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255A - 냉각컵 - Google Patents

냉각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255A
KR20100026255A KR1020080085188A KR20080085188A KR20100026255A KR 20100026255 A KR20100026255 A KR 20100026255A KR 1020080085188 A KR1020080085188 A KR 1020080085188A KR 20080085188 A KR20080085188 A KR 20080085188A KR 20100026255 A KR20100026255 A KR 20100026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torage chamber
cooling
dry 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관
Original Assignee
조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관 filed Critical 조진관
Priority to KR102008008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255A/ko
Publication of KR20100026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solidified gases, e.g. carbon-dioxide snow
    • F25D3/14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solidified gases, e.g. carbon-dioxide snow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8Drinking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25D2303/0841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external to the container for a beverage, e.g. a bottle, can, drinking glass or pitc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하여 컵속의 각종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냉각컵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컵의 하방에 드라이아이스 수납실과 증발액저장실을 마련하고 원하는 시점에서 증발액저장실의 물이 드라이아이스에 공급되도록 하여 발생된 냉증기가 컵의 둘레를 냉각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컵을 원하는 정도로 장시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냉각컵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음료를 원하는 정도로 원하는 시간 동안 냉각시켜 풍미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드라이아이스, 냉각, 냉각컵, 컵, 냉각 컵, 냉동, 냉동컵, 냉동 컵

