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196A - 벽지 풀칠기 - Google Patents

벽지 풀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196A
KR20100025196A KR1020080083866A KR20080083866A KR20100025196A KR 20100025196 A KR20100025196 A KR 20100025196A KR 1020080083866 A KR1020080083866 A KR 1020080083866A KR 20080083866 A KR20080083866 A KR 20080083866A KR 20100025196 A KR20100025196 A KR 20100025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roller
main body
paste
p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8483B1 (ko
Inventor
야수히로 시미즈
마사토시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쿄쿠토오산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쿠토오산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쿄쿠토오산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0083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4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4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벽지 풀칠기는 벽지 풀칠기 본체부가, 풀칠 롤러를 포함하는 풀칠 실행 중에 풀이 부착되는 롤러를 좌우 1쌍의 프레임으로 축지지하고, 그 좌우 1쌍의 프레임 내에 풀을 수용한 풀 상자를 유지하는 제 1 본체부 유닛과, 풀칠 실행 중에 풀이 부착되지 않은 검척 롤러와 송출 롤러를 좌우 1쌍의 프레임으로 축지지하는 제 2 본체부 유닛의 2개의 유닛으로 분할 구성되고, 제 2 본체부 유닛이 제 1 본체부 유닛의 후방부 스테이보다 벽지 원단롤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풀칠 작업 종료 후의 롤러 등의 청소 작업을 포토 마이크로 센서 등의 전기부품이나 풀이 부착되지 않는 롤러에 물이 닿는 일 없이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내장 시행 현장으로의 반입, 내장 시행 현장으로부터의 반출이 쉬운 벽지 풀칠기가 제공된다.
벽지 풀칠기

Description

벽지 풀칠기{WALLPAPER P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벽지의 이면에 풀을 도포하는 벽지 풀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지 풀칠기의 유닛 구성의 일례를 도 12에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다. 이 벽지 풀칠기는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한 벽지 풀칠기 본체부(210)와, 이 벽지 풀칠기 본체부(210)를 싣는 접이식의 다리부(230)와, 벽지 풀칠기의 복수개의 롤러를 회전시켜 풀칠 동작을 시키기 위한 제어 박스부(240)의 3개의 기본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속품으로서의 벽지 원단롤을 장착하기 위한 원단롤 심봉(251)과 사이드판(252)을 갖고 있다. 도 13은 각 유닛을 조립한 상태의 종래의 벽지 풀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벽지 풀칠기 본체부(210)의 복수개의 롤러의 배치를 도 14의 단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벽지(P)를 끼워넣어서 반송하기 위한 송출 롤러(211)와 검척 롤러(212)를 가장 벽지 원단롤측(상류)에 설치하고, 이들에 의해 벽지(P)를 끼워넣어 벽지 풀칠기 본체부(210) 내부에 반송한다. 본체 단면의 거의 중앙부에 벽지(P)에 풀(213)을 전사하기 위한 풀칠 롤러(214)를 설치하고, 풀칠 롤러(214)에 벽지(P)를 가압하기 위 해서 풀칠 롤러(214)의 상류측에 하이 텐션 롤러(high tension roller)(215)를, 하류(벽지 배출측)에 압압 롤러(216)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또한, 닥터 롤러(doctor roller)(217)를 풀칠 롤러(214)와 평행하게 배치하고, 닥터 롤러(217)의 위치를 변이시킴으로써 양 롤러(214,217)의 간격(간극)을 변경하고, 벽지(P)에 전사되는 풀(213)의 도포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풀칠 롤러(214)의 더욱 하류(벽지 배출측)에, 전사한 풀(213)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나라시 롤러(평탄 작업용 롤러)(218)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 복수개의 롤러는 좌우의 프레임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고, 좌우의 프레임은 또한 좌우 상부 프레임과 좌우 하부 프레임으로 분할되어 있고, 검척 롤러(212)와 하이 텐션 롤러(215)와 압압 롤러(216)는 좌우 상부 프레임에 축지지되고, 송출 롤러(211)와 닥터 롤러(217)와 풀칠 롤러(214)와 나라시 롤러(218)는 좌우 하부 프레임에 축지지되어 있다.
이들 모든 롤러는 벽지 풀칠기 본체(210)의 후방부 스테이(222) 내측에서 풀 상자(22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본체부 스냅 록(snap lock)(224)의 록킹을 해제하면 개폐 지점(225)을 중심으로 개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반송한 벽지(P)의 길이를 산출하기 위한 검척부(226)(도 13)를 상부 프레임의 커버 내부에 설치하고 있다. 이 검척부(226)는 검척 롤러(212)의 축에 슬릿판을 설치하여 슬릿판의 회전을 포토 마이크로 센서에 의해 검출해서 펄스 신호를 발생하고, 그 펄스를 계측함으로써 벽지(P)의 반송 길이를 산출하고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에는 풀(213)을 축적해 두기 위한 풀 상자(223)를 장착하고 있고, 풀 상자(223) 내부에는 풀(213)을 풀칠 롤러(214)에 전사하기 위한 풀 인상 롤러(227)를 풀 상자(213)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어 박스부(240)의 외부 정면에는 벽지 풀칠기를 조작하기 위한 표시 조작부(241)가 있고, 또한 천장면에는 벽지 풀칠기 본체부(210)의 검척부(226)로부터 신호를 얻기 위한 센서 코드(242)가 연장되어 있다. 도면 중 243은 검척 신호 플러그, 244는 전원 플러그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벽지 풀칠기를 내장 시행 현장으로 반입해서 작업을 행할 경우, 벽지 풀칠기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마다 분할해서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반입 후, 벽지 풀칠기의 조립을 행하고, 도 13과 같은 설치 상태로 한다. 반입 설치가 종료되면, 풀칠 준비를 행한 후, 이 벽지 풀칠기를 이용하여 벽지(P)의 풀칠 작업을 개시한다.
풀칠 작업은 풀 상자(223)에 풀(213)을 넣은 상태에서, 벽지 풀칠기 본체부(210) 내에 설치한 후, 벽지 원단롤(PG)로부터 벽지(P)의 선단을 인출하고, 그 선단을 송출 롤러(211)와 풀칠 롤러(214) 상에 벽지(P)가 구불구불하지 않도록 직선성에 주의하여 놓고나서 상부 프레임을 폐쇄한다. 상부 프레임을 폐쇄했을 때에 벽지(P)는 상기에서 설명한 롤러의 사이에서 소정의 경로가 되도록 끼워넣어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어서, 「인터럽트 스위치」를 누르고, 복수개의 롤러를 회전시켜 벽지(P)의 선단이 벽지 풀칠기의 정면측으로 배출되어서 조금 아래로 늘어지면 또 한번 「인터럽트 스위치」를 눌러 복수개의 롤러를 정지시킨다.
