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447A -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447A
KR20100025447A KR1020080108841A KR20080108841A KR20100025447A KR 20100025447 A KR20100025447 A KR 20100025447A KR 1020080108841 A KR1020080108841 A KR 1020080108841A KR 20080108841 A KR20080108841 A KR 20080108841A KR 20100025447 A KR20100025447 A KR 20100025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storage tank
entrance
net
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유키 사카무키
오사무 쿠보
카즈히코 밋타
요시나리 코무라
야스시 나카조우
Original Assignee
칸덴 플랜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칸덴 플랜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칸덴 플랜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6Arresting, diverting or chasing away fish in water-courses or water intake ducts, seas or lakes, e.g. fish barrages, deterrent devices ; Devices for cleaning fish b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과제) 일단 포획한 대형 해파리가 해파리 저류조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할 수 있고, 대형 해파리를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대형 해파리를 저류하는 해파리 저류조(1)와 포획한 대형 해파리를 살린 채 해파리 저류조(1)에 반송하는 해파리 반송 수단(2)을 구비하고, 해파리 저류조(1)에 대형 해파리를 저류함으로써 대형 해파리가 쇠약해져 사멸하고 그 시체가 자연 소멸되도록 메시 형상 부재(3)를 구비한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이다. 해파리 저류조(1)는 출입구(10)가 개방 상태일 때에 해파리 반송 수단(2)의 해파리 저류조(1)로의 진입을 허용하면서 출입구(10)로부터의 대형 해파리의 유출을 방지하는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11)를 설치했다.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Description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GIANT JELLYFISH TREATMENT SYSTEM ON OCEAN}
본 발명은 발전소 등의 해수 취수구에 진입하는 해파리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처리 대상인 대형 해파리를 양륙하는 일 없이 해상에서 처리하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에 의해 해파리류의 대량(이상) 표착이 심각화되고 있다. 특히, 대형 해파리(노무라입깃해파리)의 대량 표착이 빈발하고 있고, 그 규모는 점점 확대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 속, 화력·원자력 발전소에서는 해파리류의 대량 내습에 의해 자주 취수량을 제한하고, 출력을 조정하는 운전을 강요당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 대처로서 해파리의 회수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회수 작업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이 채용되고 있었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파리가 표착하는 해파리 회수 범위(A, B)에서 사람이 바다 속에 들어가 해파리를 그물(103)로 포획하고, 이 그물(103)을 반송선(10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반송선(101)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루트로 해파리가 포획된 그물(103)을 육지(102)로 반송하고, 중장비로 그물(103)을 양륙하여 폐기물로서 처리하고 있었다.
그러나, 육상에서 해파리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노동력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폐기물 처리장의 허용량도 한계에 가까워서 폐기물 배수량의 저감이 요망된다. 또한, 대형 해파리는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양륙하면 바람의 영향으로 독이 비산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해파리를 양륙하는 일 없이 해상에서 처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것은 그물 천으로 구성된 해파리 저류조의 출입구에 회수한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에 흡인할 파이프를 설치하고, 이 파이프로 해파리를 산 채로 해파리 저류조에 유도한다. 해파리 저류조는 취수구 부근의 해수의 흐름이 있는 곳에 설치되므로 저류된 해파리는 운동을 계속하여 감량되고, 머지않아 그물 천에 부착되어 손괴되며, 해수에 녹아 소멸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6-104125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은 해파리를 파이프로 유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형 해파리의 처리에는 적합하다. 그러나, 직경 1m 정도의 대형 해파리의 회수에 적용하면 대형 파이프가 필요해져서 장치가 대형화되거나 고비용이 되거나 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파이프로 대형 해파리를 흡인하기 위해서는 큰 흡인력이 필요해져서 대형 해파리의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를 이용하여 대형 해파리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파이프를 통해 해파리를 흡인할 수 없어서 해파리를 확보한 그물을 반송선에 의해 해파리 저류조에까지 반송할 필요가 있다.
