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024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024B1
KR102313024B1 KR1020170042859A KR20170042859A KR102313024B1 KR 102313024 B1 KR102313024 B1 KR 102313024B1 KR 1020170042859 A KR1020170042859 A KR 1020170042859A KR 20170042859 A KR20170042859 A KR 20170042859A KR 102313024 B1 KR102313024 B1 KR 10231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er
detection
locking
ope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244A (ko
Inventor
최추생
이민호
나까무라히데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2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024B1/ko
Priority to DE102017216353.4A priority patent/DE102017216353A1/de
Priority to US15/717,770 priority patent/US10014633B1/en
Priority to CN201710910776.0A priority patent/CN108695632B/zh
Publication of KR20180112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05Arrangement of electrical wires and connections, e.g. wire harness, sockets, plugs; Arrangement of electronic control circuits in or on fuel injec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검지 부재를 검지 위치에 이동시킬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커넥터 장치는, 상대 커넥터에 감합 가능한 복수의 커넥터와, 복수의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대기 위치 또는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개별로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에 정규 감합된 때에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검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나란히 유지하는 홀더와, 복수의 상기 커넥터에 개별로 배치된 상기 검지 부재를 검지 위치로 일괄해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조작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커넥터와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연료분사장치는, 내연기관의 1기통마다 병렬하여 2개 설치되는 인젝터 본체와, 각각의 인젝터 본체에 설치되는 수전커넥터와, 각각의 수전커넥터에 감합 가능한 급전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 개시된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감합 가능한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커넥터 하우징이 상대 커넥터와 정규 감합된 때에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따르면, 검지 부재가 이동 가능해지는 것을 가지고, 커넥터 하우징이 상대 커넥터에 정규 감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 공개 제2015-034466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 특허 공개 제2015-215985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2에 개시된 검지 부재를,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급전커넥터에 내장하는 것에 의해, 검지 부재의 이동의 가부에 의해서, 급전커넥터가 수전커넥터와 정규 감합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특허문헌1의 내연기관이 4기통 엔진의 경우, 급전커넥터가 8개 설치되기 때문에, 특허문헌2의 검지 부재가 각 급전커넥터에 삽입되면, 검지 부재를 검지 위치에 이동시키는 작업을 총 8회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작업 부담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며, 검지 부재를 검지 위치에 이동시킬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는, 상대 커넥터에 감합 가능한 복수의 커넥터와, 복수의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대기 위치와 검지 위치와 이동 가능하게 개별로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에 정규 감합된 때에 상기 검지 위치에의 이동이 허용되는 검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나란히 유지하는 홀더와, 복수의 상기 커넥터에 개별로 배치된 상기 검지 부재를 상기 검지 위치로 일괄해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조작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커넥터가 홀더에 나란히 유지되고, 그 상태에서 각 커넥터에 개별로 배치된 검지 부재가 조작 부재에 의해서 검지 위치로 일괄해서 이동시켜진다. 이 때문에, 각각의 커넥터마다 검지 부재의 이동조작을 할 필요가 없고, 검지 부재를 검지 위치에 이동시킬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2개의 커넥터가 상부 홀더에 유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하부 홀더가 상부 홀더에 로킹되어, 홀더가 폐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측단면도(측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횡단면도(평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상태에서 조작 부재가 검지 부재에 계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정규 감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상태에서, 로킹편과 타음발생부가 보이는 위치로 절단한 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상태에서, 로킹편과 타음발생부가 보이는 위치로 절단한 도이다.
도 17은 개방 상태의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개방 상태의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개방 상태의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개방 상태의 홀더의 저면도이다.
도 21은 개방 상태의 홀더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검지 부재가 대기 위치에 유지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28은 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1은 검지 부재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도시한다.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검지 부재의 상호 대향면에, 상기 검지 부재를 상기 검지 위치에 이동시킬 때에 상호 요철 감합하는 멈춤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따르면, 검지 부재가 조작 부재에 의해서 검지 위치에 이동시켜질 때에, 조작 부재와 검지 부재의 상호 대향면이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가 검지 부재를 압입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홀더 또는 상기 커넥터는 타음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검지 부재를 상기 검지 위치에 이동시킨 때에 압입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압입 위치에서 상기 타음발생부를 두드려 타음을 발생시키는 타격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이동시켜지고, 조작 부재가 압입 위치에 이르면, 타격부가 타음발생부를 두드려 타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타음을 알아 듣는 것에 의해,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이동시켜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타격부는 상기 홀더 또는 상기 커넥터에 계지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압입 위치로부터 복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로킹편이어도 좋다. 조작 부재가 압입 위치에 이르면, 타격부인 로킹편이 홀더 또는 커넥터에 계지되고, 조작 부재가 압입 위치로부터 복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타격부에 타음을 발생하는 기능과 조작 부재의 복귀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이 통합하여 설치된다. 그 결과, 양 기능(타음발생기능과 복귀이동제한기능)이 개별로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부재가 힌지를 통해 상기 홀더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따르면, 조작 부재와 힌지를 분리하여 설치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부품 개수가 삭감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장치는 커넥터(10), 홀더(11), 검지 부재(12), 조작 부재(13) 및 단자금구(14)를 갖추고 있다. 커넥터(10)는 도시하지 않는 차량 엔진의 인젝터(연료분사밸브)에 대기 상태로 설치된 상대 커넥터(15)에 감합된다. 인젝터는 하나의 기통에 2개 병행하여 설치된다. 상대 커넥터(15)는 각각의 인젝터에 개별로 설치된다.
커넥터(10)는 각 상대 커넥터(15)와 대응하도록 복수개(1기통 당 2개) 설치된다. 홀더(11)는 2개의 커넥터(10)를 나란히 유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커넥터(10)는 홀더(11)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15)에 일괄해서 감합된다. 검지 부재(12)는 커넥터(10)에 대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조작 부재(13)는 검지 부재(12)를 압입하여 검지 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커넥터(10)가 감합개시 시에 상대 커넥터(15)와 대향하는 쪽을 전방측으로 한다. 상하 방향은 도 1 내지 도 5를 기준으로 하고, 좌우 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한다.
