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895A - 욕실 건조기 - Google Patents

욕실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895A
KR20100024895A KR1020090068948A KR20090068948A KR20100024895A KR 20100024895 A KR20100024895 A KR 20100024895A KR 1020090068948 A KR1020090068948 A KR 1020090068948A KR 20090068948 A KR20090068948 A KR 20090068948A KR 20100024895 A KR20100024895 A KR 20100024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bathroom
blower
air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시게후지
히로유키 도이
타카시 호리우치
히로유키 우수이
마모루 이이다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Ventilation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견뢰한 바람 누설 성능이나 소음 성능은 그대로이고, 공기 흐름의 정체 발생을 저감하여 양호한 통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욕실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이 욕실 건조기(DM)는 환기구(12)에 연결되는 환기 풍로(101) 및 순환 취출구(14)에 연결되는 순환 풍로(102)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회전축 둘레에 원호 형상을 이루는 외주면(161)과, 외주면(161)보다 회전축측에 위치하는 내주면(163)을 갖는 회전식 댐퍼(16)를 구비하고, 댐퍼(16)는 내주면(163)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만곡도가 외주면(161)의 만곡도보다 완만해지도록 형성되며, 외주면(16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끝부에 대응해서 래버린스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욕실 건조기

Description

욕실 건조기{BATHROOM DRIER}
본 발명은 욕실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욕실 건조기로서 욕실의 공기를 흡인해서 히터를 경유시켜서 욕실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순환 모드와, 욕실의 공기를 흡인해서 욕실 밖으로 배출하는 환기 모드를 실행 가능하도록 환기구와 순환 취출구를 회전식 댐퍼에 의해 전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회전식 댐퍼로서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곡면상의 벽면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그 회전에 따라서 환기구를 향하는 통로나 순환 취출구를 향하는 통로를 막아 각각의 통로로 보내지는 풍량을 조정하는 것이다. 회전식 댐퍼의 다른 형태로서는 하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평판상의 벽면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환기구를 향하는 통로와 순환 취출구를 향하는 통로를 전환하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4-372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02-130187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곡면상의 벽면을 회전시켜서 각 통로를 개폐하기 때문에, 댐퍼의 이동시에 있어서의 공기 저항이 다른 형태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부담을 적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댐퍼의 배면과 환기구 등의 통로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래버린스 형상에 의한 바람 누설 대책을 실시하기 쉬워, 다른 형태의 것에 비하여 바람 누설이나 그것에 따르는 소음 등을 경감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회전식 댐퍼에 있어서는 송풍기로부터 분출된 바람을 댐퍼의 곡면상벽면의 내주면에 닿게 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곡면상의 댐퍼 내주면 내에 공기의 정체가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기류의 혼란이 발생해서 순환이나 환기의 통풍 성능이 저하된다고 하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곡면상의 벽면을 회전시키는 댐퍼에 의해 환기 모드와 순환 모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는 욕실 건조기이고, 견뢰한 바람 누설 성능이나 소음 성능은 그대로이며, 공기 흐름의 정체 발생을 저감해서 양호한 통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욕실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인 욕실 건조기는 욕실의 공기를 흡인하여 히터를 경유시켜서 욕실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순환 모드와, 욕실의 공기를 흡인하여 욕실 밖으로 배출하는 환기 모드를 구비하는 욕실 건조기로서, 욕실의 천장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의 일측에 격납되 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취출구와 대면하도록 상기 본체 내의 타측에 형성된 환기구와, 상기 본체 내의 타측에서 상기 환기구보다 욕실측이 되는 하부에 형성된 순환 취출구와, 상기 송풍기의 취출구와 상기 환기구 및 상기 순환 취출구를 연통하는 두 갈래 분기부를 구비하는 송풍 통로와, 상기 순환 취출구 내에 배치된 히터와, 상기 두 갈래 분기부에 배치되어 상기 환기구에 연결되는 통로 및 상기 순환 취출구에 연결되는 통로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회전축 둘레에 원호 형상을 이루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보다 회전축측에 위치하는 내주면을 갖는 회전식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만곡도가 상기 외주면의 만곡도보다 완만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끝부에 대응해서 래버린스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대면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식 댐퍼를 환기구에 연결되는 통로 및 상기 순환 취출구에 연결되는 통로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형성한 외주면과, 그 외주면보다 회전축측에 위치하는 내주면의 이중 구조로 함으로써 외주면 및 내주면 각각의 역할에 따른 적절한 형태로 할 수 있다. 즉, 외주면은 환기구에 연결되는 통로 및 순환 취출구에 연결되는 통로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회전축 둘레에 원호 형상을 이룸으로써 간편하고 또한 확실하게 각각의 통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원호상을 이루는 외주면의 양측 끝부에 대응해서 본체의 내측에 대면 벽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래버린스 구조에 의해 확실하게 바람 누설을 방지하고, 난방, 환기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주면은 외주면의 만곡도보다 완만한 만곡도가 되도록 구 성되어 있으므로, 내주면에 부딪히는 공기 흐름의 혼란이나 정체를 저감하고, 양호한 통풍 성능을 확보하여 높은 순환 성능, 환기 성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 청구항 2에 따른 욕실 건조기에서는 욕실의 공기를 흡인하고, 그 일부의 공기는 히터를 경유시켜서 욕실 방향으로 분출하고, 잔부의 공기는 욕실 밖으로 배출하는 의류 건조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상기 댐퍼는 상기 순환 취출구를 막는 제 1 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순환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상기 