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157A -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157A
KR20100021157A KR1020080079912A KR20080079912A KR20100021157A KR 20100021157 A KR20100021157 A KR 20100021157A KR 1020080079912 A KR1020080079912 A KR 1020080079912A KR 20080079912 A KR20080079912 A KR 20080079912A KR 20100021157 A KR20100021157 A KR 20100021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otor
polishing
tape
polish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종권
최영민
최진우
이문섭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1157A/ko
Publication of KR2010002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24B21/20Accessories for controlling or adjusting the tracking or the tension of the grinding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006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taking regard of th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제1모터와 제2모터 그리고,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가 감겨진 제1롤러와, 상기 제2모터에 연결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모터에 제1롤러를 장착하고, 상기 연마테이프의 일단을 상기 제2롤러에 연결하여,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마테이프를 상기 제2롤러에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되감기 위한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 되감기

Description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Grinding tape rewinding device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되감기 위한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 칼라 필터(Liquid Crystal color filter)에 있어서, 그 표면에 높이가 10um 정도의 미소 돌기가 있을 경우, 액정 봉입부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지 않아 액정 표시 장치의 화질이 좋지 않게 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 1996-229797(이하, 종래기술 1)에는 액정 칼라 필터의 표면에 있는 미소 돌기를 연마하여 평탄하게 하기 위한 테이프(tape) 연마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의 연마장치는 공급 롤러(roller)로부터 공급되는 연마테이프를 감는 롤러로 일정한 속도로 감아가면서 연마 헤드(head)에 의하여 연마테이프의 중앙부로 미소 돌기를 밀면서 연마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의 연마장치는 연마테이프의 폭에 비하여 돌기 결함의 폭(예를 들어, 0.1~5um 정도)이 좁아, 연마테이프의 중앙부만 사용되어 연마테이프가 필요이상으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액정 칼라 필터의 표면에 있는 미소 돌기를 연마할 때, 연마 팁(tip)이 연마테이프를 눌러 상기 연마 팁과 미소 돌기가 접촉한 상태에서 공급 롤러와 감는 롤러가 회전을 시작하면, RED, GREEN, BLUE의 색을 표현하는 색층의 감광 완료된 패턴(pattern)이 떨어져 나가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에 빛샘을 유발, 화질에 불량을 발생할 수 있어, 미소 돌기의 수um 상부의 비접촉 상태에서 공급 롤러와 감는 롤러가 회전을 시작, 연마 헤드가 하강하면서 연마 팁이 연마테이프를 누르며 연마를 한다.
이 방법은 하나의 미소 돌기를 연마하는데 사용하는 약 40~100mm의 연마테이프 중 약 5~10mm의 연마테이프만 돌기 연마에 사용하고, 비접촉 상태에서 회전하는 연마테이프는 사용하지 않고 감는 롤러에 감아지므로, 연마테이프의 사용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에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즉, 연마테이프의 소비량을 절감하기 위한 대책)으로 연마테이프의 폭(약 5~10mm) 정도의 테이프의 절반에 해당되는 부분만 헤드로 밀어 연마하고, 이렇게 1회 사용 완료되어 감는 롤러로 감아진 연마테이프를 다시 공급 롤러에 재장착하여, 1회 연마시 사용하지 않았던 부분을 사용, 2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마테이프의 소비량 절감을 위한 방법이 일본공개특허 2007-175800(이하, 종래기술 2)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2는 연마테이프의 폭을 절반씩 사용하기 위하여, 연마테이 프를 눌러주는 연마 팁이 연마테이프의 폭 중심대비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기 때문에, 연마테이프를 눌러주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연마테이프가 평행하지 못하며, 이로 인하여 감는 롤러는 일정한 텐션(tension)을 유지하면서 감을 수가 없어 1회 사용 후, 2회 사용시 텐션이 유지된 연마테이프의 공급을 할 수가 없으므로, 돌기 결함 연마시 결함 이외의 부분에 스크래치(scratch)를 유발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에 불량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재사용할 때,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에 부착된 이물질이 액정 칼라 필터의 표면에 떨어져 또 다른 돌기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마테이프의 사용률을 높여 연마테이프의 소비량을 