이어서 작업자는 벽지 풀칠기의 정면측으로 돌아가서 인칭 키(inching key)(도시 생략)를 눌러 복수개의 롤러를 회전시켜서 풀칠을 하면서 벽지(P)를 배출시키고, 배출되는 벽지(P)의 이면을 보아 벽지(P)의 이면에 풀(213)이 칠해진 부분이 벽지 풀칠기 본체 하부의 풀 상자 정면 하부와 하부 프레임 사이에 있는 커터 가이드부를 통과하면 인칭 키(도시 생략)로부터 손을 떼어서 복수개의 롤러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면에 풀(213)이 묻은 벽지(P)를 커터 가이드부에 밀어 붙여서 움직이지 않도록 밀착시키고나서 커터 나이프로 가로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절단한다. 이 일직선으로 절단한 위치가 1장째에 풀(213)을 칠하는 벽지(P)의 원점(길이 0㎝의 위치)이 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풀칠하는 1장째의 벽지(P)의 길이를 설정하여 스타트 키(도시 생략)를 누르면, 벽지 풀칠기의 제어부(도시 생략)는 복수개의 롤러를 회전시켜 벽지(P)를 반송시키면서 이면에 풀(213)을 칠해서 검척부(226)로부터의 신호를 순서대로 계산하고, 순서대로 계산한 길이를 표시 조작부(241)에 표시하면서 동작을 계속하고, 풀(213)을 칠해서 배출한 벽지(P)의 길이가 설정된 길이에 도달하면 복수개의 롤러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면에 풀(213)이 칠해진 벽지(P)를 커터 가이드부에 밀어 붙여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커터 나이프로 가로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절단한다. 이상의 조작(동작)에 의해 1장째의 벽지(P)의 풀칠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조작을 반복 실행하여 이면에 풀(213)을 칠해서 풀면끼리를 겹 친 벽지(P)가 5, 6장 되면, 이 벽지(P)를 붙이는 방까지 운반하고, 벽에 붙이는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그 붙임 작업이 끝나면, 다시, 벽지 풀칠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으로 되돌아와서 다음으로 붙일 만큼의 벽지(P)의 풀칠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작업이 종료되면 벽지 풀칠기의 청소를 행한다. 벽지 풀칠기의 청소에서는 풀이 붙은 롤러나 부재, 풀 상자(223) 등을 물을 포함한 스펀지 등을 이용하여 세정, 닦아내기를 행한다. 그 때, 분리 가능한 롤러는 벽지 풀칠기 본체부(210)로부터 분리한 후, 세정, 닦아내기를 행한다.
청소가 끝난 벽지 풀칠기는 반입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으로 분해해서 반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벽지 풀칠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벽지 풀칠기 본체부(210)에서는 풀칠 롤러(214)를 포함하고, 풀칠 롤러(214)보다 배출측(하류)에 있고, 풀칠 실행 중에 풀(213)이 부착되는 롤러류와 풀 상자(223)와, 풀칠 롤러(214)를 포함하지 않고, 풀칠 롤러(214)보다 벽지 원단롤측(상류)에 있고, 풀칠 실행 중에 풀(213)이 부착되지 않는 롤러류와 검척 수단(전기부품)(226)이 동일 프레임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으므로, 청소 작업시, 스펀지로 풀(213)을 떨어뜨리도록 문지르고 있을 때 등에 풀(213)이 섞인 물이 프레임 커버 내에 들어가 버려 잘못해서 검척부(226)의 포토 마이크로 센서의 커넥터 부분에 닿아 버릴 경우가 있다. 이것을 몇번이고 반복하면 전기부품인 포토 마이크로 센서가 고장난다.
또한, 청소 작업에 있어서 풀칠 작업에서는 풀(213)이 부착되지 않는 롤러인 송출 롤러(211)와 검척 롤러(212)에도 물을 뿌려 버릴 경우가 있다. 송출 롤러(211)의 표면과 검척 롤러(212)의 표면에 오염이 부착되어 있으면, 풀칠 작업 중에 벽지 표면을 오염 손상시켜 버리기 때문에, 풀(213)을 깨끗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고, 주의해서 세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의 깊게 청소하고 있었던 경우에도 수년간 계속해서 사용하면 풀칠 롤러(214)나 닥터 롤러(217)의 축부에 풀(213)의 덩어리가 응고되어 버려 이것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풀(213)이 부착되지 않는 롤러 등에 신경을 쓰지 않고 점성이 있어 세정하기 어려운 풀(213)을 더욱 간단하고 빠르게 세정하고 싶지만 할 수 없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벽지 풀칠기에서는 벽지 풀칠기 본체부(210)에 모든 롤러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벽지 풀칠기 본체부(210)의 중량이 무겁고, 유닛으로 분할해서 반입 반출할 경우에 있어서도 그 운반이 곤란했다. 이것은 각 유닛이 예컨대 다음과 같은 중량인 것에 의한다.
일례를 들면 다음과 같은 중량이 된다.
벽지 풀칠기 본체부 210 = 25.0㎏
다리부 230 = 12.8㎏
제어 박스부 240 = 4.0㎏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풀칠 작업 종료 후의 롤러 등의 청소 작업을 포토 마이크로 센서 등의 전기부품이나 풀이 부착되지 않는 롤러에 물이 닿는 일 없이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내장 시행 현장으로의 반입, 내장 시행 현장으로부터의 반출이 쉬운 벽지 풀칠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1 발명으로는, 벽지 풀칠기 본체부가, 풀칠 롤러를 포함하는 풀칠 실행 중에 풀이 부착되는 롤러를 좌우 1쌍의 프레임으로 축지지하고, 그 좌우 1쌍의 프레임 내에 풀을 수용한 풀 상자를 유지하는 제 1 본체부 유닛과, 풀칠 실행 중에 풀이 부착되지 않는 검척 롤러와 송출 롤러를 좌우 1쌍의 프레임으로 축지지하는 제 2 본체부 유닛의 2개의 유닛으로 분할 구성되고, 제 2 본체부 유닛이 제 1 본체부 유닛의 후방부 스테이보다 벽지 원단롤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가 제공된다.
또한, 제 2 발명으로는,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제 1 본체부 유닛, 제 2 본체부 유닛, 제 2 본체부 유닛이 제 1 본체부 유닛에 부착된 상태로 적재되는 다리부, 및 벽지 풀칠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박스부의 4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가 제공된다.
또한, 제 3 발명으로는,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검척 롤러가 송출 롤러의 하측에 설치되고, 검척 롤러가 벽지의 이면에 접촉하고, 벽지의 반송 길이를 측장(測長)하는 검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가 제공된다.
또한, 제 4 발명으로는,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제 2 본체부 유닛 내에 반송되는 벽지가 송출 롤러에 소정의 길이만큼 감기도록 제 2 본체부의 입구 스테이의 위치와, 검척 롤러와 송출 롤러가 벽지를 끼워넣는 위치와, 제 1 본체부의 후방부 스테이의 위치를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가 제공된다.
또한, 제 5 발명으로는,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검척 롤러는 누름 레버 내에 위치하는 검척 레버에 축지지되고, 누름 레버와 검척 레버는 제 2 본체부 유닛의 좌우 프레임 사이에 축설된 지점 축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개폐 레버의 회전에 의해 검척 롤러가 송출 롤러측으로 압박되고, 또한 압박의 해제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가 제공된다.
또한, 제 6 발명으로는,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제어 박스부가 제 2 본체부 유닛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가 제공된다.
