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040A -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 Google Patents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040A
KR20140077040A KR1020120145736A KR20120145736A KR20140077040A KR 20140077040 A KR20140077040 A KR 20140077040A KR 1020120145736 A KR1020120145736 A KR 1020120145736A KR 20120145736 A KR20120145736 A KR 20120145736A KR 20140077040 A KR20140077040 A KR 20140077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arm
bush
knuckle
ass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인
박찬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7040A/ko
Publication of KR2014007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8Multilink suspensions, e.g. elastokinematic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은 타이어가 장착된 휠과 연결되는 캐리어가 장착되는 너클과, 상기 너클의 일측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장착되는 트레일링 암과, 상기 너클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과, 상기 트레일링 암에 대응하여 너클의 하부 타측에 장착되는 어시스트 암과, 상기 트레일링 암의 후방에서 상기 너클과 차체에 연결되는 쇽 업소버를 포함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에서 차체와 연결되는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의 사이에서 상기 너클의 휠 센터에 배치되는 스프링 시트; 상기 스프링 시트에 대응하여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에 각각 장착되는 부시; 및 상기 스프링 시트와 각 부시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스프링 시트의 일측과 타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SPRING MOUNTING UNIT FOR MULTI-LINK TYPE SUSPENSION SYSTEM}
본 발명은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휠 센터에 대응하여 어시스트 암과 로어 암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하여 R&H(Ride & 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키고, 로어 암에 가해지는 하중을 저감하는 동시에,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범프와 리바운드 시, 스프링을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유압 쇽 업소버 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며,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 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 시, 차량의 조종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서스펜션 지오메트리에 의한 휠의 자세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데, 휠의 자세는 차체와의 상대 운동에 따라 크게 변하게 되며, 변하는 휠의 자세에 따라 차량의 전체적인 성능을 크게 좌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링크를 사용하여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 및 진동과, 차체의 진동을 이상적인 기구학적 운동으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멀티 링크타입(Multi-Link Type) 현가장치가 개발되어 양산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링크 타입 현가장치(100)는 차체의 프레임(미도시)에 타이어(101)와 휠(미도시)을 장착하기 위한 캐리어(103)가 너클(105)을 통해 장착되고, 상기 너클(105)에는 트레일링 암(107), 로어 암(109), 어퍼 암(111), 및 어시스트 암(113)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트레일링 암(107)의 전, 후단에는 차체의 프레임(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부시유닛(115)과 쇽 업소버(117)가 각각 구성되고, 그 후방 일측에는 상기 로어 암(109)이 구성되어 차체와의 사이에 스프링(119)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일링 암(107)은 후단에 상기 캐리어(103)가 장착되는 너클(105)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멀티 링크 타입 현가장치에서 상기 스프링(119)은 상기 로어 암(109)에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안착부(121)를 통하여 장착되어 차체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119)은 별도의 장착유닛이 없이 상기 로어 암(109)을 통해 장착되는데, 상기 로어 암(109)이 휠 센터로부터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너클(105)에 연결됨에 따라, 하중 분배 불균형이 발생되고, 상기 스프링(119)의 위치 설정 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로어 암(109)이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범프와 리바운드에 의해 차량의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스프링(119)이 안착된 스프링 안착부(121)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여 스프링(119)의 진동 흡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휠 센터에 대응하여 어시스트 암과 로어 암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하여 R&H(Ride & 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키고, 로어 암에 가해지는 하중을 저감하는 동시에,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범프와 리바운드 시, 스프링을 수평으로 유지하여 스프링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은 타이어가 장착된 휠과 연결되는 캐리어가 장착되는 너클과, 상기 너클의 일측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장착되는 트레일링 암과, 상기 너클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과, 상기 트레일링 암에 대응하여 너클의 하부 타측에 장착되는 어시스트 암과, 상기 트레일링 암의 후방에서 상기 너클과 차체에 연결되는 쇽 업소버를 포함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에서 차체와 연결되는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시트; 상기 스프링 시트에 대응하여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에 각각 장착되는 부시; 및 상기 스프링 시트와 각 부시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스프링 시트의 일측과 타측 외주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제2 장착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단은 상기 로어 암에 장착된 상기 부시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부시에 회전 가능하게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 장착단은 상기 어시스트 암에 장착된 상기 부시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장착단은 상기 어시스트 암에 장착된 상기 부시와 연결로드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시는 축 방향 유격을 갖는 필로우 볼 부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시스트 암은 일측에 상기 부시가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시트는 원형의 스프링에 대응하여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의 사이에서 상기 너클의 휠 센터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차체에 타이어가 장착된 휠을 장착하기 위한 캐리어가 너클을 통해 장착되고, 상기 너클에는 트레일링 암, 로어 암, 어퍼 암, 및 어시스트 암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에서, 차체와 연결되는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에 대응하여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프링 시트; 상기 스프링 시트에 대응하여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에 각각 장착되는 부시; 상기 로어 암에 장착된 상기 부시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장착단; 및 상기 어시스트 암에 장착된 상기 부시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외주면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시에 연결로드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장착단을 포함한다.