해파리 저류조에는 반송선이 해파리 저류조 내에 출입되기 위한 개폐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반송선이 해파리 저류조 내에 출입될 때에는 출입구는 개방 상태가 된다. 이렇게 출입구가 개방 상태로 된 경우, 해파리 저류조 내의 해파리(특히, 손괴가 적은 해파리)가 해파리 저류조 밖으로 유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일단 포획한 대형 해파리가 해파리 저류조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할 수 있고, 대형 해파리를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대형 해파리를 저류하는 해파리 저류조와, 포획한 대형 해파리를 살린 채로 해파리 저류조에 반송하는 해파리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파리 저류조에 대형 해파리를 저류함으로써 대형 해 파리가 쇠약해져 사멸하고 그 시체가 자연 소멸되도록 메시 형상 부재를 구비한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저류조는 출입구가 개방 상태일 때에 해파리 반송 수단의 해파리 저류조로의 진입을 허용하면서, 출입구로부터의 대형 해파리의 유출을 방지하는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여기에서, 대형 해파리란 갓지름이 약 0.5m~2m 정도의 크기를 갖는 해파리를 말한다.
본 발명의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에서는 해파리 저류조의 출입구에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를 설치했으므로 해파리 저류조의 출입구가 개방 상태가 되어 해파리 반송 수단이 해파리 저류조로 진입한 경우여도 일단 포획한 대형 해파리가 출입구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파리 유출 방지 수단은 해파리 반송 수단이 해파리 저류조로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상기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는 상기 출입구에 버블링에 의해 생긴 기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대형 해파리는 해수 중에 기포가 발생하면 기포로부터 멀어지려고 하는 습성이 있다. 이 때문에, 출입구에 기포를 발생시키면 대형 해파리는 기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출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는 출입구가 폐쇄 상태일 때에도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시 대형 해파리는 출입구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해파리 반송 수단은 대형 해파리를 확보하는 그물과, 이 그물을 해파리 저류조에 반송하는 반송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물은 1개의 개구부를 가지며, 개구부를 끌어올림 상태로 하는 끌어올림용 로프와, 이 끌어올림용 로프와 180도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출용 로프를 구비하고, 반송 중에는 상기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끌어올림용 로프가 반송선에 고정되어 견인되며, 해파리 저류조 내에서는 배출용 로프를 반송선에 고정하여 개구부의 조임 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끌어올림용 로프의 반송선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그물의 개구부가 반전되어 그물 내의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에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해파리 저류조 내에 저면으로부터 소정 위치의 높이로 유지되는 부표를 설치하고, 이 부표로부터 눈금을 설치하여 이 눈금의 잠긴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대형 해파리의 퇴적에 따라서 부표 및 눈금이 하강되어 잠기고, 눈금의 잠긴 양을 측정함으로써 해파리 저류조 내의 대형 해파리 퇴적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서 해파리 저류조 내의 빈 용량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해파리 저류조를 대형 해파리가 대량 표착하는 장소 근방에 설치할 수 있다. 대형 해파리가 대량으로 표착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대형 해파리의 포획 작업이 빈번히 발생하여 해파리 저류조와의 반송 회수가 늘어난다. 이 때문에, 해파리 저류조를 대형 해파리가 대량 표착하는 장소 근방에 설치하면 해파리 반송 수단의 반송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해파리 저류조의 출입구가 개방 상태가 되어 해파리 반송 수단이 해파리 저류조에 진입하는 경우여도 일단 포획한 대형 해파리가 출입구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효율적으로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에 저류할 수 있고, 일단 포획한 대형 해 파리를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해파리 유출 방지 수단은 해파리 반송 수단이 해파리 저류조로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일이 없으므로 해파리 반송 수단은 원활하게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다.
해파리 저류조의 출입구에 기포를 발생시키면 대형 해파리가 기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출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대형 해파리의 출입구로부터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로서는 복잡한 것이 되지 않아 장치의 대형화 및 고비용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는 출입구가 폐쇄 상태일 때에도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면 상시 대형 해파리는 출입구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게 되어서 대형 해파리의 출입구로부터의 유출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해파리 반송 수단을 구성하는 그물로서 개구부를 끌어올림 상태로 하는 끌어올림용 로프와, 이 끌어올림용 로프와 180도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출용 로프를 구비하면 그물을 안정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그물의 개구부가 반전되어 그물 내의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에 배출할 수 있어서 간단한 방법으로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에 배출할 수 있다.
부표의 잠긴 양을 측정함으로써 해파리 저류조 내의 대형 해파리 퇴적량을 모니터링하면 해파리 저류조의 빈 용량을 인식하여 빈 용량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해파리 저류조에 반송하는 등의 대책을 강구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에 반송할 수 있다.