댐퍼는 상기 환기구를 막는 제 2 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상기 댐퍼는 상기 환기구에 연결되는 통로의 비욕실측이 되는 상부를 폐쇄하고, 또한 상기 내주면의 상기 환기구측에 위치하는 끝부가 상기 송풍기측에 위치하는 끝부보다 욕실측이 되는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지난 제 3 위치까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댐퍼는 환기구에 연결되는 통로의 비욕실측이 되는 상부를 폐쇄하고, 또한 내주면의 환기구측에 위치하는 끝부가 송풍기측에 위치하는 끝부보다 욕실측이 되는 하방에 위치하도록 환기구의 전체 폐쇄 위치를 지난 제 3 위치까지 회전하므로, 순환 취출구에 연결되는 통로는 환기구의 하방 위치에서 전체 개방되고, 환기구에 연결되는 통로는 욕실측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댐퍼의 내주면이 송풍기측으로부터 환기구측을 향해서 욕실측으로 내려가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3 위치에 댐퍼를 배치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의류 건조 모드에 있어서 이상적인 기류 분배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된 것을 찾아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고온 공기를 배기구로부터 다량으로 배기하는 것은 에너지의 낭비이고, 욕실이나 의류의 건조시에 큰 낭비가 발생한다. 한편으로 의류의 건조에 의해 발생한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다습 공기를 욕실에 다량으로 되돌리는 것은 역시 욕실이나 의류의 건조에 대하여는 낭비가 많아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본 출원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댐퍼의 배치로 함으로써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기구로부터 배기하고, 수분이 적은 고온의 공기는 효율적으로 욕실로 귀환시킨다고 하는 이상적인 기류 분배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의류 건조 모드 실행 초기의 단계에서는 의류의 수분이 많기 때문에 송풍기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고온 다습하게 되기 때문에 이 시기의 공기는 대부분을 배기구로부터 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온 다습한 공기는 흡인되어서 송풍기로부터 분출되는 과정에 있어서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공기 중의 수분이 다량의 물방울로 된다. 본 출원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이것에 착안하여 다량의 물방울을 함유한 공기는 원심력의 작용을 받아서 상방에 위치하는 환기구로부터 효율적으로 배기되도록 고안한 것이다. 한편, 물방울을 함유하지 않는 건조한 고온의 공기는 원심력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기 때문에 크게 개구한 하방의 순환 취출구를 통과해서 욕실로 대부분 귀환하도록 고안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댐퍼의 정지 위치의 형태를 고안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의류 건조 모드에 있어서의 이상적인 기류 분배가 가능해져 의류 건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반대로 그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본 출원 청구항 3에 따른 욕실 건조기에서는 상기 댐퍼는 상기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상기 제 3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댐퍼의 정지 위치를 가변으로 하는 일없이, 제 3 위치에 고정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기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함유하는 물방울의 양에 따라서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물방울이 많은 고온 다습한 공기는 환기구측으로 송출되고, 물방울량이 적은 건조한 고온 공기는 순환 취출구측으로 송출되므로, 이상적인 기류 분배를 행하기 위해서 복잡한 댐퍼의 가변 제어를 행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 청구항 4에 따른 욕실 건조기에서는 상기 댐퍼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만곡되지 않은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댐퍼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평탄면으로 함으로써, 내주면에 부딪히는 공기의 흐름을 혼란시키지 않고 환기구로 연결되는 통로로 송출할 수 있으므로 환기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 청구항 5에 따른 욕실 건조기에서는 상기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송풍기측에 위치하는 끝부가 상기 송풍기의 취출구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도 상기 댐퍼는 상기 송풍기측에 위치하는 끝부가 상기 송풍기의 취출구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며, 상기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측에 위치하는 상기 댐퍼의 끝부이고, 상기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에 위치하는 끝부에 상기 순환 취출구측으로 공기를 지향시키는 공기 지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도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도, 댐퍼의 송풍기측에 위치하는 끝부가 취출구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송풍기로부터 취출된 공기는 이 끝부의 영향을 받기 어렵도록 고안되어 있다. 또한,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 송풍기측에 위치하는 댐퍼의 끝부는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환기구에 위치하는 끝부가 되는 것에 착안하여, 이 끝부에 순환구측으로 공기를 지향시키는 공기 지향부를 형성했다. 이것에 의해,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공기 지향부가 취출구보다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통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환기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는 한편으로,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공기 지향부가 환기구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순환 취출구로의 공기의 지향을 강화하도록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고온의 공기를 헛되이 배출해서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한층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 청구항 6에 따른 욕실 건조기에서는 상기 댐퍼의 회전 중심보다 상기 히터의 중심을 외측에 위치시켜, 상기 순환 취출구의 외측 끝을 향하는 경사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댐퍼 내주면의 만곡이 작게 되어 있다는 점으로부터 순환 취출구측으로 기류를 지향시키는 힘이 저하되지만, 본 출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댐퍼의 회전 중심보다 히터의 중심이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순환 취출구의 외측 끝을 향하는 경사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댐퍼를 사용한 의류 건조 모드에 있어서도 원활하게 