감소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감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재사용할 때,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이물질이 액정 칼라 필터의 표면에 떨어져 또 다른 돌기 결함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제1모터와 제2모터 그리고,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가 감겨진 제1롤러와, 상기 제2모터에 연결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모터에 제1롤러를 장착하고, 상기 연마테이프의 일단을 상기 제2롤러에 연결하여,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마테이프를 상기 제2롤러로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에서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에는 클리닝유닛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에는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에 텐션유지유닛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유지유닛은, 회전축을 갖는 텐션유 지롤러와, 상기 텐션유지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에서 승강부는, 텐션유지롤러의 회전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텐션유지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는 제1모터 또는 상기 제2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에서 속도조절부는, 제1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1속도조절부와, 제2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2속도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속도조절부와 상기 제2속도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의 사용방법은 연마테이프를 이용하여 미소돌기를 연마장치에 의해 연마하는 단계와,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리와인딩 장치에 의해 되감는 단계와, 상기 연마테이프를 연마장치에서 재사용하여 미소돌기를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회 사용한 연마테이프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되감음으로써, 연마테이프의 사용률을 높여 연마테이프의 소비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텐션유지유닛 및 속도조절부에 의해,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일 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감을 수 있다.
또한, 클리닝유닛에 의해,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어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재사용할 때, 상기 이물질이 액정 칼라 필터의 표면에 떨어져 또 다른 돌기 결함이 유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1회 사용한 연마테이프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되감아, 1개의 연마테이프를 여러 번 재사용 할 수 있으므로, 연마테이프의 사용률을 현저히 높여 그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텐션유지유닛 및 속도조절부에 의해,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감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클리닝유닛에 의해,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에 부착된 이물질이 말끔히 제거되어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재사용할 때, 상기 이물질이 액정 칼라 필터의 표면에 떨어져 또 다른 돌기 결함이 유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연마테이프 리와인딩(rewinding) 장치(100)는 몸체(101)와, 상기 몸체(101)에 설치되는 제1모터(119)와 제2모터(120) 그리고,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104)가 감겨진 제1롤러(102)와, 상기 제2모터(120)에 연결되는 제2롤러(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모터(119)와 제2모터(120)는 같은 선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101)의 내부에 설치되되, 그 회전축이 상기 몸체(10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모터(119)의 회전축에는 제1롤러(102)가 연결된다.
상기 제1롤러(102)는 이격되어 마주보는 2개의 원판과 그 중심을 잇는 중심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롤러(102)에는 상기 2개의 원판과 상기 중심축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모터(119)의 회전축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모터의(119)의 회전축이 상기 중공의 내부에서 헛돌지 않도록, 상기 중공과 상기 회전축을 결속시키는 결합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119)가 회전하면, 상기 제1롤러(10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재를 제거하면, 상기 제1모터(119)의 회전축에서 상기 제1롤 러(119)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롤러(102)가 상기 제1모터(119)의 회전축에 연결되면,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는 상기 제1롤러(102)가 상기 제1모터(119)의 회전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모터(120)의 회전축에는 제2롤러(103)가 연결된다.