또한, 제 7 발명으로는,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제 2 본체부 유닛은 제어 박스부의 구동용 기어와 맞물림 구동력을 받는 구동 전달 기어와, 제 1 본체부 유닛의 송출 롤러 구동 기어와 맞물림 구동력을 전달하는 중계 기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가 제공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풀칠 작업 종료 후의 롤러 등의 청소 작업을 포토 마이크로 센서 등의 전기부품이나 풀이 부착되지 않는 롤러에 물이 닿는 일 없이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내장 시행 현장으로의 반입, 내장 시행 현장으로부터의 반출이 쉬운 벽지 풀칠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의 유닛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벽지 풀칠기는 후술하는 송출 롤러와 검척 롤러로 이루어지는 제 2 본체부(40), 송출 롤러와 검척 롤러를 제외한 복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제 1 본체부(10), 연결한 제 1 본체부(10)와 제 2 본체부(40)를 적재하는 다리부(70), 및 벽지 풀칠기의 복수개의 롤러를 회전시켜 풀칠 동작을 시키기 위한 제어 박스부(80)의 4개의 기본 유닛과, 부속 유닛으로서의 벽지(P)(도 2, 도 3)의 이면에 물을 묻히기 위한 물 바름 장치부(90)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속품으로서의 벽지 원단롤(PG)(도 2, 도 3)을 장착하기 위한 원단롤 심봉(95)과 사이드판(96)을 갖고 있다.
또한, 물 바름 장치부(90)는 풀칠된 벽지(P)의 이면에 벽지(P)의 배출측에 있어서 벽지 이면에 물을 내뿜을 때 벽지 풀칠기에 세트해서 사용하는 유닛이다.
우선, 제 1 실시형태의 벽지 풀칠기의 제 1 본체부(10)에 제 2 본체부(40)를 부착했을 때의 복수개의 롤러의 배치를 도 3의 단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2 본체부(40)를 제 1 본체부(10)의 후방부 스테이(11)보다 벽지 원단롤측(상류측)에 부착하고, 송출 롤러(41)와 검척 롤러(42)에 의해 벽지(P)를 끼워 넣어서 제 1 본체부(10) 내부로 반송한다.
제 1 본체부(10)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3의 제 1 본체부(10) 단면의 거의 중앙부에 벽지(P)에 풀(12)을 전사하기 위한 풀칠 롤러(13)를 설치하고, 풀칠 롤러(13)에 벽지(P)를 가압하는 반송 경로가 되도록 풀칠 롤러(13)의 상류측에 하이 텐션 롤러(14)를, 하류(벽지 배출측)에 압압 스테이(15)(15는 롤러로 구성해도 됨)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또한, 닥터 롤러(16)를 풀칠 롤러(13)와 평행하게 배치하고, 닥터 롤러(16)의 위치를 변이시킴으로써 양 롤러(13,16)의 간격(간극)을 변경하고, 벽지(P)에 전사되는 풀(12)의 도포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풀칠 롤러(13)의 더욱 하류(벽지 배출측)에 벽지(P)의 이면에 전사 도포한 풀(12)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나라시 롤러(17)를 설치하고 있다.
하이 텐션 롤러(14)와 압압 스테이(15)는 제 1 본체부 상부 좌측 프레임과 제 1 본체부 상부 우측 프레임에 의해 축지지되고, 닥터 롤러(16)와 풀칠 롤러(13) 와 나라시 롤러(17)는 제 1 본체부 하부 좌측 프레임과 제 1 본체부 하부 우측 프레임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1 본체부 상부 프레임과 제 1 본체부 하부 프레임은 제 1 본체부 스냅 록(18)의 록킹을 해제하면, 개폐 지점(19)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풀 상자(20)는 제 1 본체부 하부 좌측 프레임과 제 1 본체부 하부 우측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고, 전방(벽지 배출측)으로 인출할 수 있고, 또한 풀 상자(20)는 제 1 본체부(10)로부터 떼어낼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본체부(10)의 편측에는 기어 박스(21)가 설치되고, 기어 박스(21)의 측면에 설치한 가이드 수용부(도시 생략)에 제어 박스부(80)의 둥근 가이드(81)가 끼워맞춰지고, 제어 박스부(80)를 제 1 본체부(10)에 부착시켜서 제어 박스부(80)의 구동용 기어(82)를 제 1 본체부(10)의 기어 박스(21)에 내부 설치한 기어에 맞물리게 하여 벽지 풀칠기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박스부(80)를 부착한 상태는 도 2에 나타낸다.
이어서, 제 2 본체부(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b)는 제 1 본체부(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본체부(40)를 나타내는 사시도,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본체부(40)의 정면도이다.
제 2 본체부(40)는 검척 롤러(42)와, 검척 롤러(42)의 상부에서 검척 롤러(42)와 접촉하고 벽지(P)를 반송하는 송출 롤러(41)를 갖고, 송출 롤러 구동축(43)을 축지지하는 좌우의 프레임(44,45) 사이에 상측 스테이(46)와 하측 스테 이(47)를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송출 롤러(41)를 구동하는 송출 롤러 구동 기어(48), 제 1 본체부(10)로부터 구동 전달을 받는 구동 전달 기어(49), 및 구동 전달 기어(49)에 동심으로 설치한 중계 기어(50)를 설치하고, 제 1 본체부(10)로부터의 구동력이 구동 전달 기어(49)를 거쳐 중계 기어(50), 송출 롤러 구동 기어(48)에 전달되어서 송출 롤러 구동축(43)을 회전시킴으로써 송출 롤러(41)가 회전해서 벽지(P)를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송출 롤러 구동축(43)은 좌우 프레임(44,45)에 설치한 베어링(51)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이어서, 검척 롤러 개폐 레버 기구에 대해서 도 5,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검척 롤러(42)는 누름 레버(52) 내에 위치시켜져 있는 검척 레버(53)(도 6 참조)에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 레버(52)와 검척 레버(53)의 일단은 제 2 본체부(40)의 좌우 프레임(44,45) 사이에 축설된 지점 축(54)에 선회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누름 레버(52)와 검척 레버(53)는 좌우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적절히 세트 컬러 등에 의해 좌우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다.
누름 레버(52)와 검척 레버(53)의 사이에는 스프링(55)이 개재되어 있고, 조절 나사(56)를 조임으로써 검척 레버(53)를 송출 롤러(41)측으로 바이어싱하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절 나사(56)의 조임량은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좌우의 누름 레버(52)의 하방에는 좌우 프레임(44,45)에 유지된 레버 축(57)에 레버 축(5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록킹 레버(58)가 고정되어 있다. 레버 축(57) 에는 좌우 프레임(44,45)의 돌출단 외측에 레버 축(57)을 회전시키는 개폐 레버(59)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레버(59)를 회전시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 레버(58)가 회전하고, 누름 레버(52)의 경사면(60)을 밀어 올리며, 누름 레버(52)와 검척 레버(53)는 지점 축(54)을 축으로 회전하고, 스프링(55)의 바이어싱 포오스(biasing force)에 의해 검척 롤러(42)를 송출 롤러(41)측으로 압박한다.
