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040B1 - 이접착성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 - Google Patents

이접착성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040B1
KR101686040B1 KR1020100000621A KR20100000621A KR101686040B1 KR 101686040 B1 KR101686040 B1 KR 101686040B1 KR 1020100000621 A KR1020100000621 A KR 1020100000621A KR 20100000621 A KR20100000621 A KR 20100000621A KR 101686040 B1 KR101686040 B1 KR 10168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imer layer
base film
fil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414A (ko
Inventor
김지혁
김황용
김진호
이문복
서정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0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3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3Presence of polyester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3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primer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접착성이 개선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의 적어도 일면에,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에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함유된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구조이며, 고온 건조시, 상기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 중, 끓는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물이 우선 증발하여 미세 상분리(phase separation)를 유도함으로써, 코팅층의 표면조도가 상승하여 기재필름층과의 이접착성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과 다른 소재가 적용되는 프리즘 가공층, 렌즈 가공층, 반사방지층, 하드 코팅층 등의 후가공 시에도, 상기 후가공층과의 이접착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LCD용 프리즘 시트 기재필름, 백라이트용 기재필름, 하드 코팅가공용 기재필름, 반사방지필름용 기재필름, CRT용 보호필름 등의 광학용 필름부재로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이접착성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READILY BONDABLE POLYMER SUBSTRATE AND FILM FOR OPTICAL U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접착성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되는 구조의 고분자 기재에 미세상분리를 유도함으로써, 코팅층의 표면조도가 상승하여 기재필름층과의 이접착성이 개선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치수 안정성, 두께 균일성 및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용 재료로서 그 이용범위가 매우 넓은 소재이다.
대표적인 일례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에, 상기 소재와 동질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한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와 동질의 소재이므로 접착성은 우수하나, 내열, 내습, 부착력 등이 저하된다. 또한, 다른 소재의 기재가 적용되는 프리즘 가공층, 렌즈 가공층, 반사방지층, 하드 코팅층 등의 후가공 시에는 이접착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최근에 상기의 문제점인 내열, 내습성을 개선하고, 후가공 시 사용하는 각종 UV 경화수지와 이접착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크릴 또는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수지를 추가로 도입하고 있으며, 상기 성능개선뿐만 아니라, 굴절율을 높여 휘도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에 따라, 아크릴 또는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아크릴 또는 폴리우레탄계 바인더의 경우, 내열성과 후가공 시 UV 경화수지와의 이접착력이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더라도, 부착력 검사시, 기재층인 각종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와의 접착성이 부족하여,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에서 상기 아크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 상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고분자 기재로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미세상분리에 의해 이접착성이 개선된 광학용 고분자 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학용 필름부재로 적용가능한 상기 고분자 기재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 및 상기 기재필름층의 적어도 일면에,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에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함유된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로 인한 층간 미세상분리에 의해 기재필름층과의 이접착성이 개선된 고분자 기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는 끓는점 100℃ 물과 끓는점이 150∼250℃의 글라이콜류 용매가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글라이콜류 용매로는 에틸렌글라이콜, 디에틸렌글라이콜 및 디메틸렌글라이콜디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이때, 전체 수분산계 혼합용매에 대하여, 글라이콜류 용매가 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에서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1∼5.0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에 있어서,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은 고형분함량 대비,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수지 10∼25중량%,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10∼20중량%, 멜라민 또는 에폭시계 경화제 1.0∼10중량%, 비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0∼10중량%, 평균입경 10∼300㎚의 실리카 나노입자 0.1∼5중량% 및 전체조성함량100중량%에서 상기 조성함량이 제외된 잔량의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층 면의 전광선투과율이 85%이상, 헤이즈 값이 0.3∼2%의 광학특성을 가진다.
