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854A -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854A
KR20100026854A KR1020080086020A KR20080086020A KR20100026854A KR 20100026854 A KR20100026854 A KR 20100026854A KR 1020080086020 A KR1020080086020 A KR 1020080086020A KR 20080086020 A KR20080086020 A KR 20080086020A KR 20100026854 A KR20100026854 A KR 20100026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plate
exterior
cross
shaped
exteri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833B1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삼지석재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지석재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지석재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83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1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extending completely through the cover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벽에 고정설치되는 트러스, 트러스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 일정 면적을 갖는 판 형태의 외장재 및 외장재에 일단이 고정된 채로 브래킷에 고정장착되는 앵커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에 있어서, 외장재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얇은 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되 판 형상 부재의 사방 외곽에는 전방을 향해 외향 연결부가 일정 구간 돌출 형성된 방수판; 외장재와 외장재 사이의 틈에 위치된 방수판의 한 쌍의 외향 연결부가 동시에 수용되게 틈의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갖는 한편 외향 연결부와 외향 연결부 사이의 간격보다는 넓은 폭을 갖으며 외향 연결부에 대응하는 길이의 띠 형상 부재로 형성되되 띠 형상 부재의 양측에는 후방을 향해 외향 연결부와 대응하는 형태의 내향 연결부가 형성된 방수판 연결부재; 외장재의 코너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방수판의 외향 연결부끼리가 하나의 부재로써 연결되게 십자형으로 형성되되 방수판 연결부재의 측단면에 대응하는 형태의 조립부가 사방에 일정 간격 형성된 십자형 조인트; 및 외장재의 측면과 방수판 연결부재의 측면 사이의 공간 및 외장재의 코너 부분 측면과 십자형 조인트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외장재, 대리석, 방수, 앵커 볼트, 실리콘

Description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Device for water protecting of the building's wall}
본 발명은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리석 등 외장재로써 건물의 외벽을 장식하는 경우에 일정 규격의 외장재와 외장재 사이의 틈 등을 통하여 물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을 장식하기 위한 외장재의 하나로써 대리석이 흔히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해서 건물 벽에 대리석 등 외장재가 부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건물 벽(100)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트러스(110)가 고정 설치되는 한편 트러스(11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외장재(200)와의 조립을 위한 브래킷(120)이 설치된다. 한편, 대리석 등 외장재(200)의 배면 측에는 앵커 볼트(210)의 한쪽 끝이 고정된 채로 설치된다.
따라서 외장재(200)에 고정 설치된 앵커 볼트(210)의 다른 한쪽 끝을 트러스(110)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120)에 체결하는 방식을 통해서 외장재(200)가 건물 벽(100)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장재는 일정한 크기 단위로 공급되어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서로 이웃하는 외장재와 외장재 사이의 틈에는 시멘트 몰탈이나 실리콘이 채워지게 된다. 한편, 외장재(200)의 내측과 건물 벽 사이의 공간에는 건물의 설계 사양에 따라서 단열재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방식에 의해서 대리석 등 외장재로써 건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경우에 외장재와 외장재 사이를 연결하는 틈 등을 통해서 빗물 등이 침투되어 건물의 내구성을 크게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해서 건물의 외장재가 설치된 경우에는 지진 등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건물에 부착된 외장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대리석 등 외장재로써 건물의 외벽을 장식하는 경우에 외장재와 외장재 사이의 틈 등을 통해서 물이 침투하는 것이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의 외벽에 대리석 등 외장재가 부착되어 장식된 경우에 지진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건물 벽에 고정설치되는 트러스, 트러스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 일정 면적을 갖는 판 형태의 외장재 및 외장재에 일단이 고정된 채로 브래킷에 고정장착되는 앵커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에 있어서, 외장재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얇은 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되 판 형상 부재의 사방 외곽에는 전방을 향해 외향 연결부가 일정 구간 돌출 형성된 방수판; 외장재와 외장재 사이의 틈에 위치된 방수판의 한 쌍의 