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910A - 서방형 골다공증치료제를 담지한 골충진재 - Google Patents

서방형 골다공증치료제를 담지한 골충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910A
KR20100026910A KR1020080091084A KR20080091084A KR20100026910A KR 20100026910 A KR20100026910 A KR 20100026910A KR 1020080091084 A KR1020080091084 A KR 1020080091084A KR 20080091084 A KR20080091084 A KR 20080091084A KR 20100026910 A KR20100026910 A KR 20100026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bone filler
cellulose
growth factor
alendr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5964B1 (ko
Inventor
전성현
이상천
채지화
허재원
이은정
황호찬
강계원
김진영
안재형
최다미
Original Assignee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459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24549A2/ko
Publication of KR2010002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2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having P—C bonds, e.g. foscarnet, trichlorfon
    • A61K31/663Compounds having two or more phosphorus acid groups or esters thereof, e.g. clodronic acid, pamid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1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27/46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with phosphorus-containing inorganic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1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e.g. phosphates, phosph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2Encapsulated active agents, e.g. emulsified droplets
    • A61L2300/622Microcaps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인체탈회골(human demineralized bone matrix)에 골다공증치료제인 alendronate가 담지된 인산칼슘(hydroxy apatite) 마이크로스피어를 첨가하여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환자에게 사용하는 골충진재로써 캐리어를 첨가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인 gel & putty 형태의 신형 골충진재이다.
탈회골, 인산칼슘(hydroxy apatite), 골다공증 치료제 - 알렌드로네이트(Alendronate), Carboxy methyl cellulose (CMC)

Description

서방형 골다공증치료제를 담지한 골충진재{BONE FILLER LOADING EXTENDED RELEASE TYPE DRUG FOR TREATING OSTEOPOROSIS}
본 발명은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환자에게 사용하는 골충진재로써 캐리어를 첨가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인 gel & putty 형태의 신형 골충진재에 관한 것이다.
자연 발생의 골은 유기물과 무기물 두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유기물은 성장인자, 연골조직, 콜라겐 및 다른 단백질을 포함하고, 골의 무기성분은 칼슘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골 이식물은 골에 결함이나 상처가 있을 때 자연적인 재생과정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는데 생체적합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이상적인 골 이식물은 골형성, 즉 골전도와 동시에 골유도를 하며, 수술 시에 쉽게 조작될 수 있어야 하고 이식 후에도 강도와 성질이 생체내에서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탈회과정을 거친 DBM(탈회골기질;Demineralized Bone Matrix)은 골이 갖고 있는 골형성 단백질의 활성을 향상시켜 골유도능력이 증대하고 취급에 용이하여 골이식 수술에 DBM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치료용 골 이식재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DBM을 상처에 이식했을 때 흡수를 지연시키고 뼈와 결합하여 활성을 증가시키며 취급에 편이한 방법이 요구된다.
DBM은 뼈에서 세포와 무기질을 제거하여 고분자로만 이루어진 물질을 의미하며, 경조직 재생을 유도하는 물질로서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기대되는 물질이다.
DBM은 골재생능력이 뛰어나 주로 정형외과, 치과, 신경외과 분야에서 골재생이 느리거나 불가능한 부위에 충진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골손상부의 치환, 관절 고정 강화에도 사용이 되며, 골낭종, 골 외상, 골절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DBM은 구조적으로 수용액과 친화성이 떨어지며, 단독으로 이식시 형태유지가 어렵고 DBM에서 발견되는 골형성 단백질(BMP;Bone Morphogenetic Protein)이 생체내에서 쉽게 분해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형태유지가 어렵고 느린 골재생이 일어나며 불완전한 대체가 될 단점이 있다. 또한 손상부위 주입시에 DBM 자체내에는 주입성이 없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의 연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보고에 의하면 DBM의 불완전한 형태유지성으로 인해 주입성이 떨어지므로 종래 DBM제품의 형태유지성과 주입성과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기 고분자인 젤라틴, 글리세롤, 폴록사머, 히알루논산 등의 복합조성물이 사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상기 열거한 안정화제는 형태유지성과 주입성과 함량과 생체적합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었다. 즉, 젤라틴 등을 혼합하는 방식은 DBM의 주입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보관이 어렵고, 유효기간이 짧을 수 있다.