해파리 저류조를 대형 해파리가 대량 표착하는 장소 근방에 설치하면 해파리 반송 수단의 반송 거리를 작게 할 수 있어서 한층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형 해파리를 저류하는 해파리 저류조(1)와, 포획한 대형 해파리를 살린 채 해파리 저류조(1)에 반송하는 해파리 반송 수단(2)을 구비하여 대형 해파리를 양륙하는 일 없이 해상에서 처리하는 것이다. 즉, 도 1의 해파리 회수 범위(A, B)에 있어서 사람이 해수에 들어가 대형 해파리를 포획하고, 포획한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반송 수단(2)으로 해파리 저류조(1)까지 반송한다. 그리고, 대형 해파리가 쇠약해져 사멸하고, 그 시체가 자연 소멸된다. 또한, 대형 해파리란 갓지름이 약 0.5m~2m 정도의 크기를 갖는 해파리를 말한다.
해파리 저류조(1)는 포획한 대형 해파리를 저류하기 위한 것으로 해상에 설치된다. 도 1에 있어서, 해파리 회수 범위(A)는 특히 대형 해파리가 대량 표착하기 쉬운 장소이고, 해파리 회수 범위(B)는 해파리 회수 범위(A)에 비해 대형 해파리의 표착이 소량인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해파리 저류조(1)는 대형 해파리가 대량 표착하는 해파리 회수 범위(A)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즉, 해파리가 대량으로 표착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대형 해파리의 포획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해파리 저류조(1)와의 반송 회수가 늘어난다. 이 때문에, 해파리 저류조(1)를 해파리 회수 범위(A) 근방에 설치하여 해파리 회수 범위(A)로부터의 반송 루트(S)를 짧게 하고 있다. 한편, 대형 해파리의 표착이 비교적 소량인 해파리 회수 범위(B)에 있어서는 대형 해파리의 포획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일이 없어서 해파리 저류조(1)와의 반송 회수는 많지는 않다. 이 때문에, 해파리 회수 범위(B)로부터의 반송 루트(L)는 반송 루트(S)보다 길다. 이로 인해, 해파리 반송 수단(2)의 반송 거리를 전체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해파리 저류조(1)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팔각형 형상의 프레임체(발판판)(4)와, 이 프레임체(4)를 따라 소정 깊이까지 설치되고 해파리 저류조(1)의 둘레벽을 구성하는 시트(5)와, 이 시트(5)의 아래쪽에 소정 깊이까지 설치되고 저면(6)을 갖는 메시 형상 부재(3)를 구비한다. 프레임체(4)는 그 1변이 결여되어 7개의 변으로 구성되어 있고, 변이 결여되어 있는 부위에는 시트(5)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해파리 저류조(1)에는 정팔각형의 1변이 개구되는 개구부(7)가 형성되고, 개구부(7)로 해파리 반송 수단(2)이 출입하는 출입구(10)로 할 수 있다. 이 출입구(10)에는 출입구(10)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문(8)이 설치되어 있다. 문(8)은 일단부가 프레임체(4)에 접속되고, 이 접속부를 중심으로 요동됨으로써 출입구(10)를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해파리 저류조(1)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선단부가 출입구(10) 근방에 배치되는 에어 공급 호스(12)와, 에어원(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에어원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에어 공급 호스(12)를 통해 출입구(10)의 근방에 공급한다. 그리고, 출입구(10)에 버블링에 의해 생긴 기포로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11)로 할 수 있다. 이것은 해수 중에 기포가 발생하면 대형 해파리는 기포로부터 멀어지려고 하는 습성을 이용한 것 이다. 즉, 출입구(10)에 기포를 발생시키면 대형 해파리는 기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출입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출입구(10)가 개방 상태가 되어도 일단 포획한 대형 해파리가 출입구(10)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11)는 출입구(10)가 폐쇄 상태일 때에도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시 대형 해파리는 출입구(10)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게 되어 대형 해파리가 유출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해파리 저류조 내의 메시 형상 부재(3)의 저면(6)에는, 도 2이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표(13)와, 이 부표(13)에 형성되는 눈금(14)을 설치하고 있다. 즉, 부표(13)는 메시 형상 부재(3)의 저면(6)으로부터 소정 위치의 높이에 유지되어 있고, 부표(13)로부터 위쪽에 소정 길이 돌출되는 눈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팔각형의 각 정점으로부터 부표(13)에 연장되는 보조 와이어(15)를 설치하고 있다. 보조 와이어(15)는 메시 형상 부재(3)의 저면(6)보다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보조 와이어(15)로 메시 형상 부재(3)의 저면(6)을 지탱할 수 있다. 