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401A -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401A
KR20100018401A KR1020080077143A KR20080077143A KR20100018401A KR 20100018401 A KR20100018401 A KR 20100018401A KR 1020080077143 A KR1020080077143 A KR 1020080077143A KR 20080077143 A KR20080077143 A KR 20080077143A KR 20100018401 A KR20100018401 A KR 20100018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bar link
stud
ball join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8401A/ko
Publication of KR2010001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66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 F16C11/0671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allowing operative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flexing of the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 F16J15/5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by means of sealing bellows or diaphrag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는,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로워암을 실질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양단부에 더스트 커버가 구성되고, 스터드 몸체의 하부에 스터드 볼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스터드 볼이 상기 더스트 커버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터드 몸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그 스터드 몸체의 상단부가 다각 형상의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스펜션, 스태빌라이저 바, 로워암, 링크, 볼 조인트, 스터드, 볼, 헤드부, 나사 체결홈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 {BALL JOINT FOR STABILIZER BAR LINK}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로워암을 연결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양단부에 구성되는 볼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스태빌라이저 바는 선회 또는 거친 노면의 주행시 차체의 롤링 모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휠이 동시에 상하 운동을 할 때에는 작용하지 않으나, 좌우 휠이 서로 다르게 상하 운동을 할 때에는 스태빌라이저 바 양단의 역 위상으로 인하여 비틀림이 생기고 비틀림에 의한 복원력으로 차체의 롤링 모션을 억제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101)는 도 1에서와 같이 이의 양단이 좌우 측의 로워암(102)에 연결되고 그 중간 부분은 서브 프레임(103)에 지지되어 있어서, 좌우의 바퀴(미도시)가 동시에 상하로 움직일 때에는 작용하지 않으나, 그 바퀴가 상하 운동을 서로 반대로 할 때는 스태빌라이저 바(101)가 비틀리면서 이때 발생하는 힘에 의해 차체가 기우는 것을 감소시켜 차량의 평형을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태빌라이저 바(101)와 로워암(102)의 연결은 스태빌라이 저 바 링크(106)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양단에 구성된 볼 조인트(200)를 통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01)와 로워암(102)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볼 조인트(200)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6)의 양단에 형성되는 더스트 커버(110)가 구비되고, 스터드(108)의 스터드 볼(109)이 더스트 커버(110)의 내부로 삽입된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스터드(108)는 로워암(102)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1)에 체결되는 바, 이러한 체결 구조는 장착 브라켓(1)에 형성된 장착 구멍(2)으로 스터드(108)를 끼우고, 스터드(108)와 스터드 볼(109) 사이의 육각부(131)를 특수 공구를 이용하여 잡은 상태로, 상기 장착 구멍(2)을 통과한 스터드(108)의 선단에 너트(N)를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특수 공구를 통해 육각부(31)를 잡은 상태에서 너트(N)를 스터드(108)에 체결하는 경우, 그 특수 공구의 간섭으로 인해 더스트 커버(110)가 손상되거나 이로 인해 O-링(미도시) 등과 같은 부품이 이탈되고, 토크 작업 불량으로 인해 더스트 커버(110)가 꼬이게 되며, 특수 공구의 사용으로 인해 투자비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다른 예로서, 상기한 육각부를 스터드의 상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볼 조인트가 개발된 바 있으나, 스터드의 체결 작업시 언급한 바 있는 특수 공구를 이용하여 그 육각부를 잡아줘야 하므로 특수 공구를 사용하는데 따른 투자비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특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더스트 커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 작업시 스터드의 회전을 미연에 방지하며, 정확한 토크 작업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는,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로워암을 실질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양단부에 더스트 커버가 구성되고, 스터드 몸체의 하부에 스터드 볼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스터드 볼이 상기 더스트 커버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터드 몸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그 스터드 몸체의 상단부가 다각 형상의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로워암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의 장착 구멍과 형태의 결합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몸체는 상기 나사 체결홈으로 체결되는 체결 볼트를 통해 상기 장착 브라켓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에 의하면, 스터드 몸체의 헤드부가 장착 브라켓에 대하여 스토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체결 볼트의 체결시 스터드 몸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같이 토크 작업 불량으로 인해 더스트 커버가 꼬이게 되는 등의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 체결 방식의 종래 기술과 달리 스터드 몸체가 체결 볼트를 통해 장착 브라켓에 체결되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특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더스트 커버가 손상되거나 부품이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수 공구의 사용에 따른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 용 볼 조인트(100)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 및 외력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에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서스펜션은 차량에 채용되는 공지 기술의 현가장치로서 이루어지므로 도면에서 별도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또한 그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100)는 스태빌라이저 바(101: 이하 도 1 참조, 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스탭 바" 라고도 한다)와 로워암(102: 이하 도 1 참조)를 연결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 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로드 바아" 또는 "스탭 링크" 라고도 한다)의 양단부에 각각 구성된다.
상기 볼 조인트(100)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의 양단부에 대하여 동일한 구성으로서 각각 장착되는데, 이하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볼 조인트(100)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100)는 종래 기술과 달리 특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체결 작업시 스터드의 회전을 미연에 방지하고, 정확한 토크 작업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100)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더스트 커버(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볼 조인트(100)는 로워암(102)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1) 에 체결되는 스터드 몸체(31)와, 그 스터드 몸체(31)의 하부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스터드 볼(41)을 구비하고, 상기 스터드 볼(31)이 더스트 커버(21)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드 몸체(31)에는 그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 볼트(B)가 체결 가능한 나사 체결홈(33)이 길게 형성되며, 그 스터드 몸체(31)의 상단부가 다각 형상의 헤드부(35)로서 이루어지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부(35)는 도면에서와 같이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여기서, 헤드부(35)는 로워암(102)을 장착하기 위한 상기 장착 브라켓(1)의 장착 구멍(2)과 형태의 결합을 이루게 되는 바, 상기에서와 같이 그 헤드부(35)의 형상이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장착 구멍(2) 또한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100)에 의하면, 우선 스터드 몸체(31)의 헤드부(35)는 장착 브라켓(1)의 장착 구멍(2)에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스터드 몸체(31)의 나사 체결홈(33)으로 체결 볼트(B)를 체결하게 되면, 그 스터드 몸체(31)는 장착 브라켓(1)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헤드부(35)는 장착 브라켓(1)에 대하여 스토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체결 볼트(B)의 체결시 스터드 몸체(3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같이 체결 작업시 스터드의 회전에 따른 토크 작업 불량으로 인해 더스트 커버가 꼬이게 되는 등의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 체결 방식의 종래 기술과 달리 스터드 몸체(31)가 체결 볼트(B)를 통해 장착 브라켓(1)에 체결되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특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더스트 커버(21)가 손상되거나 부품이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수 공구의 사용에 따른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Claims (3)