상대 커넥터(15)는 합성 수지제의 후드부(16)를 갖춘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부(16) 내에는 상대 의 터브(17)가 돌출 배치되어 있다. 후드부(16)의 상벽 외면에는 상대 로킹부(18)가 돌출하여 설치된다.
커넥터(10)는 합성 수지제의 커넥터 하우징(19)을 갖춘다. 도 22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9)은 블록 형상의 하우징 본체(20)와, 하우징 본체(20)의 외주를 둘러싸는 감합통부(21)를 갖고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금구(14)는 하우징 본체(20)의 캐비티(100)에 후방에서 삽입된다. 단자금구(14)는 금속제이고, 접속부(22)와, 접속부(22)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럴부(23)를 갖고 있다. 접속부(22)는 통 형상이고, 내부에 상대 커넥터(15)에 장착된 상대 단자금구의 터브(17)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배럴부(23)는 오픈배럴 형상이고, 전선(24)의 단부에 압착 접속된다. 또한, 배럴부(23)는 전선(24)에 외부 끼우기된 고무마개(25)에 압착 연결된다. 단자금구(14)가 캐비티(100)에 정규 삽입되면, 고무마개(25)가 캐비티(100)의 내주면의 후단부에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전선(24)이 하우징 본체(20)의 후면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전선(24)은 코어선의 주위를 절연수지로 에워싼 피복전선이다.
하우징 본체(20)의 외주에는 시일 링(26)이 장착된다.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5)의 감합시에, 시일 링(26)은 하우징 본체(20)와 후드부(16)의 사이에 끼워져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5)의 사이를 방수한다.
도 10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0)의 상면에는 로킹아암(27)이 연결되어 있다. 로킹아암(27)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부(28)를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휨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암부(28)는 전단부에 로킹 본체부(29)를 포함하고, 로킹 본체부(29)의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킹 구멍(30)을 갖고 있다. 또한, 아암부(28)는 후방부에 평판 형상의 판상부(31)를 갖고 있다. 판상부(31)는 로킹 구멍(30)의 후방부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28)는 좌우 양측모서리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부(32)를 포함하고, 양 레일부(32)의 아래쪽으로 한 쌍의 발지부(99)를 갖고 있다.
감합통부(21)의 상벽은 전단부에 가설부(33)를 포함하고, 가설부(33)의 후방에 개방부(34)를 갖고 있다. 검지 부재(12)가 부착되기 전, 로킹아암(27)은 개방부(34)를 통해서 상측에 노출되어 있다.
도 6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통부(21)의 양측벽은 후단부의 외면에 한 쌍의 로킹홈(35)을 갖고 있다. 로킹홈(3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측벽의 후단에 개구하고 있다. 또한, 감합통부(21)의 양측벽은 로킹홈(35) 내의 후단부에 한 쌍의 로킹 돌기(36)를 갖고 있다.
도 11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0)는 후단부에 가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캐비티 타워부(37)를 갖고 있다. 양 캐비티 타워부(37)의 하면에는 로킹 돌기(38)가 가설되어 있다.
검지 부재(12)는 합성 수지제이고, 로킹아암(27)의 아암부(28)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부재(12)는 기초부(39), 탄성 로킹부(40), 한 쌍의 가이드부(41) 및 덮개부(42)를 갖고 있다. 기초부(39)는 검지 부재(12)의 후단에서 좌우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탄성 로킹부(40)는 기초부(39)의 전면의 중앙부에서 전방에 연장하는 형상이고, 후단부를 지지점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휨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성 로킹부(40)는 전단부에 하향으로 돌출하는 계지조(43)를 갖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41)는 기초부(39)의 전면의 양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형상이고, 실질적으로 휨변형불능으로 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가이드부(41)는 내측면(양 가이드부(41)의 상호 대향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홈(44)을 갖고 있다. 또한, 양 가이드부(41)는 안내홈(44)의 아래쪽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45)를 갖고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2)는 양 가이드부(41)의 상단 사이에 가설되고, 탄성 로킹부(40)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덮개부(42)는 양단부에 한 쌍의 형빼기 구멍(46)을 갖고 있다. 스토퍼부(45)는 형빼기 구멍(46)을 통해서 상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덮개부(42)는 후단부에 창구멍(47)을 포함하고, 창구멍(47)의 상단 개구의 주연부에 프레임부(48)를 갖고 있다. 창구멍(47)은 양 가이드부(41)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개구폭을 갖고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48)는, 창구멍(47)의 상단 개구를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부재(12)는 기초부(39)의 후단면에서 양 가이드부(41)의 외측면에 걸쳐서 연속하는 계지홈(49)을 갖고 있다. 계지홈(49)은 기초부(39)의 후면에서 좌우로 연장하고 양 가이드부(41)의 외측면에서 전후로 연장하는 형상을 하고, 검지 부재(12)의 상단부의 동일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1)는 합성 수지제이고, 한 쌍의 반분체(50, 51)를 갖고 있다. 양 반분체(50, 51)는 힌지(이하, 반분체 연결 힌지(52)라 한다)를 통해 상호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반분체(50, 51)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홀더(50)와,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홀더(51)로 이루어진다.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는 상하 방향으로 폐지(합체)·개방(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의 상하 방향의 개념은,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가 폐쇄했을 때의 자세를 기준으로 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홀더(51)는 하측 커넥터 수용부(53)와, 하측 커넥터 수용부(53)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측 전선 덮개부(54)로 이루어진다. 하측 커넥터 수용부(53)는 내측면(폐지상태에서 내측을 향하는 면)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하측 요면(55)을 갖고 있다. 하측 요면(55)은 커넥터(10)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거의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측 요면(55)의 후방부는 전방부보다도 한층 높게 배치되어, 좌우 한 쌍의 돌조부(56)를 갖고 있다. 양 돌조부(56)는 전후 방향으로 상호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요면(55)의 양 돌조부(56) 사이에는 하측 로킹부(57)가 돌출하고 형성되어 있다.
