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522A -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522A
KR20100027522A KR1020080086465A KR20080086465A KR20100027522A KR 20100027522 A KR20100027522 A KR 20100027522A KR 1020080086465 A KR1020080086465 A KR 1020080086465A KR 20080086465 A KR20080086465 A KR 20080086465A KR 20100027522 A KR20100027522 A KR 20100027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parts
diaphragm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831B1 (ko
Inventor
이완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8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원료고무,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 충진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장기 주행 후에도 초기의 승차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엔진의 소음 및 진동특성을 제어하는 엔진마운트의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의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고 각 구성부품의 기능이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스프링뿐만 아니라 유로 채널, 멤브레인 및 다이아프램 등이 파손되지 않고 초기의 성능을 유지하는 내구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 중 다이아프램은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의 하부 액실을 밀폐하는 구성품으로서, 마운트액의 누유를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액실로 유입되어 엔진마운트의 진동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본 발명은 기계적 성능이 우수하고 공기 투과도가 낮기 때문에, 다이아프램의 액체 및 기체에 대한 기밀성능을 향상하고 하중 및 변형에 대한 내구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다이아프램,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층상 실리케이트

Description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Rubber compositions for diaphragm of hydraulic engine mount}
본 발명은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에서 하부 액실을 밀폐하여 마운트액의 누유를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액실로 유입되어 엔진마운트의 진동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다이아프램의 액체 및 기체에 대한 기밀성능을 향상하고 하중 및 변형에 대한 내구성능을 개선하는 고무 나노 클레이 복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원료고무;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 충진제; 및 가교제, 가교촉진제, 활성화제 및 노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엔진마운트는 엔진과 변속기로 구성된 파워트레인을 지지하고,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차체를 통해서 승객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노면의 요철로 인하여 발생하는 진동과 하중에 대해서 파워트레인의 자세를 안정화 시켜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파워트레인의 중량과 내외부적인 진동에 의해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한 내구성능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자동차 환경규제 대응 및 연비개선을 위한 엔진의 고성능화에 의해서 엔진룸 내부는 주행 중 많은 열이 발생하고, 엔진룸이 콤팩트화(compact) 되면서 공기순환에 의한 냉각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엔진룸 분위기 온도는 상승하고 있으며, 높은 하중과 고열은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고무재료의 경화에 의한 물성저하, 특성변화 및 피로균열에 의한 파손의 원인이 되고 있다.
차량의 주행 중 엔진마운트가 변형하여 하부 액실의 부피가 변화하면 다이아프램도 인장과 압축의 반복적인 변형을 하게 되므로, 다이아프램에 사용되는 고무의 재질은 탄성률이 낮고, 엔진마운트 동특성에 영향이 적어야 하며, 반복 변형에 대한 내피로성 및 마운트액과의 접촉에 대한 저항성 등을 확보해야 한다.
기존의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용 다이아프램용 고무는 강성이 낮고 유연하여 대변형이 가능한 고무 탄성체로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마운트액에 의한 물성의 변화가 적은 천연고무(NR), 내열성이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및 공기 투과도가 낮은 이소프로필 부틸 고무(IIR) 등의 재질이 적용되고 있고, 배합 탄성체의 기계적 강도, 열적 안정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카본블랙, 실리카, 경탄, 금속 세라믹 등의 충진제를 첨가하여 복합재의 형태로 사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천연고무는 상대적으로 공기 투과도가 높고 내열성이 부족하여 성능유지가 어려우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는 공기 투과도가 높아서 장기주행 후에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마운트의 동특성이 변화하고, 이소프로필 부틸 고무(IIR)는 상대적으로 기계적 물성이 나빠서 장기주행 후에 다이아프램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다이아프램용 고무 탄성체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고 공기 투과도를 향상하기 위한 나노 복합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층상 실리케이트의 적층 구조를 분리하고 및 균일한 분산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에는 기계적인 물성에 대한 보강효과나 공기투과도 저감효과가 거의 없는 바, 나노 복합재에 사용되는 고무 탄성체와 나노 충진제에 따라 최적화된 가공방법을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천연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의 원료고무에 층상 실리케이트 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 충진제를 효과적으로 분산 첨가하여 제조된 고무가 기존의 재질에 비해서 기계적인 물성과 공기 투과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으며, 본 발명은 기밀성능과 내구성능을 개선한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원료고무;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 충진제; 및 가교제, 가교촉진제, 활성화제 및 노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는 기계적 성능이 우수하고 공기 투과도가 낮기 때문에, 다이아프램의 액체 및 기체에 대한 기밀성능을 향상하고 하중 및 변형에 대한 내구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앞서 소개한 본 발명의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천연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원료고무;