또한 유기합성고분자 등을 혼합하여 주입하는 방법도 보고되고 있으나 생체내에서 분해가 되지 않고 체액과 친화성이 떨어져서 신장에 부담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글리세롤과 DBM의 혼합제품은 DBM의 함량이 현저히 낮아져 DBM의 골 재생작용 이 느릴 수 있다.
따라서 생체적합하고 인체무해하며 DBM의 골재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합조성물의 개발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DBM 이나 alendronate 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를 동시에 함유한 복합충진재를 사용함으로써 alendronate와 DBM간에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높은 골 재생 촉진 효과를 가지는 골충진재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골충진재는 주성분으로 탈회골, 인산칼슘(hydroxy apatite)을, 첨가제로서 골다공증 치료제인 Alendronate를 그리고 캐리어로서 Carboxy methyl cellulose (CMC)를 포함한다.
1. 주요 성분의 효능
1)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 탈회골
동종골 성분 중 무기질 성분만을 제거하여 유기질 성분과 단백질만이 포함된 동종 이식물. DBM에 포함된 골재생유도물질인 뼈형성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이 골 형성 과정에서 간엽줄기세포를 골모세포(osteoblast)로의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새로운 뼈의 재생을 유도한다.
탈회골(DBM) 분말 단독으로는 인체조직재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기에 캐리어(CMC등)가 혼합되어 판매가 되기도 한다.
2) 인산칼슘 (hydroxy apatite)
뼈 무기질의 주성분이다.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뼈 충진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체 내에 이식해주면 인산칼슘이 서서히 분해되면서 뼈 형성에 도움이 되는 칼슘이온을 제공해줌으로써 뼈의 형성을 촉진한다. 탈회골과 함께 사용하면 시너지효과가 발생하여 더 좋은 골재생 촉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Alendronate
골다공증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치료와 남성의 골다공증 치료에 좋은 효능 효과를 보인다. 이 성분은 골밀도 증가 효과가 우수하며 척추골절과 고관절 골절을 신속하고 강력하게 감소시킨다.
4) Carboxy methyl cellulose (CMC)
알칼리 섬유소에 모노클로르아세트산나트륨을 작용시켜 얻는 무미 무취의 흰색 가루. 염색용 풀, 제지용의 사이즈제, 아이스크림이나 마가린의 유화 안정제, 페인트나 화장품의 점결제 따위로 쓴다. 본 제품에서 CMC를 캐리어로 사용했으며 DBM 및 약물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의 특성 및 안정성을 유지해주면서 사용하기 쉬운 gel이나 putty 형태로 만들어 주는 점결제/점착제 역할을 한다. CMC는 수용성이라서 인체내로 이식이 되면 확산 되어 쉽게 배설물로 배출이 가능하다.
2. 서방형 alendronate 담지 인산칼슘(hydroxy apatite)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공정
도 2와 같은 솔-젤 공정(water-in-oil emulsion 및 urea-mediated precipitation 방법)으로 약물이 담지된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였음.
- 약물방출은 8주간 20 ~ 40 퍼센트 정도였으며 약효는 약 4 ~ 6개월 유지할 수 있다.
- 이러한 이식형 인산칼슘 약물전달체 제형은, 현재 알렌드로네이트 경구투여제의 단점인, 낮은 생체이용률, 빈번한 투여, 공복 시 투여, 직립자세 유지 등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한번 이식으로 6개월 이상의 약물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골관련 질환치료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서방형 약물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 & DBM 복합충진재의 제조방법
인체조직(탈회골 powder) + 서방형 alendronate 담지 인산칼슘(hydroxy apatite) 마이크로스피어 + CMC 를 혼합하여 골충진재를 만든다.