기류를 순환 취출구로부터 분출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순환 취출구측의 압력 손실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환기구측으로의 불필요한 고온 공기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의류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본 출원 청구항 7에 따른 욕실 건조기에서는 상기 대면 벽부는 제 1 대면 벽부와 제 2 대면 벽부로 분할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환기구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대면 벽부는 상기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순환 취출구측에 위치하는 상기제 2 대면 벽부는 상기 히터를 수납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서 이루어지는 히터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순환 취출구측에 위치하는 제 2 대면 벽부는 히터를 수납해 본체에 고정되어서 이루어지는 히터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므로, 제 2 대면 벽부를 형성한 히터 케이스를 본체에 고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순환측의 대면 벽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환기 모드에 있어서 순환구측으로의 공기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고, 환기 성능의 향상과 더불어 환기시에 있어서 욕실측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에 의한 쌀쌀함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해소할 수 있었던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 바람 누설을 방지해서 통기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공기 흐름의 정체 발생도 저감시킬 수 있는 욕실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욕실 건조기는 욕실의 공기를 흡인해 히터를 경유시켜서 욕실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순환 모드와, 욕실의 공기를 흡인해 욕실밖으로 배출하는 환기 모드를 구비함과 아울러 욕실 이외의 제 2실인 세면소 등의 환기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욕실 건조기의 배치 형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욕실 건조기(DM)는 욕실(BR)의 천장에 부착되는 것이다. 욕실 건조기(DM)는 욕실(BR)의 공기를 흡인해 히터(도 1에 있어서는 명시하지 않는다)를 경유시켜서 욕실(BR)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할 수 있다. 또한, 욕실 건조기(DM)는 욕실(BR) 내의 공기를 흡인해 덕트(D1)를 통해서 욕실 밖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욕실 건조기(DM)는 세면소(SR)의 천장에 형성된 흡인구(SR1)에 연결되는 덕트(SR2)를 통해서 세면소(SR) 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덕트(D1)를 통해서 욕실 밖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욕실 건조기(DM)의 외관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a)는 욕실 건조기(DM)의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2(b)는 욕실 건조기(DM)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욕실 건조기(DM)는 정면측의 커버(30)와, 배면 및 측면을 덮는 본체 케이스(1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의 측면에는 환기시에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환기구(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측에는 제 2실로서의 세면소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욕실 외부 흡인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0)의 배면의 개구부에는 본체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송풍기를 회 전시키기 위한 송풍기 모터(FM)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30)에는 욕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욕실 흡인구(13)와, 가열된 공기를 분출하는 순환 취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욕실 건조기(DM)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서 욕실 외부 흡인구(11)로부터 환기구(12)를 따른 방향의 단면도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 내에는 욕실 흡인구(13)로부터 순차적으로 격벽 부재(20)와, 송풍기(15)와, 댐퍼(16)(제 1 댐퍼)가 배치되어 있다. 격벽 부재(20)에 대해서는 그 구성을 후에 상술한다. 송풍기(15)는 송풍기 모터(FM)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여 흡인구(151)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취출구(152)로부터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풍기(15)는 송풍기 모터(FM)와 함께 송풍기를 구성하고 있다.
송풍기(15)의 취출구 앞에는 댐퍼(16)가 배치되어 있다. 댐퍼(16)는 회전식의 로터리 댐퍼이고, 송풍기(15)의 취출구(152)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환기 풍로(101) 및 순환 풍로(102)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으로 방향 설정해서 송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기 풍로(101)는 송풍기(15)의 취출구(152)와 환기구(12)를 연통하고, 순환 풍로(102)는 송풍기(15)의 취출구(152)와 순환 취출구(14)를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환기 풍로(101) 및 순환 풍로(102)로 이루어지는 송풍 통로는 각각에 공기를 분기하는 두 갈래 분기부를 형성하고 있고, 그 두 갈래 분기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댐퍼(16)가 배치되어 있다.
순환 풍로(102)의 앞에 연결되는 순환 취출구(14)에는 히터 케이스(17)에 수용된 히터(18)가 배치되어 있다. 히터(18)보다 하류측에는 루버(19)가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댐퍼(16)에 의해 송풍기(15)의 취출구(152)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각 풍로로 배분되고 있다. 도 4에는 환기 모드에 있어서의 댐퍼(16)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5에는 순환 모드에 있어서의 댐퍼(16)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댐퍼(16)는 순환 풍로(102) 및 순환 취출구(14)를 막는 제 1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환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댐퍼(16)는 환기 풍로(101) 및 환기구(12)를 막는 제 2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취출구(152)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모두 환기 풍로(101)로부터 환기구(12)로 향한다. 또한, 순환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취출구(152)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모두 순환 풍로(102)로부터 순환 취출구(14)로 향한다.