상기 제2모터(120)와 제2롤러(103)의 연결구조는 상술한 제1모터(119)와 제1롤러(102)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롤러(103)는, 상기 제2롤러(103)로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104)가 감기면, 상기 제2모터(120)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2롤러(103)를 분리시켜 후술할 연마장치(200)에 용이하게 재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모터(119)에는 상기 제1모터(119)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감속기 등으로 구성된 제1속도조절부(1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모터(120)에도 상기 제1모터(119)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모터(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2속도조절부(1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속도조절부(124)와 제2속도조절부(121)는 몸체(10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스위치(115)에 의해서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롤러(102)에 감아진 연마테이프(104)의 일단을 상기 제2롤러(103)의 중심축에 연결한 후, 상기 몸체(101)의 내부에 구비되 는 전원박스(122)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모터(119)와 제2모터(120)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모터(119)와 제2모터(120)가 회전하면, 제2스위치(115)를 이용하여, 상기 제1모터(119)와 제2모터(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1속도조절부(124)와 제2속도조절부(12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모터(119)와 제2모터(120)가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연마테이프(104)는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장착부(102)에서 상기 제2롤러(103)로 되감긴다.
한편, 상기 제1롤러(102)와 상기 제2롤러(103) 사이에는 클리닝유닛(105,10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리닝유닛(105,106)은 상기 제1롤러(102)와 상기 제2롤러(103)와 같은선상에 위치되되, 후술할 텐션유지롤러(108)의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104)를 상기 제1롤러(102)에서 제2롤러(103)로 되감을 때, 상기 연마테이프(104)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리닝유닛(105,106)의 개수를 2개로 구성하였지만, 그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유닛(105,106)은 외주면에 솔(118)이 형성되어 있는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솔(118)은, 상기 솔(118)과 상기 연마테이프(104)의 마찰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상기 연마테이프(104)가 상기 장착부(102)에서 상기 제2롤러(103)로 감기는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마테이프(104)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롤러(102)와 상기 제2롤러(103) 사이에는 텐션유지유닛(107)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연마테이프(104)의 텐션을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텐션유지유닛(107)은 제1클리닝유닛(105)과 제2클리닝유닛(106)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션유지유닛(107)은 회전축(109)을 갖는 텐션유지롤러(108)와, 상기 텐션유지롤러(108)를 승강시키는 승강부(1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승강부(110)는 상기 텐션유지롤러(108)의 회전축(109)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11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2)과, 상기 텐션유지롤러(108)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113)와, 상기 실린더(113)를 작동시키는 제1스위치(114)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100)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100)와 후술할 연마장치(200)의 모터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제1롤러(102) 및 제2롤러(103)가 서로 호환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그 구성 및 구조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100)의 사용방법은, 신품인 연마테이프를 이용하여 미소돌기를 연마장치에 의해 연마하는 단계(P1)와,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리와인딩 장치에 의해 되감는 단계(P2)와, 상기 연마테이프를 연마장치에서 재사용하여 미소돌기를 연마하는 단계(P3)로 이루어진다.
한편, 연마장치(200)의 구조 및 구성은 상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그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품인 연마테이프를 이용하여 미소돌기를 연마장치에 의해 연마하는 단계(P1)를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연마장치(200)에서 제2롤러(103)에 감겨있는 신품 연마테이프(104)의 일단을 연마팁(207)을 거쳐 제1롤러(102)에 연결한다.
그 후, 상하구동이 가능한 상기 연마장치(200)의 헤드(203)가 하강하여 감지센서(205)가 미소돌기(206)를 감지하면, 제1롤러(102)가 회전하고, 상기 제2롤러(103)에 감겨있던 연마테이프(104)가 상기 제1롤러(102)로 감아지면서, 상기 연마팁(207)에 의해 미소돌기(206)가 연마된다.
상기 제2롤러(103)에 감겨있던 연마테이프(104)가 상기 제1롤러(102)로 감겨져 상기 미소돌기(206)의 연마가 완료되면, 상기 연마테이프(104)는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104)가 된다.
다음은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리와인딩 장치에 의해 되감는 단계(P2)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P1단계가 완료되면, 연마테이프(104)는 상기 제2롤러(103)에서 제1롤러(102)로 감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롤러(102)와 제2롤러(103)를 상기 연마장치(200)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104)가 감겨있는 제1롤러(102)는 본 발명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100)의 제1모터(119)의 회전축에 연결하고, 제2롤러(103)는 제2모터(120)의 회전축에 연결한다.