이 보조 와이어(15)로 부표(13)를 고정시킴으로써 부표(13)가 해파리 저류조(1)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반송선(21)이 부표(13)에 충돌해도 부표(13)가 해파리 저류조(1)의 중앙부로부터 이동하여 반송선(21)의 진로를 방해할 일이 없다. 또한, 충돌에 의해 부표(13)가 해파리 저류조(1)의 중앙부로부터 이동해도 조금 후에 부표(13)는 다시 해파리 저류조(1)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해파리 저류조(1)에 대형 해파리의 시체가 퇴적되어가면 메시 형상 부 재(3)의 저면(6)의 위치가 하강된다. 이 경우, 메시 형상 부재(3)의 저면(6)에 설치된 부표(13)도 메시 형상 부재(3)의 하강에 따라 하강되어 잠긴다. 이 때문에, 부표(13)에 형성된 눈금(14)의 잠긴 양을 측정함으로써 해파리 저류조 내의 대형 해파리 퇴적량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해파리 저류조 내의 빈 용량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빈 용량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해파리 저류조(1)에 포획한 대형 해파리를 반송하는 등의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상기 해파리 반송 수단(2)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형 해파리를 포획하는 그물(20)과, 이 그물(20)을 해파리 저류조(1)에 반송하는 반송선(2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물(2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개구부(22)를 갖고, 개구부(22)를 막는 조임용 로프(23)와, 개구부(22)를 끌어올림 상태로 하는 4개의 끌어올림용 로프(26)와, 이 끌어올림용 로프(26)와 180도 반대 방향에 보강부(25)를 통해 연결되는 배출용 로프(24)를 구비한다. 반송 중에는 개구부(22)가 조임용 로프(23)로 폐쇄된 상태에서 끌어올림용 로프(26)가 반송선(21)에 고정되어 견인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파리(특히, 노무라입깃해파리 등의 대형 해파리)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의 해파리 회수 범위(A, B)에 있어서, 반송선(21)의 스크류(도시 생략)에 의한 회전력으로 발생된 추진력을 이용해서 그물(20)의 개구부(22)에 대형 해파리를 몰아넣어 그물 내에 대형 해파리를 포획한다. 그리고, 조임용 로프(23)로 개구부(22)를 조임으로써 개구부(22)를 막아 그물(20)로부터 대형 해파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22)가 폐쇄된 상태에서 끌어올림용 로프(26)를 반송선(21)에 고정시키고, 반송선(21)은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루트(S)로 그물(20)을 반송한다. 이로 인해, 반송선(21)은 대형 해파리가 포획된 그물(20)을 해파리 저류조(1)에까지 견인한다.
반송선(21)이 해파리 저류조(1)의 출입구(10)까지 도달하면 문(8)을 개방 상태로 하여 반송선(21)의 해파리 저류조(1)로의 진입을 허용한다. 이 경우, 출입구(10)에는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11)로 버블링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대형 해파리는 기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출입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회까지의 반송으로 해파리 저류조(1)에 저류되어 있는 대형 해파리가 출입구(10)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송선(21)이 출입구(10)를 통과하여 해파리 저류조(1)의 내부에 진입하면 문(8)은 폐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배출용 로프(24)를 반송선(21)에 고정시키고, 조임용 로프(23)를 자유 상태로 하여 개구부(22)의 조임 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끌어올림용 로프(26)의 반송선(21)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로 인해, 그물(20)의 개구부(22)가 반전되어 그물 내의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1)에 배출할 수 있다.
그 후, 반송선(21)은 해파리 저류조(1)로부터 퇴출된다. 즉, 문(8)은 다시 개방 상태가 되어 반송선(21)은 출입구(10)를 통과한다. 이 경우에도, 출입구(10)에는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11)로 버블링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일단 포획한 대형 해파리가 출입구(10)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반송을 반복적으로 행하여 바다 속에 대량 표착하는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1)에 반송한다. 해파리 저류조 내의 대형 해파리는 쇠약해져 사멸하고, 그 시체가 자연 소멸된다.
해파리 회수 범위(B)에 표착하는 대형 해파리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해파리 저류조(1)에 반송한다. 이 경우, 반송선(21)은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루트(L)로 그물(20)을 반송한다.