  1.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로워암을 실질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에 구성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양단부에 더스트 커버가 구성되고, 스터드 몸체의 하부에 스터드 볼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스터드 볼이 상기 더스트 커버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터드 몸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그 스터드 몸체의 상단부가 다각 형상의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로워암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의 장착 구멍과 형태의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몸체는 상기 나사 체결홈으로 체결되는 체결 볼트를 통해 상기 장착 브라켓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
KR1020080077143A 2008-08-06 2008-08-06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 KR20100018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143A KR20100018401A (ko) 2008-08-06 2008-08-06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143A KR20100018401A (ko) 2008-08-06 2008-08-06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401A true KR20100018401A (ko) 2010-02-17

Family

ID=4208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143A KR20100018401A (ko) 2008-08-06 2008-08-06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84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1501A (zh) * 2016-08-25 2019-04-16 日本发条株式会社 稳定连杆及稳定连杆的制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1501A (zh) * 2016-08-25 2019-04-16 日本发条株式会社 稳定连杆及稳定连杆的制造方法
CN109641501B (zh) * 2016-08-25 2022-04-05 日本发条株式会社 稳定连杆及稳定连杆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1187A (en) Wheel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KR20200072990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100018401A (ko)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볼 조인트
KR20100056710A (ko)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체결유닛
JP5800236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組付治具
JP2001130232A (ja) 操舵輪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5193002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締結構造
KR20200008405A (ko) 캠버 특성이 개선된 맥퍼슨 서스펜션
KR100498698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태빌라이저바 장착구조
KR20140014631A (ko) 볼 조인트
KR101263051B1 (ko) 차량의 위시본형 현가장치
KR100527724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볼 조인트 어셈블리
KR10098097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41286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체결구조
KR0124626Y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취부구조
KR20140044683A (ko)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KR20050018117A (ko) 볼조인트 일체형 스태빌라이저 바 장착구조
KR100737473B1 (ko) 자동차 스테빌라이저 바의 컨트롤 링크 연결구조
KR20220100176A (ko) 피봇 너클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
KR20090060818A (ko)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바아 장착구조
KR100452288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콘트롤아암
KR20140077040A (ko)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KR20080023435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KR20210081726A (ko) 자동차의 프런트 샤시 모듈 유동방지용 지그
KR100699483B1 (ko) 차량용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