그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102)에 감겨있는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104)의 일단을 제1클리닝유닛(105)과, 텐션유지유닛(107)의 텐션유지롤러(108)와, 제2클리닝유닛(106)을 거쳐 제2롤러(103)의 중심축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100)에 되감을 연마테이프(104)의 설치가 끝나면, 제1스위치(114)를 눌러 텐션유지롤러(108)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110)를 작동함으로써, 상기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104)의 텐션을 유지시킨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텐션유지롤러(108)가 가이드 홈(111)이 형성된 하우징(112)의 하부에 위치하면 상기 연마테이프(104)의 텐션이 팽팽하게 되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텐션유지롤러(108)가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연마테이프(104)의 텐션이 느슨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100)에는 실시간으로 연마테이프(104)의 텐션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텐션의 값이 적절한 값이 되는 위치에 상기 텐션유지롤러(108)가 위치하면, 상기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모터(119)와 제2모터(120)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2스위치(115)를 눌러 제1모터(119)와 제2모터(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1속도조절부(124)와 제2속도조절부(121)를 작동시켜, 상기 제1모터(119)와 제2모터(120)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하여 회전시킨다.
즉, 제1모터(119)에 연결되는 제1롤러(102)의 회전속도가, 제2모터(120)에 연결되는 제2롤러(103)의 회전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연마테이프(104)를 느슨하게 되감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제1모터(119)의 회전속도가 제2모터(120)의 회전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연마테이프(104)를 팽팽하게 되감을 수 있다.
따라서,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104)를 상기 제1롤러(102)에서 제2롤러(103)로 되감을 수 있으며 이때, P1 단계에서 부착된 이물질이 상기 클리닝유닛(105,106)에 의해 제거된다.
한편, 본 발명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100)는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104)를 제1롤러(102)에서 제2롤러(103)로 되감을 때, 사용자가 그 잔량을 확인하여 상기 제1모터(119)와 제2모터(120)의 작동을 직접 제어할 수 있지만, 추가적으로 상기 연마테이프(104)의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116,117)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모터(119)와 제2모터(1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104)가 제2롤러(103)에 되감기면, 상기 제2롤러(103)에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감겨있는 연마테이프(104)를 다시 연마장치(200)에 재장착하여 미소돌기(206)를 연마할 수 있다.(P3)
한편, 상기 연마장치(200)에 텐션이 유지되어 되감긴 연마테이프(104)를 재장착하여 사용할 때에는, 상하구동이 가능한 상기 연마장치(200)의 헤드(203)를 이용하여 롤러를 공회전시킴으로써, 1회 연마시 사용하지 않았던 부분으로 상기 미소돌기(206)를 연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100)는, 1회 사용한 연마테이프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되감아, 1개의 연마테이프를 여러 번 재사용 할 수 있으므로, 연마테이프의 사용률을 현저히 높여 그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텐션유지유닛(107) 및 속도조절부에 의해,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감을 수 있다.
또한, 클리닝유닛(105,106)에 의해,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에 부착된 이물질이 말끔히 제거되어 1회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재사용할 때, 상기 이물질이 액정 칼라 필터의 표면에 떨어져 또 다른 돌기 결함이 유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은 특히, 연마테이프를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되감도록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에서 텐션이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에서 텐션이 느슨하게 유지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의 클리닝유닛을 확대한 확대도.
도 6은 연마장치의 정면도.
