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848A - 다이어프램 밸브를 갖춘 액체 분배장치와 그 밸브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어프램 밸브를 갖춘 액체 분배장치와 그 밸브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848A
KR20100015848A KR1020097022205A KR20097022205A KR20100015848A KR 20100015848 A KR20100015848 A KR 20100015848A KR 1020097022205 A KR1020097022205 A KR 1020097022205A KR 20097022205 A KR20097022205 A KR 20097022205A KR 20100015848 A KR20100015848 A KR 20100015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aphragm
sleeve
compression system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헬무스 요한네스 요셉 마아스
페트루스 람베르투스 빌헬무스 후르크만스
Original Assignee
아파 폴리테크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파 폴리테크 비 브이 filed Critical 아파 폴리테크 비 브이
Publication of KR2010001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08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sprayer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5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4Pump inlet and outlet valve elements integrally formed of a deform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분배장치(1)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7)에 관한 것으로, 이는 미리 정해진 압력이 생성될 때까지 액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비 압축시스템은, 입구(5)를 통하여 액체를 인출하고 출구(6)을 통하여 액체르 배출하는 펌프(3)와, 이 펌프와 출구 사이에 배치된 예비 압축밸브를 포함한다. 예비 압축밸브는 펌프(3)내의 액체가 미리 정해진 압력이 생성된 후에만 출구(6)에 도달하도록 한다. 예비 압축밸브는, 밸브시이트 개구부(30)를 상시 폐쇄하고 또 밸브시이트 개구부(30)를 향하면서 펌프와 유체연통하는 오목면(32a)과 대기압력과 유체연통하는 볼록면을 포함하는 탄성 다이어프램(32)을 포함한다. 탄성 다이어프램(32)은 밸브시이트(31)주위에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이러한 예비 압축 시스템을 액체 분배장치에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체, 분배, 예비압축, 다이어프램, 밸브부재, 밸브시이트, 펌프, 체임버

Description

다이어프램 밸브를 갖춘 액체 분배장치와 그 밸브의 조립방법{Liquid dispensing device with a diaphragm valv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valve}
본 발명은 액체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리 정해진 압력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분배장치로부터 액체가 배출되지않는 액체분배장치용 예비압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분배장치에 그러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체분배장치가 결합된 용기들이 미국 특허 제5,730,335호로 알려져 있다. 이 특허는 예비 압축시스템을 포함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개시한다. 이 액체분배장치는, 용기의 목 부위에 고정되는 스프레이어(sprayer)하우징을 갖는 트리거(trigger)하우징이다. 스프레이어 하우징은, 수동으로 작동되는 펌프를 포함한다. 트리거 형태로 된 작동요소는,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인출(dip)튜브가 펌프로부터 용기 내로 연장하여, 작동하는 동안에 용기 내의 액체가 인출튜브를 통해 펌프로 인출된다. 트리거 스프레이어는 또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펌프와 유체연통하는 출구를 포함한다. 트리거 스프레이어는 또 배출펌프 행정의 말기에, 펌프의 피스턴이 충전된 위치로 복귀되도록 편위(bias)시키기 위하여 펌프 내에 위치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트리거 스프레이어의 예비 압축시스템은, 액체가 너무 낮은 압력에서 출구를 떠나게 되어, 액체가 큰 입적(drop)을 갖는 불충분한 무화로 되거나 또는 스프레이 패턴에 액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비 압축시스템은, 펌프와 출구 사이의 연통을 폐쇄하는 위치와, 펌프와 출구 사이의 연통을 개방하기 위하여 밸브시이트로부터 이격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예비 압축밸브를 포함한다. 예비 압축밸브는,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프링강 또는 강성이 있지만 탄성도 있는 플라스틱재료와 같은 스프링 재료로 만들어진 얕은 반구(dome)형상이다. 이는 폐쇄위치로 편위되고, 고유한 스프링 특성에 의하여 그 볼록한 쪽이 밸브 시이트와 결합한다. 예비 압축밸브는, 펌프 내에서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할 때에만 그 개방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액체분배장치 및 그 예비 압축시스템과 관련한 문제점들은,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진 많은 별개의 부품들이 있고, 종종 예비 압축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비규칙적인 분배압력들이 있다는 것이다.
많은 숫자의 부품들은, 제작하고 조립하기 어려운 제품을 만들게 된다. 그 결과, 분배부품들의 제작 및 조립작업이 비싸지고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제품들을 폐기하려할 때, 다른 재료들은 트리거 스프레이와 용기를 취급하고 재활용하는데 문제점들을 제기한다. 예컨대, 제품의 플라스틱 부품들을 재활용하기 전에, 피스턴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금속 스프링과 스테인리스강 스프링 밸브를 트리거 스프레이로부터 제거해야 한다.
종래 기술의 예비 압축시스템에서 생성된 압력 변화는, 밸브가 굽혀짐에 다 라 반구 형상의 스프링밸브의 볼록한 쪽이 밸브시이트로부터 떨어져 나오기 때문이고, 이에 따라 그 단면이 약간 "파형(wavy)"을 취한다. 이는 불안정한 상태로서, 동일한 양의 펌프압력 변화로 이어져서 스프링밸브의 변형을 가져오고, 나아가서 그 개방 정도를 변화시킨다. 더구나, 스프링밸브가 갑작스럽게 역전위치로 닫혀서 펌프와 출구 사이의 연결이 개방된 상태로 남겨둘 위험이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으로 양수된 미국 특허 제6,378,739호는 예비 압축시스템을 포함하는 다른 액체 분배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분배장치는, 상기 설명된 '335특허의 액체 분배장치와 대체로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갖고, '335특허의 액체 분배장치와 비교하여 별개의 부품 숫자 및 다른 재료의 사용이 감소되었다. 이를 위하여 펌프 행정의 말기에 피스턴을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들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용기의 목 부위와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의 액체 분배장치의 예비 압축시스템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또 밸브를 밸브체임버에 장착되는 슬리이브와 일체로 성형된 예비 압축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 구조들을 널리 사용하는 것은, 별개 부품들의 숫자를 제한하게 되어,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액체 분배장치를 만들게 된다. 또한, 사용 후 폐기할 때, 액체 분배장치의 취급 및 재활용이 용이해진다.
