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828A -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828A
KR20100022828A KR1020080081516A KR20080081516A KR20100022828A KR 20100022828 A KR20100022828 A KR 20100022828A KR 1020080081516 A KR1020080081516 A KR 1020080081516A KR 20080081516 A KR20080081516 A KR 20080081516A KR 20100022828 A KR20100022828 A KR 20100022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pulley
limiter
ring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3256B1 (ko
Inventor
손은기
김승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2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2055/366Pulleys with means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공급된 구동력을 압축기에 전달하기 위하여,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20)와, 상기 풀리(2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고 압축기에 설정치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파손되어 상기 엔진의 구동력이 상기 회전축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미터(40)와, 아우터링(51)과, 상기 아우터링(51)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감싸지는 인너링(55)과, 상기 아우터링(51) 및 인너링(55)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58)를 포함하여 상기 리미터(40)와 함께 회전하면서 압축기의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변화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50)와, 상기 댐퍼(50)의 인너링(55)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댐퍼(5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에 전달하는 허브(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미터(40)는 상기 아우터링(51)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풀리(20)의 보스부(25)에 결합된다.
압축기, 동력전달장치, 댐퍼

Description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compressor}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장치에서 사용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압축기에 전달하기 위한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압축기는 엔진의 구동력을 벨트를 통해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것으로,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로 할 때 구동력을 클러치의 단속에 의해 전달받는다.
최근에는, 냉방상태에 따라 필요한 동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용량형 압축기(variable compressor)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가변용량형 압축기는 엔진으로부터 압축기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가 불필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에 설정치 이상의 부하가 발생할 경우, 즉, 통상의 전달 토크보다 더 큰 과부하 토크가 발생하면, 압축기의 중심축이 회전하지 않아 엔진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풀리가 함께 멈추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는 풀리 위에서 계속 미끄러지게 되므로, 벨트에 마모가 생기고 이때 발생하는 저항열에 의해 벨트가 파단되는 문제 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압축기에는 과부하 작용 시 동력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압축기에는 엔진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풀리(1)가 구비된다. 상기 풀리(1)의 외주면에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풀리(1)는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풀리(1)는 대략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스틸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풀리(1)의 내주면에는 베어링(2)이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2)은 상기 풀리(1)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풀리(1)의 내주면에는 리미터(3)가 설치된다. 상기 리미터(3)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리미터(3)는 압축기에 설정치 이상의 토크가 발생될 경우에, 그 일부가 파손되어 상기 풀리(1)와 아래에서 설명될 허브(6) 사이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미터(3)에는 다수개의 파단부(5)가 형성된다. 상기 파단부(6)는 일정 기준 이상의 토크가 작용하게 되면 파단되는 부분이다. 상기 리미터(3)는 리벳(R)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8)와 연결된다.
상기 리미터(3)는 허브(6)와 결합된다. 상기 허브(6)는 상기 리미터(3)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허브(6)에는 상기 압축기의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풀리(1)에는 댐퍼(8)가 볼트(B)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댐퍼(8)는 상기 토크의 변화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미터(3)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댐퍼(8)는 고무재질의 탄성부(8a)와, 상기 탄성부(8a)를 감싸는 하우징(8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하우징(8b)은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벨트를 통해 엔진의 구동력을 받은 풀리(1)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토크가 발생되고, 이러한 회전토크는 댐퍼(8)를 거쳐 상기 리미터(3)로 전달되고, 상기 리미터(3)와 연결된 허브(6)를 통해 압축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압축기에 설정치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거나 압축기가 손상되어 회전축의 회전이 멈추게 되면, 상기 리미터(3)에는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토크가 일정 기준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리미터(3)의 파단부(5)가 파단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허브(6)는 회전을 멈추게 되고, 상기 풀리(1)는 허브(6)와 무관하게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계속 회전을 하게 되므로,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풀리(1)와 이에 결합되는 상기 댐퍼(8)의 하우징(8b)은 모두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는 상기 풀리(1)와 댐퍼(8)의 하우징(8b) 사이가 볼 트(B)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금속재질은 합성수지를 비롯한 다른 재질에 비해 중량이 크고, 이는 동력전달장치의 전체 중량을 크게 하여, 동력전달장치의 응답성을 떨어뜨리고 압축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풀리(1)의 재질을 합성수지와 같은 가벼운 재질로 만들 수도 있으나, 이렇게 되면 상기 풀리(1)에 볼트(B)에 의해 직접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상기 댐퍼(8)가 풀리(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8)의 하우징(8b)을 상기 풀리(1)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볼트(B)와 같은 별개물이 필요로 되므로, 부품수가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허브(6)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야 하므로 허브(6)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서로 나사체결되는 허브(6)와 리미터(3) 사이에서 쉽게 파손이 발생되어 애초의 설정치 이하에서 동력전달장치의 작동이 멈추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댐퍼가 풀리에 볼트에 체결되지 않고 풀리의 보스부에 리미터가 나사체결되고 댐퍼는 리미터에 연결되도록 하여 풀리의 재질 선택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공급된 구동력을 압축기에 전달하기 위하여,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고 압축기에 설정치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파손되어 상기 엔진의 구동력이 상기 회전축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미터와, 아우터링과, 상기 아우터링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감싸지는 인너링과, 상기 아우터링 및 인너링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리미터와 함께 회전하면서 압축기의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변화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와, 상기 댐퍼의 인너링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댐퍼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에 전달하는 허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미터는 상기 아우터링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풀리의 보스부에 결합된다.