제품용도에 따라 페이스트, 스폰지, 겔 및 퍼티형태로 가공한다.
4. 원료약품 및 분량
품명 성분명 함유량
탈회골(DBM) powder 인체조직(탈회골) 10~80 %
약물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 1 ~ 50% alendronate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 10~80 %
용제 (캐리어) 3~ 8% CMC 수용액 10~80 %
5. 장점
1) DBM
탈회로 노출된 BMP성분으로 골 주위의 mesenchymal stem cell을 DBM 내로 유도하여 골모세포로 분화, 내연골화를 통해 골 형성을 할 수 있게 세포의 지지체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DBM 중의 소량 잔류된 칼슘성분은 칼슘포스페이트의 침착 공간을 위한 핵으로 작용하여 골의 석회화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DBM은 골 형성 촉진을 유발하는 DBM 성분을 기술하면 크게 다음의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DBM 중의 소량의 칼슘 성분은 칼슘포스페이트 침착의 핵으로 작용하여, 석 회화를 용이하게 함.
- proteoglycan과 콜라겐과 같은 유기물질의 분해는 주위세포에 대한 화학주성으로 작용하여 세포의 유인작용을 함.
- DBM 중의 성장인자, 대표적으로 BMP는 세포의 골아세포의 침윤 및 분화를 촉진하여 뼈의 형성 과정을 단축시킴.
- proteoglycan과 콜라겐 등의 matrix는 골전도 작용을 통해 세포의 부착 및 침윤을 용이하게 하는 기질로 작용함.
이상, DBM의 네 가지 성분에 의한 골전도(osteoconduction)와 골유도(osteoinduction)를 통해 골 상처부위에서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촉진제의 역할을 하고 있다.
2) 서방형 골다공증치료제 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
서방형(sustained release) 치료제란, 약물이 서서히 방출돼 약효시간을 늘리도록 설계된 약물전달체 즉 약물이 몸속으로 들어가 일정한 양으로 녹는 약물전달시스템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 약물전달체 내에 봉입되어 있는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은 골다공증 치료에 유용한 약물로서, 에티드로네이트(etidronate), EB-1053, 클로드로네이트(clodronate), 이반드로네이트(ibandronate), 리세드로네이트(risedroante), 졸레드로네이트(zoledronate), 올파드로네이트(olpadronate) 및 네리드로네이트(neridronate)등을 포함하며, 특히 알렌드로네이트(alendronate)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렌드로네이트(alendronate)는 골다공증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의약품이고 솔-젤 공정으로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에 담지하면 2달간 40%의 약물 방출속도, 약효는 6개월 이상 유지하는 서방효과를 얻을 수 있다. DBM 단독으로도 탁월한 골재생 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치료시 골다공증치료제 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를 첨가하면 뼈형성시 필요한 칼슘이온 및 골다공증 치료제를 제공해주므로 더 좋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골다공증이라는 질병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담지 된 물질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사용가능하다.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TGF-β1(transforming growth factor), IGF(insulin growth factor),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등 성장인자를 담지 할 수 있다. 특히 bFGF와 VEGF는 DBM과 함께 사용할 경우 골재생촉진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골다공증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 골절환자와 골낭종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성장인자 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 제작도 가능하다. DBM의 골재생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BMP-2, BMP-4, BMP-7 (bone morphogenic protein)를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에 담지해 DBM의 효능을 더해줄 수도 있다.
이는 서방형 골다공증치료제 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가 골다공증이라는 질병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성장인자나 BMP 등을 담지 한다면 골절, 골낭종등 골재생이 필요한 곳에도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헤파린등 을 담지 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3) 사용이 편리한 gel, putty type 골 충진재
DBM과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를 개별적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단독 사용시 입자가 흩어지며 쉽게 액체를 따라 흐르게 되지만 캐리어와 함께 반죽해 사용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성을 가지고 있어 모양이 쉽게 변할 수 있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곳의 모양에 맞도록 변화가 가능하다.