록킹 레버(58)에는 록킹 레버(58)가 원활하게 누름 레버(52)를 밀어 올리도록 누름 레버(52)와 접촉하는 베어링(6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누름 레버(52)의 하면에는 경사면(6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60)은 록킹 레버(58)에 설치된 베어링(61)이 록킹 레버(58)의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즉, 누름 레버(52)의 경사면(60)의 형상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 레버(58)가 검척 롤러(42)를 밀어 올리는 과정에 있어서 검척 롤러(42)가 록킹 레버(58)의 회전에 의해 누름 레버(52)를 밀어 올리고, 누름 레버(52)와 검척 레버(53) 사이에 부착된 스프링(55)에 의해 송출 롤러(41)로 가압되는 힘과, 그 반력이 조화를 이루는 지점을 통과하고, 또한 풀칠기 본체측으로 회전했을 때에 검척 롤러(42)를 스프링(55)의 힘에 의해 송출 롤러(41)로 가압하고 있는 힘의 반력에 의해 누름 레버(52)가 록킹 레버(58)를 밀어 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검척부(62)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척부(62)는 슬릿판(63)과 포토 마이크로 센서(64)로 이루어진다. 송출 롤러(41)에 의해 반송되는 벽지(P)에 종동해서 회전하는 검척 롤러(42)의 축단에 슬릿판(63)을 설치하고, 포토 마이크로 센서(64)에 의해 슬릿판(63)의 회전에 비례한 펄스 신호 를 발생시켜서 제 1 본체부(10)에 부착한 제어 박스부(80)의 제어부에서 받아 들여 펄스 수를 계수함으로써 반송한 벽지(P)의 길이를 측장한다. 그 때문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박스부(80)의 검척 신호 플러그(83)를 접속하기 위한 검척 신호 리셉터클(22)을 제 2 본체부(40)의 측면 커버에 설치해서 측장 신호를 제어 박스부(80)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본체부(40)에는 제 1 본체부(10)에 장착할 때에 제 1 본체부(10)의 후방부 스테이(11)의 상부에 설치한 부착부(23)에 부착하는 훅(66)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 2 본체부(40)를 제 1 본체부(10)에 장착할 때에 제 1 본체부(10)에 설치한 지점 핀(24)에 끼워맞춰지는 그리퍼(gripper)(67)를 설치하고 있다. 제 2 본체부(40)의 훅(66)을 제 1 본체부(10)의 부착부(23)에 걸치고나서 지점 핀(24)에 그리퍼(67)를 끼워맞추도록 제 2 본체부(40)를 선회시켜 부착한다.
이어서, 벽지(P)의 경로에 대해서 서술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지 원단롤(PG)로부터 풀어진 벽지(P)는 우선 제 2 본체부(40)의 입구 스테이(68)의 원호부에 접촉하여 송출 롤러(41)와 검척 롤러(42)에 끼워져 반송되어서 제 1 본체부(10) 내에 들어가고, 제 1 본체부(10)의 후방부 스테이(11)의 원호부에 접촉한 후, 하이 텐션 롤러(14)의 아래점에 접촉해서 풀칠 롤러(13)의 상방에 소정의 길이만큼 감겨져서 풀(12)이 전사되어 나라시 롤러(17)에 의해 풀(12)이 균일하게 되고나서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의 벽지 풀칠기에서는 제 1 본체부(10)에 제 2 본체부(40)를 부 착했을 때에 제 2 본체부(40)의 입구 스테이(68)와, 송출 롤러(41)와 검척 롤러(42)가 벽지(P)를 끼워넣는 점과, 제 1 본체부(10)의 후방부 스테이(11)의 위치(높이 관계)를 제 2 본체부(40) 내에서 벽지(P)가 대략 V자 경로를 찾아가도록 정하고 있으므로, 벽지(P)는 송출 롤러(41)에 소정의 길이만큼 감겨진다. 이것에 의해, 반송되는 벽지(P)와 송출 롤러(41) 사이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벽지(P)를 대략 V자 경로로 만곡시킨 그 정점 위치에 검척 롤러(42)가 접촉하므로, 두껍고 연한 재질의 벽지(P)의 경우에도 검척 오차가 적어진다.
다시 도 1로 돌아와 다리부(70)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리부(70)는 접이 가능한 다리(71)와 지지 프레임(72)으로 이루어져 있고, 접었을 때에 다리(71)는 지지 프레임(72)의 하부에 수납된다. 또한, 다리(71)의 하단에는 이동할 때에 사용되는 차륜(7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리(71)에는 벽지 원단롤(PG)을 세트하기 위한 원단롤 수용부(74)(도 2)가 비치되어 있다. 도면 중 75는 다리부 스냅 록이다.
제어 박스부(80)의 내부에는 벽지 풀칠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마이크로 컴퓨터 기판 등의 복수개의 전기부품으로 이루어짐)와, 모터와 기어 헤드가 설치되어 있다. 둥근 가이드(81)(도 1, 제어 박스부 설치용의 록킹용 가이드)를 제 1 본체부(10)의 기어 박스(21)의 측면에 설치한 가이드 수용부(도시 생략)에 끼워맞춰서 록킹(도시 생략)했을 경우에 제어 박스부(80)의 구동용 기어(82)가 제 1 본체부(10)의 기어 박스(21) 내의 제 1 기어(25)(도 7)와 맞물려서 벽지 풀칠기를 구동한다(부착해서 록킹한 상태는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제어 박스부(80)의 외부 정면에는 벽지 풀칠기를 조작하기 위한 표시 조작부(84)가 있고, 또한 천장면에는 운반시에 이용하는 손잡이(85)가 부착되고, 후면에는 제 2 본체부(40)의 검척부(62)로부터 신호를 얻기 위한 검척 신호 플러그(83)가 부착된 센서 코드(86)가 연장되어 있다. 그 외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물 바름 장치부(90)나 풀 공급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어 박스부(80)에 설치하고 있다. 도면 중 87은 전원 플러그이다.
도 7에 제 1 본체부(10)의 후방부 스테이(11)에 제 2 본체부(40)를 부착했을 때의 복수개의 기어 맞물림 상태를 나타낸다. 제어 박스부(80)의 구동용 기어(82)가 제 1 본체부(10)의 제 1 기어(25)에 맞물리고, 제 1 기어(25)와 맞물려 있는 제 3 기어(27)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해서 나라시 롤러(17)가 회전한다. 또한, 제 1 기어(25)는 제 2 기어(26)와도 맞물려 있으므로, 구동력이 제 2 기어(26), 제 4 기어(28), 제 5 기어(29)에 전달되어서 풀칠 롤러(13)(제 2 기어(26)에 의해 회전)와 닥터 롤러(16)(제 4 기어(28)에 의해 회전)가 회전한다.
또한, 풀 상자(20)의 내부의 풀 인상 롤러(30)는 풀 상자(20)를 제 1 본체부(10)의 좌우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 세트한 상태에서 풀칠 롤러(13)의 끝에 설치한 기어(도시 생략)와 풀 인상 롤러(30)의 끝에 설치한 기어(도시 생략)가 맞물림으로써 회전한다. 그리고, 제 5 기어(29)에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전달 기어(31)가 회전한다.
전달 기어(31)는 제 1 본체부(10)의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류측(제 2 본체부(40)를 부착하는 측)으로 돌출해서 배치되어 있고, 제 2 본체부(40)를 제 1 본체부(10)의 부착부(23)에 부착하면, 제 1 본체부(10)의 전달 기어(31)와 제 2 본체 부(40)의 구동 전달 기어(49)가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본체부(40)의 구동 전달 기어(49)에 전달된 구동력은 구동 전달 기어(49)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는 중계 기어(50)에 전달된다. 구동 전달 기어(49)와 중계 기어(50)는 2단 기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중계 기어(50)와 맞물려 있는 송출 롤러 구동 기어(48)에 구동이 전달되어 송출 롤러(41)가 회전한다.
