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491A -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복 - Google Patents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491A
KR20100023491A KR1020080082289A KR20080082289A KR20100023491A KR 20100023491 A KR20100023491 A KR 20100023491A KR 1020080082289 A KR1020080082289 A KR 1020080082289A KR 20080082289 A KR20080082289 A KR 20080082289A KR 20100023491 A KR20100023491 A KR 20100023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ight
bulletproof
water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703B1 (ko
Inventor
한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8008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7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45Nitriles
    • D06M13/348Nitriles unsaturated, e.g. acrylonitri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4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ethers, acetals, hemiacetals, ketones or aldehy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2Armoured or projectile- or missile-resistant garments; Composite protecti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10B233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aromatic polyamides, e.g. ar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 및 위사로 이루어진 직물을 제직하는 공정; 및 상기 직물을 발수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발수처리공정은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25 ~ 35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0 ~ 15 중량% 및 물 50 ~ 6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1 ~ 5 중량% 수용액 내에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1 ~ 1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alcohol) 0.5 ~ 10 중량부가 포함된 발수제에 상기 직물을 침지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탄용 직물 및 방탄복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직물 및 방탄복은 유연성이 증가되어 착용감이 증진되고, 발수성이 증가되어 수분흡수에 따른 방탄특성 저하가 방지되며, 특히, 초기의 발수성 뿐만 아니라 수백 회의 마찰 후의 발수성 또한 우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방탄특성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방탄복, 발수성, 유연성

Description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복{bulletproof fabric and method of fabricating bulletproof fabric, and bulletproof ves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탄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탄성능 및 착용감이 우수한 방탄용 직물 및 그를 이용한 방탄복에 관한 것이다.
방탄복은 탄환이나 포탄의 파면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개발된 의류이다. 따라서, 방탄복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건은 얼마나 안정적으로 인체를 보호하는가 하는 방탄성능이며, 그와 더불어 방탄복은 착용한 상태로 이동에 불편함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착용감 또한 방탄성능 못지않게 중요한 요건이 되고 있다. 즉, 중량이 너무 무겁거나 유연하지 못할 경우에는 착용감이 떨어져 비록 방탄성능이 우수하다 할지라도 좋은 방탄복으로 인정될 수 없게 된다.
종래의 방탄복 중 하나로서, 나일론 직물을 수십 겹씩 적층하여 제조한 방탄복이나 또는 나일론 직물과 아라미드 직물을 교대로 수십 겹씩 적층하여 제조한 방탄복이 있는데, 이 경우 높은 방탄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직물의 적층수를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방탄복의 중량이 너무 커져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다른 방탄복으로서, 나일론 직물을 적층한 적층체, 또는 나일론 직물과 아라미드 직물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체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 또는 라미네이팅한 방탄복이 있는데, 이 경우 방탄성능은 향상되지만 방탄복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되어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방탄복의 구조 또는 방탄복을 구성하는 직물의 재료 등과 같은 측면의 연구개발을 통해서 방탄복의 방탄성능 및 착용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탄복은 방탄성능은 향상된다 하더라도 유연성과 같은 착용감 면에서 아직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고, 또한 방탄성능 면에서도 초기의 방탄성능은 어느 정도 우수하다 할지라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방탄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연성과 같은 착용감이 우수하며, 초기 방탄성능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방탄성능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는 방탄용 직물 및 그를 이용한 방탄복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방탄용 직물을 제조하는 일련의 공정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얻어지는 방탄용 직물의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을 꾸준히 진행하였고, 그 결과 방탄용 직물의 발수처리 공정시 사용하는 발수제 조성을 변경할 경우 유연성과 같은 착용감 및 방탄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방탄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수단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경사 및 위사로 이루어진 직물을 제직하는 공정; 및 상기 직물을 발수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발수처리공정은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25 ~ 35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0 ~ 15 중량% 및 물 50 ~ 6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1 ~ 5 중량% 수용액 내에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1 ~ 1 중량 부 및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alcohol) 0.5 ~ 10 중량부가 포함된 발수제에 상기 직물을 침지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직 공정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 또는 바스켓직으로 제직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수처리공정 이전에 상기 직물을 정련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경사 및 위사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원형굽힘 방법(circularbend method)에 의해 측정된 강연도가 0.20 ~ 0.85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경사 및 위사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스프레이 시험방법에 의해 측정된 최초 발수도가 90 ~ 100이고, 100회 마찰 후의 발수도가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직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탄용 직물은 500회 마찰 후의 발수도가 8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방탄용 직물 10 ~ 50매가 적층된 적층체로 이루어진 방탄복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새로운 발수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직물에 대한 발수처리공정을 수행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탄용 직물 및 방탄복은 유연성이 증가되어 착용감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탄용 직물 및 방탄복은 발수성이 증가되어 수분흡수에 따른 방탄특성 저하가 방지되며, 특히, 초기의 발수성 뿐만 아니라 수백 회의 마찰 후의 발수성 또한 우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방탄특성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방탄용 직물 및 방탄복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직물은 직물제조용 섬유를 준비하는 공정, 상기 직물제조용 섬유를 경사 및 위사로 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공정, 직물을 정련하는 공정, 및 직물을 발수처리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 직물제조용 섬유를 준비하는 공정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는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에시드클로라이드를 중합용매 중에서 중합시킴으로써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제조하고, 그 후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농황산 용매에 용해시켜 방사도프를 제조하고, 그 후 상기 방사도프를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한 후 방사물을 응고시켜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는 섬도가 0.7~1.6 데니어인 모노필라멘트 400~1,000개로 구성될 수 있다. 섬도가 1.6 데니어 이하의 가는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할 경우 동일한 섬도의 멀티필라멘트를 얻기 위해 보다 많은 개수의 모노 필라멘트를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되는 직물의 충격에 대한 흡수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섬도가 0.7 데니어 이하의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할 경우 제직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는 인장강도가 22g/d 이상인 것이 제조되는 직물의 방탄특성향상에 유리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모노필라멘트의 섬도와 개수, 및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의 인장강도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직물을 제직하는 공정은 상기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하며 평직(plain) 또는 바스켓직(basket)을 직물조직으로 하여 제직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밀도 및 위사밀도는 각각 5 ~ 15본/cm 수준으로 할 수 있고, 얻어지는 직물은 그 인장강도가 5,000~10,000N/5㎝ 범위인 것이 방탄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직물의 인장강도, 및 경사밀도와 위사밀도를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직물을 정련하는 공정은 직물을 구성하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에 부착되어 있는 유제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이와 같은 정련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후공정인 발수처리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발수처리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또한 직물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직물을 정련하는 공정은 40℃-100℃에서 NaOH 또는 Na2CO3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 처리 후에는 수세공정과 건조 공정을 이어서 수행한다.
상기 직물을 발수처리하는 공정은 직물이 수분을 흡수하지 않도록 처리하는 공정으로서, 직물을 구성하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는 일반적으로 수분을 장기간 흡수하게 되면 물성이 저하되어 결국 직물의 방탄특성이 점차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직물에 발수처리를 수행하여 수분흡수로 인한 방탄특성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발수처리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련 공정을 통해 직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발수제에 직물을 침지시키고, 건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수제는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25 ~ 35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0 ~ 15 중량% 및 물 50 ~ 6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1 ~ 5 중량% 수용액 내에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1 ~ 1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alcohol) 0.5 ~ 10 중량부가 포함되어 제조된다.
