기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관통 보어에 노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수형 부재가 커넥터 몸체내에 충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수형부재와 방사방향으로 접촉하는 방사내측의 튜브 대향면을 포함하며, 언래치 위치로부터 래치 위치로 제2래치/검정기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수형 부재가 커넥터 몸체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수형 부재와 축방향 접촉되는 상태로 이동가능한 축방향 접촉을 위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테이너의 레그는 수형 부재가 커넥터 몸체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업셋부에 대해 축방향 접촉을 위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제2래치/검정기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관통 보어에 노출되며 커넥터 몸체의 수형 부재 수용단부를 향하여 대면하는 각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경사면은 커넥터 몸체의 관통 보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약 30°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에 의해 형성된 슬롯중 하나는 T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래치/검정기의 리테이너 빔은 T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리테이너 빔은 상기 슬롯에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연결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리테이너 빔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탄성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7.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의 수형 수용단부 및 관통 보어내로 연장되는 수형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형 부재는 관형 표면과, 상기 관형 표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환형 업셋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의 레그는 고정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를 커넥터 몸체내에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8. 제6항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의 수형 수용단부 및 관통 보어내로 연장되는 수형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형 부재는 관형 표면과, 상기 관형 표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환형 업셋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의 레그는 고정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를 커넥터 몸체내에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9. 제11항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의 수형 수용단부 및 관통 보어내로 연장되는 수형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형 부재는 관형 표면과, 상기 관형 표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환형 업셋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의 레그는 고정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를 커넥터 몸체내에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40. 제17항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의 수형 수용단부 및 관통 보어내로 연장되는 수형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형 부재는 관형 표면과, 상기 관형 표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환형 업셋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의 레그는 고정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를 커넥터 몸체내에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41. 제25항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의 수형 수용단부 및 관통 보어내로 연장되는 수형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형 부재는 관형 표면과, 상기 관형 표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환형 업셋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의 레그는 고정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를 커넥터 몸체내에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42. 제29항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의 수형 수용단부 및 관통 보어내로 연장되는 수형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형 부재는 관형 표면과, 상기 관형 표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환형 업셋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의 레그는 고정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를 커넥터 몸체내에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43. 제33항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의 수형 수용단부 및 관통 보어내로 연장되는 수형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형 부재는 관형 표면과, 상기 관형 표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환형 업셋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의 레그는 고정 위치 에서 상기 관형 부재를 커넥터 몸체내에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44.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수형 부재는 수형 부재가 관통 보어에 완전히 삽입될 때, 상기 커넥터 몸체의 수형 부재 수용단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업셋부로부터 이격된 제2업셋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래치/검정기는 내측 굴곡면을 갖는 횡단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은 관형 수형 부재가 관통 보어내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관형 수형 부재에 대해 밀착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래치/검정기는 래치 위치에 있으며; 상기 횡단 플랜지는 제2래치/검정기가 래치 위치에 있을 때, 제2업셋부와 축방향으로 접촉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45.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테이너의 레그는 관형 부재가 관통 보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업셋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접촉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4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테이너의 레그는 관형 부재가 관통 보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업셋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접촉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테이너의 레그는 관형 부재가 관통 보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업셋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접촉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KR1020050027193A 2004-03-31 2005-03-31 신속 커넥터용 제2래치 및 검정기 KR101153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431404A 2004-03-31 2004-03-31