캐리어는 글리세롤, 히알루론산, 알기네이트(alginate), 아가, 헤파린,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테르, 소디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덱스트란 설페이트, 젤라틴, 콜라겐, 살린,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PNIPAAm) 하이드로겔, 플루로닉스(pluronics), 폴리(프로필렌 ㅍ푸푸마레이트) (PPF),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덱스트란, 스타치,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항박테리아제, 비타민, 아미노산, 펩티드, 파이브로넥틴, 면역억제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그 사용이 하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4) 그 외 첨가 가능 물질
약물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와 DBM, 캐리어를 혼합한 골충진재는 그 외에도 골재생에 도움을 주는 여러 물질을 첨가 시킬 수 있다.
해면골조각, 치밀골조각, 트리칼슘인산, 다이칼슘인산, 펜타칼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pentacalcium hydroxylapatite), 테트라칼슘 포스페이트 모녹사이드(tetracalcium phosphate monoxide), 무수칼슘설페이트, 칼슘 설페이트 헤미하이드레이트(calcium sulfate hemihydrate), 칼슘 설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calcium sulfate dihydrate), 키토산, 콜라겐, 덱스트란, 스타치,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항박테리아제, 비타민, 아미노산, 펩티드, 파이브로넥틴, 면역억제제 또한 첨가 물질로 사용이 가능하며 2종 이상 첨가도 가능하다.
DBM이나 알렌드로네이트 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도 어느 정도의 골 재생촉진 효과를 보였지만 두 가지 성분이 동시에 들어간 복합충진재를 사용한 실험군에서는 상처가 거의 완치되었다 (도 3).
즉 복합체에서는 알렌드로네이트와 DBM간에 시너지효과가 발생해서 가장 좋은 골 재생 촉진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실험1; alendronate 담지 인산칼슘마이크로스피어의 In vivo 복합 충진재의 골 재생 촉진 효과 평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복합충진재의 골재생촉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골다공증동물모델의 tibia에 2 mm의 결손을 낸 후 아래와 같은 4가지 조건으로 충진하였다. (도 3)
① carrier단독
② DBM단독
③ alendronate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
④ 복합충진재.
- 4주 경과한 다음 X-ray촬영으로 골재생정도를 알아보았다.
- X-ray결과를 보면 DBM이나 alendronate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도 어느 정도의 골 재생촉진 효과를 보였지만 두 가지 성분이 동시에 들어간 복합충진재를 사용한 실험군에서는 상처가 거의 완치되었다 (도 3).
즉 복합체에서는 alendronate와 DBM간에 시너지효과가 발생해서 가장 좋은 골 재생 촉진 효과를 볼 수 있었다.
- X-ray촬영한 후 쥐를 희생시켜 결손 있는 tibia는 적출해서 조직검사를 수행하고 위쪽 femur는 골밀도 측정하였다. 반대쪽 femur하고 tibia는 적출한 다음에 칼슘함량을 측정하였다.