상기 부시는 축 방향 유격을 갖는 필로우 볼 부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시스트 암은 일측에 상기 부시가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의 사이에서 상기 너클의 휠 센터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에 의하면, 휠 센터에 대응하여 어시스트 암과 로어 암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하여 R&H(Ride & 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키고, 로어 암에 가해지는 하중을 저감하여 로어 암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범프와 리바운드 시, 스프링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으로 유지함으로써,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력을 원활히 흡수하여 스프링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의 작동을 종래 기술과 비교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의 작동을 종래 기술과 비교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20)은 휠 센터에 대응하여 로어 암(11)과 어시스트 암(13) 사이에 스프링(15)을 배치하여 R&H(Ride & 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키고, 로어 암(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저감하는 동시에,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범프와 리바운드 시, 스프링(15)을 수평으로 유지하여 스프링(15)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20)은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1)에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1)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타이어(미도시)가 장착된 휠(미도시)과 연결되는 캐리어(3)가 장착되는 너클(5)을 포함한다.
상기 너클(5)은 일측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장착되는 트레일링 암(7)과, 상부와 하부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어퍼 암(9), 및 로어 암(11)과, 상기 트레일링 암(7)에 대응하여 너클(5)의 하부 타측에 장착되는 어시스트 암(13)이 구비되어 차체 프레임(2)과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일링 암(7)의 후방에는 상기 너클(5)과 차체 프레임(2)에 연결되는 쇽 업소버(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유닛(20)은,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2)과 연결되는 스프링(15)을 장착하기 위하여 스프링 시트(21), 부시(23), 및 제1, 제2 장착단(25, 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스프링 시트(21)는 상기 로어 암(11)과 어시스트 암(13)의 사이에서 상기 너클의(5) 휠 센터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시트(21)는 원형의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스프링(15)에 대응하여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시(23)는 상기 스프링 시트(21)에 대응하여 상기 로어 암(11)과 어시스트 암(13)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부시(23)는 축 방향 유격을 갖음으로써, 횡강성을 유지하며 회전 마찰을 저감시키는 필로우 볼 부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필로우 볼 부시는 회전방향에 대한 저항이 작고 회전방향 이외의 힘에 대해 적절한 횡강성을 유지하는 부시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이하 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시스트 암(13)은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상기 부시(23)가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시(23)는 상기 어시스트 암(13)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 시트(2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어시스트 암(13)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스프링 시트(21)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어시스트 암(13)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장착단(25, 27)은 상기 스프링 시트(21)와 각 부시(23)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스프링 시트(21)의 일측과 타측 외주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착단(25)은 상기 로어 암(11)에 장착된 상기 부시(23)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부시(23)에 회전 가능하게 직접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장착단(27)은 상기 어시스트 암(13)에 장착된 상기 부시(23)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2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장착단(27)은 상기 어시스트 암(13)에 장착된 상기 부시(23)와 연결로드(29)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착단(25)과 상기 연결로드(29)는 상기 부시(23)에 장착 시, 볼팅 등을 통하여 상기 부시(23)의 인너 파이프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프링 장착유닛(20)은 상기 로어 암(11)과 어시스트 암(13)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 시트(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차량의 횡방향으로 입력되는 하중 및 충격력을 횡강성을 유지하며 회전 마찰을 저감시키는 부시(23)를 통해 흡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스프링(15)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20)의 작동 및 작용을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의 작동을 종래 기술과 비교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에서 로어 암에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안착부(121)를 통하여 스프링이 장착될 경우, 차량의 주행 중에 범프 또는 리바운드가 발생하여 상기 로어 암(109)의 일단이 차체 프레임에 연결된 연결 포인트(P)를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된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 안착부(121)는 로어 암(109)과 함께 회전됨에 따라 스프링이 지지되는 내측면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여 스프링(119)이 회전방향으로 휘어진 상태가 됨으로써, 스프링(119)의 효율이 저하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장착유닛(20)이 적용된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에서는 스프링(15)이 스프링 시트(21)와 부시(23)를 통하여 로어 암(11)에 장착됨으로써, 차량의 주행 중에 범프 또는 리바운드가 발생하여 상기 로어 암(11)의 일단이 차체 프레임(2)에 연결된 연결 포인트(P)를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되어도 상기 스프링 시트(21)가 수평 상태를 균등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15)은 차체와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스프링(15)의 효율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20)에 의하면, 휠 센터에 대응하여 로어 암(11)과 어시스트 암(13) 사이에 스프링(15)을 배치하여 R&H(Ride & 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키고, 로어 암(13)에 가해지는 하중을 저감하여 로어 암(1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범프와 리바운드 시, 스프링(13)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으로 유지함으로써,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력을 원활히 흡수하여 스프링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 2 : 차체 프레임