상기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직물에 발수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첨가량이 25 중량% 미만일 경우 원하는 직물의 발수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그 첨가량이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발수성 증가는 크지 않은 반면 직물의 유연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디프로필렌 글리콜은 발수제 조성물의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 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첨가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그 분산기능이 떨어질 수 있고, 그 첨가량이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발수성 및 유연성 부여를 위한 조성성분비가 줄어들어 직물의 발수성 및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수용액 내 농도가 1중량% 미만이면 발수처리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5중량%를 초과하면 직물의 표면에 고형분의 과다 부착으로 직물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직물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Si-O-Si를 기본골격으로 하며 에멀전화하여 이용되며, 그 첨가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원하는 직물의 유연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그 첨가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유연성 증가는 크지 않은 반면 직물의 발수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소프로필알콜은 발수제가 직물에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여 발수성 및 유연성이 장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첨가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발수제의 침투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직물의 발수성 및 유연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성의 발수제는 충분히 교반하여 준비하며, 준비된 발수제에 직물을 침지시켜 상기 발수제를 직물에 함침시키고 패딩(padding)공정을 거친 후 건조하여 발수공정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발수공정 이후에 직물에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120-200℃에서 15-150초 정도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열처리 온도가 120℃ 미만이거나 열처리 시간이 15초 미만이면 발수처리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온도가 200℃ 초과되거나 시간이 150초를 초과하면 직물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직물은 경사 및 위사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강연도(flexibility)가 0.20 ~ 0.85Kgf 범위이다. 상기 강연도는 직물의 유연성 정도에 대한 판단 척도가 되는 것으로서 ASTM D 4032에 의한 원형굽힘 방법(circularbend method)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강연도가 0.20Kgf 미만일 경우에는 직물의 강도가 떨어져 방탄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0.85Kgf를 초과할 경우에는 직물의 유연성이 떨어져 착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직물은 경사 및 위사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최초 발수도는 90 ~ 100이고, 100회 마찰 후의 발수도가 80이상이다. 상기 발수도는 ISO 4920:1981에 의한 스프레이 방법(spray method)에 의해 측정되고, 직물에 대한 마찰은 쉬퍼형 웨어 테스터(Shiefer type wear tester SAT-250)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직물은 최초의 발수도가 90 ~ 100로 발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100회 마찰 후에도 발수도가 80 이상으로 우수한 발수성을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탄용 직물은 300회 및 500회 마찰 후에도 그 발수도가 여전히 80 이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 후에도 우수한 발수성을 유지하게 되며, 그에 따라 수분의 흡수로 인한 방탄특성이 저하되는 것도 최소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직물 10 ~ 50매가 적층된 적층체로 이루어진 방탄복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탄복은 전술한 직물을 사용함에 따라 유연성 및 발수성이 우수하며, 장기간 사용에 의해도 그 특성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2.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섬도가 1.0인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모노필라멘트 1,000개로 이루어진 전방향족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경사밀도 및 위사밀도를 각각 10본/㎝로 하여 평직으로 직물을 제직하였다. 그 후, 직물을 계면활성제 처리하고 수세한 후 건조하였다.
그 후,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30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5 중량% 및 물 5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2.5 중량%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3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alcohol) 5 중량부를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발수제를 준비하였고, 준비한 발수제에 상기 직물을 침지하여 발수제를 함침시킨 후 패딩(padding) 공정을 거쳐 건조하여 방탄용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전술한 실시예 1에서,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 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30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5 중량% 및 물 5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1 중량% 수용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탄용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전술한 실시예 1에서,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30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5 중량% 및 물 5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5 중량% 수용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탄용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전술한 실시예 1에서,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25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0 중량% 및 물 6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4 중량%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3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alcohol) 5 중량부를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발수제를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탄용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전술한 실시예 4에서,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 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25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0 중량% 및 물 6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2 중량% 수용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에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탄용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전술한 실시예 4에서,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25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0 중량% 및 물 6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5 중량% 수용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에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탄용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전술한 실시예 1에서, 히드록실레이티드 퍼플루오로알킬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60중량% 및 물 40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3중량% 수용액을 발수제로서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탄용 직물을 제조하였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방탄용 직물의 제조를 위한 발수제 조성을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발수제 조성
실시예 1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30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15 중량% 및 물 5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2.5 중량% 수용액;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3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 5 중량부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의 1 중량% 수용액;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3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 5 중량부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의 5 중량% 수용액;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3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 5 중량부
실시예 4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25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10 중량% 및 물 6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4 중량% 수용액;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3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 5 중량부
실시예 5 실시예 4와 동일한 조성물의 2 중량% 수용액;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3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 5 중량부
실시예 6 실시예 4와 동일한 조성물의 5 중량% 수용액;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3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 5 중량부
비교예 히드록실레이티드 퍼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60중량% 및 물 40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3중량% 수용액
3. 실험예
강연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방탄용 직물을 절단하여 100mm × 200mm의 샘플를 각각 준비하였고, ASTM D 4032에 의한 원형굽힘 방법(circularbend method)으로, 구체적으로는 받침대의 크기가 102mm × 102mm × 6 mm이고 여기에 38.1 mm 직경의 구멍을 뚫고 그 위에 준비한 샘플을 반으로 접은 다음 상기 받침대 위에 놓고 위에서 바(Bar)로 샘플을 눌렀을 때 38.1mm 직경의 구멍으로 원단을 밀고 내려가는 힘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강연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은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강연도(Kgf)
실시예 1 0.50
실시예 2 0.35
실시예 3 0.65
실시예 4 0.51
실시예 5 0.36
실시예 6 0.55
비교예 0.87
최초 발수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방탄용 직물을 절단하여 250mm × 250mm의 샘플를 각각 준비하였고, 준비한 각각의 샘플에 대해서 ISO 4920:1981에 의한 스프레이 방법(spray method)으로 최초 발수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은 하기 표 3과 같다.