조직검사결과 (도 4) control에 비해 DBM이나 alendronate 단독으로도 상당한 양의 뼈 형성을 촉진하였지만 alendronate-DBM 복합체 조건에서 가장 좋은 뼈재생 촉진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 대퇴골과 tibia를 적출해서 72시간 이상 탈회 처리한 다음 칼슘함량을 측정한 결과 CMC로 충진했을때의 칼슘함량은 정상적인 쥐의 90%로 나왔고 DBM이나 alendronate단독으로 처리했을 때 각각 3%, 8% 증가되었다 (표 1). 복합체를 사용했을 때는 가장 높은 칼슘함량이 측정되었고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표 1> 정상적인 Rat 및 골다공증 동물모델의 칼슘함량측정
실험군 칼슘함량 (gram/Bone100gram) 칼슘비율 (실험군/대조군)
Normal Rat 21.23 ± 0.27 100.00 ± 1.26 %
CMC only 19.26 ± 0.42 90.74 ± 2.18%
DBM 19.95 ± 0.80 93.99 ± 4.02%
ALN-HAp 20.82 ± 0.48 98.08 ± 2.32%
DBM + ALN-HAp 21.59 ± 0.93 101.73 ± 4.31%
- 이러한 결과를 다른 방법으로 다시 확인하기 위해 골밀도측정을 수행하였다 (표 2). 골밀도 측정결과를 요약해보면 캐리어군에서는 골밀도가 정상적인 쥐의 66% 불과했고 DBM이나 alendronate 담지 인산칼슘마이크로스피어로 치료했을 때 DBM은 골밀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alendronate는 21% 증가시켰다. DBM 단독으로는 효과 거의 없었지만 alendronate 담지 인산칼슘마이크로스피어와 함께 사용한 조건, 즉 복합충진재를 사용한 조건에서 시너지효과가 발생해서 가장 좋은 골밀도상증효과를 보여줬다. 캐리어 단독조건보다 약 26%를 증가시켰고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표 2> 정상적인 Rat 및 골다공증 동물모델의 골밀도 측정
실험군 골밀도 (BMD,g/cm2) 골밀도 (실험군/대조군)
Normal Rat 0.2025 ± 0.0154 100.00 ± 7.60 %
CMC only 0.1340 ± 0.0031 66.17 ± 2.31%
DBM 0.1442 ± 0.0079 71.21 ± 5.46%
ALN-HAp 0.1765 ± 0.0038 87.16 ± 2.15%
DBM+ALN-HAp 0.1880 ± 0.0027 92.84 ± 1.44%
실험 2: 성장인자 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의 개발 및 in vitro 실험
- DBM의 골재생 촉진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해 개발한 약물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 시스템에 다양한 성장인자를 담지하여 DBM과 복합화시키고자 한다. 성장인자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인 신생혈관 형성 성장인자 (VEGF)를 담지하였다. VEGF를 선택한 이유는 아래와 같다.
a) 신생혈관형성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인자, 상처치유과정을 가속화함.
b) 골절이 회복될 때 뼈형성보다 혈관 형성이 먼저 일어남.
골절 혈관 및 뼈 손상 상처부위 혈액(영양분 및 산소)공급 중단.
신생혈관형성 혈액공급회복 골형성을 통해서 뼈재생 치유.
c) VEGF와 BMP-2가 같이 존재하면 골형성을 촉진하는 시너지 효과 보임.
- VEGF를 담지한 후 담지된 VEGF의 활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있는지, 즉 담지과정 중에서 VEGF가 파괴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VEGF를 용출시킨 후 tube forma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VEGF는 혈관내피성장인자로서 활성이 있으면 혈관내피세포인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을 3차원 배양조건에서 조직화시켜 tube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측정한 결과 (도 5), 예상대로 담지 된 VEGF는 온전한 활성을 갖고 있었다. VEGF만 담지한 인산칼슘마이크로스피어 뿐만 아니라 DBM도 어느 정도 혈관생성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VEGF를 담지한 인산칼슘마이크로스피어와 DBM을 함께 사용한 군에서 양성 대조군(VEGF)과 유사하게 혈관 생성이 일어남을 볼 수 있다.
도 1은 칼슘 포스페이트 마이크로스피어의 SEM 이미지로서, (a) CaP-AL-0, (b) CaP-AL-1, (c) CaP-AL-2, (d) CaP-AL-2.
