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380A -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380A
KR20100026380A KR1020080085361A KR20080085361A KR20100026380A KR 20100026380 A KR20100026380 A KR 20100026380A KR 1020080085361 A KR1020080085361 A KR 1020080085361A KR 20080085361 A KR20080085361 A KR 20080085361A KR 20100026380 A KR20100026380 A KR 20100026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racter
specific behavior
specific
online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080085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380A/ko
Publication of KR2010002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5Enforcing rules, e.g. detecting foul play or generating lists of cheating p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게임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해 선택적으로 보안 인증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 또는 사고로 의도하지 않은 특정 행동이 처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특정 행동 설정 모듈과, 이를 저장하는 특정 행동 데이터베이스와, 저장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와 연동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할 때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인식하는 특정 행동 인식 모듈과, 특정 행동에 대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하는 인증 모듈과, 및 인증 여부에 따라 특정 행동을 제어하는 특정 행동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온라인, 게임, 캐릭터, 행동, 인증, 보안

Description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SECURITY FOR ON-LINE GAME}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온라인 게임 이용 시 게임 캐릭터의 행동 별로 보안의 수위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적 보안 강화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해 선택적으로 보안 인증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 또는 사고로 의도하지 않은 특정 행동이 처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한다.
오늘날, 컴퓨터 관련 정보통신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은 업무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적인 생활 방식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초고속 망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하여 집안까지 수 Mbyte/sec의 데이터 연결 속도를 갖는 네트워크 망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Role Playing Game)이 대단히 발달하였고, 그 사용자 또한 매우 많다.
롤 플레잉 게임(RPG)은 여러가지 이벤트와 시나리오를 통해 캐릭터를 키워나가는 게임으로서, 어떤 목적을 위해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는 게임이다.
게임을 시작할 때 자신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특정 세계관을 바탕으로 일정한 임무를 부여받아 이를 수행해나가며, 이러한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선택과 전투상황에서의 반응으로 그 역할수행을 결정하는 것이다. 즉, 캐릭터의 지능, 체력, 마법지수 등 특정한 능력을 이용하여 게임을 풀어가고, 컴퓨터 또는 다른 사용자와의 전투나 대전을 통해 검, 도끼, 활 등의 무기 아이템(Item)과 방패, 갑옷 등의 방어 도구 아이템, 캐릭터에 적용되어 캐릭터의 치료나 생명 연장 등의 효과를 발휘하는 아이템, 타 아이템에 적용되어 상기 타 아이템과 관련된 능력치 등을 변화시키는 아이템 등을 획득하고 캐릭터의 능력을 발전시키며, 주어진 임무를 수행한다.
플레이하는 캐릭터는 저장될 수 있으며, 획득한 아이템이나 발전된 능력 또한 저장되어 캐릭터의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이러한 롤-플레잉 게임은 어드벤처 게임과 유사하나, 캐릭터 성장과 개발, 전략적인 전투, 퍼즐 해결 등이 추가되어 있으며, NPC(Non Player Character)를 채용하고 있는 장르로서, 탐색과 장대한 판타지의 세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롤 플레잉 게임(RPG)은 게임의 진행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진다. 즉, 매우 많은 수의 플레이어가 함께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많은 NPC(non-player character)나 몬스터를 만나고, 다양하고 많은 퀘스트를 해결하며, 게임 진행 도중에 많은 아이템을 습득, 사용, 분실, 매매하고, 가치가 높은 아이템일수록, 캐릭터의 레벨도 높아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여러 과정을 수행해야만 획득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강력한 몬스터(monster)를 사냥했을 때에만 획득되는 등과 같이 게임 진행과 관련하여 다양하고 많은 정보가 생성된다.