하측 커넥터 수용부(53)의 저벽은 양 하측 요면(55) 사이가 되는 좌우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3개의 두께제외부(58)를 포함하고, 각 두께제외부(58) 사이에 전후 한 쌍의 가교 리브(59)를 갖고 있다. 또한, 하측 커넥터 수용부(53)는 좌우 중앙부에 저벽으로부터 상측에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하측 중앙 홀더 로킹부(60)를 갖고 있다. 하측 중앙 홀더 로킹부(60)는 좌우 방향(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분을 갖는 판프레임 형상이고(도 19 참조), 양 가교 리브(59)에 걸치도록 가설되어 있다.
하측 커넥터 수용부(53)의 양측벽은 외측면의 전단부에 한 쌍의 하측 홀더 로킹 돌기(61)를 갖고 있다. 하측 홀더 로킹 돌기(61)는 측방으로 작게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8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커넥터 수용부(53)와 하측 전선 덮개부(54)의 사이는 좌우 방향에 따른 수직 벽부(62)로 구획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전선 덮개부(54)는 수직 벽부(62)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좌우로 연장하는 수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전선 덮개부(54)는 상면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하측 전선 삽입 관통홈(63)을 갖고 있다. 하측 전선 삽입 관통홈(63)은 전체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후방을 향해서 점차로 홈 폭을 좁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측 전선 삽입 관통홈(63)은 전방을 향해서 점차로 깊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5 참조). 하측 전선 삽입 관통홈(63)의 전단은 수직 벽부(62)의 상단에 형성된 절결부(64)를 통해 하측 커넥터 수용부(53)의 내부에 개구하고 있다. 하측 전선 덮개부(54)의 상면 중, 양 하측 전선 삽입 관통홈(63)을 제외하는 부분은 좌우로 편평한 면으로 되어 있다(도 4 참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전선 덮개부(54)는 하측 전선 삽입 관통홈(63)의 홈 저면의 전단부에, 전후 한 쌍의 하측 당접편(65)을 갖고 있다. 양 하측 당접편(65)은 좌우로 연장하는 단면 대략 3각형의 리브 형상이고(도 10 참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측의 하측 당접편(65)은 수직 벽부(62)의 절결부(64)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양 하측 당접편(65)의 상단은 상호 동일높이 위치이고, 좌우로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전선 덮개부(54)는 하측 전선 삽입 관통홈(63)의 홈 저면의 후단부에 좌우로 연장하는 단면 대략 U 자형의 아래쪽단모서리리브(66)를 갖고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전선 덮개부(54)는 좌우 양측단에 한 쌍의 하측 홀더 로킹편(67)을 갖고 있다. 하측 홀더 로킹편(67)은 하측 전선 덮개부(54)의 측단에서 상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좌우 방향(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분을 갖는 판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9 참조).
도 17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홀더(50)는 상측 커넥터 수용부(68)와, 상측 커넥터 수용부(68)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측 전선 덮개부(69)로 이루어진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커넥터 수용부(68)는 천정벽(70)과, 측단벽(71)과, 중앙벽(72)을 갖고 있다. 천정벽(70)은 상부 홀더(50)의 상변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측단벽(71)은 천정벽(70)의 좌우 양끝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쌍을 이뤄 돌출하여, 상부 홀더(50)의 측변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중앙벽(72)은 천정벽(70)의 좌우 중앙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상부 홀더(50)의 내부를 좌우로 분할하고 있다. 천정벽(70)과 측단벽(71)과 중앙벽(72)은 각각의 내측면(폐지상태에서 내측을 향하는 면)에 상측 요면(73)을 갖고 있다. 상측 요면(73)은 커넥터(10)의 상부의 외측면에 거의 따른 형상이고, 상측 커넥터 수용부(68)에 있어서의 중앙벽(72)의 좌우 양측에 쌍을 이루고 배치되어 있다.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가 폐쇄된 때에, 상측 요면(73)과 하측 요면(55)이 둘레 방향에 연속하여, 내부에 좌우 한 쌍의 커넥터 수용 공간부(74)가 구획된다(도 3 참조).
천정벽(70)은 좌우로 연장하는 대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홀더(50)는 천정벽(70)의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좌우 한 쌍의 개구부(75)를 갖고 있다. 개구부(75)는 천정벽(70), 측단벽(71), 중앙벽(72) 및 상측 전선 덮개부(69)의 사이에 구획되어 있다. 커넥터(10)가 커넥터 수용 공간부(74)에 수용된 때에, 검지 부재(12)는 개구부(75)를 통해서 상측에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도 17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단벽(71)과 중앙벽(72)은 상측 요면(73)의 후방 하단부에 한 쌍의 상측 로킹부(76)를 갖고 있다. 양 상측 로킹부(76)는 내측(커넥터 수용 공간부(74)측)을 향해서 대향 형상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 상측 로킹부(7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 형상이고, 후단부의 내측면(양 상측 로킹부(76)가 상호 대향하는 면)에 절결 형상의 계지 요부(77)를 갖고 있다. 상측 로킹부(76)의 상하 양면은 전후 방향을 따라서 편평한 면으로 되어 있다. 상측 로킹부(76)의 상면은 개구부(75)를 통해서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벽(72)은 좌우 한 쌍의 대향벽부(78)와, 기벽부(79)를 갖고 있다. 대향벽부(78)는 전후 방향에 따른 판 형상이고, 좌우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대향벽부(78)는 내측면(양 대향벽이 상호 대향하는 면)에 상측 중앙 홀더 로킹부(80)를 갖고 있다. 상측 중앙 홀더 로킹부(80)는 내측을 향해서 작게 돌출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한 상측 로킹부(76)는 대향벽부(78)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기벽부(79)는 양 대향벽부(78) 사이에 가설되고, 벽면을 상하로 향해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벽부(79)는 상면의 후단부에 타음발생부(81)를 갖고 있다. 타음발생부(81)는 주위에서 한층 높게 배치되어 있다. 타음발생부(81)는 상면의 후단부에 상측에 돌출하는 조작 부재 로킹부(82)를 갖고 있다. 타음발생부(81)의 상면 중, 조작 부재 로킹부(82)보다 전방의 부분은 전후 방향을 따라서 편평한 충돌접수면(83)으로 되어 있다. 조작 부재 로킹부(82)의 전면은 충돌접수면(83)에 직교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벽부(79)는 타음발생부(81)의 아래쪽으로 공명공간부(84)를 갖고 있다. 공명공간부(8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기벽부(79)의 후단에 개구하고 있다.
