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269B1 -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269B1
KR100314269B1 KR1019990023407A KR19990023407A KR100314269B1 KR 100314269 B1 KR100314269 B1 KR 100314269B1 KR 1019990023407 A KR1019990023407 A KR 1019990023407A KR 19990023407 A KR19990023407 A KR 19990023407A KR 100314269 B1 KR100314269 B1 KR 100314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roller
wiper
pad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202A (ko
Inventor
강응철
유내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19990023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269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베이스상에 모터가 설치되고, 리드 스크류가 모터에 연결된다. 베이스의 측부에는 액정 셀이 안치되는 스테이지가 배치된다. 리드 스크류에는 세정 헤드 유니트가 나사결합되어,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세정 헤드 유니트가 왕복이동된다. 세정 헤드 유니트는 리드 스크류에 나사결합된 세정 몸체를 포함한다. 세정 몸체상에는 스테이지 방향을 향하는 행거가 설치된다. 행거의 전면에는 피딩 롤러와 권취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권취 롤러에는 행거의 후면에 장착된 모터가 연결된다. L자형 행거의 밑면에는 높이 조정 볼트가 상부로부터 체결되고, 높이 조절 볼트의 하단에 세정 홀더가 나사결합된다. 높이 조절 볼트의 헤드부에는 세트 스크류가 체결되어, 높이 조정 볼트를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높이 조정 볼트에는 스프링이 끼워진다. 세정 홀더의 전면에는 세정 롤러가 설치된다. 세정전에 세정 롤러가 배치되는 베이스상에는 세정액인 에탈올이 담긴 트레이가 배치된다. 액정 셀의 패드를 세정하는 와이퍼는 피딩 롤러로부터 세정 롤러를 거쳐서 권취 롤러에 감겨진다. 와이퍼는 세정액 트레이에 항상 적셔진 상태가 된다. 세정 롤러의 양측으로는 피딩 롤러와 세정 롤러 및 권취 롤러를 거치는 와이퍼의 경로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세정 롤러에 밀착되도록 와이퍼를 미는 가이드 유니트가 배치된다.

Description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pads of LCD cell}
본 발명은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셀의 패드와 인쇄회로기판의 각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전에, 액정 셀의 패드에 묻은 미립자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패드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의 위상을 변화시켜 원하는 글자나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액정표시소자는 2개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 구조의 액정 셀과, 이 액정 셀로 빛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셀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하부 유리기판과 컬러필터가 형성된 상부 유리기판 각각의 내측면에 액정 분자의 초기 배열 상태를 결정하는 배향막을 설치하고, 2개의 유리기판 중 어느 하나의 유리기판 상에는 접착제를 프린트하고, 다른 하나의 유리기판에는 스페이서를 코팅한 후, 봉착 공정에서 이들 2개의 유리기판을 겹쳐 포갠 상태로 압착장치의 건조 오븐에 넣고, 열압착을 실시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액정 셀에는 빛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입사되도록, 상부 유리 기판의 상부면과 하부 유리 기판의 하부면 각각에 편광판이 부착된다. 또한, 액정 셀의 가장자리에는 게이트 기판과 데이터 기판이 배치되며, 액정 셀의 패드와 각 기판의 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각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전에, 액정 셀의 패드를 세정하는 공정이 실시된다. 액정 셀의 패드를 세정하는 이유는 패드 상에 이물질이 묻어 있으면 전기적 접촉이 불량해지고, 특히, 이물질이 도전성일 경우에는 쇼트 발생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액정 셀의 패드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세정하고 있다. 먼저, 작업자가 카세트에 수납된 액정 셀 한 장을 반출한 다음, 세정 기구인 와이퍼를 세정액인 에탄올로 적신다. 그런 다음, 한 손으로는 액정 셀을 잡고, 다른 한 손을 이용해서 와이퍼로 액정 셀의 일측에 배치된 패드를 닦는다. 이어서, 와이퍼를 다시 에탄올로 적신 후, 액정 셀을 90°회전시켜 타측에 배치된 다른 패드를 와이퍼로 닦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정 방식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동일한 작업자라 할지라도 와이퍼에 가하는 힘에 차이가 있게 마련이며, 이로 인하여, 와이퍼에 과도한 힘을 가할 경우에는 액정 셀에 스크래치가 발생될 소지가 높고, 반대로, 와이퍼에 가하는 힘이 약할 경우에는 액정 셀의 패드가 깨끗이 세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정 셀을 90°씩 회전시키면서 패드 세정을 해야 하고, 아울러, 와이퍼를 수시로 에탄올로 적셔야 하는 관계로 세정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액정 셀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추세에서, 15″크기의 액정 셀을 한 손으로 잡고 세정하기에는 곤란한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세정 방식이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한 속도 및 압력으로 패드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여, 패드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패드의 세정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 셀을 자동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세정액도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셀 세정 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우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세정 헤드 유니트를 확대해서 나타낸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정렬 롤러와 승강 롤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우측면도.
