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597A -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597A
KR20100023597A KR1020080082455A KR20080082455A KR20100023597A KR 20100023597 A KR20100023597 A KR 20100023597A KR 1020080082455 A KR1020080082455 A KR 1020080082455A KR 20080082455 A KR20080082455 A KR 20080082455A KR 20100023597 A KR20100023597 A KR 20100023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be
detected
light emission
face
fa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417B1 (ko
Inventor
신리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2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417B1/ko
Priority to US12/545,143 priority patent/US8090253B2/en
Publication of KR2010002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6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both the intensity of the flash source and the distance of the flash source from the object, e.g.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number" of the flash bulb and the focusing of the camera
    • G03B7/17Selection of modes in flash units by exposure control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1Control of illu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6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acquisi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제어 방법은 소정의 조건에 따라 스트로보의 프리 발광과 함께 피사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피사체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얼굴 영역을 기초로 메인 발광 연산 및 스트로보 발광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얼굴 부분의 저 휘도 때문에 얼굴 검출이 어려운 경우, 얼굴 검출의 확률을 높이고 적절 노출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트로보, 프리 발광, 얼굴 검출

Description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Photograph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stroboscope}
본 발명은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스트로보 발광 제어는 촬영 직전에 스트로보를 약 발광시키고 그때의 화상 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 휘도가 적정 레벨이 되도록 메인 발광에 필요한 스트로보 발광량을 계산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스트로보 촬영을 수행한다.
그러나 촬영하고자 하는 인물이 검은 옷을 입고 있는 경우에는 그 피사체 휘도의 평균이 낮아지고, 이를 적정 레벨로 하는 연산을 행하여 스트로보 촬영을 하면 얼굴이 과도하게 밝게 나온다. 반대로 흰 옷을 입고 있는 경우에는 얼굴이 어둡게 나오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얼굴 검출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얼굴 검출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의 스트로보 제어 기술은 라이브 뷰(Liveview) 영상에서 검출된 얼굴의 위치나 크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요 피사체 위치를 판단하거나, 역광에 대한 발광 제어, 적목 방지 발광 제어, 근거리 발광 제어 등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을 이용하여, 라이브 뷰 시에 얼굴 검출을 하고, 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스트로보 제어 시에 얼굴 위치의 휘도를 적정레벨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얼굴 검출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어두운 경우에는 얼굴 검출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또한 역광 시에도 얼굴 검출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역광에서 얼굴이 언더가 되는 조건에서도, 얼굴 검출에 의해 얼굴 위치의 휘도를 적정 레벨로 맞춤으로써, 얼굴을 적정 레벨로 할 수 있으나, 강한 역광의 경우는 얼굴의 휘도 레벨이 매우 낮아져서 얼굴 검출이 불가능해지며, 이 경우 보정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얼굴 부분의 저 휘도 때문에 얼굴 검출이 어려운 경우, 얼굴 검출의 확률을 높이고 적절 노출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촬영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촬영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은 (a) 상기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상기 프리 발광과 함께 소정의 피사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사체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을 기초로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발광 연산에 따라 상기 스트로보의 메인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 다음에,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스트로보 발광 조건하에서,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스트로보의 발광 휘도보다 밝은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 다음에,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일반 메인 발광 연산에 따라 메인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오토(auto) 모드 또는 필인(fill in) 모드를 포함하는 스트로보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장치는 상기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상기 프리 발광과 함께 소정의 피사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사체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을 기초로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는 발광 연산부; 상기 메인 발광 연산에 따라 상기 스트로보의 메인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로보의 발광 조건하에서,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스트로보의 발광 휘도보다 밝은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 발광과 함께 획득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얼굴 검출부로부터 얼굴 영역이 검출된 경우, 상기 발광 연산부가 검출된 얼굴 영역을 기초로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 검출부로부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광 연산부가 일반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일반 메인 발광 연산에 따라 메인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오토(auto) 모드 또는 필인(fill in) 모드를 포함하는 스트로보 모드가 선택되는 스트로보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발광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프리 발광 또는 메인 발광을 수행하는 스트로보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스트로보의 프리 발광과 함께 피사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피사체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얼굴 영역을 기초로 메인 발광 연산 및 스트로보 발광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얼굴 부분의 저 휘도 때문에 얼굴 검출이 어려운 경우, 얼굴 검출의 확률을 높이고 적절 노출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1과 함께 설명할 도 2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100)는 광학부(10), 광학 구동부(11), 촬상소자(15), 촬상소자 제어부(16), 스트로보 발광부(17), 조작부(20), 스트로보 모드 선택부(21), 프로그램 저장부(30), 버퍼 저장부(40), 데이터 저장부(50), 표시 제어부(60), 데이터 구동부(61), 주사 구동부(63), 표시부(65)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7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가 입력되어 촬상 소자(13)로 제공한다. 광학부(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 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구동부(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가 광학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광학부(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소자(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5)는 촬상소자 제어부(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6)도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15)를 제어할 수 있다.