'739특허에 개시된 액체 분배장치의 예비 압축밸브는, 그 볼록한 쪽으로 예비 압축밸브 시이트와 맞물리는 반구형상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다이어프램은 펌프압력이 가해질 때 여전히 역전위치로 될 가능성이 있다. 다이어 프램의 처짐량을 제한하고, 역전된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이어프램의 볼록한 쪽으로부터 분배장치 하우징의 고정부를 향하여 정지부재가 돌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펌프 내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밸브 개방이 증가하면 다이어프램이 처지는 정도가 변한다.
본 발명은, 액체분배장치를 위한 여러 타입의 예비 압축시스템과, 상기 설명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그러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만드는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에 따르면, 입구와 출구를 갖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은, 펌프체임버와 밸브체임버를 포함한다. 펌프체임버는, 입구를 통하여 액체를 인출하고 출구를 통하여 액체를 배출하도록 펌프체임버 내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턴을 포함한다. 밸브체임버는, 펌프체임버와 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펌프체임버 내에 미리 정해진 압력이 형성된 이후에만 펌프체임버 내의 액체가 출구에 도달하게 하고, 펌프체임버 내의 압력이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액체가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밸브부재를 포함한다. 밸브체임버는 상기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입구 선단과, 출구와 유체연통하는 출구 선단 및, 입구 선단과 출구 선단 사이에 배열되고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부를 갖는다.
밸브부재는,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상시 폐쇄하고 또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향하면서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오목면과 대기압력과 유체연통하는 볼록면을 포함하는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탄성 다이어프램을, 그 오목면이 밸브 시이트를 향하여 결합하도록 배열함으로써, 예비 압축밸브가 개방되는 압력이 보다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는 밸브가 탄성 다이어프램이 휘어짐(flexing)보다 펼쳐짐(stretching)에 의하여 개방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나아가서, 밸브부재의 이러한 구성은 다이어프램이 역전위치로 뒤집힐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 시이트 주위에 펼쳐져 있다. 예비응력이 가해진(prestressed) 다이어프램을 펼쳐줌으로써, 밀봉이 개선되고 개구부 압력을 보다 양호하게 제어하는 결과가 얻어진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외부 원주를 갖고, 밸브부재는 다이어프램의 외부 원주를 포위하고 파지하면서 또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슬리이브를 포함하며, 슬리이브는 밸브체임버에 밀봉되게 배열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체임버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별개의 부품들의 숫자를 감소하고, 예비 압축시스템의 제작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탄성 다이어프램과 슬리이브는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어프램은 그 오목한 쪽이 밸브 시이트에 대하여 배열되고, 밸브가 다이어프램의 처짐에 의해서라기 보다 펼쳐짐에 의하여 작동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료는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볼록한 밸브의 경우보다 더 유연할 수 있다.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이다.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 시이트 위에 펼쳐질 때의 형태보다 대체로 덜 오목한 펼쳐지지 않은 형태로 유리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합한 정도의 예비응력(prestress)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에는, 탄성 다이어프램은 볼록한 형태로 성형되어 슬리이브가 밸브체임버에 배열될 때 오목한 형태로 펼쳐진다.
밸브부재의 변형이 탄성 다이어프램에만으로 한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슬리이브는, 바람직하기에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그 내벽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리브(rib)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리이브는 계속하여 밸브체임버를 밀봉하는 반면에, 다이어프램의 움직임은 잘 한정된다.
본 발명의 예비 압축시스템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길이방향 치수와,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한 직경방향 치수를 갖고, 길이방향 치수는 밸브체임버의 대응하는 치수보다 더 크다. 이는 예비 압축시스템이 조립될 때, 슬리이브가 밸브체임버에 긴밀하게 체결되는 것을 확실히 해준다.
슬리이브가,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길이방향 치수와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한 직경방향 치수를 가지는 경우, 이러한 직경방향 치수는 길이방향 치수보다 더 유리하게 클 수 있다. 이는 비교적 짧고 튼튼한 슬리이브를 만들게 하여, 밸브부재가 펌프에 의하여 생성되는 압력을 받을 때 덜 변형되게 한다.
조립하기가 비교적 용이한 예비 압축시스템은, 분배장치가 선단벽을 포함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이 덮개의 선단벽이 밸브 체임버와 정렬되면서 또 밸브부재를 밸브 체임버 내에 고정하기 위하여 슬리이브와 접촉할 때 얻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입구와 출구 및 이 입구와 출구와 출구 사이에 배열된 예비 압축시스템을 갖는 액체 분배장치를 제공하는바, 예비 압축시스템은 이동가능한 피스턴을 포함하는 펌프체임버와, 펌프체임버와 출구 사이에 배치된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밸브체임버를 포함한다. 밸브체임버는, 입구 선단과, 출구 선단 및, 입구 선단과 출구 선단 사이에 배열된 밸브시이트를 가지면서 밸브 시이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부를 갖는다. 밸브부재는,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상시 폐쇄하면서 오목면과 볼록면을 포함하는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탄성 다이어프램의 오목면은,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향하면서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되고, 반면에 그 볼록면은 대기압력과 유체연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입구와 출구를 갖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그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턴을 포함하는 펌프체임버를 제공하고, 또 펌프체임버와 출구 사이에 배치된 밸브 체임버를 제공한다. 밸브체임버는 상기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입구 선단과, 출구와 유체연통하는 출구 선단 및, 입구 선단과 출구 선단 사이에 배열되고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부를 갖는 밸브시이트를 갖는다. 이 방법은 또한, 밸브부재가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상시 폐쇄하도록 밸브부재를 밸브체임버에 배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밸브부재는, 밸브시이트 개구부와 대향하며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오목면과 대기압력과 유체연통하는 볼록면을 포함하는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입구와 출구를 갖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예비 압축시스템은, 입구를 통하여 액체를 인출하고 출구를 통하여 액체를 배출하도록 펌프체임버 내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턴을 포함하는 펌프체임버와; 펌프체임버와 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펌프체임버 내에 미리 정해진 압력이 형성된 이후에만 펌프체임버 내의 액체가 출구에 도달하게 하고, 펌프체임버 내의 압력이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액체가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밸브체임버를 포함한다. 밸브체임버는,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입구 선단과, 출구와 유체연통하는 출구 선단 및, 입구 선단과 출구 선단 사이에 배열되고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부를 갖는 밸브시이트를 갖는다. 밸브부재는, 밸브시이트 주위에 펼쳐지고 또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상시 폐쇄하는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그러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펌프체임버를 제공하는 단계와, 밸브체임버를 제공하는 단계, 및 밸브체임버에 밸부부재를 배열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제공된 펌프체임버는 이동가능한 피스턴을 포함하고, 반면에 밸브체임버는 펌프체임버와 출구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방법이 제공하는 밸브체임버는,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입구 선단과, 출구와 유체연통하는 출구 선단 및, 입구 선단과 출구 선단 사이에 배열되고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부를 갖는 밸브시이트를 갖는다. 밸브체임버에 배열된 밸브부재는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이 다이어프램이 밸브시이트 주위에 펼쳐지고 또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상시 폐쇄하도록 배열된다.