해파리 저류조(1)에 대형 해파리의 시체가 퇴적되어가면 메시 형상 부재(3)의 저면(6)의 위치가 하강된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해파리 저류조 내의 대형 해파리 퇴적량을 모니터링하게 되고, 빈 용량이 있는 경우에는 해파리 저류조 내에 계속해서 해파리를 반송하며, 빈 용량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해파리 저류조(1)에 포획한 대형 해파리를 반송하는 등의 대책을 강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은 해파리 저류조(1)의 출입구(10)가 개방 상태로 되어 해파리 반송 수단(2)이 해파리 저류조(1)로 진입할 경우여도 일단 포획한 대형 해파리가 출입구(10)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효율적으로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1)에 저류할 수 있어서 일단 포획한 대형 해파리를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해파리 유출 방지 수단(11)은 해파리 반송 수단(2)이 해파리 저류조(1)에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일이 없으므로, 해파리 반송 수단(2)은 원활하게 출입구(10)를 통과할 수 있다.
해파리 저류조(1)의 출입구(10)에 기포를 발생시키면 대형 해파리는 기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출입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대형 해파리의 출입구(10)로부터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11)로서는 복잡한 것이 되지 않아 장치의 대형화 및 고비용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11)는 출입구(10)가 폐쇄 상태일 때에도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면 상시 대형 해파리는 출입구(10)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게 되어 대형 해파리의 출입구(10)로부터의 유출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해파리 반송 수단(2)을 구성하는 그물(20)로서 개구부(22)를 끌어올림 상태로 하는 끌어올림용 로프(26)와, 이 끌어올림용 로프(26)와 180도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출용 로프(24)를 구비하면 그물(20)을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그물(20)의 개구부(22)가 반전되어 그물 내의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1)에 배출할 수 있어서 간단한 방법으로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1)에 배출할 수 있다.
부표(13)의 잠긴 양을 측정함으로써 해파리 저류조 내의 대형 해파리 퇴적량을 모니터링하면 해파리 저류조(1)의 빈 용량을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빈 용량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해파리 저류조(1)에 반송하는 등의 대책을 강구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1)에 반송할 수 있다.
해파리 저류조(1)를 대형 해파리가 대량 표착하는 장소 근방에 설치하면 해파리 반송 수단(2)의 반송 거리를 작게 할 수 있어서 한층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해파리 저류조(1)의 형상으로서는 평면으로 볼 때 정팔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마름모꼴, 원형, 타원형 등 여러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출입구(10)는 1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2개소 이상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각각의 출입구(10)에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11)를 설치할 수 있다. 그물(20)에 부착되는 끌어올림용 로프(26)의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버블링의 방법은 다른 방법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초음파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키는 등 여러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11)로서는 출입구(10)로부터 해파리 저류조(1)의 내부를 향해 해수을 유통시키는, 즉 대형 해파리가 유출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유통시킴으로써 강제적으로 대형 해파리를 해파리 저류조(1)의 내부에 역류시키는 기구여도 좋다. 또한, 대형 해파리를 역류시키는 기구와 버블링에 의한 기구를 병용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해파리 저류조의 간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해파리 저류조의 간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해파리 저류조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그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해파리 저류조 2 : 해파리 반송 수단
3 : 메시 형상 부재 10 : 출입구
11 :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 13 : 부표
20 : 그물 21 : 반송선
22 : 개구부 24 : 배출용 로프
26 : 끌어올림용 로프

Claims (6)

  1. 대형 해파리를 저류하는 해파리 저류조와 포획한 대형 해파리를 살린 채 해파리 저류조에 반송하는 해파리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파리 저류조에 대형 해파리를 저류함으로써 대형 해파리가 쇠약해져 사멸하고 그 시체가 자연 소멸되도록 메시 형상 부재를 구비한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저류조는 출입구가 개방 상태일 때에 해파리 반송 수단의 해파리 저류조로의 진입을 허용하면서 출입구로부터의 대형 해파리의 유출을 방지하는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는 상기 출입구에 버블링에 의해 생긴 기포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유출 방지 기구는 출입구가 폐쇄 상태일 때에도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반송 수단은 대 형 해파리를 확보하는 그물과, 이 그물을 해파리 저류조에 반송하는 반송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물은 1개의 개구부를 갖고, 개구부를 끌어올림 상태로 하는 끌어올림용 로프와, 이 끌어올림용 로프와 180도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출용 로프를 구비하며,