양 측단벽(71)은 좌우의 외측면의 전단부에 한 쌍의 상측 홀더 로킹편(85)을 갖고 있다. 상측 홀더 로킹편(85)은 측단벽(71)의 외측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좌우 방향(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분을 갖는 판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9 참조).
상측 전선 덮개부(69)는 좌우로 연장하는 수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전선 덮개부(69)의 전단은 양 측단벽(71)의 후단 및 중앙벽(72)의 후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측 전선 덮개부(69)는 하면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상측 전선 삽입 관통홈(86)을 갖고 있다. 상측 전선 삽입 관통홈(86)은, 전체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후방을 향해서 점차로 홈 폭을 좁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측 전선 삽입 관통홈(86)의 전단은 커넥터 수용 공간부(74)에 개구하고 있다. 상측 전선 덮개부(69)의 하면 중, 양 상측 전선 삽입 관통홈(86)을 제외하는 부분은 좌우로 편평한 면으로 되어 있다(도 4 참조).
상측 전선 덮개부(69)는 상측 전선 삽입 관통홈(86)의 홈 저면의 전단부에 전후 한 쌍의 상측 당접편(87)을 갖고 있다. 양 상측 당접편(87)은 좌우로 연장하는 단면 대략 3각형의 리브 형상이고(도 10 참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측의 상측 당접편(87)은 상측 전선 덮개부(69)의 전단에서 커넥터 수용 공간부(74)에 향하고 있다. 양 상측 당접편(87)의 하단은 상호 동일높이 위치이고, 좌우로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전선 덮개부(69)는 상측 전선 삽입 관통홈(86)의 홈 저면의 후단부에 좌우로 연장하는 단면이 대략 U 자 형상의 상측단모서리리브(88)를 갖고 있다.
상측 전선 덮개부(69)는 좌우 양측단에 한 쌍의 상측 홀더 로킹 돌기(89)를 갖고 있다. 상측 홀더 로킹 돌기(89)는 측방으로 작게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 홀더(50)의 측단벽(71)과 하부 홀더(51)의 측벽 사이에는, 전후 한 쌍의 반분체 연결 힌지(52)가 설치된다. 양 반분체 연결 힌지(52)는 가요성의 띠 형상이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가 좌우에 나란히 선 상태(개방 상태이며, 또한 성형상태이기도 하다)에서, 양 반분체 연결 힌지(52)는 좌우로 연장하여 배치된다.
조작 부재(13)는 합성 수지제이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연장하는 판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13)는 힌지(이하, 조작 부재 연결 힌지(90)라 한다)를 통해 홀더(11)에 연결되고 일체화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 연결 힌지(90)는 조작 부재(13)와 상측 전선 덮개부(69)의 사이에 좌우로 쌍을 이뤄 설치된다.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가 개방 상태로 있는 때에, 조작 부재(13)는 판면을 전후로 향해서 배치되고, 전측을 향하는 판면의 좌우 양단부에 조작 부재 연결 힌지(9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조작 부재 연결 힌지(90)의 타단은 상측 전선 덮개부(69)의 양 상측 전선 삽입 관통홈(86)의 후단과 대응하는 부위에 연결되어 있다.
조작 부재(13)는 검지 부재(12)에 후방에서 접촉하여, 커넥터(10)에 대하여 검지 부재(12)를 전방으로 압입하여 검지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조작 부재(13)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개념은 검지 부재(12)를 압입할 때의 조작 부재(13)의 자세(도 7에 도시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한 조작 부재(13)의 전방을 향하는 판면(조작 부재 연결 힌지(9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면)은 조작 부재(13)의 하면에 해당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13)의 상면은 전체로서, 전방을 향해서 오름 경사로 경사하는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13)의 상면에는 좌우로 연장하는 다수의 줄홈에 의해서 미끄럼 방지부(91)가 설치된다(도 20 참조).
도 5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13)는 하면과 전면과의 연접부위에 절결형의 압입 오목부(92)를 갖고 있다. 압입 오목부(92)는 단면이 대략 L 자 형상이고, 안쪽면(전방을 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으로 거의 따라서 배치되고, 내상면(하측을 향하는 면)이 전후 방향으로 거의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압입 오목부(92)는 안쪽면의 하단의 좌우 양단부에 한 쌍의 계지 돌기부(93)를 갖고 있다. 계지 돌기부(93)는 좌우로 연장하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입 오목부(92)는 내상면의 좌우 양단부에 좌우 한 쌍씩의 돌입부(94)를 갖고 있다. 각 돌입부(94)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입 오목부(92)는 내상면의 좌우 외측의 위치에, 탄성 계지편(95)을 갖고 있다. 탄성 계지편(95)은 조작 부재(13)의 좌우 양끝에 쌍을 이뤄 노출하고 있다. 탄성 계지편(95)은 압입 오목부(92)의 내상면에서 아래로 돌출하고, 하단부에 내측(양탄성 계지편(95)이 상호 대향하는 쪽)에 돌출하는 걸림 돌기(96)를 갖고 있다.