이러한 온라인 게임의 보안 시스템이나 보안 방법은 주로 초기 게임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인데, 좀더 강화된 방법인 경우 게임 서버에 접속할 때 추가로 한번 더 인증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 온라인 게임 접속의 보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온라인 게임을 시도하는 사용자는 먼저 온라인 게임 웹사이트의 메인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아이디와 비밀번호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S110) 인증받는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게임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두 번째의 인증 단계를 거칠 수 있다(S120). 마찬가지로 아이디나 비밀번호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인증받은 후 게임 서버에 접속하고(S130) 게임을 플레이(S140) 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온라인 게임에서의 보안 인증 방법은 게임 서버에 접속한 이후에는 게임 캐릭터의 여러 가지 행동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일단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들어오기만 하면 플레이 중인 게임 캐릭터의 다양한 행동에 대한 제약이 없어,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 또는 사고로 인하여 아이템 이동, 아이템 삭제, 아이템 드롭 및 캐릭터 삭제 등 게임 캐릭터의 의도하지 않은 행동이 발생하여도 이를 제재할 방법이 없다.
예를 들어, 게임 플레이 중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조작의 실수로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캐릭터가 사용하던 아이템을 떨어뜨리거나, 또는 캐릭터가 보관 중이 던 아이템이 삭제될 수 있다. 만일 그런 일이 발생된다면 사용자로서는 다시 캐릭터의 아이템을 얻기 위해 게임에서 반복되는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게임에 대한 재미를 크게 반감시키게 된다.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일은 게임의 원할한 플레이를 방해하여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떨어뜨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게임 사용자의 이탈로 인한 매출 감소 원인의 하나가 될 수 있어 게임 사업자에게는 불리한 것이다.
따라서, 온라인 게임을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게임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해 강화된 보안 시스템과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접속 단계의 보안 인증의 시스템이나 방법 이외에 특정 행동에 대한 개별적인 보안 시스템이나 방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온라인 게임 상의 강화된 보안 시스템이나 방법에 대한 필요성에 부응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게임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 또는 사고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행동의 방지가 가능한 온라인 게임 내 선택적인 보안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인증하여 보안 수위를 높임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적으로 게임에 집중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하는 캐릭터 특정 행동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게임 내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특정 행동 설정 모듈과, 상기 수신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특정 행동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저장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와 연동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할 때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인식하는 특정 행동 인식 모듈과, 상기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하는 인증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작동시키고, 불일치하는 경우에 특정 행동을 차단시키는 특정 행동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캐릭터의 특정 행동은,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행동 중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인식될 수 있는 행동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공지된 행동 패턴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릭터의 특정 행동은, 소유 아이템의 삭제, 소유 아이템의 드롭, 타 캐릭터와의 아이템 교환, 아이템의 구매, 소유 아이템의 판매, 소유 아이템의 강화, 대상 캐릭터 강제 공격 및 캐릭터 삭제 등의 행동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증 모듈에서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개별 아이디, 사용자의 개별 패스워드,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별 아이디, 및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별 패스워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이다.
특히 상기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의 개별 아이디와 사용자의 개별 패스워드는 각각 온라인 게임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웹 서버의 사용자 인증 아이디와 패스워드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택적 보안 시스템은 웹 서버에서 온라인 게임 접속을 위해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특정 행동의 인증 여부를 판단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혹은 온라인 게임 접속을 위한 사용자 인증과 달리 개별적으로 특정의 행동에 부여한 사용자 정보, 즉 아이디나 패스워드 등을 통하여 특정 행동의 작동을 인증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게임에 대한 접속 인증과 특정 행동의 작동을 위한 인증의 사용자 정보를 통일할 수 있어 간편하고 편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 후자의 경우 이중적인 사용자 정 보를 설정하고 별개로 관리하여야 하므로 불편한 점은 있으나 보안 강화의 측면에서는 전자보다 유리한 면이 있다. 