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018A -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018A
KR20100021018A KR1020080079710A KR20080079710A KR20100021018A KR 20100021018 A KR20100021018 A KR 20100021018A KR 1020080079710 A KR1020080079710 A KR 1020080079710A KR 20080079710 A KR20080079710 A KR 20080079710A KR 20100021018 A KR20100021018 A KR 20100021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powder
weight
quartz glass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유
Original Assignee
이동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유 filed Critical 이동유
Priority to KR102008007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1018A/ko
Publication of KR2010002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영유리 분말과 거정석 분말을 일체로 혼합하여 1300℃에서 15~20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용해시킨 후, 이를 다양한 형태의 성형틀에 투입함과 아울러 급냉 공정과 서냉 공정을 통하여 완성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세서리,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 액세서리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Accesso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영유리 분말과 거정석 분말을 일체로 혼합하여 1300℃에서 15~20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용해시킨 후, 이를 다양한 형태의 성형틀에 투입함과 아울러 급냉 공정과 서냉 공정을 통하여 완성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 장신구는 신체의 노출부위를 아름답게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팔찌, 목걸이, 발목 장식용 발찌, 귀걸이, 반지 등으로 구분되며, 또한 가방, 옷 등에 부착되는 장식 부속품이 있다.
이러한 장신구는 오래전부터 액세서리의 용도에 국한되어 왔기 때문에 기능성보다는 디자인에 치중하여 제작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장신구를 단순히 액세서리 기능에서 벗어나 기능성을 중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근자에 들어 현대인들에게 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정한 운동을 즐기거나 혹은 별도의 건강 보조식품이나 약물을 섭취하는 등 의 방법을 통해서라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항상 기울이고 있지만, 바쁜 생활 속에서 정해진 시간에 운동을 하거나 보조식품을 섭취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번거롭기 마련이므로 실제로 꾸준히 지속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현대인들에게 있어 건강이라는 것은 관심만 크게 증폭되어 있을 뿐 지속할 여력이나, 시간, 환경이 수반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인체 내의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 등의 분자에 방사되어 분자를 진동시키고,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해주며, 세포가 안고 있는 유해물질을 방출시켜 건강을 증진시키는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물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제품 중의 하나가 기능성 장신구이다.
현재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장신구는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장신구는 보통 음이온 물질인 토르말린이나 티타늄 등을 주원료로 한 것들이며, 보통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링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링 타입 기능성 장신구의 경우 음이온 물질의 혼합으로 인해 특정색상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고, 다양한 디자인을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인체에 유익 한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거정석 분말에 주원료인 석영유리 가루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후, 일체로 용해하여 다양한 형태의 신변용 액세서리로 형성시킴으로써 세포조직의 활성화, 혈액순환 등과 같은 건강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다양한 컬러의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석영유리 분말 85~95중량%과 거정석 분말 5~15중량%을 일체로 혼합하는 배합공정과, 상기 배합물을 1300℃에서 15~20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녹이는 용해공정과, 상기 용해물을 다양한 형태의 성형틀에 투입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공정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내용물을 급냉 하는 급냉공정과, 상기 급냉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내용물을 약 700℃ 정도의 온도에서 다시 식히는 서냉공정을 통하여 완성되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액세서리 장신구를 다양한 형태로 개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신구를 휴대하는 경우에는 혈액순환 및 세포의 신진대사를 원활히 할 수 있음은 물론, 활력을 증진시켜 피로회복, 식용증진 및 면연력, 향균, 탈취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발명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업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리 가루는 유리가 포함하고 있는 성분 및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석영유리와 같은 특별한 것을 제외한 대부분의 유리는 유리 조직의 주체가 되는 망목형상의 물질과 그것과 화학적으로 느슨하게 결합하여 유리에 특정한 성질, 즉 용해성, 착색, 투명도, 화학내구성, 전조성 등을 가지게 하는 보조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망목형성산화물이라고 하는 것은 보통 무수규산, 무수봉산, 무수인산 등 산성 산화물이 사용되고, 망목수식산화물이라고 하는 것은 나트륨, 칼륨, 칼슘, 바륨 등 알칼리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의 산화물 및 납, 알루미늄 등의 산화물 등이 사용된다. 이것을 미시적으로 보면 망목형성산화물의 산소이온과 양이온이 강하게 결합하여 일종의 망목을 형성하고, 그 망목 속의 빈자리에 수식산화물에 의한 금속이온이 망목의 조직을 흐트러뜨리는 상태로 들어박힌 구조를 하고 있다. 이때, 망목 속으로 들어박힌 이온(망목수식이온)의 크기는 반지름이 0.5~2.20A 이다. 이온 반지름이 작은 것이나, 원자가 높은 원소의 이온은 망목의 빈자리로부터 움직이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데, 이와 같은 망목수식이온의 각각의 성격이 유리의 거시적 인 성질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원자자 높고 이온반지름이 작은 이온일수록 큰 결합에너지를 가지는데, 이와 같은 이온을 망목수식이온으로 사용하게 되면 유리가 쉽게 만들어진다.