끝으로, 본 발명은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의 밸브체임버에 사용하기 위한 밸브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밸브부재는, 밸브체임버 내에서 밸브시이트와 결합하는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이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시이트와 결합하는 오목면과, 밸브시이트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향하는 볼록면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피스턴, 트리거, 출구노즐 및 예비 압축시스템을 갖는 액체 분배장치 서브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체 분배장치에 사용된 예비 압축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예비 압축밸브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의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한 제1단계를 나타낸다.
도 5는 밸브체임버에 헐겁게 배열된 예비 압축밸브를 갖는 분배장치의 서브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6은, 예비 압축밸브를 고정하고 예비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덮개가 장착된 후, 액체 분배장치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예비 압축밸브가 개방된 때, 펌프행정 동안에 도 1의 액체 분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응하는 것으로, 예비 압축밸브가 다시 폐쇄된 때, 펌프행정 의 말기에서 액체 분배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2에 대응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예비 압축밸브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5에 대응하는 것으로, 밸브체임버에 헐겁게 배열된 예비 압축밸브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에 대응하는 것으로, 조립 후 액체 분배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푸시버튼식 작동요소, 예비 압축밸브, 인출튜브, 잠금요소 및 용기를 포함하는 액체 분배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최종 조립 후, 도 12의 액체 분배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1)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액체 분배장치(1)는, 하우징(2)과, 펌프(3), 작동기구(4), 입구(5), 출구(6) 및 예비 압축시스템(7)을 포함한다. 출구(6)에는, 분배되는 액체를 무화시키기 위하여 배출노즐(49)이 배열된다. 액체 분배장치(1)는, 목 부위(11)에 의하여 경계가 지어지는 개구부(10)를 갖는 용기(9)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연결은 스냅(snap)연결인바, 이는 하우징(2)의 내면에 배열된 돌기(12)들을 목 부위(11)의 외면에 형성된 오목부(13)들에 스냅식으로 끼워줌으로써 연결된다. 용기(9)로부터 액체 분배장치(1)로 액체를 인출하기 위하여, 액체 분배장치(1)의 입 구(5)로부터 용기(9)내부로 인출튜브(dip tube: 14)가 연장한다.
펌프(3)는, 펌프체임버(15)와, 이 펌프체임버(15)에 배열되어 왕복운동하도록 된 피스턴(16)을 포함한다. 펌프체임버(15)는, 액체 분배장치 입구(5)와 유체연통하는 입구 개구부(17)와, 액체 분배장치 출구(6)로 연결되는 배출도관(19)과 유체연통하는 출구 개구부(18)를 갖는다. 펌프체임버(15)는 또한 용기(9) 내부와 연통하는 통기(aerating) 개구부(20)를 갖는다. 이 통기 개구부(20)는 피스턴(16)에 배열된 2개의 원주방향 플랩(21,22)들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작동기구(4)는 트리거(trigger)(23)를 포함하고, 이 트리거의 상부는 힌지(도시안됨)에 의하여 하우징(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트리거(23)는 또한 개구부(25)에 수용된 핀(24)에 의하여 피스턴(1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트리거(23)는, 한쌍의 굴곡스프링(도시안됨)에 의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펼쳐진 위치로 편위되어 있고, 굴곡스프링은 펌프체임버(15)의 외부의 하우징(2)에 배열된다.
예비 압축시스템(7)은 펌프체임버(15)와 출구(6) 사이에 배열된다. 이는 예비 압축밸브(27)가 배열된 밸브체임버(26)를 포함한다. 밸브체임버(26)는, 펌프체임버 출구 개구부(18)와 연통하는 입구선단(28)과, 배출도관(19) 및 액체 분배장치 출구(6)과 연통하는 출구선단(29)을 갖는다. 입구 및 출구선단(28,29)들 사이에 배열된 것은 환상의 밸브시이트(31)이고, 이는 밸브체임버의 출구를 구성하는 밸브 개구부(30)를 포위한다. 예비 압축밸브(27)는, 밸브 개구부(30)를 상시 폐쇄하는 탄성 다이어프램(32)을 포함한다. 이 탄성 다이어프램(32)은 반구(dome)형상이고, 밸브시이트(31)와 그 개구부(30)를 향하는 오목면(32A)과, 밸브체임버(26)의 내부를 향하여 밸브시이트 개구부(30)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향하는 볼록면(32B)을 포함한다. 볼록면(32B)의 중앙에는 안정화 부재(45)가 부착된다.
예비 압축밸브(27)는, 탄성 다이어프램(32)의 외부 원주(34)를 포위하고 파지하는 슬리이브(33)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슬리이브(33)는 밸브 체임버(26)내에 배열되고 원주방향 플랩(36)에 의하여 내벽(35)을 밀봉하고, 또 슬리이브(33)의 외면(38)에 배열된 환상의 돌출부(37)를 밀봉한다. 슬리이브(33)는, 액체 분배장치 입구(5)와 펌프체임버(15)의 입구 개구부(17)사이에서 플랩밸브 역할을 하는 제2원주방향 플랩(39)를 추가로 포함한다. 끝으로, 도 2 및 3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이브(33)는, 이 슬리이브(33)의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고 그 내면(41)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리브(rib: 40)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각각이 인접한 리브(4))로부터 90각도로 이격된 4개의 리브(40)들이 형성된다.
슬리이브(33)는, 밸브체임버(26)의 내벽(35)의 계단형상에 대응하는 계단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슬리이브(33)는, 탄성 다이어프램의 평면 너머로 연장하고 내부 돌출부(42)를 가지며 - 밸브체임버의 방향에서 고려할 때 - 이 내부 돌출부(42)는 밸브체임버(26)의 바닥면(46)과 결합한다. 내부 돌출부(42)는, 펌프체임버(15)로부터 배출도관(19)으로 액체가 흐르도록 하는 복수의 개구부(43)들을 포함한다. 내부 돌출부(42)로부터 외부 돌출부(44)까지 측정된 슬리이브(33)의 길이는, 밸브체임버(26)의 대응하는 깊이보다 약간 더 크다. 이는 액체 분배장치(1)가 조립될 때 밸브부재(27)가 밸브체임버(26)내에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해주게 된다. 밸브부 재(27)를 밸브체임버(26)내에 긴밀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힘은, 분배장치 하우징(2)의 덮개(48)의 일부를 형성하는 선단벽(47)에 의하여 제공된다.