구분 최초발수도
실시예 1 100
실시예 2 90
실시예 3 100
실시예 4 100
실시예 5 90
실시예 6 100
비교예 100
마찰 후 발수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방사용 직물을 절단하여 250mm × 250mm의 샘플를 각각 준비하였고, 준비한 각각의 샘플에 대해서 쉬퍼형 웨어 테스터(Shiefer type wear tester SAT-250)을 사용하여 100회, 300회, 및 500회 마찰하였다. 마찰을 완료한 각각의 샘플에 대해서 ISO 4920:1981에 의한 스프레이 방법(spray method)으로 마찰 후 발수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은 하기 표 4와 같다.
마찰 횟수 마찰후 발수도
실시예 1 100 100
300 90
500 80
실시예 2 100 90
300 80
500 80
실시예 3 100 100
300 90
500 90
실시예 4 100 100
300 90
500 80
실시예 5 100 90
300 80
500 80
실시예 6 100 100
300 90
500 80
비교예 100 100
300 90
500 80

Claims (7)

  1. 경사 및 위사로 이루어진 직물을 제직하는 공정; 및
    상기 직물을 발수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발수처리공정은 하드록실레이티드 퍼르플루오로알킬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 25 ~ 35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0 ~ 15 중량% 및 물 50 ~ 6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1 ~ 5 중량% 수용액 내에 상기 수용액 100 중량부 대비 실리콘 오일 0.1 ~ 1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alcohol) 0.5 ~ 10 중량부가 포함된 발수제에 상기 직물을 침지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직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직 공정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 또는 바스켓직으로 제직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직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처리공정 이전에 상기 직물을 정련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직물의 제조방법.
  4. 경사 및 위사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원형굽힘 방법(circularbend method)에 의해 측정된 강연도가 0.20 ~ 0.85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직물.
  5. 경사 및 위사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스프레이 시험방법에 의해 측정된 최초 발수도가 90 ~ 100이고, 100회 마찰 후의 발수도가 8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직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용 직물은 500회 마찰 후의 발수도가 8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용 직물.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탄용 직물 10 ~ 50매가 적층된 적층체로 이루어진 방탄복.