만일 후자의 경우와 같이 특정 행동에 대한 개별적인 사용자 인증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보안 시스템에 별도로 특정 행동에 대한 패스워드나 아이디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구성이 부가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은 특정 행동 인식 모듈이 온라인 게임에서 기선택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인식하는 단계와, 인증 모듈이 상기 캐릭터의 특정 행동의 작동을 위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하는 단,; 및 상기 인증 여부에 따라 특정 행동 제어 모듈이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작동하거나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선택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은,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행동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정의 패턴으로 인식될 수 있는 행동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기선택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유 아이템의 삭제, 소유 아이템의 드롭, 타 캐릭터와의 아이템 교환, 아이템의 구매, 소유 아이템의 판매, 소유 아이템의 강화, 대상 캐릭터 강제 공격 및 캐릭터 삭제 등의 행동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안 강화 방법에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개별 아이디, 사용자의 개별 패스워드,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별 아이디, 및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별 패스워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게임 플레이 시에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 또는 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게임 캐릭터의 의도하지 않은 행동을 방지하여 게임의 보안을 강화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게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에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과 그 방법에 의해 게임 내 특정 행동에 대해 안정적인 제어가 뒷받침되므로 게임 플레이어의 흥미를 유발시켜 게임 사업자의 매출 증가로 이어지는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게임을 즐기려는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단말기(20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거쳐 온라인 게임 웹사이트(100)에 접속하여 게임을 플레이한다. 상기 온라인 게임 웹사이트(100)는 크게 웹서버(110), 게임 서버(130) 및 게임 데이터베이스(150)로 구성된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터넷 등의 온라인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서버(110)와 게임 서버(130)에 접속하면, 웹사이트(100) 내의 웹서버(110), 게임 서버(130) 및 게임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에 게임을 제공하게 된다.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서 먼저 게임 웹사이트(100)에 접속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웹서버(110)에 접속하기 위하여 아이디와 비밀번호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게임 서버(130)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자 정보를 재입력한 후 게임을 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은 상기 게임 서버(130)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특정 행동 설정 모듈(131)과, 상기 수신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특정 행동 데이터베이스(139)와, 상기 저장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와 연동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할 때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인식하는 특정 행동 인식 모듈(133)과, 상기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하는 인증 모듈(135),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작동시키고, 불일치하는 경우에 특정 행동을 차단시키는 특정 행동 제어 모듈(137)로 구성한다.
온라인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각자의 단말기를 통해 게임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특정 행동 설정 모듈(131)에 작동 보안을 수행하려는 특정 행동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정 행동이란 캐릭터의 행동 중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인식될 수 있는 행동으로서, 온라인 게임에서 캐릭터의 특정 행동은 게임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다양하며 사용자들은 다양한 특정 행동들 중에서 좀더 강화된 보안을 유지하고 싶은 특정 행동을 선정할 수 있다.
특정 행동의 선택 예시도는 도 5에 제시한 바와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행동들로서, 아이템 삭제, 아이템 드롭, 타 캐릭터와의 아이템 교환, 아이템 인챈트(강화) 시도, 대상 캐릭터 강제공격, 소유 아이템 판매, 아이템 구매, 및 캐릭터 삭제 등이 제시되어 있다. 이 중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템 삭제, 아이템 드롭, 타캐릭터와의 아이템 교환, 아이템 구매, 캐릭터 삭제를 체크하면 이들 특정 행동이 선택되어 게임을 플레이할 때 해당되는 특정 행동을 수행해야 할 상황에서 보안 인증의 단계를 거쳐 소정의 특정 행동의 작동 여부가 결정된다.
특정 행동의 선택과 해지는 수시로 특정 행동 설정 모듈(131)을 통해 자유롭 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에서의 게임 서버는 사용자가 특정 행동 설정 모듈을 통해 보안 유지를 위한 특정 행동을 설정하면 이를 특정 행동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9)를 포함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특정 행동 데이터베이스(139)는 게임 서버 내에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게임 데이터베이스(150)으로 통합되어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게임 수행시 특정 행동 인식 모듈(133)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39)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저장된 특정 행동이 나타날 상황을 감시하여 인식한다. 만일 특정 행동 인식 모듈(133)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행동을 인지하면 인증 모듈(135)을 통해 사용자는 인증을 받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사용자 정보는 특정 행동에 따른 개별적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비밀번호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증 수행의 편리성을 위해 게임 접속 시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인증 모듈(135)에서 인증이 실패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재인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 회의 인증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모듈(135)이 수신된 사용자 정보의 인증을 마치면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행동 제어 모듈(137)은 특정 행동을 계속 작동하게 하거나 특정 행동을 차단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온라인 게임 접속 보안 방법을 포함한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즉, 도 3은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인증하는 보안 방법만을 별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선택하는 단계(S310)와, 선택된 특정 행동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단계(S320)와, 온라인 게임 수행시 캐릭터의 특정 행동이 인식되는 단계(S330)과,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S340)으로 구성된다.