상기 리미터는 상기 댐퍼의 아우터링과 연결되는 제1링부와, 상기 제1링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제1링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풀리와 결합되는 제2링부와, 상기 제1링부와 상기 제2링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압축기에 설정치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파손되는 파단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미터의 제2링부와 상기 풀리의 보스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된다.
상기 풀리에는 상기 리미터가 결합되는 보스부가 인서트사출을 통해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댐퍼가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풀리에 결합되지 않고, 리미터가 풀리에 직접 나사체결되고 댐퍼는 리미터에 연결되므로, 볼트체결을 위해 풀리가 반드시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필요가 없게 되어 풀리의 재질 선택이 자유로워지고 부품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의 골격은 풀리(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풀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되고, 압 축기(도시되지 않음)의 일측에 돌출된 풀리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풀리(20)의 외주면에는 벨트(미도시)가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풀리(20)의 골격은 원통형상의 몸체부(21)가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21)의 중심에는 보스부(25)가 구비된다. 상기 보스부(25)는 상기 몸체부(21)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 나사산(25')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리미터(40)가 나사체결된다.
이때, 상기 풀리(20)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만들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풀리(20)는 사출성형장치에 의해 스틸재질의 보스부(25)가 삽입된 상태로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는 리미터(40)와 나사체결되는 보스부(25)만을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고, 상기 풀리(20)의 몸체부(21)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풀리(20)에는 베어링(B)이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B)은 풀리(2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풀리(20)가 상기 압축기의 풀리회전축에 설치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베어링(B)은 풀리회전축와 상기 풀리(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B)은 원통형상의 볼베어링(B)으로, 상기 풀리회전축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인너레이스와 상기 풀리(20)와 함께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아웃레이스, 그리고, 상기 인너레이스와 아웃레이스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이 상대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볼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풀리(20)에는 리미터(40)가 구비된다. 상기 리미터(40)는 압축기에 설정치 이상의 토크가 발생될 경우에, 그 일부가 파손되어 상기 풀리(20)와 아래에서 설명될 허브(60) 사이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미터(40)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제1링부(41)와 제2링부(43)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링부(41)와 상기 제2링부(43)는 파단브릿지(45)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1링부(41)는 상기 제2링부(43)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순서를 정한 것이다.
상기 제1링부(41)는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50)의 아우터링(51)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를 위해 다수개의 체결공(4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링부(41)와 댐퍼(50)의 아우터링(51)은 리벳(R1)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의 체결공(42)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링부(41)의 내부에는 제2링부(43)가 구비된다. 상기 제2링부(43)는 상기 제1링부(4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링부(41)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2링부(43)는 상기 풀리(20)의 보스부(25)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를 위해 그 내주면에는 나사산(44)이 형성된다.
상기 제1링부(41)와 상기 제2링부(43)는 파단브릿지(4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파단브릿지(45)는 상기 압축기에 설정치 이상의 토크가 발생될 경우에 실질적으로 파손되어 제1링부(41)와 제2링부(43)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가 구비된다.
상기 리미터(40)에는 댐퍼(50)가 결합된다. 상기 댐퍼(50)는 압축기의 토크 변화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으로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댐퍼(50)는 골격을 형성하는 아우터링(51)과, 상기 아우터링(5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아우터링(51)에 의해 둘러지는 인너링(55)으로 구성되고, 상기 아우터링(51)과 인너링(55) 사이에는 탄성부재(58)가 설치된다.