층상 실리케이트(silicate)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nano clay) 충진제; 및
가교제, 가교촉진제, 활성화제 및 노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질인 원료고무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상기 원료고무는 성질이 균일하고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 특히 신장결정성이 우수하여 가교시 강도가 높은 특징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인장물성 및 내피로성이 우수한 천연고무(NR)와 내마모성, 반발탄성 및 내노화성이 우수한 부타디엔 고무(BR), 내노화성 및 감쇠성능이 우수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내노화성과 내오존성이 아주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그리고 사용목적에 따라 천연고무에 대한 상용성이 좋은 부타디엔 고무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의 합성고무와 천연고무를 혼합사용하여 합성고무와 천연고무의 장점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성물질 중 하나인 상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 충진제는 천연 또는 합성 점토광물로서,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렉토라이트(Rectorite), 벤토나이트(bent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사우코나이트(sauconite), 버미쿨라이트(vermiculite), 마가디이 트(magadiite), 케냐이트(kenyaite),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및 투링자이트(thuringite)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 클레이는 무기-클레이 또는 유기-클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유기-클레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무기-클레이인 층상 실리케이트를 친유기화제에 의해 실리케이트의 층상에 존재하는 양이온을 치환하여 친유기화(개질화)시켜서 층상구조의 박리 및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친유기화제로는 C3 ~ C12의 알칼암모늄염, 아미노산 및 디아민염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친유기화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옥틸암모늄, 데실암모늄, 도데실암모늄, 헥사데실아모늄, 옥타데실암모늄 및 디메틸수소화탈로우암모늄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친유기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는 도 1과 같은 두께에 비해서 층상의 너비가 큰 형상비, 바람직하게는 너비/두께의 형상비가 100 ~ 10,000인 층상 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을 갖는 층상 실리케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다이아프램용 고무 내부의 공기의 투과 경로가 구불구불하게 길어져서 결과적으로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가 낮은 공기 투과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 충진제는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3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나노 클레이 충진제의 사용량이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미만이면 기계적 보강효과와 기체투과도 개선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 할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충진제의 분산이 어렵고 신율 및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가교제, 가교촉진제, 활성화제 및 노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가교제 원료고무를 경화시키고 다이아프램용 고무의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상기 가교제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가교제로서, 황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가교제 사용량이 0.5 중량부 미만시 가교밀도가 떨어져서 기계적 강도 및 내피로성능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 중량부 초과시 가교 반응에서 반전(reversion)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내열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촉진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일례로서, N-사이클로헥실-2-벤조티아졸설펜아미드(N-cyclohexyl-2-benzothiazole sulfenamide, CBS/CZ),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Dibenzothiazyl disulfide, DBTD/DM) 및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methylthiuram disulfide, TMTD/TT)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교촉진제는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 ~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가교촉진제의 사용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유효 가교 시스템이 형성되지 않아 다황 결합을 이룰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스코치(Scorch)가 발생하여 공정 