도 9은 승강 롤러를 누르는 누름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캠에 따른 세정 헤드 유니트의 전후진 동작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11 ; 스테이지
20,35 ; 모터 21 ; 리드 스크류
30 ; 세정 헤드 유니트 33 ; 피딩 롤러
34 ; 권취 롤러 37 ; 세정 홀더
40 ; 세정 롤러 41 ; 와이퍼
50 ; 가이드 유니트 54 ; 가이드 롤러
60,61 ; 정렬 롤러 90 ; 세정액 트레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상에 모터가 설치되고, 리드 스크류가 모터에 연결된다. 베이스의 측부에는 액정 셀이 안치되는 스테이지가 배치된다. 리드 스크류에는 세정 헤드 유니트가 나사결합되어,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세정 헤드 유니트가 왕복이동된다.
세정 헤드 유니트는 리드 스크류에 나사결합된 세정 몸체를 포함한다. 세정 몸체상에는 스테이지 방향을 향하는 L자형 행거가 설치된다. L자형 행거의 전면에는 피딩(feeding) 롤러와 권취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권취 롤러에는 행거의 후면에 장착된 모터가 연결된다. L자형 행거의 밑면에는 높이 조정 볼트가 상부로부터 체결되고, 높이 조절 볼트의 하단에 세정 홀더가 나사결합된다. 높이 조절 볼트의 헤드부에는 세트 스크류가 체결되어, 높이 조정 볼트를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높이 조정 볼트에는 스프링이 끼워진다. 세정 홀더의 전면에는 세정 롤러가 설치된다. 세정전에 세정 롤러가 배치되는 베이스상에는 세정액인 에탈올이 담긴 트레이가 배치된다.
액정 셀의 패드를 세정하는 와이퍼는 피딩 롤러로부터 세정 롤러를 거쳐서 권취 롤러에 감겨진다. 와이퍼는 세정액 트레이에 항상 적셔진 상태가 된다. 세정 롤러의 양측으로는 피딩 롤러와 세정 롤러 및 권취 롤러를 거치는 와이퍼의 경로를가이드함과 아울러 세정 롤러에 밀착되도록 와이퍼를 미는 가이드 유니트가 배치된다.
가이드 유니트는 세정 홀더에 설치된 브래킷을 포함한다. 브래킷의 후면으로부터 가이드 볼트가 체결되고, 가이드 볼트의 하단에 가이드 블럭이 나사결합되어서, 가이드 볼트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블럭이 이동될 수가 있다. 가이드 블럭에는 와이퍼의 경로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와이퍼를 미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된다.
세정 홀더의 후면에는 캠 홀더가 설치된다. 캠 홀더에는 캠이 설치되고, 캠의 로브(lobe)에는 캠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캠 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리드 스크류와 스테이지 사이를 따라 베이스상에 배치되는데, 가이드 레일은 베이스 표면보다 높게 돌출된다.