이와 같이, 각 풍로를 선택적으로 막는 경우에는 댐퍼(16)와 본체 케이스(10) 및 히터 케이스(17)의 간극으로부터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래버린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의 예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은 본체 케이스(10)에 대면 벽부(101a)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16)의 외주면(161)의 끝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대면 벽부(101a)를 설치함으로써, 댐퍼(16)의 외주면(161)이 대면 벽부(101a)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부분에 있어서 래버린스 구조가 형성되어 공기가 누설되는 일이 없다. 이러한 대면 벽부(101a)와 마찬가지의 대면 벽부는 히터 케이스(17)에도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3으로 돌아가 댐퍼(16)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댐퍼(16)의 배치 위치는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의 것이다. 의류 건조 모드에서는 송풍기(15)의 취출구(152)로부터 분출된 공기의 일부를 환기 풍로(101)로, 잔부를 순환 풍로(102)로 배분하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도 7에 댐퍼(16) 주변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16)는 회전축(164) 둘레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회전축(164)에는 부채형의 지지부(162)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부(162)의 선단에는 원호상을 이루는 외주면(161)이 형성되고, 외주면(161)보다 회전축(164)측에는 내주면(163)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면(161)은 환기구(12)에 연결되는 환기 풍로(101) 및 순환 취출구(14)에 연결되는 순환 풍로(102)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회전축(164) 둘레에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내주면(163)은 외주면(161)보다 회전축(164)측에 위치하고, 내주면(163)의 만곡도는 외주면(161)의 만곡도보다 완만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내주면(163)은 평탄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의류 건조 모드는 욕실의 공기를 흡인하고, 그 일부의 공기는 히터(18)를 경유시켜서 욕실 방향으로 분출하고, 잔부의 공기는 욕실 밖으로 배출하는 모드이다.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댐퍼(16)는 순환 취출구(14)[순환 풍로(102)]를 막 는 제 1 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고(도 4 참조, 도 7에 있어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순환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댐퍼(16)는 환기구(12)[환기 풍로(101)]를 막는 제 2 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고 있다(도 5 참조).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댐퍼(16)는 환기구(12)에 연결되는 환기 풍로(101)의 욕실측 하부가 환기구에 연통하도록 개구하고, 비욕실측이 되는 상부를 폐쇄하며, 또한 내주면(163)의 환기구(12)측에 위치하는 끝부가 송풍기(15)측에 위치하는 끝부보다 욕실측이 되는 하방에 위치하고, 경사진 상태에서 정지하도록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지난 제 3 위치까지 회전하고 있다. 댐퍼(16)는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이 제 3 위치에 고정된다.
의류 건조 모드에 있어서, 댐퍼(16)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치로 함으로써 송풍기(15)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그 과정에서 냉각되어서 물방울이 되고,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무거운 물방울은 바깥측까지 날아가기 때문에 환기구(12)측으로 적극적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고온 다습한 공기는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의류를 재차 습기차게 하여 버리는 일이 없다. 그리고, 의류의 건조가 진행되어 공기 중의 수분이 감소해서 건조한 공기로 되었을 경우에는 수분이 적기 때문에 원심력의 작용을 그다지 받지 않아 물방울은 멀리까지 날아가지 않기 때문에 환기구(12)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억제되어서 욕실 내로 대부분이 순환풍이 되어서 돌아온다. 따라서, 특별한 제어 등을 행하는 일없이 고온의 공기를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의 낭비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댐퍼(16)의 내주면(163)은 평탄한 면으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주면(163) 내에 서 공기가 정체되는 일이 없어 환기구(12)나 순환 취출구(14)로 효율적으로 공기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댐퍼(16)의 형태는 도 7 등에 나타내어지는 것에 한하지 않는다. 댐퍼(16)의 변형예를 도 8∼도 10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댐퍼(16a)는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의 제 3 위치(도면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취출구(152)측이 되는 절반의 내주면(163b)이 평탄하고, 환기구(12)측이 되는 나머지 절반의 내주면(163a)이 만곡도가 큰 곡면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 취출구(152)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내주면(163a)에 의해 적극적으로 순환 취출구(14) 방면으로 방향 설정되기 때문에 헛되이 환기구(12)로부터 건조한 고온의 공기가 적극적으로 배출되는 일이 없어 에너지의 낭비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한편으로 댐퍼(16a)가 제 1 위치(도면 중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위치에 있는 환기 모드에 있어서는 제 1 위치에서는 제 3 위치와는 반전되는 관계로 되기 때문에 만곡면이 형성된 내주면(163a)은 취출구(152)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공기의 방향 설정에 대하여 내주면(163a)은 기여도가 낮은 위치로 되어 정체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제 1 위치에 있어서는 평탄한 내주면(163b)이 기여도가 높아지는 환기구(12)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환기 성능을 일절 손상시키는 일없이, 의류 건조 모드에서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계속해서, 도 9에 나타내는 댐퍼(16b)는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의 