또한, 65℃ 온도 및 95% 습도 조건하에서 96시간 내습성 테스트 후 상기 기재필름층과 상기 프라이머층간의 접착성이 95 내지 100%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프라이머층과 기재필름층 간의 표면조도가 2 내지 10㎛로서, 고온 건조 시, 프라이머층의 미세상분리에 의해 기재층과의 이접착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가 기재필름층과 프라이머층간의 접착성은 우수하고, 고온 건조시, 상기 프라이머층 내 함유된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에 의해 미세상분리가 유도되어 이접착성이 향상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고분자 기재가 LCD용 프리즘 시트 기재필름, 백라이트용 기재필름, 하드 코팅가공용 기재필름, 반사방지필름용 기재필름 및 CRT용 보호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광학용 필름부재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되는 구조의 고분자 기재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에 끓는점이 상이한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가 함유되고, 고온 건조시, 끓는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물이 우선 증발하여 미세상분리를 유도함으로써, 코팅층의 표면조도가 상승하여 기재필름층과의 이접착성이 개선된 고분자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과 다른 소재가 적용되는 프리즘 가공층, 렌즈 가공층, 반사방지층, 하드 코팅층 등의 후가공 시, 상기 후가공층과의 이접착성이 향상되므로,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세상분리가 유도된 고분자 기재의 표면사진이고,
도 2는 미세상분리가 유도되지 않은 종래의 고분자 기재의 표면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의 적어도 일면에,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에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함유된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로 인한 미세상분리에 의해 기재필름층과의 이접착성이 개선된 고분자 기재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고분자 기재의 경우, 기재필름층에 적층되는 프라이머층이 아크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수지 및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적층하는데, 상기 기재필름층과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각 물질간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층간의 상하부 구조가 달라지면서, 기재필름층과 프라이머층간의 이접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에, 수계 용매와 함께 상기 용매와 끓는점과 용해도 차이를 가지는 다른 용매를 이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용매로 인하여 미세상분리를 극대화하여 기재필름층간의 이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에 있어서, 프라이머층은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에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함유된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을 기재필름층상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은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에, 고형분함량 대비,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수지 10∼25중량%,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10∼20중량%, 멜라민 또는 에폭시계 경화제 1.0∼10중량%, 비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0∼10중량% 및 평균입경 10∼300㎚의 실리카 나노입자 0.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이 개선된 고분자 기재에서, 프라이머층의 미세상분리를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분산계 혼합용매는 끓는점 100℃ 물; 및 상기 물보다 끓는점이 높은 용매;를 첨가하는 것이다. 이로서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를 고온 건조할 때, 상대적으로 끓는점이 낮은 물이 우선 증발되도록 하여 코팅층의 미세상분리를 유도하며, 이로 인해 표면조도가 상승되어 후가공시의 이접착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때, 물보다 끓는점이 높은 용매로는 끓는점이 150∼250℃의 글라이콜류 용매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210℃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글라이콜류 용매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에틸렌글라이콜, 디에틸렌글라이콜 및 디메틸렌글라이콜디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전체 수분산계 혼합용매에 대하여, 글라이콜류 용매는 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글라이콜류 용매의 함량이 1 중량%미만이면, 프라이머층의 미세상분리 효과가 미미하여 접착력 및 내습부착력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20중량%를 초과하면, 기재필름층상에 프라이머층이 충분히 코팅되지 않아 코팅성이 불량해지고, 층간 접착력이 오히려 저하된다.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에서,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이 1축 연신 후, 기재필름상에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을 도포하여 형성한다. 이때,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1∼5.00㎛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3.00㎛이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코팅 두께가 0.01㎛보다 얇으면 투명성은 양호해지나 후가공시에 접착력이 떨어지며, 5㎛보다 두꺼울 경우 접착특성은 우수하나 투명성 및 코팅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의 조성 중에서 계면활성제는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층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고 코팅액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수용성 코팅액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공지의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멜라민, 또는 에폭시계 등의 경화제는 내구성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공지된 화합물군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은 코팅성 및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코팅액에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러한 첨가제로는 유기입자, 무기입자,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고분자 프라이머층에 수지와 굴절률 차이가 비교적 적은 무기 입자를 함유시켜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입자의 평균입경이 300㎚를 초과하면, 헤이즈에 지장을 주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카 무기입자의 크기는 10∼300㎚ 범위의 입자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에서,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층 면의 전광선투과율이 85%이상이고, 헤이즈 값이 0.3∼2%, 더욱 바람직하게는 0.4∼1.5%인 광학적 특성을 충족한다.