슬리이브(33)와 탄성 다이어프램(32)을 포함하는 밸브부재(27)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재료로부터 일체로 성형된다. 성형될 때, 탄성 다이어프램(32)은, 밸브부재(27)가 밸브체임버(26)에 배열될 때보다 대체로 덜 오목한 - 밸브시이트(31)를 향하는 방향에서 고려할 때-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다이어프램(32)은 실제로 볼록한 형태로 성형되고, 이는 밸브부재(27)가 밸브체임버(26)내로 가압될 때 선단벽(47)에 의하여 역전위치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다이어프램(32)은 밸브시이트(31)에 대하여 또는 그 너머로 펼쳐져 예비응력이 가해지는바, 이는 펌프체임버(15)내의 액체가, 예비 압축밸브가 개방되는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우수한 밀봉을 얻기위한 관점에서 중요한 특징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비 압축시스템(7)은, 먼저 밸브부재(27)를 밸브체임버(26)내에 삽입하여 조립되는바, 이는 액체 분배장치(1)의 하우징(2)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밸브부재(27)는, 탄성 다이어프램(32)이 밸브시이트(31)에 맞물릴 때까지 먼저 밸브체임버(26)내로 가압된다. 도 5에 도시된 위치에서, 내부 돌출부(42)는 아직 밸브체임버(26)의 바닥부(46)와 결합되어있지 않다. 탄성 다이어프램(32) - 응력이 가해지지 않은 때- 과 슬리이브(33)의 외부 돌출부(44) 사이의 거리가 밸브시이트(31)와 밸브체임버(26)의 선단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기 때문에, 밸브부재(27)의 슬리이브(33)는 여전히 밸브체임버(26)로부터 약간 돌출된다.
최종 조립단계에서, 덮개(48)는 하우징(2)의 나머지 부위에 연결된다. 이 단계 동안에, 선단벽(47)은 슬리이브(33)의 돌출된 외부 돌출부(44)와 결합하여, 내부 돌출부(42)가 밸브체임버 바닥부(46)와 접촉할 때까지 밸브부재(27)를 밸브체임버(26)내로 긴밀하게 가압한다. 밸브시이트(31)가, 슬리이브 내부 돌출부(42)와 탄성 다이어프램(32) 사이의 거리보다 밸브체임버 바닥부(46)로부터 더 돌출하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다이어프램(32)이 밸브시이트(31) 위로 펼쳐지고, 다이어프램(32)은 오목한 형태를 취한다. 액체 분배장치(1)가 이제 작동할 준비가 되었다.
먼저 트리거(23)가 작동되면, 피스턴(16)이 안쪽으로 이동하여, 펌프체임버(15)의 체적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내부의 공기를 압축한다 - 펌프(3)는 준비되지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결과로 얻어진 공기압력은, 예비 압축밸브를 밸브시이트(31)로부터 분리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 트리거(23)가 해제되면, 스프링들에 의하여 그 원래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복귀 또는 흡입행정 동안에, 펌프체임버(16)내의 압력은 낮아지고, 그리하여 용기(9)로부터 액체가, 인출튜브(14)와 분배장치 입구(5)를 통하여, 플랩밸브(39)를 지나, 입구 개구부(17)를 통하여 펌프체임버(16)내로 인출된다.
트리거(23)가 재작동되면, 피스턴(16)의 운동은 펌프체임버(16) 내부의 압력에 급격한 증가를 가져오는데, 왜냐하면 액체는 비압축성이기 때문이다. 이 압력은 펌프체임버(16)의 모든 부위들에 작용하고, 또 예비 압축밸브(27)의 탄성 다이어프램(32)에 의하여 폐쇄된 출구 개구부(18)에도 작용한다. 일단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예컨대 3 바아(bar)크기로, 탄성 다이어프램(3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지고 또 밸브시이트(31)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이러한 압력은 다이어프램(32)의 탄성 및 주위 압력에 의하여 결정되고, 이는 다이어프램(32)의 볼록면(32B)에 작용한다. 일단 다이어프램(32)이 밸브시이트(31)로부터 들어 올려지면, 펌프체임버(16)로부터의 가압된 액체가 출구 개구부(18)를 통하여, 밸브시이트(31)와 탄성 다이어프램(32)사이에서, 밸브 개구부(30)내로 유동한다. 거기서부터 액체는, 배출도관(19)을 통하여 액체 분배장치(1)의 출구(6)로 흐른다. 액체는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한 후에만 분배되기 때문에, 출구(6)를 떠남에 따라 적절하게 무화되고, 스프레이 패턴은 어떤 큰 액적이 분배됨이 없이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펌프행정의 말기에서 펌프체임버(16)내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다이어프램(32)의 탄성이 액체압력을 극복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32)은, 밸브시이트(31)에 안착될 때까지 다시 수축된다. 이는 밸브 개구부(30)를 폐쇄하고, 즉시 펌프(3)로부터 출구(6)로의 액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체 분배장치(1)는 펌프행정의 말기에서 액적이 떨어지지(drip) 않는다.
도 9는 예비 압축시스템(107)의 제2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밸브부재(127)를 도시한다. 이 밸브부재(127)는, 그 길이 - 각각 내.외부 엣지(142, 144)사이의 거리 - 가 그 직경보다 크지않기 때문에, 길이가 연신된 형태보다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튼튼한 슬리이브(133)을 만들게 되고, 이는 압력이 다이어프램(132)에 가해질 때, 적게 변형되는 경향을 갖는다. 이 변형예의 밸브부재(127) 의 길이가 제1실시예의 밸브부재(27)의 길이보다 작기는 하지만, 밸브체임버(126)의 깊이보다도 여전히 더 길다. 따라서, 외부 돌출부(14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이어프램(132)이 밸브시이트(131)에 접촉하는 지점까지 밸브부재(127)가 삽입될 때, 밸브체임버(126)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단벽(147)을 포함하는 덮개(148)를 액체 분배장치(101)의 나머지부위에 연결함으로써 밸브부재(127)가 밸브체임버(126)내에 긴밀하게 최종적으로 체결될 때, 탄성 다이어프램(132)은 펼져져서 예비응력이 가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배장치(201)를 도시한다. 제1 및 2 실시예들과 같이, 이 액체 분배장치(201)는, 하우징(202)과, 펌프(203), 작동기구(204), 입구(205), 출구(206) 및 예비 압축시스템(207)을 포함한다. 액체 분배장치(201)는, 목 부위(211)에 의하여 경계가 지어지는 개구부(210)를 갖는 용기(209)에 다시 연결된다. 인출튜브(214)는, 용기(209)로부터 액체 분배장치(201)로 액체를 인출하기 위하여 액체 분배장치(201)의 입구(205)로부터 용기(209)내로 연장한다.