KR1020080082289A 2008-08-22 2008-08-22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복 KR101154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289A KR101154703B1 (ko) 2008-08-22 2008-08-22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289A KR101154703B1 (ko) 2008-08-22 2008-08-22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315A Division KR101155759B1 (ko) 2012-01-11 2012-01-11 방탄용 직물 및 방탄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491A true KR20100023491A (ko) 2010-03-04
KR101154703B1 KR101154703B1 (ko) 2012-06-08

Family

ID=4217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289A KR101154703B1 (ko) 2008-08-22 2008-08-22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703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28B1 (ko) * 2010-07-01 2014-04-1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강도 직물의 발수처리 방법
CN104011277A (zh) * 2011-12-27 2014-08-27 可隆工业株式会社 处理高强度织物使其具有防水性的方法
WO2015147478A1 (ko) * 2014-03-28 2015-10-01 코오롱인더스트리(주) 방탄용 직물의 발수가공 방법 및 이로 발수가공된 방탄용 직물
CN106119443A (zh) * 2016-06-15 2016-11-16 崔晓雪 喷雾型表面防水防油防污护理剂
KR20160139435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항공기 윙팁장치
KR20160139442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초전도 코일의 보빈
KR20160139445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로 이루어진 요트 돛
KR20160139437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자동차 구조재
KR20160139432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방탄헬멧
KR20160139433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파편방호 소재
KR20160139446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로 이루어진 경기용 자전거
KR20160139436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헬리콥터 내장재
KR20160139439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잠수정 구조재
KR20160139444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요트 구조재
KR20160139443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극저온성 초전도 케이블
KR20160139438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선박 플랫폼
KR20160139434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항공기 또는 군항기용 폴리케톤 방탄재
KR20160139431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방탄의류
WO2016190596A3 (ko) * 2015-05-27 2017-01-12 (주)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산업용 폴리케톤 산업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N113293510A (zh) * 2021-05-26 2021-08-24 深圳市戈埃尔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防水网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8907A (en) 1996-03-15 1998-08-04 Clark-Schwebel, Inc. Fabrics having improved ballistic performance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JP2002309482A (ja) 2001-04-12 2002-10-23 Toray Ind Inc 防護材料およびそれからなる防護衣料
WO2006086247A2 (en) 2005-02-07 2006-08-17 Safety Components Fabric Technologies, Inc. Vehicle air bag constructed from a composite film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28B1 (ko) * 2010-07-01 2014-04-1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강도 직물의 발수처리 방법
CN104011277A (zh) * 2011-12-27 2014-08-27 可隆工业株式会社 处理高强度织物使其具有防水性的方法
WO2015147478A1 (ko) * 2014-03-28 2015-10-01 코오롱인더스트리(주) 방탄용 직물의 발수가공 방법 및 이로 발수가공된 방탄용 직물
KR20160139446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로 이루어진 경기용 자전거
KR20160139439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잠수정 구조재
KR20160139442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초전도 코일의 보빈
KR20160139445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로 이루어진 요트 돛
KR20160139437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자동차 구조재
KR20160139432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방탄헬멧
KR20160139433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파편방호 소재
WO2016190596A3 (ko) * 2015-05-27 2017-01-12 (주)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산업용 폴리케톤 산업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9436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헬리콥터 내장재
KR20160139435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항공기 윙팁장치
KR20160139444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요트 구조재
KR20160139443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극저온성 초전도 케이블
KR20160139438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선박 플랫폼
KR20160139434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항공기 또는 군항기용 폴리케톤 방탄재
KR20160139431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방탄의류
CN106119443A (zh) * 2016-06-15 2016-11-16 崔晓雪 喷雾型表面防水防油防污护理剂
CN106119443B (zh) * 2016-06-15 2018-08-21 崔晓雪 喷雾型表面防水防油防污护理剂
CN113293510A (zh) * 2021-05-26 2021-08-24 深圳市戈埃尔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防水网及其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703B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703B1 (ko)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복
KR101569558B1 (ko) 방탄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155759B1 (ko) 방탄용 직물 및 방탄복
KR101167756B1 (ko)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KR101166601B1 (ko)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JP6632798B2 (ja) 防汚性ポリエステル布帛
KR101386428B1 (ko) 고강도 직물의 발수처리 방법
KR20180022647A (ko) 방오성 섬유 구조물
CN107558170B (zh) 一种阻燃uhmwpe纤维的制备方法
JP4391379B2 (ja) 撥水性高強度合成繊維構造物および撥水加工方法
KR101386426B1 (ko) 방탄용 직물 및 이로 제조된 방탄복
KR101569548B1 (ko) 방탄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876B1 (ko)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EP3374564B1 (en) Flame resistant and chemical protective textile material
KR101096396B1 (ko) 방탄용 직물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KR101167753B1 (ko)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KR101096280B1 (ko) 방탄용 직물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KR101096857B1 (ko) 방탄 제품
JP6654439B2 (ja) 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KR101090522B1 (ko) 방탄용 직물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CA2859945A1 (en) Method for treating high strength fabric to be water repellent
KR101096339B1 (ko) 방탄용 직물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KR101166600B1 (ko)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JP2022147094A (ja) 難燃性布帛および繊維製品
KR20100035293A (ko) 방탄용 직물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