또한, 압입 오목부(92)는 내상면의 좌우 중앙부에 로킹편(97)(타격부)을 갖고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편(97)은 압입 오목부(92)의 내상면에서 일단 하측으로 돌출한 후 후방으로 연장하는 형상이고, 전단부를 지지점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휨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킹편(97)은 후단부에 아래로 돌출하는 돌기(98)를 갖고 있다. 돌기(98)의 하면은 전후 방향을 따라서 편평한 면으로 되어 있다. 돌기(98)의 전면은 아랫쪽으로 감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98)의 후면은 아랫쪽으로 감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편(97)은 압입 오목부(92)의 내상면에서 두갈래 형상으로 돌출되고, 돌기(98)를 통해 두 갈래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이상이 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장치의 구조이며, 계속해서, 커넥터 장치의 조립 방법 및 감합이탈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검지 부재(12)가 커넥터(10)의 로킹아암(27)에 후방에서 부착된다. 이 때, 양 가이드부(41)의 안내홈(44)에 아암부(28)의 양 레일부(32)가 삽입되어(도 24 참조), 탄성 로킹부(40)와 덮개부(42) 사이에 판상부(31)가 끼워지도록 배치된다(도 5 참조). 또한, 스토퍼부(45)가 발지부(99)에 전방에서 대향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탄성 로킹부(40)의 계지조(43)가 아암부(28)의 로킹 구멍(30)에 진입하여, 계지조(43)가 로킹 본체부(29)에 후방에서 대향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검지 부재(12)는 커넥터(10)에 대하여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 상태로 유지된다.
계속해서, 2개의 커넥터(10)가 상부 홀더(50)에 유지된다(도 1 참조). 커넥터(10)는 그 상부가 상부 홀더(50)의 상측 요면(73) 내에 전방에서 삽입된다. 커넥터(10)의 상부가 상측 요면(73) 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양로킹 돌기(36)가 상측 로킹부(76)와 간섭하고, 그에 따라, 측단벽(71)과 대향벽부(78)가 휨변형된다. 커넥터(10)의 상부가 상측 요면(73) 내에 정규 삽입되면, 측단벽(71)과 대향벽부(78)가 원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그렇게 하면, 상측 로킹부(76)가 커넥터(10)의 로킹홈(35)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로킹 돌기(36)가 계지 요부(77) 내에 삽입되어, 상측 로킹부(76)가 로킹 돌기(36)에 전방에서 대향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도 6 참조). 또한, 커넥터(10)가 상측 전선 덮개부(69)에 전방에서 대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측 로킹부(76)의 상하 양면이 로킹홈(35)의 상하의 홈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도 11 참조). 이렇게 해서 홀더(11)가 개방 상태로 있는 때에, 커넥터(10)가 상부 홀더(50)의 상측 요면(73) 내에 빠짐 방지된 상태로 유지(가유지)된다.
계속해서, 하부 홀더(51)가 반분체 연결 힌지(52)를 통해 회동되어, 상부 홀더(50)에 폐지된다. 하측 홀더 로킹 돌기(61)가 상측 홀더 로킹편(85)에 탄성적으로 걸림과 동시에, 상측 홀더 로킹 돌기(89)가 하측 홀더 로킹편(67)에 탄성적으로 걸리고(도 9 참조), 또한 상측 중앙 홀더 로킹부(80)가 하측 중앙 홀더 로킹부(60)에 탄성적으로 걸린다(도 11 참조). 이에 따라, 하부 홀더(51)와 상부 홀더(50)가 폐지상태로 강고히 유지된다.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가 폐쇄하면 좌우 한 쌍의 커넥터 수용 공간부(74)가 구획되고, 양 커넥터 수용 공간부(74)에 각각 커넥터(10)가 수용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이 때, 로킹 돌기(38)가 하부 홀더(51)의 양 돌조부(56)와 하측 로킹부(57)와 수직 벽부(62)의 사이에 둘러싸인 공간(도 20 참조)에 진입한다. 로킹 돌기(38)가 하측 로킹부(57)에 걸림 가능하게 배치되고(도 5 참조), 또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로킹부(76)가 로킹 돌기(36)에 걸림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도 6 참조), 커넥터(10)가 홀더(11)로부터 전방으로 빠져 나오는 것이 저지된다.
가장, 커넥터(10)는 상측 요면(73) 및 하측 요면(55) 사이에 덜컥거림을 포함하고, 홀더(11)의 커넥터 수용 공간부(74)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여유를 갖고 삽입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10)는 홀더(11)의 커넥터 수용 공간부(74)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약간의 움직임이 허용된다.
또한, 양 커넥터(10)가 홀더(11)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양 커넥터(10)의 전방부가 홀더(1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에 노출하여 배치되고, 양 커넥터(10)의 전단이 전후 방향에서 상호 동일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검지 부재(12)가 상부 홀더(50)의 개구부(75)에 노출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가 폐쇄하면 하측 전선 덮개부(54)와 상측 전선 덮개부(69)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고, 하측 전선 삽입 관통홈(63)의 편평한 상면과 상측 전선 삽입 관통홈(86)의 편평한 하면이 좌우에 따라서 상호 밀착한 상태가 된다(도 4 참조). 또한, 하측 전선 삽입 관통홈(63)과 상측 전선 삽입 관통홈(86) 사이에, 커넥터(10)로부터 인출된 각 전선(24)이 가로 한 줄로 나란히 배치된다. 이 때, 하측 당접편(65)과 상측 당접편(87)은 전후 방향의 동일위치에 배치되고, 하측 당접편(65)이 각 전선(24)의 하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측 당접편(87)이 각 전선(24)의 상부에 접촉하여, 하측 당접편(65)과 상측 당접편(87) 사이에 각 전선(24)이 상하 방향으로 끼워진다(도 5 참조).