인증 단계(S340)에서 해당 사용자임이 인증되면 특정 행동이 작동되는 단계(S350)로 이전되고, 인증에 실패하면 특정 행동이 차단되는 단계(S360)로 넘어가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특정 행동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특정 행동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대로 게임이 진행되기도 하지만, 복수 회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다시 인증 단계(S340)으로 되돌아가서 인증을 반복할 수도 있다.
도 4는 특정 행동에 대한 보안 방법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온라인 게임 시스템 내의 보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선택적 보안 방법을 적용한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려는 사용자는 우선 온라인 게임 내 메인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인증 단계(S410)를 거쳐야 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나 비밀번호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되면 인증되어 다음 단계로 이어진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게임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420)를 거치는데, 이 단계에서 다시 이중적 보안을 위해 게임 서버 접속 전 인증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기존 정보와 일치되면 통과되어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게 되는데 두 번째 인증의 편의를 위해 비밀번호 또는 아이디 어느 하나만을 입력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게임 서버의 접속 인증을 통과하면 게임 플레이 단계(S430)로 이어져 사용자는 온라인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선택적 보안 방법은 사용자가 게임을 즐기는 동안, 이미 선택하여 지정해 두었던 온라인 게임상의 특정 행동이 인식되고 이를 시도하려 할 때 인증하는 단계(S440)에서 구현된다. 즉, 사용자는 이미 선택해두었던 특정 행동을 시도할 때마다 인증 단계(S450)를 거친다. 구체적인 인증 단계는 도 3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사용자는 이때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데, 인증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만으로도 인증이 수행될 수도 있다. 만일 인증시 사용자 정보가 이미 저장해둔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게 되면 인증이 통과되어 특정 행동 작동하게 되고(S460) 사용자는 그 특정 행동을 수행한 후 다시 게임을 연속하여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인증이 실패하고 특정 행동은 차단되어(S470) 그 행동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증 실패시 다시 한번 인증 단계(S440)으로 돌아가서 재인증을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행동에 대한 인증 실패시 반복하는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에 있어서의 특정 행동 선택의 예시도인데, 본 발명의 보안 강화 방법을 도 5에 제시된 예시 행동 중 아이템 삭제 및 아이템 드롭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사용자가 자신의 온라인 게임 중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게임 수행시 실수로 구입해 둔 아이템을 삭제하거나 바닥에 드롭하는 것을 방지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게임 참여에 앞서 특정 행동 설정 모듈을 통해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보안 행동 옵션을 선택한다.
즉, 아이템 삭제와 아이템 드롭을 체크하게 되면 상기 선택된 행동은 보안 강화를 위한 특정 행동으로 설정되어 저장되고, 이후에 게임상에서 사용자가 캐릭터를 이용하여 플레이하는 도중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아이템 삭제나 드롭 명령을 내리는 경우, 아이디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입력된 아이디나 비밀번호가 사용자 정보에 저장된 아이디나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 행동을 계속 수행할 수 있으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정 행동을 계속 수행할 수 없고, 아이디나 비밀번호의 재입력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특정 행동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 또는 사고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행동의 방지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온라인 게임 접속의 보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온라인 게임 접속 보안 방법을 포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에 있어서의 특정 행동 선택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온라인 게임 웹사이트 2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웹서버 130 : 게임 서버
131 : 특정행동 설정모듈 133 : 특정행동 인식모듈
135 : 인증 모듈 137 : 특정행동 제어모듈
139 : 특정행동 데이터베이스 150 : 게임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특정 행동 설정 모듈;
    상기 수신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특정 행동 데이터베이스;
    상기 저장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에 대한 정보와 연동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할 때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인식하는 특정 행동 인식 모듈;
    상기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하는 인증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작동시키고, 불일치하는 경우에 특정 행동을 차단시키는 특정 행동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의 특정 행동은,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행동 중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인식될 수 있는 행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의 특정 행동은,
    소유 아이템의 삭제, 소유 아이템의 드롭, 타 캐릭터와의 아이템 교환, 아이템의 구매, 소유 아이템의 판매, 소유 아이템의 강화, 대상 캐릭터 강제 공격 및 캐릭터 삭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모듈에서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개별 아이디, 사용자의 개별 패스워드,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별 아이디, 및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별 패스워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의 개별 아이디와 사용자의 개별 패스워드는 각각 온라인 게임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웹 서버의 사용자 인증 아이디와 패스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6. 특정 행동 인식 모듈이 온라인 게임에서 기선택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인식하는 단계;
    인증 모듈이 상기 캐릭터의 특정 행동의 작동을 위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여부에 따라 특정 행동 제어 모듈이 캐릭터의 특정 행동을 작동하거나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선택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은,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행동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정의 패턴으로 인식될 수 있는 행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선택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유 아이템의 삭제, 소유 아이템의 드롭, 타 캐릭터와의 아이템 교환, 아이템의 구매, 소유 아이템의 판매, 소유 아이템의 강화, 대상 캐릭터 강제 공격 및 캐릭터 삭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개별 아이디, 사용자의 개별 패스워드,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별 아이디, 및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캐릭터의 특정 행동별 패스워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의 개별 아이디와 사용자의 개별 패스워드는 각각 온라인 게임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웹 서버의 사용자 인증 아이디와 패스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방법.