외향 연결부가 동시에 수용되게 틈의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갖는 한편 외향 연결부와 외향 연결부 사이의 간격보다는 넓은 폭을 갖으며 외향 연결부에 대응하는 길이의 띠 형상 부재로 형성되되 띠 형상 부재의 양측에는 후방을 향해 외향 연결부와 대응하는 형태의 내향 연결부가 형성된 방수판 연결부재; 외장재의 코너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방수판의 외향 연결부끼리가 하나의 부재로써 연결되게 십자형으로 형성되되 방수판 연결부재의 측단면에 대응하는 형태의 조립부가 사방에 일정 간격 형성된 십자형 조인트; 및 외장재의 측면과 방수판 연결부재의 측면 사이의 공간 및 외장재의 코너 부분 측면과 십자형 조인트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에서 방수판은 외장재에 고정설치되는 앵커 볼트에 체결되는 별도의 너트에 의해서 고정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에서 방수판, 방수판 연결부재 및 십자형 조인트는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한편 충진부재는 실리콘 또는 시멘트 몰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에 의하면 대리석 등 외장재로써 건물의 외벽을 마감하게 되더라도 우천시 등의 환경에서 외장재 사이의 틈 등을 통해서 물이 침투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에 의하면 지진 등과 같은 환경 조건에서도 건물의 벽을 장식하고 있는 대리석 등의 외장재가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의 구성 및 작용 상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판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판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십자형 조인트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 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벽 방수 장치가 시공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0 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 방수장치를 지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 방수장치(300)는 도면과 같이 건물 벽에 대리석 등 외장재(200)가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건물 벽(100)에 고정 설치된 트러스(11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대리석 등 외장재(200)의 부착을 위한 브래킷(120)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대리석 등 외장재(200)의 배면 측에는 앵커 볼트(210)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한편 다른 일단은 브래킷(120)에 나사 체결됨에 따라서 대리석 등 외장재(200)는 건물의 벽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 방수장치(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 벽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는 대리석 등 외장재(200) 사이의 틈(G) 등을 통해서 물이 침투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 방수장치(30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리석 등 외장재(200)의 후방에 외장재(200)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판 형상 부재(312)가 형성되되 그 판 형상 부재(312)의 사방 테두리는 외장재(200)와 외장재(200) 사이의 틈(G)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방수판(310), 외장재(200)와 외장재(200) 사이의 틈(G)을 통해서 노출된 방수판(310)의 테두리 부분끼리를 연결하기 위해 폭은 좁고 길이가 긴 띠 형태로 형성되는 방수판 연결부재(320), 방수판 연결부재(320)로써 연결되지 못하는 방수판(310)의 코너 부분끼리를 연결하기 위해 십자형으로 형성되는 십자형 조인트(330) 및 외장재(200)의 측면에 대하여 일정 간격 떨어진 방수판 연결부재(320) 및 십자형 조인트(330)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부재(340)를 포함하여 그 구성이 이루어진다.
우선, 방수판(31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리석 등 외장재(200)에 대응하는 크기의 판 형상 부재(312)가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방 수판(310)은 그 제작 과정에서 판 형상 부재(312)의 사방에 전방을 향해서 일정 구간 더 돌출되는 외향 연결부(314)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판(310)이 금속제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프레스 공정 등을 통해서 판 형상 부재(312)에 대하여 외향 연결부(314)가 접힌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수판(310)이 합성수지로 형성될 경우에는 사출 공정 등을 통해서 사방 테두리 부분에 외향 연결부(314)가 전방을 향해 일정 구간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판 형상 부재(312)의 외곽 부분에 외향 연결부(314)가 형성됨에 의해서 방수판(31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방수판 연결부재(320)는 서로 이웃하는 방수판(310)의 외향 연결부(314)와 외향 연결부(314)를 동시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띠 형상 부재(322)의 양측에 각각 방수판(310)의 외향 연결부(314)에 대응하는 형태의 내향 연결부(324)가 형성된다. 방수판 연결부재(320)는 적용될 방수판(310)의 길이에 비하여 일정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편이 십자형 조인트(330)가 조립될 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방수판 연결부재(320)의 폭은 외장재(200)와 외장재(200) 사이의 틈(G)의 폭에 비하여는 좁게 형성되는 한편 서로 이웃하는 방수판(310)의 외향 연결부(314)와 외향 연결부(314) 사이의 간격보다는 넓게 형성된다.