도 2는 칼슘 포스페이트 마이크로스피어 내로의 in-situ drug loading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Rat tibia 부위 X-ray 촬영 사진,
도 4는 결손부위의 조직검사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VEGF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tube formation assay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10)

  1. 탈회골 분말과 서방형 약물 담지 인산칼슘(hydroxy apatite) 마이크로스피어 및 캐리어(carrier)를 포함하는 골충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형 약물은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로써 EB-1053, 세드로네이트(risedroante), 에티드로네이트(etidronate), 클로드로네이트(clodronate), 드로네이트(neridronate), 이반드로네이트(ibandronate), 졸레드로네이트(zoledronate), 올파드로네이트(olpadronate) 및 알렌드로네이트(alendr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충진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포스포네이트계 약물은 알렌드로네이트(alendro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충진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carrier)는 글리세롤, 히알루론산, 알기네이트(alginate), 아가, 헤파린,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테르, 소디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덱스트란 설페이트, 젤라틴, 콜라겐, 살린,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PNIPAAm) 하이드로겔, 플루로닉스(pluronics), 폴리(프로필렌 ㅍ푸푸마레이트) (PPF),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덱스트란, 스타치, 항진균제, 항바이러스 제, 항박테리아제, 비타민, 아미노산, 펩티드, 파이브로넥틴, 면역억제제 중 선택되는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충진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CMC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CMC 농도가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충진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렌드로네이트를 1~50 중량% 함유하고 있는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를 10~80 중량%, 탈회골 분말을 10~80중량%, 캐리어를 10~80중량% 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충진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충진재는 페이스트, 스폰지, 겔 및 퍼티 형태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충진재.
  8. 제1항에 있어서, 골재생에 도움을 주는 해면골조각, 치밀골조각, 트리칼슘인산, 다이칼슘인산, 펜타칼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pentacalcium hydroxylapatite), 테트라칼슘 포스페이트 모녹사이드(tetracalcium phosphate monoxide), 무수칼슘설페이트, 칼슘 설페이트 헤미하이드레이트(calcium sulfate hemihydrate), 칼슘 설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calcium sulfate dihydrate), 키토산, 콜라겐, 덱스트란, 스타치,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항박테리아제, 비타민, 아미노산, 펩티드, 파이브로넥틴, 면역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충진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골다공증환자 뿐만 아니라 일반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성장인자 담지 인산칼슘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충진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인자는 혈관내피 성장인자(VEGF), 기본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FGF), 형질전환 성장인자 베타(TGF-β), 혈소판-유래의 성장인자(PDGF), 인슐린 성장인자(IGF), BMP-2, BMP-4, BMP-7(뼈 형성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충진재.
KR1020080091084A 2008-08-29 2008-09-17 서방형 골다공증치료제를 담지한 골충진재 KR101115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4599 WO2010024549A2 (ko) 2008-08-29 2009-08-18 서방형 골다공증치료제를 담지한 골충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946 2008-08-29
KR20080084946 2008-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910A true KR20100026910A (ko) 2010-03-10
KR101115964B1 KR101115964B1 (ko) 2012-02-21

Family

ID=4217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084A KR101115964B1 (ko) 2008-08-29 2008-09-17 서방형 골다공증치료제를 담지한 골충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964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629B1 (ko) * 2011-04-12 2013-08-23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성장인자 단백질을 담지한 마이크로스피어-하이드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364312B1 (ko) * 2011-07-15 2014-02-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지네이트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
KR20140043061A (ko) * 2011-01-27 2014-04-08 시림 버해드 주입형 자가-경화 인회석 시멘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04117092A (zh) * 2014-06-30 2014-10-29 江阴市柏御天谷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人工骨骼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6088915A1 (ko) * 2014-12-03 2016-06-09 한국기계연구원 골다공증 치료용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경조직 재생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7990A (ko) * 2015-09-03 2017-03-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대분자 기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70033834A (ko) * 2017-03-16 2017-03-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대분자 기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70115451A (ko) * 2016-04-07 2017-10-17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서방형 생리활성물질 담지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6162A (ko) 2017-04-14 2018-10-24 한국기계연구원 유무기 복합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4291A (ko) * 2017-08-01 2019-02-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섬유구조형 콜라젠/생체 세라믹 마이크로스피어 제조 기술