또한, 각 기어의 톱니 수는 예컨대 송출 롤러(41)의 주속(周速)을 1.00으로 했을 경우, 풀칠 롤러(13)는 1.29, 닥터 롤러(16)는 0.90, 나라시 롤러(17)는 1.25로 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순서로 구동이 전달되므로, 경로 하류측(벽지를 배출하는 측)의 나라시 롤러(17)의 축단에 설치한 제 3 기어(27)에 가장 가까운 제 1 기어(25)에 직접 모터(도시 생략)의 토크를 걸고, 기어의 백래시가 있을 경우에 벽지(P)를 배출하는 측의 롤러에서부터 먼저 회전을 시작하므로, 두께가 얇아서 접히기 쉬운 벽지(P)에 풀을 칠하는 경우에도 벽지(P)가 핀과 연장되므로 주름이 생기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물 바름 장치부(90)는 물을 모아두기 위한 공간부와 롤러와 벽지 풀칠기 본체부에 장착하기 위한 훅(91)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물 바름 장치부(90)는 벽지(P)의 이면에 물을 묻히는 시공 방법을 행할 경우에만 필요한 유닛이다.
이어서, 내장 시행 현장으로의 벽지 풀칠기의 반입에 대해서 서술한다. 우선, 벽지 풀칠기를 내장 시행 현장에 반입해서 풀칠 작업을 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우선 벽지 풀칠기나, 풀, 풀을 풀기 위한 버킷(도시 생략) 또는 풀 교반기(도시 생략)나 장작(杖酌)(도시 생략), 벽에 붙이기 위한 벽지 원단롤 등의 자재를 내장 시행 현장의 1개의 방에 운반한다.
운반시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마다 분할해서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 제 1 본체부(10)를 운반할 때에는 통상 양손으로 좌우의 제 1 본체부 손잡이(32)를 잡아 들어 올려서 제 1 본체부(10)를 배의 앞에 위치시키던가, 또는, 한쪽의 겨드랑이에 껴안도록 해서 운반한다. 제 2 본체부(40)를 운반할 때는 손잡이(69)를 잡고서 운반한다. 다리부(70)는 다리(71)를 접은 상태로 한쪽의 겨드랑이에 껴안도록 해서 운반한다. 제어 박스부(80)는 한쪽 손으로 제어 박스부 손잡이(85)를 잡고서 운반한다. 물 바름 장치부(90)는 한쪽의 겨드랑이에 껴안아 갖고 다니거나, 또는, 물 바름 장치부(90)를 벽지 풀칠기의 제 1 본체부(10)에 장착해서 함께 운반한다.
마찬가지로, 원단롤 심봉(95)과 사이드판(96)은 양손으로 잡고서 운반하던가, 또는 제 1 본체부(10)에 실어서 운반한다. 또는, 다리부(70)의 수납부(도시 생략)에 수납해서 다리부(70)와 함께 운반한다.
또한, 평평한 바닥이 많은 내장 시행 현장이나 엘리베이터 등이 있는 현장에 반입할 때는 다리부(70)의 다리(71)를 세워서 그 위에 제 1 본체부(10)와 제 2 본체부(40)를 적재하거나, 제 1 본체(10)와 제 2 본체부(40)를 연결하고, 또한 제어 박스부(80)도 부착한 상태로 하여 차륜(73)에 의해 굴려서 이동시킨다. 또한, 신규건설 중의 현장에서는 엘리베이터 등은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고, 또한 신축이기 때문에 내장 등을 상처 입히지 않도록 주의해서 유닛마다 분할해서 이동한다.
이어서, 벽지 풀칠기의 설치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2에 벽지 풀칠기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벽지 풀칠기를 구성하는 각 유닛과, 풀이나, 풀을 풀기 위한 버킷이나 잔, 벽에 붙이기 위한 벽지 원단롤 등의 자재를 내장 시행 현장의 1개의 방에 운반하고, 다리부(70)를 방의 거의 중앙에 두어 몇종류의 벽지 원단롤이나 풀 상자 등은 방구석쪽에 둔다.
다리부(70) 상에 제 1 본체부(10)를 적재하고, 다리부 스냅 록(75)을 록킹하고, 제 1 본체부(10)와 다리부(70)를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제 2 본체부(40)의 훅(66)을 제 1 본체부(10)의 부착부(23)에 걸어서 제 2 본체부(40)를 선회시켜 그리퍼(67)를 지점 핀(24)에 맞물리게 해서 제 1 본체부(10)에 제 2 본체부(40)를 연결하고, 제어 박스부(80)의 둥근 가이드(81)를 제 1 본체부(10)의 기어 박스(21)의 측면에 설치한 가이드 수용부(도시 생략)에 끼워맞춰서 록킹시켜 제어 박스부(80)를 제 1 본체부(10)에 부착시킨다.
또한, 제어 박스부(80)의 검척 신호 플러그(83)를 제 2 본체부(40)의 검척 신호 리셉터클(22)에 접속한다. 또한, 물 바름 장치부(9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 바름 장치부(90)의 신호 케이블을 제어 박스부(80)의 커넥터(도시 생략)에 접속한다.
반입 설치가 종료되면 풀칠 준비를 행한다. 우선, 최초에 풀칠을 하는 벽지 원단롤(PG)에 원단롤 심봉(95)을 통해서 좌우로 사이드판(96)을 붙여 벽지 풀칠기 의 후방측의 원단롤 수용부(74)에 세트하고나서 버킷 안에서 풀(12)과 물을 섞어 풀고, 푼 풀(12)을 벽지 풀칠기의 풀 상자(20) 안에 넣는다.
이 후, 작업자는 벽지 풀칠기의 후방측으로 돌아가고, 제 1 본체부 스냅 록(18)의 록킹을 해제하여 상부 프레임을 개방해서 개폐 레버(59)를 내려 검척 롤러(42)와 송출 롤러(41)의 간극을 개방한 상태(도 6(a) 참조)로 하고, 원단롤 수용부(74)에 세트되어 있는 벽지 원단롤(PG)로부터 벽지(P)의 선단을 인출하고, 그 선단을 송출 롤러(41)와 검척 롤러(42)의 간극에 통과시켜 선단을 풀칠 롤러(13) 위에 벽지(P)가 구불구불하지 않도록 직선성에 주의해서 적재하고나서 상부 프레임을 폐쇄하고, 제 1 본체부 스냅 록(18)을 록킹하고, 개폐 레버(59)를 올려 검척 롤러(42)와 송출 롤러(41)의 간극을 폐쇄한다. 상부 프레임을 폐쇄했을 때에 벽지(P)는 도 3에 나타내는 경로가 되도록 끼워넣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어서, 「인터럽트 스위치」를 누르고, 복수개의 롤러를 회전시켜 벽지(P)의 선단이 벽지 풀칠기의 정면측으로 배출되어서 조금 아래로 늘어지면, 또 한번 「인터럽트 스위치」를 눌러서 복수개의 롤러를 정지시킨다.
