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135A -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 Google Patents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135A
KR20100019135A KR1020080078015A KR20080078015A KR20100019135A KR 20100019135 A KR20100019135 A KR 20100019135A KR 1020080078015 A KR1020080078015 A KR 1020080078015A KR 20080078015 A KR20080078015 A KR 20080078015A KR 20100019135 A KR20100019135 A KR 20100019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riented polyester
weight
biaxially oriented
prim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1328B1 (ko
Inventor
차종현
이문복
서정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8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3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층이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후가공 공정에서 요구되는 이접착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고, 고온고습의 내습성 평가 시 접착력이 우수하며, 더불어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제품 수율을 높게 할 수 있고 각종 광학용 부재의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은 두께 50~300㎛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필름으로 하고,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고분자 이접착층으로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고분자 프라이머층은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주석계 촉매 및 평균입경 50~300㎚의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알칼리성분의 pH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실리카 입자, pH조절제, 프라이머층, 전 광선투과율, 헤이즈

Description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BIAXIALLY-ORIENTED POLYESTER ADHESIVE FILM FOR OPTICAL USE}
본 발명은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층이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후가공 공정에서 요구되는 이접착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고, 고온고습의 내습성 평가 시 접착력이 우수하며, 더불어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제품 수율을 높게 할 수 있고 각종 광학용 부재의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이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치수 안정성, 두께 균일성 및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 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용 재료로 그 이용 범위가 매우 넓다.
이러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을 광학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프라이머층은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접착성이 우수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그러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 필름과의 접착성은 충분하지만, 프리즘렌즈, 반사 방지층 또는 하드 코팅층 등으로 여러 가지 후가공 처리 후 사용되는 경우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불충분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시 이접착성, 유연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강력한 접착성 등을 지니고 있어 접착성을 요구하는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이용한 프라이머층을 코팅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수지로 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것으로서는, 하드 코트층 등의 바깥층과의 접착력은 향상하지만,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바깥층과의 충분한 접착성이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후가공 처리후의 접착성 평가방법의 하나로, 65℃, 90%습도 조건의 고온고습의 내습성 평가 시, 후가공 처리한 이면으로의 수분침투에 따른 접착력 불량이 발생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한편, 광학용으로 사용되는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프리즘 렌즈 가공이나 하드 코트 가공, AR 가공을 위해 우수한 접착성이 요구되지만, 후가공 업체마다 사용하는 수지형태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광학용으로 사용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스크래치성 및 광학적인 결점의 원인이 되는 필름 중에 포함되는 미소한 이물도 매우 적을 것이 요망되고, 또한 이러한 광학용 필름에는 우수한 투명성도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의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층이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후가공 공정에서 요구되는 이접착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고, 고온고습의 내습성 평가 시 접착력이 우수하며, 더불어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즘 렌즈가공이나 하드코트가공, AR 가공 등의 후가공시의 열처리공정에서 필름의 반송성 등의 후가공 적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품 수율을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전투과율이 높고, 헤이즈 값은 작은 특성 때문에 각종 광학용 부재의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두께 50~300㎛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필름으로 하고,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고분자 이접착층으로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고분자 프라이머층은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주석계 촉매 및 평균입경 50~300㎚의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알칼리성분의 pH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의해 달성된 다.