제 3 위치(도면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환기구(12)측이 되는 끝부에 공기 지향부(163c)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취출구(152)로부터 분 출된 공기는 공기 지향부(163c)에 의해 적극적으로 순환 취출구(14) 방면으로 방향 설정되기 때문에 헛되이 환기구(12)로부터 건조한 고온의 공기가 적극적으로 배출되는 일이 없어 에너지의 낭비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한편으로 댐퍼(16a)가 제 1 위치(도면 중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의 위치에 있는 환기 모드에 있어서는, 제1 위치에서는 제 3 위치와는 반전된 관계로 되기 때문에 공기 지향부(163c)는 취출구(152)측에 위치하고, 그 위치에 있어서는 취출구(152)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의 영향이 없는 위치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의 방향 설정에 대하여 공기 지향부(163c)는 기여도가 낮은 위치로 되어 정체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계속해서, 도 10에 나타내는 댐퍼(16c)는 내주면(163d)이 평탄면이 아니라 곡률이 매우 큰 원호상을 이루고 있고, 당연히 그 곡률 반경은 외주면(161)의 곡률 반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취출구(152)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보다 완만한 만곡도를 형성하고 있는 내주면(163d)에 의해 방향 설정되기 때문에 환기 모드에서의 정체의 발생이 거의 없는 상태로 억제할 수 있는 한편, 의류 건조 모드에서의 순환 취출구(14)로의 방향 설정이 강해지므로 역시 환기 성능을 높이면서, 의류 건조 모드의 성능도 높일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16)의 회전 중심보다 히터(18)의 중심을 외측에 위치시켜 순환 취출구(14)의 외측단을 향하는 경사 가이드면(102a)을 형성하고 있다. 댐퍼(16) 내주면(163)의 만곡이 작아져 있기 때문에 순환 취출구(14)측에 기류를 지향시키는 힘이 저하되어 있지만, 댐퍼(16)의 회전 중심보다 히터(18)의 중심이 외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되고, 또한 순환 취출구(14)의 외측단을 향하는 경사 가이드면(102a)을 형성함으로써 댐퍼(16)를 사용한 의류 건조 모드에 있어서도 원활하게 기류를 순환 취출구(14)로부터 분출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순환 취출구(14)측의 압력 손실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환기구(12)측으로의 불필요한 고온 공기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의류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격벽 부재(20)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욕실측이 되는 하방으로부터 격벽 부재(20)를 본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2는 송풍기(15)측이 되는 상방으로부터 격벽 부재(20)를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 부재(20)는 송풍기(15)의 흡인구(151)에 대응한 개구부(202a) 및 욕실 외부 흡인구(11)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개구부(202b)를 갖는 베이스판(202)과, 베이스판(20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세워져 설치된 환상 벽(201)과, 격벽 부재(20)의 욕실 외부 흡인구(11)측의 일측부를 덮는 커버판(20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커버판(203)에 의해 격리되는 공간[커버판(203)과 개구부(202b) 사이의 공간]의 송풍기(15)측에는 커버판(203)과 베이스판(202)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있고, 그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댐퍼(204)(제 2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댐퍼(204)가 설치되어 있는 개구부는 욕실 외부 흡인구(11)에 연결되는 개구부(202b)보다 넓은 개구폭을 갖고 있고, 송풍기(15)의 흡인구(151)보다 넓은 개구폭을 갖고 있다. 댐퍼(204)는 댐퍼 모터(205)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댐퍼(204)는 단일 댐퍼로서 형성되고, 욕실 외부 흡인구(11)로부터 송풍 기(15)의 흡인구(151)에 연결되는 유로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댐퍼(204)는 격벽 부재(20)의 타단측[필터측, 커버(30)측]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 고정되고, 환기 모드에 있어서 필터와 대면하도록 요동시킴으로써 욕실 흡인구(13)의 개구 면적을 좁혀서 욕실 외부 흡인구(11)로부터 송풍기(15)의 흡인구(151)에 이르기까지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 부재(20)는 송풍기(15)의 흡인구(151)를 둘러싸도록 환상 벽(201)이 환상 형상으로서 구성되고, 환상 벽(201)의 일단이 베이스판(202)을 통해서 본체 케이스(10)에 고정되며,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그 타단이 필터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송풍기(15)의 흡인구(151)를 향하는 방향에 대한 측방으로부터의 흡기가 억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격벽 부재(20)의 변형예인 격벽 부재(20a)를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격벽 부재(20a)는 격벽 부재(20)에 대하여 댐퍼(206)(제 3 댐퍼)를 추가하고 있다. 댐퍼(206)는 욕실 흡인구(13)를 전체 개방으로 하거나 일부 폐쇄로 하거나 할 수 있도록 댐퍼 모터(207)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격벽 부재(20a)에 고정 커버인 커버판(208)을 추가한 격벽 부재(20b)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 부재(20b)에 있어서 댐퍼(204)가 욕실 외부 흡인구(11)를 전체 개방하고, 댐퍼(206)가 욕실 흡인구(13)를 일부 폐쇄하도록 각각 요동하면, 커버판(203)과 커버판(208) 사이의 간극 부분이 좁아져 욕실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압력 손실이 증대하므로, 욕실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압력 손실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욕실 내부와 욕실 외 부의 환기 비율을 동등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여기에서, 도 16에 댐퍼(204) 및 댐퍼(206)의 요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선으로 나타낸 댐퍼(204) 및 댐퍼(206)의 위치는 도 15에 나타낸 위치이다. 댐퍼(204)는 욕실 외부 흡인구(11)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204a의 위치까지 요동한다. 댐퍼(206)는 욕실 흡인구(13)를 전체 개방하는 경우에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206a 또는 206b의 위치까지 요동한다.