Description

냉각컵{Refrigerating Cups}
본 발명은 냉각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컵 내부에 냉각수단을 내장하여 내용물을 기호에 알맞게 냉각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냉각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중에는 차갑게 마셔야 풍미를 느낄 수 있게 되는 음료가 있다. 예를 들면 맥주, 양주 및 사이더, 콜라 등이 대표적인 것이며, 아이스크림 등도 차게하여야 풍미를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음료류 등을 냉장고에 넣어 냉각시킨 후 음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짧은 시간에 음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컵속의 내용물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풍미를 느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얼음을 첨가하여 냉각상태를 유지시키기는 방법도 사용되기는 하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얼음이 녹으면서 음료류와 희석되어 음료류 고유의 풍미를 저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도 1로 보인 바와 같이 컵의 벽체를 2중구조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간부에는 미열이 높은 폴리에틸렌계의 수액(100)을 주입시킨 상태에서 밀봉처리하여 냉각 컵을 이룸으로써 비사용시에는 저온의 냉동실에 보관하면서 수액이 결빙되도록 하고 필요시 음료수를 담아 먹도록 하여 별도로 어름을 첨가하지 않고도 시원한 상태가 확보되면서 내용물 특유의 맛을 음미하도록 하는 냉각컵이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93-8148)에 의하여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냉각컵에 의하면 컵 내부의 음료가 수액의 냉열에 의하여 냉각되는 것이어서 시원한 상태를 얻을수 있기는 하나 수액은 곧 해빙되어 시원한 상태가 충분한 시간 동안 제공되지 못하며 냉각능력이 불충분하여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또한 음료류는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냉각온도가 달라져야 하는 바 이러한 냉각컵은 온도 조절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시간동안 내용물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온도로 내용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컵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컵의 하방에 드라이아이스와 증발액저장실을 마련하고 증발액저장실의 물이 원하는 시점에 드라이아이스에 공급되도록 하여 발생된 냉증기가 컵의 둘레를 냉각시킨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서 된 냉각컵을 제안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냉각컵의 음료가 원하는 시간동안 냉각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원하는 정도로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각종 음료를 원하는 정도로 냉각하여 음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드라이아이스의 증발량을 조절함에 따라 장시간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3에 본 발명에 의한 냉각컵의 기본적인 구조를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각되어야할 컵(1)이 위치하는 컵수납공간(2)과, 컵수납공간(2)하방에 위치한 드라이아이스 수납실(3)과, 증발액저장실(4)을 구비하며, 증발액저장실(4)과 드라이아이스 수납실(3)을 연통시키기 위한 통공(5)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컵(1)에 냉각하여야 할 음료를 예를 들어 2/3가량 넣고 증발액저장실(4)에 물을 넣은후 손잡이를 잡고 약간 기울여주면 증발액저장실(4)의 통공(5)으로 물이 흘러나와 드라이아이스(6)위에 흐르게 된다.
이 때 드라이아이스(6)는 냉증기로 증발하게 되고 이러한 냉증기는 컵(1)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단의 틈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컵(1)의 둘레면은 저온으로 냉각될 수 있는 것이고, 컵(1)의 음료는 냉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음용자가 더욱 찬 음료를 원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잡고 한번더 기울여줌으로써 통공(5)으로 물이 흘러나와 드라이아이스(6)에 재차 흐르게 함으로써 냉증기가 증발하면서 컵(1)의 둘레면을 한번 더 냉각시켜 컵(1)의 음료가 냉각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하여 냉각컵을 기울여 드라이아이스(6)에 물이 흐르는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컵(1)속의 음료를 원하는 온도로 냉각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증발액저장실(4)의 통공(5)이 도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드라이아이스(6) 방향으로 되도록 측방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고, 도 4로 보인 바와 같이 일정높이 이상으로 올렸다 내린 급수관(7)을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도 4로 보인 실시예에서는 컵(1)이 약간의 충격을 받거나 부주의 하여 진동을 받게 된 경우에도 급수관(7)의 높이가 높으므로 물이 드라이아이스(6)에 공급되지 않아 실수로 냉증기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급수관(7)에 의하여 드라이아이스(6)의 위치에 정확하게 물방울을 떨어 뜨릴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으로 보인 바와 같이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는 드라이아이스 수납실(3)의 하방 및 급수관(7)의 입구 그리고 증발액저장실(4) 일측에 립밸브(8)를 구비한 가압실(10)과, 가압실(10)에서 왕복운동을 하기 위한 피스톤 (11)과, 버튼(9)을 누름에 따라 피스톤(11)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고정축(12) 및 회동간(13) 등을 구비한 피스톤 습동수단(14)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버튼(9)을 누르면 회동간(13)이 고정축(12)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피스톤(11)이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실(10) 내부가 가압되어 드라이아이스 수납실(3)의 립밸브(8)와 증발액저장실(4)의 립밸브(8)가 닫히면서 급수관(7)의 립밸브(8)가 열리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가압실(10)에 있던 증발액저장실(4)의 물은 급수관(7)로 분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급수관(7)로부터 분사되는 물로 드라이아이스(6)가 냉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승하면서 컵(1)의 둘레면을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눌렀던 버튼(9)을 놓으면 회동간(13)이 고정축(1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원위치되어 피스톤(11)이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실(10) 내부가 감압되어 드라이아이스 수납실(3)의 립밸브(8)와 증발액저장실(4)의 립밸브(8)가 열리면서 급수관(7)의 립밸브(8)가 열리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드라이아이스 수납실(3)에 있던 물과 증발액저장실(4)의 물이 가압실(10)로 유입되는 것이며, 이 때 급수관(7)의 립밸브(8)는 닫힌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9)을 누르면 다시 가압실(10)의 물이 드라이아이스수납실(3)로 유입되고 증발되어 가압실(10)있던 증발액저장실(4)의 물은 급수관(7)로 분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급수관(7)로부터 분사되는 물로 드라이아이스(6)가 냉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어서 버튼(9)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드라이아이스(6)에 뿌려지는 물의 양이 결정되어 냉증기의 발생량이 결정되므로 최적의 상태로 냉각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립밸브(8)를 이용한 실시예에 의하면 증발액저장실(4)에 저장된 물의량에 무관하여 버튼(9)을 누르는 횟수에 비례하여 냉증기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편리한 잇점이 있다.
또한 음용자가 더 많은 량의 음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컵(1)에 음료를 더 부어 음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컵(1)을 꺼내고져 할 경우에는 돌기(15)을 눌려 링(16)이 타원으로 변형되면서 정원(正圓)상태에서 맞물려 있던 링(16)의 나사부와 컵(1) 둘레 내측의 나사부(17, 18)들이 분리되면서 컵(1)을 꺼낼 수 있게 하고 컵(1)을 다시 끼우고져 할 경우에는 돌기(15)을 다시 눌러 링(16)이 변형되면서 링(16)의 나사부(17)가 좌우로 벌어진후 컵(1)에 끼우고 버튼(9)을 놓으면 링(16)이 자체의 탄력에 의하여 정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링(16)의 나사부(17)와 컵(1) 둘레 내측의 나사부(18)들이 결합되어 안정된 체결상태로 되도록함으로써 착탈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링(16)과 컵(1)의 나사부(17, 18)는 그 둘레의 일부에만 형성된 것이어서 냉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컵(1)의 착탈을 위하여 링(16)과 나사부(17, 18)를 이용하였으나 기타 다양한 형태로된 공지의 결합수단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은 종래의 냉각컵을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 2 : 수납공간
3 : 드라이아이스 수납실 4 : 증발액저장실
5 : 통공 7 : 급수관
8 : 립밸브 9 : 버튼
10 : 가압실 11 : 피스톤
12 : 고정축 13 : 회동간
14 : 습동수단