여기서, 상기 도포액은, i) 상기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23중량% 포함하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1.0~10.0중량%와, ii) 상기 주석계 촉매를 10중량% 포함하는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0.1~0.5중량%와, iii)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를 70중량% 포함하는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 수분산액 0.1~40중량%와, iv)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10중량% 포함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0.1~1.0중량%와, v) pH조절제 0.5~10중량% 및 ⅵ)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pH를 조절하기 위한 pH조절제는 탄산수소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필름의 면은 전 광선투과율이 90% 이상, 헤이즈 값이 0.4~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의 접착성은 65℃, 95% 습도 하에서 96시간 내습성 테스트 후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축 연신 후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5 ~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층이 기재와의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고온고습의 내습성 평가 공정에서 요구되는 이접착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고,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즘 렌즈가공이나 하드코트가공, AR 가공 등의 후가공 시의 열처리 공정에서 필름의 반송성 등의 후가공 적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품 수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투과율이 높고, 헤이즈 값이 작은 특성 때문에 각종 광학용 부재의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광학용 필름으로서, LCD에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용 베이스 필름이나 백라이트용 베이스 필름, 하드 코트 가공이나 AR 필름용 베이스 필름 및 CRT에서 보호 필름 등으로서 유용한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은 후가공 공정에서의 접착성과 내습성이 우수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공정 중에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혼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조 공정 중에 수행한 프라이머층의 이접착성이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후가공에서의 코팅공정을 한 후에도, 이접착성이 우수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팅공정 후에 실시하는 고온고습의 내구성 평가에서도 접착력이 우수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은 종래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과는 달리, 기재와의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후가공 공정에서의 이접착성도 우수하며, 고온고습의 내습성 평가에서도 우수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기재필름이 가지고 있는 광학적 특성을 유지 또는 더욱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서 기재필름은 두께 50~300㎛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필름으로 하고,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는 고분자 이접착층으로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프라이머층은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주석계 촉매 및 평균입경 50~300㎚의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알칼리성분의 pH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 사용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분지된 글리콜 성분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지된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메틸-2-부틸-1,3-프로판디올, 2-메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2-메틸-2-이소프로필-1,3-프로판디올, 2-메틸-2-n-헥실- 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에틸-2-n-부틸-1,3-프로판디올, 2-에틸-2-n-헥실-1,3-프로판디올, 2,2-디-n-부틸-1,3-프로판디올, 2-n-부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및 2,2-디-n-헥실-1,3-프로판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지된 글리콜 성분은 전체 글리콜 성분 중에 10몰% 이상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이다. 또한 상기 분지된 글리콜 성분은 전체 글리콜 성분 중에 80몰% 이하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0몰% 미만에서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화합물 이외의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이 가장 바람직하다. 소량이면,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구성성분으로서 함유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소량이면 다른 디카르복실산, 특히 디페닐카르복실산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방향족디카르복실산을 가하여 공중합시켜도 좋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외에, 수분산성을 부여시키기 위해서, 5-술포이소프탈산을 1∼10몰%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술포테레프탈산, 5-술포이소프탈산, 4-술포나프탈렌이소프탈산-2,7-디카르복실산 및 5-(4-술포페녹시) 이소프탈산 및 그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접착층에는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 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는 다음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57066815-PAT00001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블록화제로서는 술폰산기 및 중아황산염류를 함유한 페놀류, 락탐류, 옥심류, 알콜류 및 활성 메틸렌 화합물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중합반응을 위해 주석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에 의한 메커니즘은 정확하지 않지만,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말단기와의 반응을 촉진하여 폴리에스테르 기재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가짐으로써, 내습성의 특성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계면활성제는 수용성 코팅액이 사용가능하며, 기재 필름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고 코팅액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해 공지의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필요량 사용하여 기재 필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프라이머층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축 연신 후의 필름 위에 수지 바인더 등과 함께 도포하여 형성한다. 이 때 수지가 도포된 층의 두께는 0.01 ~ 5.0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05~3.00㎛로 하는 것이 좋다. 