도 7은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 101 : 몸체
102 : 제1롤러 103 : 제2롤러
104 : 연마테이프 105 : 제1클리닝유닛
106 : 제2클리닝유닛 107 : 텐션유지유닛
108 : 텐션유지롤러 109 : 회전축
110 : 승강부 111 : 가이드 홈
112 : 하우징 113 : 실린더
114 : 제1스위치 115 : 제2스위치
116,117 : 센서 118 : 솔
119 : 제1모터 120 : 제2모터
121 : 제2속도조절부 122 : 전원박스
123 : 가드 124 : 제1속도조절부
200 : 연마장치 203 : 헤드
205 : 센서 206 : 미소돌기
207 : 연마팁

Claims (7)

  1.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제1모터와 제2모터;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가 감겨진 제1롤러;
    상기 제2모터에 연결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모터에 제1롤러를 장착하고, 상기 연마테이프의 일단을 상기 제2롤러에 연결하여,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마테이프를 상기 제2롤러로 감는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사이에는 클리닝유닛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텐션유지유닛;
    상기 텐션유지유닛은,
    회전축을 갖는 텐션유지롤러와, 상기 텐션유지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텐션유지롤러의 회전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텐션유지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 또는 상기 제2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부는,
    상기 제1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1속도조절부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2속도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속도조절부와 상기 제2속도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테이프의 리와인 딩 장치.
  7. 연마테이프를 이용하여 미소돌기를 연마장치에 의해 연마하는 단계;
    사용완료된 연마테이프를 리와인딩 장치에 의해 되감는 단계;
    상기 연마테이프를 연마장치에서 재사용하여 미소돌기를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테이프 리와인딩 장치의 사용방법.
KR1020080079912A 2008-08-14 2008-08-14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 KR20100021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912A KR20100021157A (ko) 2008-08-14 2008-08-14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912A KR20100021157A (ko) 2008-08-14 2008-08-14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57A true KR20100021157A (ko) 2010-02-24

Family

ID=4209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912A KR20100021157A (ko) 2008-08-14 2008-08-14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11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8058A (zh) * 2011-12-08 2013-06-19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研磨装置以及被该装置研磨的图像形成装置用的导电性辊
KR101428529B1 (ko) * 2012-12-03 2014-08-11 넬슨(주) 연마 테이프 재사용 장치
CN106181693A (zh) * 2016-08-17 2016-12-07 王玉广 一种卷式砂带机及其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8058A (zh) * 2011-12-08 2013-06-19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研磨装置以及被该装置研磨的图像形成装置用的导电性辊
KR101428529B1 (ko) * 2012-12-03 2014-08-11 넬슨(주) 연마 테이프 재사용 장치
CN106181693A (zh) * 2016-08-17 2016-12-07 王玉广 一种卷式砂带机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8406B2 (ja) 基板洗浄装置
KR20100021157A (ko) 연마테이프의 리와인딩 장치 및 사용방법
JP2011000678A (ja) 欠陥修正方法及び装置
KR20110124080A (ko) 필름 표면 세정장치
US6419559B1 (en) Using a purge gas in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with an incrementally advanceable polishing sheet
KR100930571B1 (ko) 기판결함의 리페어 장치 및 방법
JP5240972B2 (ja) 突起欠陥補修装置
JP2004122067A (ja) ノズル清掃装置およびこのノズル清掃装置を備えた基板処理装置
JP2003266292A5 (ko)
JP5275770B2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TW201931461A (zh) 基板處理裝置以及控制方法
JP2005081255A (ja) グリーンタイヤへの離型剤塗布方法及びその装置
JP5442031B2 (ja) 異物除去装置
JPH0810721A (ja) 清浄装置
JPH09201760A (ja) 微小突起研磨装置および微小突起研磨方法
JP2011005611A (ja) 研磨装置および研磨方法
KR100314269B1 (ko)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KR100353241B1 (ko) 티에프티-엘씨디용 패널의 세정장치
KR20050002466A (ko) 백라이트 제조용 쉬트 분리장치
JPH11129343A (ja) 更生タイヤのセメンティ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CN114571364A (zh) 利用研磨用带的缺陷研磨装置
JPH09192613A (ja) ワイパーゴムの自動供給装置
KR100851872B1 (ko) 스킨 패스 압연기의 워크롤 이물질 제거장치
JP2007175800A (ja) テープ研磨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70022173A (ko)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세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