또한, 커버판(208)에는 복수의 구멍(209)(제 2 간극 부분)을 형성하여, 커버판(203)과 커버판(208) 사이의 간극 부분 이외로부터 필터를 경유해서 공기를 흡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구멍(209) 각각에 댐퍼(210)(제 4 댐퍼)를 설치하고,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210a로 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사이를 요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으로 하면 욕실 흡인구(13)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1쌍의 고정 커버로서의 커버판(203,208)을 구비하고, 커버판(203,208) 사이의 간극 부분을 사이에 두고 댐퍼(204)와 댐퍼(206)를 배치하고, 순환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댐퍼(204) 및 댐퍼(206)가 간극 부분을 개방하며(도 15 참조),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댐퍼(204) 및 댐퍼(206)가 간극 부분을 좁히도록 댐퍼(204) 및 댐퍼(206)를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판(203,208) 사이의 간극 부분은 송풍기(15)의 흡인구(151)의 중심보다 욕실 외부 흡인구(11)측으로 편향시켜서 형성되어 있고, 댐퍼(204)가 욕실 외부 흡인구(11)를 전체 폐쇄할 때에는 송풍기(15)에 의한 간극 부분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에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하고, 댐퍼(204)가 욕실 외부 흡인구(11)를 전체 개방할 때에는 송풍기(15)에 의한 간극 부분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에 간섭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욕실 흡인구(13)의 하부에 있어서 욕실 흡인구(13)를 모두 덮도록 필터를 구비하고, 댐퍼(204)를 전체 개방하는 위치로 요동시키고, 댐퍼(206)를 일부 폐쇄하는 위치로 요동시킨 경우에(도 16 참조), 댐퍼(204) 및 댐퍼(206)와 필터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판(208)에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 간극 부분 이외로부터 필터를 경유해서 공기를 흡인 가능하도록 구멍(209)(제 2 간극 부분)을 형성하고, 구멍(209)에 대하여 댐퍼(206)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댐퍼(210)(제 4 댐퍼)를 배치하여,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 댐퍼(210)가 구멍(209)을 전체 폐쇄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송풍기 모터(FM)나 댐퍼 모터(205,207)는 제어부(C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제어부(CU)에 의한 제어 블럭을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모컨(71) 및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51, 53)로부터의 입력을 받아 송풍기 모터(FM), 댐퍼(16)를 회동시키는 댐퍼 모터(M1), 댐퍼(204)를 회동시키는 댐퍼 모터(205), 댐퍼(207)를 회동시키는 댐퍼 모터(207)나, 히터(18)에 대한 지령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CU)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 써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어를 행한다.
계속해서, 커버(30)의 구성에 대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은 커버(30)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커버(30)의 필터(33) 근방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커버(30)는 본체 케이스(10)의 욕실측이 되는 하부를 덮는 커버이다. 커버(30)는 본체 케이스(10)측에 위치하는 내측 커버(32)와, 욕실측에 위치하는 외측 커버(31)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커버(32)는 본체 케이스(10)에 대하여 네 모퉁이의 볼트(50)에 의해 고정된다. 내측 커버(32)에는 필터(33)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커버(32)의 외주에는 본체 케이스(10)와의 사이에서 래버린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둘레가장자리 래버린스벽(3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커버(32)에는 루버(19)와의 사이에서 래버린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 1 루버 래버린스벽(322) 및 제 2 루버 래버린스벽(323)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33)는 내측 커버(32)에 형성된 레일 형상의 래버린스홈(324)에 슬라이드 삽입되어서, 내측 커버와의 사이에서 래버린스 구조를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33)에는 필터 노루발(34)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커버(30)를 본체 케이스(10)에 부착함으로써 송풍기로서의 송풍기(15)와 필터(33) 사이의 공간을 부압 발생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필터(33)가 과도하게 막혔을 경우에 부압 발생부의 부압을 상승시켜서 히터(18)를 통과한 하류의 공기를 필터(33) 를 통과시키지 않고 귀환 기류로서 송풍기(15)로 귀환시키는 귀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귀환 유로에 대해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0은 커버(30)를 떼고서 욕실측으로부터 본 본체 케이스(10)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송풍기(15)로부터 히터(18) 근방의 단면도이다.
본체 케이스(10)의 둘레가장자리에는 둘레가장자리 래버린스벽(103)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30)의 둘레가장자리 래버린스벽(321)과 조합시킴으로써 전체 둘레에 걸쳐서 래버린스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부압 발생부의 중핵을 이루는 송풍기(15)의 흡인구(151)를 둘러싸도록 격벽 부재(20)가 배치되어 집중 부압 발생실을 구성하고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 부재(20)의 히터(18)측에 부압 흡인 통로용 노치(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루버 래버린스벽(322)에도 부압 흡인 통로용 노치(4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격벽 부재(20)가 둘러싸여진 부분에 부압이 발생하면, 도 20에 나타내는 화살표를 따른 귀환 기류가 발생한다. 이 귀환 기류는 부압 흡인 통로용 노치(42)로부터 부압 흡인 통로용 노치(41)를 향해서 흘러 귀환 유로가 형성된다. 이 귀환 유로에 온도 센서(51)가 배치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기(15)와 순환 취출구(14)[히터(18), 루버(19)]는 본체 케이스(10)의 대각선을 따른 대각 배치로 되어 있다. 또한, 루버(19)측의 부압 흡인 통로용 노치(42)는 그 길이가 비교적 길게[대략 루버(19)의 한변과 같은 길이] 형성되고, 송풍기(15)측의 부압 흡인 통로용 노치(41)는 비교적 짧게 형성되어 있다. 필터가 과도하게 막혀 집중 부압 발생실에 큰 부압이 발생하 면 송풍기(15)의 중심을 향해서 수속하면서 귀환 기류는 흐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압 흡인 통로용 노치(41)를 더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귀환 기류는 더욱 수속하면서 흐르기 때문에, 송풍기(15)측으로 편향되어 부압 흡인 통로용 노치(41)의 근방에 온도 센서(51)가 배치되어 있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귀환 기류를 확실하게 온도 센서(51) 위를 통과시킬 수 있다.