KR20190040757A (ko) * 2017-10-11 2019-04-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성장인자 모사 단백질이 도입된 생체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응용
CN114081939A (zh) * 2021-11-24 2022-02-25 中国药科大学 一种抗菌肽Cbf-14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801222B2 (en) 2017-04-14 2023-10-31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Manufacturing method for gran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973B1 (ko) 2016-08-09 2018-05-11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재생능을 가지는 주입형 셀룰로오스 수화젤의 제조 및 이의 응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4007A1 (en) * 2006-04-25 2007-11-01 Bumgardner Joel D Chitosan/nanocrystalline hydroxyapatite composite microsphere-based scaffolds
KR100846836B1 (ko) * 2007-01-15 2008-07-17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골재생촉진 조성물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3061A (ko) * 2011-01-27 2014-04-08 시림 버해드 주입형 자가-경화 인회석 시멘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99629B1 (ko) * 2011-04-12 2013-08-23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성장인자 단백질을 담지한 마이크로스피어-하이드로겔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364312B1 (ko) * 2011-07-15 2014-02-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지네이트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
CN104117092A (zh) * 2014-06-30 2014-10-29 江阴市柏御天谷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人工骨骼材料及其制备方法
US9889234B2 (en) 2014-12-03 2018-02-13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Scaffold for hard tissue regeneration containing active ingredient for treating osteoporosi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WO2016088915A1 (ko) * 2014-12-03 2016-06-09 한국기계연구원 골다공증 치료용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경조직 재생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7269A (ko) 2014-12-03 2016-06-14 한국기계연구원 골다공증 치료용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경조직 재생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348645A (zh) * 2015-09-03 2018-07-31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基于超分子的水凝胶组合物及其用途
KR20170027990A (ko) * 2015-09-03 2017-03-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대분자 기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8348645B (zh) * 2015-09-03 2021-06-11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基于超分子的水凝胶组合物及其用途
KR20170115451A (ko) * 2016-04-07 2017-10-17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서방형 생리활성물질 담지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6522A (ko) * 2016-04-07 2019-02-18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서방형 생리활성물질 담지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7830A (ko) * 2016-04-07 2019-02-2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서방형 생리활성물질 담지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33834A (ko) * 2017-03-16 2017-03-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대분자 기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80116162A (ko) 2017-04-14 2018-10-24 한국기계연구원 유무기 복합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US11801222B2 (en) 2017-04-14 2023-10-31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Manufacturing method for granule
KR20190014291A (ko) * 2017-08-01 2019-02-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섬유구조형 콜라젠/생체 세라믹 마이크로스피어 제조 기술
KR20190040757A (ko) * 2017-10-11 2019-04-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성장인자 모사 단백질이 도입된 생체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응용
CN114081939A (zh) * 2021-11-24 2022-02-25 中国药科大学 一种抗菌肽Cbf-14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081939B (zh) * 2021-11-24 2024-05-24 中国药科大学 一种抗菌肽Cbf-14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964B1 (ko)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964B1 (ko) 서방형 골다공증치료제를 담지한 골충진재
Zara et al. High doses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induce structurally abnormal bone and inflammation in vivo
EP1223990B1 (en) Formulations of hyaluronic acid for delivery of osteogenic proteins
US7875590B2 (en) Injectable solid hyaluronic acid carriers for delivery of osteogenic proteins
WO2010024549A2 (ko) 서방형 골다공증치료제를 담지한 골충진재
JP6248068B2 (ja) 仮骨延長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JP2004262758A (ja) 多孔性β−リン酸三カルシウム顆粒および同一のものを生成する方法
WO1994015653A1 (en) Tgf-beta formulation for inducing bone growth
US20100151025A1 (en)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osteonecrosis and osteoradionecrosis of the jaw
CN113749825B (zh) 一种框架式骨关节假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116555B1 (en) Active agent-particle combination supporting bone regeneration
KR20230043883A (ko) 철 부형제를 사용하여 골을 이식하는 방법 및 조성물
EP1454640A2 (en) Formulations of hyaluronic acid for delivery of osteogenic proteins
AU8023000B2 (ko)
EP1475109A1 (en) Formulations for delivery of osteogenic proteins
McKay et al. Local Delivery of Bone Growth Factors
Lee A Pilot Study to Compare the Activity of Different Bone Morphogenetic Protein Bioimplants In V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