이 액체 분배장치(201)는 트리거 스프레이가 아니고, 예컨대 액체비누와 같은 점성이 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출구(206)에서 배출노즐(249)은 액체를 무화하기 위하여 배열되지않고, 단지 액체흐름을 아래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도록 배열된다. 분배장치는 또한, 힌지연결된 트리거보다 하우징(202)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한 푸시버튼(223)을 사용하여, 펌프(203)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른 기구를 갖는다. 푸시버튼(223)은 2개의 대체로 S자 형상의 조합된 비틀림/굽힘 스프 링(250)에 의하여 정지위치로 편위되어 있고, 단지 하나의 스프링만이 도시된다. 액체 분배장치(201)의 본 실시예에서, 피스턴(216)은 푸시버튼(223)에 통합된다. 액체 분배장치(201)의 본 실시예는, 펌프체임버(215)에 인접하여 배열된 벤트체임버(251)를 추가로 포함한다. 푸시버튼(223)은, 벤트체임버(251)에서 왕복운동하도록 배열된 제2피스턴(도시안됨)을 또한 포함한다.
제3실시예의 밸브부재(227)는, 탄성 다이어프램(232)이 그 내부 돌출부(242)에 인접하기 보다는 대체로 슬리이브(233)의 중간에 배열되는 점에서 제1,2 실시예의 밸브부재와 다소 다르다. 제1,2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이어프램(23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시이트(231)위로 펼쳐져 있다. 그 오목부(232A)는 다시, 밸브 개구부(230)와 펌프체임버(215)의 출구개구부(218)를 향하고, 펌프(203)에 의하여 생성된 압력에 노출된다. 탄성 다이어프램(232)의 볼록부(232B)는 밸브체임버(226)의 후방을 향하고, 대기압력에 노출된다.
또한, 탄성 다이어프램(232)은, 밸브부재(227)가 밸브체임버(226)내에 삽입될 때, 밸브시이트(231)위로 펼져짐으로써 갖게되는 형태보다 대체로 덜 오목한 형태로 최초 성형된다. 탄성 다이어프램(232)의 이러한 변형은, 다이어프램(232)과 밸브시이트(231)사이에 우수한 밀봉이 얻어지도록하는 어느 정도의 예비응력을 갖게한다. 요구되는 밀봉작용 및 액체의 특별한 예비압축을 얻기 위하여 요구되는 예비응력의 정도에 따라, 탄성 다이어프램(232)은 평평하거나 또는 심지어 볼록한 형태로 또한 성형될 수 있다.
슬리이브(233)는, 액체가 펌프체임버(215)의 출구개구부(218)로부터 밸브개 구부(23)으로 통과하도록 그 내벽(235)에 개구부(2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펌프(203)와 입구(205)가 밸브체임버(226)의 양쪽에 배열되기 때문에, 슬리이브(233)는 액체가 슬리이브(233)의 외부를 따라 통과하도록하는 홈(252)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슬리이브(233)의 외부 돌출부(244)는, 그에 지지되도록 밸브체임버(226)의 외부선단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다. 밸브부재(227)는, 덮개(248)의 선단벽(247)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리브(253)들에 의하여 제위치에 잠가진다.
푸시버튼(223)의 자신의 2위치들 사이에서의 왕복운동은 또한, 펌프 피스턴(216)과, 펌프체임버(215)및 벤트체임버(251)내의 벤트피스턴을 각각 왕복운동시킨다. 흡입행정 동안에, 펌프피스턴(215)은 윗방향으로 이동하여 펌프체임버(215)내에 진공을 생성하고, 이에따라 용기(209)로부터 액체를 인출하여 인출튜브(214)와 입구(205)을 통해, 슬리이브(233)를 지나 펌프체임버(215)로 공급한다. 배출행정 동안에, 펌프피스턴(215)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펌프체임버(215)내의 체적을 감소시킨다. 일단 펌프체임버(215)내의 압력이, 다이어프램(232)의 탄성력과 다이어프램의 볼록부(232B)상의 주변압력의 조합된 힘보다 더 커지면, 다이어프램(232)이 펼쳐지면서 밸브시이트(231)로부터 떨어지고, 액체는 자유로이 밸브 개구부(230)를 통해 배출도관(219)내에서 출구(206)로 흐른다.
본 발명은 다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지만, 그에 한정되지않는 것이 명확하다. 예컨대, 예비 압축시스템은 다른 타입의 액체 분배장치들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이 있는 다이어프램과 밸브부재의 슬리이브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서, 탄성 다이어프램과 슬리이브의 구성과 재료들의 선택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서만 한정된다.