상기 아우터링(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틀로, 그 외측을 둘러 다수개의 체결공(5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2)은 상기 리미터(40)의 제1링부(41)의 체결공(42)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리벳(R1)에 의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의 체결공(52)이 상기 아우터링(51)에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링(51)의 내부에는 인너링(55)이 구비된다. 상기 인너링(55)은 상기 아우터링(51)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아우티링에 비해 작은 반경을 갖는 원형틀형상으로 되어 상기 아우터링(51)에 의해 감싸진다. 즉, 상기 인너링(55)은 상기 아우터링(51)과 이격되어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링(55)은 아래에서 설명될 허브(60)와 리벳(R2)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기 인너링(55)의 회전력은 허브(60)에 전달되고, 허브(60)가 회전됨에 따라 압축기의 구동축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아우터링(51)과 인너링(55) 사이에는 탄성부재(58)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58)는 상기 아우터링(51)과 인너링(55)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58)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링(51)과 인너링(55) 사이에 압입된다.
상기 탄성부재(58)는 상기 아우터링(51)과 인너링(55) 사이에 인젝션 몰딩되어 구비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58)는 반드시 고무재질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탄성을 가지는 다른 적합한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댐퍼(50)의 인너링(55)에는 허브(60)가 결합된다. 상기 허브(60)는 상기 댐퍼(50)의 회전력을 압축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즉, 상기 허브(60)는 상기 댐퍼(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축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압축기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허브(60)는 상기 댐퍼(50)에 리벳(R2)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허브(60)는 판상의 플랜지부(61)와, 상기 플랜지부(61)로부터 돌출되는 보스부(63)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61)는 리벳(R2)에 의해 상기 댐퍼(50)의 인너링(55)에 연결되고, 상기 보스부(63)는 그 내부에 형성된 결합공(65)에 구동축이 압입된다. 이때, 상기 보스부(25)의 결합공 내주면에는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압축기의 구동축이 스플라인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의 구동과정을 살펴보면, 엔진으로부터 벨트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풀리(20)가 회전된다. 즉, 상기 풀리(20)의 외주면은 벨트로 감긴 상태로, 상기 벨트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풀 리(20)는 압축기의 전방하우징(미도시)에 대해 상기 베어링(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원활하게 회전된다.
상기 풀리(20)가 회전되면, 상기 풀리(20)에 연결되어 있는 리미터(40)가 회전된다. 상기 리미터(40)는 상기 풀리(20)의 보스부(25)에 나사체결되어 있어, 상기 풀리(20)가 회전되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리미터(40)의 제2링부(4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4)이 상기 풀리(20)의 보스부(25)에 형성된 나사산(25')에 나사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미터(40)의 제2링부(43)가 회전되면 제2링부(43)에 파단브릿지(45)로 연결된 제1링부(41)가 함께 회전되고, 제1링부(41)에 결합된 댐퍼(50)가 회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링부(41)에 리벳(R1)으로 연결된 댐퍼(50)의 아우터링(5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댐퍼(50)의 아우터링(51)이 회전되면, 상기 아우터링(51)에 밀착된 탄성부재(58)가 회전되고, 상기 탄성부재(58)를 사이에 두고 아우터링(51)과 이격된 인너링(55)이 회전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58)는 어느 정도의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 등을 줄이게 된다.
상기 인너링(55)이 회전되면, 상기 인너링(55)에 리벳(R2)으로 연결된 허브(60)가 회전된다. 상기 허브(60)는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인너링(55)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인너링(5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허브(60)가 회전되면, 상기 허브(60)에 결합된 구동축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압축기가 작동하게 된다.
작동순서를 정리하면, ① 풀리(20), ② 리미터(40), ③ 댐퍼(50)의 아우터링(51), ④ 탄성부재(58), ⑤ 댐펑의 인너링(55), ⑥ 허브(60), ⑦ 구동축의 순으로 회전된다. 물론 이러한 회전은 거의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고, 상기한 순서는 동력전달 순서를 나열한 것에 불과하다.
다음으로, 압축기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압축기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축이 회전되면, 구동축에 연결된 사판의 회전을 만들어낸다. 상기 사판이 회전하면, 사판의 가장자리에 슈를 개재한 상태로 연결부가 연결된 피스톤이 실린더보어 내에서 직선왕복운동한다. 상기 피스톤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서는 냉매가 압축된다. 상기 실린더보어 내부로는 흡입실에 있는 냉매가 밸브어셈블리의 제어에 의해 흡입된다. 상기 실린더보어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밸브어셈블리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토출실로 토출되어 압축기의 외부로 전달된다.
이때, 압축기의 고착 등으로 인하여 압축기의 회전축의 회전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이 연결된 상기 허브(60)의 회전은 중지되려 하고, 엔진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풀리(20)에 연결된 리미터(40)는 계속하여 회전하려 한다.