Claims (3)

  1. 컵(1)이 위치하는 수납공간(2)과, 컵(1)하방에 위치한 드라이아이스수납실(3)과, 증발액저장실(4)을 구비하며, 증발액저장실(4)과 드라이아이스 수납실(3)을 연통시키기 위한 통공(5)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컵.
  2. 제 1항에 있어서, 일정높이 이상으로 올렸다 내린 급수관(7)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컵.
  3. 제 1항에 있어서, 드라이아이스 수납실(3)의 하방 및 급수관(7)의 입구 그리고 증발액저장실(4) 일측에 립밸브(8)를 구비한 가압실(10)과, 가압실(10)에서 왕복운동을 하기 위한 피스톤(11)과, 버튼(9)을 누름에 따라 피스톤(11)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고정축(12) 및 회동간(13)등을 구비한 피스톤(11) 습동수단(1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컵.
KR1020080085188A 2008-08-29 2008-08-29 냉각컵 KR20100026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188A KR20100026255A (ko) 2008-08-29 2008-08-29 냉각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188A KR20100026255A (ko) 2008-08-29 2008-08-29 냉각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255A true KR20100026255A (ko) 2010-03-10

Family

ID=4217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188A KR20100026255A (ko) 2008-08-29 2008-08-29 냉각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62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0393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ice crystal formation in a beverage
JP2007510594A5 (ko)
WO2008002085A1 (en) Cooling cup for drink
KR100325037B1 (ko) 냉각컵
KR100930045B1 (ko) 음료용 냉각컵
KR20100026255A (ko) 냉각컵
WO2010012990A2 (en) Liquid container with cooling medium
KR102003804B1 (ko) 생맥주 냉각장치
KR200438989Y1 (ko) 냉각컵용 냉매체
KR200456604Y1 (ko) 음료 냉각기
CN201032323Y (zh) 啤酒快速制冷机
KR20190124834A (ko) 제빙드럼이 내장된 냉장고
JP2007050178A (ja) クーラー装置
KR200245484Y1 (ko) 음료 용기 냉장용 테이블
CN212591486U (zh) 便携冷饮杯
KR200240743Y1 (ko) 냉각용기
JP2003028552A (ja) ビール等の清涼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ー
KR20070000065U (ko) 개량형 음료용 냉각컵
KR20050087537A (ko) 탄산수 공급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258681Y1 (ko) 보냉 및 냉각능을 갖는 컵
US20210195913A1 (en) An apparatus for making texture controlled edible ice products instantly
KR200370375Y1 (ko) 주류 및 음료용 냉장보존용기
UA134296U (uk) Пристрій швидкісного охолодження напоїв
KR20160115091A (ko) 반찬 냉장고가 구비된 식탁
KR200264173Y1 (ko) 뚜껑형 냉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