또한, 기재필름층과 상기 프라이머층간의 접착성이 65℃ 온도 및 95% 습도 조건하에서 96시간 내습성 테스트 후에도 95 내지 100%로 유지되는 우수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표 1].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프라이머층에 함유된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에 의해 미세상분리가 유도되어 고온 건조 시, 프라이머층과 기재필름층 간의 표면조도가 2 내지 10㎛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고분자 기재의 표면을 관찰한 사진으로서, 끓는점이 150∼250℃의 글라이콜류 용매를 첨가하지 않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예 2의 고분자 기재[도 2]대비, 표면거칠기를 확인할 수 있는 바, 기재필름층과의 이접착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기재필름층간의 이접착성을 개선한다.
또한, 산업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와 프라이머층 간의 이접착성을 현저히 개선하고,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과 다른 소재가 적용되는 프리즘 가공층, 렌즈 가공층, 반사방지층, 하드 코팅층 등의 후가공 시, (수직) 휘도 값이 기존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보이는 동시에, 상기 후가공층과의 이접착성이 향상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고온, 고습의 조건에서도 접착력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각종 광학용 부재 전반에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고분자 기재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가 LCD용 프리즘 시트 기재필름, 백라이트용 기재필름, 하드 코팅가공용 기재필름, 반사방지필름용 기재필름 및 CRT용 보호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에서 선택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의 두께는 50∼300㎛가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분지된 글리콜 성분을 구성성분으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분지된 글리콜 성분의 일례로는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메틸-2-부틸-1,3-프로판디올, 2-메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2-메틸-2-이소프로필-1,3-프로판디올, 2-메틸-2-n-헥실-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에틸-2-n-부틸-1,3-프로판디올, 2-에틸-2-n-헥실-1,3-프로판디올, 2,2-디-n-부틸-1,3-프로판디올, 2-n-부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및 2,2-디-n-헥실-1,3-프로판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지된 글리콜 성분은 전체 글리콜 성분 중에 10몰% 이상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분지된 글리콜 성분은 전체 글리콜 성분 중에 80몰% 이하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0몰% 미만에서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화합물 이외의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이 가장 바람직하며,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소량 사용할 수도 있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구성성분으로서 함유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이 가장 바람직하며, 디페닐카르복실산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방향족디카르복실산을 소량 첨가하여 공중합시킬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외에, 수분산성을 부여시키기 위해서, 5-술포이소프탈산을 1∼10몰%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례로는 술포테레프탈산, 5-술포이소프탈산, 4-술포나프탈렌이소프탈산-2,7-디카르복실산 및 5-(4-술포페녹시) 이소프탈산 및 그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70중량%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3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50.0중량%, 물 70중량%에 우레탄계 바인더 수지 3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50.0중량%, 물 70중량%에 내습성 향상을 위한 멜라민계 경화제 3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5중량%를 에틸렌글라이콜 1중량% 및 물 62.9중량%의 혼합용매에 넣고, 물 90중량%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11중량% 및 물 30 중량%에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 7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0.5중량%가 함유된 프라이머층 제조용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도포액을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에 도포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용매 조성에 대하여, 에틸렌글라이콜 5중량% 및 물 58.9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프라이머층 제조용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도포액을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에 도포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용매 조성에 대하여, 에틸렌글라이콜 10중량% 및 물 53.9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프라이머층 제조용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도포액을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에 도포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용매 조성에 대하여, 에틸렌글라이콜 20중량% 및 물 43.9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프라이머층 제조용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도포액을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에 도포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혼합용매 조성에 대하여, 물 63.9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프라이머층 제조용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도포액을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에 도포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고분자 기재에, PET 기재와 프라이머층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20 와이어바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이 접착되어 있는 표면에 아크릴계 UV 경화수지를 도포시키고, 이후, 절단기로 프라이머층이 코팅된 필름에 절단선을 만들어서, 10×10의 매트릭스에 2㎜×2㎜ 정사각형들을 배치하였다. 