US10/814,314 2004-03-31
US11/087,358 US7390025B2 (en) 2004-03-31 2005-03-23 Secondary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US11/087,358 2005-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386A true KR20060045386A (ko) 2006-05-17
KR101153635B1 KR101153635B1 (ko) 2012-06-18

Family

ID=3489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193A KR101153635B1 (ko) 2004-03-31 2005-03-31 신속 커넥터용 제2래치 및 검정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90025B2 (ko)
EP (1) EP1582800B1 (ko)
JP (1) JP5025091B2 (ko)
KR (1) KR101153635B1 (ko)
CN (1) CN100489364C (ko)
AT (1) ATE363046T1 (ko)
BR (1) BRPI0501177B1 (ko)
DE (1) DE602005001166T2 (ko)
ES (1) ES2285629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21B1 (ko) * 2008-07-04 2015-03-11 코웨이 주식회사 물탱크의 삽입부재 어셈블리
KR20160087778A (ko) * 2015-01-14 2016-07-22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주 및 보조 래치를 가진 관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0505B4 (de) * 2004-04-22 2009-05-28 A. Raymond Et Cie Kupplung für ein Fluidleitungssystem
DE102004038912B3 (de) * 2004-08-11 2005-06-02 A. Raymond & Cie Kupplung
DE102004062207B3 (de) * 2004-12-23 2005-10-20 Kirchner Fraenk Rohr Verbindungseinrichtung
US7484774B2 (en) * 2005-05-03 2009-02-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Redundant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WO2007066675A1 (ja) * 2005-12-06 2007-06-14 Tokai Rubber Industries, Ltd.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チェッカー
BRPI0505733A (pt) * 2005-12-19 2007-09-25 Click Automotiva Ind Ltda conector compacto
US7503784B2 (en) * 2006-03-08 2009-03-17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DE102006019257B4 (de) * 2006-04-26 2010-08-05 A. Raymond Et Cie Fluidleitungskupplung
FR2900456B1 (fr) * 2006-04-28 2008-06-27 Legris Sa Raccord a double verrouillage
US7866711B2 (en) * 2006-08-22 2011-01-1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with conductive path
DE102006047267B4 (de) * 2006-10-04 2010-02-04 A. Raymond Et Cie Kupplungsteil für eine Fluidleitungskupplung
FR2908494B1 (fr) * 2006-11-15 2008-12-26 Legris Sa Connecteur rapide
DE102008013157A1 (de) * 2008-03-07 2009-09-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auchkupplung
GB2460641B (en) * 2008-06-02 2013-03-13 Joy Mm Delaware Inc A clip for pin retention
US8240716B2 (en) 2008-08-07 2012-08-14 TI Group Automotive System,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pull tab verifier
US20100052315A1 (en) * 2008-08-28 2010-03-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lateral stabilization
FR2945100A1 (fr) * 2009-04-30 2010-11-05 Hutchinson Raccord encliquetable entre un conduit de fluide et un embout rigide avec un dispositif temoin de connexion et procede de controle de cette connexion
US9494268B2 (en) * 2009-10-21 2016-11-15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Supply stop with connection verification
US9464743B2 (en) * 2009-10-21 2016-10-11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Bias release cartridge
US9506592B2 (en) 2009-10-21 2016-11-29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Supply stop with connection verification
US9523454B2 (en) * 2009-10-21 2016-12-20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Anti-rotation gripper ring
US20120247179A1 (en) 2011-04-01 2012-10-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Sensor housing and latching mechanism for sensor housing
EP2722574B1 (en) * 2011-06-16 2017-08-30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connector
US20130106097A1 (en) * 2011-10-26 2013-05-02 Kil Jae KIM Structure for fastening outlet module of water purifier
US8764068B2 (en) 2012-05-10 2014-07-01 Moen Incorporated Quick connect coupling with retention feature
JP5878457B2 (ja) * 2012-12-13 2016-03-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充電ケーブルロック装置
CN102997031A (zh) * 2012-12-13 2013-03-27 苏州和林精密科技有限公司 防止产品互锁的卡口结构
EP2796758B1 (de) * 2013-04-23 2016-12-07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Kupplung
CN103939687B (zh) * 2014-04-29 2016-08-24 淮南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液压管路连接装置
WO2016057794A1 (en) 2014-10-09 2016-04-14 Colder Products Company Coupling assembly with retaining clip member
MY188947A (en) * 2015-03-23 2022-01-14 Jms Co Ltd Adapter
DE102015104889A1 (de) * 2015-03-30 2016-10-06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mit Sekundärverriegelung
FR3044070B1 (fr) 2015-11-20 2019-06-2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securise a connexion automatique
US10550982B2 (en) * 2016-06-17 2020-02-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US10378686B2 (en) * 2016-07-08 2019-08-13 Hanon Systems Plastic seal fitting
US10627032B2 (en) * 2016-07-22 2020-04-21 Ppi Xiamen Industry Co., Ltd. Quick connection structure of faucet outlet pipe
CN109890643B (zh) * 2016-10-27 2020-05-05 八千代工业株式会社 燃料箱的内置零部件的安装结构
CN106352182B (zh) * 2016-11-23 2017-12-19 黄松檀 一种应用于智能汽车的管路连接器