스트로보 발광부(17)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프리 발광 또는 메인 발광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트로보는 디지털 카메라 촬영시, 광량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셔터와 동시에 빛을 내는 강한 광원을 의미한다. 프리 발광이란 메인 발광 이전에 스트로보를 발광시켜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프리 발광을 한 후, 피사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조작부(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조작부(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조작부(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스트로보 모드 선택부(21)는 사용자가 오토(auto) 모드 또는 필인(fill in) 모드를 포함하는 스트로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오토 모드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주변의 빛의 상태를 측정하여 스트로보의 발광 여부를 결정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면 피사체를 측광하여 스트로보 발광 휘도 이상 또는 이하인지를 결정하고, 피사체의 휘도가 스트로보 발광 휘도 이하인 경우에 스트로보를 발광시킨다. 또한, 필인(fill in) 모드는 주변의 빛의 상태에 관계없이 스트로보를 발광시킨다. 이는 강한 태양 광 아래나 역광 상태일 때 배경과 피사체가 모두 잘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오토 모드와 필인 모드만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 금지 모드 또는 적목 방지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0)와 스트로보 모드 선택부(21)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스트로보 모드 선택부(21)의 기능을 조작부(20)에 통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아울러,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60), 표시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어 표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5)를 포함한다. 표시부(6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D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에 관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제어부(71), 영상 신호 처리부(72), 얼굴 검출부(73), 발광 연산부(74) 및 발광 제어부(75)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촬영 제어 장치는 동일한 기능 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어부(7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71)는 발광 제어부(75)를 제어하여 스트로보 발광부(17)를 프리 발광시키고, 프리 발광과 함께 소정의 피사체로부터 영상 신호 처리부(72)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프리 발광과 함께 피사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얼굴 검출부(73)에 제공하여 피사체로부터 얼굴 영역을 검출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촬상 소자(1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그 기능이 설정된 경우 오토화이트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러를 이용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며, 압축하여 소정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반대로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기도 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사진 촬영 전 라이브-뷰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셔터-릴리즈 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들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신호들 각각에 대해 다른 영상 신호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얼굴 검출부(73)는 영상 신호 처리부(72)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피사체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얼굴 검출부(73)는 프리 발광과 함께 획득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일반적으로 얼굴 검출 기능을 탑재한 디지털 카메라는 라이브 뷰 시에 획득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 검출 연산을 수행한다.
얼굴 검출 얼굴 검출부(73)는 얼굴에 포함되는 얼굴의 특징을 갖는 영역, 예를 들면 살색을 가지는 영역, 눈동자를 가지는 영역, 얼굴의 형상을 가지는 영역 등을 얼굴 영역으로서 검출한다.
얼굴 영역 검출 기법 내지는 알고리즘은 많은 기술이 존재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얼굴 검출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움직임 벡터 기법, 특징점 검출 기법, 에이다부스트(Adaboost) 학습 기법 등을 사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발광 연산부(74)는 얼굴 검출부(73)가 검출한 얼굴 영역을 기초로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한다. 얼굴 기반의 메인 발광 연산은 얼굴을 중심으로 스트로보의 발광량을 계산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검출한 얼굴 영역의 휘도 레벨에 따라 적절한 발광량을 계산한다. 또한, 얼굴 검출부(73)가 프리 발광과 함께 피사체로부터 얼굴 영역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프리 발광시의 측광 결과에 따라 전체적인 발광량을 계산하는 일반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스트로보 연산으로서, 스트로보의 발광량을 계산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색 온도를 검출하고, 이를 기초로 스트로보 광의 색 온도를 보정할 수도 있다.
발광 제어부(75)는 발광 연산부(74)의 메인 발광 연산에 따라 스트로보 발광부(17)의 메인 발광을 제어한다. 또한, 발광 제어부(75)는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스트로보 발광부(17)의 프리 발광을 제어한다.