계속해서, 홀더(11)가 파지되어, 홀더(11)에 유지된 2개의 커넥터(10)가 하나의 기통에 2개 설치된 상대 커넥터(15)에 대하여 거의 정면으로 대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 상태에서, 홀더(11)가 상대 커넥터(15)에 가까이 된다. 그렇게 하면, 2개의 커넥터(10)가 홀더(11)를 통해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15)에 일괄해서 감합된다. 감합 과정에서는, 커넥터(10)가 하측 전선 덮개부(54)의 전단 및 상측 전선 덮개부(69)의 전단에 접촉 하는 것으로, 상대 커넥터(15)부터의 압박력이 받아내여진다.
상기한 경우에, 하나의 기통에 설치된 2개의 상대 커넥터(15)의 정렬 방향의 거리를 일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어렵고, 제품 사이에서 이격거리의 변동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미 상술한 대로, 양 커넥터(10)가 홀더(11)의 커넥터 수용 공간부(74)에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5)의 감합개시 시에, 상대 커넥터(15)의 후드부(16)가 감합통부(21)의 전단개구 돌기에 설치된 유인면(101)(도 2 참조)을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커넥터(10)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상대 커넥터(15)와의 감합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자세로 유도된다. 그 결과, 상기한 상대 커넥터(15)의 이격거리의 변동이 흡수되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5)의 감합을 원활히 진행시킬 수 있다.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5)의 감합완료시에는, 상대 단자금구의 터브(17)가 단자금구(14)의 접속부(22) 내에 정규 깊이로 삽입되어, 단자금구(14)와 상대 단자금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5)의 감합완료시에는, 상대 로킹부(18)가 로킹아암(27)의 로킹 구멍(30)에 하측에서 빠지고, 계지조(43)가 상대 로킹부(18)에 밀어 올려지고, 탄성 로킹부(40)를 휘게 한 상태로, 계지조(43)와 로킹 본체부(29)의 걸림이 해제된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검지 부재(12)가 검지 위치에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5)의 감합 전 적절한 타이밍에 있어서, 조작 부재(13)가 조작 부재 연결 힌지(90)를 구부리면서 전방에 이동시켜지고, 검지 부재(12)의 후단부의 상측에 이르러지게 한다. 이미 상술한 대로, 홀더(11)에는 2개의 커넥터(10)가 좌우로 나란히 유지되고, 양 커넥터(10)에는 검지 부재(12)가 개별로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 부재(13)는 좌우에 나란히 서는 2개의 검지 부재(12)의 후단부 상측을 일괄해서 덮도록 배치된다. 그 상태에서 조작 부재(13)가 밀어 내려진다. 그렇게 하면, 각 돌입부(94)가 대응하는 검지 부재(12)의 창구멍(47)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됨과 동시에, 양 계지 돌기부(93)가 대응하는 검지 부재(12)의 후단측의 계지홈(49)에 탄성적으로 진입하고, 또한 양탄성 계지편(95)에 설치된 걸림 돌기(96)가 대응하는 검지 부재(12)의 좌우 외측의 계지홈(49)에 탄성적으로 진입한다(도 11 참조). 이에 따라, 조작 부재(13)가 검지 부재(12)에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이 때, 로킹편(97)의 돌기(98)는 조작 부재 로킹부(82)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상태에서 조작 부재(13)의 미끄럼 방지부(91)가 후방에서 압박된다. 그렇게 하면, 양 검지 부재(12)가 조작 부재(13)의 압입력을 받아 검지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켜진다. 양 검지 부재(12)가 검지 위치로 향하는 과정에서는, 계지조(43)가 로킹 본체부(29)를 타고 올라 탄성 로킹부(40)의 휨 상태가 유지된다(도 13 참조). 또한, 돌기(98)가 조작 부재 로킹부(82)를 타고 올라, 로킹편(97)이 휨변형시켜진다(도 15 참조). 또한, 양 검지 부재(12)가 검지 위치로 향하는 과정에서는, 양 가이드부(41)가 아암부(28)의 양 레일부(32)를 접동하여, 이것에 의해서 양 검지 부재(12)의 이동이 안내된다.
이어서, 조작 부재(13)가 압입되면, 양 검지 부재(12)가 검지 위치에 도달한다. 검지 위치에서는, 탄성 로킹부(40)가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계지조(43)가 로킹 본체부(29)에 전방에서 대향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도 14 참조). 또한, 덮개부(42)의 전단이 가설부(33)에 후방에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양 검지 부재(12)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양 검지 부재(12)가 검지 위치에 도달하여, 덮개부(42)의 전단이 가설부(33)에 후방에서 접촉함으로써, 조작 부재(13)가 그 이상 압입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렇게 해서 양 검지 부재(12)가 검지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조작 부재(13)가 압입 위치에 이른다. 조작 부재(13)가 압입 위치에 이르면, 로킹편(97)이 탄성 복귀하고, 돌기(98)가 타음발생부(81)의 충돌접수면(83)에 충돌하여(도 16 참조), 타음이 발생한다. 발생한 타음은 공명공간부(84)에서 공명하여, 음량이 높여진 상태로 출력된다. 돌기(98)가 충돌접수면(83)을 두드려 발생하는 타음을 알아 듣는 것에 의해, 조작 부재(13)가 압입 위치에 도달하고, 양 검지 부재(12)가 검지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양 검지 부재(12)는, 상호 동일한 타이밍에 검지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13)가 압입 위치에 이르면, 돌기(98)가 조작 부재 로킹부(82)에 전방에서 대향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조작 부재(13)가 압입 위치에 있어서 후방으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그런데, 정비 등의 사정에 의해,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5)를 상호 이탈시키는 것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5)를 이탈시킬 때, 우선 양 검지 부재(12)를 대기 위치에 복귀하는 것이 필요하여 진다. 본 제1 실시예의 경우, 양 검지 부재(12)를 대기 위치에 복귀시킬 때, 조작 부재(13)의 미끄럼 방지부(91)가 상측으로부터 압박된다. 그렇게 하면, 조작 부재(13)가 양 검지 부재(12)의 후단부와 동시에 밀어 내려져, 그에 따라 탄성 로킹부(40)의 전단부가 끌어올려지고, 계지조(43)와 로킹 본체부(29)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 상태에서, 조작 부재(13)에, 후방으로의 복귀력을 부여한다. 그렇게 하면, 돌기(98)의 경사면 형상의 후면이 조작 부재 로킹부(82)를 타고 올라, 돌기(98)와 조작 부재 로킹부(82)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렇게 해서 조작 부재(13)가 후퇴하면, 양 검지 부재(12)가 조작 부재(13)와 동시에 후퇴하여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그 후, 로킹아암(27)과 상대 로킹부(18)의 걸림이 해제되어,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15)로부터 떼어 놓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2개의 커넥터(10)가 홀더(11)에 나란히 유지되고, 그 상태에서 양 커넥터(10)가 각각에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15)에 일괄해서 감합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10)마다 감합 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작업 부담이 경감된다. 그 결과, 커넥터 감퓨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홀더(11)가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반분체(50, 51)에 의해서 구성되어,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가 2개의 커넥터(10)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폐쇄되기 때문에, 2개의 커넥터(10)가 홀더(11)에 용이하게 장착된다.