코팅 두께가 0.05㎛보다 얇으면 투명성은 양호해지나 접착력이 떨어지며, 3 ㎛보다 두꺼울 경우 접착특성은 우수하나 투명성 및 코팅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팅성 및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코팅액에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러한 첨가제로는 유기입자, 무기입자,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고분자 프라이머층에 수지와 굴절률 차이가 비교적 적은 무기 입자를 함유시켜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하는 무기입자의 평균입경이 30㎚미만이 되면 미세입자가 시트나 필름에서 주행성 및 내스크래치성에 도움을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세입자 투입의 효과를 주지 못하며, 미세입자의 평균입경이 500㎚를 초과하게 되면 헤이즈에 지장을 주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무기입자의 크기는 30~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00㎚ 범위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에서 바람직한 상기 도포액의 구성은, i) 상기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23중량% 포함하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1.0~10.0중량%와, ii) 상기 주석계 촉매를 10중량% 포함하는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0.1~0.5중량%와, iii)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를 70중량% 포함하는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 수분산액 0.1~40중량%와, iv)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10중량% 포함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0.1~1.0중량%와, v) pH조절제 0.5~10중량% 및 ⅵ)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필름의 면은 접착력이 95% 이상, 전광선투과율이 90% 이상, 헤이즈가0.4 ~ 1.5%, 65℃, 95%습도, 96시간의 고온 고습 조건후의 기재필름과의 접착력이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이접착층의 도포액은 77중량%의 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로 블록킹되어 있는 우레탄 수지가 23중량% 들어있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10.0중량%,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반응을 촉진시켜 주기 위한, 주석계 촉매 는 90 중량 %의 물과 주석계 촉매가 10중량% 들어있는 수분산액 0.5중량%, 및 물 72.4중량%를 혼합하고,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90중량%의 물과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10중량% 들어있는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로서 30 중량 %의 물과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가 70중량% 들어있는 수분산액 0.1중량%, 그리고 도포액의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알칼리성분의 pH조절제로 탄산수소나트륨1.0중량%를 별도의 용기에 물 15중량%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도포액으로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펠렛을 135℃에서 6시간 감압건조(1.3hPa)한 후, 이를 압출기로 공급한 다음, 약 280℃에서 시트상으로 용융압출하고, 표면온도 20℃로 유지한 금속롤 상에서 급냉고화하여 두께 1925㎛의 캐스팅필름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캐스팅필름을 가열된 롤 군(roll group) 및 적외선 히터 1OO℃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 군으로 종방향으로 3.2배 연신 비로 연신하여 일축배향 PET 필름을 얻어 이를 기재로 사용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도포액을 리버스 롤법으로 일축배향 PET 필름의 한 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였다. 이때의 도포량(고형분 중량)은 0.08g/㎡이었다. 계속해서 필름을 클립으로 단부에 파지하고, 열풍영역으로 도입하고, 건조하였다. 그 후 130℃에서 횡방향으로 3.2배 연신비로 연신하고, 240℃에서 열고정한 다음, 200℃에서 3%의 횡완화하였다. 이렇게 하여 두께 188㎛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캐스팅 필름의 두께를 2200㎛, 제막 후 필름의 두께를 25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액을 조제한 후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75중량%의 물과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25중량% 들어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분산액 10.0중량%, 옥사졸린계 경화제로서 60 중량 %의 물과 옥사졸린계 경화제가 40중량% 들어있는 수분산액 3.0중량%, 물 85.9중량%를 혼합하고,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90중량%의 물과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10중량% 들어있는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로서 30 중량 %의 물과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가 70중량% 들어 있는 수분산액 0.1중량%를 첨가하여 도포액을 조제한 후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88㎛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 르 이접착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에서, 캐스팅 필름의 두께를 2200㎛, 제막 후 필름의 두께를 25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액을 조제한 후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도포액에서 주석계 촉매를 첨가하지 아니하고, 물72.9중량%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액을 조제한 후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88㎛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도포액에서 pH조절제를 첨가하지 아니하고, 물73.4중량%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액을 조제한 후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250㎛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 1 내지 4에 따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통해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의 코팅외관을 측정하였다. 형광등 및 삼파장의 빛을 사용하여, 제조된 코팅용액의 코팅상태를 육안 을 통해 상/중/하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의 기재와 프라이머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4 와이어바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이 접착되어 있는 표면에 셀룰로오즈계 접착성 테스트 시료를 도포시키고, 건조오븐기에 30초간, 150℃에서 건조시킨다. 그리고 나서, 절단기로 프라이머층이 코팅된 필름에 절단선을 만들어서, 10×10의 매트릭스에 2㎜×2㎜ 정사각형들을 배치한다. 절단선은 접착층을 통과해 기재 필름에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깊게 만든다. 절단선이 있는 필름에 셀로판 테이프(No. 405, NICHIBAN제 넓이: 24㎜2)을 붙이고, 벨벳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문질러서 필름에 강력하게 부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수직으로 테이프를 떼어낸다. 접착층에 남아있는 프라이머층의 면적을 시각적으로 관찰하고,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접착성을 계산하여 접착력을 판단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08057066815-PAT00002
또한, 고온고습 후 접착성은 65℃, 95%습도 하에서 96시간 후의 내습성 평가를 한 후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에 사용된 코팅용액의 pH를 측정하였다. pH측정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pH meter를 사용 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에 사용된 코팅용액의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광학적 특성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전투과율과 Hz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4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항목 기재필름 두께 (㎛) 도포액 경화제, 촉매 사용여부 코팅 외관 헤이즈값(%) 전광선 투과율 (%) 기재 접착성 (%) 고온고습후 접착성 (%) pH
실시예1 188 열반응형 수용성우레탄 사용 0.73 92.1 100 100 7.0
실시예2 250 열반응형 수용성우레탄 사용 0.92 91.1 100 100 7.2
비교예1 188 폴리에스테르 사용 1.3 90.7 100 70 5.8
비교예2 250 폴리에스테르 사용 1.5 90.2 100 70 6.0
비교예3 188 열반응형 수용성우레탄 미사용 0.94 90.6 40 20 6.8
비교예4 250 열반응형 수용성우레탄 사용 0.92 90.8 100 100 3.0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비교예들에 비해 기재와의 코팅외관, 충분한 이접착성 뿐만 아니라, 고온고습의 내습성 평가 공정에서 요구되는 이접착성 등의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4의 경우 접착성 및 고온고습후의 접착성 그리고 광학적 특성은 실시예와 유사한 수준의 결과 값을 가졌으나, pH가 산성분위기를 띄어 공정상 부식 및 흡입 및 접촉 등의 안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의 단면도.