스테이지와 베이스상에는 액정 셀의 두 측면이 밀착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정렬 롤러가 배치된다. 베이스상에 배치된 정렬 롤러는 베이스 내부에 배치된 링크의 일단에 연결된다. 링크의 타단 중앙에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승강 롤러가 설치된다. 세정 헤드 유니트 이동시, 정렬 롤러가 세정 헤드 유니트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승강 롤러를 눌러 정렬 롤러를 베이스 하부로 수용시키는 누름판이 행거의 밑면에 설치된다. 한편, 링크의 타단 양측은 베이스에 체결된 리턴 볼트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고, 리턴 볼트에는 링크에 고정된 리턴 스프링이 끼워져서, 하강된 승강 롤러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모터에 의해 항상 팽팽하게 당겨진 와이퍼가 액정 셀의 패드를 일정한 압력으로 세정하게 됨으로써, 액정 셀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거나, 또는, 세정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은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셀 세정 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세정 헤드 유니트를 확대해서 나타낸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정렬 롤러와 승강 롤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9은 승강 롤러를 누르는 누름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0은 캠에 따른 세정 헤드 유니트의 전후진 동작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장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측부에 배치되어 액정 셀이 안치되는 스테이지(11)와, 베이스(10)상에 설치된 모터(20)와 리드 스크류(21) 및 이에 의해 베이스(10)상에서 왕복이동하면서 액정 셀의 패드를 세정하는 세정 헤드 유니트(3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모터(20)는 베이스(10)의 좌측 정중앙에 배치된다. 리드 스크류(21)는 베이스(10)의 중앙을 따라 배치된다. 세정 헤드 유니트(30)는 리드 스크류(21)에 나사결합되어 스테이지(11)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액정 셀의 패드를 세정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가장 주요부인 세정 헤드 유니트(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로 하여, 세정 헤드 유니트(30)는 리드 스크류(21)에 나사결합되어 왕복이동하는 세정 몸체(31)를 포함한다. L자형 행거(32)가 세정 몸체(31) 상부에 설치된다. 행거(32)의 수직부 전면, 즉 스테이지(11)를 향하는 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 롤더(33)와 권취 롤러(3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권취 롤러(3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32)의 수직부 후면에 장착된 모터(35)가 연결된다.
도 5를 참조로 하여, 높이 조정 볼트(36)가 행거(32)의 수평부에 상부로부터 체결된다. 세정 홀더(37)가 높이 조정 볼트(36)의 하단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높이 조정 볼트(36)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세정 홀더(37)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다. 높이 조정 볼트(36)의 헤드부에는, 높이 조정 볼트(36)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세트 스크류(38)가 체결된다. 한편, 행거(32)의 수평부와 세정 홀더(37) 사이의 높이 조정 볼트(36)에는 완충 작용을 하는 스프링(39)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셀의 패드 상부를 지나가면서 세정 작용을 하는 세정 롤러(40)가 세정 홀더(37)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세정 롤러(40)의 외주면이 직접 액정 셀의 패드에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41)가 액정 셀의 패드에 접촉하면서 세정하게 된다. 즉, 와이퍼는 피딩 롤러(33)로부터 세정 롤러(40)를 거쳐 권취 롤러(34)에 감겨지는 경로를 갖는다. 한편, 도 1에서, 세정전에 세정 롤러(40)가 위치하는 베이스(10) 부분에는 와이퍼(41)에 항상 세정액인 에탈올이 적셔지도록 하기 위한 세정액 트레이(90)가 배치된다.
와이퍼(41)는 모터(35)에 의해 피딩 롤러(33)로부터 세정 롤러(40)를 거쳐서권취 롤러(34)에 감겨지므로,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는 있다. 다만, 와이퍼(41)가 권취 도중 세정 롤러(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와이퍼(41)의 경로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더욱 팽팽해지도록 밀어주는 가이드 유니트(5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롤러(40)의 양측에 배치된다.