(3) 홀더(11)가 개방 상태로 있을 때, 2개의 커넥터(10)가 상측 로킹부(76) 등을 통해 상부 홀더(50)에 가유지 상태로 걸리기 때문에,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를 폐지상태로 할 때에, 양 커넥터(10)가 상부 홀더(50)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의 폐지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4) 홀더(11)가 2개의 커넥터(10)를 개별로 수용하는 커넥터 수용 공간부(74)를 포함하고, 2개의 커넥터(10)가 각각 커넥터 수용 공간부(74)에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허용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10)가 커넥터 수용 공간부(74)에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상대 커넥터(15)와의 감합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위치로 유도된다. 그 결과,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5)의 감합 작업을 원활히 진행시킬 수 있다.
(5) 양 반분체(50, 51)를 구성하는 상부 홀더(50)와 하부 홀더(51)가 양 반분체 연결 힌지(52)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11)의 부품 개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2개의 커넥터(10)가 홀더(11)에 나란히 유지되고, 그 상태에서 양 커넥터(10)에 개별 부착된 검지 부재(12)가 조작 부재(13)에 의해서 검지 위치로 일괄해서 이동하기 때문에, 각각의 커넥터(10)마다 검지 부재(12)의 이동조작을 할 필요가 없고, 양 검지 부재(12)를 검지 위치에 이동시킬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 검지 부재(12)가 검지 위치에 있는 때에, 조작 부재(13)를 압박함으로써, 양 검지 부재(12)를 대기 위치로 일괄해서 복귀하는 것도 가능하고, 양 검지 부재(12)를 대기 위치에 이동시킬 때의 작업성도 양호하게 된다.
(7) 조작 부재(13)가 검지 부재(12)를 압입할 때에, 조작 부재(13)와 검지 부재(12)의 상호 대향면에 설치된 계지 돌기부(93)와 계지홈(49)이 상호 요철 감합함으로써, 조작 부재(13)가 검지 부재(12)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13)가 검지 부재(12)를 압입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8) 홀더(11)가 타음발생부(81)를 포함하고, 조작 부재(13)가 검지 부재(12)를 검지 위치에 이동시킨 때에 압입 위치에 도달하고 압입 위치에서 타음발생부(81)를 두드려 타음을 발생시키는 로킹편(97)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로킹편(97)이 타음발생부(81)를 두드려 발생하는 타음을 알아 듣는 것에 의해, 검지 부재(12)가 검지 위치에 이동시켜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9) 로킹편(97)이 홀더(11)의 조작 부재 로킹부(82)에 계지되는 것에 의해, 조작 부재(13)가 압입 위치로부터 복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로킹편(97)에 타음을 발생하는 기능과 조작 부재(13)의 복귀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이 통합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 결과, 양 기능(타음발생기능과 복귀이동제한기능)이 따로따로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10) 조작 부재(13)가 조작 부재 연결 힌지(90)를 통해 상부 홀더(5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13)와 상부 홀더(50)를 분리하여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가 삭감된다.
(11) 홀더(11)에서 외부로 도출된 전선(24)이 진동하는 경우에, 홀더(11) 내의 전선 부분이 상측 당접편(87)과 하측 당접편(65) 사이에 끼워져 유지되기 때문에, 전선(24)의 진동력이 단자금구(14)에 전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단자금구(14)와 상대 단자금구의 접속부위가 미끄럼 이동 마모하는 것을 억제하는 수 있어,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제1 실시예의 경우, 전선(24)의 진동력이 홀더(11)와 홀더(11)에 유지된 2개의 커넥터(10)로 널리 분산되기 때문에, 단자금구(14)에 전선(24)의 진동력이 보다 전해지기 어렵게 되어, 접속 신뢰성을 보다 양호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12) 상측 당접편(87)이 상부 홀더(50)에 설치되고, 하측 당접편(65)이 하부 홀더(51)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당접편(87, 65)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1) 홀더는, 3개 이상의 커넥터를 나란히 유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홀더는, 3개 이상의 커넥터 수용 공간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2) 양 반분체가 좌우 방향으로 폐지(합체)·개방(이격) 가능해지는 구성이어도 좋다.
(3) 홀더가 양 반분체 연결 힌지를 갖지 않고, 양 반분체가 상호 분리가능한 구성이어도 좋다.
(4) 홀더가 조작 부재 연결 힌지를 갖지 않고, 조작 부재가 홀더로부터 분리한 상태가 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5) 홀더가 개방 상태로 있는 때에, 커넥터가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 중 어느 한편에 가유지 상태로 걸리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컨대, 하부 홀더가 하측 로킹부를 갖지 않고, 커넥터가 하부 홀더에 계지되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
(6) 커넥터가 홀더의 커넥터 수용 공간부 내에서 좌우 방향(커넥터의 정렬 방향)으로의 움직임만이 허용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7) 타음발생부가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8) 커넥터에서 외부로 인출된 전선은, 상측 당접편과 하측 당접편 중 어느 한편에만 접촉하여 움직임이 제한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측 당접편과 하측 당접편 중 어느 다른 쪽을 생략할 수 있다.