Claims (49)

  1. 입구와 출구를 갖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으로서, 예비 압축시스템은,
    입구를 통하여 액체를 인출하고 출구를 통하여 액체를 배출하도록 그 내부에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턴을 포함하는 펌프체임버; 및
    펌프체임버와 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펌프체임버 내에 미리 정해진 압력이 형성된 이후에만 펌프체임버 내의 액체가 출구에 도달하게하고, 펌프체임버 내의 압력이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이하로 떨어지면 액체가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밸브체임버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체임버는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입구선단과, 출구와 유체연통하는 출구선단 및, 입구선단과 출구선단 사이에 배열되고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밸브부재는,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상시 폐쇄하고 또 밸브시이트 개구부와 대향하며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오목면과 대기압력과 유체연통하는 볼록면을 포함하는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시이트 주위에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외부 원주를 갖고, 밸브부재는 다이어프램의 외부 원주를 포위하고 파지하면서 또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슬리이브를 포함하며, 슬리이브는 밸브체임버에 밀봉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과 슬리이브는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 시이트 위에 펼쳐질 때의 형태보다 대체로 덜 오목한 펼쳐지지않은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볼록한 형태로 성형되고, 슬리이브가 밸브체임버에 배열될 때 오목한 형태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그 내벽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길이방향 치수와,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한 직경방향 치수를 갖고, 상기 길이방향 치수는 밸브체임버의 대응하는 치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길이방향 치수와,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한 직경방향 치수를 갖고, 상기 직경방향 치수가 길이방향 치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분배장치는 선단벽을 포함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이 덮개의 선단벽이 밸브 체임버와 정렬되면서 또 밸브부재를 밸브 체임버 내에 고정하기 위하여 슬리이브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11. 입구와 출구 및 이들 사이에 배열된 예비 압축시스템을 갖는 액체 분배장치로서, 상기 예비 압축시스템은,
    이동가능한 피스턴을 포함하는 펌프체임버와,
    펌프체임버와 출구 사이에 배치된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밸브체임버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체임버는, 입구선단과, 출구선단 및, 입구선단과 출구선단 사이에 배열된 밸브시이트를 가지면서 밸브 시이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부를 갖추고,
    상기 밸브부재는,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상시 폐쇄하면서 오목면과 볼록면을 포함하는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다이어프램의 오목면은,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향하면서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되고, 상기 볼록면은 대기압력과 유체연통되는 액체 분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밸브부재는 다이어프램의 외부 원주를 포위하고 파지하는 슬리이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이브는 탄성 다이어프램이 밸브 시이트 주위에 펼쳐지도록 밸브체임버에 밀봉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과 슬리이브는 플라스틱재료로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시이트 위에 펼쳐질 때의 그 형태보다 대체로 덜 오목한 펼쳐지지않은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볼록한 형태로 성형되고, 슬리이브가 밸브체임버에 배열될 때 오목한 형태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그 내벽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선단벽을 포함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이 덮개의 선단벽이, 밸브부재를 밸브 체임버 내에 고정하기 위하여 밸브 체임버와 정렬되면서 슬리이브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길이방향 치수와,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한 직경방향 치수를 갖고, 상기 길이방향 치수는, 슬리이브가 선단벽에 의하여 밸브체임버에 체결되도록 밸브체임버의 대응하는 치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길이방향 치수와,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한 직경방향 치수를 갖고, 상기 직경방향 치수가 길이방향 치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
  19. 입구와 출구를 갖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그 내부에 이동가능한 피스턴을 포함하는 펌프체임버를 제공하고,
    펌프체임버와 출구 사이에 배치된 밸브 체임버를 제공하되, 이 밸브체임버는 상기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입구선단과, 출구와 유체연통하는 출구선단 및, 입구선단과 출구선단 사이에 배열되고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부를 갖는 밸브 시이트를 갖고,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상시 폐쇄하도록 밸브체임버에 밸브부재를 배열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밸브시이트 개구부와 대향하며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오목면과 대기압력과 유체연통하는 볼록면을 포함하는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시이트 주위에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외부 원주를 갖고, 밸브부재는 다이어프램의 외부 원주를 포위하고 파지하면서 또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슬리이브를 포함하며, 슬리이브가 밸브체임버에 밀봉되게 배열될 때 밸브부재가 밸브시이트 주위에 펼쳐지는 것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과 슬리이브는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고,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 시이트 위에 펼쳐질 때의 형태보다 대체로 덜 오목한 펼쳐지지않은 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볼록한 형태로 성형되고, 슬리이브가 밸브체임버에 배열될 때 오목한 형태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분배장치가 선단벽을 포함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하는 방법이, 밸브부재를 밸브 체임버 내에 고정하기 위하여 선단벽이 밸브체임버와 정렬되게 하고 슬리이브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길이방향 치수를 갖고, 선단벽이 슬리이브와 접촉하여 다이어프램을 밸브시이트 위에 펼쳐줄 때 밸브부재가 예비응력을 받도록, 상기 길이방향 치수가 밸브밸브체임버의 대응하는 치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26. 입구와 출구를 갖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으로서, 예비 압축시스템은,
    입구를 통하여 액체를 인출하고 출구를 통하여 액체를 배출하도록 펌프체임버 내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턴을 포함하는 펌프체임버와;
    펌프체임버와 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펌프체임버 내에 미리 정해진 압력이 형성된 이후에만 펌프체임버 내의 액체가 출구에 도달하게하고, 펌프체임버 내의 압력이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이하로 떨어지면 액체가 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밸브체임버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체임버는,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입구선단과, 출구와 유체연통하는 출구선단 및, 입구선단과 출구선단 사이에 배열되고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부를 갖는 밸브시이트를 갖고,
    상기 밸브부재는, 밸브시이트 주위에 펼쳐지고 또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상시 폐쇄하는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의 외부 원주를 포위하고 파지하면서 또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슬리이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이브는 밸브체임버에 밀봉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과 슬리이브는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향하면서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오목면과, 대기압려과 유체연통하는 볼록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 시이트 위에 펼쳐질 때의 형태보다 대체로 덜 오목한 펼쳐지지않은 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볼록한 형태로 성형되고, 슬리이브가 밸브체임버에 배열될 때 오목한 형태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32. 제30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그 내벽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33. 제27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길이와,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한 직경을 갖고, 상기 길이가 밸브체임버의 대응하는 치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34. 제27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길이와,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한 직경을 갖고, 상기 직경이 길이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35. 제27항에 있어서, 선단벽을 포함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이 덮개의 선단벽이, 밸브부재를 밸브 체임버 내에 고정하기 위하여 밸브 체임버와 정렬되면서 슬리이브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
  36. 입구와 출구를 갖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이동가능한 피스턴을 포함하는 펌프체임버를 제공하는 단계와;
    펌프체임버와 출구 사이에 배치된 밸브체임버를 제공하되, 밸브체임버가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입구선단과, 출구와 유체연통하는 출구선단 및, 입구선단과 출구선단 사이에 배열되고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부를 갖는 밸브 시이트를 갖도록 하는 단계; 및
    탄성 다이어프램이 밸브시이트 주위에 펼쳐지고 또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상시 폐쇄하도록 밸브체임버에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밸브부재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밸브부재는, 다이어프램의 외부 원주를 포위하고 파지하면 서 또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슬리이브를 포함하고, 슬리이브가 밸브체임버에 밀봉되게 배열될 때 다이어프램이 밸브시이트 주위에 펼쳐지는 것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오목면과 볼록면을 포함하고, 밸브부재는, 오목면이 밸브시이트 개구부를 향하면서 펌프체임버와 유체연통하는 반면에 볼록면이 대기압력과 유체연통하도록 밸브체임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과 슬리이브는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고,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 시이트 위에 펼쳐진 후의 형태보다 대체로 덜 오목한 펼쳐지지않은 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볼록한 형태로 성형되고, 슬리이브가 밸브체임버에 배열될 때 오목한 형태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분배장치가 선단벽을 포함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하는 방법이, 밸브부재를 밸브 체임버 내에 고정하기 위하여 선단벽이 밸브체임버와 정렬되게 하고 또 슬리이브와 접촉하게하도록 덮개를 장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선단벽이 슬리이브와 접촉하여 다이어프램을 밸브시이트 위에 펼쳐줄 때 밸브부재가 예비응력을 받도록, 밸브체임버의 대응하는 치수보다 더 큰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
  43. 액체 분배장치를 위한 예비 압축시스템의 밸브체임버에 사용하기 위한 밸브부재로서, 상기 밸브부재는, 밸브체임버내에서 밸브시이트와 결합하면서 밸브시이트와 결합하는 오목면과 밸브시이트로부터 벗어나게 향하는 볼록면을 포함하는 탄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밸브부재.