이어서 작업자는 벽지 풀칠기의 정면측으로 돌아가서 인칭 키(도시 생략)를 눌러 복수개의 롤러를 회전시켜서 벽지(P)를 배출시키고, 배출되어 나오는 벽지(P)의 이면을 보아서 이면에 풀(12)이 묻은 부분이 벽지 풀칠기 본체 하부의 풀 상자 정면 하부와 하부 프레임 사이에 있는 커터 가이드부를 통과하면, 인칭 키(도시 생략)로부터 손을 떼어내어 복수개의 롤러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면에 풀(12)이 묻은 벽지(P)를 커터 가이드부에 밀어 붙 여 움직이지 않도록 밀착시키고나서, 커터 나이프로 가로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절단한다. 이 일직선으로 절단한 위치가 1장째에 풀(12)을 묻히는 벽지(P)의 원점(길이 0㎝의 위치)이 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풀칠하는 1장째의 벽지(P)의 길이를 설정하여 스타트 키(도시 생략)를 누르면, 벽지 풀칠기의 제어부(도시 생략)는 복수개의 롤러를 회전시켜 벽지(P)를 반송시키면서 이면에 풀(12)을 칠하고, 검척부(62)로부터의 신호를 순서대로 계산하여 순서대로 계산한 길이를 표시 조작부(84)에 표시하면서, 동작을 계속하고, 풀(12)을 칠해서 배출한 벽지(P)의 길이가 설정된 길이에 도달하면 복수개의 롤러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면에 풀(12)이 묻은 벽지(P)를 커터 가이드부에 밀어 붙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커터 나이프로 가로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절단한다. 이들 조작에 의해 1장째의 벽지(P)의 풀칠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조작을 반복 실행해서 이면에 풀(12)을 묻혀 풀면끼리를 겹친 벽지(P)가 5,6장 생기면, 이 벽지(P)를 붙이는 방까지 가져 가서 벽에 붙이는 작업을 끝내고나서, 다시 벽지 풀칠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으로 되돌아와서 다음으로 붙이는 만큼의 벽지(P)의 풀칠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하루의 작업을 끝내면, 벽지 풀칠기의 청소를 행한다. 여기서, 벽지 풀칠기의 어느 부분에 풀이 부착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도 3(단면도)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풀(12)이 부착되는 부분은 제 1 본체부(10)의 닥터 롤러(16)와 풀칠 롤 러(13)와 나라시 롤러(17)와 풀 상자(20)의 내측과 풀 인상 롤러(30)이다.
제 1 본체부(10)의 하이 텐션 롤러(14)와 압압 스테이(15)는 벽지(P)의 표면에 접촉하므로 풀(12)은 부착되지 않는다. 제 2 본체부(40)의 검척 롤러(42)와 송출 롤러(41)는 풀(12)을 전사하기 전의 벽지(P)에 접촉하므로 풀(12)은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물 바름 장치부(9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풀 상자(20)의 정면과 커터 가이드부에 풀(12)이 부착된다. 물 바름 장치부(9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 바름 장치부(90)의 정면에 풀(12)이 부착되고(도 3의 점선), 풀 상자(20)의 정면과 커터 가이드부에는 풀(12)은 부착되지 않는다.
이어서, 벽지 풀칠기의 청소 작업에 대해서 서술한다. 작업자는 우선 제 1 본체부 스냅 록(18)의 록킹을 해제하여 상부 프레임을 열어 벽지(P)의 풀(12)이 붙은 부분을 절단하고나서 남아있는 벽지(P)를 벽지 원단롤(PG)에 되감는다. 또한, 풀 상자(20) 안에 아직 풀(12)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풀 상자(20)를 인출해서 남아있는 풀(12)을 버킷이나 풀교반기 등으로 리턴시킨다.
그리고, 물을 포함한 스펀지로 풀칠 롤러(13)와 닥터 롤러(16)를 세정한다. 이 때, 제어 박스부(80)를 떼어내서 손으로 롤러를 돌리는 방법과, 제어 박스부(80)를 장착해 두고, 인터럽트 스위치로 롤러를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시키면서 세정하는 방법도 있다. 이상의 세정시의 조작에 대해서는 작업자의 기호에 의해 선택된다.
계속해서 나라시 롤러(17)를 씻는 것이지만, 나라시 롤러(17)는 롤러를 축지 지하는 좌우의 브래킷과 함께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떼어내서 물을 넣은 버킷 중에 세우도록 해서 스펀지로 세정하여 풀(12)을 떨어뜨린다.
풀 상자(20) 안의 풀 인상 롤러(30)는 풀 상자(20)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떼어내서 물을 넣은 버킷 안에 세우도록 하여 스펀지로 세정해서 풀(12)을 떨어뜨린다. 벽지 풀칠기 본체 정면의 커터 가이드부에 부착된 풀(12)은 물을 포함한 스펀지로 닦아낸다.
청소가 끝난 벽지 풀칠기는 반입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으로 분해해서 반출한다.
또한, 벽지 풀칠기를 수년간 계속해서 사용해서 풀칠 롤러(13)나 닥터 롤러(16)의 축에 풀(12)이 굳어져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본체부(10)를 몇시간 수조에 담근 후에 세정함으로써 풀(12)을 제거한다.
이상과 같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벽지 풀칠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우선, 제 1 본체부(10)의 후방부 스테이(11)에 의해 사이가 떨어진 상류측(벽지 원단롤측)에 제 2 본체부(40)를 부착하므로, 벽지 풀칠기의 청소 작업을 행할 때, 제 1 본체부(10)에 부착된 풀(12)을 스펀지에 물을 포함해서 씻어 낼 때에 풀(12)이 혼합된 물이 튀어도 제 2 본체부(40)의 검척 롤러(42)와 송출 롤러(41)와 검척부(62)에는 그것이 부착되지 않으므로, 신경을 쓰는 일 없이(주의하는 일 없이) 과감하게 씻을 수 있으므로 청소하기 쉽다.
또한, 검척부(62)의 포토 마이크로 센서(64)와 검척 신호 리셉터클(22)과 신호선은 제 2 본체부(40)에만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 2 본체부(40)와 제어 박스부(80)를 떼어낸 상태에서 제 1 본체부(10)를 수조에 붙여서 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수년간 계속해서 사용하여 풀칠 롤러(13)나 닥터 롤러(16)의 축부에 풀(12)이 응고되어 버린 경우에도 담가 두어 씻을 수 있으므로 세정하기 쉽다.
종래의 벽지 풀칠기의 본체부의 중량은 예컨대 25㎏이며, 본체부만이 아주 무거웠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를 제 1 본체부(10)와 제 2 본체부(40)로 분할했으므로, 하기의 예와 같이 제일 무거운 유닛이 15㎏약으로 되고, 힘이 약한 사람도 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운반하기 쉽다. 하기는 각 유닛의 중량의 예이다.