    반송 중에는 상기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끌어올림용 로프가 반송선에 고정되어 견인되고,
    상기 해파리 저류조 내에서는 배출용 로프를 반송선에 고정시켜 개구부의 조임 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끌어올림용 로프의 반송선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저류조 내에 저면으로부터 소정 위치의 높이로 유지되는 부표를 설치하고, 이 부표로부터 눈금을 설치하여 이 눈금의 잠긴 양을 측정함으로써 해파리 저류조 내의 대형 해파리 퇴적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 저류조를 대형 해파리가 대량 표착하는 장소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KR1020080108841A 2008-08-27 2008-11-04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KR201000254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7950A JP5028362B2 (ja) 2008-08-27 2008-08-27 大型クラゲの洋上処理システム
JPJP-P-2008-217950 2008-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447A true KR20100025447A (ko) 2010-03-09

Family

ID=4206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841A KR20100025447A (ko) 2008-08-27 2008-11-04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028362B2 (ko)
KR (1) KR201000254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13796A (zh) * 2023-10-24 2023-11-24 国家海洋局北海预报中心((国家海洋局青岛海洋预报台)(国家海洋局青岛海洋环境监测中心站)) 一种考虑自主运动的大型水母中期漂移集合预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9541B2 (ja) * 2011-07-28 2016-02-10 東北電力株式会社 クラゲの洋上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834A (ja) * 1997-03-06 1998-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ラゲ流入防止装置
JP2004016118A (ja) * 2002-06-17 2004-01-22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中生物捕獲装置
JP2004081119A (ja) * 2002-08-27 2004-03-18 Ebara Corp 水生生物の除去及び付着防止方法
JP4269310B2 (ja) * 2003-03-17 2009-05-27 日本原子力発電株式会社 クラゲ流入防止装置
JP4734107B2 (ja) * 2005-12-09 2011-07-27 東北電力株式会社 クラゲの洋上処理システム
JP2008167707A (ja) * 2007-01-13 2008-07-24 Yukio Hirose クラゲ捕獲脱水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13796A (zh) * 2023-10-24 2023-11-24 国家海洋局北海预报中心((国家海洋局青岛海洋预报台)(国家海洋局青岛海洋环境监测中心站)) 一种考虑自主运动的大型水母中期漂移集合预报方法
CN117113796B (zh) * 2023-10-24 2024-02-27 国家海洋局北海预报中心((国家海洋局青岛海洋预报台)(国家海洋局青岛海洋环境监测中心站)) 一种考虑自主运动的大型水母中期漂移集合预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51874A (ja) 2010-03-11
JP5028362B2 (ja)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2196B (zh) 从水体捕获鱼的方法和设备
US11445708B2 (en) Floating marine plant for containing marine organisms
US4434572A (en) Retrieval of lobsters and other objects
WO20180749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ff-shore & in-shore aquaculture using floating closed containment farming and amalgamated facility
CN109736254A (zh) 高坝综合过鱼设施及其过鱼方法
WO2012064201A1 (en) Construction of a pumping system and uses thereof
CN110169382B (zh) 双体式养殖平台
KR102405077B1 (ko) 해수취수시설의 수문청소장치
KR20100025447A (ko) 대형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JP2008237225A (ja) 魚の捕獲・運搬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運搬用浮体
US20200024815A1 (en) Apparatus for removing surface pollutants and bottom muck from a body of water
JP6840484B2 (ja) 給餌装置、養殖装置および給餌方法
NO20200721A1 (no) Oppdrettsanlegg og fremgangsmåte for oppdrett av fisk
JP5726234B2 (ja) アオコ収集装置
JP5752230B2 (ja) 異物洋上処理システム
US4551938A (en) Retrieval of lobsters and other objects
JP4269310B2 (ja) クラゲ流入防止装置
CA3132609A1 (en) Fish farm installation
JPH08163938A (ja) 航行用生簀
JP4832551B2 (ja) くらげ放流システム及びくらげ放流方法
WO20041113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oil spills
JP7274146B2 (ja) 漂流物移送装置
JP2005113450A (ja) 取水口への異物流入防止装置
JPS60114135A (ja) 活魚を外部水から保護する養魚装置
KR101877184B1 (ko) 에어백을 이용한 침선어초 시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