  44. 제43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의 외부 원주를 포위하고 파지하면서 또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슬리이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부재.
  45. 제44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과 슬리이브는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부재.
  46. 제44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밸브 시이트에 결합될 때의 형태보다 대체로 덜 오목한 펼쳐지지않은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부재.
  47. 제46항에 있어서, 탄성 다이어프램은, 볼록한 형태로 성형되고, 슬리이브가 밸브체임버에 배열될 때 오목한 형태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부재.
  48. 제46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내벽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부재.
  49. 제44항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길이와, 다이어프램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한 직경을 갖고, 상기 직경이 상기 길이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부재.
KR1020097022205A 2007-03-24 2008-03-25 다이어프램 밸브를 갖춘 액체 분배장치와 그 밸브의 조립방법 KR20100015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06107.2A EP1974826B1 (en) 2007-03-24 2007-03-24 Liquid dispensing device with a diaphragm valve method of assembling the valve
EP07006107.2 2007-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848A true KR20100015848A (ko) 2010-02-12

Family

ID=3837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205A KR20100015848A (ko) 2007-03-24 2008-03-25 다이어프램 밸브를 갖춘 액체 분배장치와 그 밸브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8256648B2 (ko)
EP (2) EP1974826B1 (ko)
JP (2) JP2010522076A (ko)
KR (1) KR20100015848A (ko)
CN (2) CN101674889B (ko)
AP (1) AP2009004989A0 (ko)
AR (1) AR067219A1 (ko)
AU (1) AU2008231968B2 (ko)
BR (1) BRPI0810593B1 (ko)
CA (1) CA2681285A1 (ko)
CL (1) CL2008000813A1 (ko)
EA (1) EA029857B1 (ko)
ES (2) ES2560245T3 (ko)
IL (1) IL200971A0 (ko)
MX (2) MX361210B (ko)
NO (1) NO20093197L (ko)
PL (2) PL2517797T3 (ko)
WO (1) WO2008116656A1 (ko)
ZA (1) ZA2009064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74826B1 (en) * 2007-03-24 2015-11-04 Afa Polytek B.V. Liquid dispensing device with a diaphragm valve method of assembling the valve
IT1399592B1 (it) * 2010-04-14 2013-04-26 Guala Dispensing Spa Erogatore a grilletto per liquidi con fermo per la valvola di mandata.
IT1399591B1 (it) * 2010-04-14 2013-04-26 Guala Dispensing Spa Erogatore a grilletto per liquidi con valvole di testa.
IT1399593B1 (it) * 2010-04-14 2013-04-26 Guala Dispensing Spa Erogatore a grilletto per liquidi con valvola di aspirazione.
ITBS20100081A1 (it) * 2010-04-14 2011-10-15 Guala Dispensing Spa Erogatore a grilletto per liquidi con elemento elastico di ritorno
ITBS20100080A1 (it) * 2010-04-14 2011-10-15 Guala Dispensing Spa Erogatore a grilletto per liquidi con valvola di mandata
PL2566629T3 (pl) * 2010-05-05 2021-09-20 Dispensing Technologies B.V. Urządzenie rozpylające z funkcjonalnością aerozolu („flairosol”)
ITBS20110126A1 (it) * 2011-09-21 2013-03-22 Guala Dispensing Spa Dispositivo di erogazione a grilletto con valvola di mandata
WO2013106014A1 (en) 2011-04-04 2013-07-18 Meadwestvaco Calmar, Inc. Pre-compression valve systems for trigger sprayers
EP2696990B1 (en) * 2011-04-13 2020-08-05 Silgan Dispensing Systems Corporation Improved trigger sprayer valves
ITBS20110067A1 (it) * 2011-05-17 2012-11-18 Guala Dispensing Spa Erogatore a grilletto per liquidi con valvola di mandata
GB201110250D0 (en) 2011-06-16 2011-08-03 Obrist Closures Switzerland A trigger pump dispenser
RU2683982C2 (ru) 2011-09-20 2019-04-03 Диспенсинг Текнолоджиз Б.В. ДОЗИРУЮЩЕЕ И АКТИВИРУЕМОЕ РАСПЫЛИТЕЛЬНЫЕ УСТРОЙСТВА С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ЬЮ АЭРОЗОЛЬНОГО БАЛЛОНЧИКА ("Flairosol II")
ITBS20120109A1 (it) 2012-07-17 2014-01-18 Guala Dispensing Spa Dispositivo di erogazione a grilletto
ITBS20120116A1 (it) * 2012-07-24 2014-01-25 Guala Dispensing Spa Dispositivo di erogazione a grilletto
ITBS20130114A1 (it) 2013-07-31 2015-02-01 Guala Dispensing Spa Dispositivo di erogazione a grilletto
ITBS20130159A1 (it) * 2013-11-05 2015-05-06 Guala Dispensing Spa Dispositivo di erogazione a grilletto
EP3116661B1 (en) * 2014-04-23 2018-06-06 Guala Dispensing S.p.A. Dispensing head with pre-compression valve for a trigger dispenser device
JP6404100B2 (ja) * 2014-11-28 2018-10-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PL3319734T3 (pl) 2015-07-09 2020-09-21 Dispensing Technologies B.V. Układ do dozowania porcji płynu i sposób jego wytwarzania
CN105642470A (zh) * 2015-12-25 2016-06-08 中山市美捷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多角度使用手枪泵
USD878207S1 (en) 2017-07-24 2020-03-17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Spraying device for bottles
US10328447B1 (en) * 2018-01-30 2019-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 dispenser for liquid dispensing product having a nozzle guard
WO2019200380A1 (en) * 2018-04-13 2019-10-17 Rieke Corporation Recyclable, pre-compression dispenser with trigger sprayer