제 1 본체부 = 14.2㎏
제 2 본체부 = 9.5㎏
다리부 = 12.8㎏
제어 박스부 = 4.0㎏
(물 바름 장치부 = 6.6㎏)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2 본체부(40) 내의 벽지(P)의 V자 경로와, 하측에 검척 롤러(4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V자의 경로로서, 제 2 본체부(40)의 입구 스테이(68)와, 송출 롤러(41)와 검척 롤러(42)가 벽지(P)를 끼워넣는 점과, 제 1 본체부(10)의 후방부 스테이(11)의 위치를 정하고 있으므로, 송출 롤러에 감기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벽지(P)가 소정 길이 감기도록 되고, 반송되는 벽지(P)와 송출 롤러(42) 사이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벽지(P)를 V자 경로의 벽지의 이면지측에 검척 롤러(42)가 접촉하므로, 예컨대 두껍고 연한 재질의 벽지(P)의 경우에도 검척 오차가 적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개폐 레버 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개폐 레버(59)를 아래로 내리면, 검척 롤러(42)가 아래로 내려가서 송출 롤러(41)와 검척 롤러(42)의 간극이 개방되므로, 벽지 선단을 삽입할 수 있고, 개폐 레버(59)를 위로 올리면 간극은 없어짐과 아울러, 스프링(55)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벽지(P)를 끼워넣으므로 벽지(P)의 선단의 삽입과 세트(사행하지 않고 똑바른 위치 결정)가 용이하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 2 실시형태가 제 1 실시형태와 서로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본체부(40A)의 요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본체부(10)의 부착부(23)에 제 2 본체부(40A)를 부착하고, 제 2 본체부(40A)에 제어 박스부(80A)를 부착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9에 있어서 도 2, 도 4와 같은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 2 본체부(40A)는 도 4에서 나타낸 제 2 본체부(40)의 송출 롤러(41)의 좌측의 축단에 제어 박스부(80A)의 구동용 기어(도 1에 있어서 제어 박스부(80)에 나타낸 구동용 기어(82)와 마찬가지여서 도시 생략)와 맞물리기 위한 제 2 본체 구동 기어(110)를 설치한 것이다. 제어 박스부(80A)의 구동용 기어(도시 생략)로부터 구동력을 받은 제 2 본체 구동 기어(110)가 회전함으로써 송출 롤러(41)가 회전하고, 송출 롤러(41)의 우축단에 설치한 송출 롤러 구동 기어(48)가 회전하며, 중계 기어(50)가 회전해서 구동 전달 기어(49)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복수개의 기어의 맞물림은 구동용 기어(도시 생략)가 제 2 본체 구동 기어(110)에 맞물린다는 것 이외에는 도 7과 동일하지만, 제 1 본체부(10)에 있어서의 구동이 전달되는 순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경로의 역순으로 구동력이 전달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제어 박스부(80A)는 제 1 실시형태의 제어 박스부(80)(도 2)와는 구조가 다른 것이다. 도 2에서 나타낸 제어 박스부(80)는 마이크로컴퓨터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기부품과 표시 조작부(84)를 1개의 케이스에 수납하고 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제어 박스부(80A)는 표시 조작부(84)만을 별체의 케이스로 표시 조작 박스부(120)로서 구성하고, 양자를 신호 케이블(130)로 접속한 것이다. 물론 제어 박스부(80A)와 표시 조작 박스부(120)는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박스부(80A)에는 도 1에서 설명한 3개의 둥근 가이드(81)와 같은 것을 설치하고 있고, 둥근 가이드(81)를 부착해서 록킹하기 위한 가이드 수용부(도시 생략)를 제 2 본체부(40A)의 측면에 설치하고 있다.
제어 박스부(80A)는 도 9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좌측), 또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제 1 본체부(10)의 측면 위치(우측)에 부착할 수 있다.
도 9의 실선의 위치에 있어서 제 2 본체부(40A)에 제어 박스부(80A)를 장착한 경우에는 극단적으로 무거운 벽지 원단롤(PG)을 끌어 올릴 때에는 토크를 필요 로 하는 송출 롤러(41)를 구동하기 위한 송출 롤러 구동축(43)에 직접 모터(도시 생략)의 토크를 걸므로, 중계 기어(50)로부터 제 1 본체부(10)의 전달 기어(31)보다 하류(벽지 배출측)의 복수개의 기어의 마모가 적어진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왼손으로 벽지 풀칠기를 조작하고 싶은 작업자에 있어서는 왼손의 바로 부근에 표시 조작 박스부(120)가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본체부(10)에 표시 조작 박스부(120)를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하면, 오른손으로 벽지 풀칠기를 조작하고 싶은 작업자에 있어서는 오른손의 바로 부근에 표시 조작 박스부(120)를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벽지 풀칠기에 있어서는 제어 박스부(80A)의 모터(도시 생략)는 인버터 제어하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표시 조작 박스부(120)에 설치한 키 스위치로부터 모터의 회전 방향(CW/CCW)과, 회전 속도는 용이하게 설정 변경 가능하므로 제 1 본체부(10)나 제 2 본체부(40A)에 부착할 때에 회전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어도 특별히 문제로 되지 않고 설정 변경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본체부(40A)에 제어 박스(80A)를 장착한 경우에는 극단적으로 무거운 벽지 원단롤을 끌어 올릴 때에는 토크를 필요로 하는 송출 롤러(41)를 구동하기 위한 송출 롤러 구동축(43)에 직접 모터의 토크를 걸므로, 중계 기어(50)로부터 제 1 본체부(10)의 전달 기어(31)보다 하류(벽지 배출측)의 복수개의 기어의 마모가 적어진다.
또한, 표시 조작 박스부(120)를 좌우의 어느 쪽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왼손으로 벽지 풀칠기를 조작하고 싶은 작업자에 있어서는 왼손 부근에 표시 조작 박 스가 있어서 바람직하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본체부(40)(도 4)는 모터의 구동이 전달되어 벽지(P)를 반송하기 위한 송출 롤러(41)를 상측에, 벽지(P)의 반송에 의해 종동 회전하는 검척 롤러(42)를 하측에 배치한 구성이지만,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는 양자가 반대로 배치된 구성이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본체부(40B)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 2 본체부(40B)에서는 벽지(P)의 반송에 의해 종동 회전하는 검척 롤러(42B)를 상측에, 모터의 구동이 전달되어 벽지(P)를 반송하기 위한 송출 롤러(41B)를 하측에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본체부(10)와의 구동 전달 경로는 도 7에서 설명한 경로와 동일하고, 제 1 본체부(10)의 전달 기어(31)와 제 2 본체부(40B)의 구동 전달 기어(49)가 맞물림으로써 송출 롤러(41B)가 회전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본체부(10)로부터의 구동을 받기 위한 구동 전달 기어(49)를 하측에 배치한 송출 롤러(41B)의 축단에 부착하는 것만므로, 기어의 수가 적고, 제 2 본체부(40B)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저렴하게 실현 가능하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본체부(40C)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 도이다. 이 제 2 본체부(40C)는 벽지(P)의 폭방향을 재단하기 위한 칼날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 2 본체부(40C)는 검척 롤러(42C)와, 검척 롤러(42C)의 상부에서 검척 롤러(42C)와 접촉하고, 벽지(P)를 반송하는 송출 롤러(41C)와, 상측 칼날 구동축(141) 및 하측 칼날 구동축(142)과, 이들 양 구동축(141,142)의 좌우단 부근에 그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한 좌우의 상측 칼날(143) 및, 좌우의 하측 칼날(144)을 갖고 있다.
그리고 또한, 좌우 프레임(도 5의 좌우 프레임과 동일)을 연결하는 상측 칼날 고정 스테이(도 5의 상측 스테이와 동일)와 하측 칼날 고정 스테이(도 5의 하측 스테이와 동일)와, 상측 칼날 구동축(141)을 구동하는 상측 칼날 구동 기어(145)와, 하측 칼날 구동축(142)을 구동하는 구동 전달 기어(146)를 갖고, 편측의 하측 칼날 구동축(142)(도 11의 우측의 하측 칼날 구동축)은 구동 전달 기어(146)와 중계 기어(147)를 2단 기어로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송출 롤러(41C)는 상측 칼날 구동축(141)에 접속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측 칼날(143)과 동기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측 칼날 구동축(141)과, 하측 칼날 구동축(142)의 축끝은 좌우의 프레임에 설치된 베어링(도시 생략)과 하측 칼날 고정 스테이에 부착된 베어링 케이스(도시 생략)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상측 칼날 고정 스테이에는 베어링 케이스(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베어링 케이스(도시 생략)는 상측 칼날 구동축(141)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측 칼날 구동축(141)을 송출 롤러(41C)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송출 롤러(41C)와의 접속을 떨어지게 해서 분리 가능하고, 또 한, 칼날부 교환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 본체부(10)에 설치된 전달 기어(31)(도 7 참조)에 의해 제 2 본체부(40C)의 구동 전달 기어(146)(도 11의 우측의 구동 전달 기어)가 회전하고, 구동 전달 기어(146)와 동축으로 설치한 중계 기어(147)(구동 전달 기어(146)와 중계 기어(147)는 2단 기어)를 구동하고, 중계 기어(147)에 맞물리는 상측 칼날 구동 기어(145)에 회전을 전달한다.