Claims (7)

  1. 두께 50~300㎛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필름으로 하고, 상기 기재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고분자 이접착층으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으로서,
    상기 고분자 프라이머층은 양 말단이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주석계 촉매 및 평균입경 50~300㎚의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알칼리성분의 pH조절제 및 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은,
    i) 상기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를 23중량% 포함하는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1.0~10.0중량%와,
    ii) 상기 주석계 촉매를 10중량% 포함하는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0.1~0.5중량%와,
    iii)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를 70중량% 포함하는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 수분산액 0.1~40중량%와,
    iv)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10중량% 포함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0.1~1.0중량%와,
    v) pH조절제 0.5~10중량% 및
    ⅵ)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응형 수용성 우레탄 수지의 pH를 조절하기 위한 pH조절제는 탄산수소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필름의 면은 전 광선투과율이 90% 이상, 헤이즈 값이 0.4~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과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의 접착성은 65℃, 95% 습도 하에서 96시간 내습성 테스트 후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축 연신 후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5 ~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1020080078015A 2008-08-08 2008-08-08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10102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015A KR101021328B1 (ko) 2008-08-08 2008-08-08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015A KR101021328B1 (ko) 2008-08-08 2008-08-08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135A true KR20100019135A (ko) 2010-02-18
KR101021328B1 KR101021328B1 (ko) 2011-03-14

Family

ID=4208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015A KR101021328B1 (ko) 2008-08-08 2008-08-08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3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1340A1 (en) * 2012-09-28 2014-04-03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 laminated film
KR101428856B1 (ko) * 2012-09-24 2014-08-1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581B1 (ko) * 2009-01-19 2012-03-1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용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845B1 (ko) * 1998-03-18 2002-07-18 장용균 사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439625B1 (ko) * 1999-11-05 2004-07-1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785249B1 (ko) * 2004-11-29 2007-12-13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 롤
KR100742428B1 (ko) 2005-11-11 2007-07-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용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856B1 (ko) * 2012-09-24 2014-08-1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14051340A1 (en) * 2012-09-28 2014-04-03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 laminated film
US9260576B2 (en) 2012-09-28 2016-02-16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 laminated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328B1 (ko) 201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0229B2 (en) Silicate-containing antifog coatings
KR20110038680A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100382B1 (ko) 향상된 휘도를 가진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KR101171827B1 (ko)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폴리에스테르계 이접착 필름
CN102514275A (zh) 一种光学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CN106338782A (zh) 水分散组合物以及使用该水分散组合物的光学膜
EP2739475B1 (en) Optically clear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with anti-iridescent primer layer
KR20070050570A (ko) 광학용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4940A (ko) 자외선 차단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 필름
KR101243051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213750B2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380146B1 (ko) 코팅된 성형품
JP5994469B2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021328B1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101080263B1 (ko) 이접착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프라이머층을 갖는 폴리에스터계 적층필름
KR100959000B1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KR100887151B1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024271B2 (ja) 偏光子保護用アクリル系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619351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20100050673A (ko) 고분자 기재
JP6142481B2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133645B1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686040B1 (ko) 이접착성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
KR20100081568A (ko) 표면경도 향상 기능을 가진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20080064278A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