절단선이 있는 필름에 셀로판 테이프(No. 405, NICHIBAN제; 넓이: 24㎜)를 붙이고, 벨벳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문질러서 필름에 강력하게 부착시켰다. 그리고 나서, 수직으로 테이프를 떼어낸다. 접착층에 남아있는 프라이머층의 면적을 시각적으로 관찰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접착성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10000516287-pat00001
또한, 65℃ 온도 및 90%습도 조건하에서 96시간 후의 내습성 평가를 위한 접착력 테스트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프라이머층인 코팅액과 기재 사이의 코팅성을 측정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0∼#4 와이어바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을 기재에 도포하여 기재의 전 표면에 프라이머층이 코팅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육안으로 아일랜드처럼 코팅액이 묻지 않은 부분들이 2개 이하로 존재할 때 코팅성이 우수하다라고 평가하였다.
<실험예 3>
상기 188nm의 PET 기재에 상기에서 제조된 도포액으로 도포하여 열경화시킨 후, 헤이즈 측정기[NIPPON DENSHOKU사]를 이용하여 헤이즈와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4>
상기 188nm의 PET 기재에 상기에서 제조된 도포액으로 도포하여 열경화시킨 후, 3차원 표면형성 측정기[VEECO사에서 제조된 WYKO, NT1100 OPTICAL PROFILING SYSTEM]를 이용하여 중심선평균조도(Ra)와 10점평균조도(Rz)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5>
상기 실험예 1 내지 3와 비교예 1내지 2에 따른 고분자 기재에 대한 물성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00516287-pat00002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에 적층되는 프라이머층 제조 시, 도포액에 용해도가 높고 제조공정상의 고온건조 조건과 유사한 끓는점을 가지는 글라이콜류 용매를 첨가할 경우, 기재층과 프라이머층은 우수한 코팅성 및 접착성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글라이콜류 용매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대비[도 2], 글라이콜류 용매를 첨가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글라이콜류 용매 함량에 비례하여 표면조도가 상승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도 1].
따라서,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고온 건조 시, 프라이머층에 함유된 물의 우선 증발에 의하여 표면상에 미세상분리 효과를 유도함으로써, 표면조도를 상승시킴에 따라, 기재층간의 이접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프리즘 렌즈가공, 하드코팅가공, 반사방지(AR) 가공, 확산 등의 후가공시, 휘도 상승효과가 우수하고, 상기 후가공층과의 이접착성이 개선되므로 전반적인 광학용 필름부재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에 적층된 프라이머층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며, 상기 프라이머층 제조시,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를 사용하되, 프라이머층에 함유된 물의 우선 증발에 의하여 표면상에 미세상분리 효과를 유도함으로써, 표면조도를 상승시킴에 따라, 기재층간의 이접착성을 개선시켰다. 이에,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의 우수한 광학적 특징을 유지하면서 기재필름과의 이접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종래 고분자 기재의 문제를 해소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기재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과 다른 소재가 적용되는 프리즘 가공층, 렌즈 가공층, 반사방지층, 하드 코팅층 등의 후가공 시, 후가공층간의 이접착성이 향상되므로, LCD용 프리즘 시트 기재필름, 백라이트용 기재필름, 하드 코팅가공용 기재필름, 반사방지필름용 기재필름, CRT용 보호필름등의 광학용 필름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층의 적어도 일면에,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에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함유된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구조이며,
    상기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가 끓는점 100℃ 물과 끓는점이 150∼250℃의 글라이콜류 용매가 혼합되고, 상기 글라이콜류 용매가 전체 수분산계 혼합용매에 대하여, 1∼20중량%로 함유되어, 상기 2종이상의 수분산계 혼합용매로 인한 미세상분리에 의해 기재필름층과의 이접착성이 개선된 고분자 기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이콜류 용매가 에틸렌글라이콜, 디에틸렌글라이콜 및 디메틸렌글라이콜디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기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0.01∼5.00㎛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기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 제조용액이 고형분함량 대비,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수지 10∼25중량%,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10∼20중량%,
    멜라민 또는 에폭시계 경화제 1.0∼10중량%,
    비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0∼10중량%,
    평균입경 10∼300㎚의 실리카 나노입자 0.1∼5중량% 및
    프라이머층 제조용액 전체조성함량 100중량%이 되도록 하는 잔량의 2종 이상의 혼합용매를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기재.