KR1020080085361A 2008-08-29 2008-08-29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6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361A KR20100026380A (ko) 2008-08-29 2008-08-29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361A KR20100026380A (ko) 2008-08-29 2008-08-29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380A true KR20100026380A (ko) 2010-03-10

Family

ID=4217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361A KR20100026380A (ko) 2008-08-29 2008-08-29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638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196A2 (ko) * 2010-07-30 2012-02-02 (주)네오위즈게임즈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간 이벤트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239096B1 (ko) * 2010-08-26 2013-03-18 (주)네오위즈게임즈 아바타 행동 패턴을 이용한 자동 반응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WO2013085215A1 (ko) * 2011-12-09 2013-06-13 (주)네오위즈게임즈 온라인 게임의 서비스 이용 제어 방법 및 서버
KR101308106B1 (ko) * 2012-01-11 2013-09-12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내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게임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US10754941B2 (en) 2012-03-30 2020-08-25 Ebay Inc. User device security manag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196A2 (ko) * 2010-07-30 2012-02-02 (주)네오위즈게임즈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간 이벤트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WO2012015196A3 (ko) * 2010-07-30 2012-05-03 (주)네오위즈게임즈 Sns 상에서 어플리케이션간 이벤트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239096B1 (ko) * 2010-08-26 2013-03-18 (주)네오위즈게임즈 아바타 행동 패턴을 이용한 자동 반응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WO2013085215A1 (ko) * 2011-12-09 2013-06-13 (주)네오위즈게임즈 온라인 게임의 서비스 이용 제어 방법 및 서버
KR101308106B1 (ko) * 2012-01-11 2013-09-12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내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게임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US10754941B2 (en) 2012-03-30 2020-08-25 Ebay Inc. User device security mana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2280B2 (en) Game system, and storage medium
US8814704B2 (en) Game server that allows online game user to designate proxy to exercise an area limited acquisition right, game controlling method thereof, gam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101451165B1 (ko) 게임 시스템
JP5156869B1 (ja) ゲームシステム
JP6285162B2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6264659B2 (ja) ゲ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666829B1 (en) Utilizing gaming behavior in user authentication
JP5551210B2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CN110624242B (zh) 终端及服务器
KR102209464B1 (ko) 비디오 게임 처리 장치 및 비디오 게임 처리 프로그램
KR20100032707A (ko) 온라인 게임 중독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6380A (ko) 온라인 게임의 선택적 보안 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6030077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109464A1 (en) Game system, server, game-system control method, server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375351B2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6060389B2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5044035A (ja) ゲームシステム
KR20110081848A (ko) 대화형 네트워크 게임 및 그의 방법들
KR100808629B1 (ko) 게임캐릭터 거래방법
KR102386424B1 (ko) 게임 시스템, 게임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
JP4759017B2 (ja) カードゲーム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14186414A (ja) 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30094057A1 (en) Game system, game server, and game program
KR100814243B1 (ko)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서비스 시스템, 이것의 게임 서비스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30143168A (ko) 온라인 게임 캐릭터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간 재구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