상측 칼날 구동 기어(145)는 상측 칼날 구동축(14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측 칼날 구동축(141)이 회전한다. 상측 칼날 구동축(141)은 6각의 구멍이 뚫린 상측 칼날 구동 플레이트(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있고, 상측 칼날 구동 플레이트(도시 생략)에 고정되어 있는 좌우의 상측 칼날(143)이 회전한다. 또한, 구동 전달 기어(146)는 하측 칼날 구동축(142)의 축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 전달 기어(146)가 회전하면 하측 칼날 구동축(142)이 회전한다. 하측 칼날 구동축(142)은 6각의 구멍이 뚫린 하측 칼날 구동 플레이트(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있고, 하측 칼날 구동 플레이트(도시 생략)에 고정되어 있는 좌우의 하측 칼날(144)이 회전한다.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벽지(P)가 제 2 본체부(40C)를 통과할 때에 좌측 상하 1쌍의 칼날부와 우측 상하 1쌍의 칼날부에 의해 벽지(P)의 폭방향을 재단하므로, 풀(12)을 전사한 벽지(P)를 벽에 붙일 때에 재단하는 수고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내장 시공 작업의 효율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의 유닛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각 유닛을 조립한 상태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의 제 2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제 2 본체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 2 본체부의 검척 롤러 개폐 레버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의 구동 전달 경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의 제 2 본체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각 유닛을 조립한 상태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의 제 2 본체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벽지 풀칠기의 제 2 본체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벽지 풀칠기의 유닛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 다.
도 13은 각 유닛을 조립한 상태의 종래의 벽지 풀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벽지 풀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7)

  1. 벽지 풀칠기 본체부는 풀칠 롤러를 포함하는 풀칠 실행 중에 풀이 부착되는 롤러를 좌우 1쌍의 프레임으로 축지지하고; 상기 좌우 1쌍의 프레임 내에 풀을 수용한 풀 상자를 유지하는 제 1 본체부 유닛과, 풀칠 실행 중에 풀이 부착되지 않는 검척 롤러와 송출 롤러를 좌우 1쌍의 프레임으로 축지지하는 제 2 본체부 유닛의 2개의 유닛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 2 본체부 유닛이 상기 제 1 본체부 유닛의 후방부 스테이보다 벽지 원단롤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 유닛, 상기 제 2 본체부 유닛, 상기 제 2 본체부 유닛이 상기 제 1 본체부 유닛에 부착된 상태로 적재되는 다리부, 및 벽지 풀칠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박스부의 4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척 롤러가 상기 송출 롤러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검척 롤러가 벽지의 이면에 접촉하고, 벽지의 반송 길이를 측장하는 검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부 유닛 내에 반송되는 벽지가 상기 송출 롤러에 소정의 길이만큼 감기도록 상기 제 2 본체부의 입구 스테이의 위치와, 상기 검척 롤러와 상기 송출 롤러가 벽지를 끼워넣는 위치와, 상기 제 1 본체부의 후방부 스테이의 위치를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척 롤러는 누름 레버 내에 위치하는 검척 레버에 축지지되고, 상기 누름 레버와 상기 검척 레버는 상기 제 2 본체부 유닛의 좌우 프레임 사이에 축설된 지점 축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개폐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검척 롤러가 상기 송출 롤러측으로 압박되고, 또한 압박의 해제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박스부가 상기 제 2 본체부 유닛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부 유닛은 상기 제어 박스부의 구동용 기어와 맞물림 구동력을 받는 구동 전달 기어와, 상기 제 1 본체부 유닛의 전달 기어와 맞물림 구동력을 전달하는 중계 기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풀칠기.
KR1020080083866A 2008-08-27 2008-08-27 벽지 풀칠기 KR10146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66A KR101468483B1 (ko) 2008-08-27 2008-08-27 벽지 풀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66A KR101468483B1 (ko) 2008-08-27 2008-08-27 벽지 풀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196A true KR20100025196A (ko) 2010-03-09
KR101468483B1 KR101468483B1 (ko) 2014-12-03

Family

ID=4217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866A KR101468483B1 (ko) 2008-08-27 2008-08-27 벽지 풀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400B1 (ko) * 2011-12-26 2013-10-22 김동국 전방 구동형 벽지 풀바름기
JP2019122938A (ja) * 2018-01-18 2019-07-25 極東産機株式会社 壁紙保持用リール
KR20200126566A (ko) * 2019-04-30 2020-11-09 김종삼 스프레이건 조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844B1 (ko) * 2021-05-25 2023-01-17 송규문 Diy용 도배벽지 풀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6981B2 (ja) * 2007-12-18 2013-10-16 極東産機株式会社 壁紙糊付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400B1 (ko) * 2011-12-26 2013-10-22 김동국 전방 구동형 벽지 풀바름기
JP2019122938A (ja) * 2018-01-18 2019-07-25 極東産機株式会社 壁紙保持用リール
KR20200126566A (ko) * 2019-04-30 2020-11-09 김종삼 스프레이건 조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483B1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8320B1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KR20100025196A (ko) 벽지 풀칠기
CN101884355B (zh) 一种茶叶自动投料及揉捻装置
CN112317228B (zh) 一种合成板用板身胶水覆膜装置
KR101352821B1 (ko) 롤 타입의 휴지 제품 제조장치
WO2013097276A1 (zh) 双工位同时放卷装置
CN111998758B (zh) 一种建筑装饰材料的检测装置
JP2017081680A (ja) 壁紙糊付巻き取り機
JP7324000B2 (ja) 自動壁紙糊付機のためのフィルム貼着装置、および、自動壁紙糊付機のための巻き取り装置、ならびに、それらを備えた巻き取り装置を備えた自動壁紙糊付機
CN111362030A (zh) 一种面料连续彩印系统
CN203945822U (zh) 试管打印贴标机
ITBO20080747A1 (it) Apparecchiatura per l&#39;applicazione di bollini ad un prodotto.
CN208607721U (zh) 一种薄片类介质处理装置
JP2015128382A (ja) 製麺用圧延装置
KR101388171B1 (ko) 필름류 2층형 자동더블써패스 와인더
CN110027761B (zh) 一种纺织品印刷设备
EP1840064A2 (en) Apparatus for preparing roll of paper
JP7114237B2 (ja) 壁紙切断用テープ、および、壁紙切断用テープを用いた自動壁紙糊付機、ならびに、自動壁紙糊付機の制御方法
JP2023074065A (ja) 壁紙糊付機
JP2017190231A (ja) 壁紙糊付巻取機
KR200471279Y1 (ko) 쉬트의 길이 측정 및 재단이 가능한 권취기
KR200343932Y1 (ko) 벽지용 풀 도포장치
CN217478612U (zh) 一种修正带涂层剥离装置
CN211493355U (zh) 一种柔性贴布机构及数码印花机
CN215704163U (zh) 一种具有可调式断纸机构的3d打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