십자형 조인트(330)는 건물의 벽에 다수의 외장재(200)가 부착됨에 따라서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태로 생기게 되는 외장재(200)와 외장재(200) 사 이의 틈(G) 부분에 조립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십자형 조인트(330)의 사각 부재(332) 사방에는 전술한 방수판 연결부재(320)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의 조립부(334)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씩 연장 형성된다. 십자형 조인트(330)는 외장재(200)의 코너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방수판(310)의 외향 연결부(314)들이 하나의 부재로써 동시에 연결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수판(310), 방수판 연결부재(320) 및 십자형 조인트(330)는 대리석 등 외장재(200)로써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각 설치 위치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방수판(310)은 대리석 등 외장재(200)의 배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장재(200)와 함께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방수판(310)에는 외장재(200)에 고정 설치되는 앵커 볼트(210)의 도중이 통과될 수 있도록 앵커 볼트 체결공(316)이 관통 형성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방수판(310)은 앵커 볼트(210)를 매개로 외장재(200)의 배면 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너트(212)가 앵커 볼트(210)에 나사체결되는 과정을 통해서 설치된다. 이때, 방수판(310)의 사방에 형성된 외향 연결부(314)는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200)와 외장재(200) 사이의 틈(G)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200)와 외장재(200) 사이의 틈(G)을 통해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노출된 방수판(310)의 외향 연결부(314)끼리가 방수판 연결부재(320)로써 연결되게 된다. 하나의 외장재(200) 사방에 방수판 연결부재(320)의 설치가 끝나게 되면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부분을 제외한 방수판(310)의 외향 연결부(314)는 방수판 연결부재(320)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된다.
그 후,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 코너 부분에 십자형 조인트(330)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십자형 조인트(330)의 끝단은 방수판 연결부재(320)의 끝단에 맞닿게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200)의 사방 측면에 대하여 방수판 연결부재(320)의 측면 및 십자형 조인트(330)의 각 측면이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일정 간격이 떨어져 있게 되는데, 이 떨어진 간격에는 도 6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또는 시멘트 몰탈 등으로 이루어진 충진부재(340)가 채워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수판(310), 방수판 연결부재(320), 십자형 조인트(330) 및 충진부재(340) 등으로써 건물의 벽에 설치되는 대리석 등 외장재(200) 주변을 감싸게 됨에 따라서 우천시 등의 환경에서도 외장재(200)의 틈 등을 통해 물이 침투되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된다.