불량을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화제는 가교촉진제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 산(stearic acid) 및 산화아연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1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활성제의 사용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가교반응이 느려지고, 10 중량부를 초과시 가교반응이 너무 빨라져 생산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첨가제 중에 하나인 노화방지제는 다이아프램용 고무의 내피로성 및 내오존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며, 아민계 노화방지제, 페놀계 노화방지제 및 폴리이미드계 노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페닐-N´-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N-Phenyl-N´-isopropyl-p-phenylenediamine, IPPD/810-NA), N-페닐-N´-(1,3-디메틸부틸)-p-페닐렌디아민(N-Phenyl-N´-(1,3-dimethylbutyl)-p-phenylenediamine, 6PPD),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2,2,4-trimethyl-1,2-dihydroquinoline, TMQ/RD), 2-머캅토벤지이미다졸(2-Mercaptobenzoimidazole, MBI/MB) 및 아연 벤조이다졸-2-설파네이트(Zinc benzoimidazole-2-sulfanate, ZMBI/MBZ)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혼합사용을 통한 시너지효과를 인하여 고무 탄성체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노화방지제는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 부에 대하여 1 ~ 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노화방지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부족하여 고무의 노화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 초과시 고무 혼합물 내에 균일한 분산이 어렵고 기계적 물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그 조성비 및 조성비율로 다시 설명을 하면, 본 발명의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은
천연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층상 실리케이트(silicate)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nano clay) 충진제 3 ~ 30 중량부; 및
가교제 0.5 ~ 5 중량부, 가교촉진제 0.5 ~ 5 중량부, 활성화제 2 ~ 10 중량부 및 노화방지제 1 ~ 10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무-나노 클레이 복합재를 제조할 수 있는데, 나노 복합재의 제조 기술은 일반적으로 실리케이트 층상 구조의 점토 광물을 나노 스케일의 시트상의 기본 단위로 박리하여 고무 탄성체에 분산시키는 제조 기술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고무와 무기 나노 클레이 또는 유기화된 나노 클레이를 밴버리 믹서나 트윈 스크류 믹서, 브라벤더 등에서 높은 전단력과 열을 부가하며 혼합 분산시켜 컴파운딩하는 용융혼합법(melt intercalation), 나노 클레이 혹 은 유기화된 나노 클레이를 탈이온수에 넣은 후에 기계적으로 휘저어서 박리된 나노 클레이의 현탁액을 만들고 여기에 고무 라텍스를 첨가하여 고르게 분산시켜서 얻어지는 나노 클레이-라텍스 현탁액에 묽은 황산등의 응고제를 첨가하여 응고시킨 후에 물로 세척한 후에 건조하는 라텍스혼합법(latex intercalation), 톨루엔 등의 용제에 나노 클레이를 분산 박리시킨 후에 고무와 혼합하는 용제혼합법(solvent intercalation) 등이 대표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용융혼합법을 적용하여 제조한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의 조성물질인 원료고무와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를 혼합한 복합재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조성물 내부에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가 분산되어 있는 정도를 보이고 있다.
상기 복합재에 가교제, 가황촉진제, 활성화제 및 노화방지제 등을 첨가하여 믹서(mixer)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분산 혼합하고 얻어지는 고무 조성물을 압축성형기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가열 가압하여 다이아프램용 고무를 제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 및 비교예 1
다음의 표 1에 나타난 조성을 갖는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 무를 제조하여 실시예 1 ~ 4를 실시하였다.
다만, 비교예 1은 나노 클레이 대신 카본블랙을 충진제로 사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실시하였다.
구분 성분(중량부)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원료고무 천연고무 100 70 70 - -
부타디엔 고무, - 30 - - -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 - 30 - -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 - - 100 100
충전제 카본블랙 - - - - 30
나노 클레이 10 10 10 10 -
가교제 1.5 1.5 1.5 1.5 1.5
가교촉진제 CZ 1.0 1.0 1.0 1.0 1.0
TT 1.0 1.0 1.0 1.0 1.0
활성제 스테아르 산 3 3 3 3 3
ZnO 5 5 5 5 5
노화방지제 RD 2 2 2 2 2
6PPD 2 2 2 2 2
카본블랙 : FEF N550, 코리아카본블랙 나노 클레이: 몬모릴로나이트 , Cloisite 25A, Southern Clay Inc. 황 : SP400, 마이다스 CZ : N-싸이클로헥실벤조티아졸-2-설펜아마이드, 동양화학사 TT :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동양화학사 스테아르 산 : 단석화학 ZnO : 산화아연, 한일산화아연 TMQ :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 Bayer 사 6PPD :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Crompton 사
실험예
실시예 1 ∼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고무시편 및 제품에 대한 물성을 다음과 같은 항목들에 대해 실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
1) 인장강도, 신율 측정방법: KS M 6782에 따라 아령형 3호로 측정하였다.
2) 노화성 측정방법: 100℃ 에서 168 시간 동안 노화시킨 후 물성변화를 측정하였다.
3) 내피로성 측정방법: 상온에서 200±100%의 동적변형을 가하여 측정하였다.