제어부(71)는 스트로보의 발광 조건하에서,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스트로보 발광 조건은 스트로보 오토 모드인 경우에, 주변 측광에 의해 스트로보를 발광시킬 것인지를 결정해주는 조건으로서, 주변 휘도 레벨일 수 있다.
제어부(71)는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스트로보의 발광 휘도보다 밝은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스트로보의 발광 휘도보다 어두운 얼굴 영역이 검출된 경우에, 이 얼굴 영역을 기반으로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한 경우에는 적절하게 얼굴 영역을 표현해 줄 수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프리 발광과 함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얼굴 영역 검출을 다시 수행하는 것이다.
제어부(71)는 프리 발광과 함께 획득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 얼굴 검출부(73)로부터 얼굴 영역이 검출된 경우, 발광 연산부(74)가 검출된 얼굴 영역을 기초로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71)는 얼굴 검출부(73)로부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발광 연산부(74)가 일반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스트로보 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 스트로보 모드는 오토 모드와 필인 모드를 모두 포함한다. 하지만, 발광 금지 모드는 스트로보의 발광을 금지하는 모드이므로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단계 302 및 304에서, 프리 발광을 시키고, 피사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단계 306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단계 308에서, 검출한 얼굴 영역을 기반으로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한다. 즉, 얼굴 영역의 휘도 레벨을 계산하고, 얼굴 영역의 휘도 레벨에 상응하도록 스트로보의 발광량을 적정한 수준으로 계산한다.
단계 310 및 312에서, 스트로보 발광 연산 결과에 따라 메인 발광을 제어하고, 피사체를 촬영한다.
도 4a 및 4b는 스트로보 발광과 얼굴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는 주변이 어둡고, 인물이 검은색 옷을 입고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일반적인 스트로보 제어를 한다면, 프리 발광에 의한 측광 결과, 전체적으로 낮은 휘도 레벨이 되고, 스트로보 발광량을 과도하게 높이게 되어 촬영한 얼굴이 오버되기 쉽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프리 발광시에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얼굴 기반의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여 도 4b의 결과 영상에서 얼굴 부분을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4a와 같이, 전체적으로 어두운 배경에서는 얼굴 검출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얼굴 검출이 쉽지 않기 때문에, 프리 발광과 함께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얼굴 검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스트로보 발광과 얼굴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와는 반대로, 도 5a의 인물의 흰 옷을 입고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일반적인 스트로보 제어에서는 프리 발광에 의한 측광 결과, 전체 휘도 레벨의 평균이 높아지고, 따라서, 발광량을 이에 맞춰서 조절한다면, 얼굴 부분이 어둡게 나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프리 발광과 함께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얼굴 기반의 메인 발광 제어를 함으로써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절한 결과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0에서, 스트로보 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 스트로보 모드는 No Flash, Auto, Fill in 모드를 포함한다. No Flash 모드인 경우에는 스트로보 발광 자체를 금지하는 모드이므로, 단계 622로 진행하여 바로 촬영한다.
Auto 모드인 경우에는, 단계 602에서, 스트로보 발광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발광 여부는 주변 휘도 레벨이 스트로보 발광 휘도 이하인가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주변 휘도 레벨이 발광 휘도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604로 진행하여 프리 발광을 한다. 하지만, 주변 휘도 레벨이 발광 휘도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608로 진행하여, 라이브 뷰 시 영상에서 피사체로부터 얼굴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얼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622로 진행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 단계 608의 판단 결과, 얼굴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604로 진행한다.
Fill in 모드인 경우에는, 주변 휘도 레벨에 상관없이 강제 발광하는 경우이므로 단계 604로 진행하여 프리 발광을 한다.
단계 604에서, 프리 발광을 하고, 단계 606에서, 피사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프리 발광과 함께 획득한 영상이므로 전체적인 휘도 레벨을 발광하지 않은 영상보다 높다. 단계 610에서, 촬영하기 직전에 검출된 얼굴 영역이 있는지 판단한다. 검출된 얼굴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616으로 진행하여 얼굴 기반의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고, 단계 620 및 622에서, 메인 발광 제어와 피사체를 촬영한다. 따라서, 무조건으로 얼굴 검출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없앨 수 있다.
단계 610의 판단 결과, 검출된 얼굴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612로 진행하여 얼굴 검출 연산을 수행한다. 단계 614에서, 얼굴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얼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618로 진행하여 일반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고, 단계 620 및 622에서, 이에 따른 메인 발광 제어 및 촬영을 수행한다.