또한, 건물 벽(100)과 외장재(200) 사이에 단열재 등 기타 시설물이 설치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 방수장치(300)에 의해서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침수가 원인이 되어 종래에 발생하였던 각종 문제들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대리석 등으로 된 외장재(200)와 외장재(200) 사이의 틈(G)에는 방수판 연결부재(320), 십자형 조인트(330) 및 충진부재(340) 등이 설치됨에 따라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진 등의 환경 조건에서도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외 장재(200)가 깨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판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방수판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십자형 조인트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 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라 건물 벽 방수장치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벽 방수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건물 벽 110. 트러스
120. 브래킷 200. 외장재
210. 앵커 볼트 300. 건물 벽 방수장치
310. 방수판 314. 외향 연결부
316. 앵커 볼트 설치공 320. 방수판 연결부재
324. 내향 연결부 330. 십자형 조인트
334. 조립부 340. 충진부재
G. 틈

Claims (3)

  1. 건물 벽에 고정설치되는 트러스, 상기 트러스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 일정 면적을 갖는 판 형태의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에 일단이 고정된 채로 상기 브래킷에 고정장착되는 앵커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얇은 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사방 외곽에는 전방을 향해 외향 연결부가 일정 구간 돌출 형성된 방수판;
    상기 외장재와 외장재 사이의 틈에 위치된 방수판의 외향 연결부와 외향 연결부가 동시에 수용되게 상기 틈의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갖는 한편 상기 외향 연결부와 외향 연결부 사이의 간격보다는 넓은 폭을 갖으며 상기 외향 연결부에 대응하는 길이의 띠 형상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띠 형상 부재의 양측에는 후방을 향해 상기 외향 연결부와 대응하는 형태의 내향 연결부가 형성된 방수판 연결부재;
    상기 외장재의 코너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방수판의 외향 연결부끼리가 하나의 부재로써 연결되게 십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방수판 연결부재의 측단면에 대응하는 형태의 조립부가 사방에 일정 간격 형성된 십자형 조인트; 및
    상기 외장재의 측면과 방수판 연결부재의 측면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외장재의 코너 부분 측면과 십자형 조인트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은 상기 외장재에 고정설치되는 앵커 볼트에 체결되는 별도의 너트에 의해서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 방수판 연결부재 및 십자형 조인트는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충진부재는 실리콘 또는 시멘트 몰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KR1020080086020A 2008-09-01 2008-09-01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KR10105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20A KR101057833B1 (ko) 2008-09-01 2008-09-01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20A KR101057833B1 (ko) 2008-09-01 2008-09-01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54A true KR20100026854A (ko) 2010-03-10
KR101057833B1 KR101057833B1 (ko) 2011-08-19

Family

ID=4217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20A KR101057833B1 (ko) 2008-09-01 2008-09-01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09B1 (ko) * 2012-04-20 2014-01-23 유한회사 에스와이 외벽 고정 장치
KR20190080064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강구조용 외단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441A (ja) 1999-11-17 2001-05-22 Sankyo Alum Ind Co Ltd パネル体
JP2005344380A (ja) 2004-06-03 2005-12-15 House Tec:Kk 室内の面構造
KR200421788Y1 (ko) 2006-03-03 2006-07-19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내장패널의 설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09B1 (ko) * 2012-04-20 2014-01-23 유한회사 에스와이 외벽 고정 장치
KR20190080064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강구조용 외단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833B1 (ko) 201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615B1 (ko) 건축물에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용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조립 시스템
JP2008531874A (ja) 屋根被覆体またはファサード被覆体
KR20180064912A (ko) 조립식 방수패널
JP6257021B2 (ja) 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KR101057833B1 (ko)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KR102064454B1 (ko) 건물 벽면의 드라이비트 시공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51121Y1 (ko) 코킹 일체형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1471468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구조체
KR200497342Y1 (ko) 건축용 스틸 방수판
JP2013113049A (ja) 柱脚保護構造及び保護カバー
KR101730589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보호용 조립식 패널
KR100700442B1 (ko) 건축물 기초의 조립식 외단열 패널
KR20080005414U (ko) 조립식 단열 패널
KR101057766B1 (ko) 건축물용 패널
JPH0776888A (ja) 外壁板接合部の雨仕舞い構造
JP3807693B2 (ja) 縦張外壁板の接合水切金具及びその連結構造
JP2806756B2 (ja) ガスケット挿着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ガスケット
CN208280344U (zh) 一种新型围护墙体结构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0524226B1 (ko) 단열보드 부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외벽단열시공방법
KR102117407B1 (ko) 건물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7641B1 (ko) 건축물용 바닥 구조체
JP4139271B2 (ja) サッシの取付方法
KR200270185Y1 (ko) 건축용 내화패널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