히터 케이스(17)에 대하여, 루버(19)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버(19)의 볼트 고정부(181,182)는 중심을 사이에 두고 등거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도 20에 나타내는 구성의 경우에 루버(19)측의 부압 흡인 통로용 노치(42)보다 먼 쪽의 볼트 고정부(181)를 고정함으로써, 부압 흡인 통로용 노치(42)측의 체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볼트(도면에 명시하지 않는다. 이하 동일)의 체결력에 의해 히터 케이스(17)와 루버(19)의 기밀성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의도한 기밀성을 얻을 수 있고, 정확하게 이상 온도 판단을 행할 수 있으며,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15)측의 일측면과는 반대측을 볼트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송풍기(15)측의 체결력을 비교적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의도한 기밀성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부착 방향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히터 케이스(17)에 설치된 볼트 지지부(도면에 명시하지 않는다)만을 송풍기(15)와는 반대측에만 편향하도록 설치하면 조립 작업 상의 오류를 저감하고, 의도한 기밀성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귀환 유로로의 공기의 도입부가 되는 부압 흡 인 통로용 노치(42)보다 상류측이며 상방의 위치에 온도 퓨즈(52)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부압이 발생하고, 부압 흡인 통로용 노치(42)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면 온도 퓨즈(52)를 반드시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욕실 건조기(DM)는 송풍기(15)와 필터(33) 사이에 형성한 부압 발생부에 필터(33)의 막힘이 과잉으로 진행되면 큰 부압이 발생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발생한 큰 부압에 의해 히터(18)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가 확실하게 흡인되어서, 필터(33)를 통과하지 않는 형태로 구성되는 귀환 유로를 확실하게 통과해서 송풍기(15)로 귀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온도 퓨즈(52)의 역할은 히터(18) 주위의 온도 상승이 더욱 진행되어 히터(18)를 흐르는 공기가 완전히 없어져버리는 경우에는, 온도 퓨즈(52)에 의해 히터(18)로부터 전파되는 열의 온도에 의거하는 회로 차단을 행함으로써 송풍기(15)의 송풍기 록(lock)과 같은 위험한 상황에 의거하는 온도 상승에 대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33)의 막힘시에는 부압 발생부에 있어서의 부압의 발생에 의해 귀환 기류를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그 귀환 기류가 흐르는 귀환 유로의 도입부의 상류측 또한 상방에 온도 퓨즈(52)를 배치하고 있음으로써 부압에 의한 흡인이 있을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온도 퓨즈(52) 근방을 공기가 흐르도록 구성하고, 송풍기(15)가 구동되고 있을 경우에 온도 퓨즈(52)가 차단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경사 가이드면(102a)의 근방에는 온도 센서(53)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욕실 건조기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욕실 건조기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욕실 건조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욕실 건조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욕실 건조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욕실 건조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격벽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격벽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격벽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격벽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격벽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격벽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욕실 건조기에 사용되는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부압 발생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부압 발생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케이스 11 : 욕실 외부 흡인구
12 : 환기구 13 : 욕실 흡인구
14 : 순환 취출구 15 : 송풍기
16 : 댐퍼 16a : 댐퍼
16b : 댐퍼 16c : 댐퍼
17 : 히터 케이스 18 : 히터
19 : 루버 20 : 격벽 부재
20a : 격벽 부재 20b : 격벽 부재
30 : 커버 31 : 외측 커버
32 : 내측 커버 33 : 필터
50 : 볼트 51 : 온도 센서
52 : 온도 퓨즈 53 : 온도 센서
71 : 리모컨 101 : 환기 풍로
101a : 대면 벽부 102 : 순환 풍로
102a : 경사 가이드면 103 : 둘레가장자리 래버린스벽
151 : 흡인구 152 : 취출구
161 : 외주면 162 : 지지부
163 : 내주면 163a : 내주면
163b : 내주면 163c : 공기 지향부
163d : 내주면 164 : 회전축
181, 182 : 볼트 고정부 201 : 환상 벽
202 : 베이스판 202a : 개구부
202b : 개구부 203, 208 : 커버판
204 : 댐퍼 205, 207 : 댐퍼 모터
206 : 댐퍼 208 : 커버판
209 : 구멍 210 : 댐퍼
321 : 둘레가장자리 래버린스벽 322 : 루버 래버린스벽
323 : 루버 래버린스벽 324 : 래버린스홈
CU : 제어부 D1 : 덕트
DM : 욕실 건조기 FM : 송풍기 모터
SR : 세면소 SR1 : 흡인구
SR2 : 덕트

Claims (7)

  1. 욕실의 공기를 흡인해 히터를 경유시켜서 욕실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순환 모드와, 욕실의 공기를 흡인해 욕실 밖으로 배출하는 환기 모드를 구비하는 욕실 건조기에 있어서:
    욕실의 천장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의 일측에 격납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취출구와 대면하도록 상기 본체 내의 타측에 형성된 환기구,
    상기 본체 내의 타측에서 상기 환기구보다 욕실측이 되는 하부에 형성된 순환 취출구,
    상기 송풍기의 취출구와 상기 환기구 및 상기 순환 취출구를 연통하는 두 갈래 분기부를 구비하는 송풍 통로,
    상기 순환 취출구 내에 배치된 히터, 및