4) 공기투과도 측정방법: ISO 2782에 의해서 측정하고 비교예 1에 대한 비율로 표시하였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인장강도(kgf/cm2) 220 190 210 150 160
신율(%) 550 520 560 460 510
100℃×68h 노화 후 변화율(%) 인장강도 -22 -16 -19 -8 -9
신율 -19 -18 -15 -9 -12
내피로성 (104 cycles) 74 89 62 28 18
상대 공기투과도 (%) 39 33 46 55 100
상기 표 2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를 충진제로 적용한 실시예 1 ~ 4는 일반 카본블랙을 적용한 비교예 1에 비하여 공기 투과도 및 내피로 성능이 현저히 우수함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의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은 주조성물인 고무에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를 박리 분산시킴으로써, 고무 내부의 투과 경로를 길게하여 공기투과도를 현저히 낮추고, 내피로성 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의 다이아프램에 적용하여 사용시 장기 주행 후에도 본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써, 낮은 기체 투과성과 우수한 기계적 물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고무 조성물에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도 1은 두께와 너비의 형상비가 큰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를 충진제로 도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이아프램용 고무 내부의 공기의 투과 경로가 구불구불하게 길어짐으로써, 낮은 공기 투과도를 얻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용융혼합법을 적용하여 제조한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의 조성물질인 원료고무와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를 혼합한 복합재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5)

  1. 천연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원료고무;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 충진제; 및
    가교제, 가교촉진제, 활성화제 및 노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첨가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한 나노 클레이 충진제 3 ~ 30 중량부; 및
    상기 가교제 0.5 ~ 5 중량부, 상기 가교촉진제 0.5 ~ 5 중량부, 상기 활성화제 2 ~ 10 중량부 및 상기 노화방지제 1 ~ 10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한 첨가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클레이 충진제는 무기-클레이 또는 유기-클레이로서, 몬모릴로나이트, 렉토라이트,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사우코나이트, 버미쿨라이트, 마가디이트(magadiite), 케냐이트, 카올리나이트, 및 투링자이트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종 이상의 층상 실리케이트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실리케이트는 너비/두께의 형상비가 100 ~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고무와 상기 나노 클레이 충진제를 혼합시, 용융혼합법, 라텍스혼합법 및 용제혼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KR1020080086465A 2008-09-02 2008-09-02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KR101438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465A KR101438831B1 (ko) 2008-09-02 2008-09-02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465A KR101438831B1 (ko) 2008-09-02 2008-09-02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522A true KR20100027522A (ko) 2010-03-11
KR101438831B1 KR101438831B1 (ko) 2014-09-05

Family

ID=4217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465A KR101438831B1 (ko) 2008-09-02 2008-09-02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40B1 (ko) * 2013-05-31 2015-03-23 (주)금강알텍 내열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호스고무 및 이를 위한 나노 콤포지트 조성물
CN110071334A (zh) * 2018-01-23 2019-07-30 日机装株式会社 层叠装置及层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373A (ja) * 2001-10-23 2003-07-18 Jsr Corp ゴ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ゴム成形品
JP4090264B2 (ja) 2002-04-18 2008-05-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インナーライナー用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KR100718168B1 (ko) 2005-09-30 2007-05-1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나노충진제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무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940B1 (ko) * 2013-05-31 2015-03-23 (주)금강알텍 내열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자동차 라디에이터호스고무 및 이를 위한 나노 콤포지트 조성물
CN110071334A (zh) * 2018-01-23 2019-07-30 日机装株式会社 层叠装置及层叠方法
CN110071334B (zh) * 2018-01-23 2024-04-26 日机装株式会社 层叠装置及层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831B1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shvanathperumal et al. Effect of Nanosilica and Crosslinking System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welling Resistance of EPDM/SBR Nanocomposites with and without TESPT
US20130065991A1 (en) Vibration-proof rubber composition for automobile
KR101000593B1 (ko) 엔진 마운트용 방진고무 조성물
KR101829557B1 (ko) 개선된 천연 고무 조성물
WO2014196554A1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
JP5420224B2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防振ゴ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95276A (ko) 진동 감쇠 고무 조성물
KR20110121025A (ko) 고분자 나노 복합재의 제조방법
KR20100027522A (ko) 액체봉입형 엔진마운트 다이아프램용 고무 조성물
KR100995819B1 (ko) 내후성 및 내열성이 강한 자동차용 방진고무의 조성물
KR100642002B1 (ko) 층상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고무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745213B1 (ko) 엔진 마운트용 방진고무 조성물
KR101499214B1 (ko) 내열성 및 방진 특성이 향상된 구동계 방진 고무 조성물
US10023727B2 (en) Composition for rubber bushing having vibration isolation and fatigue endurance characteristics
CN106240333B (zh) 一种汽车发动机底座减震固定装置
KR100718168B1 (ko) 나노충진제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무조성물
KR101846707B1 (ko) 진동절연성이 향상된 방진고무 조성물 및 방진고무
KR100711239B1 (ko) 표면 개질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타이어 트레드고무조성물
JP2006143860A (ja) 防振ゴム
KR102634353B1 (ko) 차량용 방진고무 조성물
JP2003113271A (ja) 高減衰性ゴム組成物
KR20200025748A (ko) 고경도 언더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3151584A (ja) 防振ゴム用ゴム組成物
KR102522064B1 (ko) 방진 고무 조성물
KR102417538B1 (ko) 고강성 엔진 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