US20180202592A1 (en) * 2017-01-19 2018-07-19 Air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assembly
US10816121B2 (en) * 2017-05-09 2020-10-27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USD859618S1 (en) 2017-09-15 2019-09-10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Heating apparatus clip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JP6722714B2 (ja) * 2018-04-26 2020-07-15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CN108571631B (zh) * 2018-06-15 2024-03-29 廊坊舒畅汽车零部件有限公司 快速连接头
FR3083290B1 (fr) * 2018-06-29 2021-12-24 Sogefi Air & Cooling Systeme de raccordement rapide et procede de realisation
CN110768064B (zh) * 2018-07-25 2022-02-08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源插座
US11560967B2 (en) 2018-09-04 2023-01-24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Rotation-resistant push-on conduit coupling cartridge
FR3086721B1 (fr) * 2018-09-28 2020-11-20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fluidique pour un circuit de fluide d'un vehicule automobile
EP3736481B1 (en) 2019-05-07 2022-01-19 A. Raymond et Cie Quick connector assembly with verification tab
US11649914B2 (en) 2020-05-26 2023-05-16 Dlhbowles, Inc. Quick connector assembly for fluid lines with positive assurance feature
CN111720646A (zh) * 2020-06-28 2020-09-29 浙江波士特机械有限公司 一种商用车气制动系统用快插连接头
CA3227548A1 (en) 2021-08-13 2023-02-16 Dlhbowles, Inc. Vda connector assembly with verification
CN114110280A (zh) * 2021-11-05 2022-03-01 重庆溯联塑胶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管路系统双向快速截流连接装置
US11525428B1 (en) * 2021-12-06 2022-12-13 Robert Bosch Gmbh Retaining clip and connection assembly including same
DE102022126011A1 (de) * 2022-10-07 2024-04-18 Norma Germany Gmbh Verbindungssystem zum Leiten von Flui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8175A (en) 1980-10-29 1990-08-14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JPH0538317Y2 (ko) * 1988-03-03 1993-09-28
US4869534A (en) * 1988-09-26 1989-09-26 Huron Products Corporation Swivelable quick connector
US5423577A (en) 1992-01-17 1995-06-13 Bundy Corporation Tubing connector
KR100267605B1 (ko) 1992-09-24 2000-10-16 안자이 이치로 파이프 조인트
US5395140A (en) 1993-05-13 1995-03-07 Enhanced Applications, L.C. Secondary latch and indicator for fluid coupling
US5401063A (en) 1993-07-19 1995-03-28 Enhanced Applications, L.C. Primary/secondary retainer for beaded/flared tubing
US5586792A (en) * 1995-02-21 1996-12-24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release mechanism
US5628531A (en) 1995-04-26 1997-05-13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ES2155548T3 (es) * 1995-05-17 2001-05-16 Showa Aluminum Corp Conexion para tubos.
US5782502A (en) 1995-12-29 1998-07-21 Itt Automotive, Inc. Radial-release quick connector
BR9601539A (pt) 1996-04-12 2004-06-29 Tampas Click Ltda Indicador de montagem e conexão de linhas de combustìveis ou fluìdos em geral
US5897145A (en) 1996-12-05 1999-04-27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onnector
US5863077A (en)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DE19708377C1 (de) 1997-03-01 1998-06-18 Raymond A & Cie Lösbare Steckverbindung mit Montageanzeige
DE19822574C1 (de) * 1998-05-20 1999-10-14 Raymond A & Cie Lösbare Schnellkupplung mit automatischer Montageanzeige
US6905143B2 (en) 2002-03-22 2005-06-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conduit quick connector and stuffer pack
EP1359361B1 (de) 2002-05-04 2005-10-05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Rohrkupplung für Rohrleitungen
JP4234467B2 (ja) * 2002-06-04 2009-03-0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チェック機能内蔵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21B1 (ko) * 2008-07-04 2015-03-11 코웨이 주식회사 물탱크의 삽입부재 어셈블리
KR20160087778A (ko) * 2015-01-14 2016-07-22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주 및 보조 래치를 가진 관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01177B1 (pt) 2018-08-07
US7390025B2 (en) 2008-06-24
DE602005001166T2 (de) 2008-01-24
CN1676982A (zh) 2005-10-05
JP2005291497A (ja) 2005-10-20
JP5025091B2 (ja) 2012-09-12
CN100489364C (zh) 2009-05-20
BRPI0501177A (pt) 2005-11-08
DE602005001166D1 (de) 2007-07-05
ES2285629T3 (es) 2007-11-16
KR101153635B1 (ko) 2012-06-18
EP1582800B1 (en) 2007-05-23
ATE363046T1 (de) 2007-06-15
EP1582800A1 (en) 2005-10-05
US20050218650A1 (en)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635B1 (ko) 신속 커넥터용 제2래치 및 검정기
JP5054930B2 (ja) 急速継手用の冗長ラッチ/確認機構
JP2005291497A5 (ko)
KR101594621B1 (ko)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KR101426947B1 (ko) 혼합식 급속 커넥터
US8282139B2 (en) Quick connector with seal assembly retainer
US10816121B2 (e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EP1559945B1 (en) False insertion protection top hat for fluid quick connectors
KR20120093449A (ko) 프로파일 리드-인을 갖는 유체 커넥터 래치
KR20100027026A (ko) 측방향 안정성을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EP0905430A2 (en) Connector
KR20090117661A (ko) 급속 커넥터, 릴리즈 공구, 및 그 이용 방법
EP1719944B2 (en) A quick connector
US20050236833A1 (en) Tube lock quick connector
KR200497939Y1 (ko) 검증기 기구를 갖는 퀵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