그리고, 유리는 조성, 형성,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며 일반적인 분류를 하기는 어렵다. 조성에 따른 분류에서는 산화물 유리의 경우 유리의 망목구조의 주체를 이루고 있는 성분에 따라 규산염유리, 붕규산염유리, 임산염유리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도 실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유리는 규산염유리인데 규산 이외의 주요 성분의 이름을 연달아 부르는 수가 많아 석영유리, 나트륨유리, 나트륨석회유리, 납알칼리유리, 나트륨석회알루미나유리 등으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유리는 녹여서 만들기 때문에 여러 가지 형태의 유리제품을 만들 수 있으며, 이때 완전히 녹은 상태에서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 힘들겠지만, 그 상태에서 여러 가지 형상의 유지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내열성 및 내열 충격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녹는점을 많이 낮출 수 있는 석영유리 분말을 사용하게 되고, 상기 석영유리의 녹는점이 매우 높은 단점 때문에 혼합물 Na2O, CaO, MgO, Al2O3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거정석 분말은 천연광물질로서, 원소분석 결과 게르마늄(Ge), 세레늄(Se), 홀륨(Ho), 세륨(Ce),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슘(K2O), 산화마그네슘(MgO), 이산화규소(SiO2) 등을 대표적으로 함유하고 있다. 특히, 황토, 옥, 맥반석, 게르마늄에는 없는 이산화티타늄이 천연상태로 존재하여 광촉매 작용을 하므로 이러한 거정석은 빛에너지를 받아 전자가 계속해서 이동하여 정공이 곳곳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향균, 탈취 기능을 함은 물론 초진수성 기능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기능이 있는 거정석 분말과 석영유리 분말을 일체로 혼합한 후,용해공정을 통하여 하나의 액세서리 제품으로 구성하게 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는 석영유리 분말 85~95중량%과 거정석 분말 5~15중량%을 일체로 혼합하는 배합공정과, 상기 배합물을 1300℃에서 15~20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녹이는 용해공정과, 상기 용해물을 다양한 형태의 성형틀에 투입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공정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내용물을 급냉 하는 급냉공정과, 상기 급냉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내용물을 약 700℃ 정도의 온도에서 다시 식히는 서냉공정을 통하여 완성된다.
본 발명의 원료는 석영유리 분말 85중량%와 거정석 분말 15중량%를 혼합하였을 때 용해성과 유리의 투명성 및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이 적당하여, 이러한 비율에 의한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1. 배합공정
석영유리 분말 85~95중량%와 거정석 분말 5~15중량%를 골고루 혼합하되, 아주 골고루 조금이라도 잘 섞이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성질이 일정하지 않은 유리가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2. 용해공정
상기 혼합물을 백금도가니 또는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은 다음 1300~1400℃까지 가열하여 용해하는 공정이다.
3. 성형공정
상기 용해물을 성형틀 안에 투입하는 공정이며, 이때 성형틀은 보통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성형틀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손목에 두르는 팔찌, 목에 두르는 목걸이, 발목 장식용 발찌, 귀걸이, 반지, 가방, 옷 등에 부착되는 장식품의 성형틀 등이 있다.
4. 급냉공정
급냉을 시키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불규칙한 규칙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불규칙적으로 얽혀있는 구조에서는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빛이 투과하면서 산란을 일으키지 않아 투명하게 보이게 된다. 또한,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물이 통과할 수 없다.
5. 서냉공정
상기 급냉시킨 유리를 700℃정도로 유지되는 로 안에 넣고 천천히 온도를 낮추는 수단을 통하여 투명성과 강한 강도를 유지시키는 공정이다.
다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거정석 분말의 정의 및 특성은 아래와 같은 시험조건과 같다.