가이드 유니트(50)는 세정 홀더(37)에 경사지게 설치된 브래킷(51)을 포함한다. 가이드 볼트(51)가 브래킷(51)의 후면으로부터 정중앙에 체결된다. 브래킷(51)과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블럭(53)이 가이드 볼트(51)의 하단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가이드 볼트(5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 블럭(53)의 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 와이퍼(41)의 경로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와이퍼(41)를 세정 롤러(40)에 밀착시키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54)가 가이드 블럭(5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각 가이드 롤러(54)가 와이퍼(41) 및 세정 롤러(40)에 부드럽게 밀착되도록, 가이드 로드(55)가 브래킷(51)의 후면으로부터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그의 하단은 가이드 블럭(53)에 고정된다. 가이드 로드(55)에 완충 작용을 하는 스프링(56)이 끼워진다. 또한, 와이퍼(41)가 패드에 접촉할 때, 와이퍼(41)가 패드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밀착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롤러(40)의 외주에 스냅링(46)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정 롤러(4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여 패드를 세정한 후, 다시 복귀할 때는 패드에 접촉되지 않아도 된다. 이를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홀더(37)의 후면에는 캠 홀더(41)가 설치된다. 캠 홀더(41)의 전면에 캠(52)이 고정되고, 캠(52)에는 캠 롤러(4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캠롤러(4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스크류(21)와 스테이지(11)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45)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특히, 가이드 레일(4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는데, 그 이유는 세정 동작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2를 참조로 하여, 스테이지(11)에 안치되는 액정 셀을 정렬하기 위해, 스테이지(11)의 인접한 두 측면을 따라 총 3개의 정렬 롤러(60,61)가 배치된다. 각 정렬 롤러(60,61)는 베이스(10)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에서 세정 헤드 유니트(30)의 이동선상중에 있는 정렬 롤러(61)가 문제가 된다. 즉, 돌출된 정렬 롤러(61)가 이동하는 세정 헤드 유니트(30)에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세정 헤드 유니트(30) 이동중에는 정렬 롤러(61)를 베이스(10)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베이스(10)내로 수용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승강 롤러(63)가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링크(62)의 웹부 하단에 정렬 롤러(6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T자형 링크(62)의 플랜지부 중앙에는 승강 롤러(6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정렬 롤러(61)는 액정 셀의 측면을 지지해야 하므로, 수직축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고, 반면에 승강 롤러(63)는 수평축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T자형 링크(62)는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10) 내부에 배치된다. 특히, 링크(62)는 베이스(1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리턴 볼트(64)를 매개로 승강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한 쌍의 리턴 볼트(64)가 베이스(10)에 상부로부터 체결되고, 그의 하단이 링크(62)의 플랜지부 양측에 연결되는데,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링크(62)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리턴 볼트(64)에는 리턴 스프링(65)이 끼워진다. 따라서, 승강 롤러(63)가 눌러지게 되면, 리턴 스프링(65)이 신장되면서 링크(62)도 하강하게 됨으로써, 정렬 롤러(61)가 베이스(10)내로 수용된다. 승강 롤러(63)를 누르고 있던 외력이 제거되면, 리턴 스프링(65)이 압축되므로 정렬 롤러(61)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 롤러(63)를 누르는 누름판(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32)의 수평부에 설치된다. 도 9는 누름판(44)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하단이 수평하게 돌출되어서, 이 돌출된 부분이 세정 헤드 유니트(30)가 왕복이동될 때 먼저 승강 롤러(63)를 누르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우측에는 제어 패널(80)이 배치되고, 제어 패널(80)에는 전원 스위치(81)와 스타트 스위치(82) 및 비상 정지 스위치(83)가 마련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는 전원(71)과 제어용 드라이버(70) 2대가 설치된다. 그리고, 세정 헤드 유니트(30)의 세정 시작 위치와 완료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센서(72,73)가 베이스(10)상에 배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초기 상태는, 와이퍼(41)가 세정액 트레이(90)에 담겨져서, 세정액이 와이퍼(41)를 항상 적시고 있게 된다. 따라서, 세정 중에 와이퍼(41)에 세정액을 별도로 공급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정 셀을 스테이지(11)상에 안치시키고, 그의 인접한 두 측면을 각 정렬 롤러(60,61)에 밀착되도록 하여 액정 셀을 정렬한다. 스타트 스위치(82)를 누르면, 2개의 모터(20,35)가 구동된다. 따라서, 리드 스크류(21)가 회전되고 또한 권취 롤러(34)도 회전된다. 권취 롤러(34)가 회전되므로, 와이퍼(41)가 권취 롤러(34)에 감겨지게 된다. 그러므로, 세정 롤러(40)와 피딩 롤러(33)도 같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전체 와이퍼(41)가 세정액에 적셔지게 된다. 와이퍼(41)가 상기와 같이 감겨지는 경로는 가이드 롤러(54)들에 의해 가이드된다.