단계 614의 판단 결과, 프리 발광과 함께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연산한 결과, 얼굴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616으로 진행하여 얼굴 기반의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계 620 및 622에서, 얼굴 기반의 메인 발광 연산에 따른 메인 발광 제어를 하고, 피사체를 촬영한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촬영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 이 카메라 기능과 스트로보가 부가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4b는 스트로보 발광과 얼굴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스트로보 발광과 얼굴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촬영 장치 17: 스트로보 발광부
21: 스트로보 모드 선택부 70: 디지털 신호 처리부
71: 제어부 72: 영상 신호 처리부
73: 얼굴 검출부 74: 발광 연산부
75: 발광 제어부

Claims (20)

  1.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상기 프리 발광과 함께 소정의 피사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사체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을 기초로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발광 연산에 따라 상기 스트로보의 메인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다음에,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스트로보 발광 조건하에서,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스트로보의 발광 휘도보다 밝은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다음에,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일반 메인 발광 연산에 따라 메인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오토(auto) 모드 또는 필인(fill in) 모드를 포함하는 스트로보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1.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상기 프리 발광과 함께 소정의 피사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사체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을 기초로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는 발광 연산부;
    상기 메인 발광 연산에 따라 상기 스트로보의 메인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영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로보의 발광 조건하에서,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브 뷰 영상으로부터 상기 스트로보의 발광 휘도보다 밝은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트로보를 프리 발광시키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 발광과 함께 획득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얼굴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얼굴 검출부로부터 얼굴 영역이 검출된 경우, 상기 발광 연산부가 검출된 얼굴 영역을 기초로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 검출부로부터 얼굴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광 연산부가 일반 메인 발광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일반 메인 발광 연산에 따라 메인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제어 장치.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촬영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오토(auto) 모드 또는 필인(fill in) 모드를 포함하는 스트로보 모드가 선택되는 스트로보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프리 발광 또는 메인 발광을 수행하는 스트로보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80082455A 2008-08-22 2008-08-22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57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455A KR101457417B1 (ko) 2008-08-22 2008-08-22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545,143 US8090253B2 (en) 2008-08-22 2009-08-21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stro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455A KR101457417B1 (ko) 2008-08-22 2008-08-22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597A true KR20100023597A (ko) 2010-03-04
KR101457417B1 KR101457417B1 (ko) 2014-11-03

Family

ID=4169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455A KR101457417B1 (ko) 2008-08-22 2008-08-22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90253B2 (ko)
KR (1) KR1014574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9387B2 (en) 2017-04-17 2021-09-14 Sony Corporation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953B1 (ko) * 2011-07-08 201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
JP5963525B2 (ja) * 2012-04-27 2016-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認識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2145209B1 (ko) * 2014-02-12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장치,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7016712B2 (ja) * 2018-02-02 2022-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29196B2 (ja) 2018-04-04 2022-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5469B1 (en) * 1999-11-16 2004-08-31 Olympus Corporation Distance measuring device installed in camera
JP4870887B2 (ja) 2001-09-28 2012-02-0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ストロボ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4040613B2 (ja) * 2004-08-31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06117874A1 (en) * 2005-04-26 2006-11-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JP4808578B2 (ja) * 2006-09-22 2011-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761066B2 (ja) 2006-09-22 2011-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方法及び撮像装置
JP5004544B2 (ja) 2006-09-29 2012-08-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露出制御方法
JP2008187317A (ja) * 2007-01-29 2008-08-14 Fujifilm Corp 撮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02418B2 (ja) * 2008-09-09 2011-06-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画像領域の存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9387B2 (en) 2017-04-17 2021-09-14 Sony Corporation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417B1 (ko) 2014-11-03
US20100046936A1 (en) 2010-02-25
US8090253B2 (en) 201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2810B2 (ja) 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8558935B2 (en) Scene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cene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US7801437B2 (en)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l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02505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070562A (ja) 撮像装置および露出制御方法
WO2020034701A1 (zh) 成像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KR101457417B1 (ko) 스트로보를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JP4853414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036334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417992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481813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335497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5039150A (ja) 露出決定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98122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2013040997A (ja) 露出演算装置およびカメラ
KR20100056817A (ko) 휘도 표시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4885079B2 (ja) デジタルカメラ、撮影方法及び撮影プログラム
JP2015167308A (ja) 顔検出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に適する測光方法
JP5393189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137343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12034146A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28212A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184381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13041059A (ja) 露出演算装置およびカメラ
KR101448539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