    상기 두 갈래 분기부에 배치되고 상기 환기구에 연결되는 통로 및 상기 순환 취출구에 연결되는 통로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회전축 둘레에 원호 형상을 이루는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보다 회전축측에 위치하는 내주면을 갖는 회전식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만곡도가 상기 외주면의 만곡도보다 완만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끝부에 대응해서 래버린스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대면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욕실의 공기를 흡인하여, 그 일부의 공기는 히터를 경유시켜서 욕실 방향으로 분출하고, 잔부의 공기는 욕실 밖으로 배출하는 의류 건조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상기 댐퍼는 상기 순환 취출구를 막는 제 1 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순환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상기 댐퍼는 상기 환기구를 막는 제 2 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며;
    상기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상기 댐퍼는 상기 환기구에 연결되는 통로의 비욕실측이 되는 상부를 폐쇄하고, 또한 상기 내주면의 상기 환기구측에 위치하는 끝부가 상기 송풍기측에 위치하는 끝부보다 욕실측이 되는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지난 제 3 위치까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상기 제 3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조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만곡이 없는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송풍기측에 위치하는 끝부가 상기 송풍기의 취출구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도 상기 댐퍼는 상기 송풍기측에 위치하는 끝부가 상기 송풍기의 취출구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며,
    상기 환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측에 위치하는 상기 댐퍼의 끝부이고, 상기 의류 건조 모드의 실행시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에 위치하는 끝부에 상기 순환 취출구측으로 공기를 지향시키는 공기 지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회전 중심보다 상기 히터의 중심을 외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순환 취출구의 외측단을 향하는 경사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면 벽부는 제 1 대면 벽부와 제 2 대면 벽부로 분할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환기구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대면 벽부는 상기 본체로 구성하고,
    상기 순환 취출구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대면 벽부는 상기 히터를 수납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서 이루어지는 히터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조기.
KR1020090068948A 2008-08-26 2009-07-28 욕실 건조기 KR201000248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7207 2008-08-26
JP2008217207A JP4292587B1 (ja) 2008-08-26 2008-08-26 浴室乾燥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95A true KR20100024895A (ko) 2010-03-08

Family

ID=4092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948A KR20100024895A (ko) 2008-08-26 2009-07-28 욕실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92587B1 (ko)
KR (1) KR20100024895A (ko)
CN (1) CN101660842B (ko)
TW (1) TW2010092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2593B (zh) * 2010-03-15 2013-10-09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浴室用取暖换气扇
JP5655368B2 (ja) * 2010-05-10 2015-01-21 マックス株式会社 浴室換気装置
JP2011237104A (ja) * 2010-05-10 2011-11-24 Max Co Ltd 風量調整装置及び換気装置
JP5683138B2 (ja) * 2010-06-09 2015-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乾燥機
TWI400413B (zh) * 2010-06-09 2013-07-01 Panasonic Eco Sys Guangdong Co Bathroom with heating ventilation fans
TWI409419B (zh) * 2010-06-09 2013-09-21 Panasonic Eco Sys Guangdong Co Bathroom with heating ventilation fans
JP6751255B2 (ja) * 2016-03-29 2020-09-02 Toto株式会社 浴室換気暖房装置
CN108072091B (zh) * 2018-01-04 2023-12-29 浙江优选电器有限公司 一种偏心旋转开启式进风的取暖器
CN108224538B (zh) * 2018-01-16 2019-09-13 浙江来斯奥电气有限公司 一种集成吊顶取暖器
CN108758768B (zh) * 2018-08-15 2020-02-04 来斯奥集成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取暖器箱体
CN108980965A (zh) * 2018-09-20 2018-12-11 奥普家居股份有限公司 多通道取暖的浴室取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0842B (zh) 2012-04-18
JP2010054077A (ja) 2010-03-11
TWI377324B (ko) 2012-11-21
JP4292587B1 (ja) 2009-07-08
CN101660842A (zh) 2010-03-03
TW201009273A (en) 201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4895A (ko) 욕실 건조기
JP5163236B2 (ja) 空気調和装置
JP5457807B2 (ja) 業務用洗濯物乾燥機
KR20150077776A (ko) 제습기
KR10078750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6464807B2 (ja) 送風装置
JP4771099B2 (ja) 浴室乾燥機
JP4771098B2 (ja) 浴室乾燥機
TWM558331U (zh) 換氣裝置
WO2006115197A1 (ja) 送風装置
JP2014001879A (ja) 浴室乾燥機
JP6301279B2 (ja) 風路切換装置
JP2011017485A (ja) 浴室乾燥機
JP4671138B2 (ja) 浴室乾燥機
JP4052216B2 (ja) 空調装置
JP4666188B2 (ja) 浴室乾燥機
JP5907410B2 (ja) 浴室空調装置
JP4738584B2 (ja) 送風機と浴室乾燥機
JP6691664B2 (ja) 浴室換気乾燥装置
JP2019100639A (ja) 加湿送風ユニット
JP4692854B2 (ja) 浴室乾燥機
JP6142647B2 (ja) 送風装置
JP6137729B2 (ja) 浴室空調装置
JP5218753B2 (ja) 浴室乾燥機
JP6120247B2 (ja) 浴室衣類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