리드 스크류(21)가 회전되므로, 세정 헤드 유니트(30) 전체가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세정 헤드 유니트(30)가 이동하는 동안에 권취 롤러(34)는 계속 회전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캠 롤러(43)가 도 10과 같이 가이드 레일(45)을 타고 오르면, 세정 홀더(37) 전체가 우측으로 약간 회전되면서, 세정 롤러(40)는 패드에 접촉하게 된다. 세정 롤러(40)는 회전하면서 패드상을 지나가게 되는데, 상기된 바와 같이 권취 롤러(34)는 계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새로운 와이퍼(41)가 세정 롤러(40)로 공급된다. 따라서, 패드는 세정액이 충분히 묻어 있는 와이퍼(41)에 의해 닦여지게 된다. 특히, 세정 롤러(40)에는 스냅링(46)이 끼워져 있으므로, 스냅링(46)에 의해 와이퍼(41)가 반지름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패드에 와이퍼(41)가 보다 확실하게 밀착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진행되면서 세정 헤드 유니트(30)가 좌측으로 이동하다가, 베이스(10)에서 돌출된 정렬 롤러(61) 위치에 도달하면, 누름판(44)이 승강 롤러(63)를 누른다. 따라서, 승강 롤러(63)는 베이스(10)내로 수용되고, 리턴 스프링(65)을 신장시키면서 링크(62)도 같이 하강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렬 롤러(61)도 링크(62)와 같이 베이스(10)내로 수용되므로, 세정 헤드 유니트(30)가 이동중에 정렬 롤러(61)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세정 헤드 유니트(30)가 지나가면, 리턴 스프링(65)에 의해 정렬 롤러(61)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세정 롤러(40)가 액정 셀의 일측 패드, 한 예로 게이트 패드를 완전히 세정하면, 그 위치에 배치된 센서(73)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20)를 역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세정 헤드 유니트(30)는 반대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초기 위치에 도착하면 그 위치에 배치된 센서(72)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20)를 정지시킨다. 한편, 세정 헤드 유니트(30)가 복귀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홀더(37)는 기울어지지 않고 직립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복귀하는 경우에는, 세정 롤러(40)가 패드에 접촉하지 않고 약 3.2㎜ 정도 패드에서 상승된 높이로 복귀하게 된다.
게이트 패드 세정이 완료되면, 액정 셀을 90°회전시켜서 데이터 패드를 세정 위치로 정렬시킨 다음, 상기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한편, 세정 롤러(40)의 높이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세트 스크류(38)를 풀고 높이 조정 볼트(36)를 돌려서 세정 홀더(37)의 높낮이를 조정한다. 그런 다음, 그 위치에서 세트 스크류(38)를 조여 고정한다. 또한, 각 가이드 롤러(54)가 와이퍼(41)를 세정 롤러(40)로 미는 힘이 약하다고 판단될 경우, 가이드 볼트(52)를 돌려서 가이드 블럭(53)을 세정 롤러(40)측으로 더 이동시키면 된다. 가이드 롤러(54)는 스프링(56)에 의해 와이퍼(41)를 부드럽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 세정 동작이 거의 전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세정 작업이 한결 수월해진다. 특히, 세정액을 와이퍼에 수시로 묻히지 않아도 되고, 세정액으로 충분히 적셔진 새로운 와이퍼가 연속으로 배치된 패드를 세정하게 되므로, 세정 효과가 대폭 향상되는 잇점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장력으로 계속 감겨지는 와이퍼가 패드를 세정하게 되므로, 일정한 압력으로 패드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와이퍼에서 패드로 가해지는 압력이 과다하여 패드에 스크래치가 형성되거나 또는 반대로 압력이 작아서 세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해소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배치되어, 액정 셀이 안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베이스상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된 리드 스크류; 및
    상기 리드 스크류에 나사결합된 세정 몸체와, 상기 세정 몸체 상에 설치된 행거와, 상기 행거의 전면에 설치된 피딩 및 권취 롤러와, 상기 행거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권취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행거의 하부에 설치된 세정 홀더와, 상기 세정 홀더의 전면에 설치된 세정 롤러와, 상기 피딩 롤러로부터 세정 롤러를 거쳐 권취 롤러에 감겨져서 상기 액정 셀의 패드를 세정하는 와이퍼, 및 상기 세정 롤러의 외주에 끼워져 상기 와이퍼가 패드에 밀착되도록 반지름 방향으로 와이퍼를 탄력지지하는 스냅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테이지 전면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액정 셀의 패드를 세정액으로 닦아 세정하는 세정 헤드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상에 와이퍼가 항상 세정액에 적셔지도록, 세정액이 저장된 트레이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에 상부로부터 높이 조정 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높이 조정 볼트의 하단이 세정 홀더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높이 조정 볼트의 헤드부에는 세트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높이 조정 볼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세정 홀더의 높이를 조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 볼트에 스프링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롤러의 양측으로 와이퍼의 경로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와이퍼가 세정 롤러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 유니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니트는