*거정석 분말*
시험항목 단위 시험결과 시험방법
휘발성유기화합물 mg/kg 검출안됨 JSO 11890-2:2000(E)
포름알데히드방산량 mg/mg2 0.001 JIS K 5601-4-1:2003
암모니아 % 검출안됨 수질오염공정시험법
mg/kg 불검출 USEPA 3052
카드륨 mg/kg 불검출 "
수은 " 불검출 "
크롬 " 불검출 "
안티온 " 불검출 "
비소 " 불검출 "
(효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이상적인 흑사체이며, 이산화티타늄이 천연상태로 3~7% 존재하여 광촉매 작용을 하므로 거정석은 빛에너지를 받아 전자가 계속해서 이동하여 정공이 곳곳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원적외선 방출, 향균, 탈취 기능을 함은 물론 유기물 분해, 초진수성기능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완성되는 액세서리 제품 메달을 음이온 시험, 원적외선 방출량 시험 발생에 대한 시험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음이온 발생 특성*
시 험 결 과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방법
음이온(Blank) 75 KICK-FIR-1042
음이온(Sample) 79 "
(실시예 2)
*원적외선 방출량 특성*
시 험 결 과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방법
원적외선 방출량(40℃) 방사율(5~20㎛) 0.920 KICK-FIR-1005
원적외선 방출량(40℃) 방사에너지(W/㎡) 3.71×102 KICK-FIR-1005
*실시결과*
본 발명은 거정석 분말, 유리 가루를 일체로 배합공정-용해공정-성형공정-급냉공정-서냉공정-완제품의 액세서리로 완성하였다. 그리고, 완성된 액세서리에서는 음이온 75ION/cc, 원적외선 방사율 0.920㎛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석영유리 분말과 거정석 분말의 성분을 갖는 액세서리를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 원적외선, 음이온 방사율은 크게 향상됨은 물론 인체에 반응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업 공정도.

Claims (3)

  1. 주원료인 석영유리 분말 85~95중량%에 거정석 분말 5~15중량%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1300℃에서 15~20시간 동안 열처리하면서 발생하는 용해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냉각 공정을 통하여 액세서리 완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2. 주원료인 석영유리 분말 85~95중량%에 거정석 분말 5~15중량%을 일체로 혼합하는 배합공정과,
    상기 배합물을 1300℃에서 15~20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녹이는 용해공정과,
    상기 용해물을 다양한 형태의 성형틀에 투입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공정을 통하여 만들어지는 내용물을 급냉하는 급냉공정과,
    상기 급냉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내용물을 700℃ 정도의 온도에서 다시 식히는 서냉공정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영유리 분말과 거정석 분말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액세서리 제품은 팔찌, 목걸이, 발목 장식용 발찌, 귀걸이, 반지, 가방, 옷 등에 부착되는 장식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KR1020080079710A 2008-08-14 2008-08-14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21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710A KR20100021018A (ko) 2008-08-14 2008-08-14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710A KR20100021018A (ko) 2008-08-14 2008-08-14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018A true KR20100021018A (ko) 2010-02-24

Family

ID=4209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710A KR20100021018A (ko) 2008-08-14 2008-08-14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10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771B1 (ko) * 2011-03-18 2013-11-13 이구원 문경약돌을 사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5105433A (zh) * 2015-08-28 2015-12-02 老凤祥东莞珠宝首饰有限公司 手镯生产工艺
CN105146868A (zh) * 2015-08-28 2015-12-16 老凤祥东莞珠宝首饰有限公司 手镯制造工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771B1 (ko) * 2011-03-18 2013-11-13 이구원 문경약돌을 사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5105433A (zh) * 2015-08-28 2015-12-02 老凤祥东莞珠宝首饰有限公司 手镯生产工艺
CN105146868A (zh) * 2015-08-28 2015-12-16 老凤祥东莞珠宝首饰有限公司 手镯制造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739B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Jha et al. Effect of MgO on bioactivity, hardness,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SiO2–K2O–CaO–MgO glasses
KR101971940B1 (ko) 원적외선 온열효과와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방사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사체
KR100907656B1 (ko) 의료기기용 바이오 세라믹의 제조방법.
KR100672980B1 (ko) 원적외선 바이오세라믹 제조방법 및 조성물
CN104496418A (zh) 负氧离子远红外线睡枕填充陶瓷球
JPH10292219A (ja) 黄土含有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25676A (ko) 현무암 분말을 이용한 칼라스톤의 제조방법
KR20100021018A (ko)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59249A (zh) 美容洁面盆
CN110003660A (zh) 一种太赫兹硅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516683A (zh) 会持续产生负离子的结晶釉面砖及其制备方法
CN105110778A (zh) 啤酒伴侣陶瓷球
KR100643115B1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결정체
Li et al. Upconversion luminescence Ca–Mg–Si bioactive glasses synthesized using the containerless processing technique
CN105948728A (zh) 家庭用能量洗菜盆
KR20060108856A (ko) 항균컬러바둑알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33854B1 (ko) 문자표출형 원적외선 의류
KR20050077214A (ko) 자기질 옥 타일 제조방법 및 자기질 타일 유약
El Batal et al. Bioactivity behavior of multicomponent (P 2 O 5–B 2 O 3-SiO 2-Na 2 O-CaF 2) glasses doped with ZnO, CuO or Ag 2 O and their glass-ceramics
KR20120106442A (ko) 보석용 합성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436142B1 (ko) 인조보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조보석
WO2017212299A2 (en) Artificially produced, intense infrared radiation emitting ceramic composites
KR20080096949A (ko)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의 결정체 제조방법 및 그 결정체
KR20180067480A (ko) 천연석분말이 혼합된 접착혼합물층이 하부에 형성된 핫픽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