  7. 제1항에 있어서,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층 면의 전광선투과율이 85%이상, 헤이즈 값이 0.3∼2%이하의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기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층과 상기 프라이머층간의 접착성이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며, 65℃ 온도 및 95% 습도 조건하에서 96시간 내습성 테스트 후 접착성이 95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기재.
    수학식 1
    Figure 112010000516287-pat00003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상분리에 의해 고온 건조 시, 프라이머층과 기재필름층 간의 표면조도가 2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분자 기재.
  10. 제1, 4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고분자 기재가
    LCD용 프리즘 시트 기재필름, 백라이트용 기재필름, 하드 코팅가공용 기재필름, 반사방지필름용 기재필름 및 CRT용 보호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적용된 광학용 필름부재.
KR1020100000621A 2010-01-05 2010-01-05 이접착성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 KR10168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621A KR101686040B1 (ko) 2010-01-05 2010-01-05 이접착성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621A KR101686040B1 (ko) 2010-01-05 2010-01-05 이접착성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414A KR20110080414A (ko) 2011-07-13
KR101686040B1 true KR101686040B1 (ko) 2016-12-14

Family

ID=4491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621A KR101686040B1 (ko) 2010-01-05 2010-01-05 이접착성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346B1 (ko) 2013-04-30 2014-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스테르계 프라이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056513B1 (ko) 2016-08-17 2019-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 및 내구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428B1 (ko) * 2005-11-11 2007-07-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용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7151B1 (ko) * 2007-05-02 2009-03-0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938745B1 (ko) * 2007-11-28 2010-01-26 제일모직주식회사 고비점 용매 및 저비점 용매를 포함하는 반도체 다이접착제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접착필름
KR100959000B1 (ko) * 2007-12-10 2010-05-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414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382B1 (ko) 향상된 휘도를 가진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KR100715602B1 (ko) 광학용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광학용 적층폴리에스테르 필름
JP4547644B1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2260340B2 (en) Primer layer for multilayer optical film
KR102087006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기재용 적층체
WO2003049943A1 (fr) Film en polyester adhesif pour utilisation optique
JP5005927B2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366426B2 (ja) 偏光板用組成物、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子、偏光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化合物
JP6383608B2 (ja) 偏光板用組成物、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子、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20069690A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414380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液晶表示装置
KR100964707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9300658A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080263B1 (ko) 이접착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프라이머층을 갖는 폴리에스터계 적층필름
KR20220013350A (ko) 지문 인증 센서 부착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필름, 표면 보호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887151B1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686040B1 (ko) 이접착성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부재
KR20110051801A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표면 레벨링성이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JP5540578B2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959000B1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JP6142481B2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021328B1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이접착필름
KR101621317B1 (ko) 밀착력이 우수한 고기능성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JP4097534B2 (ja) 透明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70317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