    상기 세정 홀더에 설치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후면으로부터 체결된 가이드 볼트;
    상기 가이드 볼트의 하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볼트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가이드 블럭; 및
    상기 가이드 블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퍼를 세정 롤러측으로 밀면서 와이퍼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후면으로부터 가이드 로드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 로드의 하단에 가이드 블럭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로드에 스프링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인접한 두 측면에 액정 셀이 밀착되어 정렬되는 복수개의 정렬 롤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헤드 유니트의 세정 초기 위치 및 완료 위치와 대응하는 베이스 부분 각각에 상기 세정 헤드 유니트를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되고,상기 각 센서에 의해 모터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KR1019990023407A 1999-06-22 1999-06-22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KR100314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407A KR100314269B1 (ko) 1999-06-22 1999-06-22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407A KR100314269B1 (ko) 1999-06-22 1999-06-22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202A KR20010003202A (ko) 2001-01-15
KR100314269B1 true KR100314269B1 (ko) 2001-11-15

Family

ID=1959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407A KR100314269B1 (ko) 1999-06-22 1999-06-22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2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521B1 (ko) * 2006-01-20 2007-11-15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Lcd의 몰드프레임용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KR101983355B1 (ko) * 2012-06-22 2019-05-2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기판세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834A (ko) * 1996-12-18 1998-09-15 김광호 웨이퍼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834A (ko) * 1996-12-18 1998-09-15 김광호 웨이퍼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202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4286B (zh) 固定装置及固定方法
JP4650058B2 (ja) 異物除去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5933901A (en) Apparatus for cleaning a glass substrate
KR100314269B1 (ko)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JP3324281B2 (ja) 清浄装置
JP3992937B2 (ja) ガラス基板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70085666A (ko) 기판의 청소 장치 및 청소 방법
CN114367419B (zh) 一种点胶载台装置
CN214918369U (zh) 擦胶装置
CN112547598B (zh) 一种清洁装置及清洁方法
JP3936904B2 (ja) ノズル清掃装置およびこのノズル清掃装置を備えた基板処理装置
JP2004105848A (ja) 基板洗浄装置とその洗浄方法
JP2006058906A (ja) ガラス基板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0137803B1 (ko) 나이프 세척 장치
KR100666730B1 (ko)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JP3386655B2 (ja) 塗布装置
CN220804114U (zh) 一种液晶显示器面板用正反面点胶装置
KR100678621B1 (ko) 패널 클리닝 방법
JPH11104576A (ja) パネルの電極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9173933A (ja) 塗布液供給装置
JPH1195242A (ja) 液晶パネル端子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装置
JPH09179139A (ja) 液晶パネルの点灯試験装置
CN213494686U (zh) 一种led点胶设备的带有清洗机构的检针头装置
JPH07275805A (ja) 薄板状体の表面清掃装置
JP3767379B2 (ja) ガラス基板の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クリーニ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