EP3572491A1 (en) 2018-05-24 2019-1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 container comprising a detergent composition
PL429898A1 (pl) * 2019-05-10 2020-11-16 Pawłuszek Anna Findustry Urządzenie dozujące
FR3096090B1 (fr) * 2019-05-14 2022-10-28 Aptar France Sas Pompe à précompression haute pression
US11519394B2 (en) 2019-06-25 2022-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uffered pump system
US11219910B2 (en) * 2019-09-10 2022-01-11 Silgan Dispensing Systems Corporation Trigger sprayer with improved venting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5023293A (zh) 2019-11-27 2022-09-06 里克包装系统有限公司 连续喷雾扳机式分配器
CN111558478B (zh) * 2020-04-30 2021-09-10 余姚市瑞达日用品有限公司 具有双单向阀结构的外置弹簧式喷雾枪头
CL2021000082S1 (es) * 2020-07-30 2021-05-24 Kh Lloreda S A Cabezal de pistola pulverizadora.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9386A (en) * 1958-08-22 1960-09-28 Elliott Brothers London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flow control valves
FR1398855A (fr) * 1964-03-19 1965-05-14 Vaporisateurs Marcel Franck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vaporisateurs comportant une pompe alternative
US4191313A (en) * 1978-07-24 1980-03-04 James D. Pauls And J. Claybrook Lewis And Associates, Limited Trigger operated dispenser with means for obtain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discharge
JPS6157066B1 (ko) * 1979-05-21 1986-12-05 Yoshino Kogyosho Co Ltd
US5425482A (en) * 1990-10-25 1995-06-20 Contico International, Inc. Trigger sprayer
JP3280119B2 (ja) * 1993-06-02 2002-04-30 清原 まさ子 ダイヤフラム弁
US5467900A (en) * 1994-03-16 1995-11-21 Afa Products, Inc. Precompression valve for trigger sprayer
US5613517A (en) * 1994-10-24 1997-03-25 Reseal International Limited Partnership Sheath valve
JPH08174860A (ja) * 1994-10-26 1996-07-0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5653251A (en) * 1995-03-06 1997-08-05 Reseal International Limited Partnership Vacuum actuated sheath valve
CN1079355C (zh) * 1995-09-05 2002-02-20 策拉塑料有限公司 自动闭合的密封装置
US6364172B1 (en) * 1998-12-10 2002-04-02 Afa Polytek, B.V. Liquid dispenser and assembly methods therefor
NL1011964C2 (nl) * 1998-12-10 2000-11-09 Afa Polytek Bv Voordruksysteem.
US6378739B1 (en) * 1999-03-05 2002-04-30 Afa Polytek, B.V. Precompression system for a liquid dispenser
US6431229B1 (en) * 2001-08-24 2002-08-1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olventless purgeable diaphragm valved manifold for low vapor pressure chemicals
JP2003211028A (ja) * 2001-11-14 2003-07-29 Asmo Co Ltd 逆止弁付ウォッシャノズル及び逆止弁付ホースジョイント
CN100584621C (zh) * 2002-12-10 2010-01-2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盒
ITTO20040830A1 (it) * 2004-11-24 2005-02-24 Borla Ind Componente di flusso per linee medicali di infusione/trasfusione
US7503469B2 (en) * 2005-03-09 2009-03-17 Rexam Closure Systems Inc. Integrally molde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e
EP1974826B1 (en) * 2007-03-24 2015-11-04 Afa Polytek B.V. Liquid dispensing device with a diaphragm valve method of assembling the valve
US8397957B2 (en) * 2010-01-06 2013-03-19 Berry Plastics Corporation Dispensing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67219A1 (es) 2009-10-07
JP2014095383A (ja) 2014-05-22
EA200901292A1 (ru) 2010-04-30
ES2810152T3 (es) 2021-03-08
CA2681285A1 (en) 2008-10-02
ZA200906470B (en) 2010-10-27
MX2009009958A (es) 2009-10-07
MX361210B (es) 2018-11-30
AP2009004989A0 (en) 2009-10-31
NO20093197L (no) 2009-12-17
AU2008231968A1 (en) 2008-10-02
JP5922083B2 (ja) 2016-05-24
CN101674889A (zh) 2010-03-17
US8256648B2 (en) 2012-09-04
CN103170419B (zh) 2016-08-03
US20120305119A1 (en) 2012-12-06
PL1974826T3 (pl) 2016-04-29
PL2517797T3 (pl) 2020-11-16
US20080230563A1 (en) 2008-09-25
CL2008000813A1 (es) 2008-10-17
CN101674889B (zh) 2013-01-23
IL200971A0 (en) 2010-05-17
US9586222B2 (en) 2017-03-07
ES2560245T3 (es) 2016-02-18
EA029857B1 (ru) 2018-05-31
EP2517797B1 (en) 2020-05-27
AU2008231968B2 (en) 2013-09-05
WO2008116656A1 (en) 2008-10-02
EP1974826B1 (en) 2015-11-04
JP2010522076A (ja) 2010-07-01
EP1974826A1 (en) 2008-10-01
BRPI0810593B1 (pt) 2020-04-28
CN103170419A (zh) 2013-06-26
BRPI0810593A2 (pt) 2014-10-21
EP2517797A1 (en)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5848A (ko) 다이어프램 밸브를 갖춘 액체 분배장치와 그 밸브의 조립방법
KR100886335B1 (ko) 폼 형성 유닛
US7793803B2 (en) Bellows pump system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4260079A (en) Manually operated liquid dispensers
WO2004073873A2 (en) Spray nozzle
EP1137493B1 (en) Precompression system
US4022354A (en) Accumulator release pump
US4310107A (en) Manually operated, trigger actuated diaphragm pump dispenser
JP6567540B2 (ja) 予圧出口弁を有する液体放出装置
JP2006509694A (ja) ポンプ作用式ノズル装置における、またはそれに関連する改良点
CA1052747A (en) Manually operated, trigger actuated diaphragm pump dispenser
EP1863590A1 (en) Pump for manually dispensing a fluid substance sealed in a container
CA1063983A (en) Manually operated liquid dispensers
KR800001302Y1 (ko) 수동식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