3 : 캐리어 5 : 너클
7 : 트레일링 암 9 : 어퍼 암
11 : 로어 암 13 : 어시스트 암
15 : 스프링 20 : 스프링 장착유닛
21 : 스프링 시트 23 : 부시
25 : 제1 장착단 27 : 제2 장착단
29 : 연결로드

Claims (11)

  1. 타이어가 장착된 휠과 연결되는 캐리어가 장착되는 너클과, 상기 너클의 일측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장착되는 트레일링 암과, 상기 너클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어퍼 암, 및 로어 암과, 상기 트레일링 암에 대응하여 너클의 하부 타측에 장착되는 어시스트 암과, 상기 트레일링 암의 후방에서 상기 너클과 차체에 연결되는 쇽 업소버를 포함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에서 차체와 연결되는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시트;
    상기 스프링 시트에 대응하여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에 각각 장착되는 부시; 및
    상기 스프링 시트와 각 부시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스프링 시트의 일측과 타측 외주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제2 장착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단은 상기 로어 암에 장착된 상기 부시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부시에 회전 가능하게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 장착단은 상기 어시스트 암에 장착된 상기 부시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단은
    상기 어시스트 암에 장착된 상기 부시와 연결로드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축 방향 유격을 갖는 필로우 볼 부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시스트 암은
    일측에 상기 부시가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는
    원형의 스프링에 대응하여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의 사이에서 상기 너클의 휠 센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8. 차체 프레임에 타이어가 장착된 휠을 장착하기 위한 캐리어가 너클을 통해 장착되고, 상기 너클에는 트레일링 암, 로어 암, 어퍼 암, 및 어시스트 암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에서, 차체와 연결되는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에 대응하여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프링 시트;
    상기 스프링 시트에 대응하여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에 각각 장착되는 부시;
    상기 로어 암에 장착된 상기 부시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장착단;
    상기 어시스트 암에 장착된 상기 부시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외주면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시에 연결로드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장착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축 방향 유격을 갖는 필로우 볼 부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시스트 암은
    일측에 상기 부시가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로어 암과 어시스트 암의 사이에서 상기 너클의 휠 센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KR1020120145736A 2012-12-13 2012-12-13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KR20140077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736A KR20140077040A (ko) 2012-12-13 2012-12-13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736A KR20140077040A (ko) 2012-12-13 2012-12-13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040A true KR20140077040A (ko) 2014-06-23

Family

ID=5112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736A KR20140077040A (ko) 2012-12-13 2012-12-13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70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25A (ko) 2015-07-10 2017-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후륜용 휠 캐리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25A (ko) 2015-07-10 2017-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후륜용 휠 캐리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4160B2 (en) Suspension device
EP2355987B1 (en) Vehicle independent suspension
JP6803234B2 (ja) 車両サスペンション
US10076939B2 (en) Suspension systems for laterally tiltable multitrack vehicles
KR101461902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20120013459A (ko) 차량 서스펜션 장치
US20160243918A1 (en) Rear suspension systems for laterally tiltable multitrack vehicles
CN210680319U (zh) 一种悬架系统
WO2018092587A1 (ja) 車両用懸架装置
KR102563433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2586324B1 (ko) 차량용 현가장치
MXPA04006583A (es) Suspension de varilla de control con absorbedor de choque exterior.
JP2006347338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440585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40077040A (ko)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스프링 장착유닛
CN220332409U (zh) 车辆后独立悬架及车辆
JP4534153B2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240958B1 (ko) 주행안정성과 부드러운 승차감을 위한 차량 로어암 제어 장치
KR20120008877A (ko)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857648B1 (ko) 자동차 범프스토퍼용 컵
KR20100008980A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유닛
KR10034511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20090039479A (ko) 쇽업소버
KR20070100465A (ko) 자동차의 프런트 현가장치
KR20070032594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