즉, 상기 댐퍼(50)를 통해 상기 허브(60)에 결합된 리미터(40)는 허브(60)의 동작이 멈춤에 따라 회전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풀리(2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엔진의 회전력이 계속 전달되어, 상기 리미터(40)는 회전하려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리미터(40)에는 강한 토크가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토크는 상기 리미터(40)의 파단브릿지(45)에 집중되어 파단브릿지(45)가 몸체로부터 파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미터(40)와 풀리(2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동력전달이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풀리(20)는 상기 허브(60)가 회전되지 않는 것과는 무관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엔진과 풀리(20)를 연결하는 벨트는 아무런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풀리 21: 몸체부
25: 보스부 40: 리미터
41: 제1링부 43: 제2링부
45: 파단브릿지 50: 댐퍼
51: 아우터링 55: 인너링
58: 탄성부재 R1,R2: 리벳

Claims (3)

  1. 엔진으로부터 공급된 구동력을 압축기에 전달하기 위하여,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20)와,
    상기 풀리(2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고 압축기에 설정치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파손되어 상기 엔진의 구동력이 상기 회전축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미터(40)와,
    아우터링(51)과, 상기 아우터링(51)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감싸지는 인너링(55)과, 상기 아우터링(51) 및 인너링(55)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58)를 포함하여 상기 리미터(40)와 함께 회전하면서 압축기의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변화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50)와,
    상기 댐퍼(50)의 인너링(55)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댐퍼(5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에 전달하는 허브(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40)는 상기 아우터링(51)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풀리(20)의 보스부(25)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40)는
    상기 댐퍼(50)의 아우터링(51)과 연결되는 제1링부(41)와,
    상기 제1링부(41)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제1링부(4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풀리(20)와 결합되는 제2링부(43)와,
    상기 제1링부(41)와 상기 제2링부(43)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압축기에 설정치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파손되는 파단브릿지(4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40)의 제2링부(43)와 상기 풀리(20)의 보스부(25)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25',44)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되고, 상기 풀리(20)에는 상기 리미터(40)가 결합되는 보스부(25)가 인서트사출을 통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20080081516A 2008-08-20 2008-08-20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463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516A KR101463256B1 (ko) 2008-08-20 2008-08-20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516A KR101463256B1 (ko) 2008-08-20 2008-08-20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828A true KR20100022828A (ko) 2010-03-03
KR101463256B1 KR101463256B1 (ko) 2014-11-18

Family

ID=4217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516A KR101463256B1 (ko) 2008-08-20 2008-08-20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2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00B1 (ko) * 2010-09-15 2014-02-1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140083712A (ko) * 2012-12-26 2014-07-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클러치리스 압축기용 동력전달장치
CN110651133A (zh) * 2017-05-22 2020-01-03 戴科欧洲有限公司 用于带传动装置的过滤带轮组件
US11435744B2 (en) 2017-06-13 2022-09-06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Autonomously delivering items to corresponding delivery locations proximate a delivery route
US11472552B2 (en) 2016-04-29 2022-10-18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s of photo matching and photo confirmation for parcel pickup and deliv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649B1 (ko) 2017-03-21 2019-01-22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클러치의 링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162B1 (ko) * 2004-03-18 2011-10-24 한라공조주식회사 동력전달장치
KR101164692B1 (ko) * 2006-09-25 2012-07-1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의 동력전달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00B1 (ko) * 2010-09-15 2014-02-1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140083712A (ko) * 2012-12-26 2014-07-0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클러치리스 압축기용 동력전달장치
US11472552B2 (en) 2016-04-29 2022-10-18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s of photo matching and photo confirmation for parcel pickup and delivery
CN110651133A (zh) * 2017-05-22 2020-01-03 戴科欧洲有限公司 用于带传动装置的过滤带轮组件
US11435744B2 (en) 2017-06-13 2022-09-06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Autonomously delivering items to corresponding delivery locations proximate a delivery rou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256B1 (ko)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477B2 (en) Power transmitting device of clutchless compressor
KR101463256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US10113596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175268B1 (ko) 압축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1567082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599545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567083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US8371947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clutchless compressor
WO2004079191A1 (en) Clutchless compressor
KR101093277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
KR101206217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구조
KR101075162B1 (ko) 동력전달장치
JP2003254402A (ja) トルクリミッタを有する動力伝達装置
KR20090129831A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111950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079127B1 (ko) 압축기용 클러치리스 풀리-허브 조립체
JP4013628B2 (ja) 動力伝達装置
KR20060031529A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110002354A (ko) 압축기의 이물질유입방지장치
KR102067138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 장치
KR101902772B1 (ko) 동력전달장치
KR101793598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841280B1 (ko) 압축기용 동력전달장치
KR20110010337A (ko) 압축기
KR20130027266A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