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170A - 차량의 에어덕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170A
KR20100026170A KR1020080085070A KR20080085070A KR20100026170A KR 20100026170 A KR20100026170 A KR 20100026170A KR 1020080085070 A KR1020080085070 A KR 1020080085070A KR 20080085070 A KR20080085070 A KR 20080085070A KR 20100026170 A KR20100026170 A KR 20100026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duct
vehicle
duct
en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170A/ko
Publication of KR2010002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의 에어클리너에서 흡기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프론트엔드모듈(10)이 에어덕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프론트엔드모듈(10)에 안내부를 형성한 차량의 에어덕트가 소개된다.
자동차, 에어클리너, 에어덕트, 안내부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덕트{AIR DUC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덕트 연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프론트엔드모듈에 외기를 에어덕트로 유도하는 안내부를 형성시킨 차량의 에어덕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하여 연소하면서 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즉,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각종 연료 공급장치를 통과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됨과 동시에 엔진이 흡입, 압축, 폭발, 배기행정을 반복하면서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동차가 동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을 운전하는 데는 일정량의 공기를 필요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운전에 필요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서, 에어덕트(5)에 의해서 유입된 공기를 에어클리너(1)에서 필터링하여 엔진으로 공급하는 바, 공기는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여 엔진에 이르게되는데, 배터리(3)는 에어클리너(1)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히 에어클리너의 용량, 에어덕트의 길이, 에어클리너의 입,출구 각도 및 거리, 공명기 등은 흡기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설계 인자에 해당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디자인 변화와 자동차 충돌시 보행자 보호를 위해서 자동차의 엔진룸의 레이아웃이 변경되고 있는 바, 엔진룸에서 에어클리너(1)가 배터리(3)와 프론트엔드모듈 사이에 놓이게 되고, 엔진(7)의 탑재 위치는 고정된다
따라서, 에어클리너(1)로 공기를 유도하는 에어덕트(5) 전체의 길이가 짧아지게 됨에 따라 흡기시 소음이 증가하고, 소음 방지를 위해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는 경우 원가가 상승되며, 에어덕트(5)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경우 엔진룸 공간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론트엔드모듈이 에어덕트로 활용될 수 있도록 주변 부품인 프론트엔드모듈에 공기 유입구와 에어덕트로 공기를 유도하는 안내부를 형성하여 소음 발생 문제가 개선된 차량의 에어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덕트는 자동차의 프론트엔드모듈와 에어클리너 사이에 위치하여 외기를 에어클리너에 공급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은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에어덕트로 유도될 수 있도록 에어덕트의 입구부 방향으로 안내부가 형성된다.
안내부는 상기 공기유입구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의 저면에는 드레인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별도의 부품 추가나 에어덕트의 길이를 연장하지 않고서도 흡기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덕트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엔드모듈(10)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12)가 형성된다. 에어덕트(20)에는 유입된 공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입구부(22)가 형성되고 입구부(22)를 통하여 에어덕트(20)를 통한 공기는 에어클리너를 통하여 필터링된 후 배출덕트(24)를 통해 배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엔드모듈(10)에는 에어덕트(20)의 입구부(22) 방향으로 굴곡된 안내부(14)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부(14)가 형성된 프론트엔드모듈(10)은 일정 구간에서 폐단면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유입된 공기를 에어덕트(20)의 유입구로 안내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12)는 이러한 폐단면의 형상을 갖는 안내부(14)에 대응되어 형성된 에어덕트(20)의 입구부(22)가 결합되는 부분과 일정한 거리(ℓ)를 두고 형성된다.
따라서, 일정한 거리(ℓ)에 해당되는 프론트엔드모듈(10)은 에어덕트(20)의 역할을 하게 되고, 엔진룸에서 에어덕트(20)를 연장하거나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도 에어덕트(20)가 연장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에어덕트(20) 연장 효과에 의해서 흡기시 발생되는 소음은 저감된다.
안내부(14)는 공기유입구(12)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2)까지 연장 형성된 안내부(14)에 의해서 유입된 공기는 보다 효율적으로 에어덕트(20)로 유입될 수 있다.
안내부(14)의 저면에는 드레인홀(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 눈 또는 이물질은 드레인홀(16)을 통하여 다시 외부 로 유출되기 때문에 에어덕트(20)로 유입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에어덕트의 개략도;
도 2(a),(b)는 종래의 차량의 에어덕트에서 레이 아웃이 변경된 자동차 에어클리어 에어덕트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에어덕트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에어덕트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론트엔드모듈 12: 공기유입구
14: 안내부 16: 드레인홀
20: 에어덕트 22: 입구부
24: 배출덕트

Claims (3)

  1. 자동차의 프론트엔드모듈와 에어클리너 사이에 위치하여 외기를 에어클리너에 공급하는 차량의 에어덕트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엔드모듈(10)은 공기유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12)로 유입된 공기가 에어덕트(20)로 유도될 수 있도록 에어덕트(20)의 입구부(22) 방향으로 안내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4)는 상기 공기유입구(12)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4)의 저면에는 드레인홀(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덕트.
KR1020080085070A 2008-08-29 2008-08-29 차량의 에어덕트 KR20100026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070A KR20100026170A (ko) 2008-08-29 2008-08-29 차량의 에어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070A KR20100026170A (ko) 2008-08-29 2008-08-29 차량의 에어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170A true KR20100026170A (ko) 2010-03-10

Family

ID=4217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070A KR20100026170A (ko) 2008-08-29 2008-08-29 차량의 에어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61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7743A (zh) * 2018-04-03 2018-08-24 张家港市长力久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特种车辆专用外置式安全风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7743A (zh) * 2018-04-03 2018-08-24 张家港市长力久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特种车辆专用外置式安全风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3167A1 (en) Hybrid working vehicle
KR100802929B1 (ko) 자동차 엔진 룸의 외부 공기 흡입 시스템
JP6335485B2 (ja) 自動車のエアクリーナ
JP4623421B2 (ja) 車体前部構造
KR20100026170A (ko) 차량의 에어덕트
CN101733477B (zh) 机动链锯上的冷风导引
KR20160030227A (ko) 기계 본체 및 작업 기계
CN101749154B (zh) 燃料供给装置
CN105564222B (zh) 内燃机的进气装置
CN203962140U (zh) 一种汽车增压进气的冷却系统
CN201687621U (zh) 一种柴油发动机电动输油泵系统
CN101949379B (zh) 一种可有效降低噪音的车用空压机进排气组件
KR200417811Y1 (ko) 차량용 연료공급 장치
KR200472761Y1 (ko) 레조네이터가 구비된 에어클리너
CN109865888B (zh) 手持式工作器械
KR101369673B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의 스노클 구조
KR101171664B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US20090266341A1 (en) Fuel delivery unit for a motor vehicle
KR20090065379A (ko) 자동차용 흡기시스템
KR200149902Y1 (ko) 자동차용 흡기장치
JP2009162186A (ja) 燃料供給装置
CN206571605U (zh) 外置式多通道供油燃油泵的底座
KR20110062452A (ko) 차량의 외기도입장치
KR20120053111A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의 스노클 설치구조
CN113646516A (zh) 作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