10… 커넥터
11… 홀더
12… 검지 부재
13… 조작 부재
14… 단자금구
15… 상대 커넥터
24… 전선
49… 계지홈(계지부)
50… 상부 홀더(반분체)
51… 하부 홀더(반분체)
52… 반분체 연결 힌지
54… 하측 전선 덮개부(전선 덮개부)
65… 하측 당접편(당접편)
69… 상측 전선 덮개부(전선 덮개부)
74… 커넥터 수용 공간부
81… 타음발생부
87… 상측 당접편(당접편)
90… 조작 부재 연결 힌지
93… 계지 돌기부(계지부)
97… 로킹편(타격부)

Claims (5)

  1. 상대 커넥터에 감합 가능한 복수의 커넥터와,
    복수의 상기 커넥터에 대하여 대기 위치 또는 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개별로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 커넥터에 정규 감합된 때에 상기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검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나란히 유지하는 홀더와,
    복수의 상기 커넥터에 개별로 배치된 상기 검지 부재를 상기 검지 위치로 일괄해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 또는 상기 커넥터는 타음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검지 부재를 상기 검지 위치에 이동시킨 때에 압입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압입 위치에서 상기 타음발생부를 두드려 타음을 발생시키는 타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검지 부재의 상호 대향면에, 상기 검지 부재를 상기 검지 위치에 이동시킬 때에 상호 요철 감합하는 계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홀더 또는 상기 커넥터에 계지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압입 위치로부터 복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로킹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힌지를 통해 상기 홀더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70042859A 2017-04-03 2017-04-03 커넥터 장치 KR10231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59A KR102313024B1 (ko) 2017-04-03 2017-04-03 커넥터 장치
DE102017216353.4A DE102017216353A1 (de) 2017-04-03 2017-09-14 Verbindervorrichtung für eine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US15/717,770 US10014633B1 (en) 2017-04-03 2017-09-27 Connector device for fuel injection device
CN201710910776.0A CN108695632B (zh) 2017-04-03 2017-09-29 用于燃料喷射装置的连接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59A KR102313024B1 (ko) 2017-04-03 2017-04-03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44A KR20180112244A (ko) 2018-10-12
KR102313024B1 true KR102313024B1 (ko) 2021-10-15

Family

ID=6268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859A KR102313024B1 (ko) 2017-04-03 2017-04-03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14633B1 (ko)
KR (1) KR102313024B1 (ko)
CN (1) CN108695632B (ko)
DE (1) DE102017216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8421A1 (de) 2018-05-28 2019-11-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ixierungshülse zur festen Fixierung eines Steckers an einer Buchse und Injektorbaugruppe
US11395188B2 (en) * 2020-08-10 2022-07-19 Silicon Laboratories Inc. Fast signal identification of Bluetooth, ZigBee and other network protocols
USD1023964S1 (en) * 2020-12-21 2024-04-23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Clamp
JP2023170806A (ja) * 2022-05-20 2023-12-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2415A (ja) * 2013-10-23 2015-04-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4240A (ja) * 2000-10-26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露出形モジュラジャック
US7131854B1 (en) * 2005-08-31 2006-11-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airbag apparatus having an electrical connector
US7232329B1 (en) * 2006-07-05 2007-06-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unitary latch
JP4669826B2 (ja) * 2006-08-23 2011-04-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JP2008140571A (ja) * 2006-11-30 2008-06-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7334572B1 (en) 2007-01-30 2008-0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fuel injectors
US8297257B2 (en) 2008-03-26 2012-10-30 Denso Corporation Fuel supply pipe device and fuel injection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49760B1 (ko) 2008-09-08 2014-10-13 타이코에이엠피(유) 인젝터의 더블 락킹 커넥터
JP5308761B2 (ja) * 2008-10-01 2013-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2489101B1 (en) * 2009-10-16 2016-08-17 ADC Telecommunications, Inc. Managed connectivity in electrical systems and methods thereof
JP5588211B2 (ja) * 2010-03-31 2014-09-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嵌合確認構造
US8678846B2 (en) * 2012-03-28 2014-03-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2015034466A (ja) 2013-08-07 2015-02-19 スズ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KR20150034466A (ko) 2013-09-26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북마크 체인 생성 방법
JP2015215985A (ja) 2014-05-09 2015-12-03 住友電装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JP6347485B2 (ja) 2014-10-14 2018-06-2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インジェクタユニット
US9525238B1 (en) * 2016-01-13 2016-12-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2415A (ja) * 2013-10-23 2015-04-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44A (ko) 2018-10-12
DE102017216353A1 (de) 2018-10-04
US10014633B1 (en) 2018-07-03
CN108695632A (zh) 2018-10-23
CN108695632B (zh)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699B1 (ko) 커넥터 장치
KR102313024B1 (ko) 커넥터 장치
KR101025638B1 (ko) 커넥터
KR100987482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JP523848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9212404A (ja) コネクタ
CN111316507B (zh) 连接器
WO2020116112A1 (ja) コネクタ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KR20170091152A (ko) 전선 수용 프로텍터
JP6016661B2 (ja) コネクタ
KR101676941B1 (ko) 커넥터
KR101048462B1 (ko) 커넥터
KR102244266B1 (ko) 커넥터 장치
JP6730975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該電気コネクタ内の接続端子の係止方法
KR102224186B1 (ko) 전기 커넥터
KR20090132363A (ko)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JP7202531B2 (ja) コネクタ
JP7209192B2 (ja) コネクタ
JP3767140B2 (ja) コネクタ
JP7389407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013110000A (ja) コネクタ
JP2022147894A (ja) コネクタ
KR20170091731A (ko) 전선 수용 프로텍터
JP5440462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